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942A -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및 통제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및 통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942A
KR20130088942A KR1020120010191A KR20120010191A KR20130088942A KR 20130088942 A KR20130088942 A KR 20130088942A KR 1020120010191 A KR1020120010191 A KR 1020120010191A KR 20120010191 A KR20120010191 A KR 20120010191A KR 20130088942 A KR20130088942 A KR 20130088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martphone
control
security polic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김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석 filed Critical 김기석
Priority to KR1020120010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8942A/ko
Publication of KR2013008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기능을 통제하기 위한 통제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기 설정된 통제영역내에 위치시 특정기능이 통제되는 스마트폰과; 상기 통제영역정보를 사전에 추출하여 저장 관리하면서 상기 스마트폰에 통제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 스마트폰으로 통제영역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정보 기반 하에서 스마트폰을 통제하여 스마트폰을 통한 기술유출이나 정보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및 통제방법{SMART-PHON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및 통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위치정보 기반 하에서 스마트폰을 통제하여 기술유출이나 정보유출을 차단할 수 있는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및 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다. 스마트폰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마음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 반면에, 스마트폰을 통해 기술이나 정보가 쉽게 유출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별다른 통제수단이나 관리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기업이나 국가가 조직적인 차원에서 어느 정도의 강제성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폰을 통제함으로써 조직의 정보와 자산을 지키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하겠다.
한편, 종래 관련기술로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인식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위치인식 애플레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인식자(11)가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 상기 위치인식자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정보를 송출시키는 위치인식 서비스 서버(20);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위치인식 서비스 서버 상호간에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와이파이망(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망을 이용한 위치인식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국내공개특허 10-2011-0126893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치정보 기반 하에서 스마트폰을 통제하여 기술유출이나 정보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및 통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기능을 통제하기 위한 통제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기 설정된 통제영역내에 위치시 특정기능이 통제되는 스마트폰과; 상기 통제영역정보를 사전에 추출하여 저장 관리하면서 상기 스마트폰에 통제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 스마트폰으로 통제영역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특정기능은 적어도 정보유출이 가능한 카메라, 녹음기, 3G 통신, 4G 통신, NFC 통신,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및 USB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보안정책을 저장 관리하면서 상기 스마트폰에 통제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 스마트폰으로 보안정책을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기 설정된 보안정책에 따라 특정기능이 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제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스마트폰이 통제영역내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정보 확인모듈과; 보안정책을 확인하기 위한 보안정책 확인모듈과;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무력화시키는 시도를 차단하기 위한 자기 보호모듈과; 상기 위치정보 확인모듈 및 보안정책 확인모듈을 통한 스마트폰의 위치정보와 보안정책에 따라 특정기능을 통제하기 위한 스마트폰 통제모듈과; 상기 스마트폰의 이동경로정보 및 보안정책의 작용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로그 수집모듈과;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 관리하며 호출시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암호화/복호화 모듈과; 통제영역정보, 보안정책정보, 설치/삭제정보 및 로그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통제영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통제영역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통제영역 관리모듈과; 보안등급, 인가 및 업무영역을 포함하는 보안정책을 관리하기 위한 보안정책 관리모듈과; 상기 스마트폰에 통제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삭제를 지원하며 설치시 통제영역정보 및 보안정책을 스마트폰에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삭제 모듈과; 상기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설치이력, 삭제이력 및 스마트폰의 이동경로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기 위한 로그 수집 및 분석 모듈과;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 관리하며 호출시 복호화하는 암호화/복호화 모듈과;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삭제를 지원하기 위한 마켓 모듈과; 사용이력, 외부 네트워크 접근차단 및 파일변경 통제를 통해 관리서버 및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서버/정보 보호모듈과; 통제영역정보, 보안정책정보, 설치/삭제정보 및 로그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방법은, 관리서버는 스마트폰의 통제영역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한 통제영역정보와 보안정책을 저장 관리하는 단계와; 관리서버를 통해 스마트폰에 통제영역정보와 보안정책을 제공하면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기능을 통제하기 위한 통제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와; 스마트폰의 통제영역내 위치시 위치정보와 보안정책에 따라 스마트폰의 특정기능이 통제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특정기능은 적어도 정보유출이 가능한 카메라, 녹음기, 3G 통신, 4G 통신, NFC 통신,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USB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정보 기반 하에서 스마트폰을 통제하여 스마트폰을 통한 기술유출이나 정보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와이파이망을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의 개념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의 개념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내부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의 내부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제영역정보 추출을 설명하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의 개념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내부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의 내부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제영역정보 추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및 통제방법은, 위치정보 기반 하에서 스마트폰을 통제하여 기술유출이나 정보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은, 크게 스마트폰(120) 및 관리서버(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140)는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으며, 상기 스마트폰(120)에 통제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정책 전달 포함)하거나, 삭제(로그 추출 포함)하는 경우에만 스마트폰(120)과 연결되며, 연결 방식은 USB 혹은 마켓 방식을 이용한다.
상기 스마트폰(120)에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기능을 통제하기 위한 통제용 애플리케이션(110)이 설치되어 있어, 스마트폰(120)이 기 설정된 통제영역내에 위치할 때 스마트폰(120)의 특정기능이 통제된다. 이때, 상기 특정기능은 적어도 정보유출이 가능한 카메라, 녹음기, 3G 통신, 4G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USB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제는 해당 기능을 비활성화시켜 그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관리서버(140)는 상기 통제영역정보를 사전에 추출하여 저장 관리하면서 상기 스마트폰(120)에 통제용 애플리케이션(110)의 설치시 스마트폰(120)으로 통제영역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140)는 보안정책을 별도 저장 관리하면서 상기 스마트폰(120)에 통제용 애플리케이션(110)의 설치시 스마트폰(120)으로 보안정책을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폰(120)은 기 설정된 보안정책에 따라 특정기능이 통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제용 애플리케이션(110)은 위치정보 확인모듈(111), 보안정책 확인모듈(112), 자기 보호모듈(113), 스마트폰 통제모듈(114), 로그 수집모듈(115), 암호화/복호화 모듈(116) 및 데이터베이스(1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확인모듈(111)은 상기 스마트폰(12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스마트폰(120)이 통제영역내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위치정보를 얻기 위한 GPS, 3G, 와이파이 등의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120)의 현재 위치정보를 연속적으로 체크하여 통제영역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모든 통신만 허용(보호)되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통신은 불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보안정책 확인모듈(112)은 관리서버(140)에서 제공받은 보안정책을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자기 보호모듈(113)은 애플리케이션 강제 삭제, 불법적인 변조 등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무력화시키는 시도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마트폰 통제모듈(114)은 상기 위치정보 확인모듈(111) 및 보안정책 확인모듈(112)을 통한 스마트폰(120)의 위치정보와 보안정책에 따라 특정기능을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스마트폰(120)이 통제영역내에 위치하는 경우 음성통화만 가능하도록 하고, 그 이외의 모든 정보유출기능을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보안정책에 따라 특정 스마트폰의 경우 일부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상기 로그 수집모듈(115)은 상기 스마트폰(120)의 이동경로정보(위치정보) 및 보안정책의 작용정보 등을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암호화/복호화 모듈(116)은 보안정책, 로그 등의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 관리하며 호출시 정보를 복호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17)는 통제영역정보, 보안정책정보, 설치/삭제정보 및 로그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서버(140)는, 통제영역 관리모듈(141), 보안정책 관리모듈(142),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삭제 모듈(143), 로그 수집 및 분석 모듈(144), 암호화/복호화 모듈(145), 마켓 모듈(146), 서버/정보 보호모듈(147) 및 데이터베이스(1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제영역 관리모듈(141)은 통제영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통제영역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제영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시뮬레이션해서 위치값을 추출하고 지도나 기타 좌표 정보들을 사용하여 통제영역정보를 완성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통제영역정보의 추출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통제하고자 하는 영역의 평면공간정보인 통제대상영역, 통제영역의 평면공간정보와 주변주요통제거점을 포함하는 개념인 주변거점영역 및 해당 통제영역의 위치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인 전체영역정보를 예로 들 수 있다.
통제대상은 건물이 포함된 대지나 해상구조물, 산악 지역 등 자유로운 형태의 대상을 포함한다. 주변거점은 통제대상영역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목적상 중요한 포인트로 인식되는 영역을 지칭한다. 전체영역정보는 통제대상영역과 주변거점영역을 기반으로 통제대상영역에 대한 평면공간 좌표정보를 확보한다. 이 정보는 연속적이며 비통제영역과 통제영역을 평면 위치상에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보안정책 관리모듈(142)은 보안등급, 인가 및 업무영역을 포함하는 보안정책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안정책의 경우, 스마트폰(120)의 통제기능을 세분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삭제 모듈(143)은 상기 스마트폰(120)에 통제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삭제를 지원하며 설치시 통제영역정보 및 보안정책을 스마트폰(120)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애플리케이션 설치시 소정의 삭제 코드를 생성하여 임의 삭제를 방지하고, 삭제시 해당 코드를 입력해야만 삭제 가능하도록 운영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 통제영역정보와 보안정책이 스마트폰(120)에 제공된다.
상기 로그 수집 및 분석 모듈(144)은 상기 스마트폰(120)의 애플리케이션 설치이력, 삭제이력 및 스마트폰(120)의 이동경로정보(시간정보,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역할, 그리고 통계 및 검색 기능이나 위협 분석 기능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암호화/복호화 모듈(145)은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 관리하며 호출시 복호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마켓 모듈(146)은 USB 등과 같이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삭제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서버/정보 보호모듈(147)은 사용이력, 외부 네트워크 접근차단 및 파일변경 통제를 통해 관리서버 및 정보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48)는 통제영역정보, 보안정책정보, 설치/삭제정보 및 로그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관리서버는 스마트폰을 통제하기 위한 통제영역정보를 사전에 추출한 후, 추출한 통제영역정보와 보안정책을 저장 관리한다(S110).
계속해서, 관리서버를 통해 스마트폰에 통제영역정보와 보안정책을 제공하면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기능을 통제하기 위한 통제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S120). 여기서, 상기 특정기능은 적어도 정보유출이 가능한 카메라, 녹음기, 3G 통신, 4G 통신, NFC 통신,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USB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에, 스마트폰이 통제영역내에 위치하게 되면 위치정보와 보안정책에 따라 스마트폰의 특정기능이 통제된다(S130). 즉, 스마트폰이 통제영역내에 위치하는 경우, 일반 음성통화는 가능하지만, 기술유출이나 정보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카메라, 녹음기, 3G 통신, 4G 통신, NFC 통신,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USB 등의 기능이 통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정보 기반 하에서 스마트폰을 통제 관리하여 스마트폰을 통한 기술유출이나 정보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가 있게 된다.
부연하여,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위치기반 스마트폰 기능 강제 제어.
- GPS, 3G, 와이파이, NFC 등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통신을 기반으로 특정 위치에 있는 경우 스마트폰의 기능을 강제 제어.
- 위치정보의 획득 채널은 다양하게 얻을 수 있으며, 획득 방식별 스마트폰의 기능 사용은 예외처리(보호).
2. 스마트폰의 기능 강제 통제를 통한 정보유출 방지.
- 스마트폰의 기능 통제를 위해서 자원(하드웨어: 카메라, 마이크, USB 등) 점유를 스마트폰 통제 애플리케이션이 유지.
3. 스마트폰 기능 통제 애플리케이션의 자기 보호 기능.
- 다른 애플리케이션이나 사용자 임의로 스마트폰의 보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정지, 삭제하려는 경우 이런 시도로부터 자기 방어.
4. 스마트폰 관리서버를 통한 이력 및 종합 리포팅 기능.
5. 스마트폰의 이동 경로 기록을 통한 동선 파악.
- 이동 좌표의 시간별 기능을 통해 관리서버에서 통제 영역내의 이동 경로를 시뮬레이션.
6. 설치, 삭제시 키(key) 기반 삭제로 임의 삭제 통제.
- 설치, 삭제시 암호화된 키를 생성하여 삭제시 해당 키값을 입력해야만 삭제 가능.
참고적으로, 스마트폰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후 위치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통화 이외의 기능 등은 계속 제어하는 등 보안정책과 위치정보의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및 통제방법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통제용 애플리케이션 111 : 위치정보 확인모듈
112 : 보안정책 확인모듈 113 : 자기 보호모듈
114 : 스마트폰 통제모듈 115 : 로그 수집모듈
116 : 암호화/복호화 모듈 117 : 데이터베이스
120 : 스마트폰 140 : 관리서버
141 : 통제영역 관리모듈 142 : 보안정책 관리모듈
143 :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삭제모듈
144 :로그 수집 및 분석모듈 145 : 암호화/복호화 모듈
146 : 마켓 모듈 147 : 서버/정보 보호모듈
148 : 데이터베이스

Claims (7)

  1.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폰을 통제하는 시스템으로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기능을 통제하기 위한 통제용 애플리케이션(110)이 설치되어, 기 설정된 통제영역내에 위치시 특정기능이 통제되는 스마트폰(120)과;
    상기 통제영역정보를 사전에 추출하여 저장 관리하면서 상기 스마트폰(120)에 통제용 애플리케이션(110)의 설치시 스마트폰(120)으로 통제영역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기능은 적어도 정보유출이 가능한 카메라, 녹음기, 3G 통신, 4G 통신, NFC 통신,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USB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140)는 보안정책을 저장 관리하면서 상기 스마트폰(120)에 통제용 애플리케이션(110)의 설치시 스마트폰(120)으로 보안정책을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폰(120)은 기 설정된 보안정책에 따라 특정기능이 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제용 애플리케이션(110)은,
    상기 스마트폰(12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스마트폰(120)이 통제영역내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정보 확인모듈(111)과;
    보안정책을 확인하기 위한 보안정책 확인모듈(112)과;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무력화시키는 시도를 차단하기 위한 자기 보호모듈(113)과;
    상기 위치정보 확인모듈(111) 및 보안정책 확인모듈(112)을 통한 스마트폰(120)의 위치정보와 보안정책에 따라 특정기능을 통제하기 위한 스마트폰 통제모듈(114)과;
    상기 스마트폰(120)의 이동경로정보 및 보안정책의 작용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로그 수집모듈(115)과;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 관리하며 호출시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암호화/복호화 모듈(116)과;
    통제영역정보, 보안정책정보, 설치/삭제정보 및 로그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140)는,
    통제영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통제영역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통제영역 관리모듈(141)과;
    보안등급, 인가 및 업무영역을 포함하는 보안정책을 관리하기 위한 보안정책 관리모듈(142)과;
    상기 스마트폰(120)에 통제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삭제를 지원하며 설치시 통제영역정보 및 보안정책을 스마트폰(120)에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삭제 모듈(143)과;
    상기 스마트폰(120)의 애플리케이션 설치이력, 삭제이력 및 스마트폰(120)의 이동경로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기 위한 로그 수집 및 분석 모듈(144)과;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 관리하며 호출시 복호화하는 암호화/복호화 모듈(145)과;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삭제를 지원하기 위한 마켓 모듈(146)과;
    사용이력, 외부 네트워크 접근차단 및 파일변경 통제를 통해 관리서버 및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서버/정보 보호모듈(147)과;
    통제영역정보, 보안정책정보, 설치/삭제정보 및 로그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6.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폰을 통제하는 방법으로서,
    관리서버는 스마트폰의 통제영역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한 통제영역정보와 보안정책을 저장 관리하는 단계와;
    관리서버를 통해 스마트폰에 통제영역정보와 보안정책을 제공하면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기능을 통제하기 위한 통제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와;
    스마트폰의 통제영역내 위치시 위치정보와 보안정책에 따라 스마트폰의 특정기능이 통제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특정기능은 적어도 정보유출이 가능한 카메라, 녹음기, 3G 통신, 4G 통신, NFC 통신,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USB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방법.
KR1020120010191A 2012-02-01 2012-02-01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및 통제방법 KR20130088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191A KR20130088942A (ko) 2012-02-01 2012-02-01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및 통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191A KR20130088942A (ko) 2012-02-01 2012-02-01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및 통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942A true KR20130088942A (ko) 2013-08-09

Family

ID=4921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191A KR20130088942A (ko) 2012-02-01 2012-02-01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및 통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894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597B1 (ko) * 2013-08-09 2015-03-1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이동 단말기 위치 판단 규칙에 따른 이동 단말기 보안 정책 적용 방법, 이를 통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37272B1 (ko) * 2013-12-11 2015-07-20 주식회사 더보안 정보 보안 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6048022A1 (ko) * 2014-09-24 2016-03-31 주식회사 에이텍정보기술 하이브리드 기반의 공간위치 추적시스템
KR101717572B1 (ko) * 2016-10-20 2017-03-20 주식회사 아이에스큐어 장소 기반 클라이언트 단말 동작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GB2544960A (en) * 2015-09-30 2017-06-07 Kaizen Reaux-Savonte Corey Two-part system for activating features of a smart device within a designated space
KR20190087917A (ko) * 2018-01-17 2019-07-25 강동연 스마트폰 사용제한 시스템
KR102018543B1 (ko) * 2018-11-13 2019-09-05 (주)패스넷 횡단보도에서의 단계별 스마트폰 화면 차단 시스템
KR20210071202A (ko) * 2019-12-06 2021-06-16 강동연 입력창 커서 깜박임 분석을 통한 운전중 스마트폰 감시 앱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그를 포함하는 운전중 스마트폰 사용증거 수집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597B1 (ko) * 2013-08-09 2015-03-1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이동 단말기 위치 판단 규칙에 따른 이동 단말기 보안 정책 적용 방법, 이를 통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37272B1 (ko) * 2013-12-11 2015-07-20 주식회사 더보안 정보 보안 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6048022A1 (ko) * 2014-09-24 2016-03-31 주식회사 에이텍정보기술 하이브리드 기반의 공간위치 추적시스템
GB2544960A (en) * 2015-09-30 2017-06-07 Kaizen Reaux-Savonte Corey Two-part system for activating features of a smart device within a designated space
KR101717572B1 (ko) * 2016-10-20 2017-03-20 주식회사 아이에스큐어 장소 기반 클라이언트 단말 동작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87917A (ko) * 2018-01-17 2019-07-25 강동연 스마트폰 사용제한 시스템
KR102018543B1 (ko) * 2018-11-13 2019-09-05 (주)패스넷 횡단보도에서의 단계별 스마트폰 화면 차단 시스템
KR20210071202A (ko) * 2019-12-06 2021-06-16 강동연 입력창 커서 깜박임 분석을 통한 운전중 스마트폰 감시 앱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그를 포함하는 운전중 스마트폰 사용증거 수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8942A (ko)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폰 통제시스템 및 통제방법
KR102210995B1 (ko) 전자 장치에서 보안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500673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Confidentiality Protection Based on 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Mylonas et al. Smartphone forensics: A proactive investigation scheme for evidence acquisition
CN105205388B (zh) 一种应用程序的权限管理方法及系统
CN104657674A (zh) 一种手机中隐私数据的隔离保护系统及方法
CN104298916A (zh) 应用程序管理方法、应用程序管理系统与使用者装置
CN103067911A (zh) 控制硬件模块使用的方法和设备
CN103403669A (zh) 使设备上的app变得安全和管理设备上的app
CN102132526A (zh) 用于被跟踪设备的隐私管理
KR20150032963A (ko)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장치 및 방법
CN1997188A (zh) 一种识别用户身份的方法及其手机
CN104158657A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及加密设备
CN104468937A (zh) 移动终端的数据加、解密方法、装置及保护系统
CN112804240B (zh) 功能控制方法、装置、服务器、存储介质及产品
CN102509054A (zh) 移动终端和用于移动终端的应用程序控制方法
US201601503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suring Data Security For Mobile Computing
US20180205762A1 (en) Automatically securing data based on geolocation, network or device parameters
CN107786486B (zh) 操作系统的激活方法及装置
CN104125223A (zh) 一种移动设备隐私数据的安全防护系统
KR101467228B1 (ko) 파일 유출 방지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140090408A (ko) 스마트기기를 통한 자료유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9007B1 (ko)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의 모바일 통제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디바이스
CN106101193B (zh) 信息的备份方法、终端设备、运营商服务器、及备份系统
CN103475781A (zh) 一种信息保护方法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