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086A - 시점변환을 위한 예측구조에 기초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시점변환을 위한 예측구조에 기초한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시점변환을 위한 예측구조에 기초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시점변환을 위한 예측구조에 기초한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086A
KR20130088086A KR1020130010723A KR20130010723A KR20130088086A KR 20130088086 A KR20130088086 A KR 20130088086A KR 1020130010723 A KR1020130010723 A KR 1020130010723A KR 20130010723 A KR20130010723 A KR 20130010723A KR 20130088086 A KR20130088086 A KR 20130088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
images
image
additiona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5161B1 (ko
Inventor
최병두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88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4Adapting the group of pictures [GOP] structure, e.g. number of B-frames between two anch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calable video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04N19/3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in the spatial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간 예측 및 움직임 보상을 위한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은, 기본시점 영상스트림 및 둘 이상의 부가시점들에 대한 부가시점 영상스트림들을 수신하고,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을 이용하여 기본시점 영상들을 복원하고,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이용하여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을 수행하여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고,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 및 동일한 부가시점의 복원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복원영상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한다.

Description

시점변환을 위한 예측구조에 기초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시점변환을 위한 예측구조에 기초한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view video encoding based on prediction structure for viewpoint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view video decoding based on prediction structure for viewpoint switching}
본 발명은 영상간 예측 및 움직임 보상을 위한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에 관한 것이다.
고해상도 또는 고화질 비디오 컨텐트를 재생, 저장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개발 및 보급에 따라, 고해상도 또는 고화질 비디오 컨텐트를 효과적으로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비디오 코덱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기존의 비디오 코덱에 따르면, 비디오는 소정 크기의 매크로블록에 기반하여 제한된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되고 있다.
주파수 변환을 이용하여 공간 영역의 영상 데이터는 주파수 영역의 계수들로 변환된다. 비디오 코덱은, 주파수 변환의 빠른 연산을 위해 영상을 소정 크기의 블록들로 분할하고, 블록마다 DCT 변환을 수행하여, 블록 단위의 주파수 계수들을 부호화한다. 공간 영역의 영상 데이터에 비해 주파수 영역의 계수들이, 압축하기 쉬운 형태를 가진다. 특히 비디오 코덱의 인터 예측 또는 인트라 예측을 통해 공간 영역의 영상 화소값은 예측 오차로 표현되므로, 예측 오차에 대해 주파수 변환이 수행되면 많은 데이터가 0으로 변환될 수 있다. 비디오 코덱은 연속적으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데이터를 작은 크기의 데이터로 치환함으로써, 데이터량을 절감하고 있다.
다시점 비디오 코덱은, 기본시점 비디오와 하나 이상의 부가시점 비디오를 부복호화한다. 기본시점 비디오와 부가시점 비디오의 시간적/공간적 중복성(redundancy)와 시점간의 중복성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기본시점 비디오와 부가시점 비디오의 데이터량이 절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는, 새로운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를 제안하여 다시점 비디오 복원 과정에서 시점 변환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은, 기본시점 영상스트림 및 둘 이상의 부가시점들에 대한 부가시점 영상스트림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을 이용하여, I-픽처타입인 기본시점 앵커픽처(Anchor Picture)들을 포함하는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을 복원하는 단계; 상기 부가시점 영상스트림들 중에서 제1 부가시점의 영상스트림에 대해, 상기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는 변이 보상을 수행하여, 제1 부가시점의 시점 변환이 가능한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스트림에 대해, 상기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 및 상기 제1 부가시점의 복원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복원영상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은, 적어도 하나의 시점변환 구간으로 구분되고, 각 시점변환 구간은 적어도 하나의 시점갱신 영상을 포함할 때,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 중에서 현재 부가시점 영상이 속한 현재 시점변환 구간보다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복원영상들을 제외하고,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복원영상들을 참조하여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는, 동일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은 생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만을 수행하여 상기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동일시점의 참조영상이 저장되는 참조픽처 버퍼(Reference Picture Buffer)에 저장된 상기 동일시점의 복원영상을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만을 수행하여 상기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시점 비디오 복원 방법은,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도중에 시점 변환이 발생하는 경우에, 제2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에 대해, 상기 시점 변환이 발생한 POC(Picture Order Count)가 할당된 제2 부가시점의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기 위해, 상기 시점 변환이 발생한 POC가 할당된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 및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영상들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시점갱신 영상은,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 중에서 랜덤 억세스가 가능한 영상과 동일한 POC가 할당된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은, I-픽처타입인 기본시점 앵커픽처들을 포함하는 기본시점 영상들 간의 영상간 예측(Inter Prediction)을 수행하여,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의 레지듀얼을 포함하는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에 대응되는 제1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둘 이상의 부가시점들 간에 시점 변환이 가능한 시점갱신 영상에 대해,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Inter-View Prediction)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여 제1 부가시점 영상들을 예측하는 시점간 예측, 및 동일시점의 제1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영상들을 참조하여 상기 제1 부가시점 영상들을 예측하는 영상간 예측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생성된 상기 부가시점 영상들의 레지듀얼을 포함하는 제1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은, 적어도 하나의 시점변환 구간으로 구분되고, 각 시점변환 구간은 적어도 하나의 시점갱신 영상을 포함할 때,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 중에서 현재 부가시점 영상이 속한 현재 시점변환 구간보다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복원영상들을 제외하고,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복원영상들을 참조하여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에 대해 영상간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시점갱신 영상에 대해 시점간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시점갱신 영상에 대해, 동일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영상간 예측은 생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만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시점갱신 영상에 대해 시점간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동일시점의 참조영상이 저장되는 참조픽처 버퍼(Reference Picture Buffer)에 저장된 상기 동일시점의 복원영상을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시점갱신 영상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만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은,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 및 상기 제1 부가시점 영상에 대응되는 제2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상기 부가시점들 간에 시점 변환이 가능한 시점갱신 영상에 대해,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여 제2 부가시점 영상들을 예측하는 시점간 예측, 및 동일시점의 제2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영상들을 참조하여 상기 제2 부가시점 영상들을 예측하는 영상간 예측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생성된 상기 제2 부가시점의 레지듀얼을 포함하는 제2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는, 수신된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을 이용하여, I-픽처타입인 기본시점 앵커픽처들을 포함하는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을 복원하는 기본시점 영상 복원부; 및 수신된 부가시점 영상스트림들 중 제1 부가시점의 영상스트림에 대해, 상기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는 변이 보상을 수행하여, 제1 부가시점의 시점 변환이 가능한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 및 상기 제1 부가시점의 복원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복원영상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부가시점 영상 복원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는,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도중에 시점 변환이 발생하면, 제2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이용하여, 상기 시점 변환이 발생한 지점의 제2 부가시점의 앵커픽처를 시작으로, 상기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 및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앵커픽처를 제외한 영상들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시점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는, I-픽처타입인 기본시점 앵커픽처들을 포함하는 기본시점 영상들 간의 영상간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의 레지듀얼을 포함하는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을 생성하는 기본시점 부호화부; 및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에 대응되는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둘 이상의 부가시점들 간에 시점 변환이 가능한 시점갱신 영상에 대해,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을 수행하고,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여 상기 부가시점 영상들을 예측하는 시점간 예측 및 동일시점의 상기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영상들을 참조하여 상기 부가시점 영상들을 예측하는 영상간 예측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부가시점 영상들의 레지듀얼을 포함하는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생성하는 부가시점 부호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시점 부호화부는, 상기 부가시점 영상들을 각 부가시점별로 개별적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을 전산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을 전산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안한다.
도 1a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b 는 도 1a의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a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b 는 도 2a의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도 2a의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세부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b 는 도 3a의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다시점 비디오 영상스트림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a, 5b 및 5c 는 각각 관련기술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의 재생순서 및 코딩순서를 도시한다.
도 6 는 또다른 관련기술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의 재생순서를 도시한다.
도 7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의 재생순서를 도시한다.
도 7b 및 7c는 도 7a의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의 코딩순서 및 시점변환시 코딩순서를 도시한다.
도 8 은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9 은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개념을 도시한다.
도 11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부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복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 및 파티션을 도시한다.
도 14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5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정보들을 도시한다.
도 16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를 도시한다.
도 17, 18 및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20 은 표 1의 부호화 모드 정보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2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이 저장된 디스크의 물리적 구조를 예시한다.
도 22 는 디스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판독하기 위한 디스크드라이브를 도시한다.
도 23 은 컨텐트 유통 서비스(content 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트 공급 시스템(content supply system)의 전체적 구조를 도시한다.
도 24 및 25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폰의 외부구조와 내부구조를 도시한다.
도 26 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이 적용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이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다.
이하 도 1a 내지 도 7c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와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개시된다. 또한, 도 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에 기초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개시된다. 또한, 도 21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따라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비디오 부호화 방법,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적용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이하, '영상'은 비디오의 정지영상이거나 동영상, 즉 비디오 그 자체를 나타낼 수 있다.
먼저, 도 1a 내지 도 7c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와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그리고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와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개시된다.
도 1a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b 는 도 1a의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의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11)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기본시점 부호화부(12) 및 부가시점 부호화부(1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기본시점 영상들과 부가시점 영상들을 부호화한다. 예를 들어, 중앙시점 영상들, 좌시점 영상들과 우시점 영상들이 각각 부호화되고, 이 중에서 중앙시점 영상들은 기본시점 영상들로서 부호화되고, 좌시점 영상들은 제1 부가시점 영상들, 우시점 영상들은 제2 부가시점 영상들로서 부호화될 수 있다. 기본시점 영상들의 부호화 결과가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으로 출력되고, 제1 부가시점 영상들 및 제2 부가시점 영상들의 부호화 결과가 각각 제1 부가시점 영상스트림 및 제2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부가시점이 셋 이상인 경우, 기본시점 영상들과 첫번째 부가시점에 대한 첫번째 부가시점 영상들, 두번째 부가시점에 대한 두번째 부가시점 영상들, ..., K번째 부가시점에 대한 K번째 부가시점 영상들이 부호화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기본시점 영상들의 부호화 결과가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으로 출력되고, 첫번째, 두번째, ..., K번째 부가시점 영상들의 부호화 결과가 각각 첫번째, 두번째, ..., K번째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가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calable Video Coding) 방식에 따라 부호화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본시점 영상들의 부호화 데이터가 수록된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은 기본계층 영상스트림으로서 부호화하고, 부가시점 영상들의 부호화 데이터가 수록된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은 향상계층 영상스트림으로서 부호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비디오의 각각의 영상의 블록별로 부호화한다. 블록의 타입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일 수 있으며, 임의의 기하학적 형태일 수도 있다.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 단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은, 트리구조에 따른 부호화단위들 중에서는, 최대 부호화 단위,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변환 단위 등일 수 있다. 트리구조에 따른 부호화단위들에 기초한 비디오 부복호화 방식은, 도 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동일시점의 영상들을 상호 참조하여 예측하는 영상간 예측(Inter Predi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간 예측을 통해, 현재영상과 참조영상 사이의 움직임 정보를 나타내는 모션 벡터(motion vector) 및 현재영상과 참조영상 사이의 차이성분인 레지듀얼(residual)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여 부가시점 영상들을 예측하는 시점간 예측(Inter-View Predi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첫번째 부가시점 영상들을 참조하여 두번째 부가시점 영상들을 예측하는 시점간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시점간 예측을 통해, 현재영상과 다른 시점의 참조영상 사이의 변이(disparity) 및 현재영상과 다른 시점의 참조영상 사이의 차이성분인 레지듀얼(residual)이 생성될 수 있다.
영상간 예측 및 시점간 예측은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또는 변환 단위의 데이터 단위를 기초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s13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시점 부호화부(12)는, 기본시점 영상들을 부호화하여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을 생성한다. 기본시점 부호화부(12)는, 기본시점 영상들 간의 영상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시점 부호화부(12)는, 기본시점 영상들 중에서 I-픽처타입인 기본시점 앵커픽처들은 다른 영상을 전혀 참조하지 않고 부호화할 수 있다. I-픽처타입인 기본시점 앵커픽처들은, 랜덤 억세스가 가능한 IDR(Instanteneous Decoding Refresh) 영상, CRA(Clean Random Access) 영상 또는 DDR(Deferred Decoding Refresh) 영상일 수 있다.
기본시점 부호화부(12)는, 기본시점 영상들 중에서 기본시점 앵커픽처들을 제외한 영상들에 대해, 다른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영상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시점 부호화부(12)는, 기본시점 앵커픽처를 제외한 기본시점 영상들의 영상간 예측을 통해 생성된 레지듀얼을 생성할 수 있다. 기본시점 앵커픽처들에 대해서는 영상내 주변픽셀들을 참조하는 영상내 예측(Intra Prediction)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시점 부호화부(12)는, 영상간 예측 또는 영상내 예측을 수행한 결과 생성되는 결과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호화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간 예측 또는 영상내 예측을 수행한 생성된 결과 데이터를 수록하는 영상블록에 대해, 변환, 양자화, 엔트로피 부호화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시점 부호화부(12)는, 기본시점 앵커픽처의 부호화 데이터와 나머지 기본시점 영상들의 부호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기본시점 부호화부(12)는, 기본시점 영상들 간의 영상간 예측을 통해 생성된 모션 벡터들도 기본시점 영상스트림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부가시점 영상들을 부호화하여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다수의 부가시점 영상들을 부호화하는 경우에는, 각 시점별로 부가시점 영상들을 부호화하여 각 시점별로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생성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의 부호화 동작은, 한 시점의 부가시점 영상들에 대한 동작으로 기술될 것이다. 다만, 부가시점 부호화부(14)의 동작이, 단 한 시점의 부가시점 영상들에 대해서만 수행되는 동작은 아니며, 다른 시점의 부가시점 영상들 각각에 대해서도 동일한 동작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부가시점 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해,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과 동일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영상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점갱신(View Decoding Refresh) 영상은, 다수의 부가시점들 간에 하나의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호화하여 재생하던 도중에 재생시점을 변환하여 다른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호화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재생시점의 변환이 허용되는 영상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은, 적어도 하나의 시점변환 구간으로 구분되고, 각 시점변환 구간은 적어도 하나의 시점갱신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시점변환 구간이 바뀔 때마다 현재 재생중인 부가시점이 변환될 수 있으므로, 일단 부가시점의 재생시점이 한번 변환되면 시점갱신 영상을 시작으로 시점변환 구간에 포함된 픽처들은 모두 재생된 후에야, 다음 시점변환 구간이 처리될 수 있다.
이하, 단계 s15 및 s17에서, 하나의 시점변환 구간에서 부가시점 영상들을 예측 부호화하는 방법이 상술된다.
단계 s1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기본시점 영상들에 대응되는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둘 이상의 부가시점들 간에 시점 변환이 가능한 시점갱신 영상에 대해서는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시점갱신 영상들에 대해, 동일시점의 먼저 복원된 영상들을 참조하여 예측하는 영상간 예측을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시점갱신 영상들에 대해, 동일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영상간 예측은 생략하고,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만을 수행할 수 있다.
각 시점별로, 동일시점의 다른 영상들의 예측을 위해 참조될 수 있는 복원영상을 참조픽처 버퍼(Reference Picture Buffer; RPB)에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시점갱신 영상을 부호화할 때 동일시점의 복원영상들을 참조하지 않으므로, 현재 부가시점을 위한 참조픽처 버퍼에 저장된 복원영상들을 삭제할 수 있다. 즉, 참조픽처 버퍼가 플러싱(flushing)될 수 있다.
단계 s17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들에 대해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들에 대해서는, 시점간 예측 및 영상간 예측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여 부가시점 영상들에 대해 시점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동일시점의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영상들을 참조하여, 부가시점 영상들에 대해 영상간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시점변환 구간별로 부가시점 영상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부가시점 영상의 영상간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현재 영상이 속한 현재 시점변환 구간보다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면서 현재 영상보다 먼저 복원된 영상을 참조할 수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현재 영상에 대해 영상간 예측을 위해서,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면서 현재 영상보다 먼저 복원되는 영상을 참조할 수 있다. 현재 영상에 할당된 POC(Picture Order Count)보다 후순위 POC가 할당된 영상이라도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참조하여 현재 영상에 대한 영상간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부가시점의 시점갱신 영상은, 기본시점 영상들 중에서 랜덤 억세스가 가능한 영상과 동일한 POC가 할당된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점갱신 영상은 픽처 타입에 따라, I 픽처, P 픽처 또는 B 픽처일 수 있다. 이 경우, 시점갱신 영상에 대응되는 기본시점 영상도 I 픽처, P 픽처 또는 B 픽처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가, 기본시점 영상들에 대응하는 제1 부가시점 영상들에 대해 시점변환 구간별로, 시점갱신 영상에 대해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을 수행하고, 나머지 영상들에 대해 시점간 예측 및 영상간 예측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부가시점 영상들의 레지듀얼을 포함하는 제1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기본시점 영상들에 대응하는 제2 부가시점 기본시점 영상들에 대해서도 유사한 예측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제2 부가시점 영상들의 시점변환 구간별로, 시점갱신 영상에 대해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제2 부가시점 영상들의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들에 대해서는 시점간 예측 및 영상간 예측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부가시점 영상들의 영상간 예측을 위해서,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의 영상을 제외하고, 동일한 시점변환 구간의 복원영상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가시점 영상들의 레지듀얼을 포함하는 제2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부가시점별로, 부가시점 영상들 간의 영상간 예측을 통해 생성된 모션 벡터들 및 다른 시점 영상들을 참조한 시점간 예측을 통해 생성된 변이 정보도, 부가시점 영상스트림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다시점 영상들 간의 뎁스맵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기본시점 영상들 및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동일 씬(Scene)에 대응하는 기본시점 영상 및 부가시점 영상마다, 시점간 깊이감(Depth)을 나타내는 뎁스맵(Depth Map)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기본시점 영상스트림 및 부가시점 영상스트림과 함께 뎁스맵을 부호화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기본시점 부호화부(12) 및 부가시점 부호화부(14)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중앙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기본시점 부호화부(12) 및 부가시점 부호화부(14)가 각각의 자체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며, 프로세서(미도시)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함에 따라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가 전체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의 외부 프로세서(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기본시점 부호화부(12) 및 부가시점 부호화부(14)가 제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기본시점 부호화부(12) 및 부가시점 부호화부(14)의 입출력 데이터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데이터 저장부(미도시)의 데이터 입출력을 관할하는 메모리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 도 1a 및 1b를 참조하여 전술된 실시예에 따라 예측 부호화된 다시점 비디오 영상스트림을 복원하기 위한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도 2a, 2b, 3a, 3b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도 2a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b 는 도 2a의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의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21)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기본시점 영상복원부(22) 및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기본시점 영상스트림과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수신한다.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가,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방식에 따라 복수 개의 시점들에 각각 대응하는 시점별 영상들이 부호화된 영상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방식에 따르면, 기본계층 영상스트림으로서 기본시점 영상들의 부호화 데이터가 수록된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을 수신하고, 향상계층 영상스트림으로서 부가시점 영상들의 부호화 데이터가 수록된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가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방식에 따르는 경우에는, 기본계층 영상스트림을 복호화하여 기본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선택적으로 향상계층 영상스트림을 복호화할 수 있다. 기본계층 영상스트림으로부터 복원된 부호화 심볼들 및 샘플들을 참조하여, 향상계층 영상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중앙시점 영상들을 복원하고, 제1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좌시점 영상들을 복원하고, 제2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우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부가시점이 셋 이상인 경우, 첫번째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으로부터 첫번째 부가시점에 대한 첫번째 부가시점 영상들이 복원되고, 두번째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으로부터 두번째 부가시점에 대한 두번째 부가시점 영상들이 복원되고, ..., K번째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으로부터 K번째 부가시점에 대한 K번째 부가시점 영상들이 복원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비디오의 각각의 영상의 블록별로 복호화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은, 트리구조에 따른 부호화단위들 중에서는, 최대 부호화 단위,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변환 단위 등일 수 있다.
단계 s23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기본시점 영상들 및 부가시점 영상들의 부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본시점 영상스트림과 부가시점 영상스트림과 함께, 영상간 예측에 의해 생성된 모션 벡터 및 시점간 예측에 의해 생성된 변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원 장치(20)는 동일시점의 영상간 예측을 통해 예측된 영상들을 상호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Motion Compensation)을 수행하여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움직임 보상은, 현재 영상의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참조영상과, 현재 영상의 레지듀얼을 합성하여 현재 영상의 복원 영상을 재구성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시점간 예측을 통해 예측된 부가시점 영상을 복원하기 위해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여 변이 보상(Disparity Compensation)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변이 보상은, 현재 영상의 변이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다른 시점의 참조영상과, 현재 영상의 레지듀얼을 합성하여 현재 영상의 복원 영상을 재구성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첫번째 부가시점 영상들을 참조하여 예측된 두번째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하기 위한 변이 보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또는 예측 단위를 기초로 영상간 움직임 보상 및 시점간 변이 보상을 통한 복원이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s25에서 기본시점 영상복원부(22)는, 기본시점 영상들을 상호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을 통해, 기본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시점 영상복원부(22)는, 수신된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을 복호화하여 기본시점 영상들을 복원한다. 구체적으로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을 파싱하여 추출된 심볼들에 대해 엔트로피 복호화, 역양자화, 역변환을 수행하여 기본시점 영상들의 레지듀얼이 복원될 수 있다.
기본시점 영상복원부(22)는, 기본시점 영상들의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의 영상스트림을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역양자화, 역변환을 수행한 결과, 기본시점 영상들의 레지듀얼이 복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시점 영상복원부(22)는, 기본시점 영상스트림 중에서, I-픽처타입인 기본시점 앵커픽처의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복호화하여 기본시점 앵커픽처를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시점 영상복원부(22)는, 기본시점 영상들 중에서 I-픽처타입인 기본시점 앵커픽처들은 다른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지 않고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시점 영상복원부(22)는, 동일픽처 내에서 현재블록의 주변픽셀들을 이용하는 인트라 예측을 통해, I-픽처타입인 기본시점 앵커픽처의 블록들의 픽셀들을 복원할 수도 있다. I-픽처타입인 기본시점 앵커픽처들은, 랜덤 억세스가 가능한 IDR 영상, CRA 영상 또는 DDR 영상일 수 있다.
또한 기본시점 영상복원부(22)는, 기본시점 영상들 중에서 기본시점 앵커픽처를 제외한 기본시점 영상들에 대해서는, 다른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을 통해 기본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기본시점 영상복원부(22)는, 기본시점 앵커픽처를 제외한 기본시점 영상들의 레지듀얼을 복원하고, 기본시점 영상들 중에서 참조영상을 결정하여, 참조영상을 레지듀얼만큼 보상함으로서, 기본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한다. 구체적으로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파싱하여 추출된 심볼들에 대해 엔트로피 부호화, 역양자화, 역변환을 수행하여 블록별 레지듀얼이 복원될 수 있다.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레지듀얼의 양자화된 변환계수의 영상스트림을 직접 수신하고, 영상스트림에 대해 역양자화, 역변환을 수행한 결과 레지듀얼이 복원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복호화하기 위해,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으로부터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과, 동일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영상간 예측을 통해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기본시점 영상복원부(22)에서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변이 보상을 통해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 부가시점에 대해, 기본시점 영상들 뿐만 아니라, 현재 부가시점이 아닌 다른 부가시점의 영상들도 참조하는 시점간 변이 보상을 통해 현재 부가시점 영상들이 복원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부가시점 영상들의 변이 정보와 레지듀얼을 획득할 수 있다.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변이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시점 영상들 중에서 참조영상을 결정하고, 참조영상을 레지듀얼만큼 보상함으로써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동일시점인 부가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부가시점 영상들의 움직임 벡터와 레지듀얼을 획득할 수 있다.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동일시점의 영상들 중에서 참조영상을 결정하고, 참조영상을 레지듀얼만큼 보상함으로써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현재영상의 현재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참조영상 중에서 참조블록이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단계 27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부가시점 영상스트림들 중에서 제1 부가시점의 영상스트림에 대해, 기본시점 영상복원부(22)에서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는 변이 보상을 수행하여, 제1 부가시점의 시점 변환이 가능한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즉,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제1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기 위해, 동일시점의 다른 영상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지 않고,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만을 수행할 수 있다.
각 시점별로, 동일시점의 다른 영상들의 예측을 위해 참조될 수 있는 복원영상을 참조픽처 버퍼(RPB)에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제1 부가시점의 시점갱신 영상을 복호화할 때, 현재 참조픽처 버퍼에 저장된 복원영상들을 삭제하여 플러싱한다. 시점갱신 영상을 복호화할 때 동일시점의 복원영상들이 전혀 참조되지 않으므로, 참조픽처 버퍼가 플러싱되더라도 현재 시점갱신 영상을 복호화하는데 문제가 없다.
또한, 단계 29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부가시점 영상스트림들 중에서 제1 부가시점의 영상스트림에 대해,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과 동일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시점갱신 영상이 아닌 제1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제1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때, 동일시점 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영상들만을 참조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재생순서에 따라 현재 부가시점 영상에 인접하는 동일시점의 부가시점 시점갱신 영상들 중에서 현재 부가시점 영상의 직전에 위치하는 시점갱신 영상은 참조영상으로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부호화부(14)는, 시점변환 구간별로 부가시점 영상을 예측할 수 있다. 각 시점변환 구간은 적어도 하나의 시점갱신 영상을 포함하며, 하나의 시점변환 구간에서는 시점갱신 영상으로부터 복원이 시작되고, 복원된 시점갱신 영상을 참조하여 나머지 영상들도 복원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동일시점의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현재 영상보다 재생순서가 선행하더라도 다른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복원영상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는 없다. 즉, 제1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현재 영상의 움직임 보상을 위해, 현재 영상이 속한 현재 시점변환 구간보다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면서 현재 영상보다 먼저 복원된 영상은 참조될 수 없다.
특히, 현재 영상보다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은, 현재 영상이 속하는 현재 시점변환 구간보다 이전의 시점변환 구간에 속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동일시점의 제1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다른 영상들을 참조하여 영상간 예측을 수행하는 경우에, 현재 영상보다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영상들을 참조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현재 영상에 대한 움직임 보상을 위해서,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면서 현재 영상보다 먼저 복원되는 영상을 참조할 수 있다. 현재 영상에 할당된 POC보다 후순위 POC가 할당된 영상이라도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시점갱신 영상은 현재 영상보다 먼저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시점변환 구간의 시점갱신 영상을 참조하여 현재 영상에 대한 움직임 보상이 수행될 수 있다.
앞서 제1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으로부터 제1 부가시점 영상들이 복원된 과정과 마찬가지로, 제2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으로부터 제2 부가시점 영상들이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기본시점 영상스트림과 부가시점 영상스트림과 함께, 기본시점 영상들 및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동일 씬에 대한 기본시점 영상 및 부가시점 영상 간의 시점간 깊이감을 나타내는 뎁스맵을 수신할 수도 있다.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 대신에, 기본시점 영상과 부가시점 영상 간의 뎁스맵을 이용함으로써, 기본시점 영상으로부터 부가시점 영상을 복원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a 및 도3b를 참조하여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가 제1 부가시점으로부터 제2 부가시점으로 재생시점을 변환하여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하는 동작들이 상술된다.
도 3a는 도 2a의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의 세부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b 는 도 3a의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의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31)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는 시점변환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가 제1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이용하여 제1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하는 도중에 시점변환이 발생하면 시점변환부(32)를 호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점변환부(32)는, 제2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이용하여, 시점 변환이 발생한 POC가 할당된 제2 부가시점의 시점갱신 영상을 시작으로,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시점변환 구간별로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으므로, 시점변환 구간이 바뀔 때 현재 재생중인 부가시점이 다른 부가시점으로 변환될 수 있다.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일단 부가시점의 재생시점이 변환되면, 변환된 시점의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기 시작하여, 동일한 시점변환 구간에 포함된 영상들을 모두 복원한 후에야, 다음 시점변환 구간에서 현재 부가시점 영상들을 계속 복원하거나, 아니면 시점을 변환하여 다른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단계 23, 25, 27, 29의 동작은 도 2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단계 29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가 제1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이용하여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도중에 시점변환이 발생하면 단계 33이 진행된다.
단계 33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점변환부(32)는, 시점 변환이 발생한 POC가 할당된 제2 부가시점의 시점갱신 영상으로부터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점변환부(32)는,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 및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제2 부가시점의의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다만, 시점변환부(32)도, 제2 부가시점의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점변환부(32)는,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 중에서 시점갱신 영상이 아닌 나머지 영상들을 위해, 현재 영상보다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영상들을 참조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점변환부(32)는,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 중에서 시점갱신 영상이 아닌 나머지 영상들에 대한 움직임 보상을 위해, 현재 영상이 속한 시점변환 구간보다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의 영상들을 참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점변환부(32)는, 시점 변환이 발생한 지점, 즉 현재 시점변환 구간의 현재 시점갱신 영상보다 먼저 복원된 제2 부가시점 영상들을 참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시점변환 이전에 복원된 제2 부가시점 영상들이 없더라도,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위치하는 제2 부가시점 영상들의 변이 보상 또는 움직임 보상을 위한 참조영상은 모두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시점변환부(32)는 시점 변환 이후에,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포함된 제2 부가시점의 시점갱신 영상부터 시작하여 제2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부가시점 영상들의 복원과정에서 시점변환이 발생하더라도, 복호화 에러가 발생하거나 손실되는 영상 없이 시점을 변환하여 부가시점 영상들이 복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기본시점 영상복원부(22) 및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중앙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기본시점 영상복원부(22) 및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가 각각의 자체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며, 프로세서(미도시)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함에 따라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가 전체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의 외부 프로세서(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기본시점 영상복원부(22) 및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가 제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기본시점 영상복원부(22) 및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의 입출력 데이터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데이터 저장부(미도시)의 데이터 입출력을 관할하는 메모리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에 따르면, 부가시점 영상들의 영상간 예측을 위해, 현재 영상이 속한 현재 시점변환 구간보다 먼저 복원된 시점변환 구간의 영상들을 참조하지 않도록 하는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 제안한다. 따라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의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 따라 생성된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에서는, 시점 변환이 발생하는 경우에 시점 변환이 발생한 지점 직전의 앵커픽처가 없더라도, 영상간 예측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에 따르면,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도중에 제2 부가시점으로 시점 변환이 발생하더라도, 현재 영상이 속한 현재 시점변환 구간보다 먼저 복원된 시점변환 구간의 영상들을 참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2 부가시점으로의 시점 변환 이후에 처음 복원될 영상에 대해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참조영상이 모두 획득될 수 있으므로, 복호화 에러가 발생하거나 손실되는 영상 없이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도 4 는 다시점 비디오 영상스트림(30)의 구조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영상스트림(30)은, 중앙시점 서브스트림(35), 좌시점 서브스트림(36), 우시점 서브스트림(38)을 포함한다.
중앙시점 서브트스트림(35)은 중앙시점 영상들을 부호화하여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포함한다. 좌시점 서브트스트림(36)은 좌시점 영상들을 부호화하여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포함한다. 우시점 서브트스트림(37)은 우시점 영상들을 부호화하여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포함한다.
원하는 시점들의 비디오를 복호화하기 위해 모든 시점들의 서브스트림들을 복호화할 필요 없이, 다시점 비디오 영상스트림(30)으로부터 특정 시점들의 서브스트림들만이 추출되어 복호화되고 재생될 수 있다. 또한 다시점 비디오 영상스트림(30)은 다수의 시점들의 영상스트림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재생시점들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시점 비디오와 좌시점 비디오만을 재생하도록 선택하는 경우에는, 다시점 비디오 영상스트림(30)으로부터 중앙시점 서브트스트림(35)과 좌시점 서브트스트림(36)만을 추출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중앙시점 비디오와 좌시점 비디오을 재생하다가, 중앙시점 비디오와 우시점 비디오를 재생하도록 시점을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시점 비디오 영상스트림(30)으로부터 중앙시점 서브트스트림(35)과 좌시점 서브트스트림(36)이 추출되어 복호화되다가, 재생시점이 변환된 후 중앙시점 서브트스트림(35)과 우시점 서브트스트림(37)이 추출되어 복호화될 수 있다.
관련 기술에 따르면, 재생시점이 변환될 수 있는 지점은 IDR 영상 또는 CRA 영상과 같은 랜덤 억세스 포인트(Random Access Point)로 한정된다.
이하, 도 5a, 5b, 6a 및 6b를 참조하여, 재생시점이 변환될 수 있는 지점이 IDR 영상 또는 CRA 영상과 같은 랜덤 억세스 포인트로 한정되는 관련기술에서의 예측 구조의 문제점을 상술한다.
도 5a, 5b 및 5c 는 각각 관련기술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의 재생순서(40) 및 코딩순서(46, 47)를 도시한다.
관련기술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의 재생순서(40) 및 코딩순서(46)에 따르면, 가로 방향으로 동일시점(View)의 영상들이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Left'로 표기된 좌시점 영상들이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Center'로 표기된 기본시점 영상들이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Right'로 표기된 우시점 영상들이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있다. 기본시점 영상들은, 좌시점/우시점 영상들에 대비하여, 중앙시점 영상들일 수 있다.
또한, 세로 방향으로 POC 순서가 동일한 영상들이 배열된다. 영상의 POC 순서는 비디오를 구성하는 영상들의 재생순서를 나타낸다.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40)에서 표시되어 있는 'POC X'는, 해당 열에 위치한 영상들의 상대적인 재생순서를 나타내며, X의 숫자가 작을수록 재생순서가 앞서고, 커질수록 재생순서가 늦어진다.
따라서 관련기술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의 재생순서(40)에 따르면, 'Left'로 표기된 좌시점 영상들이 POC 순서(재생순서)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고, 'Center'로 표기된 기본시점 영상들이 POC 순서(재생순서)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고, 'Right'로 표기된 우시점 영상들이 POC 순서(재생순서)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고 있다. 또한, 기본시점 영상과 동일한 열(column)에 위치한 좌시점 영상 및 우시점 영상은, 모두 시점은 다르지만 POC 순서(재생순서)가 동일한 영상들이다.
각 시점별로, 4개의 연속 영상들이 하나의 GOP(Group of Picture)를 구성하고 있다. 각 GOP는 연속하는 앵커픽처들 사이의 영상들과 하나의 앵커픽처(Key Picture)을 포함한다. 여기서 앵커픽처는 CRA 영상이다.
앵커픽처는 랜덤 억세스 포인트(Random Access Point)로, 비디오를 재생할 때 영상의 재생 순서, 즉 POC 순서에 따라 배열된 영상들 중에서 임의로 재생 위치가 선택되면, 재생 위치에서 POC순서가 가장 인접하는 앵커픽처가 재생된다. 기본시점 영상들은 기본시점 앵커픽처들(41, 42, 43, 44, 45)을 포함하고, 좌시점 영상들은 좌시점 앵커픽처들(141, 142, 143, 144, 145)을 포함하고, 우시점 영상들은 우시점 앵커픽처들(241, 242, 243, 244, 245)을 포함한다.
다시점 영상들은 GOP 순서대로 재생되고 예측(복원)될 수 있다. 먼저 도 5a의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의 재생순서(40)에 따르면, 각 시점별로, GOP 0에 포함된 영상들이 재생된 후, GOP 1에 포함된 영상들이 재생될 수 있다. 즉, GOP 0, GOP 1, GOP 2, GOP 3의 순으로, 각 GOP에 포함된 영상들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도 5b의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의 코딩순서(46)에 따르면, 각 시점별로, GOP 0에 포함된 영상들이 예측(복원)된 후, GOP 1에 포함된 영상들이 예측(복원)될 수 있다. 즉, GOP 0, GOP 1, GOP 2, GOP 3의 순으로, 각 GOP에 포함된 영상들이 예측(복원)될 수 있다.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의 재생순서(40) 및 코딩순서(46)에 따르면, 영상들에 대해 시점간 예측 및 영상간 예측이 수행된다.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40)에서, 화살표가 시작하는 영상이 참조영상이고, 화살표가 끝나는 영상이 참조영상을 이용하여 예측되는 영상이다.
특히,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의 코딩순서(46)는, 각 영상의 예측(복원) 순서에 따라 영상들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영상들이 먼저 예측(복원)되는 영상들이고,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영상들이 늦게 예측(복원)되는 영상들이다. 먼저 복원되는 영상들을 참조하여 다음 영상들이 예측(복원)되므로,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의 코딩순서(46)에서 동일시점 영상들 간의 예측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들이 모두,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영상들로부터 우측에 위치하는 영상들로 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기본시점 영상들의 예측 결과는 부호화된 후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의 형태로 출력되고, 부가시점 영상들의 예측 결과는 부호화된 후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좌시점 영상들의 예측부호화 결과는 제1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으로, 우시점 영상들의 예측부호화 결과는 제2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으로 출력될 수 있다.
기본시점 영상들에 대해서는 영상간 예측만이 수행된다. 즉, I-픽처타입인 앵커픽처들(41, 42, 43, 44, 45)은 다른 영상들을 참조하지 않지만, B-픽처타입 및 b-픽처타입인 나머지 영상은 다른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여 예측된다. B-픽처타입 영상들은 POC 순서가 앞서는 I-픽처타입 앵커픽처과 뒤따르는 I-픽처타입 앵커픽처를 참조하여 예측된다. b-픽처타입 영상들은 POC 순서가 앞서는 I-픽처타입 앵커픽처과 뒤따르는 B-픽처타입 영상을 참조하거나, POC 순서가 앞서는 B-픽처타입 영상과 뒤따르는 I-픽처타입 앵커픽처를 참조하여 예측된다.
좌시점 영상들 및 우시점 영상들에 대해서는,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 및 동일 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영상간 예측이 수행된다.
기본시점 영상들과 마찬가지로, 좌시점 영상들도 영상 간 예측이 수행되고, 우시점 영상들도 영상 간 예측이 수행된다. 좌시점 영상들 및 우시점 영상들 중 앵커픽처들(141, 142, 143, 144, 145, 241, 242, 243, 244, 245)은 동일시점 영상들을 참조하지 않지만, 앵커픽처가 아닌 나머지 영상들은 동일시점 영상들을 참조하여 예측된다.
다만, 좌시점 영상들 및 우시점 영상들 중 앵커픽처들(141, 142, 143, 144, 145, 241, 242, 243, 244, 245)도 POC 순서가 동일한 기본시점 앵커픽처(41, 42, 43, 44, 45)를 참조하는 P-픽처타입 영상이다.
또한, 좌시점 영상들 및 우시점 영상들 중 앵커픽처(141, 142, 143, 144, 145, 241, 242, 243, 244, 245)이 아닌 나머지 영상들에 대해서도, 영상간 예측 뿐만 아니라, POC가 동일한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B-픽처타입 영상 또는 b-픽처타입 영상이다.
영상들을 재생하기 위한 복원과정도 예측과정과 유사하다. 다만 각 영상의 참조영상이 복원된 후에야 복원된 참조영상을 이용하여 각 영상이 복원될 수 있다.
먼저, 기본시점 영상들은 영상간 움직임 보상을 통해, 각 영상들이 복원될 수 있다. I-픽처타입인 기본시점 앵커픽처들(41, 42, 43, 44, 45)이 복원되면, 기본시점 앵커픽처들(41, 42, 43, 44, 45)을 참조하는 영상간 움직임 보상을 통해 B-픽처타입인 기본시점 영상들이 복원될 수 있다. 또한, I-픽처타입 또는 B-픽처타입인 기본시점 복원영상들을 참조하는 영상간 움직임 보상을 통해 b-픽처타입인 기본시점 영상들이 복원될 수 있다.
좌시점 영상들과 우시점 영상들은 각각,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과 동일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영상간 예측을 통해 부호화된다.
즉, 좌시점 영상의 복원 과정을 위해, 기본시점의 참조영상 및 좌시점의 참조영상이 복원된 후에,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변이보상과 복원된 좌시점의 참조영상을 참조하는 영상간 움직임 보상을 통해 좌시점 영상들이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우시점 영상의 복원 과정을 위해, 기본시점의 참조영상 및 우시점의 참조영상이 복원된 후에, 기본시점의 참조영상을 참조하는 시점간 변이보상과 복원된 우시점의 참조영상을 참조하는 영상간 움직임 보상을 통해, 우시점 영상들이 복원될 수 있다.
다시점 비디오의 복호화 과정에서,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여야 하므로 부가시점 영상들보다 기본시점 영상들이 먼저 복원될 수 있다.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여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하는 도중에, 시점 변환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시점 영상들을 복원하는 도중에 우시점 영상들을 복원하도록 시점 변환이 발생할 수 있다.
도 5c의 코딩순서(47)는 좌시점 영상들을 복원하는 도중에 우시점 영상들을 복원하도록 시점 변환이 발생하는 경우의 코딩 순서를 도시한다. GOP 0 및 GOP 1의 좌시점 영상들까지 복원한 후에 시점 변환이 발생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GOP 1까지는 좌시점 영상들이 복원되고 GOP 2부터 우시점 영상들이 복원되어야 한다. 하지만, GOP 1의 우시점 영상들이 복원되어 있지 않으므로, GOP 1의 우시점 앵커픽처(243)도 복원되어 있지 않아, 우시점 앵커픽처(243)를 참조하여 예측된 GOP 2의 우시점 영상들(246, 247)은 움직임 보상이 불가능하여 복원될 수 없다. 또한, GOP 2의 B-픽처타입의 우시점 영상(246)이 복원될 수 없으므로, 우시점 영상(246)을 참조하여 예측된 b-픽처타입의 우시점 영상(248)도 복원될 수 없다. 따라서 선행하는 GOP에 속하는 영상을 참조하여 영상간 예측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복호화 과정에서 시점 변환이 발생한 직후의 영상들이 온전하게 복원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시점 변환이 발생한 직후에 복원될 영상들 중에서, 시점 변환 지점보다 선행하는 POC의 앵커픽처를 참조하여 예측된 영상들은 복원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6 는 또 다른 관련기술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의 재생순서(50)를 도시한다.
좌시점 영상들 및 우시점 영상들에 대한 시점간 예측 방법은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좌시점 앵커픽처들(151, 152, 153, 154, 155) 및 우시점 앵커픽처들(251, 252, 253, 254, 255)에 대해, 각각 POC순서가 동일한 기본시점 앵커픽처(51, 52, 53, 54, 55)을 참조하여 시점간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좌시점 영상들 및 우시점 영상들 중 앵커픽처(151, 152, 153, 154, 155, 251, 252, 253, 254, 255)이 아닌 나머지 영상들에 대해서도, POC가 동일한 다른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는, 좌시점 영상들 및 우시점 영상들의 영상간 예측을 수행할 때, 도 5a의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와 차이점이 있다.
도 6의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서는 시점마다, 앵커픽처는 IDR 영상과 같은 랜덤 억세스 영상이다. IDR 영상은, 영상간 예측을 위해 다른 GOP의 앵커픽처를 참조하지 않는다.
좌시점 영상들 및 우시점 영상들은 각각, 동일시점의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앵커픽처를 참조하여 예측되지 않는다. 즉, 현재 부가시점 영상의 영상간 예측을 위해, 현재 부가시점 영상보다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부가시점 앵커픽처를 제외한 부가시점 영상들만이 참조될 수 있다.
또한, 현재 좌시점 영상의 영상간 예측을 위해, 현재 좌시점 영상이 속한 현재 GOP보다 선행하는 이전 GOP에 속하는 좌시점 영상은 참조하지 않고, 현재 GOP에 속하지만 현재 좌시점 영상보다 먼저 복원될 좌시점 영상을 참조하여 예측이 수행된다. 우시점 영상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GOP 0 및 GOP 1의 좌시점 영상들까지 복원한 후에 시점 변환이 발생하는 경우를 상정해보자. 시점 변환 후에 GOP 2를 복원하는데 있어서, GOP 2의 우시점 영상들(256, 257)은 GOP 1의 우시점 앵커픽처(253)을 참조하여 예측되지 않았기 때문에 GOP 1의 우시점 영상들이 복원되지 않았더라도, 동일한 GOP인 GOP 2의 우시점 앵커픽처(254)를 참조한 움직임 보상을 통해 복원될 수 있다. 또한, GOP 2의 B-픽처타입의 우시점 영상(256)이 복원되므로 우시점 영상(256)을 참조하여 예측된 b-픽처타입의 우시점 영상(258)도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 따르면,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하기 위해, GOP가 변경하는 지점에서 시점 변환이 발생하더라도, 시점 변환이 발생한 직후의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호화 에러나 손실 없이 복원할 수 있다.
하지만 도 6에 도시된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서는, 기본시점 영상들의 앵커픽처들 뿐만 아니라, 모든 부가시점 영상들의 앵커픽처들마다 IDR 영상이다. IDR 영상은 동일시점의 다른 영상을 참조하여 예측 부호화되지 않으므로, 데이터 압축률이 낮아지고 코딩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시점 비디오 영상들의 코딩 효율도 낮추지 않으면서 부가시점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부가시점 영상들을 재생할 때 시점 변환이 발생하더라도 복호화 에러나 프레임 손실이 없도록 하기 위한,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를 제안한다. 이하 도 7a, 7b 및 7c 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 및,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를 이용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상술된다.
도 7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의 재생순서(70)를 도시한다. 도 7b 및 7c는 도 7a의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의 코딩순서(76) 및 시점변환시 코딩순서(77)를 도시한다.
도 7a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 따르면, 기본시점 영상들에 대해서 도 5a의 CRA 영상이 앵커픽처로 이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예측 구조에 따라 영상간 예측만이 수행된다. 즉, I-픽처타입인 앵커픽처들(71, 72, 73, 74, 75)은 다른 영상들을 참조하지 않지만, B-픽처타입 및 b-픽처타입인 나머지 영상은 다른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여 예측된다. B-픽처타입 영상들은 POC 순서가 앞서는 I-픽처타입 앵커픽처과 뒤따르는 I-픽처타입 앵커픽처를 참조하여 예측된다. b-픽처타입 영상들은 POC 순서가 앞서는 I-픽처타입 앵커픽처과 뒤따르는 B-픽처타입 영상을 참조하거나, POC 순서가 앞서는 B-픽처타입 영상과 뒤따르는 I-픽처타입 앵커픽처를 참조하여 예측된다.
하지만, 도 7a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서는, 부가시점 영상들에 대한 예측 구조에서 특이점이 있다. 도 1a, 1b, 2a 및 2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서는,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시점변환 구간 및 적어도 하나의 시점갱신 영상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의 재생순서(70)에서 좌시점 영상들 및 우시점 영상들을 예로 들면, 제1 시점변환 구간은 POC 1부터 POC 4까지의 영상들을 포함하고, 제2 시점변환 구간은 POC 5부터 POC 8까지의 영상들을 포함하고, 제3 시점변환 구간은 POC 9부터 POC 12까지의 영상들을 포함하고, 제4 시점변환 구간은 POC 13부터 POC 16까지의 영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점변환 구간이 바뀔 때마다 재생시점이 현재 재생중인 부가시점으로부터 다른 부가시점으로 변환될 수 있으므로, 일단 부가시점의 재생시점이 한번 변환되면 시점갱신 영상을 시작으로 시점변환 구간에 포함된 픽처들은 모두 재생된 후에야, 다음 시점변환 구간이 처리될 수 있다.
도 7a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 따르면, 제1 시점변환 구간에 좌시점 시점변환 영상(152) 및 우시점 시점변환 영상(252)이 위치하고, 제2 시점변환 구간에 좌시점 시점변환 영상(153) 및 우시점 시점변환 영상(253)이 위치하고, 제3 시점변환 구간에 좌시점 시점변환 영상(154) 및 우시점 시점변환 영상(254)이 위치하고, 제4 시점변환 구간에 좌시점 시점변환 영상(155) 및 우시점 시점변환 영상(255)이 위치한다.
좌시점 영상들 및 우시점 영상들에 대해서는,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과, 동일 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영상간 예측이 수행된다. 다만 도 7a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 따르면, 서로 다른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영상을 참조하는 영상간 예측이 수행되지 않는다. 즉, 제2 시점변환 구간에 있는 영상들은, 제1 시점변환 구간의 영상들이 먼저 재생되더라도, 제1 시점변환 구간의 영상들을 참조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시점변환 구간에 있는 영상들에 비해, 제1 시점변환 구간의 영상들이 먼저 복원되더라도, 제2 시점변환 구간에 있는 영상들은, 영상간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 제1 시점변환 구간의 영상들을 전혀 참조하지 않는다.
현재 영상이 속한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비해, 재생순서상 바로 직전에 위치하는 시점변환 구간 뿐만 아니라,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비해 선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동일시점 영상들은, 현재 시점변환 구간의 영상들의 영상간 예측을 위한 참조영상들로부터 제외될 수 있다.
현재 시점갱신 영상의 예측 이전에 참조픽처 버퍼에 저장된 복원영상들은, 현재 시점변환 구간보다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에서 복원된 동일시점 영상들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시점갱신 영상에 대한 예측하기 전에, 참조픽처 버퍼에 저장된 복원영상들을 삭제할 수 있다. 참조픽처 버퍼에 더 이상 동일시점의 복원영상들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현재 시점갱신 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해,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의 동일시점의 시점갱신 영상 뿐만 아니라 다른 복원영상들도 참조할 수 없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현재 시점갱신 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해 동일한 POC가 할당된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여 시점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포함된 시점갱신 영상을 부호화한 후,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포함된 다른 영상들을 부호화하기 위해서,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서 먼저 복원된 동일시점 영상들을 참조할 수는 있다. 하지만, 이미 참조버퍼 픽처에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의 동일시점 복원영상들이 더 이상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포함된 시점갱신 영상이 아닌 다른 영상들을 부호화할 때에도,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의 동일시점 복원영상들은 더 이상 참조될 수 없다.
도 7a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원 과정도 마찬가지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기본시점 영상들을 복원하기 위해, 기본시점 영상들에 대해서는 앵커픽처를 직간접적으로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만이 수행된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좌시점 영상들 및 우시점 영상들의 복원하기 위해서는,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과, 동일 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만이 수행된다.
다만, 다만 도 7a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 따르면, 서로 다른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영상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이 수행되지 않는다.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비해 선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동일시점 영상들은, 현재 시점변환 구간의 영상들의 영상간 예측을 위한 참조영상들로부터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시점갱신 영상을 예측 복원하기 전에, 참조픽처 버퍼에 저장된 복원영상들을 삭제할 수 있다. 참조픽처 버퍼에 더 이상 동일시점의 복원영상들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현재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기 위해,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의 동일시점의 시점갱신 영상 뿐만 아니라 다른 복원영상들도 참조할 수 없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동일한 POC가 할당된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여 변이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현재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포함된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한 후,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포함된 다른 영상들을 복원하기 위해서,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서 먼저 복원된 동일시점 영상들을 참조할 수는 있다. 하지만, 이미 참조버퍼 픽처에서,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의 동일시점 복원영상들이 더 이상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포함된 시점갱신 영상이 아닌 다른 영상들을 복원할 때에도,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의 동일시점 복원영상들은 더 이상 참조될 수 없다.
전술한 도 7a의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는, 도 7b와 7c처럼 부가시점의 복원시점 또는 재생시점에서 시점 변환이 발생할 때 유용하다.
도 7b의 코딩순서(76)는, 도 7a의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서 좌시점 영상들이 복원되다가 POC 12의 시점갱신 영상을 포함하는 제3 시점변환 구간의 앞에 시점 변환이 발생한 경우에, 좌시점 영상들로부터 우시점 영상들의 코딩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시점변환 구간 및 제2 시점변환 구간까지는 좌시점 영상들을 복원하다가 제3 시점변환 구간부터 우시점 영상들을 복원하도록 시점 변환이 발생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제2 시점변환 구간까지는 좌시점 영상들이 복원되고 제3 시점변환 구간부터 우시점 영상들이 복원되므로 제2 시점변환 구간의 우시점 영상들이 복원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제3 시점변환 구간의 우시점 영상들(276, 277, 278)의 예측 과정에서 제2 시점변환 구간의 우시점 영상들이 참조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2 시점변환 구간의 우시점 영상들이 복원되지 않았더라도, 동일한 제3 시점변환 구간에서 먼저 복원된 우시점 영상들(274, 276)를 참조한 움직임 보상을 통해 우시점 영상들(276, 277, 278)이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a 및 7b에 도시된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 따른 다시점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하기 위해, 현재 GOP보다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동일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시점 변환이 발생하더라도 시점 변환이 발생한 지점에 가장 가까운 시점갱신 영상에서부터 재생시점을 변환하면, 새로운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호화 에러나 손실 없이 복원할 수 있다.
도 7a 및 7b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는, 특히 시점변환이 자주 발생할 때 유용하다. 도 7c의 코딩순서(77)는, 도 7a의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서 시점변환 구간마다 재생시점이 변경되는 경우에, 부가시점 영상들의 코딩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제1 시점변환 구간에서 좌시점 영상들이 복원되어 재생되고 시점갱신 영상(172)에서 시점변환이 발생하면, 제2 시점변환 구간에서는 우시점 영상들이 복호화된다. 또한, 제2 시점변환 구간에서 우시점 영상들이 복원되어 재생되고 시점갱신 영상(273)에서 시점변환이 발생하면, 제3 시점변환 구간에서는 다시 좌시점 영상들이 복호화된다. 또한, 제3 시점변환 구간에서 좌시점 영상들이 복원되어 재생되고 시점갱신 영상(174)에서 시점변환이 발생하면, 제4 시점변환 구간에서는 다시 우시점 영상들이 복호화된다.
따라서,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서 제1 부가시점에서 제2 부가시점으로 시점변환이 발생하더라도, 다음 시점변환 구간의 제2 부가시점 영상들은 현재 시점변환 구간의 복원영상들을 참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다음 시점변환 구간의 복원영상들과 기본시점 복원영상들을 이용하여 다음 시점변환 구간의 제2 부가시점 영상들이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점변환 구간 및 시점갱신 영상을 이용하면, 시점변환이 자주 발생하더라도 새로운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호화 에러나 손실 없이 복원할 수 있다.
또한 기본시점 영상들 중에 기본시점 앵커픽처는 CAR 영상과 같은 랜덤 억세스 영상이 이용되므로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 또는 변이 보상의 복원품질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점갱신 영상에서 영상간 예측 또는 움직임 보상은 수행되지 않더라도,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 또는 변이 보상을 통해 복원품질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점변환 구간 및 시점갱신 영상을 이용한 다시점 비디오 예측 구조에 따르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 및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부가시점 영상에서 랜덤 억세스 영상을 사용하지 않아 코딩효율을 향상시키면서,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 또는 변이 보상을 통해 복원품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도 1a 내지 7b를 참조하여 상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 및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에 의해, 부가시점 영상들을 위한 영상간 예측을 위해, 현재 영상의 직전에 복원된 동일시점의 영상들을 참조하지 않는 예측 구조에 따라 부가시점 영상들을 예측 부호화하고 복원하는 방법을 상술하였다. 이에 따라,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도중에 제2 부가시점으로 시점 변환이 발생하더라도, 현재영상의 직전에 복원된 동일시점의 영상들을 참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복호화 에러가 발생하거나 손실되는 영상 없이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도 1b 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방법(11)을 수행하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영상 블록별로 인트라 예측, 인터 예측(영상간 예측, 시점간 예측), 변환, 양자화를 수행하여 샘플들을 생성하고, 샘플들에 대해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여 비트스트림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의 비디오 부호화 결과, 즉 기본시점 영상스트림 및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출력하기 위해,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내부에 탑재된 비디오 인코딩 프로세서 또는 외부 비디오 인코딩 프로세서와 연계하여 작동함으로써, 변환, 양자화를 포함한 비디오 부호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의 내부 비디오 인코딩 프로세서는 별개의 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비디오 부호화 장치 또는 중앙 연산 장치, 그래픽 연산 장치가 비디오 인코딩 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기본적인 비디오 부호화 동작을 구현하는 경우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b 및 3b 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예측 복원 방법(21, 31)을 수행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수신된 기본시점 영상스트림 및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에 대해 각각 복호화를 수행한다. 즉 기본시점 영상스트림 및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에 대해 각각, 영상 블록별로 역양자화, 역변환, 인트라 예측, 움직임 보상(영상간 움직임 보상, 시점간 변이 보상)을 수행하여,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으로부터 기본시점 영상들의 샘플들을 복원하고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으로부터 부가시점 영상들의 샘플들을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복호화 결과 생성된 복원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내부에 탑재된 비디오 디코딩 프로세서 또는 외부 비디오 디코딩 프로세서와 연계하여 작동함으로써, 역양자화, 역변환, 예측/보상을 포함한 비디오 복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의 내부 비디오 디코딩 프로세서는, 별개의 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단 또는 중앙 연산 장치, 그래픽 연산 장치가 비디오 디코딩 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기본적인 비디오 복원 동작을 구현하는 경우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에서, 비디오 데이터가 분할되는 블록들이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고, 부호화 단위에 대한 시점간 예측 또는 영상간 예측을 위해 부호화 단위들, 예측 단위들, 변환 단위들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도 8 내지 20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원칙적으로 다시점 비디오를 위한 부호화/복호화 과정에서, 기본시점 영상들을 위한 부호화/복호화 과정과, 부가시점 영상들을 위한 부호화/복호화 과정이 따로 수행된다. 즉, 다시점 비디오 중 시점간 예측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단일시점 비디오의 부호화/복호화 결과가 상호 참조될 수 있지만, 단일시점 비디오마다 별도의 부호화/복호화 과정이 발생한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 내지 20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트리구조의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부호화 과정 및 비디오 복호화 과정은, 단일시점 비디오에 대한 비디오 부호화 과정 및 비디오 복호화 과정이므로, 영상간 예측만 및 움직임 보상이 상술된다. 하지만, 도 1a 내지 7b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복호화를 위해, 기본시점 영상들과 부가시점 영상들 간의 시점간 예측 및 시점간 변이 보상이 수행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가 트리구조의 부호화 단위에 기초하여 다시점 비디오를 부호화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단일시점 비디오마다 비디오 부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도 8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를 다시점 비디오의 시점 개수만큼 포함하여 각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마다 할당된 단일시점 비디오의 부호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각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별개 단일시점의 부호화 결과들을 이용하여 시점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시점별로 부호화 결과를 수록한 기본시점 영상스트림과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시점별로 생성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가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에 기초하여 다시점 비디오를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수신한 기본시점 영상스트림 및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에 대해 시점별로 비디오 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도 9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를 다시점 비디오의 시점 개수만큼 포함하고 각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마다 할당된 단일시점 비디오의 복호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가 각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별개 단일시점의 복호화 결과를 이용하여 시점간 변이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시점별로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과 부가시점 영상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예측을 수반하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예측을 수반하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로 축약하여 지칭한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영상의 현재 픽처를 위한 최대 크기의 부호화 단위인 최대 부호화 단위에 기반하여 현재 픽처를 구획할 수 있다. 현재 픽처가 최대 부호화 단위보다 크다면, 현재 픽처의 영상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부호화 단위는 크기 32x32, 64x64, 128x128, 256x256 등의 데이터 단위로, 가로 및 세로 크기가 2의 자승인 정사각형의 데이터 단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는 최대 크기 및 심도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심도란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부호화 단위가 공간적으로 분할한 횟수를 나타내며, 심도가 깊어질수록 심도별 부호화 단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 분할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최상위 심도이며 최소 부호화 단위가 최하위 부호화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감소하므로,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복수 개의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따라, 현재 픽처의 영상 데이터를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며,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별로 분할되는 부호화 단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별로 분할되므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공간 영역(spatial domain)의 영상 데이터가 심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를 계층적으로 분할할 수 있는 총 횟수를 제한하는 최대 심도 및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심도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영역이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분할 영역을 부호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분할 영역 별로 최종 부호화 결과가 출력될 심도를 결정한다. 즉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현재 픽처의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로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가장 작은 부호화 오차가 발생하는 심도를 선택하여 부호화 심도로 결정한다. 결정된 부호화 심도 및 최대 부호화 단위별 영상 데이터는 출력부(130)로 출력된다.
최대 부호화 단위 내의 영상 데이터는 최대 심도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심도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단위에 기반하여 부호화되고, 각각의 심도별 부호화 단위에 기반한 부호화 결과가 비교된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오차의 비교 결과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은 심도가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최대화 부호화 단위마다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부호화 단위가 계층적으로 분할되어 분할되며 부호화 단위의 개수는 증가한다. 또한,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동일한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이라 하더라도,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오차를 측정하고 하위 심도로의 분할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데이터라 하더라도 위치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오차가 다르므로 위치에 따라 부호화 심도가 달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해 부호화 심도가 하나 이상 설정될 수 있으며, 최대 부호화 단위의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에 따라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은,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모든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 중, 부호화 심도로 결정된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을 포함한다.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최대 부호화 단위 내에서 동일 영역에서는 심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결정되고, 다른 영역들에 대해서는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 영역에 대한 부호화 심도는, 다른 영역에 대한 부호화 심도와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심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의 분할 횟수와 관련된 지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최대 심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의 총 분할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최대 심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의 심도 레벨의 총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0이라고 할 때, 최대 부호화 단위가 1회 분할된 부호화 단위의 심도는 1로 설정되고, 2회 분할된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2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4회 분할된 부호화 단위가 최소 부호화 단위라면, 심도 0, 1, 2, 3 및 4의 심도 레벨이 존재하므로 제 1 최대 심도는 4, 제 2 최대 심도는 5로 설정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예측 부호화 및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예측 부호화 및 변환도 마찬가지로,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대 심도 이하의 심도마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를 기반으로 수행된다.
최대 부호화 단위가 심도별로 분할될 때마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개수가 증가하므로,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생성되는 모든 심도별 부호화 단위에 대해 예측 부호화 및 변환을 포함한 부호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 중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기반으로 예측 부호화 및 변환을 설명하겠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를 위한 데이터 단위의 크기 또는 형태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를 위해서는 예측 부호화, 변환, 엔트로피 부호화 등의 단계를 거치는데, 모든 단계에 걸쳐서 동일한 데이터 단위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단계별로 데이터 단위가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를 위한 부호화 단위 뿐만 아니라,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부호화 단위와 다른 데이터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예측 부호화를 위해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 즉 더 이상한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를 기반으로 예측 부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예측 부호화의 기반이 되는 더 이상한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를 '예측 단위'라고 지칭한다. 예측 단위가 분할된 파티션은, 예측 단위 및 예측 단위의 높이 및 너비 중 적어도 하나가 분할된 데이터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은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가 분할된 형태의 데이터 단위이고, 예측 단위는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파티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 2Nx2N(단, N은 양의 정수)의 부호화 단위가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경우, 크기 2Nx2N의 예측 단위가 되며, 파티션의 크기는 2Nx2N, 2NxN, Nx2N, NxN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타입은 예측 단위의 높이 또는 너비가 대칭적 비율로 분할된 대칭적 파티션들뿐만 아니라, 1:n 또는 n:1과 같이 비대칭적 비율로 분할된 파티션들, 기하학적인 형태로 분할된 파티션들, 임의적 형태의 파티션들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는, 인트라 모드, 인터 모드 및 스킵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트라 모드 및 인터 모드는, 2Nx2N, 2NxN, Nx2N, NxN 크기의 파티션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스킵 모드는 2Nx2N 크기의 파티션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이내의 하나의 예측 단위마다 독립적으로 부호화가 수행되어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은 예측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를 위한 부호화 단위 뿐만 아니라, 부호화 단위와 다른 데이터 단위를 기반으로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변환을 위해서는, 부호화 단위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변환 단위를 기반으로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 단위는, 인트라 모드를 위한 데이터 단위 및 인터 모드를 위한 변환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와 유사한 방식으로, 부호화 단위 내의 변환 단위도 재귀적으로 더 작은 크기의 변환 단위로 분할되면서,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데이터가 변환 심도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변환 단위에 따라 구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단위에 대해서도,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가 분할하여 변환 단위에 이르기까지의 분할 횟수를 나타내는 변환 심도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 2Nx2N의 현재 부호화 단위의 변환 단위의 크기가 2Nx2N이라면 변환 심도 0, 변환 단위의 크기가 NxN이라면 변환 심도 1, 변환 단위의 크기가 N/2xN/2이라면 변환 심도 2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변환 단위에 대해서도 변환 심도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변환 단위가 설정될 수 있다.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정보는, 부호화 심도 뿐만 아니라 예측 관련 정보 및 변환 관련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최소 부호화 오차를 발생시킨 부호화 심도 뿐만 아니라, 예측 단위를 파티션으로 분할한 파티션 타입, 예측 단위별 예측 모드, 변환을 위한 변환 단위의 크기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부호화 단위의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 및 예측단위/파티션, 및 변환 단위의 결정 방식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20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오차를 라그랑지 곱(Lagrangian Multiplier) 기반의 율-왜곡 최적화 기법(Rate-Distortion Optimization)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심도에 기초하여 부호화된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 및 심도별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 형태로 출력한다.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영상의 레지듀얼 데이터의 부호화 결과일 수 있다.
심도별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부호화 심도 정보, 예측 단위의 파티션 타입 정보, 예측 모드 정보, 변환 단위의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심도 정보는, 현재 심도로 부호화하지 않고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부호화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심도별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현재 심도가 부호화 심도라면, 현재 부호화 단위는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부호화되므로 현재 심도의 분할 정보는 더 이상 하위 심도로 분할되지 않도록 정의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현재 심도가 부호화 심도가 아니라면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이용한 부호화를 시도해보아야 하므로, 현재 심도의 분할 정보는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현재 심도가 부호화 심도가 아니라면,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에 대해 부호화가 수행된다.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 내에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가 하나 이상 존재하므로, 각각의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반복적으로 부호화가 수행되어, 동일한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재귀적(recursive) 부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 안에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며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가 결정되어야 하므로,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최대 부호화 단위의 데이터는 심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구획되어 위치 별로 부호화 심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3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어 있는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최소 단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해당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대한 부호화 정보를 할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단위는, 최하위 부호화 심도인 최소 부호화 단위가 4분할된 크기의 정사각형의 데이터 단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단위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모든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파티션 단위 및 변환 단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정사각 데이터 단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부호화 정보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정보와 예측 단위별 부호화 정보로 분류될 수 있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정보는, 예측 모드 정보, 파티션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단위별로 전송되는 부호화 정보는 인터 모드의 추정 방향에 관한 정보, 인터 모드의 참조 영상 인덱스에 관한 정보, 움직임 벡터에 관한 정보, 인트라 모드의 크로마 성분에 관한 정보, 인트라 모드의 보간 방식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픽처, 슬라이스 또는 GOP별로 정의되는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관한 정보 및 최대 심도에 관한 정보는 비트스트림의 헤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또는 픽처 파라미터 세트 등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현재 비디오에 대해 허용되는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에 관한 정보 및 변환 단위의 최소 크기에 관한 정보도, 비트스트림의 헤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또는 픽처 파라미터 세트 등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예측과 관련된 참조정보, 예측정보, 슬라이스 타입 정보 등을 부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가장 간단한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심도별 부호화 단위는 한 계층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를 반분한 크기의 부호화 단위이다. 즉,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2Nx2N이라면,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NxN 이다. 또한, 2Nx2N 크기의 현재 부호화 단위는 NxN 크기의 하위 심도 부호화 단위를 최대 4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현재 픽처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된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최대 심도를 기반으로,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적의 형태 및 크기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여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다양한 예측 모드, 변환 방식 등으로 부호화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영상 크기의 부호화 단위의 영상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부호화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의 해상도가 매우 높거나 데이터량이 매우 큰 영상을 기존 매크로블록 단위로 부호화한다면, 픽처당 매크로블록의 수가 과도하게 많아진다. 이에 따라, 매크로블록마다 생성되는 압축 정보도 많아지므로 압축 정보의 전송 부담이 커지고 데이터 압축 효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는, 영상의 크기를 고려하여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영상 특성을 고려하여 부호화 단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영상 압축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a 을 참조하여 전술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다시점 비디오의 시점들마다 단일시점 영상들의 부호화를 위해, 시점 개수만큼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계층 부호화부(12)가 하나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를 포함하고, 향상계층 부호화부(14)가 부가시점의 개수만큼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가 기본시점 영상들을 부호화하는 경우에,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별로 영상간 예측을 위한 예측단위를 결정하고, 예측단위마다 영상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가 부가시점 영상들을 부호화하는 경우에도,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 및 예측단위를 결정하고, 예측단위마다 영상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부가시점 영상들에 대한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부가시점 영상들을 예측하는 영상간 예측을 위해, 동일시점의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의 영상들을 제외한 부가시점 영상들을 참조할 수 있다.
부가시점 영상들에 대한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현재 영상의 현재 시점변환 구간보다 선행하는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의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하고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복원영상들만 참조할 수 있다.
부가시점 영상들에 대한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시점갱신 영상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때마다, 이전 시점변환 구간의 동일시점 복원영상들이 저장되어 있는 참조픽처 버퍼를 플러싱할 수 있다. 이로서, 현재 시점변환 구간의 영상들은, 현재 시점변환 구간의 복원영상들과 기본시점 복원영상들만을 참조하여 예측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예측을 수반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수신부(210),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 및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예측을 수반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로 축약하여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복호화 동작을 위한 부호화 단위, 심도, 예측 단위, 변환 단위, 각종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 등 각종 용어의 정의는, 도 8 및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수신부(210)는 부호화된 비디오에 대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여 파싱한다.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파싱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최대 부호화 단위별로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에 따라 부호화 단위마다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로 출력한다.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현재 픽처에 대한 헤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또는 픽처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현재 픽처의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파싱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최대 부호화 단위별로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에 대한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로 출력된다. 즉, 비트열의 영상 데이터를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여,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가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도록 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하나 이상의 부호화 심도 정보에 대해 설정될 수 있으며,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해당 부호화 단위의 파티션 타입 정보, 예측 모드 정보 및 변환 단위의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심도 정보로서, 심도별 분할 정보가 추출될 수도 있다.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가 추출한 최대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와 같이 부호화단에서, 최대 부호화 단위별 심도별 부호화 단위마다 반복적으로 부호화를 수행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결정된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이다. 따라서,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최소 부호화 오차를 발생시키는 부호화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대한 부호화 정보는, 해당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최소 단위 중 소정 데이터 단위에 대해 할당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소정 데이터 단위별로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소정 데이터 단위별로, 해당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면, 동일한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갖고 있는 소정 데이터 단위들은 동일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데이터 단위로 유추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최대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현재 픽처를 복원한다. 즉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 가운데 각각의 부호화 단위마다, 판독된 파티션 타입, 예측 모드, 변환 단위에 기초하여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복호화 과정은 인트라 예측 및 움직임 보상을 포함하는 예측 과정, 및 역변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의 파티션 타입 정보 및 예측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마다 각각의 파티션 및 예측 모드에 따라 인트라 예측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최대 부호화 단위별 역변환을 위해, 부호화 단위별로 트리 구조에 따른 변환 단위 정보를 판독하여, 부호화 단위마다 변환 단위에 기초한 역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역변환을 통해, 부호화 단위의 공간 영역의 화소값이 복원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심도별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심도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분할 정보가 현재 심도에서 더 이상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면 현재 심도가 부호화 심도이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예측 단위의 파티션 타입, 예측 모드 및 변환 단위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즉,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최소 단위 중 소정 데이터 단위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부호화 정보를 관찰하여, 동일한 분할 정보를 포함한 부호화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단위가 모여,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에 의해 동일한 부호화 모드로 복호화할 하나의 데이터 단위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결정된 부호화 단위마다 부호화 모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의 복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여 전술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다시점 비디오의 시점들마다 영상간 예측을 위한 참조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 중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를 시점 개수만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시점 부호화부(12)가 하나의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를 포함하고, 부가시점 부호화부(14)가 부가시점의 개수만큼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3a를 참조하여 전술한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는, 수신된 기본시점 영상스트림 및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복호화하여 기본시점 영상들 및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하기 위해,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를 시점 개수만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시점 복호화부(22)가 하나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를 포함하고, 부가시점 영상복원부(24)가 부가시점의 개수만큼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이 수신된 경우에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추출부(220)에 의해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기본시점 영상들의 샘플들을 최대 부호화 단위의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로 나눌 수 있다.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기본시점 영상들의 샘플들의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마다, 영상간 예측을 위한 예측단위별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기본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이 수신된 경우에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추출부(220)에 의해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부가시점 영상들의 샘플들을 최대 부호화 단위의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로 나눌 수 있다.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부가시점 영상들의 샘플들의 부호화 단위들마다 영상간 예측을 위한 예측단위별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특히, 제1 부가시점의 영상을 위한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 및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제1 부가시점 영상들의 움직임 보상을 위해,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동일시점의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의 영상들을 제외한 부가시점 영상들을 참조할 수 있다.
제1 부가시점 영상들에 대한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현재 영상의 현재 시점변환 구간보다 선행하는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의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하고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복원영상들만 참조할 수 있다.
제1 부가시점 영상들에 대한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시점갱신 영상에 대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때마다, 이전 시점변환 구간의 동일시점 복원영상들이 저장되어 있는 참조픽처 버퍼를 플러싱할 수 있다. 이로서, 현재 시점변환 구간의 영상들은, 현재 시점변환 구간의 복원영상들과 기본시점 복원영상들만을 참조하여 움직임 보상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하여 재생하는 중에 시점변환이 발생하면,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제2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이용하여 다음 시점변환 구간부터 제2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새로운 시점변환 구간에서도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 및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제2 부가시점의 시점갱신 영상에 대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기 전에, 이전에 복원된 동일시점 복원영상들이 저장되어 있는 참조픽처 버퍼를 플러싱할 수 있다. 하지만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의 복원영상들을 제외하고,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복원영상들과 기본시점 복원영상들을 참조하여, 제2 부가시점 영상에 대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부가시점 영상들의 복원과정에서 시점변환이 발생하더라도, 복호화 에러가 발생하거나 손실되는 영상 없이 시점을 변환하여 부가시점 영상들이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부가시점 영상들의 시점변환 구간 및 시점갱신 영상마다 자주 시점변환이 발생하더라도, 시점변환 후 새로운 부가시점의 복원 과정에서 복호화 에러가 발생하거나 복원영상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결국,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부호화 과정에서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재귀적으로 부호화를 수행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를 발생시킨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현재 픽처에 대한 복호화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적 부호화 단위로 결정된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의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복호화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높은 해상도의 영상 또는 데이터량이 과도하게 많은 영상이라도 부호화단으로부터 전송된 최적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특성에 적응적으로 결정된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부호화 모드에 따라 효율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원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개념을 도시한다.
부호화 단위의 예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너비x높이로 표현되며, 크기 64x64인 부호화 단위부터, 32x32, 16x16, 8x8를 포함할 수 있다. 크기 64x64의 부호화 단위는 크기 64x64, 64x32, 32x64, 32x32의 파티션들로 분할될 수 있고, 크기 32x32의 부호화 단위는 크기 32x32, 32x16, 16x32, 16x16의 파티션들로, 크기 16x16의 부호화 단위는 크기 16x16, 16x8, 8x16, 8x8의 파티션들로, 크기 8x8의 부호화 단위는 크기 8x8, 8x4, 4x8, 4x4의 파티션들로 분할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310)에 대해서는, 해상도는 1920x1080,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는 64, 최대 심도가 2로 설정되어 있다. 비디오 데이터(320)에 대해서는, 해상도는 1920x1080,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는 64, 최대 심도가 3로 설정되어 있다. 비디오 데이터(330)에 대해서는, 해상도는 352x288,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는 16, 최대 심도가 1로 설정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최대 심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의 총 분할 횟수를 나타낸다.
해상도가 높거나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 부호화 효율의 향상 뿐만 아니라 영상 특성을 정확히 반형하기 위해 부호화 사이즈의 최대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디오 데이터(330)에 비해, 해상도가 높은 비디오 데이터(310, 320)는 부호화 사이즈의 최대 크기가 64로 선택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310)의 최대 심도는 2이므로, 비디오 데이터(310)의 부호화 단위(315)는 장축 크기가 64인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2회 분할하며 심도가 두 계층 깊어져서 장축 크기가 32, 16인 부호화 단위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반면, 비디오 데이터(330)의 최대 심도는 1이므로, 비디오 데이터(330)의 부호화 단위(335)는 장축 크기가 16인 부호화 단위들로부터, 1회 분할하며 심도가 한 계층 깊어져서 장축 크기가 8인 부호화 단위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320)의 최대 심도는 3이므로, 비디오 데이터(320)의 부호화 단위(325)는 장축 크기가 64인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3회 분할하며 심도가 세 계층 깊어져서 장축 크기가 32, 16, 8인 부호화 단위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심도가 깊어질수록 세부 정보의 표현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부호화부(4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400)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에서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거치는 작업들을 포함한다. 즉, 인트라 예측부(410)는 현재 프레임(405) 중 인트라 모드의 부호화 단위에 대해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움직임 추정부(420) 및 움직임 보상부(425)는 인터 모드의 현재 프레임(405) 및 참조 프레임(495)을 이용하여 인터 추정 및 움직임 보상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부(410), 움직임 추정부(420) 및 움직임 보상부(425)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변환부(430) 및 양자화부(440)를 거쳐 양자화된 변환 계수로 출력된다.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역양자화부(460), 역변환부(470)을 통해 공간 영역의 데이터로 복원되고, 복원된 공간 영역의 데이터는 디블로킹부(480) 및 오프셋 조정부(490)를 거쳐 후처리되어 참조 프레임(495)으로 출력된다.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엔트로피 부호화부(450)를 거쳐 비트스트림(455)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영상 부호화부(400)의 구성 요소들인 인트라 예측부(410), 움직임 추정부(420), 움직임 보상부(425), 변환부(430), 양자화부(440), 엔트로피 부호화부(450), 역양자화부(460), 역변환부(470), 디블로킹부(480) 및 오프셋 조정부(490)가 모두,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대 심도를 고려하여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 중 각각의 부호화 단위에 기반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특히, 인트라 예측부(410), 움직임 추정부(420) 및 움직임 보상부(425)는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 및 최대 심도를 고려하여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 중 각각의 부호화 단위의 파티션 및 예측 모드를 결정하며, 변환부(430)는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 중 각각의 부호화 단위 내의 변환 단위의 크기를 결정하여야 한다.
영상 부호화부(400)가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구조 중 부가시점 영상들을 부호화하는 경우에, 움직임 추정부(420)는,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별로 영상간 예측을 위한 예측단위를 결정하고, 예측단위마다 영상간 예측을 수행할 때, 부가시점 앵커픽처를 동일시점의 다른 앵커픽처들을 참조하여 예측할 수도 있다.
특히, 움직임 추정부(420)는, 영상간 예측을 위한 예측단위별로 영상간 예측을 수행하여 움직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동일한 부가시점 영상의 복원영상이 부가시점 영상의 영상간 예측을 위한 참조영상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현재 부가시점 영상들의 영상간 예측을 위해, 현재 시점변환 구간보다 재생순서상 선행하는 이전 시점변환 구간의 복원영상들을 제외하고 현재 시점변환 구간의 복원영상들을 참조할 수 있다. 시점변환 구간의 시점갱신 영상에 대한 예측이 수행될 때마다, 동일시점 참조영상을 저장되는 참조픽처 버퍼에 저장된 이전 복원영상들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움직임 보상부(425)는, 영상간 예측을 위한 예측단위별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현재 부가시점 영상들을 위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시점변환 구간보다 재생순서상 선행하는 이전 시점변환 구간의 복원영상들을 제외하고 현재 시점변환 구간의 복원영상들을 참조할 수 있다. 시점변환 구간의 시점갱신 영상에 대한 움직임 보상이 수행될 때마다, 동일시점 참조영상을 저장되는 참조픽처 버퍼에 저장된 이전 복원영상들이 제거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복호화부(5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비트스트림(505)이 파싱부(510)를 거쳐 복호화 대상인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 및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부호화에 관한 정보가 파싱된다.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엔트로피 복호화부(520) 및 역양자화부(530)를 거쳐 역양자화된 데이터로 출력되고, 역변환부(540)를 거쳐 공간 영역의 영상 데이터가 복원된다.
공간 영역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인트라 예측부(550)는 인트라 모드의 부호화 단위에 대해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움직임 보상부(560)는 참조 프레임(585)를 함께 이용하여 인터 모드의 부호화 단위에 대해 움직임 보상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부(550) 및 움직임 보상부(560)를 거친 공간 영역의 데이터는 디블로킹부(570) 및 오프셋 조정부(580)를 거쳐 후처리되어 복원 프레임(595)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디블로킹부(570) 및 루프 필터링부(580)를 거쳐 후처리된 데이터는 참조 프레임(585)으로서 출력될 수 있다.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에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부(500)의 파싱부(510) 이후의 단계별 작업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영상 복호화부(500)의 구성 요소들인 파싱부(510), 엔트로피 복호화부(520), 역양자화부(530), 역변환부(540), 인트라 예측부(550), 움직임 보상부(560), 디블로킹부(570) 및 오프셋 조정부(580)가 모두,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에 기반하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특히, 인트라 예측부(550), 움직임 보상부(560)는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 각각마다 파티션 및 예측 모드를 결정하며, 역변환부(540)는 부호화 단위마다 변환 단위의 크기를 결정하여야 한다.
특히, 영상 복호화부(500)가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구조 중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복호화하는 경우에, 움직임 보상부(560)는, 예측단위별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부가시점 영상들을 복원할 수 있다. 현재 부가시점 영상들을 위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시점변환 구간보다 재생순서상 선행하는 이전 시점변환 구간의 복원영상들을 제외하고 현재 시점변환 구간의 복원영상들을 참조할 수 있다. 시점변환 구간의 시점갱신 영상에 대한 움직임 보상이 수행될 때마다, 동일시점 참조영상을 저장되는 참조픽처 버퍼에 저장된 이전 복원영상들이 제거될 수 있다.
도 1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 및 파티션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영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계층적인 부호화 단위를 사용한다. 부호화 단위의 최대 높이 및 너비, 최대 심도는 영상의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미리 설정된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는 부호화 단위의 최대 높이 및 너비가 64이며, 최대 심도가 4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최대 심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의 총 분할 횟수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세로축을 따라서 심도가 깊어지므로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가 각각 분할한다. 또한,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가로축을 따라, 각각의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예측 부호화의 기반이 되는 예측 단위 및 파티션이 도시되어 있다.
즉, 부호화 단위(610)는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 중 최대 부호화 단위로서 심도가 0이며, 부호화 단위의 크기, 즉 높이 및 너비가 64x64이다. 세로축을 따라 심도가 깊어지며, 크기 32x32인 심도 1의 부호화 단위(620), 크기 16x16인 심도 2의 부호화 단위(630), 크기 8x8인 심도 3의 부호화 단위(640), 크기 4x4인 심도 4의 부호화 단위(650)가 존재한다. 크기 4x4인 심도 4의 부호화 단위(650)는 최소 부호화 단위이다.
각각의 심도별로 가로축을 따라,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 및 파티션들이 배열된다. 즉, 심도 0의 크기 64x64의 부호화 단위(610)가 예측 단위라면, 예측 단위는 크기 64x64의 부호화 단위(610)에 포함되는 크기 64x64의 파티션(610), 크기 64x32의 파티션들(612), 크기 32x64의 파티션들(614), 크기 32x32의 파티션들(616)로 분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심도 1의 크기 32x32의 부호화 단위(620)의 예측 단위는, 크기 32x32의 부호화 단위(620)에 포함되는 크기 32x32의 파티션(620), 크기 32x16의 파티션들(622), 크기 16x32의 파티션들(624), 크기 16x16의 파티션들(626)로 분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심도 2의 크기 16x16의 부호화 단위(630)의 예측 단위는, 크기 16x16의 부호화 단위(630)에 포함되는 크기 16x16의 파티션(630), 크기 16x8의 파티션들(632), 크기 8x16의 파티션들(634), 크기 8x8의 파티션들(636)로 분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심도 3의 크기 8x8의 부호화 단위(640)의 예측 단위는, 크기 8x8의 부호화 단위(640)에 포함되는 크기 8x8의 파티션(640), 크기 8x4의 파티션들(642), 크기 4x8의 파티션들(644), 크기 4x4의 파티션들(646)로 분할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심도 4의 크기 4x4의 부호화 단위(650)는 최소 부호화 단위이며 최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이고, 해당 예측 단위도 크기 4x4의 파티션(650)으로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최대 부호화 단위(610)의 부호화 심도를 결정하기 위해, 최대 부호화 단위(610)에 포함되는 각각의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부호화를 수행하여야 한다.
동일한 범위 및 크기의 데이터를 포함하기 위한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개수는, 심도가 깊어질수록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개수도 증가한다. 예를 들어, 심도 1의 부호화 단위 한 개가 포함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심도 2의 부호화 단위는 네 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동일한 데이터의 부호화 결과를 심도별로 비교하기 위해서, 한 개의 심도 1의 부호화 단위 및 네 개의 심도 2의 부호화 단위를 이용하여 각각 부호화되어야 한다.
각각의 심도별 부호화를 위해서는,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가로축을 따라,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들마다 부호화를 수행하여, 해당 심도에서 가장 작은 부호화 오차인 대표 부호화 오차가 선택될 수다. 또한,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세로축을 따라 심도가 깊어지며, 각각의 심도마다 부호화를 수행하여, 심도별 대표 부호화 오차를 비교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가 검색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610) 중 최소 부호화 오차가 발생하는 심도 및 파티션이 최대 부호화 단위(610)의 부호화 심도 및 파티션 타입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14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대 부호화 단위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부호화 단위로 영상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한다. 부호화 과정 중 변환을 위한 변환 단위의 크기는 각각의 부호화 단위보다 크지 않은 데이터 단위를 기반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에서, 현재 부호화 단위(710)가 64x64 크기일 때, 32x32 크기의 변환 단위(720)를 이용하여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64x64 크기의 부호화 단위(710)의 데이터를 64x64 크기 이하의 32x32, 16x16, 8x8, 4x4 크기의 변환 단위들로 각각 변환을 수행하여 부호화한 후, 원본과의 오차가 가장 적은 변환 단위가 선택될 수 있다.
도 15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정보들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출력부(130)는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로서, 각각의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파티션 타입에 관한 정보(800),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810), 변환 단위 크기에 대한 정보(820)를 부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파티션 타입에 대한 정보(8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데이터 단위로서,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가 분할된 파티션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크기 2Nx2N의 현재 부호화 단위 CU_0는, 크기 2Nx2N의 파티션(802), 크기 2NxN의 파티션(804), 크기 Nx2N의 파티션(806), 크기 NxN의 파티션(808)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분할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파티션 타입에 관한 정보(800)는 크기 2Nx2N의 파티션(802), 크기 2NxN의 파티션(804), 크기 Nx2N의 파티션(806) 및 크기 NxN의 파티션(808) 중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된다.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810)는, 각각의 파티션의 예측 모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810)를 통해, 파티션 타입에 관한 정보(800)가 가리키는 파티션이 인트라 모드(812), 인터 모드(814) 및 스킵 모드(816) 중 하나로 예측 부호화가 수행되는지 여부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변환 단위 크기에 관한 정보(82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어떠한 변환 단위를 기반으로 변환을 수행할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변환 단위는 제 1 인트라 변환 단위 크기(822), 제 2 인트라 변환 단위 크기(824), 제 1 인터 변환 단위 크기(826), 제 2 인트라 변환 단위 크기(828) 중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10)는, 각각의 심도별 부호화 단위마다 파티션 타입에 관한 정보(800),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810), 변환 단위 크기에 대한 정보(820)를 추출하여 복호화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6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를 도시한다.
심도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분할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분할 정보는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가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지 여부를 나타낸다.
심도 0 및 2N_0x2N_0 크기의 부호화 단위(900)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 단위(910)는 2N_0x2N_0 크기의 파티션 타입(912), 2N_0xN_0 크기의 파티션 타입(914), N_0x2N_0 크기의 파티션 타입(916), N_0xN_0 크기의 파티션 타입(918)을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단위가 대칭적 비율로 분할된 파티션들(912, 914, 916, 918)만이 예시되어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파티션 타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대칭적 파티션, 임의적 형태의 파티션, 기하학적 형태의 파티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 타입마다, 한 개의 2N_0x2N_0 크기의 파티션, 두 개의 2N_0xN_0 크기의 파티션, 두 개의 N_0x2N_0 크기의 파티션, 네 개의 N_0xN_0 크기의 파티션마다 반복적으로 예측 부호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크기 2N_0x2N_0, 크기 N_0x2N_0 및 크기 2N_0xN_0 및 크기 N_0xN_0의 파티션에 대해서는, 인트라 모드 및 인터 모드로 예측 부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스킵 모드는 크기 2N_0x2N_0의 파티션에 예측 부호화가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크기 2N_0x2N_0, 2N_0xN_0 및 N_0x2N_0의 파티션 타입(912, 914, 916) 중 하나에 의한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다면, 더 이상 하위 심도로 분할할 필요 없다.
크기 N_0xN_0의 파티션 타입(918)에 의한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다면, 심도 0를 1로 변경하며 분할하고(920), 심도 2 및 크기 N_0xN_0의 파티션 타입의 부호화 단위들(930)에 대해 반복적으로 부호화를 수행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를 검색해 나갈 수 있다.
심도 1 및 크기 2N_1x2N_1 (=N_0xN_0)의 부호화 단위(930)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 단위(940)는, 크기 2N_1x2N_1의 파티션 타입(942), 크기 2N_1xN_1의 파티션 타입(944), 크기 N_1x2N_1의 파티션 타입(946), 크기 N_1xN_1의 파티션 타입(94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크기 N_1xN_1 크기의 파티션 타입(948)에 의한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다면, 심도 1을 심도 2로 변경하며 분할하고(950), 심도 2 및 크기 N_2xN_2의 부호화 단위들(960)에 대해 반복적으로 부호화를 수행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를 검색해 나갈 수 있다.
최대 심도가 d인 경우, 심도별 부호화 단위는 심도 d-1일 때까지 설정되고, 분할 정보는 심도 d-2까지 설정될 수 있다. 즉, 심도 d-2로부터 분할(970)되어 심도 d-1까지 부호화가 수행될 경우, 심도 d-1 및 크기 2N_(d-1)x2N_(d-1)의 부호화 단위(980)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 단위(990)는, 크기 2N_(d-1)x2N_(d-1)의 파티션 타입(992), 크기 2N_(d-1)xN_(d-1)의 파티션 타입(994), 크기 N_(d-1)x2N_(d-1)의 파티션 타입(996), 크기 N_(d-1)xN_(d-1)의 파티션 타입(998)을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 타입 가운데, 한 개의 크기 2N_(d-1)x2N_(d-1)의 파티션, 두 개의 크기 2N_(d-1)xN_(d-1)의 파티션, 두 개의 크기 N_(d-1)x2N_(d-1)의 파티션, 네 개의 크기 N_(d-1)xN_(d-1)의 파티션마다 반복적으로 예측 부호화를 통한 부호화가 수행되어, 최소 부호화 오차가 발생하는 파티션 타입이 검색될 수 있다.
크기 N_(d-1)xN_(d-1)의 파티션 타입(998)에 의한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더라도, 최대 심도가 d이므로, 심도 d-1의 부호화 단위 CU_(d-1)는 더 이상 하위 심도로의 분할 과정을 거치지 않으며,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900)에 대한 부호화 심도가 심도 d-1로 결정되고, 파티션 타입은 N_(d-1)xN_(d-1)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최대 심도가 d이므로, 심도 d-1의 부호화 단위(952)에 대해 분할 정보는 설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단위(999)은,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한 '최소 단위'라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단위는, 최하위 부호화 심도인 최소 부호화 단위가 4분할된 크기의 정사각형의 데이터 단위일 수 있다. 이러한 반복적 부호화 과정을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900)의 심도별 부호화 오차를 비교하여 가장 작은 부호화 오차가 발생하는 심도를 선택하여, 부호화 심도를 결정하고, 해당 파티션 타입 및 예측 모드가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심도 0, 1, ..., d-1, d의 모든 심도별 최소 부호화 오차를 비교하여 오차가 가장 작은 심도가 선택되어 부호화 심도로 결정될 수 있다. 부호화 심도, 및 예측 단위의 파티션 타입 및 예측 모드는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로써 부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심도 0으로부터 부호화 심도에 이르기까지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야 하므로, 부호화 심도의 분할 정보만이 '0'으로 설정되고, 부호화 심도를 제외한 심도별 분할 정보는 '1'로 설정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부호화 단위(900)에 대한 부호화 심도 및 예측 단위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부호화 단위(912)를 복호화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심도별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 정보가 '0'인 심도를 부호화 심도로 파악하고, 해당 심도에 대한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7, 18 및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부호화 단위(101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해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가 결정한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이다. 예측 단위(1060)는 부호화 단위(1010) 중 각각의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들의 파티션들이며, 변환 단위(1070)는 각각의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변환 단위들이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1010)은 최대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0이라고 하면, 부호화 단위들(1012, 1054)은 심도가 1, 부호화 단위들(1014, 1016, 1018, 1028, 1050, 1052)은 심도가 2, 부호화 단위들(1020, 1022, 1024, 1026, 1030, 1032, 1048)은 심도가 3, 부호화 단위들(1040, 1042, 1044, 1046)은 심도가 4이다.
예측 단위들(1060) 중 일부 파티션(1014, 1016, 1022, 1032, 1048, 1050, 1052, 1054)는 부호화 단위가 분할된 형태이다. 즉, 파티션(1014, 1022, 1050, 1054)은 2NxN의 파티션 타입이며, 파티션(1016, 1048, 1052)은 Nx2N의 파티션 타입, 파티션(1032)은 NxN의 파티션 타입이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1010)의 예측 단위 및 파티션들은 각각의 부호화 단위보다 작거나 같다.
변환 단위들(1070) 중 일부(1052)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부호화 단위에 비해 작은 크기의 데이터 단위로 변환 또는 역변환이 수행된다. 또한, 변환 단위(1014, 1016, 1022, 1032, 1048, 1050, 1052, 1054)는 예측 단위들(1060) 중 해당 예측 단위 및 파티션와 비교해보면,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태의 데이터 단위이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및 일 실시예에 다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동일한 부호화 단위에 대한 인트라 예측/움직임 추정/움직임 보상 작업, 및 변환/역변환 작업이라 할지라도, 각각 별개의 데이터 단위를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영역별로 계층적인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마다 재귀적으로 부호화가 수행되어 최적 부호화 단위가 결정됨으로써, 재귀적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이 구성될 수 있다. 부호화 정보는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분할 정보, 파티션 타입 정보, 예측 모드 정보, 변환 단위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에서 설정할 수 있는 일례를 나타낸다.
분할 정보 0 (현재 심도 d의 크기 2Nx2N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부호화) 분할 정보 1
예측 모드 파티션 타입 변환 단위 크기 하위 심도 d+1의 부호화 단위들마다 반복적 부호화
인트라
인터

스킵 (2Nx2N만)
대칭형 파티션 타입 비대칭형 파티션 타입 변환 단위 분할 정보 0 변환 단위
분할 정보 1
2Nx2N
2NxN
Nx2N
NxN
2NxnU
2NxnD
nLx2N
nRx2N
2Nx2N NxN
(대칭형 파티션 타입)

N/2xN/2
(비대칭형 파티션 타입)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출력부(130)는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에 대한 부호화 정보를 출력하고,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수신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에 대한 부호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분할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현재 심도 d의 분할 정보가 0이라면, 현재 부호화 단위가 현재 부호화 단위가 하위 부호화 단위로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심도가 부호화 심도이므로, 부호화 심도에 대해서 파티션 타입 정보, 예측 모드, 변환 단위 크기 정보가 정의될 수 있다. 분할 정보에 따라 한 단계 더 분할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분할된 4개의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독립적으로 부호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예측 모드는, 인트라 모드, 인터 모드 및 스킵 모드 중 하나로 나타낼 수 있다. 인트라 모드 및 인터 모드는 모든 파티션 타입에서 정의될 수 있으며, 스킵 모드는 파티션 타입 2Nx2N에서만 정의될 수 있다.
파티션 타입 정보는, 예측 단위의 높이 또는 너비가 대칭적 비율로 분할된 대칭적 파티션 타입 2Nx2N, 2NxN, Nx2N 및 NxN 과, 비대칭적 비율로 분할된 비대칭적 파티션 타입 2NxnU, 2NxnD, nLx2N, nRx2N를 나타낼 수 있다. 비대칭적 파티션 타입 2NxnU 및 2NxnD는 각각 높이가 1:3 및 3:1로 분할된 형태이며, 비대칭적 파티션 타입 nLx2N 및 nRx2N은 각각 너비가 1:3 및 3:1로 분할된 형태를 나타낸다.
변환 단위 크기는 인트라 모드에서 두 종류의 크기, 인터 모드에서 두 종류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 이라면, 변환 단위의 크기가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 2Nx2N로 설정된다.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1이라면,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된 크기의 변환 단위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크기 2Nx2N인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파티션 타입이 대칭형 파티션 타입이라면 변환 단위의 크기는 NxN, 비대칭형 파티션 타입이라면 N/2xN/2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의 부호화 정보는,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최소 단위 단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할당될 수 있다.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동일한 부호화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예측 단위 및 최소 단위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데이터 단위들끼리 각각 보유하고 있는 부호화 정보들을 확인하면, 동일한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단위가 보유하고 있는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면 해당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최대 부호화 단위 내의 부호화 심도들의 분포가 유추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가 주변 데이터 단위를 참조하여 예측하기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에 인접하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 내의 데이터 단위의 부호화 정보가 직접 참조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현재 부호화 단위가 주변 부호화 단위를 참조하여 예측 부호화가 수행되는 경우, 인접하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심도별 부호화 단위 내에서 현재 부호화 단위에 인접하는 데이터가 검색됨으로써 주변 부호화 단위가 참조될 수도 있다.
도 20 은 표 1의 부호화 모드 정보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최대 부호화 단위(1300)는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1302, 1304, 1306, 1312, 1314, 1316, 1318)을 포함한다. 이 중 하나의 부호화 단위(1318)는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이므로 분할 정보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크기 2Nx2N의 부호화 단위(1318)의 파티션 타입 정보는, 파티션 타입 2Nx2N(1322), 2NxN(1324), Nx2N(1326), NxN(1328), 2NxnU(1332), 2NxnD(1334), nLx2N(1336) 및 nRx2N(1338)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변환 단위 분할 정보(TU size flag)는 변환 인덱스의 일종으로서, 변환 인덱스에 대응하는 변환 단위의 크기는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 타입 또는 파티션 타입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티션 타입 정보가 대칭형 파티션 타입 2Nx2N(1322), 2NxN(1324), Nx2N(1326) 및 NxN(1328) 중 하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이면 크기 2Nx2N의 변환 단위(1342)가 설정되고,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1이면 크기 NxN의 변환 단위(1344)가 설정될 수 있다.
파티션 타입 정보가 비대칭형 파티션 타입 2NxnU(1332), 2NxnD(1334), nLx2N(1336) 및 nRx2N(1338) 중 하나로 설정된 경우, 변환 단위 분할 정보(TU size flag)가 0이면 크기 2Nx2N의 변환 단위(1352)가 설정되고,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1이면 크기 N/2xN/2의 변환 단위(1354)가 설정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여 전술된 변환 단위 분할 정보(TU size flag)는 0 또는 1의 값을 갖는 플래그이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1비트의 플래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정에 따라 0, 1, 2, 3.. 등으로 증가하며 변환 단위가 계층적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변환 단위 분할 정보는 변환 인덱스의 한 실시예로써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단위 분할 정보를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 변환 단위의 최소 크기와 함께 이용하면, 실제로 이용된 변환 단위의 크기가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최대 변환 단위 크기 정보, 최소 변환 단위 크기 정보 및 최대 변환 단위 분할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최대 변환 단위 크기 정보, 최소 변환 단위 크기 정보 및 최대 변환 단위 분할 정보는 SPS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최대 변환 단위 크기 정보, 최소 변환 단위 크기 정보 및 최대 변환 단위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비디오 복호화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현재 부호화 단위가 크기 64x64이고, 최대 변환 단위 크기는 32x32이라면, (a-1)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일 때 변환 단위의 크기가 32x32, (a-2)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1일 때 변환 단위의 크기가 16x16, (a-3)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2일 때 변환 단위의 크기가 8x8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b) 현재 부호화 단위가 크기 32x32이고, 최소 변환 단위 크기는 32x32이라면, (b-1)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일 때 변환 단위의 크기가 32x32로 설정될 수 있으며, 변환 단위의 크기가 32x32보다 작을 수는 없으므로 더 이상의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설정될 수 없다.
또 다른 예로, (c) 현재 부호화 단위가 크기 64x64이고, 최대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1이라면, 변환 단위 분할 정보는 0 또는 1일 수 있으며, 다른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설정될 수 없다.
따라서, 최대 변환 단위 분할 정보를 'MaxTransformSizeIndex', 최소 변환 단위 크기를 'MinTransformSize',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인 경우의 변환 단위 크기를 'RootTuSize'라고 정의할 때, 현재 부호화 단위에서 가능한 최소 변환 단위 크기 'CurrMinTuSize'는 아래 관계식 (1) 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CurrMinTuSize
= max (MinTransformSize, RootTuSize/(2^MaxTransformSizeIndex)) ... (1)
현재 부호화 단위에서 가능한 최소 변환 단위 크기 'CurrMinTuSize'와 비교하여,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인 경우의 변환 단위 크기인 'RootTuSize'는 시스템상 채택 가능한 최대 변환 단위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즉, 관계식 (1)에 따르면, 'RootTuSize/(2^MaxTransformSizeIndex)'는,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인 경우의 변환 단위 크기인 'RootTuSize'를 최대 변환 단위 분할 정보에 상응하는 횟수만큼 분할한 변환 단위 크기이며, 'MinTransformSize'는 최소 변환 단위 크기이므로, 이들 중 작은 값이 현재 현재 부호화 단위에서 가능한 최소 변환 단위 크기 'CurrMinTuSize'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변환 단위 크기 RootTuSize는 예측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예측 모드가 인터 모드라면 RootTuSize는 아래 관계식 (2)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관계식 (2)에서 'MaxTransformSize'는 최대 변환 단위 크기, 'PUSize'는 현재 예측 단위 크기를 나타낸다.
RootTuSize = min(MaxTransformSize, PUSize) ......... (2)
즉 현재 예측 모드가 인터 모드라면,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인 경우의 변환 단위 크기인 'RootTuSize'는 최대 변환 단위 크기 및 현재 예측 단위 크기 중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현재 파티션 단위의 예측 모드가 예측 모드가 인트라 모드라면 모드라면 'RootTuSize'는 아래 관계식 (3)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PartitionSize'는 현재 파티션 단위의 크기를 나타낸다.
RootTuSize = min(MaxTransformSize, PartitionSize) ...........(3)
즉 현재 예측 모드가 인트라 모드라면,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인 경우의 변환 단위 크기인 'RootTuSize'는 최대 변환 단위 크기 및 현재 파티션 단위 크기 중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파티션 단위의 예측 모드에 따라 변동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최대 변환 단위 크기 'RootTuSize'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현재 최대 변환 단위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8 내지 20를 참조하여 전술된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에 기초한 비디오 부호화 기법에 따라,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마다 공간영역의 영상 데이터가 부호화되며,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에 기초한 비디오 복호화 기법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복호화가 수행되면서 공간 영역의 영상 데이터가 복원되어, 픽처 및 픽처 시퀀스인 비디오가 복원될 수 있다. 복원된 비디오는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거나,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서 도 1a 내지 20을 참조하여 전술된 다시점 비디오 예측 방법, 다시점 비디오 예측 복원 방법 또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방법은,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으로 통칭한다. 또한, 앞서 도 1a 내지 20을 참조하여 전술된 다시점 비디오 예측 복원 방법 또는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방법은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방법'으로 지칭한다
또한, 앞서 도 1a 내지 20을 참조하여 전술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또는 영상 부호화부(400)로 구성된 비디오 부호화 장치는,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로 통칭한다. 또한, 앞서 도 1a 내지 20을 참조하여 전술된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 또는 영상 복호화부(500)로 구성된 비디오 복호화 장치는,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로 통칭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가 디스크(26000)인 실시예를 이하 상술한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이 저장된 디스크(26000)의 물리적 구조를 예시한다. 저장매체로서 전술된 디스크(26000)는, 하드드라이브, 시디롬(CD-ROM) 디스크, 블루레이(Blu-ray) 디스크, DVD 디스크일 수 있다. 디스크(26000)는 다수의 동심원의 트랙(tr)들로 구성되고, 트랙들은 둘레 방향에 따라 소정 개수의 섹터(Se)들로 분할된다. 상기 전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디스크(26000) 중 특정 영역에, 전술된 양자화 파라미터 결정 방법,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할당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전술된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달성된 컴퓨터 시스템이 도 22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도 22는 디스크(26000)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판독하기 위한 디스크드라이브(26800)를 도시한다. 컴퓨터 시스템(26700)은 디스크드라이브(268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디스크(26000)에 저장할 수 있다. 디스크(260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26700)상에서 실행하기 위해, 디스크 드라이브(26800)에 의해 디스크(26000)로부터 프로그램이 판독되고, 프로그램이 컴퓨터 시스템(26700)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1 및 22에서 예시된 디스크(26000) 뿐만 아니라, 메모리 카드, 롬 카세트, SSD(Solid State Drive)에도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이 후술된다.
도 23은 컨텐트 유통 서비스(content 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트 공급 시스템(content supply system)(11000)의 전체적 구조를 도시한다. 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은 소정 크기의 셀들로 분할되고, 각 셀에 베이스 스테이션이 되는 무선 기지국(11700, 11800, 11900, 12000)이 설치된다.
컨텐트 공급 시스템(11000)은 다수의 독립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12100),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12200), 카메라(12300) 및 휴대폰(12500)과 같은 독립디바이스들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11200), 통신망(11400), 및 무선 기지국(11700, 11800, 11900, 12000)을 거쳐 인터넷(11100)에 연결된다.
그러나, 컨텐트 공급 시스템(11000)은 도 24에 도시된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디바이스들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독립 디바이스들은 무선 기지국(11700, 11800, 11900, 12000)을 거치지 않고 통신망(114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비디오 카메라(12300)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와 같이 비디오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 디바이스이다. 휴대폰(12500)은 PDC(Personal Digital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및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방식과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비디오 카메라(12300)는 무선기지국(11900) 및 통신망(11400)을 거쳐 스트리밍 서버(1130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11300)는 사용자가 비디오 카메라(12300)를 사용하여 전송한 컨텐트를 실시간 방송으로 스트리밍 전송할 수 있다. 비디오 카메라(12300)로부터 수신된 컨텐트는 비디오 카메라(12300) 또는 스트리밍 서버(11300)에 의해 부호화될 수 있다. 비디오 카메라(12300)로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는 컴퓨터(12100)을 거쳐 스트리밍 서버(113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카메라(12600)로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도 컴퓨터(12100)를 거쳐 스트리밍 서버(113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카메라(12600)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정지영상과 비디오 영상을 모두 촬영할 수 있는 촬상 장치이다. 카메라(12600)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는 카메라(12600) 또는 컴퓨터(12100)에 의해 부호화될 수 있다.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12100)가 억세스할 수 있는 시디롬 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SSD , 메모리 카드와 같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휴대폰(12500)에 탑재된 카메라에 의해 비디오가 촬영된 경우, 비디오 데이터가 휴대폰(12500)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카메라(12300), 휴대폰(12500) 또는 카메라(12600)에 탑재된 LSI(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 시스템에 의해 부호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공급 시스템(11000)에서, 예를 들어 콘서트의 현장녹화 컨텐트와 같이, 사용자가 비디오 카메라(12300), 카메라(12600), 휴대폰(12500) 또는 다른 촬상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녹화된 컨텐트가 부호화되고, 스트리밍 서버(11300)로 전송된다. 스트리밍 서버(11300)는 컨텐트 데이터를 요청한 다른 클라이언트들에게 컨텐트 데이터를 스트리밍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들은 부호화된 컨텐트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어 컴퓨터(12100), PDA(12200), 비디오 카메라(12300) 또는 휴대폰(12500)일 수 있다. 따라서, 컨텐트 공급 시스템(11000)은, 클라이언트들이 부호화된 컨텐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텐트 공급 시스템(11000)은, 클라이언트들이 부호화된 컨텐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복호화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방송(personal broadcasting)이 가능하게 한다.
컨텐트 공급 시스템(11000)에 포함된 독립 디바이스들의 부호화 동작 및 복호화 동작에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4 및 25을 참조하여 컨텐트 공급 시스템(11000) 중 휴대폰(12500)의 일 실시예가 상세히 후술된다.
도 24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폰(12500)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다. 휴대폰(12500)은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의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휴대폰(12500)은, 무선기지국(12000)과 RF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내장 안테나(12510)을 포함하고, 카메라(12530)에 의해 촬영된 영상들 또는 안테나(12510)에 의해 수신되어 복호화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화면 같은 디스플레이화면(12520)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2510)은 제어버튼,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동작 패널(125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화면(12520)이 터치스크린인 경우, 동작 패널(12540)은 디스플레이화면(12520)의 터치감지패널을 더 포함한다. 스마트폰(12510)은 음성,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2580) 또는 다른 형태의 음향출력부와, 음성, 음향이 입력되는 마이크로폰(12550) 또는 다른 형태의 음향입력부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2510)은 비디오 및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CCD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125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폰(12510)은 카메라(12530)에 의해 촬영되거나 이메일(E-mail)로 수신되거나 다른 형태로 획득된 비디오나 정지영상들과 같이, 부호화되거나 복호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12570); 그리고 저장매체(12570)를 휴대폰(12500)에 장착하기 위한 슬롯(1256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매체(12570)는 SD카드 또는 플라스틱 케이스에 내장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와 같은 다른 형태의 플래쉬 메모리일 수 있다.
도 25은 휴대폰(125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화면(12520) 및 동작 패널(12540)로 구성된 휴대폰(12500)의 각 파트를 조직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전력공급회로(12700), 동작입력제어부(12640), 영상부호화부(12720), 카메라 인터페이스(12630), LCD제어부(12620), 영상복호화부(12690),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multiplexer/demultiplexer)(12680), 기록/판독부(12670), 변조/복조(modulation/demodulation)부(12660) 및 음향처리부(12650)가, 동기화 버스(12730)를 통해 중앙제어부(12710)에 연결된다.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동작하여 '전원꺼짐' 상태에서 '전원켜짐' 상태로 설정하면, 전력공급회로(12700)는 배터리팩으로부터 휴대폰(12500)의 각 파트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휴대폰(12500)가 동작 모드로 셋팅될 수 있다.
중앙제어부(12710)는 CPU,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한다.
휴대폰(12500)이 외부로 통신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는, 중앙제어부(12710)의 제어에 따라 휴대폰(12500)에서 디지털 신호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음향처리부(12650)에서는 디지털 음향신호가 생성되고, 영상 부호화부(12720)에서는 디지털 영상신호가 생성되며, 동작 패널(12540) 및 동작 입력제어부(12640)를 통해 메시지의 텍스트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중앙제어부(12710)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신호가 변조/복조부(12660)에게 전달되면, 변조/복조부(12660)는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대역을 변조하고, 통신회로(12610)는 대역변조된 디지털 음향신호에 대해 D/A변환(Digital-Analog conversion) 및 주파수변환(frequency conversion) 처리를 수행한다. 통신회로(12610)로부터 출력된 송신신호는 안테나(12510)를 통해 음성통신기지국 또는 무선기지국(12000)으로 송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12500)이 통화 모드일 때 마이크로폰(12550)에 의해 획득된 음향신호는, 중앙제어부(12710)의 제어에 따라 음향처리부(12650)에서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된다. 생성된 디지털 음향신호는 변조/복조부(12660) 및 통신회로(12610)를 거쳐 송신신호로 변환되고, 안테나(12510)를 통해 송출될 수 있다.
데이터통신 모드에서 이메일과 같은 텍스트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동작 패널(12540)을 이용하여 메시지의 텍스트 데이터가 입력되고, 텍스트 데이터가 동작 입력제어부(12640)를 통해 중앙제어부(12610)로 전송된다. 중앙제어부(12610)의 제어에 따라, 텍스트 데이터는 변조/복조부(12660) 및 통신회로(12610)를 통해 송신신호로 변환되고, 안테나(12510)를 통해 무선기지국(12000)에게로 송출된다.
데이터통신 모드에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카메라(1253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카메라 인터페이스(12630)를 통해 영상부호화부(12720)로 제공된다. 카메라(1253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 인터페이스(12630) 및 LCD제어부(12620)를 통해 디스플레이화면(12520)에 곧바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영상부호화부(12720)의 구조는, 전술된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구조와 상응할 수 있다. 영상부호화부(12720)는, 카메라(12530)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를, 전술된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하여,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다중화/역다중화부(12680)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12530)의 녹화 중에 휴대폰(12500)의 마이크로폰(12550)에 의해 획득된 음향신호도 음향처리부(12650)를 거쳐 디지털 음향데이터로 변환되고, 디지털 음향데이터는 다중화/역다중화부(12680)로 전달될 수 있다.
다중화/역다중화부(12680)는 음향처리부(12650)로부터 제공된 음향데이터와 함께 영상부호화부(12720)로부터 제공된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다중화한다. 다중화된 데이터는 변조/복조부(12660) 및 통신회로(12610)를 통해 송신신호로 변환되고, 안테나(12510)를 통해 송출될 수 있다.
휴대폰(12500)이 외부로부터 통신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는, 안테나(125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주파수복원(frequency recovery) 및 A/D변환(Analog-Digital conversion) 처리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변환한다. 변조/복조부(12660)는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대역을 복조한다. 대역복조된 디지털 신호는 종류에 따라 비디오 복호화부(12690), 음향처리부(12650) 또는 LCD제어부(12620)로 전달된다.
휴대폰(12500)은 통화 모드일 때, 안테나(125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고 주파수변환 및 A/D변환(Analog-Digital conversion) 처리를 통해 디지털 음향 신호를 생성한다. 수신된 디지털 음향 신호는, 중앙제어부(12710)의 제어에 따라 변조/복조부(12660) 및 음향처리부(12650)를 거쳐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변환되고, 아날로그 음향 신호가 스피커(12580)를 통해 출력된다.
데이터통신 모드에서 인터넷의 웹사이트로부터 억세스된 비디오 파일의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안테나(12510)를 통해 무선기지국(120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변조/복조부(12660)의 처리결과 다중화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다중화된 데이터는 다중화/역다중화부(12680)로 전달된다.
안테나(12510)를 통해 수신한 다중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다중화/역다중화부(12680)는 다중화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스트림과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스트림을 분리한다. 동기화 버스(12730)에 의해,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스트림은 비디오 복호화부(12690)로 제공되고,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스트림은 음향처리부(12650)로 제공된다.
영상복호화부(12690)의 구조는, 전술된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구조와 상응할 수 있다. 영상복호화부(12690)는 전술된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원된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복원된 비디오 데이터를 LCD제어부(1262)를 거쳐 디스플레이화면(1252)에게 복원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의 웹사이트로부터 억세스된 비디오 파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화면(1252)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음향처리부(1265)도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스피커(1258)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의 웹사이트로부터 억세스된 비디오 파일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도 스피커(1258)에서 재생될 수 있다.
휴대폰(1250) 또는 다른 형태의 통신단말기는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송수신 단말기이거나, 전술된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만을 포함하는 송신단말기이거나,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만을 포함하는 수신단말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은 도 24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이 적용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6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이용하여, 위성 또는 지상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방송국(12890)은 전파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스트림을 통신위성 또는 방송위성(12900)으로 전송한다. 방송위성(12900)은 방송신호를 전송하고, 방송신호는 가정에 있는 안테나(12860)에 의해 위성방송수신기로 수신된다. 각 가정에서, 부호화된 비디오스트림은 TV수신기(12810), 셋탑박스(set-top box)(12870)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복호화되어 재생될 수 있다.
재생장치(12830)에서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구현됨으로써, 재생장치(12830)가 디스크 및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저장매체(12820)에 기록된 부호화된 비디오스트림을 판독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원된 비디오 신호는 예를 들어 모니터(12840)에서 재생될 수 있다.
위성/지상파 방송을 위한 안테나(12860) 또는 케이블TV 수신을 위한 케이블 안테나(12850)에 연결된 셋탑박스(12870)에도,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탑재될 수 있다. 셋탑박스(12870)의 출력데이터도 TV모니터(12880)에서 재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셋탑박스(12870) 대신에 TV수신기(12810) 자체에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탑재될 수도 있다.
적절한 안테나(12910)를 구비한 자동차(12920)가 위성(12800) 또는 무선기지국(11700)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자동차(12920)에 탑재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1293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호화된 비디오가 재생될 수 있다.
비디오 신호는,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에 의해 부호화되어 저장매체에 기록되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DVD 레코더에 의해 영상 신호가 DVD디스크(12960)에 저장되거나, 하드디스크 레코더(12950)에 의해 하드디스크에 영상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비디오 신호는 SD카드(12970)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하드디스크 레코더(12950)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면, DVD디스크(12960), SD카드(12970) 또는 다른 형태의 저장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신호가 모니터(12880)에서 재생될 수 있다.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12930)은 도 26의 카메라(12530), 카메라 인터페이스(12630) 및 영상 부호화부(127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12100) 및 TV수신기(12810)도, 도 26의 카메라(12530), 카메라 인터페이스(12630) 및 영상 부호화부(127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이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 사용자 DB(14100), 컴퓨팅 자원(14200)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과 같은 정보 통신망을 통해 컴퓨팅 자원의 온 디맨드 아웃소싱 서비스를 제공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데이터 센터의 컴퓨팅 자원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사용자들에게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스토리지(Storage), 운영체제(OS), 보안(Security) 등의 컴퓨팅 자원을 각 사용자 소유의 단말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화 기술을 통해 생성된 가상 공간상의 서비스를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 골라서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서비스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 및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에 접속한다. 사용자 단말기들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로부터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특히, 동영상 재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데스트탑 PC(14300), 스마트TV(14400), 스마트폰(14500), 노트북(14600),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14700), 태블릿 PC(14800) 등,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든 전자 기기가 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는 클라우드 망에 분산되어 있는 다수의 컴퓨팅 자원(14200)을 통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수의 컴퓨팅 자원(14200)은 여러가지 데이터 서비스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는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DB(14100)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로그인 정보와, 주소, 이름 등 개인 신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동영상의 인덱스(Index)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덱스는 재생을 완료한 동영상 목록과, 재생 중인 동영상 목록과, 재생 중인 동영상의 정지 시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DB(14100)에 저장된 동영상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디바이스들 간에 공유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노트북(14600)으로부터 재생 요청되어 노트북(14600)에게 소정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한 경우, 사용자 DB(14100)에 소정 동영상 서비스의 재생 히스토리가 저장된다. 스마트폰(14500)으로부터 동일한 동영상 서비스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는 사용자 DB(14100)을 참조하여 소정 동영상 서비스를 찾아서 재생한다. 스마트폰(14500)이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하는 경우, 동영상 데이터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비디오를 재생하는 동작은, 앞서 도 24을 참조하여 전술한 휴대폰(12500)의 동작과 유사하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는 사용자 DB(14100)에 저장된 소정 동영상 서비스의 재생 히스토리를 참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DB(14100)에 저장된 동영상에 대한 재생 요청을 수신한다. 동영상이 그 전에 재생 중이었던 것이면,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는 사용자 단말기로의 선택에 따라 처음부터 재생하거나, 이전 정지 시점부터 재생하느냐에 따라 스트리밍 방법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가 처음부터 재생하도록 요청한 경우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가 사용자 단말기에게 해당 동영상을 첫 프레임부터 스트리밍 전송한다. 반면, 단말기가 이전 정지시점부터 이어서 재생하도록 요청한 경우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가 사용자 단말기에게 해당 동영상을 정지시점의 프레임부터 스트리밍 전송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는, 도 1a 내지 20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기는, 도 1a 내지 20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도 1a 내지 20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a 내지 20을 참조하여 전술된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활용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 21 내지 도 27에서 전술되었다. 하지만, 도 1a 내지 20을 참조하여 전술된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도 21 내지 도 27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기본시점 영상스트림 및 둘 이상의 부가시점들에 대한 부가시점 영상스트림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을 이용하여, I-픽처타입인 기본시점 앵커픽처(Anchor Picture)들을 포함하는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을 복원하는 단계;
    상기 부가시점 영상스트림들 중에서 제1 부가시점의 영상스트림에 대해, 상기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는 변이 보상을 수행하여, 제1 부가시점의 시점 변환이 가능한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스트림에 대해, 상기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 및 상기 제1 부가시점의 복원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복원영상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은, 적어도 하나의 시점변환 구간으로 구분되고, 각 시점변환 구간은 적어도 하나의 시점갱신 영상을 포함할 때,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 중에서 현재 부가시점 영상이 속한 현재 시점변환 구간보다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복원영상들을 제외하고,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복원영상들을 참조하여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는,
    동일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은 생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만을 수행하여 상기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동일시점의 참조영상이 저장되는 참조픽처 버퍼(Reference Picture Buffer)에 저장된 상기 동일시점의 복원영상을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만을 수행하여 상기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시점 비디오 복원 방법은,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도중에 시점 변환이 발생하는 경우에, 제2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에 대해, 상기 시점 변환이 발생한 POC(Picture Order Count)가 할당된 제2 부가시점의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기 위해, 상기 시점 변환이 발생한 POC가 할당된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 및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영상들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시점갱신 영상은,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 중에서 랜덤 억세스가 가능한 영상과 동일한 POC가 할당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7.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I-픽처타입인 기본시점 앵커픽처들을 포함하는 기본시점 영상들 간의 영상간 예측(Inter Prediction)을 수행하여,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의 레지듀얼을 포함하는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에 대응되는 제1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둘 이상의 부가시점들 간에 시점 변환이 가능한 시점갱신 영상에 대해,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Inter-View Prediction)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여 제1 부가시점 영상들을 예측하는 시점간 예측, 및 동일시점의 제1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영상들을 참조하여 상기 제1 부가시점 영상들을 예측하는 영상간 예측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생성된 상기 부가시점 영상들의 레지듀얼을 포함하는 제1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은, 적어도 하나의 시점변환 구간으로 구분되고, 각 시점변환 구간은 적어도 하나의 시점갱신 영상을 포함할 때,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 중에서 현재 부가시점 영상이 속한 현재 시점변환 구간보다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복원영상들을 제외하고, 현재 시점변환 구간에 속하는 복원영상들을 참조하여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에 대해 영상간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갱신 영상에 대해 시점간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시점갱신 영상에 대해, 동일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영상간 예측은 생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만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갱신 영상에 대해 시점간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동일시점의 참조영상이 저장되는 참조픽처 버퍼(Reference Picture Buffer)에 저장된 상기 동일시점의 복원영상을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시점갱신 영상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본시점 영상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만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은,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 및 상기 제1 부가시점 영상에 대응되는 제2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상기 부가시점들 간에 시점 변환이 가능한 시점갱신 영상에 대해,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여 제2 부가시점 영상들을 예측하는 시점간 예측, 및 동일시점의 제2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영상들을 참조하여 상기 제2 부가시점 영상들을 예측하는 영상간 예측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생성된 상기 제2 부가시점의 레지듀얼을 포함하는 제2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12.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을 이용하여, I-픽처타입인 기본시점 앵커픽처들을 포함하는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을 복원하는 기본시점 영상 복원부; 및
    수신된 부가시점 영상스트림들 중 제1 부가시점의 영상스트림에 대해, 상기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는 변이 보상을 수행하여, 제1 부가시점의 시점 변환이 가능한 시점갱신 영상을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 및 상기 제1 부가시점의 복원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복원영상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부가시점 영상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는,
    상기 제1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도중에 시점 변환이 발생하면, 제2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이용하여, 상기 시점 변환이 발생한 지점의 제2 부가시점의 앵커픽처를 시작으로, 상기 복원된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변이 보상 및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앵커픽처를 제외한 영상들을 참조하는 움직임 보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제2 부가시점의 영상들을 복원하는 시점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장치.
  14.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I-픽처타입인 기본시점 앵커픽처들을 포함하는 기본시점 영상들 간의 영상간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의 레지듀얼을 포함하는 기본시점 영상스트림을 생성하는 기본시점 부호화부; 및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에 대응되는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둘 이상의 부가시점들 간에 시점 변환이 가능한 시점갱신 영상에 대해,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는 시점간 예측을 수행하고, 상기 기본시점 영상들을 참조하여 상기 부가시점 영상들을 예측하는 시점간 예측 및 동일시점의 상기 부가시점 영상들 중에서 재생순서가 선행하는 시점갱신 영상을 제외한 영상들을 참조하여 상기 부가시점 영상들을 예측하는 영상간 예측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부가시점 영상들의 레지듀얼을 포함하는 부가시점 영상스트림을 생성하는 부가시점 부호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시점 부호화부는, 상기 부가시점 영상들을 각 부가시점별로 개별적으로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전산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10723A 2012-01-30 2013-01-30 시점변환을 위한 예측구조에 기초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시점변환을 위한 예측구조에 기초한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75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2581P 2012-01-30 2012-01-30
US61/592,581 2012-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086A true KR20130088086A (ko) 2013-08-07
KR102175161B1 KR102175161B1 (ko) 2020-11-06

Family

ID=48905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723A KR102175161B1 (ko) 2012-01-30 2013-01-30 시점변환을 위한 예측구조에 기초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시점변환을 위한 예측구조에 기초한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61323B2 (ko)
KR (1) KR102175161B1 (ko)
WO (1) WO20131155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5546B2 (en) 2016-02-26 2019-03-05 Qualcomm Incorporated Independent multi-resolution coding
US10353946B2 (en) * 2017-01-18 2019-07-16 Fyusion, Inc. Client-server communication for live search using multi-view digital media representations
US10623791B2 (en) 2018-06-01 2020-04-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ield of view prediction in live panoramic video streaming
US10812774B2 (en) 2018-06-06 2020-10-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devices for adapting the rate of video content streaming
US10616621B2 (en) 2018-06-29 2020-04-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devices for determining multipath routing for panoramic video content
US10708494B2 (en) 2018-08-13 2020-07-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adjusting panoramic video content
US11019361B2 (en) 2018-08-13 2021-05-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adjusting panoramic view of a camera for capturing video content
US11132819B2 (en) * 2018-12-13 2021-09-28 Konkuk University Industrial Cooperati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multi-view video inform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287A (ko) * 2006-07-11 2009-04-23 톰슨 라이센싱 멀티 뷰 비디오 코딩용 방법 및 장치
KR20110006696A (ko) * 2008-04-25 2011-01-20 톰슨 라이센싱 깊이 정보에 기초한 디스패리티 예측을 구비한 다중 시점 비디오 코딩
KR20110007928A (ko) * 2009-07-17 2011-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930B1 (ko) 2003-01-13 2005-10-26 전자부품연구원 다시점 영상의 압축/복원장치
US7903737B2 (en) * 2005-11-30 2011-03-0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randomly accessing multiview videos with known prediction dependency
MX2008012382A (es) * 2006-03-29 2008-11-18 Thomson Licensing Metodos y aparatos para usarse en un sistema de codificacion de video de multiples vistas.
KR100968204B1 (ko) * 2007-01-11 2010-07-06 전자부품연구원 다시점 비디오 코덱에서의 영상 예측 방법 및 이를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8548261B2 (en) 2007-04-11 2013-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multi-view image
KR101301181B1 (ko) * 2007-04-11 201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385884B1 (ko) * 2008-01-30 2014-04-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시점 동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09130561A1 (en) * 2008-04-21 2009-10-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video coding and decoding
KR101663819B1 (ko) * 2008-08-20 2016-10-10 톰슨 라이센싱 정제된 깊이 맵
CN104702960B (zh) * 2009-01-26 2018-01-02 汤姆森特许公司 用于视频解码的装置
EP2392138A4 (en) * 2009-01-28 2012-08-29 Nokia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AND DECODING
JP2010263615A (ja) * 2009-04-08 2010-11-1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
WO2010126613A2 (en) * 2009-05-01 2010-11-04 Thomson Licensing Inter-layer dependency information for 3dv
KR101092122B1 (ko) 2010-02-23 2011-12-12 주식회사 디엠에스 에칭 프로파일 제어를 위한 가스 인젝션 시스템
US8918533B2 (en) * 2010-07-13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Video switching for streaming video data
US9131033B2 (en) * 2010-07-20 2015-09-08 Qualcomm Incoporated Providing sequence data sets for streaming video data
EP2630799A4 (en) * 2010-10-20 2014-07-02 Nokia Corp METHOD AND DEVICE FOR VIDEO CODING AND DECOD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287A (ko) * 2006-07-11 2009-04-23 톰슨 라이센싱 멀티 뷰 비디오 코딩용 방법 및 장치
KR20110006696A (ko) * 2008-04-25 2011-01-20 톰슨 라이센싱 깊이 정보에 기초한 디스패리티 예측을 구비한 다중 시점 비디오 코딩
KR20110007928A (ko) * 2009-07-17 2011-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 Choi, et al. On View Layer Switching. JCT-3V of ITU-T and ISO/IEC. JCT3V-A0118 Ver.1, Jul. 11, 2012, pp.1-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15562A1 (ko) 2013-08-08
KR102175161B1 (ko) 2020-11-06
US20150023430A1 (en) 2015-01-22
US9961323B2 (en)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112B1 (ko) 인터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움직임 보상 방법 및 그 장치
KR101941250B1 (ko) 블록크기에 따라 인터 예측의 참조픽처리스트를 결정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102106536B1 (ko) 다시점 비디오 예측을 위한 참조픽처세트를 이용하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다시점 비디오 예측을 위한 참조픽처세트를 이용하는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290420B1 (ko)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35957B1 (ko) 랜덤 억세스를 위한 멀티 레이어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랜덤 억세스를 위한 멀티 레이어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281282B1 (ko) 서브블록 기반 예측을 수행하는 인터 레이어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및 서브블록 기반 예측을 수행하는 인터 레이어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1456501B1 (ko) 참조픽처리스트 변경이 가능한 인터 예측 방법과 그 장치
KR102175161B1 (ko) 시점변환을 위한 예측구조에 기초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시점변환을 위한 예측구조에 기초한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91139B1 (ko) 다시점 비디오의 인터 레이어 예측 구조에 따른 비디오 스트림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다시점 비디오의 인터 레이어 예측 구조에 따른 비디오 스트림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91493A (ko) 휘도차를 보상하기 위한 인터 레이어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1710635B1 (ko) 인터 레이어 비디오 복호화 및 부호화 장치 및 방법을 위한 블록 기반 디스패리티 벡터 예측 방법
KR20130018628A (ko) 다시점 비디오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다시점 비디오 예측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119379A (ko) 다시점 비디오 예측을 위한 참조리스트를 이용하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다시점 비디오 예측을 위한 참조리스트를 이용하는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73132A (ko) 휘도 보상을 이용한 인터 레이어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119380A (ko) 슬라이스 헤더를 이용하는 3차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1919015B1 (ko) 다 시점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70019373A (ko) 다 시점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50076135A (ko) 뎁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57194B1 (ko) 시점 변환을 위한 다시점 비디오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시점 변환을 위한 다시점 비디오 예측 복원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35760A (ko) 유형 정보를 이용한 멀티 레이어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멀티 레이어 비디오 복호화 방법
KR20140122673A (ko) 휘도차를 보상하기 위한 인터 레이어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22197A (ko) 다시점 비디오의 예측 구조에 따른 비디오 스트림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다시점 비디오의 예측 구조에 따른 비디오 스트림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1663230B1 (ko) 잔차 예측을 이용한 인터 레이어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93620B1 (ko) 인터 레이어 비디오 복호화 및 부호화 장치 및 방법을 위한 디스패리티 벡터 예측 방법
KR20150043227A (ko) 뎁스 인터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