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444A - Vocal training system using vocal practic - Google Patents

Vocal training system using vocal pract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444A
KR20130087444A KR1020130009225A KR20130009225A KR20130087444A KR 20130087444 A KR20130087444 A KR 20130087444A KR 1020130009225 A KR1020130009225 A KR 1020130009225A KR 20130009225 A KR20130009225 A KR 20130009225A KR 20130087444 A KR20130087444 A KR 20130087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cal
waveform
calibration
resonance
train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2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71741B1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filed Critical 이승우
Publication of KR20130087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4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7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8Apparatus for correcting stammering or stutte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PURPOSE: A vocal training system using a vocal program is provided to train a user based on treatments and to improve training efficiency. CONSTITUTION: A vocal training system (1) using a vocal program comprises a recording module (10) which is formed in a storage unit(40) to record the voice of the user, a waveform detection module (20) which changes the voice of a user into a waveform and detects the waveform, and a waveform analysis module (30) which compares the waveform of the user with a reference waveform. [Reference numerals] (10) Recording module; (20) Waveform detection module; (30) Waveform analysis module; (40) Storage unit; (50) Display unit

Description

보컬프랙틱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VOCAL TRAINING SYSTEM USING VOCAL PRACTIC}Vocal training system by vocal practice {VOCAL TRAINING SYSTEM USING VOCAL PRACTIC}

본 발명은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트레이닝 영역을 발성-표현력-리듬 영역으로 구분하고, 발성은 다시 성대-공명-공기압조절 단계로 세분화하여 각 단계별로 성대를 포함한 발성에 관여하는 근육들의 이완 및 조절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이를 다시 시퀀싱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미지화 하여 뇌에 각인함으로써 종래 경험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이 아닌 치료에 근거하여 피교정자에게 구분없이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단시간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보컬 프랙틱에 의해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cal training system, wherein the training area is divided into vocal-expression-rhythm areas, and vocalization is further subdivided into vocal cord-resonance-air pressure control steps to relax and relax muscles involved in vocalization including vocal cords at each step. The control is repeatedly performed and imaged again through a sequencing program to be imprinted on the brain, which can be applied to the subjects without discrimination based on the treatment rather than vocal training based on prior experience, but can be applied to the vocal practice that can produce an effect in a short time. By a vocal training system.

종래 소위 말하는 '보컬 트레이닝', '보컬 레슨', '보컬 코치'등으로 불리워지는 것들은 흔히 말하는 노래를 가르치는 행위 그 자체이다. The so-called 'vocal training', 'vocal lesson', 'vocal coach' and so on are the acts of teaching a commonly spoken song.

추상적인 느낌에 의존하는 상기 교육법들은 결국 타고난 사람에게는 장시간에 걸쳐 효과를 조금 줄 수 있었지만, 이 역시도 자기 연마와 끊임없는 연습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었다. The above teaching methods, which rely on abstract feelings, could eventually have some effect on the natural person over time, but this too could be obtained through self-polishing and constant practice.

그러나, 소위 음치 또는 노래를 잘 못하는 사람이나 목소리에 문제가 있는 사람은 장시간의 교육 또는 훈련을 통하여도 가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 person who is not good at sound or singing or has a problem with a voice cannot get a visible effect even through long time education or training.

그 이유는 현재 보컬 트레이너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가수추린 또는 실용음악과 전공학생들이었고, 가수를 트레이닝하는 보컬트레이너 역시도 다된밥에 숟가락을 얹는 것이 전부(즉, 원래 잘할 수 있는 사람을 조금더 잘할 수 있도록 가르침)였으며, 자신들의 목소리 외에는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단순히 음악안에 포함되어 있는 예술이라는 틀을 넘어 과학적으로 표현해내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전혀 이뤄지지 않은 실정이다.  The reason is that people who are currently called vocal trainers are singer or practical music and major students, and the vocal trainer who trains singers is also taught to put a spoon on the cooked rice (i.e., to do a little better for people who can do well). There is no research on how to express other people's voices scientifically beyond the framework of art contained in music except their own voices.

그로 인해, 음치탈출, 음치교정이라는 말은 흔히 많이 접하고 있는 익숙한 단어들이지만 음치교정하는데에 가서 정말 음치가 가수 만큼 노래하게 바뀌었다는 것은 그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As a result, the phrases such as pitch escape and correction are often familiar words, but it is hard to find the case that the pitch has changed to sing as much as a singer.

즉, 종래 기술은 병원에 가서 주사를 맞고 약을 먹으면 감기가 낫는 것처럼 당장에 결과를 줄 수 있는 것이 아닌 자신의 느낌과 노하우를 가르쳐주는 추상적인 교육일 뿐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problem that it is only an abstract education that teaches one's feelings and know-how, rather than being able to give a result as soon as a cold is better if a doctor takes an injection and takes medicine.

즉, '단순히 목에 힘을 빼라' 혹은 '배로 노래해라'라는 주문이 그것인데, 이렇게 경험에 의존하여 원론적인 교정방법에 의하는 경우, 배운다는 의미만 줄 뿐 직접적인 효과를 보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장시간 동안 시간낭비만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ther words, it is a simple order to relax your neck or sing in a boat. If you depend on the experience based on the principle correction method, it will not only be difficult to see the direct effect, There was a problem, wasting time for a long tim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이닝 영역을 발성-표현력-리듬 영역으로 구분하고, 발성은 다시 성대-공명-공기압조절 단계로 세분화하여 각 단계별로 성대를 포함한 발성에 관여하는 근육들의 이완 및 조절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이를 다시 시퀀싱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미지화 하여 뇌에 각인함으로써 종래 경험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이 아닌 치료에 근거하여 피교정자에게 구분없이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단시간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보컬 프랙틱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ide the training region into vocal-expression-rhythm regions, and vocalization is further subdivided into vocal cord-resonance-air pressure control stages to relax and regulate muscles involved in vocalization including vocal cords at each stage. It is repeatedly performed and imaged through a sequencing program and imprinted on the brain, which can be applied to the subjects without discrimination based on treatment rather than vocal training according to conventional experiences, but can exhibit effects in a short time. To provide a training system.

또한, 노래에 필요한 근육들을 물리적으로 운동시켜 줌으로써 타고난 사람이 아닌 일반인 혹은 음치들에게도 매우 빠른 시간내에 노래를 잘 부를 수 있도록 명확한 결과를 입증할 수 있으며, 노래를 단순히 레슨한다는 발상을 넘어 많은 사람들이 물리적치료 혹은 운동치료 등을 통해서 바로바로 변화의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보컬 프랙틱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by physically exercising the muscles required for the song, it is possible to prove a clear result to sing well to the general public or to the sound tone of non-natural people, and many people go beyond the idea of simply singing a song. It is to provide a vocal training system based on vocal practice that can produce the result of change through physical therapy or exercise therapy.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샘플링구간에 대해 피교정자의 노래 또는 낭독에 의한 구간발성을 녹취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에 녹취모듈과; 상기 녹취모듈에서 녹취된 구간발성을 파형화하여 초기구간파형으로 검출하는 파형검출모듈과; 상기 샘플링구간에 대한 숙련자의 구간발성에 의한 모범파형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초기구간파형과 대비하여 표시하는 파형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교정영역에 대한 교정이 진행 중 또는 수행이 완료된 복수의 시점에서 상기 샘플링구간에 대한 상기 피교정자의 추가구간발성을 녹취하여 추가구간파형으로 검출한 후 상기 초기구간파형 및 상기 모범파형과 분석 대비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으로써, 피교정자가 교정정도 및 교정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컬프랙틱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module for recording and storing the interval vocalization by the song or reading of the corrector for the set sampling period; A waveform detection module configured to waveform the interval vocalization recorded by the recording module and detect the waveform as an initial section waveform; A waveform analysis module for extracting exemplary waveforms of the skilled person's interval utterance for the sampling intervals from the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waveforms in comparison with the initial interval waveforms. By recording additional intervals of the corrector for the sampling interval at a plurality of time points and detecting them as additional interval waveforms, by comparing them with the initial interval waveform and the exemplary waveform and displaying them on the display, the corrector adjusts the calibration degree. And a vocal training system by vocal practitioner to visually recognize whether or not correction is made.

상기 교정영역은, 성대교정영역, 공명교정영역 및 공기압조절교정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분류될 수 있다. The calibration region may be classified to include one or more of the vocal cord calibration region, the resonance calibration region, and the air pressure control calibration region.

상기 파형분석모듈은, 상기 초기구간파형과 상기 모범파형의 대비 또는 상기 각 추가구간파형과 상기 모범파형을 대비할 때, 상기 교정영역별로 일치율을 표시할 수 있다. The waveform analysis module may display a matching ratio for each calibration region when the initial interval waveform is compared with the exemplary waveform or when the additional interval waveform and the exemplary waveform are contrasted.

상기 파형분석모듈은, 상기 일치율에 따라 상기 교정영역별 교정순서에 의한 스케줄링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The waveform analysis module may generate scheduling based on the calibration order for each calibration area according to the matching rate, and display the scheduling on the display.

상기 성대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방법은, 성대의 반동을 이용한 진동유지법(A), 진동유지와 후두 위치 교정법(B), 후두 이완법(B-1), 진동유지와 근육이완법(C), 진동유지와 표정이완법(D), 진동유지와 자세이완법(E), 진동유지와 뇌의 인지법(F), 무의식 호흡유지와 복부 이완을 통한 횡경막 압력법(G), ' AND FOR' 성대의 중간접지 활용법(H), 흑인 보이스응용 성대의 뒤쪽 접지활용법(I), '음~' 허밍 성대의 앞쪽 접지 활용법(J), '때끼' 성문 닫기 감각법(K), 비인두강 공명감각법(L), 비강공명감각법(M), 'DREAM" 비강공명 당기기법(N), 산정상발성법(O), 롤러코스터법(P), 횡경막 공기압 강화법(Q), 공명기로 소리내법(R), 브레인 이미지 음정법(S), 'GROOVE' 연음범칙 영어권 리듬법(T), 런닝리믐법(T-1), 상황극을 이용한 4가지 전달력법(U), 모창탈비법((V)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rrection method of the vocal cord correction region includes vibration maintenance method (A), vibration maintenance and laryngeal position correction method (B), larynx relaxation method (B-1), vibration maintenance and muscle relaxation method (C), and vibration maintenance using recoil of the vocal cords. And facial expression relaxation (D), vibration maintenance and posture relaxation (E), vibration maintenance and brain cognition (F), diaphragm pressure method through unconscious breathing and abdominal relaxation (G), middle ground of 'AND FOR' vocal cord Utilization (H), black voice application of the vocal cords (I), 'Umm ~' humming vocal cords of the front application (J), 'prick' gate close sensation (K), nasopharyngeal cavity resonance (L) , Nasal Resonance Sensing (M), 'DREAM' Nasal Retracting (N), Estimation (O), Roller Coaster (P), Diaphragm Pneumatic Reinforcement (Q), Resonator (R), Brain At least one of the image pitch (S), the 'GROOVE' syllable law English-speaking rhythm (T), the running lit (T-1), the four transfer force methods (U) using the situation play, and the esoteric ratio method ((V) Can contain The.

상기 공명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법은, 비인두강 공명감각법(L), 비강공명감각법(M), 'DREAM" 비강공명 당기기법(N), 산정상발성법(O), 롤러코스터법(P), 횡경막 공기압 강화법(Q), 브레인 이미지 음정법(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libration method using the resonance calibration region, nasopharyngeal cavity resonance (L), nasal resonance sensory (M), 'DREAM' nasal resonance pulling method (N), the peak vocalization method (O), roller coaster method (P)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diaphragm air pressure strengthening method (Q), the brain image pitch method (S).

상기 공기압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방법은, 공명기로 소리내법(R), 'GROOVE' 연음범칙 영어권 리듬법(T), 런닝리믐법(T-1), 모창탈비법((V)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libration method using the pneumatic pressure correction region, resonator (R), 'GROOVE' soft-sounding English rhythm method (T), running rhythm method (T-1), stool escape ratio ((V) It may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보컬프랙틱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은, 크게 트레이닝 영역을 발성-표현력-리듬 영역으로 구분하고, 발성은 다시 성대-공명-공기압조절 단계로 세분화하여 각 단계별로 성대를 포함한 발성에 관여하는 근육들의 이완 및 조절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Vocal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vocal-expression-rhythm area, and the voice area is subdivided into vocal cord-resonance-air pressure control step to participate in vocalization including vocal cords in each step. Relax and regulate the muscles repeatedly.

각 트레이닝 영역은 최초 피교정자를 각 영역별로 테스트하여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경우 이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거나, 아니면 테스트 결과에 따라 각 트레이닝 영역의 순서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Each training area can be performed by testing the first corrector for each area, if there is a deficiency, or by changing the order of each training area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또한, 각 트레이닝 영역은 더 세분화된 각 영역을 가질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발성 영역은 다시 성대, 공명, 공기압조절 단계로 세분화된다. In addition, each training zone may have more subdivided zones, for example, the vocalization zone is further subdivided into vocal cords, resonance, and pneumatic control steps.

각 세분화된 단계별로는 후술할 A ~ V 까지의 교정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대 교정을 위해서는 A~F 단계의 교정법이 적용되며, 공명 교정을 위해서는 L ~Q, S 교정법이 적용될 수 있고, 공기압 조절을 위해서는 R,T,U, V,W 교정법이 적용될 수 있다. In each subdivision step, calibration methods of A to V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used. For example, the vocal cords can be calibrated in the A ~ F stage, the resonance calibration can be applied in the L ~ Q, S calibration, and the air pressure control can be applied in the R, T, U, V, W calibration. have.

구체적으로, 성대 교정의 단계를 살펴보면, 성대의 긴장에 의한 탄성, 진동의 원리 등을 이용하여 노래하는데 필요한 근육들을 반복적으로 운동시킴으로써 성대의 운동을 관장하는 뇌의 부분이 지속적으로 이를 기억하게 하여 올바른 발성법을 낼 수 있도록 한다. Specifically, looking at the stages of vocal cord correction, by using the principles of elasticity and vibration of the vocal cords repeatedly to exercise the muscles necessary for singing, the part of the brain that controls the vocal cords is constantly remembered and corrected. Make sure you have a voice.

발성은 크게 호흡기(폐)-진동시(성대)-공명기(비강,구강, 인두강 등)-발음기(발음을 관장하는 근육들)의 순서를 거쳐 입 밖으로 나오게 된다. Speech is largely out of the mouth in the order of respiratory (pulmonary)-vibration (vocal cord)-resonator (nasal, oral cavity, pharyngeal cavity, etc.)-sounder (muscles that control the sound).

하지만,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각종 근육들의 긴장들이 소리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개입되며 성대가 그 간섭들로부터 얼마가 자유로워질 수 있느냐가 노래를 잘 부를 수 있는 발음/발성교정의 관건이다. However, in this process, the unnecessary tensions of the muscles are involved in the sound production process, and how much the vocal cords can be freed from the interference is the key to pronunciation / voice correction that can sing well.

또한, 올바른 감각에 의한 뇌의 인지능력을 통해 올바른 발성의 습관을 유지하고 기억하는 것 역시 중요한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발성체계와 습관들을 가지고 있고, 이를 인지하는 뇌의 인지능력 또한 천차만별이다. It is also important to maintain and remember the correct habits of vocalization through the brain's cognitive abilities with the right sense. Most people have different vocal systems and habits, and the brain's cognitive ability to recognize them varies widely.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보컬프랙틱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에서는, 성대 주변 근육의 이완을 위하여, 예를 들어, 턱 아래 근육, 인중, 혀, 광대, 미간, 후두, 어깨, 복근 등 발성과 관련된 근육들을 이완하는 구체적인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Thus, in the vocal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relax the muscles around the vocal cords, for example, muscles related to vocalization such as muscles under the jaw, muscle, tongue, clown, brow, larynx, shoulder, abs, etc. Provide specific treatments to relax.

한편, 전술한 각 교정방법을 적용하는 것과 동시에, 적용 전후를 시퀀싱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미지화 하여 뇌에 각인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t the same time to apply the above-described correction metho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to the image by the sequencing program to be imprinted on the brain.

본 발명에 따른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에 의하면, 트레이닝 영역을 발성-표현력-리듬 영역으로 구분하고, 발성은 다시 성대-공명-공기압조절 단계로 세분화하여 각 단계별로 성대를 포함한 발성에 관여하는 근육들의 이완 및 조절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이를 다시 시퀀싱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미지화 하여 뇌에 각인함으로써 종래 경험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이 아닌 치료에 근거하여 피교정자에게 구분없이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단시간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vocal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ining region is divided into vocal-expression-rhythm regions, and vocalization is subdivided into vocal cord-resonance-air pressure control stages to relax and relax muscles involved in vocalization including vocal cords at each stage. The control is repeatedly performed and imaged again through a sequencing program to be imprinted on the brain, which can be applied to the subject without discrimination based on the treatment rather than vocal training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xperience, and can exhibit an effect in a short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컬프랙틱을 이용한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분석모듈의 표시화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분석모듈에 따른 초기구간파형과 모범파형 및 추가구간파형의 비교분석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분석모듈에 따른 초기구간파형과 추가구간파형의 비교분석예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vocal training system using a vocal pract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splay screen of a waveform analysi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mparative analysis example of the initial section waveform and the exemplary waveform and the additional section waveform according to the waveform analysi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mparative analysis example of the initial section waveform and the additional section waveform according to the waveform analysi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컬프랙틱을 이용한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1)은, 설정된 샘플링구간에 대해 피교정자의 노래 또는 낭독에 의한 구간발성을 녹취하여 저장하는 저장부(40)에 녹취모듈(10)과; 녹취모듈(10)에서 녹취된 구간발성을 파형화하여 초기구간파형으로 검출하는 파형검출모듈(20)과; 상기 샘플링구간에 대한 숙련자의 구간발성에 의한 모범파형을 상기 저장부(40)에서 추출하여 상기 제1구간파형과 대비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하는 파형분석모듈(30);을 포함하여, 상기 교정영역에 대한 교정이 진행 중 또는 수행이 완료된 복수의 시점에서 상기 샘플링구간에 대한 상기 피교정자의 추가구간발성을 녹취하여 추가구간파형으로 검출한 후 상기 초기구간파형 및 상기 모범파형과 분석 대비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함으로써, 피교정자가 교정정도 및 교정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1, a vocal training system 1 using vocal pract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for recording and storing interval vocalization caused by a song or reading of an examinee for a set sampling period ( Recording module 10 and 40); A waveform detection module 20 for waveform detection of the interval vocalization recorded by the recording module 10 as an initial section waveform; Waveform analysis module 30 for extracting the exemplary waveform by the skilled person's interval utterance for the sampling interval in the storage unit 40 to display on the display unit 50 in contrast to the first interval waveform; At the plurality of time points during which the calibration region is in progress or the completion of the execution, the additional section waveform of the corrected person is recorded in the sampling section and detected as an additional section waveform, and then compared with the initial section waveform and the exemplary waveform. And by displaying this on the display unit 50, the person to be corrected can visually recognize the degree of calibration and whether or not to correct.

상기 샘플링구간이란, 피교정자의 발성상태를 파악하고, 추후 교정의 정도를 가늠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특정 노래의 한 소절 또는 특정 문장 등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진동이나 음역, 울림 등 특정 교정항목을 파악하기 적합하도록 각 교정항목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sampling interval is for grasping the speech state of the person to be corrected and for estimating the degree of further correction. For example, the sampling section may be provided in various kinds such as one measure or a specific sentence of a specific song, and may include vibration, sound range, and ringing. For example, various calibration items may be prepared to identify specific calibration items.

녹취모듈(10)은 녹음을 위한 통상의 마이크와, 녹취를 위한 녹취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ecording module 10 may include a conventional microphone for recording, a recording program for recording, and the like.

파형검출모듈(20)은, 녹취된 구간발성에 대하여 이를 파형화하여 표시한다. 파형검출모듈(20)은, 교정 도중 또는 교정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새로 녹취된 구간발성으로부터 추가구간파형을 검출한다. The waveform detection module 20 waveforms the recorded interval utterance and displays it. The waveform detection module 20 detects the additional section waveform from the newly recorded section utterance during the calibration or when the calibration is completed.

파형분석모듈(30)은, 상기 초기구간파형과 상기 모범파형의 대비 또는 상기 각 추가구간파형과 상기 모범파형을 대비할 때, 상기 교정영역별로 일치율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파형분석모듈(30)은, 모범파형의 길이, 진동수, 진폭 등을 수치화하여 상기 모범파형에 대한 상기 추가구간파형의 차이를 수치화함으로써, 피교정자가 교정의 정도는 시각적으로는 물론 수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waveform analysis module 30 may display a matching ratio for each calibration region when the initial period waveform is compared with the exemplary waveform or when the additional period waveform is compared with the exemplary waveform. That is, the waveform analysis module 30 digitizes the length, frequency, amplitude, etc. of the exemplary waveform to quantify the difference of the additional interval waveform with respect to the exemplary waveform, so that the degree of correction by the corrector is visually and numerically correc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check.

이 경우, 파형분석모듈(30)은, 상기 일치율에 따라 상기 교정영역별 교정순서에 의한 스케줄링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aveform analysis module 30 may generate the scheduling according to the calibration sequence for each calibration region according to the matching ratio and display the scheduling in the display unit 50.

즉, 파형분석모듈(30)은 상기 일치율 분석항복을 교정영역별로 구성한 후에, 각 일치율의 정도 예를들어, 일치율이 가장 낮게 나타나는 교정영역 순서대로 교정 스케줄링을 생성하여 제시할 수 있다.
That is, the waveform analysis module 30 may configure the matching rate analysis yield for each calibration area, and then generate and present the calibration scheduling in the order of the calibration areas where the match rate is lowest, for example, the degree of each matching rate.

여기서, 상기 교정영역은, 성대교정영역, 공명교정영역 및 공기압조절교정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분류될 수 있다. Here, the calibration region may be classified to include one or more of the vocal cord calibration region, the resonance calibration region, and the air pressure adjustment calibration region.

상기 성대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방법은, 성대의 반동을 이용한 진동유지법(A), 진동유지와 후두 위치 교정법(B), 후두 이완법(B-1), 진동유지와 근육이완법(C), 진동유지와 표정이완법(D), 진동유지와 자세이완법(E), 진동유지와 뇌의 인지법(F), 무의식 호흡유지와 복부 이완을 통한 횡경막 압력법(G), ' AND FOR' 성대의 중간접지 활용법(H), 흑인 보이스응용 성대의 뒤쪽 접지활용법(I), '음~' 허밍 성대의 앞쪽 접지 활용법(J), '때끼' 성문 닫기 감각법(K), 비인두강 공명감각법(L), 비강공명감각법(M), 'DREAM" 비강공명 당기기법(N), 산정상발성법(O), 롤러코스터법(P), 횡경막 공기압 강화법(Q), 공명기로 소리내법(R), 브레인 이미지 음정법(S), 'GROOVE' 연음범칙 영어권 리듬법(T), 런닝리믐법(T-1), 상황극을 이용한 4가지 전달력법(U), 모창탈비법((V)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rrection method of the vocal cord correction region includes vibration maintenance method (A), vibration maintenance and laryngeal position correction method (B), larynx relaxation method (B-1), vibration maintenance and muscle relaxation method (C), and vibration maintenance using recoil of the vocal cords. And facial expression relaxation (D), vibration maintenance and posture relaxation (E), vibration maintenance and brain cognition (F), diaphragm pressure method through unconscious breathing and abdominal relaxation (G), middle ground of 'AND FOR' vocal cord Utilization (H), black voice application of the vocal cords (I), 'Umm ~' humming vocal cords of the front application (J), 'prick' gate close sensation (K), nasopharyngeal cavity resonance (L) , Nasal Resonance Sensing (M), 'DREAM' Nasal Retracting (N), Estimation (O), Roller Coaster (P), Diaphragm Pneumatic Reinforcement (Q), Resonator (R), Brain At least one of the image pitch (S), the 'GROOVE' syllable law English-speaking rhythm (T), the running lit (T-1), the four transfer force methods (U) using the situation play, and the esoteric ratio method ((V) Can contain The.

상기 공명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법은, 비인두강 공명감각법(L), 비강공명감각법(M), 'DREAM" 비강공명 당기기법(N), 산정상발성법(O), 롤러코스터법(P), 횡경막 공기압 강화법(Q), 브레인 이미지 음정법(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libration method using the resonance calibration region, nasopharyngeal cavity resonance (L), nasal resonance sensory (M), 'DREAM' nasal resonance pulling method (N), the peak vocalization method (O), roller coaster method (P)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diaphragm air pressure strengthening method (Q), the brain image pitch method (S).

상기 공기압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방법은, 공명기로 소리내법(R), 'GROOVE' 연음범칙 영어권 리듬법(T), 런닝리믐법(T-1), 모창탈비법((V)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libration method using the pneumatic pressure correction region, resonator (R), 'GROOVE' soft-sounding English rhythm method (T), running rhythm method (T-1), stool escape ratio ((V) It may include.

이하,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보컬프랙틱을 이용한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에 적용되는 세분화된 교정법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etailed correction methods applied to the vocal training system using the vocal pract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성대의 반동을 이용한 진동유지 A. Vibration maintenance using recoil of vocal cords

이 교정법(치료법)은 피교정자가 발성을 함에 있엇 가장 중요한 성대의 운동을 관장하는 뇌가 이를 인지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정법이다. This remedy (treatment) is a correction that induces the brain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vocal cord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corrected speech.

탄성재질의 작은 공(이른 바, '얌체공')을 바닥에 튕긴 후에 공의 탄성과 반동의 모양 (시간적으로 표현하면 점차 감소하는 사인파 형상)을 뇌로 인지하는 훈련과 동시에 '아~'라는 발성을 피교정자가 공의 튕기는 타이밍에 맞추어 소리를 내는 연습을 수행한다. After throwing a small ball of elastic material (so-called 'Yamche ball') to the floor, it is trained to recognize the elasticity of the ball and the shape of the reaction (sine wave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time). The practitioner will practice sounding at the timing of the ball bouncing.

이 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바이브레이션의 연결이 반동에 의해 나오도록 연습하며, B,C,D,E,F의 교정법들이 동시에 이행될 수 있다. At this time, we practice to make the connection of vibration commonly known by reaction, and the correction methods of B, C, D, E, and F can be implemented at the same time.

이때 노래를 녹음하는 시퀀싱프로그램을 통해 목소리의 진동상태를 같이 확인하며 뇌에 현재의 소리의 상태를 알리며 이를 반복한다At this time, through the sequencing program that records the song, it checks the vibration state of the voice together and informs the brain of the current sound state and repeats it.

소리가 끊어지지 않게 되면 얌체공을 떨어뜨릴때 가속을 주고, 목소리역시 같은타이밍의 빠르기로 소리를 시작한다.If the sound is not broken, it accelerates when the ball is dropped, and the voice starts the sound with the same timing.

성대는 평상시에 후두 안에 있고 우리가 성대를 통해 소리를 낼 때 성대 외에도 어깨, 턱, 가슴, 복근, 후두 외부의 각종 근육 등 50여개의 근육들의 간섭이 동시에 시작된다. 그로 인해 가장 중요한 성대의 움직임에 대한 뇌의 인지가 매우 어렵거니와, 성대의 움직임과 후두의 움직임을 착각하게 될 확률또한 매우 높다. The vocal cords are usually in the larynx, and when we make sounds through the vocal cords, the interference of about 50 muscles, including the shoulders, jaw, chest, abs, and various muscles outside the larynx, begins simultaneously. As a result, the brain's perception of the most important movements of the vocal cords becomes very difficult, and the probability of mistaken the movement of the vocal cords and the larynx is also very high.

성대는 음파 즉 소리의 시작지점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바이브레이션이란 성대의 진동을 뜻한다. 즉 노래가 끊기는 것은 호흡이 부족해서가 아닌 바이브레이션이 끊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의 발성법은 의식적인 복식호흡을 유도하여 부자연스러운 호흡과정으로 성대의 진동상태를 더욱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The vocal cords are sound waves, or starting points of sound. Vibration, which we commonly say, refers to the vibration of the vocal cords. That is, the song is broken because the vibration is not because of lack of breathing. However, the conventional vocalization method induces conscious double breathing, which results in further disturbing the vibration of the vocal cords due to an unnatural breathing process.

성대는 횡경막에서 올라오는 공기압을 어떻게 조절하느냐에 따라 압축된 공기로 얼마만큼의 음파를 만들어 밖으로 내보내느냐를 결정짓게 되는데, 공기와 성대의 밸런스가 맞지않아 공기압이 과한 것은 수도꼭지의 수압을 종이에 대고 있는 것과 매우 흡사하다. The vocal cords determine how much sound waves are produced by compressed air depending on how the air pressure coming from the diaphragm is controlled.They are not balanced by air and vocal cords. Very similar to

반동에 의한 바이브레이션은 성대가 다른 근육에 의존하지 않고 자립적으로 소리를 이어나가는데 도움을 주고 노래를 할 때 음을 안정적이고 길게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본베이스가 된다.
Recoil vibration is the basic bass that helps the vocal cords to continue the sound independently without depending on other muscles, and helps to keep the sound stable and long when singing.

B. 진동유지와 후두 위치 교정B. Vibration Maintenance and Laryngeal Position Correction

A를 이행하며 갑상연골(아담의사과)을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턱밑 근육을 집게 손가락으로 눌러 살짝 자극을 주며 턱밑근육의 이완을 동시에 유도한다. Perform A and press the lower jaw muscle with forefinger to move the thyroid cartilage (Adam's doctor) flexibly. It stimulates the lower jaw muscle at the same time.

소리를 내는 동시에 턱밑근육을 양옆으로 이동시키며 다른 근육들의 방해가 있는지 확인하고 후두의 위치가 너무 위로 올라가거나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While making a sound, move the submandibular muscles to the sides, check for obstructions of other muscles, and make sure the position of the larynx does not go up or down too much.

P교정법(산정상 발성)을 이행하는 동시에 후두 위치를 확인하고 갑상연골(아담의 사과)의 아래쪽에 손가락을 일자로 대고, 가상의 평행선을 그으며 동시에 소리의 이동경로를 갑상 연골의 아래쪽에서 시작하도록 거울을 보며 모니터한다. 그리고 뇌에 인지가 될 수 있도록 반복 발성한다.  P-correction (calculated vocalization) is performed, the position of the larynx is confirmed, fingers are placed under the thyroid cartilage (Adam's apple) in a straight line, a virtual parallel line is drawn, and at the same time the path of sound starts from the thyroid cartilage. Monitor by looking in the mirror. And the voice is repeated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by the brain.

이는 뇌가 고음으로 갈수록 후두가 위로 올라간다고 당연히 인식을 하게 되는 일반사람들의 인식이 실제와는 매우 다르게 소리가 나고 있다는 것을 알게 하고, 실천함에 있어 귀-뇌-입에 순서로 소리가 나오는 것을 역으로 이용해 감각을 몸으로 알게 하고 뇌가 기억하여 소리를 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작업이다.This means that the perception of ordinary people, who naturally perceives the larynx as they go up at higher pitches, is sounding very differently from the real world. It is a task that induces the senses to the body and induces the brain to make a sound.

후두는 0을 가운데 기준으로 잡고 10의 이동이 가장 자연스럽게 성대를 진동할 수 있는 조건이다. 갑상연골이 위로 올라갈 때 성대는 앞으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때 적당한 팽팽함은 진동과 고음에도 탄성의 원리를 적용시켜 좋은 소리를 유지할 수 있지만 지나치게 늘어나면 진동에 방해는 물론 다른 근육들의 개입이 시작된다. The larynx is the condition where the movement of the vocal cords is most naturally possible with the movement of 10 as the center. When the thyroid cartilage rises, the vocal cords are stretched forward. At this time, the proper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vibration and treble to maintain the good sound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elasticity.

그리고 우리는 실제 똑같은 음의 소리를 낼 때에도 후두를 올렸을 때 소리가 성대를 얇게 만들었기 때문에 톤이 조금더 얇게 들리는 것을 착각하여 더 높은 음이라고 착각하는 현상까지 벌어지게 된다.
And even when we actually sound the same sound, when the larynx is raised, the sound makes the vocal cords thinner, so we think that the tone is a little thinner, and we think that it is higher.

B-1. 후두 이완 B-1. Larynx relaxation

후두 이완을 돕기 우해 후두 바깥쪽을 손가락으로 마사지하듯 양 옆으로 자극을 준다. 턱의 이완을 돕기 위해 턱쪽 근육을 손가락으로 마사지 하듯 양 옆으로 자극을 준다. 이 때 너무 강하게 해서는 안되며, 고개를 흔들때 이완되는 때를 노려 서서히 압박하며 자극을 준다. Helps to relax the larynx Provoke stimulation to the sides as if you massage the outside of the larynx with your fingers. To help the jaw relax, stimulate the jaw muscles with your fingers as you massage them from side to side. Do not be too strong at this time, and slowly squeeze the stimulus to relax when you shake your head.

원리는, 소리를 내는 순간 동시에 후두 바깥쪽과 고개를 동시에 흔들며 이완하며 소리를 내게 되며, 성대의 활동의 감각을 후두 바깥쪽 이완과 동시에 뇌가 순간 인지하게 되어 그 기억으로 소리를 내고 이것은 평생의 습관도 바꿀만큼 효과적이며, 한번 시술시 마다 조금씩 변화를 보이며 100% 중에 30%는 본래로 돌아가게 된다. The principle is that at the same time, the outside of the larynx and the head are relaxed and relaxed at the same time as the sound is made, and the sense of the vocal cords is relaxed at the same time as the outside of the larynx. It is effective enough to change habits, and it changes little by little at each procedure, and 30% of 100% will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즉, 매회 시술시마다 70%씩 성장하게 된다는 것이며, 이렇게 조금씩 시술을 거듭하게 되면 고음을 내는 것이나, 발성을 하는 것 자체가 점점 편해지며, 심지어 말하는 목소리까지 단번에 변화가 가능하다. In other words, each procedure will grow by 70%, and this little bit of the procedure over and over again, making a high pitched voice, the voice itself becomes more comfortable, even the voice can be changed at once.

이는, 흔히 목에 힘이 들어간다고 하는 경우는 후두 바깥쪽 근육이 문제이며, 후두 바깥쪽 근육의 간섭으로 인해 성대의 원활한 진동에 방해를 받기에 이를 해결하여 목에 힘이 빠진 상태로 노래를 부르도록 해준다.
This is often the case that the neck muscles are a problem, the outside muscles of the larynx, and the interference of the muscles of the outside of the larynx is disturbed by the smooth vibration of the vocal cords, so that they can sing while the neck is weak. Do it.

C. 진동유지와 C. vibration and 근육이완Muscle relaxation

이 교정법은 진동을 유지하며 턱밑의 근육을 손가락으로 잡고 이완시키며, 손을 이용하여 이마, 미간, 양볼, 어깨 등의 움직임을 이완시킨다. This method maintains vibration and holds the muscles under the chin with your fingers to relax and use your hands to relax your forehead, forehead, double cheeks, and shoulders.

인중은 손가락으로 소리를 내는 동시에 근육의 경직을 이완시켜, 경직되었을 때와 이완 시켰을때의 소리를 거울로 비교하게 하여 이완시켰을 때의 소리를 반복함으로써 뇌에서 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 Injung makes sounds with fingers and at the same time relaxes muscle stiffness, allowing the brain to memorize by repeating the sounds when relaxed by comparing them with mirrors.

혀는 R발음을 내도록 유도하는 것을 통해 치아에 붙지 않도록 유도하고, '메롱' 할 때와 같이 혀를 내밀며 이완되어 있는 상태에서 소리의 변화를 인지하도록 해준다. 결과적으로 입 안쪽에서 혀가 내밀어져 있는 상태와, 이완된 상태, 그리고 치아에 붙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유도한다.
The tongue induces the R to make it stick to the teeth, and sticks out the tongue as if it were 'meaning' and recognizes the change in sound in a relaxed state. As a result, the tongue is pushed out of the inside of the mouth, relaxed, and sticks to the teeth.

D. 진동유지와 표정이완 D. Maintain vibration and relax facial expression

이 교정법은 전화할 때처럼 상황극을 연출하여 실제 전화를 받는 것처럼 하고, 전화할 때의 표정을 거울을 통해 기억할 수 있도록 하며, 진동을 할 때에도 전화할 때의 표정과 같은 표정이 나오게 하여 성대의 진동을 소리낼 때 준비없는 시작을 함으로 인해 표정 근육들의 방해를 받지 않고 성대의 원활한 진동을 유도하게 한다.
This corrective method creates a situational drama like when you are on the phone, so that you can remember the face of the phone through the mirror, and when you vibrate, the face is the same as when you are on the phone. The unprepared start of sounding the sound causes the smooth vibration of the vocal cords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facial muscles.

E. 진동유지와 자세이완 E. Vibration Maintenance and Posture Relaxation

이 교정법은, 진동을 유지한 상태로 걷고, 앉았다 일어나기를 반복하며, 고개를 숙이는 자세 등 평상시에 무의식 중에 말할 때의 편한 자세를 취하게 하여 경직된 자세로 인해 성대의 진동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제거하도록 한다.
This corrective method allows the user to walk comfortably in normal unconsciousness, such as walking, sitting and waking up with vibrations, and bowing down to remove the elements that obstruct the vibration of the vocal cords due to the rigid posture. do.

F. 진동유지와 뇌의 인지 F. Vibration Maintenance and Brain Perception

이 교정법은, 자신의 소리가 어떻게 나오는지에 대해 실시간 시퀀싱프로그램(컴퓨터로 노래를 녹음하며 파형을 볼 수 있는 프로그램)과 거울을 이용해 모니터하고, 끊어지는 진동과 지속되는 진동의 차이점을 인지하여 이를 교정한다.
This calibration monitors how your sound is produced using a real-time sequencing program (a program that allows you to record songs on your computer and view waveforms) and mirrors, and recognizes and corrects the difference between a broken and sustained vibration. do.

G. 무의식 호흡유지와 복부 이완을 통한 횡경막 압력 G. Diaphragm Pressure Through Unconscious Breathing and Abdominal Relaxation

이 교정법은, 기존의 발성은 '호흡(의식)-배에서 올라옴- 입밖으로 나감'의 이미지를 통해 발성을 하게 되므로, 발성을 하는데에만 3단계나 생각하게 되고 이로인해 다른 근육의 개입 및 발성의 딜레이 등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In this correction method, the existing vocaliz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image of 'breathing-coming out of the stomach-out of the mouth'. This is to eliminate many side effects such as delays.

기존 발성에 있어서, 횡경막에 억지로 압력을 가하는 것은 지나친 압력으로 인해 성대가 공기의 저항을 이기지 못하고 쉽게 풀려버리는 결과를 초래하여 다른 근육에 힘이 들어가게 되고, 음이탈이 나는 등 발성의 악순환을 만들게 되었다. In conventional vocalization, forcing pressure on the diaphragm causes excessive pressure to release the vocal cords easily, not to overcome the resistance of the air, and to force other muscles, creating a vicious cycle of vocalization such as deviating. .

인간 신체의 앞면과 뒷면을 생각해 볼때, 횡경막의 압력은 인간 신체의 앞면을 자연스럽게 의식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인간 신체의 뒷면의 괄약근에 CD 케이스(보조 부재)를 이용해 CD가 떨어지지 않도록 힘을 준 상태에서 소리를 냄으로써, 신체 앞쪽(횡경막)에 긴장이 이완되어 적당하고 필요한 만큼 스스로 횡경막이 알아서 공기압을 만들어 낼 수 있게 한다. Considering the front and back of the human body, the diaphragm pressure is naturally conscious of the front of the human body. Therefore, by using a CD case (supplemental member) to the sphincter muscles on the back of the human body to make a sound in a state where the CD is prevented from falling, the tension is relaxed in front of the body (diaphragm), and the diaphragm itself takes care of air pressure as needed. To make it.

이와 더불어, '성대의 감각을 인지하고 바로 입 밖으로 나간다'라는 단순한 의식을 갖게 됨으로써 말할때처럼 자연스러운 발성도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imple consciousness of 'recognizing the sense of vocal cords and going out of the mouth' makes it possible to speak naturally.

H. <H. < ANDAND FORFOR > 성대의 중간접지 활용 > Middle ground of vocal cords

이 교정법은 'AND FOR"를 발음하는 오디오파일을 미리 녹음하여 저장해두고, 피교정자가 상기 오디오파일과 같은 소리를 따라하는 교정법이다. This calibration method pre-records and stores an audio file that pronounces 'AND FOR', and is a calibration method in which the corrector follows the same sound as the audio file.

이는 성대의 성문에 어떤 면적의 울림을 이용하느냐를 반복적으로 연습함으로써 피교정자가 이를 감각적으로 기억하게 한다. This allows the corrected person to sensibly remember this by repeatedly practicing what area the echo of the vocal cords uses.

갈라지는 소리는 성대의 성문이 상호 접지가 잘 되지 않는 부분이므로 앞에서 나왔던 C,D,E의 교정법을 중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 sound of splitting is a part of the gates of the vocal cords that are not well grounded, so it is possible to repeat the correction method of C, D and E.

I. 흑인 I. Black 보이스응용Voice application 성대의 뒤쪽 접지 활용  Utilization of the vocal cord's back ground

이 교정법은, 실제 흑인의 목소리를 녹음한 오디오파일을 이용한다. 흑인들은 성대의 성문 뒤쪽을 활용해 소리를 내므로, 피교정자가 이 샘플을 직접 듣고 반복적으로 따라하며 성대의 뒤쪽을 활용하는 연습을 한다. This correction uses audio files that record real black voices. Black people use the back of the vocal cords to make sounds, so the instructor listens to this sample and repeats the exercises and uses the back of the vocal cords.

이 교정법에서 유의할 것은, 소리를 낼 때, 어떠한 근육의 방해가 없는 상태에서 성대의 진동소리를 냈을 때 갈라짐이 있다면, 이는 성문의 접지가 되는 않는 면적이므로 갈라짐을 자연스럽게 유지하며 갈라짐이 없어질 때까지 이완된 상태로 소리를 내준다. 이 때 C,D,E 교정법에 의한 근육의 이완을 반드시 체크해야한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f there are any cracks in the sound of the vocal cords when the sound of the vocal cords is released without any muscle obstruction, this is an area that is not the ground of the gate, so that the cracks are naturally maintained until the cracks disappear. Sounds relaxed. At this time, muscle relaxation by C, D, E correction method must be checked.

J. 음~음 허밍 성대의 앞쪽 접지 활용 J. Leveraging the front ground of the um-umb humming vocal cords

이 교정법은 I 교정법과 유사하게, 성대의 성문 앞쪽을 활용하는 연습니다. 이 경우에도 C,D,E 교정법에 의한 근육의 이완상태를 반드시 체크하여야 한다.
This correction uses the front of the vocal cords, similar to the I correction. In this case, the relaxation state of muscles by C, D, E correction method must be checked.

K. K. 때끼Squeak (성문  (castle gate 닫기감각Close up ) )

이 교정법은, 성대의 성문을 닫았을 때의 감각을 익히게 할 수 있으며, '때~끼'라는 소리 이후에 끼~ 라는 소리를 이어서 내며 성문을 닫았을 때의 감각을 익히게 한다.
This corrective technique can be used to learn the sensation of closing the gates of the vocal cords, and then to the sense of closing the gates with the sound of squeak after the sound of 'time ~ ki'.

L. L. 비인두강Nasopharynx 공명감각  Resonance

이 교정법은, 주먹을 쥔 상태에서 접혀져 있는 가운데 손가락을 내밀도록 한다. 접혀진 가운데 손가락을 치아 사이에 낀 후 이완된 상태로 입을 벌리도록 한다. 거울로 동시에 모니터하며 볼을 기준으로 안쪽으로 45도 사선 위로 새끼 손가락에 옆 부분을 접지한다. This corrective technique allows the middle finger to stand out with the fists folded. Put your folded middle finger between your teeth and open your mouth in a relaxed state. Simultaneously monitor with a mirror and ground the side to your pinky on a 45-degree diagonal line inwardly from the ball.

소리를 내게 하고 동시에 거울에 옆모습을 비추게 하여 소리의 이동경로를 뇌에 인지시킨다. 그곳은 인두강 위쪽이며 그곳을 공명시켜 주도록 한다. 이로인해, 고음에서 소리를 낼 대 공명하는 위치가 정확히 어디인지 뇌가 인식하도록 한다.
At the same time, sound is reflected in the mirror and the path of sound is recognized by the brain. It is above the pharynx and resonates there. This allows the brain to recognize exactly where the resonance should be at high frequencies.

M. M. 비강공명감각Nasal resonance

이 교정법은, '잉잉' 소리를 내며 상악동에 소리를 울려준다. 이 때, 두 손가락을 htkddkr동 위치를 집어주며 손가락의 위치를 보고 소리를 상악동 쪽으로 유도한다. 이 때, 인중 근육이 살짝 위로 올라가도록 해준다. 이 경우에도 근육이 이완된 느낌으로 내준다. This corrective method sounds a 'ying' and sounds the maxillary sinus. At this time, htkddkr put two fingers in the position and see the position of the finger to guide the sound to the maxillary sinus. At this time, let the muscles slightly lift up. Even in this case, the muscles feel relaxed.

손가락으로 인중 근육을 살짝 밀어올려 이완과정을 돕는다.
Use your fingers to gently lift your muscles to help you relax.

N. <N. < DREAMDREAM > > 비강공명당기기Nasal Resonance Puller

이 교정법은, 'DREAM' 소리를 내며 상악동을 울리는 동시에 인중 근육과 광대 근육의 움직임을 손가락을 이용해 움직여 준다. This method uses the fingers to move the muscles of the human muscles and the cheekbones while simultaneously ringing the maxillary sinus with a 'DREAM' sound.

동시에 성대가 살짝 당겨지며 팽팽해지고 고음을 내는데 유리한 성대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At the same time, the vocal cords are pulled slightly, taut, and the state of the vocal cords, which is advantageous for producing high pitches, can be recognized.

O. O. 산정상발성Estimation (진성베이스 (Intrinsic base LongLong ToneTone ) )

이 교정법은, 갑성연골 아래 부분에 손가락을 대고, 소리를 시작하는 동시에 소리가 갑성 연골 아래 부분에서 시작한다는 이미지를 뇌에 알리도록 손가락을 댄 지점으로부터 45도 아래족으로 사선을 그으며 소리의 도착지점을 아래로 인식시켜준다. This method involves placing a finger on the lower part of the cartilage, starting the sound, and diagonally 45 degrees below the point where the finger is pressed to inform the brain that the sound begins at the lower part of the cartilage. Recognize down.

그리고 높은 산에 올라가 산 위 정상에서 함성을 외칠 때처럼 왼손과 오른손을 입 주변으로 모아 '야~호'를 외친다. And as he climbs up a high mountain and shouts at the top of the mountain, he gathers his left and right hands around his mouth and shouts 'ya ~ ho'.

우리가 소리를 크게 내려할 때 고개가 위로 올라가거나 후두가 위로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하게 위해 아래를 내려다보는 이미지를 유지하며 거울을 보고 후두의 위치도 동시에 파악한다. When we lower the sound, we look down in the mirror and identify the larynx at the same time, keeping the image looking down to prevent the head from going up or the larynx going up.

산정상발성은 우리가 낼 수 있는 저음 베이스의 소리를 다른 근육의 간섭없이 낼 수 있도록 유도해 준다.
Estimation leads us to the low bass sounds we can produce without the interference of other muscles.

P. 롤러코스터(진성베이스 Long Tone )
P. Roller Coaster (Intrinsic Base Long Tone )

이 교정법은, 오른팔을 지면과 수평이 되게 올린다음 '아~'의 음정을 위에서 아래로 살짝 내려가게 설정한 다음 손의 모양 역시 위에서 45도 사선 아래로 다운되는 동작을 설정해준다. This correction raises the right arm horizontally to the ground, sets the pitch of 'ah' down slightly from top to bottom, and then sets the shape of the hand to be 45 degrees down from the top.

이 때, 30M 정도의 거리를 빠르게 걸음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롤러코스터가 내려올 때의 가속으로 동시에 소리를 내며 소리가 나올때까지 그대로 유지하게 한다. At this time, the distance of about 30M to move quickly to the pace when the roller coaster descends at the same time to make a sound and keep it until the sound comes out.

순간 뇌의 신경이 소리보다 움직임에 먼저 반응하게 될 때 소리를 길게 내기 위해 준비하는 동작이 없어지게 되며, 준비 없는 동작으로 시작된 소리는 성대주변의 불필요한 근육들의 간섭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해준다. When the nerves in the brain respond to movements earlier than the sound, there is no action to prepare for a long sound, and the sound, which begins with no preparation, helps to avoid the interference of unnecessary muscles around the vocal cords.

30M 정도를 같은 방법으로 여러 번 왕복하게 되면 음의 길이는 더욱 길어진다. 롤러코스터는 기본 베이스의 소리를 길게 유지시켜주는 방법이다. If you make a round trip around 30M in the same way, the length of the note becomes longer. The roller coaster is a way to keep the sound of the basic bass long.

소리를 길게 내려고 할 때, 이미 준비동작 동안 긴 음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공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자신도 모르게 들숨을 크게 할 확률이 높다. 이에 쓸데 없는 근육들의 긴장이 같이 동반되고 소리는 오히려 불안하고 짧게 끊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런 문제점을 본 교정법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When you try to lower the sound, you already think you need a lot of air to keep the long sound during the warm up, so you are more likely to inhale. This is accompanied by the tension of the useless muscles, the sound is rather uneasy and mostly short. This problem can be solved through this calibration method.

Q. 횡경막 공기압 강화
Q. Diaphragm Air Pressure Enhancement

이 교정법은, 하기와 같은 3단계로 수행된다. This calibration is carried out in three steps as follows.

1단계 : 일어선 자세에서 벽에 토구를 붙게 한 다음, 토구 앞에 배를 대고 벽쪽으로 등을 살짝 밀어준다. 이 때, 등을 서서히 압박하면 벽 쪽에서 밀어내는 힘과 등쪽에서 밀어내는 힘이 동시에 배를 압박하게 된다. 이 때, '츠' 라는 소리와 함게 호흡을 서서히 빼준다. 호흡이 끝날때 까지 등쪽에서 서서히 밀어준다.
Step 1: In a standing position, place a toe on the wall, then place your boat in front of the toe and push your back slightly toward the wall. At this time, if the back is pressed slowly, the force pushed from the wall side and the force pushed from the back side press the stomach simultaneously. At this time, with the sound of 'tsu' slowly breathe out. Slowly push on your back until you stop breathing.

*2단계 : 요가 매트 위에 엎드린 자세에서 토구를 배에 깔아둔다. 이 때, 양쪽 팔꿈치와 발끔으로 지지하게 하며 위와 마찬가지로 '츠~'라는 소리와 함게 호흡을 서서히 빼도록 한다. * Step 2: Lay down your toe on your stomach while lying on the yoga mat. At this time, both elbows and feet to support, as above, with the sound of 'tsu ~' to slowly remove the breath.

3단계: 요가 매트 위에 다리를 펴고 앉아서 '열중 쉬어' 자세를 시킨 상태로 다리를 지면에서 떨어지도록 한다. 이때 엉덩이로 중심을 잡고 복부에 압박을 약간 주게하여 중심을 제대로 잡을 수 있도록 유지하며, 그 상태로 '아' 소리를 짧게 끊어 스타카토로 내는 것과 소리르 길게 내는 것을 병행하며 이행한다. 이 때, 몸과 다리가 V자의 각도로 점점 멀어지도록 등과 다리를 잡고, 그 이후에는 다리만 잡고, 그 이후에는 보조 없이 스스로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Step 3: Sit your legs down on the yoga mat and keep your legs off the ground with the `` rest up '' position. At this time, the center is held by the hips and the pressure is slightly applied to the abdomen to maintain the center properly. In this state, the sound of the 'ah' is shortly cut out and a staccato is made in parallel. At this time, hold the back and legs so that the body and legs are farther away at the angle of the V-shape, and after that, only the legs, and afterwards guides them to center themselves without assistance.

이 교정법은 큰 공기압을 이용해 큰 소리르 만들어 낼 수 있게 하며, 가창력에 있어 크고 풍부한 울림을 만들어 내는 데에도 중요한 치료법이다. 하지만 공기압을 지탱할 수 있는 성대의 저항력이 부족하다면 성대가 큰 공기압을 저항할 수 있는 힘이 없기 때문에 개개인 마다의 저항력을 인지해야하는 것은 물론 횡격막의 압력과 성대 저항의 밸런스를 맞춰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This method allows you to produce loud sounds using large air pressures, and is also an important treatment for producing loud and plentiful ringing in singing. However, if the resistance of the vocal cords to support the air pressure is insufficient,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vocal cords are not able to withstand the large air pressure, so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resistance of each individual and to balance the diaphragm pressure and the vocal resistance.

R. 공명기로 소리내기
R. Shouting with a resonator

이 교정법은, '이'를 소리낼 대의 입모양으로 모든 가사의 발음을 낼 수 있도록 한다. '이'라는 소리를 발음했을 대 영어와 한글의 차이는, 영어발음에서는'i', 한글발음에서는 '이'로 표현되는 데, 이는 피상적으로는 같은 소리처럼 들리지만 명확히 다르다. This correction allows you to pronounce all the words in the shape of the mouth of the tooth. The difference between English and Hangul is pronounced 'i' in English and 'I' in Korean, which sounds superficially the same but is clearly different.

한글발음에 '이'는 성대의 진동보다는 턱 근육과 후두 주변 근육, 입 주변 근육들의 개입이 강하다. 그래서, 흔히 최종적으로 입 밖으로 나가기 전에 마지막으로 거치는 발음이 근육들을 이용한다. 하지만, 영어발음의 'i'는 한글의 '이'와는 다른 차이를 보인다. 즉, 한글발음 '어', '에', '오', '우' 등 모든 입모양으로 영어발음 'i'를 발음할 수 있다. 이는 성대의 진동과정을 방해받지 않는 상태에서 동시에 공명기로 소리를 완성하였기 때문이다. 'I' in Hangeul pronounced stronger intervention of jaw muscle, larynx muscle and mouth muscle than vibration of vocal cord. Thus, the last pronunciation often used before finally going out of the mouth uses muscles. However, 'i' in English pronunciation is different from 'i' in Korean. That is, the English pronunciation 'i' can be pronounced in all mouth shapes, such as Korean pronunciation 'er', 'e', 'o', and 'woo'. This is because the sound was completed by a resonator at the same time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vibration process of the vocal cords.

공명하는 과정에도 성대 이외의 많은 근육들이 개입되는데, 진동과정을 방해하는 근육들의 개입이 강해지면 강해질수록 공명기로만 소리를 내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영어와 노래는 비슷한 발성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Many muscles other than the vocal cords are involved in the resonance process, and the stronger the intervention of the muscles that interfere with the vibration process, the harder it becomes to resonate only with the resonator. Considering this, we can see that English and singing are similar utterances.

따라서, 본 교정법에서는 한글의 모든 발음을 'LM'에 대입시켜 'LM'의 공명기로 소리를 유도하는 것이다.
Therefore, in this correction method, all the pronunciations of Hangeul are substituted into 'LM' to induce sound with the 'LM' resonator.

S. 브레인 이미지 음정
S. Brain image pitch

보통 음정 연습을 위해 스케일 연습을 한다. 반복적으로 여러 음정을 내다보면 음감이 조금씩 몸에 익혀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음감이 없는 사람에게는 그 스케일을 내는 것조차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런 행위를 반복하는 것은 그냥 될 때까지 연습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 Usually you'll practice scale for pitch practice. If you repeatedly look at the various pitches, the pitch will gradually become familiar with your body. But even for those who don't have pitch, it's very difficult to scale it. Repeating this behavior has no choice but to practice until it is done.

하지만, 브레인 이미지 음정은 음정의 이미지화를 통해 올바른 음정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피아노의 건반을 살펴보면, 도-도#-레-레#-미-파-파# 등으로 건반이 배열되어 있다. 음표로는 표기할 수 없지만 도-도# 사이에도 무수히 많은 음들이 존재하며, 레-레# 사이에도 무수히 많은 음들이 존재한다. However,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correct pitch through brain image pitch. Looking at the keyboard of the piano, the keys are arranged in a do-do # -le-le # -me-wave-par # and the like. There are countless notes between Do-do # and countless notes between Le-Le #.

노래를 부르다보면 음정만 음정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기타 튜닝을 할 때 우리는 조금씩 음정을 맞추어간다. 튜닝되지 않은 소리도 소리라는 것을 간과하고 있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When I sing, I think the pitch is the pitch. When we tune to the guitar, we tune in little by little. This is caused by overlooking that untuned sounds are also sounds.

만약 '도'를 '도#'에 가까운 '도'로 소리를 내고, '레'를 '레#'에 가까운 소리로 이어간다면 음정이 '시'에 가까워진다거나 '도#'에 가까워지며 플랫되는 현상은 없게 되며, 이것을 노래에 대입시키면 모든 음정에 #에 가까운 소리르 유도해 음정이 플랫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If the sound of 'do' turns to 'do' close to 'do #' and 'le' close to 'le #', then the pitch is closer to 'hour' or closer to 'do #'. The phenomenon is eliminated, and substituting it into a song can improve the flatness of the pitch by inducing a sound close to # in every pitch.

또한, 고음으로 갈때 후두의 위치를 내려주면 음정도 낮아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는 대부분 사람들의 귀가 높은 주파수에 예민하고 고음은 얇아진다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므로 후두가 위로 당겨졌을때 살짝 얇아진 성대의 소리를 고음소리로 착각을 하게되는 현상이다. 이런 음정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후두를 내린 상태에서의 음정과 후두를 올린 상태에서의 음정이 결국 같은 음이라는 것을 인지시켜주어야 하는데, 이 때 시퀀싱 프로그램(노래 녹음과 파형을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같은 음이라는 것을 인식시키고 개선할 수 있다.
Also, when you go to the treble, the position of the larynx is lowered most of the pitch. This is a phenomenon in which most people's ears are sensitive to high frequencies and the treble is thinned, so that when the larynx is pulled up, the sound of the thinned vocal cords is mistaken as treble. In order to treat such pitche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pitch in the larynx and the larynx in the laryngeal state are the same notes, and then through the sequencing program (a program capable of viewing song recordings and waveforms). Recognize and improve sound.

T. Groove 연음법칙 영어권 리듬
T. Groove English Law Rhythm

'GROOVE'는 자신만의 자연스런 리듬감각을 뜻하며, 메트노롬의 박자보다 메트로놈을 만든 인간의 박자가 훨씬 정확하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리듬감각이다. 이제까지 한국인들의 리듬은 서양인, 흑인 등 영어권 사람들과 매우 다른 타이밍에 리듬을 타고 있었으며, 특히 드럼 비트를 따라가며 타는 리듬은 노래의 흐름을 끊어지게 하였고 무반주로 노래할 때 역시 속도의 흐름도 들쑥날쑥하여 느낌이 이어지지 못하였다. 'GROOVE' means your own natural rhythmic sense, and it is a rhythmic sense that lets you know that the beat of the man who made the metronome is more accurate than the beat of Metnorom. The rhythms of Koreans have been rhythmically different from those of English-speaking people such as Westerners and blacks, and the rhythms that follow the drum beat cut off the flow of the song. It could not be followed.

이것은 언어에도 영향이 있으며, 영어라는 언어가 연음법칙과 그루브를 가지고 있는 반면, 한글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 그 원인이다. This also affects the language, because the English language has a consonant law and a groove, while the Korean language does not.

이 그루브는 악기연주(피아니스트가 고개를 원형으로 돌리며 피아노를 치는 행위) 혹은 영어, 걸음 등 우리의 모든 일상에도 존재한다. This groove is also present in all of our everyday lives, whether it's instrumental performances (pianists turning their heads in a circle and playing the piano), or English, or walking.

특히, 노래의 리듬에 적용될 경우 시간차를 뇌로 인지하고 몸으로 기억하여 연음이 되게 하며, 노래의 흐름이 끊기는 현상이 생기지 않으며 어떤 리듬의 곡도 자신의 리듬대로 완벽히 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음을 밀고 당기는 것도 사실 이 그루브 리듬을 하게되면 해결되는 것이며, 가사의 전달력 역시 음절의 길고 짧음을 관장함으로써 말을 하듯이 노래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운동치료를 통해 몸이 이를 기억하게 한다. In particular, when applied to the rhythm of the song, the time difference is recognized by the brain and the body is remembered to be a soft tone, and the flow of the song does not occur, and any rhythm song can be perfectly digested according to its own rhythm. Pushing and pulling the sound is actually solved by this groove rhythm, and the power of lyrics can be expressed as a song by speaking the length and shortness of the syllable. Exercise will help your body remember it.

치료방법은, Treatment method,

1단계: 왼쪽다리를 어깨넓이 만큼 앞으로 벌리고, 오른쪽 팔에 남자는 2kg 여자는 1kg의 아령을 잡게 한다. 놀이동산에서 흔히 '바이킹'이라 불리는 놀이기구의 원리로 아령을 살짝 들어올리게 한다음 올라감과 내려옴을 반복하며 노래를 연음으로 이어가게 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팔에 힘을 빼고 중력과 원심력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Step 1: Spread your left leg forward to the width of your shoulders, and have your right arm hold a 2kg woman hold a 1kg dumbbell. In the amusement park, the principle of rides, commonly referred to as 'Viking', is to lift the dumbbell slightly and then repeat the ascension and descending to continue the song. Note that you should use your gravity and centrifugal force without depressing your arm.

2단계: 1단계의 느낌을 걸음에 대입시켜 걸음이 큰 원을 그리며 게속 이어지도록 하고, 걸음을 이용해 연음법칙을 이어가며 노래를 끊어지지 않도록 실습한다. Step 2: Assign the feeling of step 1 to the steps so that the steps continue in a large circle, and practice the steps to keep the song from breaking.

이 걸음의 타이밍을 뇌가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반복하며, 걷지 않을 대에도 걸을 때의 감각과 타이밍을 이용해 리듬을 자연스럽게 이어 나갈 수 있다. The timing of this step is repeated so that the brain can fully recognize it, and even when you are not walking, you can continue the rhythm naturally by using the sense and timing of walking.

어떠한 리듬의 곡도 약감의 속도 차이를 보일 뿐 이 법칙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Any rhythm song only shows the difference in velocity and does not deviate from this law.

T-1. T-1. 런닝리듬Running rhythm

런닝리듬은, 메트로놈의 BPM을 런닝리듬의 속도에 대입시켜 원하는 곳의 리듬을 걸음의 감각으로 이해할 수 있게함으로써 런닝머신 종료후에도 그 속도의 감각을 걸음으로 이어 노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Running rhythm replaces the metronome's BPM with the speed of the running rhythm so that the rhythm of the desired place can be understood as a sense of walking so that the sense of speed can be applied to the song after the treadmill is finished.

U. 상황극을 이용한 4가지 전달력
U. 4 delivery powers using situation play

이 교정법은, 예를 들어, 국어책을 읽고 있는 느낌의 상황극, 나레이션을 하고 있는 느낌의 상황극, 뮤지컬을 하고 있는 느낌의 상황극, 기존 노래를 부르는 느낌의 상황극 등을 통하여 가장 이상적이고 자연스러운 전달력을 구사할 수 있다. This corrective method, for example, provides the most ideal and natural delivery power through the contextual drama of the feeling of reading a Korean book, the drama of the feeling of narration, the drama of the feeling of musical, and the context of the feeling of singing existing songs. I can speak it.

가사를 분석하고 이해하며, 각 상황극의 느낌을 충분히 연습하고 포커스를 뮤지컬과 기존 노래의 중간에 해당하는 상황극 느낌에 맞춰 노래의 자연스런 전달력을 연출한다.
It analyzes and understands the lyrics, practices the feelings of each situational drama, and directs the song's natural delivery power to match the focus of the situational drama between the musical and the existing song.

V. 모창탈피
V. Molestation

대부분 자기 목소리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가수의 목소리가 뇌에 각인되어 있다. 그로 인해 노래를 부를 때, 나에 초점이 맞춰진 진동과 공명이 아니라 흔히 말하는 가수들의 모창을 하게 된다. Most people who do not recognize their voice accurately have the singer's voice imprinted on the brain. As a result, when I sing, I do not speak of vibrations and resonances focused on me, but instead of speaking with singers.

목소리와 가수의 음악이 동시에 뇌에 입력되므로 자신의 목소리로 노래를 부른다느 것에 대한 느낌을 전혀 알 수 없다. Since the voice and the singer's music enter the brain at the same time, you never know how you feel about singing in your own voice.

하지만, L,M,O 의 공명기의 느낌으로 그대로 노래를 부르고, 시퀀싱프로그램으로 녹음하여 모니터하고 모창을 할 때의 목소리와 공명기에 가사를 대입한 목소리의 차이를 충분히 인지하며 자신의 공명기의 톤을 그대로 살려 노래를 하게 되면, 어떤 음을 들어도 자신의 목소리로 재해석해 노래를 부를 수 있게 된다. However, she sings the song with the feeling of the resonators of L, M, and O, and is fully awar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ice when recording and monitoring and speaking with a sequencing program and the voice inserted into the resonator. If you sing as you live, you will be able to reinterpret your voice in any way you can.

1 :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
10 : 녹취모듈 20 : 파형검출모듈
30 : 파형분석모듈 40 : 저장부
50 : 디스플레이부
1: Vocal Training System
10: recording module 20: waveform detection module
30: waveform analysis module 40: storage unit
50:

Claims (7)

설정된 샘플링구간에 대해 피교정자의 노래 또는 낭독에 의한 구간발성을 녹취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에 녹취모듈과;
상기 녹취모듈에서 녹취된 구간발성을 파형화하여 초기구간파형으로 검출하는 파형검출모듈과;
상기 샘플링구간에 대한 숙련자의 구간발성에 의한 모범파형을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초기구간파형과 대비하여 표시하는 파형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교정영역에 대한 교정이 진행 중 또는 수행이 완료된 복수의 시점에서 상기 샘플링구간에 대한 상기 피교정자의 추가구간발성을 녹취하여 추가구간파형으로 검출한 후 상기 초기구간파형 및 상기 모범파형과 분석 대비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으로써, 피교정자가 교정정도 및 교정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컬프랙틱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
A recording module for recording and storing the section utterance by the song or reading of the corrector for the set sampling section;
A waveform detection module configured to waveform the interval vocalization recorded by the recording module and detect the waveform as an initial section waveform;
And a waveform analysis module extracting exemplary waveforms of the skilled person's interval utterance for the sampling interval from the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waveforms in comparison with the initial interval waveforms.
At the plurality of time points during which the calibration region is in progress or the completion of the execution, the additional section waveform of the corrected person is recorded in the sampling section and detected as an additional section waveform, and then compared with the initial section waveform and the exemplary waveform.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unit, thereby allowing the corrected person to visually recognize the degree of correction and whether or not it is corr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영역은, 성대교정영역, 공명교정영역 및 공기압조절교정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프랙틱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alibration region is classified into one or more of the vocal cord calibration region, the resonance calibration region and the air pressure control calibration reg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vocal practice vocal training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분석모듈은, 상기 초기구간파형과 상기 모범파형의 대비 또는 상기 각 추가구간파형과 상기 모범파형을 대비할 때, 상기 교정영역별로 일치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프랙틱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waveform analysis module, when the contrast between the initial interval waveform and the exemplary waveform or the contrast between each additional interval waveform and the exemplary waveform, the vocal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vocal pract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matching ratio for each calibration reg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분석모듈은, 상기 일치율에 따라 상기 교정영역별 교정순서에 의한 스케줄링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프랙틱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waveform analysis module is a vocal practice vocal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scheduling according to the calibration sequence for each calibration area according to the matching rate and display on the displa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대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방법은, 성대의 반동을 이용한 진동유지법(A), 진동유지와 후두 위치 교정법(B), 후두 이완법(B-1), 진동유지와 근육이완법(C), 진동유지와 표정이완법(D), 진동유지와 자세이완법(E), 진동유지와 뇌의 인지법(F), 무의식 호흡유지와 복부 이완을 통한 횡경막 압력법(G), ' AND FOR' 성대의 중간접지 활용법(H), 흑인 보이스응용 성대의 뒤쪽 접지활용법(I), '음~' 허밍 성대의 앞쪽 접지 활용법(J), '때끼' 성문 닫기 감각법(K), 비인두강 공명감각법(L), 비강공명감각법(M), 'DREAM" 비강공명 당기기법(N), 산정상발성법(O), 롤러코스터법(P), 횡경막 공기압 강화법(Q), 공명기로 소리내법(R), 브레인 이미지 음정법(S), 'GROOVE' 연음범칙 영어권 리듬법(T), 런닝리믐법(T-1), 상황극을 이용한 4가지 전달력법(U), 모창탈비법((V)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프랙틱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correction method of the vocal cord correction region includes vibration maintenance method (A), vibration maintenance and laryngeal position correction method (B), larynx relaxation method (B-1), vibration maintenance and muscle relaxation method (C), and vibration maintenance using recoil of the vocal cords. And facial expression relaxation (D), vibration maintenance and posture relaxation (E), vibration maintenance and brain cognition (F), diaphragm pressure method through unconscious breathing and abdominal relaxation (G), middle ground of 'AND FOR' vocal cord Utilization (H), black voice application of the vocal cords (I), 'Umm ~' humming vocal cords of the front application (J), 'prick' gate close sensation (K), nasopharyngeal cavity resonance (L) , Nasal Resonance Sensing (M), 'DREAM' Nasal Retracting (N), Estimation (O), Roller Coaster (P), Diaphragm Pneumatic Reinforcement (Q), Resonator (R), Brain At least one of the image pitch (S), the 'GROOVE' syllable law English-speaking rhythm (T), the running lit (T-1), the four transfer force methods (U) using the situation play, and the esoteric ratio method ((V) Containing Vocal training system by vocal practice,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법은, 비인두강 공명감각법(L), 비강공명감각법(M), 'DREAM" 비강공명 당기기법(N), 산정상발성법(O), 롤러코스터법(P), 횡경막 공기압 강화법(Q), 브레인 이미지 음정법(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프랙틱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calibration method using the resonance calibration region, nasopharyngeal cavity resonance (L), nasal resonance sensory (M), 'DREAM' nasal resonance pulling method (N), the peak vocalization method (O), roller coaster method (P) And a diaphragm pneumatic strengthening method (Q) or a brain image pitching method (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교정영역에 의한 교정방법은, 공명기로 소리내법(R), 'GROOVE' 연음범칙 영어권 리듬법(T), 런닝리믐법(T-1), 모창탈비법((V)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프랙틱에 의한 보컬 트레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calibration method using the pneumatic pressure correction region, resonator (R), 'GROOVE' soft-sounding English rhythm method (T), running rhythm method (T-1), stool escape ratio ((V) Vocal practice vocal training system comprising a.
KR1020130009225A 2012-01-27 2013-01-28 Vocal practic system KR10147174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576 2012-01-27
KR20120008576 2012-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444A true KR20130087444A (en) 2013-08-06
KR101471741B1 KR101471741B1 (en) 2014-12-11

Family

ID=4921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225A KR101471741B1 (en) 2012-01-27 2013-01-28 Vocal practic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74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931A (en) * 2017-11-16 2019-05-24 윤성현 A System Providing Vocal Training Service Based On Subtitl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1447B2 (en) * 2005-06-09 2012-01-11 株式会社エイ・ジー・アイ Speech analysis apparatus, speech analysis method, and speech analysis program for detecting pitch frequency
KR20050080098A (en) * 2005-07-12 2005-08-11 공유찬 The vowel vocalization using the lung as the resonance chamber and the vocalization map of the human bod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931A (en) * 2017-11-16 2019-05-24 윤성현 A System Providing Vocal Training Service Based On Subtit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741B1 (en)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vids et al. Vocal technique: A guide for conductors, teachers, and singers
McKinney The diagnosis and correction of vocal faults: A manual for teachers of singing and for choir directors
Bunch et al. Dynamics of the singing voice
Miller Solutions for singers: Tools for performers and teachers
Vennard Singing: the mechanism and the technic
Lehmann How to sing
David The new voice pedagogy
Friedlander Complete vocal fitness: A singer’s guide to physical training, anatomy, and biomechanics
Aikin The voice: an introduction to practical phonology
RU2380760C1 (en) Method of determining voice potentialities and teaching resonance vocal-speech technique
Bluemel Stammering and cognate defects of speech v. 2
Davids et al. Vocal technique: A guide to classical and contemporary styles for conductors, teachers, and singers
Fillebrown Resonance in singing and speaking
Avery et al. First principles of speech training
Patterson The rhythm of prose: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sense of rhythm
US20160027317A1 (en) Vocal practic and voice practic system
KR101471741B1 (en) Vocal practic system
Witherspoon Singing: A treatise for teachers and students
Hakanpää Emotion expression in the singing voice: testing a parameter modulation technique for improving communication of emotions through voice qualities
Bickel Vocal technique: A physiologic approach
Moorcroft Pre-performance practices: breathing imagery and warm-up for singers
Alderson et al. A new handbook for singers and teachers
Atkins Focus of attention affects singer's tone production
RU2612804C2 (en) Method of medical rehabilitation vocal vibration gymnastics
Jevtic-Somlai Woodwind Breathing Techniques: An Annotated Bibli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