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171A - Photovoltaic module, and photovoltaic system - Google Patents

Photovoltaic module, and photovoltaic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171A
KR20130087171A KR1020120008250A KR20120008250A KR20130087171A KR 20130087171 A KR20130087171 A KR 20130087171A KR 1020120008250 A KR1020120008250 A KR 1020120008250A KR 20120008250 A KR20120008250 A KR 20120008250A KR 20130087171 A KR20130087171 A KR 20130087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olar cell
converter
switching element
jun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2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9302B1 (en
Inventor
이기옥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8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302B1/en
Priority to EP13000337.9A priority patent/EP2621075B1/en
Priority to CN201310086250.7A priority patent/CN103227577B/en
Priority to US13/749,870 priority patent/US9281759B2/en
Publication of KR20130087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1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3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sunlight module including a junction box and a sunlight system thereof are provided to improve output current quality by including a first switching element and a second switching element. CONSTITUTION: A sunlight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solar cells. A junction box (200) includes a DC/DC converter (530). The DC/DC converter converts a level of DC power to output the power. A first switching element (S1) supplies the DC power by switching the power. A fly back converter includes a second switching element (S2). [Reference numerals] (550) Control unit

Description

태양광 모듈, 및 태양광 시스템{Photovoltaic module, and photovoltaic system}[0001] DESCRIPTION [0002] Photovoltaic modules, and photovoltaic systems [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 및 태양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력 전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태양광 모듈, 및 태양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voltaic module and a photovoltaic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otovoltaic module and a photovoltaic system capable of improving output current quality.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상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전지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화시키F는 차세대 전지로서 각광받고 있다.With the recent depletion of existing energy sources such as oil and coal, interest in alternative energy to replace them is increasing. Among them, solar cell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battery that converts solar energy directly into electrical energ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한편, 태양광 모듈은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전지가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된 상태를 의미하며, 태양광 모듈은 태양전지가 생산한 전기를 모으는 정션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hotovoltaic module means that solar cells for solar power generation are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and the photovoltaic module can include a junction box for collecting the electricity produced by the solar cell.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력 전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태양광 모듈, 및 태양광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lar module and a solar light system that can improve output current qua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은, 복수의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정션 박스를 포함하며, dc/dc 컨버터는,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공급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플라이백 컨버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lar module including: a solar cell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solar cells; and a dc / dc converter for level-converting and outputting a DC power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The dc / dc converter includes a first switching element for switching and supplying a DC power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and a second switching element. The dc / dc converter includes a DC power source, And a flyback converter for outputting power.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시스템은,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과, 각 태양전지 모듈에 대응하여, 각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정션 박스를 포함하며, 각 dc/dc 컨버터는,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공급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플라이백 컨버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lar photovoltaic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solar cell modules; and a power source for converting the level of DC power supplied from each solar cell module and a plurality of junction boxes including a dc / dc converter, wherein each of the dc / dc converters includes a first switching element for switching and supplying a DC power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and a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a flyback converter that outputs the level-converted DC power using a power sour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dc/dc 컨버터는,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공급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플라이백 컨버터를 포함함으로써, 출력 전류 품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c / dc converter includes a first switching element for switching and supplying a DC power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and a second switching element, By including the flyback converter that outputs DC power, the output current quality can be improved.

특히, dc/dc 컨버터는, 제2 스위칭 소자의 온 또는 온/오프 반복에 의한, 플라이백 컨버터의 제1 동작 모드와, 제2 스위칭 소자의 오프에 의한, 플라이백 컨버터의 제2 동작 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함으로써, 출력 전류 품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the dc / dc converter is operated in the first operation mode of the flyback converter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of the flyback converter due to the turning off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by on / off repetition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o that the output current qual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태양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바이패스 다이오드 구성의 일예이다.
도 5는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전압 대비 전류 곡선을 예시한다.
도 6은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전압 대비 전력 곡선을 예시한다.
도 7은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정션박스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도 7의 dc/dc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한다.
도 9a 내지 도 9b는 도 7의 회로도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정션박스의 내부 회로도의 다른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시스템의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시스템의 구성도의 다른예이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시스템의 파워 옵티마이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sola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of the solar module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olar cell module of FIG.
4 is an example of a bypass diode configuration of the solar module of FIG.
Fig. 5 illustrates a voltage versus current curve of the solar module of Fig.
6 illustrates a voltage versus power curve of the solar module of FIG.
7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circuit diagram of a junction box of the solar module shown in Fig.
8A and 8B illustrate an embodiment and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output current outputted from the dc / dc converter of FIG.
9A to 9B are diagram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diagram of Fig.
10 is another example of the internal circuit diagram of the junction box of the solar module shown in Fig.
11 i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olar photovoltaic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solar photovoltaic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to 13B are views referred to explain power optimizing of a solar photovoltaic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태양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 sola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of the solar module of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olar module of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50)은, 태양전지 모듈(100), 태양전지 모듈(100)의 일면에 위치하는 정션 박스(200)를 포함한다. 또한, 태양광 모듈(50)은, 태양전지 모듈(100)과 정션 박스(200)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solar module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ar cell module 100 and a junction box 200 located on one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100 . The solar module 50 may further include a heat dissipating member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solar cell module 100 and the junction box 200.

먼저, 태양전지 모듈(100)은, 복수의 태양 전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복수의 태양전지(130)의 하면과 상면에 위치하는 제1 밀봉재(120)와 제2 밀봉재(150), 제1 밀봉재(120)의 하면에 위치하는 후면 기판(110) 및 제2 밀봉재(150)의 상면에 위치하는 전면 기판(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irst, the solar cell modul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lar cells 130. The first sealing material 120 and the second sealing material 150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130 and the rear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ealing material 120 locat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sealing material 120, And may further include a front substrate 160 position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150.

먼저, 태양전지(130)는, 태양전지(130)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화하는 반도체 소자로써, 실리콘 태양전지(silicon solar cell),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compound semiconductor solar cell) 및 적층형 태양전지(tandem solar cell), 염료감응형 또는 CdTe, CIGS형 태양전지 등일 수 있다. First, the solar cell 130 is a semiconductor device that converts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The solar cell 130 includes a silicon solar cell, a compound semiconductor solar cell, A tandem solar cell, a dye-sensitized solar cell, or a CdTe or CIGS type solar cell.

태양전지(130)는 태양광이 입사하는 수광면과 수광면의 반대측인 이면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130)는, 제1 도전형의 실리콘 기판과, 실리콘 기판상에 형성되며 제1 도전형과 반대 도전형을 가지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면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는 반사방지막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면에 접촉하는 전면전극과, 상기 실리콘 기판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The solar cell 130 is formed of a light receiving surface on which solar light is incident and a rear surface opposite to the light receiving surface. For example, the solar cell 130 includes a silicon substrat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silicon substrate and having a conductivity type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An antireflection film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having at least one opening exposing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 rear electrod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ilicon substrate.

각 태양전지(130)는,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태양 전지(130)는, 리본(13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리본(133)은, 태양전지(130)의 수광면 상에 형성된 전면 전극과, 인접한 다른 태양전지(130)의 이면 상에 형성된 후면 전극집전 전극에 접합될 수 있다.Each solar cell 1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parallel, or series-parallel. Specifically, a plurality of solar cells 13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ribbon 133. [ The ribbon 133 may be bonded to the front electrode formed on the light receiving surface of the solar cell 130 and the rear electrode collecting electrod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another adjacent solar cell 130. [

도면에서는, 리본(133)이 2줄로 형성되고, 이 리본(133)에 의해, 태양전지(130)가 일렬로 연결되어, 태양전지 스트링(140)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6개의 스트링(140a,140b,140c,140d,140e,140f)이 형성되고, 각 스트링은 10개의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과 달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figure, it is illustrated that the ribbon 133 is formed in two lines, and the solar cell 130 is connected in series by the ribbon 133 to form the solar cell string 140. By this, six strings 140a, 140b, 140c, 140d, 140e and 140f are formed, and each string includes ten solar cells. Unlike the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한편, 각 태양전지 스트링은, 버스 리본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1은, 태양전지 모듈(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버스 리본(145a,145c,145e)에 의해, 각각 제1 태양전지 스트링(140a)과 제2 태양전지 스트링(140b)이, 제3 태양전지 스트링(140c)과 제4 태양전지 스트링(140d)이, 제5 태양전지 스트링(140e)과 제6 태양전지 스트링(140f)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도 1은, 태양전지 모듈(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버스 리본(145b,145d)에 의해, 각각 제2 태양전지 스트링(140b)과 제3 태양전지 스트링(140c)이, 제4 태양전지 스트링(140d)과 제5 태양전지 스트링(140e)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On the other hand, each solar cell string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bus ribbon. 1 shows a first solar cell string 140a and a second solar cell string 140b respectively formed by bus ribbons 145a, 145c and 145e disposed under the solar cell module 100, The battery string 140c and the fourth solar cell string 140d illustrate that the fifth solar cell string 140e and the sixth solar cell string 140f are electrically connected. 1 shows the second solar cell string 140b and the third solar cell string 140c respectively by the bus ribbons 145b and 145d disposed on the top of the solar cell module 100, And that the battery string 140d and the fifth solar cell string 140e are electrically connected.

한편, 제1 스트링에 접속된 리본, 버스 리본(145b,145d), 및 제4 스트링에 접속된 리본은, 각각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135a,135b,135c,135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135a,135b,135c,135d)은,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에 배치되는 정션 박스(200) 내의 바이패스 다이오드(Da,Db,Dc)와의 접속된다. 도면에서는,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135a,135b,135c,135d)이, 태양전지 모듈(100) 상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으로 연장되는 것을 예시한다.On the other hand, the ribbon connected to the first string, the bus ribbons 145b and 145d, and the ribbon connected to the fourth string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hrough fourth conductive lines 135a, 135b, 135c, and 135d, respectively The first to fourth conductive lines 135a to 135d are connected to the bypass diodes Da, Db, and Dc in the junction box 200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100. In the drawing, the first through fourth conductive lines 135a, 135b, 135c, and 135d extend through the openings formed on the solar cell module 100 to the back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100. FIG.

한편, 정션 박스(200)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양단부 중 도전성 라인이 연장되는 단부에 더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junction box 200 is disposed closer to an end of the solar cell module 100 where the conductive lines extend.

도 1 및 도 2에서는,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135a,135b,135c,135d)이, 태양전지 모듈(100)의 상부에서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으로 연장되므로, 정션 박스(200)가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 중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도전성 라인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전력 손실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1 and 2, since the first to fourth conductive lines 135a, 135b, 135c, and 135d extend from the top of the solar cell module 100 to the back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100, )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back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100. FIG. Thereby,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line can be reduced, and the power loss can be reduced.

도 1 및 도 2와 달리,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135a,135b,135c,135d)이, 태양전지 모듈(100)의 하부에서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으로 연장되는 경우, 정션 박스(200)가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 중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1 and 2, when the first to fourth conductive lines 135a, 135b, 135c, and 135d extend from the bottom of the solar cell module 100 to the back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100, The solar cell module 200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r part of the back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100.

후면 기판(110)은, 백시트로서, 방수, 절연 및 자외선 차단 기능을 하며, TPT(Tedlar/PET/Tedlar) 타입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에서는 후면 기판(110)이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태양전지 모듈(100)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원형, 반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back substrate 110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TPT (Tedlar / PET / Tedlar) type having a waterproof, insulating and ultraviolet shielding function as a back sheet. 3, the rear substrate 1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or a semicircular shape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solar cell module 100 is installed.

한편, 후면 기판(110) 상에는 제1 밀봉재(120)가 후면 기판(110)과 동일한 크기로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 밀봉재(120) 상에는 복수의 태양전지(130)가 수 개의 열을 이루도록 서로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bstrate 110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rear substrate 110 and a plurality of solar cells 130 may be formed on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And can b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so as to achieve the same.

제2 밀봉재(150)는, 태양전지(130) 상에 위치하여 제1 밀봉재(120)와 라미네이션(Lamination)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The second sealing member 150 may be positioned on the solar cell 130 and may be laminated to the first sealing member 120.

여기에서, 제1 밀봉재(120)와, 제2 밀봉재(150)는, 태양전지의 각 요소들이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 밀봉재(120)와 제2 밀봉재(150)는, 에틸렌 초산 비닐 수지 (Ethylene Vinyl Acetate;EVA) 필름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Here, the first sealant 120 and the second sealant 150 allow each element of the solar cell to chemically bond. The first sealing material 120 and the second sealing material 150 can be various examples such as an ethylene vinyl acetate (EVA) film.

한편, 전면 기판(160)은, 태양광을 투과하도록 제2 밀봉재(150) 상에 위치하며,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태양전지(130)를 보호하기 위해 강화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태양광의 반사를 방지하고 태양광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철분이 적게 들어간 저철분 강화유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substrate 160 is preferably placed on the second sealing material 150 so as to transmit sunlight, and is preferably made of tempered glass in order to protect the solar cell 130 from an external impact or the like. Further,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low-iron-content tempered glass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iron in order to prevent the reflection of sunlight and increase the transmittance of sunlight.

정션 박스(200)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 상에 부착되며, 태양전지 모듈(100)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류 전원을 저장하는 커패시터부(도 7의 5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정션 박스(200)는, 직류 전원의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도 7의 5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정션 박스(200)는, 태양전지 스트링들 간의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Da,Db,D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도 7의 5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junction box 200 is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100 and can be power-converted using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100. Specifically, a capacitor unit (520 in FIG. 7) for storing DC power can be provided. Further, the junction box 200 may further include a dc / dc converter (530 in Fig. 7) for level-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DC power. In addition, the junction box 200 may further include bypass diodes (Da, Db, Dc) that prevent the current between the solar cell strings from flowing backward. 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n inverter (540 in Fig. 7) for converting the direct current power into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션 박스(200)는, 적어도 바이패스 다이오드(Da,Db,Dc)와, 직류 전원을 저장하는 커패시터부(도 7의 520)와, dc/dc 컨버터(도 7의 530)를 구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junction box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bypass diodes Da, Db, and Dc, a capacitor unit 520 (FIG. 7) (530 of FIG. 7).

이러한 정션 박스(200)가 태양전지 모듈(1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후술하는 도 11 또는 도 12의 태양광 시스템과 같이, 각 태양 전지 모듈(100)에서 생성된 직류 전원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체형으로 형성된 정션 박스(200)는 MIC(Module Integrated Converter) 회로라고 명명될 수 있다.When the junction box 20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olar cell module 100, the loss of the DC power generated in each solar cell module 100 is minimized, as in the solar cell system shown in FIG. 11 or FIG. So that it can be efficiently managed. On the other hand, the junction box 200 integrally formed can be called a MIC (Module Integrated Converter) circuit.

한편, 정션 박스(200) 내의, 회로 소자들의 수분 침투 방지를 위해, 정션 박스 내부는,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수분 침투 방지용 코팅이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moisture penetration of the circuit elements in the junction box 200, a coating for preventing moisture permeation may be performed using silicon or the like inside the junction box.

한편, 정션 박스(200)에는 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상술한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135a,135b,135c,135d)이 정션 박스 내의 바이패스 다이오드(Da,Db,Dc)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An opening (not shown) is formed in the junction box 200 so that the first to fourth conductive lines 135a, 135b, 135c and 135d are connected to the bypass diodes Da, Db and Dc in the junction box Can be connected.

한편, 정션 박스(200)의 동작시에는 바이패스 다이오드(Da,Db,Dc) 등으로부터 고열이 발생하는데, 발생된 열은 정션 박스(200)가 부착된 위치에 배열된 특정의 태양전지(130)의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during operation of the junction box 200, high heat is generated from the bypass diodes Da, Db, and Dc, and the generated heat is transmitted to the specific solar cell 130 Can be reduced.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50)은, 태양전지 모듈(100)과 정션 박스(200)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션 박스(2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해, 방열 부재(미도시)의 단면적은, 플레이트(미도시)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 전부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방열부재(미도시)는 열 전도도가 좋은 금(Au),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텅스텐(W)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solar module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 dissipating member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solar cell module 100 and the junction box 200. In order to disperse the heat generated in the junction box 200,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heat dissipating member (not shown)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plate (not shown). For example, on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100. The heat dissipating member (not shown)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gold (Au), silver (Ag), copper (Cu), aluminum (Al), tungsten (W) or the like with good thermal conductivity.

한편, 정션박스(160)의 일 측면에는, 전력 변환된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외부접속단자(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for outputting a power-converted DC power or an AC power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junction box 160.

도 4는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바이패스 다이오드 구성의 일예이다.4 is an example of a bypass diode configuration of the solar module of FI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6개의 태양전지 스트링(140a,140b,140c,140d,140e,140f)에 대응하여, 바이패스 다이오드(Da,Db,Dc)가 접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바이패스 다이오드(Da)는, 제1 태양전지 스트링과, 제1 버스 리본(145a) 사이에 접속되어, 제1 태양전지 스트링(140a) 또는 제2 태양전지 스트링(140b)에서 역전압 발생시, 제1 태양전지 스트링(140a) 및 제2 태양전지 스트링(140b)을 바이패스(bypass)시킨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bypass diodes Da, Db, and Dc may be connected corresponding to six solar cell strings 140a, 140b, 140c, 140d, 140e, and 140f. Specifically, the first bypass diode Da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olar cell string and the first bus ribbon 145a,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olar cell string 140a or the second solar cell string 140b When the reverse voltage is generated, the first solar cell string 140a and the second solar cell string 140b are bypassed.

예를 들어, 정상적인 태양 전지에서 발생하는 대략 0.6V의 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제1 바이패스 다이오드(Da)의 애노드 전극의 전위에 비해 캐소드 전극의 전위가 대략 12V(=0.6V*20)가량 더 높게 된다. 즉, 제1 바이패스 다이오드(Da)는, 바이패스가 아닌 정상 동작을 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a voltage of approximately 0.6 V generated in a normal solar cell is generated, the potential of the cathode electrode is approximately 12 V (= 0.6 V * 20), as compared with the potential of the anode electrode of the first bypass diode Da Lt; / RTI > That is, the first bypass diode Da operates normally, not bypass.

한편, 제1 태양전지 스트링(140a)의 어느 태양 전지에서, 음영이 발생하거나,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하여, 핫 스팟(hot spot)이 발생하는 경우, 어느 한 태양 전지에서 발생하는 전압은 대략 0.6V의 전압이 아닌, 역전압(대략 -15V)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바이패스 다이오드(Da)의 애노드 전극의 전위가 캐소드 전극에 비해 대략 15V 정도 더 높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바이패스 다이오드(Da)는, 바이패스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태양전지 스트링(140a) 및 제2 태양전지 스트링(140b) 내의 태양 전지에서 발생하는 전압이 정션 박스(200)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일부 태양전지에서 발생하는 역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해당 태양전지 등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핫 스팟(hotspot) 영역을 제외하고, 생성된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hot spot occurs due to shading or foreign matter adhering to any solar cell of the first solar cell string 140a, the voltage generated in any one solar cell is approximately 0.6V (About -15 V), rather than a voltage of about < / RTI > Accordingly, the potential of the anode electrode of the first bypass diode Da becomes higher by about 15 V than that of the cathode electrode. Accordingly, the first bypass diode Da performs the bypass operation. Therefore, the voltage generated in the solar cell in the first solar cell string 140a and the second solar cell string 140b is not supplied to the junction box 200. [ In this way, when a reverse voltage generated in some solar cells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struction of the solar cell or the like by bypassing. In addition, except for the hotspot area,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generated DC power.

다음, 제2 바이패스 다이오드(Db)는, 제1 버스 리본(145a)과 제2 버스 리본(145b) 사이에 접속되어, 제3 태양전지 스트링(140c) 또는 제4 태양전지 스트링(140d)에서 역전압 발생시, 제3 태양전지 스트링(140c) 및 제4 태양전지 스트링(140d)을 바이패스(bypass)시킨다.Next, the second bypass diode Db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bus ribbon 145a and the second bus ribbon 145b,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solar cell string 140c or the fourth solar cell string 140d When the reverse voltage is generated, the third solar cell string 140c and the fourth solar cell string 140d are bypassed.

다음, 제3 바이패스 다이오드(Dc)는, 제1 태양전지 스트링과, 제1 버스 리본(145a) 사이에 접속되어, 제1 태양전지 스트링(140a) 또는 제2 태양전지 스트링(140b)에서 역전압 발생시, 제1 태양전지 스트링 및 제2 태양전지 스트링을 바이패스(bypass)시킨다. Next, the third bypass diode Dc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olar cell string and the first bus ribbon 145a,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olar cell string 140a or the second solar cell string 140b When the voltage is generated, the first solar cell string and the second solar cell string are bypassed.

한편, 도 4와 달리, 6개의 태양전지 스트링에 대응하여, 6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접속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그 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4, unlike FIG. 4, six bypass diodes can be connected corresponding to six solar cell strings, and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5는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전압 대비 전류 곡선을 예시하며, 도 6은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전압 대비 전력 곡선을 예시한다.FIG. 5 illustrates a voltage vs. current curve of the solar module of FIG. 1, and FIG. 6 illustrates a voltage versus power curve of the solar module of FIG.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태양전지 모듈(100)에서 공급되는 개방 전압(Voc)이 커질수록, 태양전지 모듈(100)에서 공급되는 단락(short) 전류는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전압 전류 곡선(L)에 따라, 정션 박스(200) 내에 구비되는 커패시터부(520)에, 해당 전압(Voc)이 저장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as the open-circuit voltage Voc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100 increases, the short current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100 becomes smaller. According to the voltage-current curve L, the voltage Voc is stored in the capacitor unit 520 provided in the junction box 200.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태양전지 모듈(100)에서 공급되는 최대 전력(Pmpp)은, 최대 전력 검출 알고리즘(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PPT)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 전압(Voc)을 최대전압(V1)에서부터 감소시키면서, 각 전압 별, 전력을 연산하고, 연산된 전력이 최대 전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V1 전압에서, Vmpp 전압까지는 전력이 증가하므로, 연산된 전력을 갱신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Vmpp 전압에서, V2 전압까지는 전력이 감소하므로, 결국, Vmpp 전압에 해당하는 Pmpp를 최대 전력으로 결정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maximum power Pmpp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100 may be calculated by a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algorithm (MPPT). For example, while the open-circuit voltage Voc is decreased from the maximum voltage V1, power is calculated for each voltage,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lculated power is the maximum power. Since the power increases from the voltage V1 to the voltage Vmpp, the calculated power is updated and stored. Then, the power decreases from the voltage Vmpp to the voltage V2, so that Pmpp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Vmpp is determined as the maximum power.

이와 같이, 핫 스팟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전압 전력 곡선(L)에서 변곡점은 1개만이 발생하게 되므로, V1 구간에서 V2 구간의 탐색(exploring)만으로 간단하게 최대 전력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hot spots do not occur, only one inflection point occurs in the voltage power curve L. Therefore, the maximum power can be easily calculated only by exploring the V2 section in the V1 section.

도 7은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정션박스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고, 도 8a 내지 도 8b는 도 7의 dc/dc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하며, 도 9a 내지 도 9b는 도 7의 회로도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FIG. 7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circuit diagram of a junction box of the solar module of FIG. 1, FIGS. 8A to 8B illustrate an example of a output current outputted from the dc / dc converter of FIG. 7 and a comparative example, FIG. 9B is a diagram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diagram of FIG.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션 박스(200)는, 바이패스 다이오드부(510), 커패시터부(520), dc/dc 컨버터(530), 인버터(540), 및 제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junction box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ypass diode unit 510, a capacitor unit 520, a dc / dc converter 530, an inverter 540, 550).

정션박스(200)는, 교류 전원을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정션 박스(200)는, 교류 전원 출력이 가능하므로, 마이크로 인버터(micro inverter)를 구비하는 정션 박스라 명명될 수 있다. The junction box 200 outputs AC power. Since the junction box 200 is capable of AC power output, it can be called a junction box having a micro inverter.

바이패스 다이오드부(510)는,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135a,135b,135c,135d)에 각각 대응하는 a 노드 , b 노드, c 노드, d 노드의 각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바이패스 다이오드(Da,Db,Dc)를 포함한다. The bypass diode section 510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fourth conductive lines 135a, 135b, 135c and 135d arranged between the respective angles of the a-node, b-node, c- And third bypass diodes Da, Db, and Dc.

커패시터부(520)는, 태양전지 모듈(100)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저장한다. 도면에서는, 3개의 커패시터(Ca,Cb,Cc)가 병렬 접속되는 것을 예시하나, 직렬 접속되거나, 직병렬 혼합 접속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apacitor unit 520 stores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100. Although three capacitors Ca, Cb and Cc are connected in parallel in the figure, they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series-parallel combination.

dc/dc 컨버터(530)는, 커패시터부(520)에 저장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레벨 변환을 수행한다. 도면에서는,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공급하는 제1 스위칭 소자(S1), 제1 스위칭 소자(S1)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를 예시한다. The dc / dc converter 530 performs level conversion using the DC power stored in the capacitor unit 520. In the figure, there are shown a first switching device S1 for switching and supplying a DC power supplied from a solar cell module, a flyback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level by using a DC power supplied through a first switching device S1, (flyback converter).

플라이백 컨버터는, 권선비에 따라 전류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트랜스(T)(Transformer), 트랜스(T)의 입력측과 접지단 사이에 접속되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스위칭 소자(S2), 증폭 전류를 일방향 도통하는 다이오드(D2), 증폭된 전류 또는 전압을 저장하는 커패시터(C1)을 구비한다.The flyback converter includes a transformer T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current according to a winding ratio, a second switching device S2 connected between the input side of the transformer T and the ground terminal for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A diode D2 for conducting current in one direction, and a capacitor C1 for storing the amplified current or volta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530)는, 제1 스위칭 소자(S1)와, 플라이백 컨버터를 구비하여, 비절연 타입으로 dc/dc 컨버터를 구성함으로써, 출력 전류 품질 개선하도록 한다. 특히, 플라이백 컨버터를 벅 컨버터 모드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출력 전류 품질을 개선하도록 한다. The dc / dc converter 5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switching device S1 and the flyback converter to improve the output current quality by configuring the dc / dc converter as a non-insulation type . In particular, by allowing the flyback converter to operate in a buck converter mode, the output current quality is improved.

이에 대해서는 도 8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9B.

한편, dc/dc 컨버터(530) 내의 제1 스위칭 소자(S1) 및 제2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은, 제어부(550)에 의해 제어된다. Meanwhile,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device S1 and the second switching device in the dc / dc converter 53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50. [

다음, 인버터(540)는, dc/dc 컨버터(530)에서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도면에서는, 풀 브릿지 인버터(full-bridge inverter)를 예시한다. 즉,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Sb)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S'b)가 한 쌍이 되며, 총 두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a&S'a,Sb&S'b)로 연결된다. 각 스위칭 소자(Sa,S'a,Sb,S'b)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Next, the inverter 540 converts the level-converted DC power from the dc / dc converter 530 into AC power. In the drawing, a full-bridge inverter is illustrated. Namely, the upper and lower arm switching elements Sa and Sb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and the lower arm switching elements S'a and S'b are paired, and two pairs of upper and lower arm switching element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Sa & Sb & S'b). Diodes are connected in anti-parallel to each switching element Sa, S'a, Sb, S'b.

인버터(540) 내의 스위칭 소자들은, 인버터 제어부(미도시)로부터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턴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정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원이 출력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드(grid)의 교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대략 60Hz)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witching elements in the inverter 540 are turned on / off based on the inverter switching control signal from the inverter control unit (not shown). As a result, AC power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is output. Preferably, it has a frequency (approximately 60 Hz) equal to the alternating frequency of the grid.

한편, dc/dc 컨버터(530)와 인버터(540) 사이에, 레벨 변환된 dc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커패시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부(미도시)는, 상술한 커패시터부(520)와 유사하게, 복수의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a capacitor unit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dc / dc converter 530 and the inverter 540 to store the level-converted dc power. The capacitor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pacitors, similar to the capacitor unit 520 described above.

도 7과 같이, 정션박스 내에 직류 전원을 저장하는 커패시터부와, 저장된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와,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를 구비함으로써, 정션 박스를 통해 간단하게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가 용이해지며, 복수의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과 시스템 구성시, 용량 확장에 유리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a capacitor section for storing DC power in the junction box, a dc / dc converter for level-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stored DC power, and an inverter for converting the level-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ly AC power through the junction box. In addition, it is easy to install the solar module, and it is advantageous to expand the capacity of the solar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solar modules and the system configuration.

한편, 입력전류 감지부(A)는, dc/dc 컨버터(530)로 입력되는 입력전류(ic1)를 감지하며, 입력전압 감지부(B)는, dc/dc 컨버터(530)로 입력되는 입력전압(vc1)을 감지한다. 감지된 입력전류(ic1)와 입력전압(vc1)은, 제어부(550)에 입력된다. The input current sensing unit A senses an input current ic1 input to the dc / dc converter 530. The input voltage sensing unit B receives the input current ic1 input to the dc / dc converter 530, And senses the voltage vc1. The sensed input current ic1 and the input voltage vc1 are input to the control unit 550. [

한편, 출력전류 감지부(C)는, dc/dc 컨버터(530)에서 출력되는 출력전류(ic2)를 감지하며, 출력전압 감지부(B)는, dc/dc 컨버터(530)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vc2)을 감지한다. 감지된 출력전류(ic2)와 출력전압(vc2)은, 제어부(550)에 입력된다. The output current sensing unit C senses the output current ic2 output from the dc / dc converter 530 and the output voltage sensing unit B outputs the output And senses the voltage vc2. The sensed output current ic2 and the output voltage vc2 are input to the control unit 550. [

한편, 제어부(550)는, 도 7의 dc/dc 컨버터(530)의 제1 스위칭 소자(S1), 및 제2 스위칭 소자(S2)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55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switching device S1 and the second switching device S2 of the dc / dc converter 530 of FIG.

한편,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550 may output an inverter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inverter 540.

제어부(550)는, 감지된 입력전류(ic1), 입력 전압(vc1), 출력전류(ic2), 또는 출력전압(vc2)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dc/dc 컨버터(530) 내의 제1 스위칭 소자(S1), 및 제2 스위칭 소자(S2)의 턴 온 타이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50 controls the first switching unit 530 in the dc / dc converter 530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ed input current ic1, the input voltage vc1, the output current ic2 or the output voltage vc2. The turn-on timing signal of the element S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2 can be outputted.

한편, 제어부(550)는, 태양전지 모듈(100)에 대한, 최대 전력 지점을 연산하고, 그에 따라, 최대 전력에 해당하는 직류 전원을 출력하도록, dc/dc 컨버터(530)를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550 can control the dc / dc converter 530 to calculate the maximum power point for the solar cell module 100 and accordingly output the DC power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power .

도 8a 내지 도 8b는 도 7의 dc/dc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하며, 도 9a 내지 도 9b는 도 7의 회로도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FIGS. 8A and 8B illustrate an embodiment and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output current outputted from the dc / dc converter of FIG. 7, and FIGS. 9A and 9B are view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diagram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530)는 2개의 동작 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c / dc converter 5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wo operation modes.

구체적으로, 제2 스위칭 소자(S2)의 온 또는 온/오프 반복에 의한, 제1 동작 모드(mode 1)와, 제2 스위칭 소자(S2)의 오프에 의한, 제2 동작 모드(mode 2)로 구분되어 동작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operation mode (mode 1)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mode 2) due to the turn-off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2 due to on / off repetition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2, As shown in FIG.

도 9a와 같이, 제1 스위칭 소자(S1) 및 제2 스위칭 소자(S2)가 턴 온하는 경우, 태양전지 모듈(100)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 구체적으로는 전류가, 제1 스위칭 소자(S1), 트랜스(T)의 입력측, 및 제2 스위칭 소자(S2)를 거쳐 접지단으로 흐르게 된다.9A, when the first switching device S1 and the second switching device S2 are turned on,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100, specifically,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first switching device S1 ), The input side of the transformer T,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2.

그리고, 도 9b와 같이, 제1 스위칭 소자(S1)는 턴 온을 유지하고, 제2 스위칭 소자(S2)가 턴 오프되는 경우, 태양전지 모듈(100)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 구체적으로는 전류가, 접지단으로 흐르지 못하게 된다. 9B, when the first switching device S1 is turned on and the second switching device S2 is turned off,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100, specifically, the current Becomes unable to flow to the ground terminal.

이와 같이, 도 9a와 도 9b가 반복되는 경우, 즉, 제1 스위칭 소자(S1)가 턴 온된 상태에서, 제2 스위칭 소자(S2)가 턴 온/오프를 반복하는 경우, 트랜스(T)의 출력측은, 트랜스(T)의 권선비에 따라, 변환된 전류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모드를 dc/dc 컨버터(530)의 제1 동작 모드(mode 1)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패시터(C1) 양단의 전압은, 도 8a의 제1 동작 모드(mode 1)에서의 전압 파형과 같을 수 있다.9A and 9B are repeated, that is, whe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2 is turned on / off repeatedly while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1 is turned on, The output side outputs the converted current according to the turns ratio of the transformer T. This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mode of operation (mode 1) of the dc / dc converter 530. Accordingly, the voltage across the capacitor C1 may be equal to the voltage waveform in the first operation mode (mode 1) of Fig. 8A.

한편, 도 9c와 같이, 제2 스위칭 소자(S2)가 턴 오프되는 경우, 플라이백 컨버터는, 벅 컨버터처럼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스위칭 소자(S2)가 턴 오프되는 경우, 트랜스(T)의 출력측에 저장된 에너지가, 제2 스위칭 소자(S2)의 내부 다이오드(기생 다이오드)와, 트랜스(T)의 출력측을 통해 전류 성분으로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1 스위칭 소자(S1)도 턴 오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2 is turned off as shown in Fig. 9C, the flyback converter can operate as a buck converter. Specifically, when the second switching device S2 is turned off, the energy stored on the output side of the transformer T is supplied to the internal diode (parasitic diode) of the second switching device S2 and the output side of the transformer T As a current component. At this time, the first switching device S1 may also be turned off.

제2 스위칭 소자(S2)가 소정 시간 동안 턴 오프되며, 제1 스위칭 소자(S1)도 턴 오프되므로, 결국, 제2 스위칭 소자(S2)의 내부 다이오드(기생 다이오드)와, 트랜스(T)의 출력측을 통해 흐르는 전류 성분은 0으로 수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패시터(C1) 양단의 전압은, 도 8a의 제2 동작 모드(mode 2)에서의 전압 파형과 같을 수 있다.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2 is turned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1 is also turned off so that the internal diode (parasitic diode)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2, The current component flowing through the output side converges to zero. Accordingly, the voltage across the capacitor C1 may be the same as the voltage waveform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mode 2) of Fig. 8A.

한편, 제2 동작 모드(mode)가 없는 경우, 즉, 제1 동작 모드(mode)로만 동작하는 경우, 커패시터(C1) 양단의 전압은, 도 8b와 같이, 일정 전압에 의해 바이어스(bias)되게 된다. 특히, 제1 스위칭 소자(S1)가 없어, 태양전지 모듈(100)에서 직류 전원이 계속 공급되는 경우, 제2 스위칭 소자(S2)가 턴 온/오프 반복 중 턴 오프만으로는, 커패시터(C1) 양단의 전압이 0V까지 하강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출력 전류 품질이 나빠지며, 특히, 하모닉 전류 성분 영향이 커질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second operation mode, that is, in the first operation mode, the voltage across the capacitor C1 is biased by a constant voltage as shown in FIG. 8B do. Particularly, when there is no first switching element S1 and DC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100, only the turn-off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2 during turn-on / So that the voltage of the transistor can not drop to 0V. As a result, the output current quality deteriorates, and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the harmonic current component becomes larg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dc/dc 컨버터(530)를 제1 동작 모드(mode 1)와 제2 동작 모드(mode 2)로 구분하여 동작하면, 도 8a와 같이, 커패시터(C1) 양단의 전압은, 바이어스(bias)되지 않고, 0V까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dc/dc 컨버터(53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의 전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하모닉 전류 성분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8A, when the dc / dc converter 530 is divided into a first operation mode (mode 1) and a second operation mode (mode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tage at both ends is not biased but falls to 0V. Therefore, the current quality of the output current outputted from the dc / dc converter 530 can be improved. In particular, the harmonic current component is significantly reduced.

도 10은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정션박스의 내부 회로도의 다른예이다.10 is another example of the internal circuit diagram of the junction box of the solar module shown in Fig.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션 박스(200)는, 바이패스 다이오드부(510), 커패시터부(520), dc/dc 컨버터(530), 및 제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내부 회로도와 달리, 도 10의 내부 회로도는, 인버터(540)를 포함하지 않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10, a junction box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ypass diode unit 510, a capacitor unit 520, a dc / dc converter 530, and a control unit 550 . Unlike the internal circuit diagram of FIG. 7, the internal circuit diagram of FIG. 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include the inverter 540.

이에 따라, 정션박스(200)는, 직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정션박스(200)가 파워 옵티마이징(power optimizing)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이러한 정션 박스(200)는, 파워 옵티마이저(power optmizer)라 명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junction box 200 can output DC power. In this case, when the junction box 200 performs a power optimizing function, the junction box 200 may be referred to as a power optimizer.

도 10과 같이, 정션박스 내에 직류 전원을 저장하는 커패시터부와, 저장된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함으로써, 정션 박스를 통해 간단하게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가 용이해지며, 복수의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과 시스템 구성시, 용량 확장에 유리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0, the DC power source can be easily supplied through the junction box by including the capacitor unit for storing the DC power source in the junction box and the dc / dc convert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stored DC power source. In addition, it is easy to install the solar module, and it is advantageous to expand the capacity of the solar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solar modules and the system configuration.

한편, 도 7 및 도 10과 달리, 정션박스(200)는, 바이패스 다이오드부(510) 및 커패시터부(520)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정션 박스(200) 외부에 별도로, dc/dc 컨버터(530), 및 인버터(540)가 배치될 수 있다.7 and FIG. 10, the junction box 200 may include only the bypass diode 510 and the capacitor 520. Accordingly, the dc / dc converter 530 and the inverter 540 may be separately disposed outside the junction box 200. [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시스템의 구성도의 일예이다.11 i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olar photovoltaic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도 11의 태양광 시스템은, 복수의 태양광 모듈(50a, 50b, ...,50n)을 구비한다. 각 태양광 모듈(50a, 50b, ...,50n)은,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정션박스(200a, 200b, ...,200n)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의 정션박스(200a, 200b, ...,200n)를, 마이크로 인버터를 구비하는 정션 박스라 할 수 있으며, 각 정션박스(200a, 200b, ...,200n)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은 계통(grid)으로 공급되게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olar photovoltaic system of Fig. 11 includes a plurality of solar modules 50a, 50b, ..., 50n. Each solar module 50a, 50b, ..., 50n may include junction boxes 200a, 200b, ..., 200n for outputting AC power. The junction boxes 200a, 200b, ..., 200n may be referred to as junction boxes having microinverters.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output from the junction boxes 200a, 200b, ..., as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정션박스(200)의 내부 회로는 도 11의 마이크로 인버터에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ternal circuit of the junction box 200 of FIG. 7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microinverter of FIG.

즉, 각 정션박스(200a, 200b, ...,200n)는, 도 7과 같이, 바이패스 다이오드부(510), 커패시터부(520), dc/dc 컨버터(530), 인버터(540) 및 제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dc/dc 컨버터(530)는, 도 7과 같이,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공급하는 제1 스위칭 소자(S1), 제1 스위칭 소자(S1)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동작은 도 8a 내지 도 9b에 대한 설명과 같다.7, each of the junction boxes 200a, 200b, ..., 200n includes a bypass diode unit 510, a capacitor unit 520, a dc / dc converter 530, an inverter 540, And may include a control unit 550. 7, the dc / dc converter 530 includes a first switching device S1 for switching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to supply the DC power, a DC power supply (not shown) supplied through the first switching device S1, And a flyback converter for level-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The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Figs. 8A to 9B.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시스템의 구성도의 다른예이다.12 is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solar photovoltaic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도 12의 태양광 시스템은, 복수의 태양광 모듈(50a, 50b, ...,50n)을 구비한다. 각 태양광 모듈(50a, 50b, ...,50n)은,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정션박스(1200a, 1200b, ...,1200n)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태양광 모듈듈(50a, 50b, ...,50n)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별도의 인버터(1210)가 더 구비되게 된다. 이때의, 정션박스(1200a, 1200b, ...,1200n)는, 직류 전원을 효율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파워 옵티 마이저를 구비하는 정션 박스라 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olar photovoltaic system of Fig. 12 includes a plurality of solar modules 50a, 50b, ..., 50n. Each solar module 50a, 50b, ..., 50n may include junction boxes 1200a, 1200b, ..., 1200n for outputting DC power. In addition, a separate inverter 1210 for converting the DC power output from each of the solar module modules 50a, 50b, ..., 50n into AC power is further provided. At this time, the junction boxes 1200a, 1200b, ..., 1200n may be junction boxes having power optimizers for efficiently outputting DC pow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정션박스(200)의 내부 회로는 도 12의 파워 옵티마이저에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ternal circuit of the junction box 200 of FIG.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power optimizer of FIG.

즉, 각 정션박스(200a, 200b, ...,200n)는, 도 10과 같이, 바이패스 다이오드부(510), 커패시터부(520), dc/dc 컨버터(530), 및 제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dc/dc 컨버터(530)는, 도 10과 같이,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공급하는 제1 스위칭 소자(S1), 제1 스위칭 소자(S1)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동작은 도 8a 내지 도 9b에 대한 설명과 같다.10, each of the junction boxes 200a, 200b, ..., 200n includes a bypass diode unit 510, a capacitor unit 520, a dc / dc converter 530, and a control unit 550, . ≪ / RTI > 10, the dc / dc converter 530 includes a first switching device S1 for switching and supplying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a DC power supply And a flyback converter for level-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The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Figs. 8A to 9B.

도 13a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시스템의 파워 옵티마이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13A to 13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power optimization of a solar photovoltaic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3a를 참조하면, 파워 옵티마이징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면과 같이,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이 도면과 같이 직렬 접속된 상태에서, 일부 태양전지 모듈(1320)에서 핫 스팟이 발생하여, 일부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예를 들어, 70W 전력 공급), 정상적인 태양전지 모듈(1310)도, 일부 전력 손실이 발생(예를 들어, 70W 전력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총 980W의 전력만을 공급하게 된다.First, referring to FIG. 13A, a case where power optimizing is not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solar cell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hot spots are generated in some solar cell modules 1320 and some power loss occurs (for example, 70W power supply) A normal solar cell module 1310 also causes some power loss (for example, 70W power supply). Therefore, only 980W of power is supplied in total.

다음, 도 13b를 참조하여, 파워 옵티마이징이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일부 태양전지 모듈(1320)에서 핫 스팟이 발생하여, 일부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예를 들어, 70W 전력 공급), 해당 태양전지 모듈(1320)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다른 태양전지 모듈(1310)에서 공급되는 전류와 동일하도록, 해당 태양전지 모듈(132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낮춘다. 이에 따라, 핫 스팟이 발생한 태양전지 모듈(1320)에서는 일부 전력 손실이 발생(예를 들어, 70W 전력 공급)하게 되나, 정상적인 태양전지 모듈(1310)에서는, 전력 손실이 없게(예를 들어, 100W 전력 공급) 된다. 따라서, 총 1340W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Next, referring to Fig. 13B, a case where power optimiza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hen a hot spot occurs in some solar cell modules 1320 and some power loss occurs (for example, 70W power supply),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corresponding solar cell module 1320 is supplied to another solar cell module 1310, The voltage output from the solar cell module 1320 is lowered so as to be equal to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1320. [ Accordingly, in the solar cell module 1320 in which the hot spot has occurred, some power loss occurs (for example, 70W power supply), but in the normal solar cell module 1310, Power supply). Therefore, a total power of 1340 W can be supplied.

이와 같이, 파워 옵티마이징에 따르면, 다른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맞추어, 핫 스팟이 발생하는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태양전지 모듈은, 다른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전류치 또는 전압치를 입력받아, 해당 태양전지 모듈 내의 전압 출력 등을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wer optimizing,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in which the hot spot occurs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supplied from another solar cell module. To this end, each solar cell module receives a current value or a voltage value supplied from another solar cell module, and can control a voltage output in the solar cell module.

한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정션 박스(200)는, 도 13b의 파워 옵티마이저에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unction box 200 of FIG. 10 can be applied to the power optimizer of FIG. 13B.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in its application to the details of construction and the manner in which the abov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put into practice, .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복수의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정션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공급하는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플라이백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A solar cell module comprising a plurality of solar cells; And
And a junction box including a dc / dc converter for level-converting and outputting DC power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The dc / dc converter includes:
A first switching device for switching and supplying a DC power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And
And a flyback converter having a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outputting a level-converted DC power using the DC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온 또는 온/오프 반복에 의한,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의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오프에 의한,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의 제2 동작 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c / dc converter includes:
A first operation mode of the flyback converter by on / off repetition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of the flyback converter due to the turning-off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벅 컨버터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c / dc converter includes:
And in the second mode of operation, operates in a buck converter m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오프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도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c / dc converter includes:
An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f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is also turned of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에 입력되는 입력 전원 또는 상기 dc/dc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c / dc converter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nput power input to the dc / dc converter and an output power output from the dc / dc convert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The junction box include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olar cell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중 역방향 전압이 발생하는 태양전지를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junction box includes:
And a bypass diode for bypassing a solar cell generating a reverse voltage among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dc/dc 컨버터에서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junction box includes:
And an inverter for converting the level-converted DC power from the dc / dc converter into AC power and outputting the AC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부착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junction box includes:
Wherein the solar cell module is integrated with the solar cell module.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상기 각 태양전지 모듈에 대응하여, 상기 각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정션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각 dc/dc 컨버터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공급하는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플라이백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시스템.
A plurality of solar cell modules;
And a plurality of junction boxes including a dc / dc converter for level-converting and outputting a DC power supplied from each of the solar cell modul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olar cell modules,
Each of the dc / dc converters includes:
A first switching device for switching and supplying a DC power suppli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And
And a flyback converter having a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outputting a level-converted DC power using the DC pow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온 또는 온/오프 반복에 의한,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의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오프에 의한,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의 제2 동작 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c / dc converter includes:
A first operation mode of the flyback converter by on / off repetition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of the flyback converter due to the turning-off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오프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도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c / dc converter includes:
An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f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is also turned off.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dc/dc 컨버터에서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junction box includes:
And an inverter for converting the level-converted DC power from the dc / dc converter into an AC power and outputting the AC pow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션 박스에서 각각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입력받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계통으로 출력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n inverter for receiving DC power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junction boxes, converting the DC power into an AC power, and outputting the AC power to the system.
KR1020120008250A 2012-01-27 2012-01-27 Photovoltaic module, and photovoltaic system KR1019593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250A KR101959302B1 (en) 2012-01-27 2012-01-27 Photovoltaic module, and photovoltaic system
EP13000337.9A EP2621075B1 (en) 2012-01-27 2013-01-23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photovoltaic module
CN201310086250.7A CN103227577B (en) 2012-01-27 2013-01-25 Power conversion device and photovoltaic module
US13/749,870 US9281759B2 (en) 2012-01-27 2013-01-25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photovoltaic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250A KR101959302B1 (en) 2012-01-27 2012-01-27 Photovoltaic module, and photovoltaic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171A true KR20130087171A (en) 2013-08-06
KR101959302B1 KR101959302B1 (en) 2019-03-18

Family

ID=4921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250A KR101959302B1 (en) 2012-01-27 2012-01-27 Photovoltaic module, and photovoltaic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3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604B1 (en) * 2019-04-19 2020-06-12 주식회사 하이드로봇테크앤리서치 Real-time Data Collection System including Observation Buoy for the Observation of Spatial Suspended Sediment
KR102143649B1 (en) * 2019-04-26 2020-08-11 주식회사 하이드로봇테크앤리서치 Observation Buoy of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ediment and Real-time Efficiency Estimation System of Silt Prot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138A (en) * 2004-04-09 2007-02-07 비피 코포레이션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hotovoltaic module with an electric device
KR20090004983A (en) * 2006-03-23 2009-01-12 엔페이즈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direct current to alternating current
JP2009136139A (en) * 2007-11-01 2009-06-18 Origin Electric Co Ltd Step-down dc-dc converter
KR20110123397A (en) * 2010-05-07 2011-11-15 (주)엘지하우시스 Bipv system and self diagnostic method for solar cell module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138A (en) * 2004-04-09 2007-02-07 비피 코포레이션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hotovoltaic module with an electric device
KR20090004983A (en) * 2006-03-23 2009-01-12 엔페이즈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direct current to alternating current
JP2009136139A (en) * 2007-11-01 2009-06-18 Origin Electric Co Ltd Step-down dc-dc converter
KR20110123397A (en) * 2010-05-07 2011-11-15 (주)엘지하우시스 Bipv system and self diagnostic method for solar cell modul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302B1 (en)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045B1 (en) Photovoltaic module
US9281759B2 (en)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photovoltaic module
US9577573B2 (en) Photovoltaic module
KR101732984B1 (en) Photovoltaic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98587B1 (en) Photovoltaic module and photovoltaic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30027900A (en) Solar cell module and photovoltaic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000062B1 (en) Photovoltaic module
KR101954194B1 (en)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photovoltaic module
KR20120140023A (en) Photovoltaic module
KR101824983B1 (en) Photovoltaic module, photovoltai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89773B1 (en) Photovoltaic module and photovoltaic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30011689A (en) Photovoltaic module
KR20180020555A (en) Photovoltaic module and photovoltaic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843776B1 (en) Photovoltaic module and photovoltaic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959302B1 (en) Photovoltaic module, and photovoltaic system
KR101788013B1 (en) Photovoltaic module
KR101893816B1 (en) Photovoltaic module
KR101906196B1 (en) Photovoltaic module
KR101954195B1 (en)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photovoltaic module
KR20130137926A (en) Photovoltaic module
KR20120134810A (en) Photovoltaic module
KR20120129112A (en) Combined photovoltaic and photovoltaic therm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