KR20130089092A - 접철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접철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092A
KR20130089092A KR1020120010471A KR20120010471A KR20130089092A KR 20130089092 A KR20130089092 A KR 20130089092A KR 1020120010471 A KR1020120010471 A KR 1020120010471A KR 20120010471 A KR20120010471 A KR 20120010471A KR 20130089092 A KR20130089092 A KR 20130089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groove
frame
hing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0678B1 (ko
Inventor
허영실
Original Assignee
허영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실 filed Critical 허영실
Priority to KR102012001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6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1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의 바닥면 양측에 길이방향 양단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양단으로 볼트의 머리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장홈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 양단이 개방되고 경첩이 설치되는 경첩 홈이 형성되고, 바닥면 양측의 장홈 사이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경첩에 의해 지그재그로 접철되는 짝수의 접철판과; 장홈에 끼워진 볼트의 나선몸체에 너트에 의해 바닥면에 체결되어 장홈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브라켓이 상단에 구비되고, 바닥면으로 접혀져 바닥면의 안착홈으로 들어가 안착설치되는 복수의 다리 프레임; 및 수평으로 펴진 짝수의 접철판의 길이방향의 양단이 끼워져 양단의 상면과 하면을 탄성으로 잡아주는 탄성입구를 가지는 접이방지 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철식 테이블{Folding type table}
본 발명은 야외나 실내에서 사용가능한 접고 펼 수 있는 접철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이나 들과 같은 야외 나들이에서 야외 또는 텐트 안에서 식사를 할 경우에 통상 바닥에 돗자리를 깔고 돗자리에 음식을 놓고 식사를 하게 됨에 따라 허리를 구부리는 등 높이가 맞지 않아서 불편한 점이 많았다.
그래서 의자가 함께 구비된 테이블이 있지만 이는 자동차에 실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있고, 텐트 안에 설치할 수 있는 크기는 아니었다. 텐트 안에서는 의자가 필요없이 가부좌 식으로 앉아서 식사를 해야하므로 밥상 형태의 소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밥상 형태로 텐트 안에 설치하여 식사를 할 수 있는 특허문헌 1(야외용 접이식 테이블)과 같은 소형의 테이블이 발명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일렬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2,3,4플레이트와; 상기 제1,2,3,4플레이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절첩 가능하게 힌지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연결브래킷과; 상기 제1,4플레이트의 저면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레그 및; 상기 제1,4플레이트에 설치된 상기 고정브래킷에 일단이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2,3,4플레이트의 저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레그 각각의 자유단측 바닥면에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에 장,탈착되는 장착돌기가 형성된 높이조절블록이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블록의 바닥면에는 다른 높이조절블록이 탈착되어 장착될 수 있는 연결홀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특허문헌 1은 제1,2,3,4플레이트와; 힌지부재와; 연결브래킷과; 고정브래킷과; 지지레그와; 한 쌍의 지지바; 및 복수의 높이조절블록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들 구성부품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서 그 문제점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제1,2,3,4플레이트에는 그 양단에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연결브래킷은 결합홀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제1,2,3,4플레이트의 양단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 측면이 개방된 덮개의 형태로 제작되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연결브래킷이 힌지부재를 통해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
힌지부재는 연결브래킷의 양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힌지결합돌기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힌지결합돌기에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홀이 형성된 힌지를 포함하고, 힌지는 제1,2,3,4플레이트가 절첩될 수 있도록 하나의 플레이트 두께를 감안하여 상기 한 쌍의 체결홀이 적정 간격을 갖는다.
(1) 그러나 제1,2,3,4플레이트, 연결브래킷, 및 힌지부재의 구조에 있어서, 제1,2,3,4플레이트를 접었다 폈다 하기 위해서 연결브래킷이 필요하고, 이 연결브래킷과 제1,2,3,4플레이트를 결합하기 위한 상기 결합홀과 결합돌기의 결합구조가 필요하고, 연결브래킷과 힌지를 결합하기 위한 상기 힌지결합돌기와 체결홀의 결합구조가 필요로 하는 바처럼 제1,2,3,4플레이트의 접철을 위해서 힌지 외에도 다른 구성부품과 결합구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으로 인한 원가상승 및 복잡한 결합구조로 인해서 조립작업성의 저하를 가져온다.
고정브래킷은 제1,4플레이트의 저면에 총 4개가 설치되는데,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한 쌍의 돌기가 형성되고, 이 돌기에 지지레그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구속핀이 더 구비되는데, 이 구속핀을 통해 지지바의 일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필요시 지지바의 회전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지지레그는 고정브래킷의 돌기에 삽입되는 홀이 상단 양측에 형성되고, 그 바닥면에는 지지레그의 길이를 추가로 연장하는 높이조절블록이 장,탈착되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지지레그는 절첩되거나 펼쳐진 상태가 탄력적으로 유지되도록 서로 탄력적으로 결합되거나 해제되는 탄성돌기가 지지레그의 상단에 더 구비되고, 고정브래킷에는 탄성돌기가 탄력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홈이 더 마련된다.
(2) 그러나 고정브래킷, 지지레그, 및 높이조절블록의 구조에 있어서, 고정브래킷과 지지레그의 결합을 위해서 고정브래킷에 돌기와 홈, 지지레그에 홀과 탄성돌기의 결합구조가 필요하고, 지지레그와 높이조절블록의 결합을 위해서 지지레그에 장착홀, 높이조절블록에 장착돌기의 결합구조가 필요하고, 지지레그의 높이조절을 위해서 복수 개의 별도의 높이조절블록이 필요하고, 높이조절블록을 복수 개 연결하기 위해서 높이조절블록에 연결홀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으로 인한 원가상승 및 복잡한 결합구조로 인해서 조립작업성의 저하를 가져오고, 또한, 높이조절블록의 연결이 단순히 형상결합에 의한 것이므로 쉽게 결합해제될 수 있고, 사용중에 결합해제되는 경우에 테이블이 엎어질 수 있고, 지지레그와 별도로 구비되는 높이조절블록의 분실시 높이조절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지지바는 제1,2,3,4플레이트가 일렬로 나란하게 배열될 때에 이들의 저면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가 임의로 접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바는 일정 길이를 갖고, 그 일단에는 고정브래킷의 일측 구속핀에 설치 고정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타측으로는 또 다른 구속핀이 측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구속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일단이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되도록 한 쌍이 설치되어 서로 반대의 구속핀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고, 이에 접어질 때에는 각각 제1,4플레이트의 길이와 나란하게 접어진다.
이에 의해 상기 지지바는 관통홀을 중심으로 하여 그 자유단이 회전이동 가능하고, 상기 지지바가 회전되어 타측의 구속핀이 구속홀에 삽입되면, 지지바가 구속되어 지지바의 회전을 구속한다.
(3) 그러나 지지바의 구속홀 및 관통홀과 고정브래킷의 구속핀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단순 형상결합에 의한 것이므로 쉽게 결합해제될 수 있고, 사용중에 결합해제되는 경우에 펼쳐진 테이블이 접혀질 수 있고, 테이블 저면에 설치되고 지지바를 회전시켜 테이블을 지지하고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불편한 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82697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결합구조가 단순하여 원가절감 및 조립분해가 용이하고, 다리 프레임의 위치를 상황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필요시에 다리 프레임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는 접철식 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방향의 바닥면 양측에 길이방향 양단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양단으로 볼트의 머리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장홈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 양단이 개방되고 경첩이 설치되는 경첩 홈이 형성되고, 바닥면 양측의 장홈 사이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경첩에 의해 지그재그로 접철되는 짝수의 접철판과; 장홈에 끼워진 볼트의 나선몸체에 너트에 의해 바닥면에 체결되어 장홈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브라켓이 상단에 구비되고, 바닥면으로 접혀져 바닥면의 안착홈으로 들어가 안착설치되는 복수의 다리 프레임; 및 수평으로 펴진 짝수의 접철판의 길이방향의 양단이 끼워져 양단의 상면과 하면을 탄성으로 잡아주는 탄성입구를 가지는 접이방지 틀을 포함하는 접철식 테이블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접철식 테이블에 있어서, 경첩 홈의 개방된 양단에 접이방지 틀을 통과하여 고정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철식 테이블에 있어서, 다리 프레임의 하단에 나선결합되어 승강조절되며 지지판을 가진 높이조절구를 설치하거나 또는 다리 프레임 혹은 다리 프레임의 하단을 텔리스코우프(telescope)식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구성과 같이 결합구조가 단순하고 구성부품 수가 줄어들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조립분해가 용이하고, 사용시 접이방지 틀 및 높이조절구가 결합해제가 되지 않으므로 테이블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너트를 풀어 다리 프레임의 위치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황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필요시에 다리 프레임을 용이하게 추가하여 테이블의 사방 모서리뿐만 중앙부위를 포함한 다른 부위에도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철식 테이블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B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본 접철판과 다리 프레임이 펴진 상태에서 지그재그로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1의 B방향에서 바라본 접철판이 펴진 상태에서 지그재그로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접철식 테이블은 짝수의 접철판(10)과; 복수의 다리 프레임(20)과; 한 쌍의 접이방지 틀(30); 및 높이조절구(40)를 포함한다.
접철판(10)은 짝수 개로서 길이방향의 바닥면 양측에 길이방향 양단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양단으로 볼트(70)의 머리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장홈(11)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 양단이 개방되고 경첩(50)이 설치되는 경첩 홈(12)이 형성되고, 바닥면 양측의 장홈(11) 사이에 안착홈(13)이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접철판(10)을 연결하는 경첩(50)은 복수 개가 바람직하고, 접철판(10)은 경첩(50)에 의해 지그재그로 접철되고, 접철판(10)의 개수는 짝수면 되고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다리 프레임(20)은 접철판(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가 구비되고, 브라켓(21)이 상단에 구비되어 접철판(10)의 장홈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볼트(70)의 나선몸체에 너트(71)에 의해 바닥면에 체결되고, 바닥면으로 접혀져 바닥면의 안착홈(13)으로 들어가 안착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다리 프레임(20)의 설치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너트(71)를 풀어서 다리 프레임(20)이 느슨해진 상태에서 다리 프레임(20)을 잡고 볼트(70)의 머리를 장홈(11)에서 이동시키면 다리 프레임(20)이 접철판(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므로 다리 프레임(20)을 접철판(10)의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다리 프레임(20)은 일반적으로 테이블의 사방 모서리 측에 각각 하나씩 고정설치되지만, 접철판(10)이 10개인 대형인 경우에 테이블이 길어서 테이블의 사방 모서리 측에만 다리 프레임(20)을 설치하면 테이블을 다리 프레임(20)이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므로, 이러한 경우에 중앙 부위 또는 임의의 부위의 접철판(10)의 장홈(11)으로 볼트(70)의 머리를 넣어서 다리 프레임(20)의 브라켓(21)과 너트(71)로 느슨하게 결합시켜 다리 프레임(20) 복수 개를 용이하게 추가한 다음에 다리 프레임(20)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켜 너트(71)를 조여서 다리 프레임(20)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면 접철판(10)의 사방 모서리 측의 4개의 다리 프레임(20)과 중앙 부위 또는 임의의 부위의 복수 개의 다리 프레임(20)에 의해 테이블이 다리 프레임(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높이조절구(40)는 나선몸체를 가진 지지판(41)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다리 프레임(20)의 하단에 나선결합되어 승강 조절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맞은 높이로 높이조절구(40)를 조절하여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지면이 평평하지 않은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에 접철판(1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겠지만, 높이조절구(40)를 이용하여 조절하면 접철판(10)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나선몸체를 짧게 도시하여 앉아서 사용하는 테이블로 도시되어 있지만 나선몸체를 길게 형성하면 사용자가 서서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로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높이조절구(40)를 나선몸체를 가진 지지판(41)이 아닌 다리 프레임 혹은 다리 프레임의 하단을 텔리스코우프(telescope)식으로 형성하여 상술한 바처럼 앉거나 또는 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접이방지 틀(30)은 펴진 접철판(10)이 사용중 접히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수평으로 펴진 짝수의 접철판(10)의 길이방향의 양단이 끼워져 양단의 상면과 하면을 탄성으로 잡아주는 탄성입구(31)를 구비하고 있다.
다리 프레임(20)을 수직으로 세우고 접혀져 포개진 접철판(10)을 펴서 테이블을 설치한 다음에 접이방지 틀(30)의 탄성입구(31)에 접철판(10)의 길이방향의 양단이 끼워지도록 접이방지 틀(30)을 장착하면 탄성입구(31)가 접철판(10)의 길이방향의 양단의 상하면을 탄성으로 단단히 잡아주기 때문에 펴진 접철판(10)이 접혀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접이방지 틀(30)이, 펴진 접철판(1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구(60)를 이용하여 더욱 확실하게 접이방지 틀(30)을 접철판(1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도면에서처럼 펴진 접철판(10)의 길이방향의 양 측면에 형성된 경첩 홈(12)의 개방된 양단에 나선몸체를 가진 고정구(60)를 체결하되, 접이방지 틀(30)을 통과하여 나선몸체가 경첩 홈(12)으로 나선결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구(60)는 테이블의 사방 모서리에 설치되어 경첩(50)이 설치되지 않은 경첩 홈(12)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경첩(50)은 일반적으로 내측에 복수 개가 설치되므로 경첩(50)이 설치된 경첩 홈(12)에도 설치할 수가 있는 것으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접철식 테이블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처럼 보관시 접어서 보관하게 되므로 보관이 용이한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관시에는 접이방지 틀(30)을 접철판(10)에서 분리하고, 다리 프레임(20)을 접어서 접철판(10)의 안착홈(13)에 안착설치한 다음에 짝수의 접철판(10)을 지그재그로 접으면 다리 프레임(20)이 포개진 접철판(10)의 상하에 위치하게 되어 좁은 장소에서도 보관할 수 있고, 크기가 작아져 휴대가 용이 해진다.
10 : 접철판 11 : 장홈
12 : 경첩 홈 13 : 안착홈
20 : 다리 프레임 21 : 브라켓
30 : 접이방지 틀 31 : 탄성입구
40 : 높이조절구 41 : 지지판
50 : 경첩 60 : 고정구
70 : 볼트 71 : 너트

Claims (3)

  1. 길이방향의 바닥면 양측에 길이방향 양단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양단으로 볼트(70)의 머리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장홈(11)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 양단이 개방되고 경첩(50)이 설치되는 경첩 홈(12)이 형성되고, 바닥면 양측의 장홈(11) 사이에 안착홈(13)이 형성되어 경첩(50)에 의해 지그재그로 접철되는 짝수의 접철판(10)과;
    장홈(11)에 끼워진 볼트(70)의 나선몸체에 너트(71)에 의해 바닥면에 체결되어 장홈(11)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브라켓(21)이 상단에 구비되고, 바닥면으로 접혀져 바닥면의 안착홈(13)으로 들어가 안착설치되는 복수의 다리 프레임(20); 및
    수평으로 펴진 짝수의 접철판(10)의 길이방향의 양단이 끼워져 양단의 상면과 하면을 탄성으로 잡아주는 탄성입구(31)를 가지는 접이방지 틀(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테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경첩 홈(12)의 개방된 양단에 접이방지 틀(30)을 통과하여 고정구(6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테이블.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다리 프레임(20)의 하단에 나선결합되어 승강조절되며 지지판(41)을 가진 높이조절구(40)를 설치하거나 또는 다리 프레임 혹은 다리 프레임의 하단을 텔리스코우프(telescope)식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테이블.
KR1020120010471A 2012-02-01 2012-02-01 접철식 테이블 KR101410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471A KR101410678B1 (ko) 2012-02-01 2012-02-01 접철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471A KR101410678B1 (ko) 2012-02-01 2012-02-01 접철식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092A true KR20130089092A (ko) 2013-08-09
KR101410678B1 KR101410678B1 (ko) 2014-06-25

Family

ID=4921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471A KR101410678B1 (ko) 2012-02-01 2012-02-01 접철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6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3704A (zh) * 2016-08-09 2017-01-04 太仓市蓝强机械有限公司 一种调节脚
CN110326918A (zh) * 2019-07-18 2019-10-15 广州美术学院 一种折叠板结构及移动置物架
KR102286663B1 (ko) * 2020-06-03 2021-08-05 박지훈 두루마리 휴대용 테이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160A (ko) * 2010-03-24 2011-09-3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단차를 이용한 자동 접이식 탁자
KR101082697B1 (ko) 2011-05-06 2011-11-15 박성일 야외용 접이식 테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3704A (zh) * 2016-08-09 2017-01-04 太仓市蓝强机械有限公司 一种调节脚
CN110326918A (zh) * 2019-07-18 2019-10-15 广州美术学院 一种折叠板结构及移动置物架
KR102286663B1 (ko) * 2020-06-03 2021-08-05 박지훈 두루마리 휴대용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678B1 (ko)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4089B1 (en) Foldable table top
AU2007101250A4 (en) Table assembly and accessories
KR940702244A (ko) 다단계 절첩식 스테이지(Multi-level folding stage)
CN203483106U (zh) 桌凳一体化椅
KR101410678B1 (ko) 접철식 테이블
CN103431653A (zh) 桌凳一体化椅
US8479328B2 (en) Adjustable bracket for a crib mattress
KR20200015714A (ko) 휴대용 스테이지 시스템
KR101082697B1 (ko) 야외용 접이식 테이블
WO2017188854A1 (ru) Мольберт
KR20110008104U (ko) 가구용 접이식 다리의 자유낙하 방지장치
KR101600556B1 (ko) 캠핑용 테이블
US6938288B2 (en) Conversion kit for turning a cross-legged folding cot into a tiered cot
KR101755304B1 (ko) 휴대용 다용도 접이식 거치대
KR101274910B1 (ko) 소파 겸 침대기능을 갖는 다용도 가구
RU2614967C1 (ru) Мольберт
KR20090095167A (ko) 다용도 휴대용 독서대
JP2015139662A (ja) 調整可能な角度を有する机の構造
KR200474196Y1 (ko) 야전 침대 프레임
JP7129817B2 (ja) 組立式のテーブル
CN208972773U (zh) 一种折叠桌
RU170064U1 (ru) Опора для мебели
RU167716U1 (ru) Мольберт
KR101483884B1 (ko) 조립식 평상
KR101561230B1 (ko) 전개 방향, 각도의 자유 조절이 가능한 후방 지주를 갖는 이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