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876A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876A
KR20130087876A KR1020120009107A KR20120009107A KR20130087876A KR 20130087876 A KR20130087876 A KR 20130087876A KR 1020120009107 A KR1020120009107 A KR 1020120009107A KR 20120009107 A KR20120009107 A KR 20120009107A KR 20130087876 A KR20130087876 A KR 20130087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portion
display
window
shielding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1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철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9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7876A/en
Publication of KR20130087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8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termina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minimize the amount of wasted base materials while simultaneously maintaining and reinforcing a foreign material penetration preventing function. CONSTITUTION: A display outputs visual information. A window (151b) covers the display. Shields (210,220) surround the display in the form of a loop. The shields are arranged between the window and the display for preventing the foreign material from penetrat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window and the display.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0001]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상에 윈도우가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window is disposed on a display.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A mobi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of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function, and data storage function.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mobil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having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a video file, playing a game, and receiving a broadcast.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이동 단말기의 하드웨어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에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in the hardware part and / or the software part of the mobile terminal.

예를 들어, 다양한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이동 단말기의 경우 조립틈을 통해 내부로 이물이 침투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사이에는 분진 방지 테이프가 구비되어 내부와 외부를 공간적으로 분리시키기도 한다. 상기 분진 방지 테이프는 중공의 루프 형상을 갖는 일체형으로 재단되어 원단에서 버려지는 부분이 많아 원단이 많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exposed to various external environments, foreign matter may penetrate through the assembly gap. To prevent this, a dust prevention tape is provided between the window and the display to spatially separ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 dust prevention tape is cut into one piece having a hollow loop shape, so many parts are discarded from the fabric.

본 발명은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사이로의 이물 침투 방지 기능을 유지 또는 강화하면서, 버려지는 원단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물 침투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having a foreign material intrusion prevention structure in which the discarded fabric can be minimized while maintaining or strengthening the foreign material intrusion prevention function between the window and the display.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덮도록 배치되는 윈도우,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감싸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차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는 일 지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차폐부의 제1코너를 이루는 제1차폐부, 및 상기 제1차폐부와 분리 형성되고 다른 일 지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차폐부의 제2코너를 이루며 상기 제1차폐부와 함께 상기 차폐부의 나머지 제3코너와 제4코너를 형성하는 제2차폐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display configured to output visual information, a window disposed to cover the display, and a loop shape surrounding the display. And a shield disposed between the window and the display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window and the display, wherein the shield extends in different directions at one point to form a first corner of the shield. A first shielding portion and a first corner portion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shielding portion and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at different points to form a second corner of the shielding portion and the remaining third corners of the shielding por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hielding portion; And a second shielding portion forming four corners.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차폐부와 상기 제2차폐부는 상기 제3 및 제4코너에서 상기 차폐부의 외부에서 내부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hielding portion and the second shielding portion ar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in a direction from the outside of the shielding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third and fourth corners.

상기 제1차폐부의 양단부에는 폭이 좁아지도록 계단형으로 단차지는 제1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차폐부의 양단부에는 폭이 좁아지도록 계단형으로 단차지는 제2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단차부의 홈 부분에는 상기 제2단차부의 돌출 부분이 수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중첩 배치 관계를 가질 수 있다.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shield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stepped first stepped to have a narrower step width,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second shielding portion may have a stepped stepped with a stepped shape to have a narrower width.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econd stepped portion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portion of the first stepped portion to have the overlapping arrangement relationship.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3 및 제4코너의 외곽을 각각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차폐부와 상기 제2차폐부 사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완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is disposed to cover the outer edges of the third and fourth corners, respectively, and a complementary part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first shielding portion and the second shielding portion. It includes more.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코너와 제2코너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rner and the second corner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차폐부와 상기 제2차폐부는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hielding portion and the second shielding portion are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차폐부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밀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패드층, 및 상기 윈도우에 부착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part includes a pad layer elastically de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play, and an adhesive layer attached to the window.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패드층에 접착층이 형성된 원단에서, 일 지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일 코너를 이루는 제1차폐부 및 상기 제1차폐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너에 수용되어 적층되게 패턴화되는 제2차폐부를 재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차폐부와 상기 제2차폐부를 각각의 코너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고 상기 접착층을 통해 윈도우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패드층이 탄성 변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밀착되게 상기 윈도우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덮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is made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hielding portion and the first shield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point to each other in a different direction in the fabric having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pad layer to form a corner Cutting the second shielding part to be received and stacked at the corners and patterning the first shielding part; and arranging the first shielding part and the second shielding part with each corner facing each other and attaching the window to the window through the adhesive layer; And arranging the window to cover the display such that the pad layer is elastically deformed to closely contact the display.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차폐부는 제1코너를 이루는 제1차폐부 및 제2코너를 이루고 상기 제1코너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차폐부로 분리 형성되며, 제1 및 제2차폐부는 함께 나머지 제3 및 제4코너를 형성하여 디스플레이를 감싸는 루프를 이루는바,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사이로의 이물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hielding portion is formed by separating the first shielding portion constituting the first corner and the second shielding portion forming the second corner facing the first corner,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The portions together form the remaining third and fourth corners to form a loop that surrounds the display, and thus, foreign matter penetration between the window and the display can be prevented.

아울러, 원단 재단시 제2차폐부는 제1차폐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차폐부의 코너에 수용되어 적층되게 배치되는바, 버려지는 원단이 최소화되어 원단 활용률이 향상될 수 있으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cutting the fabric, the second shield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hielding portion, and is accommodated at the corners of the first shielding portion to be stacked. Thus, the discarded fabric is minimized to improve the utilization rate of the fabric.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윈도우에 차폐부가 부착된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5는 도 1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차폐부의 재단 방법을 보인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ield is attached to the window shown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6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cutting method of the shield of FIG. 3.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PMP Books, e-books, navigation, and the lik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etc.,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mobile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bar-shaped terminal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단말기 본체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으로 불릴 수 있다)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반대되는 면을 덮는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190)를 덮는 배터리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body includes a case (which may be called a casing, a housing, a cover, etc.)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covering a face opposite to the front case 101.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A battery cover 103 covering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rear case 102 It is possible.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된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STS), 티타늄(Ti), 알루미늄(Al)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titanium (Ti), aluminum (Al), or the like.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부(152), 제1카메라부(121) 및 신호입력부(130) 등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음향입력부(122) 및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A display unit 151, a first sound output unit 152, a first camera unit 121, a signal input unit 130, and the like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sound input unit 122 and the interface unit 170 ar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thereof. ) May be disposed.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페이퍼(e-paper) 등을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module, an e-paper, and the like that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있으면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된다.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touch sensing means for inputting data by a touch method. If there is a touch on any part of the display unit 151,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position is input.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a letter or a number, an instruction in various modes, a menu item which can be designated, and the like.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151)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2)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The touch sensing means is formed in a light-transmissive manner so that the display unit 151 can be seen, and a structure for enhancing the visibility of the touch screen in a bright place may be included. According to FIG. 1, the display unit 151 occupies mos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102.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음향출력부(152)와 제1카메라부(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신호입력부(131)와 음향입력부(122)가 배치된다. 신호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 and the first camera unit 121 are disposed in regions adjacent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signal input unit 131 and the sound input unit 122 are disposed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 Is placed. The signal input unit 132, the interface 170,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제1음향출력부(152)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for transmitting a call sound to a user's ear or a loud speaker for outputting various alarm sounds or reproduction sounds of multimedia.

제1카메라부(121)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first camera unit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신호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유닛들(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signal input unit 130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131 and 132. The operation units 131 and 132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in a tactile manner.

제1 및/또는 제2조작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작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조작유닛(132)은 제1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 by the first and / or second operation units 131 and 132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31 receives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etc., and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132 adjusts or displays the volume of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 A command such as switching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151 may be input.

음향입력부(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이동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is a path for allow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may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by wire or wireless,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LAN Port), or the like, or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implemented as a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or a UIM (User Identity Module) or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부(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부(121')는 제1카메라부(121,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부(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2, the second camera unit 121 ′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second camera unit 121 ′ may be a camera hav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e first camera unit 121 (see FIG. 1) and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camera unit 121.

예를 들어, 제1카메라부(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부(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카메라부(121, 121')는 단말기 본체에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video call, the first camera unit 121 has a low pixel so that it is easy to photograph the user's face and transmit it to the other party, and the second camera unit 121 'captures a general subject. It is desi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often not transmitted immediately. The first and second camera units 121 and 121 ′ may be rotatably installed or popped up in the terminal body.

제2카메라부(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제2카메라부(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2카메라부(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123 and the mirror 124 may b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portion 121 ′. The flash 123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unit 121 ′. The mirror 124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self-photograph) the second camera unit 121 ′.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52')는 제1음향출력부(152,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 ′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 ′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 (see FIG. 1), and may be used to implement a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본체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n antenna (not shown)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a call or the like. An antenna constituting a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can be installed to be drawable from the terminal body.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배터리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A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implemented as a battery that converts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the battery may be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or detachable from the terminal body.

이동 단말기(100)는 다양한 외부 환경에 노출되므로, 조립틈을 통해 내부로 이물이 침투할 수 있다. 특히,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151, 구체적으로, 윈도우(151b)와 디스플레이(151a) 사이]로 이물이 침투될 경우 성능, 외관, 신뢰성 측면에서 많은 이슈들을 야기한다.Since the mobile terminal 100 is exposed to various external environments, foreign matter may penetrate into the inside through the assembly gap. In particular, when foreign matter penetrates into the display unit 151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specifically, between the window 151b and the display 151a, it causes many issues in terms of performance, appearance, and reliability.

이하에서는 윈도우(151b)와 디스플레이(151a) 사이로의 이물 침투 방지 기능을 유지 또는 강화하면서, 버려지는 원단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물 침투 방지 구조(200)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100)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having a foreign material intrusion prevention structure 200 in which the discarded fabric can be minimized while maintaining or enhancing the foreign material intrusion prevention function between the window 151b and the display 151a.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윈도우(151b)에 차폐부(210, 220)가 부착된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1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FIG. 4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shields 210 and 220 are attached to the window 151b illustrated in FIG. 3, and FIG. 5 is FIG. 1.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는 회로기판(180)이 배치된다. 회로기판(1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내부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18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3 to 5, a circuit board 180 is disposed in the terminal body. The circuit board 180 may be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as shown or may be mounted on a separate internal structure. The circuit board 180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회로기판(180)의 일면에는 회로기판(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151a)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151a)는 윈도우(151b)의 빛이 투과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51a)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게 된다.The display 151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80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80. The display 151a may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an area through which the light of the window 151b is transmitted. Through this, the user can externally recognize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151a.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윈도우(151b)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면에서 리세스되는 베젤부(101a)를 구비한다. 본 예와 달리, 베젤부(101a)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front case 101 includes a bezel portion 101a recessed from one surface thereof so that a part of the window 151b may be seated. Unlike the present example, the bezel part 101a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ront case 101.

베젤부(101a)에는 제1카메라부(121)에 대응되는 홀(121a)과 제1음향출력부(152)에 대응되는 음향홀(152a)이 형성된다. 음향홀(152a)은 프론트 케이스(101)의 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bezel part 101a is provided with a hole 121a corresponding to the first camera part 121 and an acoustic hole 152a corresponding to the first sound output part 152. The sound hole 152a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wall of the front case 101.

베젤부(101a)에는 윈도우(151b)가 결합 된다. 윈도우(151b)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광투과성 합성수지, 강화 유리 등으로 구성된다.The window 151b is coupled to the bezel part 101a. The window 151b is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for example, a light transmissive synthetic resin and tempered glass.

윈도우(151b)는 일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불투광부(151c)에 의해 일부 영역에서 빛이 투과되지 않거나 빛의 투과율이 아주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불투광부(151c)는 윈도우(151b)의 일면에 인쇄층이 인쇄되어 구현되거나, 패턴 필름(미도시)이 별도로 윈도우(151b)를 덮어서 구현될 수 있다.The window 151b may not be light-transmitted in some areas or may have a very low light transmittance by the opaque portion 151c disposed to cover one surface. The opaque part 151c may be implemented by printing a printed layer on one surface of the window 151b, or may be implemented by separately covering the window 151b with a pattern film (not shown).

불투광부(151c)는 윈도우(151b)의 가장자리를 덮어 불투명 영역(OR, Opaque Region)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윈도우(151b)는 가장자리의 불투명 영역(OR)과, 상기 불투명 영역(OR)에 의해 둘러싸이는 중앙의 투명 영역(TR, Transparent Region)으로 구획된다. 상기 투명 영역(TR)은 디스플레이(151a)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외부에서 인지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151a)에 대응되게 형성된다.The opaque portion 151c may cover an edge of the window 151b to form an opaque region (OR). Through this, the window 151b is partitioned into an opaque region OR at the edge and a transparent region TR in the center surrounded by the opaque region OR. The transparent area TR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151a so that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151a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불투광부(151c)는 홀(121a)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형성되어 투광성의 영상윈도우(121b)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케이스(101)의 측벽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조립틈을 형성하는 윈도우(151b)의 측면에는 홈(15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1음향출력부(152)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윈도우(151b)의 조립틈을 따라 방출되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아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The opaque portion 151c may be formed except for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121a to form a translucent image window 121b. In addition, a groove 152b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window 151b disposed to face the side wall of the front case 101 to form an assembly gap.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 is emitted along the assembly gap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window 151b, and moves independently because the holes formed independently for the sound output are not visible. The appearance of the terminal 100 may be simpler.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151a) 및 윈도우(151b)는 디스플레이부(151, 도 1 참조)로서 구성될 수 있다.As such, the display 151a and the window 151b may be configured as the display unit 151 (refer to FIG. 1).

윈도우(151b)에는 터치입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터치 센서(151d)가 장착될 수 있다. 터치 센서(151d)는 윈도우(151b)의 투명 영역(TR)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151b)에 대한 터치 지점을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터치 센서(151d)는 제1조작유닛(131)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윈도우(151b) 하단의 불투명 영역(OR)으로 연장될 수 있다. 터치 센서(151d)는 연성회로기판(미도시)을 통해 회로기판(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151d may be mounted in the window 151b to detect a touch input. The touch sensor 151d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transparent area TR of the window 151b and is formed to sense a touch point with respect to the window 151b. The touch sensor 151d may extend to the opaque area OR at the bottom of the window 151b to detect a touch input to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31. The touch sensor 151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80 through a flexible circuit board (not shown).

터치 센서(151d)는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지고, 윈도우(151b)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압력, 전압, 커패시턴스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151d)의 일 예로서, 상기 터치 센서(151d)는 정전용량방식의 센서가 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151d is made of light transmissive and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voltage, capacitance, etc. occurring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window 151b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As an example of the touch sensor 151d, the touch sensor 151d may be a capacitive sensor.

윈도우(151b)와 디스플레이(151a) 사이에는 차폐부(210, 220)가 배치된다. 차폐부(210, 220)는 디스플레이(151a)를 감싸는 중공의 루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디스플레이(151a)의 테두리를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윈도우(151b)와 디스플레이(151a) 사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Shields 210 and 220 are disposed between the window 151b and the display 151a. The shielding portions 210 and 220 have a hollow loop shape surrounding the display 151a and are disposed to cover the edge of the display 151a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window 151b and the display 151a. .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210, 220)는 접착층(221) 및 패드층(222)을 구비할 수 있다. 차폐부(210, 220)는 윈도우(151b) 가장자리의 불투명 영역(OR)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후술할 바와 같이, 패드층(222)에 접착층(221)이 형성된 원단을 재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5, the shielding portions 210 and 220 may include an adhesive layer 221 and a pad layer 222. The shielding parts 210 and 22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opaque area OR of the edge of the window 151b, and may be formed by cutting a fabric having the adhesive layer 221 formed on the pad layer 222. .

접착층(221)은 윈도우(151b)에 부착되어 윈도우(151b)와 접착층(221) 사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접착층(221)은 윈도우(151b)와 결합된 터치 센서(151d), 프론트 케이스(101)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The adhesive layer 221 is attached to the window 151b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window 151b and the adhesive layer 221. The adhesive layer 221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touch sensor 151d coupled to the window 151b and the front case 101.

패드층(222)은 탄성 변형되어 디스플레이(151a)에 밀착 가능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디스플레이(151a)와 패드층(222) 사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패드층(222)은 윈도우(151b)와 디스플레이(151a) 사이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The pad layer 222 is elastically de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play 151a,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display 151a and the pad layer 222. The pad layer 222 may also function as a damper that absorbs the shock transmitted between the window 151b and the display 151a.

차폐부(210, 220)의 상기 배치관계와 반대로, 접착층(221)은 디스플레이(151a)에 부착되고 패드층(222)은 탄성 변형되어 윈도우(151b)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Contrary to the arrangement of the shielding parts 210 and 220, the adhesive layer 221 may be attached to the display 151a and the pad layer 222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 closely contact the window 151b.

차폐부(210, 220)는 제1 및 제2차폐부(210, 220)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차폐부(210)와 제2차폐부(220)는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차폐부(210, 220)는 함께 적절히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51a)를 감싸는 루프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및 제2차폐부(210, 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shielding portions 210 and 220 may be formed by being separa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portions 210 and 220. The first shield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shielding portion 220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shape. The first and second shields 210 and 220 may be properly disposed together to form a loop shape surrounding the display 151a.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hields 210 and 220 may be formed in a “b” shape or may have a “c” shape as shown.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차폐부(210, 220)가 도시된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이물 침투 방지 구조(2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oreign material intrusion prevention structur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parts 210 and 220 have a “b” shape shown in the drawing.

차폐부(210, 220)는 디스플레이(151a)에 대응되게 직사각형, 즉, 제1 내지 제4코너(201, 202, 203, 204)를 구비하는 중공의 루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shields 210 and 220 may have a rectangular loop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151a, that is, the first to fourth corners 201, 202, 203, and 204.

제1차폐부(210)는 일 지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차폐부(210, 220)의 제1코너(201)를 이룬다. 제2차폐부(220)는 제1차폐부(210)와 분리 형성되고, 다른 일 지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코너(201)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코너(202)를 이룬다. 제2차폐부(220)는 제1차폐부(210)와 함께 나머지 제3코너(203)와 제4코너(204)를 형성한다.The first shielding portions 210 extend in different directions at one point to form a first corner 201 of the shielding portions 210 and 220. The second shielding part 220 is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shielding part 210 and extends in different directions at different points to respectively face the second corner 202 disposed to face the first corner 201. Achieve. The second shield 220 forms the third corner 203 and the fourth corner 204 together with the first shield 210.

제2차폐부(220)의 양단부는 제1차폐부(210)의 양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제3 및 제4코너(203, 204) 부분에서 이물이 침투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2차폐부(220)는 제1차폐부(210)를 덮는 구조가 아닌, 동일 평면을 이루며 인접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평면 상에서 중첩되는 구조나 별도의 부재를 통해 상기 이물 침투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Both ends of the second shielding part 220 may be disposed to cover both ends of the first shielding part 210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third and fourth corners 203 and 204. Alternatively, the second shield 220 does not cover the first shield 210, but has a structure arranged adjacent to the same plane and overlaps on the plane or separates the foreign material into the foreign material.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prevent.

구체적으로, 제1차폐부(210)와 제2차폐부(220)는 제3 및 제4코너(203, 204)에서 차폐부(210, 220)의 외부에서 내부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shielding part 210 and the second shielding part 220 overlap each other in a direction from the outside of the shielding parts 210 and 220 to the inside of the third and fourth corners 203 and 204. Can be arranged.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폐부(210)의 양단부에는 폭이 좁아지도록 계단형으로 단차지는 제1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차폐부(220)의 양단부에도 폭이 좁아지도록 계단형으로 단차지는 제2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단차부의 홈 부분(213)에는 제2단차부의 돌출 부분(223)이 수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중첩 배치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제3 및 제4코너(203, 204) 부분에서의 이물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As shown, the first stepped portion stepped in a stepped shape so that the width is narrower at both ends of the first shielding portion 210, the stepped shape so that the width is also narrow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shielding portion (220). The stepped second step portion may be formed. The protruding portion 223 of the second step portion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portion 213 of the first step portion to have the overlapping arrangement relationship, and as a result, foreign matter in the third and fourth corners 203 and 204. Penetration can be prevented.

또한, 보완부(230)가 추가로 구비되어 이물 침투를 방지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완부(230)는 제3 및 제4코너(203, 204)의 외곽을 각각 덮도록 배치되어 제1차폐부(210)와 제2차폐부(220) 사이의 상기 중첩 배치 관계를 보완한다. 보완부(23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코너 부분이 제1차폐부(210)와 제2차폐부(220)의 단부를 덮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upplement 230 may be further provided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Complement unit 230 is disposed to cover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ird and fourth corner (203, 204), respectively, to complement the overlap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hield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shielding portion (220). The complementary portion 230 is formed in a “b” shape so that the corner portion covers the ends of the first shield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shielding portion 220.

도 7은 도 3의 차폐부(210, 220)의 재단 방법을 보인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cutting method of the shielding parts 210 and 220 of FIG. 3.

도 7을 앞선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제1 및 제2차폐부(210, 220)는 패드층(222)에 접착층(221)이 형성된 원단을 재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차폐부(210, 220)는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분리 형성되고, 원단 활용률이 최대화되도록 적층된 형태로 패턴화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ogether with the previous drawings, the first and second shields 210 and 220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fabric on which the adhesive layer 221 is formed on the pad layer 222. The first and second shields 210 and 220 may be separately form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and may be patterned in a stacked form so as to maximize fabric utilization.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의 제1차폐부(210)는 원단에 비스듬하게 누운 형태로 패턴화되며, 동일 또는 유사한 “ㄴ”자 형상의 제2차폐부(220)는 제2코너(202)가 제1코너(201)에 수용되어 적층되게 패턴화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the "b" shaped first shield portion 210 is patterned in an oblique form lying on the fabric, the same or similar "b" shaped second shield 220 is The second corner 202 may be patterned to be received and stacked in the first corner 201.

재단된 제1차폐부(210)와 제2차폐부(220)는 각각의 제1 및 제2코너(201, 202)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접착층(221)을 통해 윈도우(151b)에 부착된다. 이후, 윈도우(151b)는 디스플레이(151a)를 덮도록 배치되며, 패드층(222)은 탄성 변형되어 디스플레이(151a)에 밀착됨으로써 윈도우(151b)와 디스플레이(151a) 사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cut first and second shields 210 and 220 are disposed to face the first and second corners 201 and 202, respectively, and are attached to the window 151b through the adhesive layer 221. . Thereafter, the window 151b is disposed to cover the display 151a, and the pad layer 222 is elastically de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play 151a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window 151b and the display 151a. .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차폐부(210, 220)는 제1코너(201)를 이루는 제1차폐부(210) 및 제2코너(202)를 이루고 상기 제1코너(201)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차폐부(220)로 분리 형성되며, 제1 및 제2차폐부(210, 220)는 함께 나머지 제3 및 제4코너(203, 204)를 형성하여 디스플레이(151a)를 감싸는 루프를 이루는바, 윈도우(151b)와 디스플레이(151a) 사이로의 이물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hielding portion (210, 220) forms the first shield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corner 202 forming the first corner 201 and the first corner 201 and The second shielding portion 220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portions 210 and 220 together form the remaining third and fourth corners 203 and 204 to form the display 151a. As a wrap loop, foreign matter infiltration between the window 151b and the display 151a may be prevented.

아울러, 원단 재단시 제2차폐부(220)는 제1차폐부(2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차폐부(210)의 코너에 수용되어 적층되게 배치되는바, 버려지는 원단이 최소화되어 원단 활용률이 향상될 수 있으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cutting the fabric, the second shielding part 22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hielding part 210 and is disposed to be stacked in the corner of the first shielding part 210 to minimize the discarded fabric. As a result, the utilization rate of the fabric may be improved, and the cost may be reduced.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mobile termin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and the method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have.

Claims (5)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덮도록 배치되는 윈도우;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감싸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차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는,
일 지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차폐부의 제1코너를 이루는 제1차폐부; 및
상기 제1차폐부와 분리 형성되고, 다른 일 지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차폐부의 제2코너를 이루며, 상기 제1차폐부와 함께 상기 차폐부의 나머지 제3코너와 제4코너를 형성하는 제2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 display configured to output visual information;
A window disposed to cover the display; And
A shield formed in a loop shape surrounding the display and disposed between the window and the display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window and the display,
The shielding portion
A first shield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point in a different direction to form a first corner of the shielding portion; And
It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shielding portion, and extends in different directions at different points to form a second corner of the shielding portion, and together with the first shielding portion, form the remaining third corners and fourth corners of the shielding portion.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second shiel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부와 상기 제2차폐부는 상기 제3 및 제4코너에서 상기 차폐부의 외부에서 내부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shielding portion and the second shielding portion overlap each other in the third and fourth corners in a direction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shielding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부의 양단부에는 폭이 좁아지도록 계단형으로 단차지는 제1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차폐부의 양단부에는 폭이 좁아지도록 계단형으로 단차지는 제2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단차부의 홈 부분에는 상기 제2단차부의 돌출 부분이 수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shielding portion are formed with stepped first stepped portions to be narrowed in width,
On both ends of the second shielding portion, stepped second stepped portions are formed in a stepped shape so as to have a narrower width.
And a protruding portion of the second step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portion of the first step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코너의 외곽을 각각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차폐부와 상기 제2차폐부 사이로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mplementary part disposed to cover the outer edges of the third and fourth corners, respectively,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first shielding part and the second shielding part.
패드층에 접착층이 형성된 원단에서, 일 지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일 코너를 이루는 제1차폐부 및 상기 제1차폐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너에 수용되어 적층되게 패턴화되는 제2차폐부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제1차폐부와 상기 제2차폐부를 각각의 코너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고, 상기 접착층을 통해 윈도우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패드층이 탄성 변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밀착되게 상기 윈도우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덮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조 방법.
In the fabric having th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pad layer, the first shielding portion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at one point and forming one corner, and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hielding portion and patterned to be received and stacked in the corner Tailoring the second shield;
Arranging the first shielding portion and the second shielding portion with each corner facing each other and attaching the window to the window through the adhesive layer; And
And arranging the window to cover the display such that the pad layer elastically deforms and adheres to the display.
KR1020120009107A 2012-01-30 2012-01-30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300878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107A KR20130087876A (en) 2012-01-30 2012-01-30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107A KR20130087876A (en) 2012-01-30 2012-01-30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876A true KR20130087876A (en) 2013-08-07

Family

ID=4921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107A KR20130087876A (en) 2012-01-30 2012-01-30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787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5514B2 (en) Mobile terminal
KR101376623B1 (en) Mobile terminal
KR101882709B1 (en) Mobile terminal
KR102468709B1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key module
KR20140109722A (en) Mobile terminal
US10728371B2 (en) Mobile terminal
KR20150019133A (en) Mobile terminal
CN106331229A (en) Mobile terminal
US985407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136934A (en) Mobile terminal
KR20160122514A (en) Mobile terminal
KR10192981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9137906B2 (en) Mobile terminal
US20180288201A1 (en) Mobile terminal
KR20120021721A (en) Mobile terminal and dispaly module thereof
KR101832956B1 (en) Mobile terminal
KR101909605B1 (en) Mobile terminal
KR101822938B1 (en) Mobile terminal
KR101929811B1 (en) Mobile terminal
KR101951415B1 (en) Mobile terminal
KR10201822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977073B1 (en) Mobile terminal
KR20130087876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772078B1 (en) Mobile terminal
KR101960513B1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