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5707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5707A
KR20130085707A KR1020120006690A KR20120006690A KR20130085707A KR 20130085707 A KR20130085707 A KR 20130085707A KR 1020120006690 A KR1020120006690 A KR 1020120006690A KR 20120006690 A KR20120006690 A KR 20120006690A KR 20130085707 A KR20130085707 A KR 20130085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point
antenna
mobile terminal
antenn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6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재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6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5707A/en
Publication of KR2013008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7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device is provided to reduce intermodulation distortion by spacing antennas and increasing the isolation of an antenna significantly. CONSTITUTION: A first antenna (110) is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a first best feeding point. The first best feeding poin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ground. A second antenna (120) is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a second best feeding point. The second feeding point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The two sides of the ground are located near each other.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이동통신 시스템과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등의 급속한 보급과 기존의 다양한 무선 방송과 무선 기술들의 혼재로 인하여 최근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는 무선 수단들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휴대를 위한 무선 수단들의 소형화 요구 또한 급증하고 있다. Due to the rapid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s and the mixing of various existing wireless broadcasting and wireless technologies, the demand for wireless means capable of operating in various frequency bands is increasing rapidly. Their demand for miniaturization is also skyrocketing.

특히,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하나의 제품을 구매하여 여러 가지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사용자의 취향이 일반화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떠한 휴대 장치에서도 기본적인 통신을 이용하여 방대한 자원을 이용하거나 통신 연결성을 보장받으려 하는 요구 또한 일반화되고 있다. 이는 언제 어디서나 어떠한 기기를 통해서도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지향하는 추세와도 일맥상통하고 있다. In particular, as the interest in digital convergence has soared, the taste of users who want to purchase a single product to satisfy various needs is becoming common, and any mobile device uses vast resources using basic communication. Or the need to ensure communication connectivity is also becoming common. This is in line with the trend toward a ubiquitous environment where any device can access the network anytime, anywhere.

또한, 차세대 통신방식으로 등장한 Wimax, 802.11x 또는 LTE와 같은 광대역을 무선통신 방식은 유선통신과 무선 통신 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대역 범위와 신뢰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원하는 통신 환경을 조절하는 스마트 안테나(Smart Antenna) 등의 다차원적 신호를 이용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max, 802.11x, or LTE, which has emerged as the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method, uses multiple antennas to simultaneously improve the band range and reliability by using multiple antennas to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wir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 A multi-dimensional signal such as a smart antenna for controlling a desired communication environment by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이러한 차세대 광대역 무선통신 방식에서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고 있어 안테나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게 되고, 복수 통신 방식의 통합에 의해 다중 대역 지원을 위해 추가적인 안테나가 필요하게 되는 등 안테나 설계와 배치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In the next-generatio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 plurality of antennas are used to increase the space occupied by the antennas, and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design and deploy antennas such as an additional antenna is required for multi-band support by the integration of the multiple communication methods. have.

다음은 도 1을 참고하여 종래의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한다.Next,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동 단말기(10)는 제1 안테나(11), 제2 안테나(12), 그라운드(13)를 포함한다. 제1 안테나(11)는 이동 단말기(10)의 하단측에 배치되고, 그라운드(13)와 급전점 및 접지점을 갖는다. 제2 안테나(12)는 이동 단말기(10)의 상단측에 배치되고, 그라운드(13)와 급전점 및 접지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안테나 배치를 갖는 종래의 이동 단말기(10)는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The mobile terminal 10 includes a first antenna 11, a second antenna 12, and a ground 13. The first antenna 11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has a ground 13, a feed point, and a ground point. The second antenna 1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has a ground 13, a feed point, and a ground point. 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10 having such an antenna arrangement has several problems.

이하, 도 2 내지 도 5에서 종래 이동 단말기(10)의 안테나 배치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blem according to the antenna arrangement of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도 2 내지 도 3은 혼 변조 왜곡(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to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horn modulation distortion (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

혼 변조(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는 두 개 이상의 주파수가 비선형 시스템 혹은 회로를 통과할 때 출력 단에 입력에 없던 신호가 혼 변조 되어 튀어 나오는 것을 의미하고, 혼 변조 왜곡(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은 그러한 혼 변조 성분에 의한 왜곡(distortion) 그 자체를 의미한다.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 means that when two or more frequencies pass through a nonlinear system or circuit, signals that are not present at the output stage are horn-modulated, and 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 is such a horn. Distortion by the modulation component itself.

이러한 혼 변조 왜곡(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이 중요한 이유는, CDMA와 같은 디지털 시스템은 아날로그 시스템과 달리 한 신호가 하나의 주파수 즉, 한 채널을 사용하는 게 아니라 넓은 채널 밴드 폭을 여러 신호가 공유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 주로 문제가 된다.The reason why this 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 is important is that in digital systems like CDMA, unlike analog systems, one signal does not use one frequency, or one channel, but multiple signals share a wide channel bandwidth. to be. In other words, it is mainly a problem i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즉, 한 밴드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여러 주파수의 신호가 동시다발적으로 입력되기 때문에, 서로 마구 섞여서 출력 단에 여러 주파수가 복합된 신호가 많이 발생하다 보면 신호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In other words, since multiple signals are simultaneously input to a system that processes one band, many signals with multiple frequencies mixed together in the output stage may not be processed properly. .

도 2를 참고하면, 제1 안테나에서 f1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 제2 안테나에서 f2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합쳐진 x를 얻을 수 있고, 비선형 채널을 통과하면, 비선형적인 출력 y가 발생한다. 제1,2 안테나는 이동 단말기(100) 내부에 포함된 안테나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출력 y에서 3차항의 성분이 문제가 된다. 이 3차항 IMD는 수식적으로 풀어보면 입력신호가 증가함에 따라 3제곱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처음에는 혼 변조 왜곡(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이 작지만 입력신호가 증가하다 보면 원신호보다 훨씬 빠른 기울기로 증가면서 원신호의 전력과 비슷해지는 경우까지 발생한다.Referring to FIG. 2, x of a signal having a frequency of f1 at a first antenna and a signal having a frequency of f2 at a second antenna may be obtained, and a nonlinear output y may be generated when passing through a nonlinear channel.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may refer to antenna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 particular, the components of the cubic term in the output y are problematic. Since this third-order IMD increases numerically as the input signal increases, the first-order quadratic IMD is small, but the 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 is small at first, but as the input signal increases, the gradient increases much faster than the original signal. This occurs until the power of the original signal becomes similar.

도 3을 참고하면, 출력에는 여러 가지 잡종성분이 섞인 신호가 나오지만 2*f1, 3*f2 와 같은 완전배수성 하모닉 들은 필터로 거를 수가 있다. 하지만 문제가 되는 것은 위에서 언급한 3차항, 즉 2*f1-f2 와 2*f2-f1 인데, 이것은 f1과 f2 신호에 아주 가까이 붙어버리기 때문에 골치거리가 된다.Referring to FIG. 3, a signal mixed with various hybrid components is output at the output, but perfect drainage harmonics such as 2 * f1 and 3 * f2 may be filtered. The problem, however, is the third-order terms mentioned above, 2 * f1-f2 and 2 * f2-f1, which are troublesome because they stick very close to the f1 and f2 signals.

혼 변조 왜곡(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이 주로 지칭하는 것은 주로 이러한 3차항 혼 변조 성분 때문이며, 그래서 보통 혼 변조 왜곡(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이라 부르는 신호들은 3차항 IMD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혼 변조 왜곡(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은 후술할 격리도(Isolation)와 관련이 있고, 격리도(Isolation)의 dB값이 작아질수록 혼 변조 왜곡(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의 발생 확률이 낮다.
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 refers mainly to these third-order horn modulation components, so signals commonly referred to as 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 often refer to third-order 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 is related to isol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smaller the dB value of isolation,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

도 4는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를 설명하기 위한 수식이다.4 is a formula for explaining an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 (ECC).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는 이동 단말기(100) 내부에 위치한 안테나 간 독립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 (ECC) is an index indicating independence between antennas located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는 그 값이 0.5보다 작은 경우, 안테나 간 독립성이 좋다고 평가할 수 있다. 안테나 간 독립성은 빔(Beam) 분리도 또는 편파 직교성(Polarization Orthogonality)으로 평가할 수 있다. 빔(Beam) 분리도는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빔이 서로 간섭받지 않고, 독립성을 유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를 의미하고, 편파 직교성(Polarization Orthogonality)은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신호 간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를 의미한다.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 (ECC) can be evaluated as good independence between antennas when the value is smaller than 0.5. Independence between antennas can be evaluated by beam separation or polarization orthogonality. Beam separation refers to a measure of the degree to which the beams generated from the antennas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maintains independence, and polarization orthogonality refers to a measure of the amount of interference between signals generated from the antennas. Means.

도 4를 참고하면, 분자, 분모 각 수식은 동일 편파의 E-field의 곱으로 이루어지고, 안테나 특성 측정 점에서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에 의한 방사가 중첩되지 않거나, 편파가 일치하지 않으면,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가 0에 접근한다.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가 0에 접근하면, 빔(Beam) 분리도 또는 편파 직교성(Polarization Orthogonality)이 우수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numerator and denominator equations are made by multiplying the E-field of the same polarization, and if the radi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do not overlap or the polarizations do not coincide at the antenna characteristic measurement point,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 (ECC) approaches zero. When the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 (ECC) approaches zero, the beam separation or polarization orthogonality is excellent.

도 5는 안테나 간 간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nterference between antennas.

도 5의 (a)는 제1,2 안테나의 그라운드가 연결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제1,2 안테나의 그라운드가 연결될 때 그라운드 조건이 어긋나는 상황을 설명한 도면이다.FIG. 5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grounds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are connected, and FIG. 5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ground conditions are shifted when the grounds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are connected.

먼저, 도 5의 (a)를 참고하면, 제1 안테나 및 제1 안테나와 연결된 제1 그라운드, 제2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와 연결된 제2 그라운드가 도시되어 있다. 제1 그라운드와 제2 그라운드가 합쳐지면, 안테나가 그라운드 조건을 망치는 현상을 가져온다. 즉, 동일한 안테나 구조에서도 그라운드의 길이 변화는 그라운드에 형성되는 전류 흐름에 영향을 주어 방사특성을 변화시킨다.First, referring to FIG. 5A, a first ground connected with a first antenna and a first antenna, a second ground connected with a second antenna, and a second antenna are illustrated. When the first ground and the second ground are combined, an antenna destroys ground conditions. That is, even in the same antenna structure,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ground affects the current flow formed in the ground, thereby changing the radiation characteristic.

구체적으로, 도 5의 (b)를 참고하면, 제1 안테나 및 제1 그라운드에서 방사되는 사인파는 0도, 180도에서 오픈 상태이며, 전류가 최소이고, 90도, 270도에서는 쇼트 상태이며 전류가 최대이다. 제2 안테나 및 제2 그라운드에서 방사되는 사인파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제1,2 안테나의 그라운드가 연결되면, 제1 안테나 및 제1 그라운드에서 방사되는 사인파는 위상이 0도여서 그라운드 조건을 만족하지만, 180도인 경우에는 제2 안테나 및 제2 그라운드의 영향을 받아, 그라운드 조건을 불만족시켜 제1 안테나의 방사 효율 특성이 저해된다. 제2 안테나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즉, 저 주파수 대역에서 상대 안테나가 서로의 그라운드 역할을 하며, 그라운드의 경계 조건(Boundary Condition)을 왜곡시켜, 그라운드 내의 전류 정재파(Standing Wave) 발생을 방해한다. 이에 따라 안테나의 방사 효율(Radiation Efficiency)이 악화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b), the sine wave radiated from the first antenna and the first ground is open at 0 degrees and 180 degrees, the current is minimum, and at 90 degrees and 270 degrees, the short state is current. Is the maximum. The same applies to sine waves radiated from the second antenna and the second ground. However, when the grounds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are connected, the sine wave radiated from the first antenna and the first ground has a phase of 0 degrees to satisfy the ground condition. However, when the grounds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are 180 degrees, the influence of the second antenna and the second ground is affected. In response, the ground condition is unsatisfactory, and the radiation efficiency characteristic of the first antenna is hindered. The second antenna can be similarly considered. That is, in the low frequency band, the relative antennas serve as grounds of each other, distort boundary conditions of the ground, and prevent generation of current standing waves in the ground. Accordingly, the radiation efficiency of the antenna may be deteriorated.

이외에도 복수의 안테나 동작조건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io)이 커지는 문제 및 다양한 주파수 대역 및 음성 데이터 동시 사용(SV, Simultaneous Voice) 모드에 따라 넓은 주파수 대역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ing Specific Absorption Ratio (SAR) according to operating conditions of a plurality of antennas and a wide frequency band according to various frequency bands and Simultaneous Voice (SV) modes.

본 발명은 안테나의 배치를 통해 격리도를 크게 높여 혼 변조 왜곡의 발생확률을 낮추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that greatly increases the isolation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antenna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horn modulation distortion.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의 배치를 통해 방사 특성 및 편파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that can improve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and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antenna.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의 배치를 통해 안테나 간 간섭을 줄이기 위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for reduc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antenna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antenn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그라운드; 상기 그라운드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급전점(111)을 통해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1 안테나; 및 상기 그라운드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급전점(112)을 통해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은 상기 타측과 인접한다.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round; A first antenna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a first feed point 111 located at one side of the ground; And a second antenna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a second feed point 112 positioned at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wherein one side is adjacent to the other side.

상기 제2 급전점(112)은 상기 타측의 제1 점과 제2 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점은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의 교점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점은 상기 제1 점으로부터 상기 타측 길이의 1/4만큼 떨어진 점에 해당할 수 있다.The second feed point 112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n the other side, the first point corresponds to the intersection of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the second point is the first point from the first point. This may correspond to a point that is 1/4 of the other length.

상기 제2 급전점(112)은 상기 타측의 제1 점과 제2 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점은 상기 일측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점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점은 상기 제1 점으로부터 상기 타측 길이의 1/4만큼 떨어진 점에 해당할 수 있다.The second feed point 112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n the other side, the first point corresponds to a point farthest from the one side, and the second point is the first point from the first point. This may correspond to a point that is 1/4 of the other length.

상기 일측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에는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다.The one side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obile terminal, the battery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제1,2 안테나는 동시에 사용되며, 상기 제1,2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통화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통화 음성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may be used simultaneously, and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may transmit and receive call voice data, and the other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other than the call voice data.

상기 제1,2 안테나는 중첩된 주파수 대역에서 운영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may be operated in an overlapping frequency band.

상기 그라운드의 길이는 상기 중첩된 주파수 대역의 파장 길이의 1/4에 해당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ground may correspond to one quarter of the wavelength of the overlapping frequency band.

상기 제1,2 안테나의 길이는 상기 중첩된 주파수 대역의 파장 길이의 1/4에 해당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may correspond to one quarter of the wavelength of the overlapping frequency band.

상기 중첩된 주파수 대역은 700MHz과 1GHz 사이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The overlapping frequency band may have a range between 700 MHz and 1 GHz.

상기 그라운드의 길이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한 메탈 프레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ground may be determined by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metal frame position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안테나의 배치를 통해 격리도를 크게 높여 혼 변조 왜곡(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의 발생 확률을 낮출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solation rate may be greatly increased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antennas, thereby reducing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

또한, 안테나의 배치를 통해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를 낮추어 방사 특성 및 편파 특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antenna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and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by lowering the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 (ECC).

또한, 안테나의 배치를 통해 안테나 간 간섭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antenna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antenna.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혼 변조 왜곡(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를 설명하기 위한 수식이다.
도 5는 안테나 간 간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도이다.
도 10은 안테나 배치에 따른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안테나 배치에 따른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를 비교하는 표이다.
도 12는 안테나 배치에 따른 격리도(Isolation)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안테나 배치에 따른 격리도(Isolation)를 비교하는 표이다.
도 14는 제1 안테나(110)를 기준으로 측정한 안테나 배치에 따른 전체 효율 편차(Total Efficiency Deviation)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제1 안테나(110)를 기준으로 측정한 안테나 배치에 따른 전체 효율 편차(Total Efficiency Deviation)를 비교하는 표이다.
도 16은 종래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배치에 따른 방사 패턴 및 편파 특성(Polarization)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안테나 배치에 따른 방사 패턴 및 편파 특성(Polarization)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to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horn modulation distortion (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
4 is a formula for explaining an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 (ECC).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nterference between antennas.
6 is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graph comparing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s (ECCs) according to antenna arrangement.
11 is a table comparing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s (ECCs) according to antenna arrangement.
12 is a graph comparing isolation according to antenna arrangement.
13 is a table comparing isolation according to antenna arrangement.
FIG. 14 is a graph comparing total efficiency deviation according to antenna arrangement measured based on the first antenna 110.
FIG. 15 is a table comparing total efficiency deviations according to antenna arrangements measured based on the first antenna 110.
FIG. 16 illustrates a radiation pattern and polarization according to an antenna arrangement of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diation pattern and polarization according to the antenna arrange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and the like.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안테나(110), 제2 안테나(120), 그라운드(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antenna 110, a second antenna 120, and a ground 130.

제1 안테나(110)는 그라운드(13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급전점(111)을 통해 그라운드(130)와 연결된다. 또한, 제1 안테나(110)는 그라운드(13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접지점(112)를 통해 그라운드(130)에 연결된다. 제1 급전점(111)과 제1 접지점(112), 제2 급전점(121), 제2 접지점(122)의 위치나 용도는 안테나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first antenna 110 is connected to the ground 130 through the first feed point 111 located on one side of the ground 130. In addition, the first antenna 110 is connected to the ground 130 through a first ground point 112 located at one side of the ground 130. The position or use of the first feed point 111, the first ground point 112, the second feed point 121, and the second ground point 122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antenna.

제2 안테나(120)는 그라운드(13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급전점(112)을 통해 그라운드(130)와 연결된다. 또한, 제2 안테나(120)는 그라운드(13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접지점(122)를 통해 그라운드(130)에 연결된다.The second antenna 120 is connected to the ground 130 through the second feed point 112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In addition, the second antenna 120 is connected to the ground 130 through a second ground point 122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그라운드(130)의 일측과 타측은 인접한다. 일 실시 예에서 그라운드(130)의 일측은 이동 단말기(100)의 세로길이가 가로길이보다 큰 경우, 그라운드(130)의 가로측에 해당할 수 있고, 그라운드(130)의 타측은 그라운드(130)의 세로측에 해당할 수 있다.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is adjacent. In one embodiment, one side of the ground 130 may correspond to the horizontal side of the ground 130 when the vertical length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great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and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is the ground 130. It may correspond to the vertical side of.

도 6을 참고하면, 그라운드(130)의 일측은 하단측을 의미하고, 그라운드(130)의 타측은 좌측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6, one side of the ground 130 refers to the low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refers to the left side.

일 실시 예에서 제2 급전점(112)은 그라운드(130) 타측의 제1 점과 제2 점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점은 그라운드(130)의 일측과 타측의 교점에 해당하고, 제2 점은 제1 점으로부터 타측 길이의 1/4만큼 떨어진 점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급전점(112)은 그라운드(130) 타측의 제1 점과 제2 점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점은 일측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점에 해당하고, 제2 점은 제1 점으로부터 타측 길이의 1/4만큼 떨어진 점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일측은 이동 단말기(100)의 하단에 위치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하단에는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feed point 112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and the first point corresponds to the intersection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and the second point. May correspond to a point separated by 1/4 of the other length from the first point.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feed point 112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and the first point corresponds to the point farthest from one side, and the second point is the first point. It may correspond to a point separated by 1/4 of the other length from. In this case, one side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battery may be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mobile terminal 100.

일 실시 예에서 그라운드(130)의 일측과 타측은 이동 단말기(100)의 일측과 타측으로 대체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may be replaced wi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도 6과 같은 제1 안테나(110) 및 제2 안테나의 배치를 통해 제1 안테나(110) 및 제2 안테나(120)의 방사패턴은 상이한 방향성을 가지게 되어 편파 특성이 양호해진다.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antenna 110 and the second antenna as shown in FIG. 6, the radiation patterns of the first antenna 110 and the second antenna 120 have different directionalities, thereby improvi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제1 안테나(110) 및 제2 안테나(120)는 중첩된 주파수 대역에서 운영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대역은 700MHz과 1GHz 사이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antenna 110 and the second antenna 120 may be operated in the overlapping frequency band. Here, the frequency band may have a range between 700 MHz and 1 GHz.

제1 안테나(110) 및 제2 안테나(120)의 길이는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중첩된 주파수 대역의 파장 길이의 1/4에 해당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antenna 110 and the second antenna 120 may correspond to 1/4 of the wavelength of the overlapped frequency band of the mobile terminal 100.

제1 안테나(110)는 상대방의 이동 단말기와 통화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2 안테나(120)는 통화 음성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이와 반대로, 제1 안테나(110)가 통화 음성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2 안테나(120)가 통화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110 may transmit and receive call voice data to and from the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and the second antenna 12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other than the call voice data. In an embodiment, on the contrary, the first antenna 11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other than the call voice data, and the second antenna 120 may transmit and receive call voice data.

제1 안테나(110) 및 제2 안테나(120)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을 구현하기 위한 안테나 시스템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시스템은 LTE, HRPD 등과 같은 대량의 무선 데이터 처리가 요구되는 이동 단말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antenna 110 and the second antenna 120 may form an antenna system for implementing multiple input multiple out (MIMO). Such an antenna system may be suitably used for a mobile terminal requiring a large amount of wireless data processing such as LTE, HRPD, and the like.

그라운드(130)의 길이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한 메탈 프레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메탈 프레임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한 부품의 배치, 구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그라운드(130)의 길이는 상기 중첩된 주파수 대역의 파장 길이의 1/4에 해당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ground 130 may be determined by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metal frame position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metal frame may mean an arrangement, a structure, or the like of a component loca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In an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ground 130 may correspond to one quarter of the wavelength of the overlapping frequency band.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안테나(110), 제2 안테나(120), 그라운드(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antenna 110, a second antenna 120, and a ground 130.

도 7을 참고하면, 그라운드(130)의 일측은 하단측을 의미하고, 그라운드(130)의 타측은 우측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7, one side of the ground 130 refers to a low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refers to a right side.

일 실시 예에서 제2 급전점(112)은 그라운드(130) 타측의 제1 점과 제2 점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점은 그라운드(130)의 일측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점에 해당하고, 제2 점은 제1 점으로부터 그라운드 (130)의 타측 길이의 1/4만큼 떨어진 점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하단에는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feed point 112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and the first point corresponds to a point farthest from one side of the ground 130. The point may correspond to a point separated by 1/4 of the other length of the ground 130 from the first point. In this case, a battery may be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mobile terminal 100.

일 실시 예에서 그라운드(130)의 일측과 타측은 이동 단말기(100)의 일측과 타측으로 대체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may be replaced wi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기타 제1 안테나(110), 제2 안테나(120), 그라운드(130)에 대한 설명은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first antenna 110, the second antenna 120, and the ground 130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하면, 그라운드(130)의 일측은 하단측을 의미하고, 그라운드(130)의 타측은 우측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8, one side of the ground 130 refers to the low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refers to the right side.

일 실시 예에서 제2 급전점(112)은 그라운드(130) 타측의 제1 점과 제2 점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점은 그라운드(130)의 일측과 타측의 교점에 해당하고, 제2 점은 제1 점으로부터 그라운드 (130)의 타측 길이의 1/4만큼 떨어진 점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하단에는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feed point 112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and the first point corresponds to the intersection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and the second point. May correspond to a point separated by 1/4 of the other length of the ground 130 from the first point. In this case, a battery may be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mobile terminal 100.

일 실시 예에서 그라운드(130)의 일측과 타측은 이동 단말기(100)의 일측과 타측으로 대체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may be replaced wi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기타 제1 안테나(110), 제2 안테나(120), 그라운드(130)에 대한 설명은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first antenna 110, the second antenna 120, and the ground 130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도이다.9 is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고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안테나(110), 제2 안테나(120), 그라운드(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antenna 110, a second antenna 120, and a ground 130.

도 9를 참고하면, 그라운드(130)의 일측은 하단측을 의미하고, 그라운드(130)의 타측은 좌측을 의미한다.9, one side of the ground 130 refers to the low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refers to the left side.

일 실시 예에서 제2 급전점(112)은 그라운드(130) 타측의 제1 점과 제2 점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점은 그라운드(130)의 일측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점에 해당하고, 제2 점은 제1 점으로부터 그라운드 (130)의 타측 길이의 1/4만큼 떨어진 점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하단에는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feed point 112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and the first point corresponds to a point farthest from one side of the ground 130. The point may correspond to a point separated by 1/4 of the other length of the ground 130 from the first point. In this case, a battery may be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mobile terminal 100.

일 실시 예에서 그라운드(130)의 일측과 타측은 이동 단말기(100)의 일측과 타측으로 대체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130 may be replaced wi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기타 제1 안테나(110), 제2 안테나(120), 그라운드(130)에 대한 설명은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first antenna 110, the second antenna 120, and the ground 130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1에서는 종래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배치 및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인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배치에 따른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를 비교하여 설명한다.Next, in FIG. 10 to FIG. 11, an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 (ECC) according to the antenna arrangement of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and the antenna arrangement of the mobile terminals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and described.

이하에서, Case 0은 종래 안테나 배치를 갖는 도 1의 이동 단말기, Case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인 도 6의 이동 단말기, Case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인 도 7의 이동 단말기, Case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인 도 8의 이동 단말기, Case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인 도 9의 이동 단말기의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Hereinafter, Case 0 is a mobile terminal of FIG. 1 having a conventional antenna arrangement, Case 1 is a mobile terminal of FIG. 6 which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se 2 is a mobile terminal of FIG. 7, which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se 3 is considered to mean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9, which is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se 4.

도 10은 안테나 배치에 따른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를 비교하는 그래프이고, 도 11은 안테나 배치에 따른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를 비교하는 표이다.FIG. 10 is a graph comparing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s (ECCs) according to antenna arrangements. FIG. 11 is a table comparing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s (ECCs) according to antenna arrangements.

도 10을 참고하면, 그래프의 가로축은 주파수 대역(단위는 MHz, GHz), 세로축은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10, the horizontal axis of the graph represents a frequency band (units are MHz and GHz),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an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 (ECC).

도 10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는 디지탈 셀룰러 네트워크(DCN, Digital Cellular Network)의 대역 즉, CDMA를 이용한 800MHZ대역에서 Case 1, Case 3, Case 2, Case 4, Case 0 순으로 좋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는 그 값이 0.5보다 낮으면 안테나간 독립성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고, 0에 가까울수록 더 좋다. 구체적인 실험 수치는 도 11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Case 1일 때,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가 0에 가까워 안테나 간 독립성이 좋고, Case 0일 때, 0.5를 넘는 1에 가까워 안테나 간 독립성이 떨어진다. 구체적으로, Case 1, 3인 경우, 디지탈 셀룰러 네트워크(DCN, Digital Cellular Network)의 대역에서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가 0.5보다 작고, 0에 가까워 빔(Beam) 분리도 또는 편파 직교성(Polarization Orthogonality)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대로, Case 0인 경우, 디지탈 셀룰러 네트워크(DCN, Digital Cellular Network)의 대역에서 엔벨롭 상관계수(ECC,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가 0.5보다 크고, 1에 가까워 빔(Beam) 분리도 또는 편파 직교성(Polarization Orthogonality)이 취약함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10, the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 (ECC) is a case of a digital cellular network (DCN, Digital Cellular Network), that is, Case 1, Case 3, Case 2 in the 800MHZ band using CDMA , Case 4, Case 0 can be seen in good order.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 (ECC) is lower than 0.5, and the independence between antennas is evaluated to be good. The closer to 0, the better. Specific experimental values can be found in the table of FIG. 11. Referring to FIG. 11, when Case 1, the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 (ECC) is close to 0, and antenna independence is good, and in Case 0, when In Case 0, the independence between antennas is decreased. Specifically, in Cases 1 and 3, the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 (ECC) in the band of the digital cellular network (DCN, Digital Cellular Network) is less than 0.5 and close to 0, so that beam separation or polarization is close to zero. It can be seen that the Polarization Orthogonality is excellent. Conversely, in case 0, the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 (ECC) is greater than 0.5 and close to 1 in the band of the digital cellular network (DCN), so that beam separation or polarization orthogonality (Polarization) Orthogonality) is vulnerable.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3에서는 종래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배치 및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인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배치에 따른 격리도(Isolation)를 비교하여 설명한다.Next, in FIGS. 12 to 13, the antenna arrangement of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and the isolation according to the antenna arrangemen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2는 안테나 배치에 따른 격리도(Isolation)를 비교하는 그래프이고, 도 13은 안테나 배치에 따른 격리도(Isolation)를 비교하는 표이다.12 is a graph comparing isolation according to antenna arrangement, and FIG. 13 is a table comparing isolation according to antenna arrangement.

도 12를 참고하면, 그래프의 가로축은 주파수 대역(단위는 MHz, GHz), 세로축은 격리도(Isolation)(단위는 dB)를 나타낸다. 격리도(Isolation)는 신호의 분리도 즉, 안테나 간 서로 얼마나 간섭을 덜 일으키냐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격리도(Isolation)는 하나의 안테나에 송신단 주파수와 수신단 주파수 신호가 동시에 유입되기 때문에 이 두 신호를 최대한 격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생겨난 개념이다. dB값이 작을수록 격리도(Isolation)가 좋아져 안테나 간 간섭이 적다. 격리도(Isolation)의 dB값이 작아질수록 혼 변조 왜곡(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의 발생 확률이 낮다.Referring to FIG. 12,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frequency bands (units are MHz and GHz),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isolation (units are dB). Isolation is a measure of signal separation, ie, how much less interference between antennas occurs. Isolation is a concept that arises because it is necessary to isolate these two signals as much as possible because both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frequency signals flow in one antenna at the same time. The smaller the dB value, the better the isolation, resulting in less interference between antennas. The smaller the dB value of isolation,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

도 12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도(Isolation)는 디지탈 셀룰러 네트워크(DCN, Digital Cellular Network)의 대역 즉, CDMA를 이용한 800MHz대역에서 Case 3의 경우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 다음으로 작은 것은 Case 1의 경우이고, 그 다음은 Case 0,2,4이고, 이 세 가지 경우는 격리도의 dB값이 유사하다. 구체적인 실험 수치는 도 13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Case 1, 3인 경우, 디지탈 셀룰러 네트워크(DCN, Digital Cellular Network)의 대역에서 격리도의 dB값이 다른 경우와 비교하여 가장 작은 값을 갖기 때문에 혼 변조 왜곡(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의 발생 확률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Case 0인 경우, 디지탈 셀룰러 네트워크(DCN, Digital Cellular Network)의 대역에서 격리도의 dB값이 다른 경우와 비교하여 가장 큰 값을 갖기 때문에 혼 변조 왜곡(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의 발생 확률이 높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12, isolation is shown to be the smallest in Case 3 in the band of the Digital Cellular Network (DCN), that is, the 800 MHz band using CDMA. The next smaller one is Case 1, followed by Case 0, 2, 4, and the three cases are similar in dB. Specific experimental values can be found in the table of FIG. 13. Referring to FIG. 13, in Cases 1 and 3, 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 is smaller since the dB value of isolation is smaller in the band of the digital cellular network (DCN) than the other cases. It can be seen tha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is low. On the contrary, in case 0,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 is high because the dB value of isolation in the band of the digital cellular network (DCN) has the largest valu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ther cases are used. It can be seen.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5에서는 종래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배치 및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인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배치에 따른 전체 효율 및 방사 효율을 비교하여 설명한다.Next, in FIG. 14 to FIG. 15, the overall efficiency and the radi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antenna arrangement of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and the antenna arrangement of the mobile terminals which are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4는 제1 안테나(110)를 기준으로 측정한 안테나 배치에 따른 전체 효율 편차(Total Efficiency Deviation)를 비교하는 그래프이고, 도 15는 제1 안테나(110)를 기준으로 측정한 안테나 배치에 따른 전체 효율 편차(Total Efficiency Deviation)를 비교하는 표이다.FIG. 14 is a graph comparing total efficiency deviations according to the antenna arrangement measured based on the first antenna 110, and FIG. 15 is a graph illustrating the antenna arrangement measured based on the first antenna 110. Referring to FIG. Table comparing total efficiency deviations.

도 14를 참고하면, 그래프의 가로축은 그래프의 가로축은 주파수 대역(단위는 MHz, GHz), 세로축은 전체 효율(단위는 dB)을 나타낸다. 도 14에서 측정된 전체 효율 편차(Total Efficiency Deviation)는 제1 안테나(110)에서 측정한 효율에서 5가지 경우의 제2 안테나(120)를 연결하였을 때 측정한 효율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horizontal axis of the graph represents a frequency band (units are MHz and GHz),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overall efficiency (unit is dB). The total efficiency deviation measured in FIG. 14 may refer to a difference in efficiency measured when the second antenna 120 in five cases is connected to the efficiency measured by the first antenna 110.

도 14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효율 편차(Total Efficiency Deviation)는 디지탈 셀룰러 네트워크(DCN, Digital Cellular Network) 및 유럽식 이동통신 방식(GSM, 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의 대역 즉, 800~900MHz대역에서 Case1,3의 경우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 Case 2인 경우, 그 다음으로 Case 4인 경우, 마지막으로 Case 0인 경우이다. 구체적인 실험 수치는 도 15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14, Total Efficiency Deviation is a band of digital cellular network (DCN) and European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GSM), that is, 800 to 900 MHz. Case 1, 3 is the largest case in the band, then Case 2, then Case 4, and finally Case 0. Specific experimental values can be found in the table of FIG. 15.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에서는 종래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배치 및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인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배치에 따른 방사 패턴 및 편파 특성(Polarization)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radiation pattern and polarization according to the antenna arrangement of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and the antenna arrangement of the mobile terminals which are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6은 종래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배치에 따른 방사 패턴 및 편파 특성(Polarization)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6 illustrates a radiation pattern and polarization according to an antenna arrangement of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도 16의 (a)는 제1 안테나(11)만 있을 경우, 관측되는 3차원 공간의 ZX 평면의 앞뒤단면 및 YZ 평면의 좌우단면의 방사 패턴 및 편파 특성이 제2 안테나(12)가 연결됨에 따라 변화됨을 보여주고 있고, 도 16의 (b)는 제2 안테나(12)만 있을 경우, 3차원 공간의 ZX 평면의 앞뒤단면 및 YZ 평면의 좌우단면의 방사 패턴 및 편파 특성이 제1 안테나(11)가 연결됨에 따라 변화됨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두 경우 모두, 상대 안테나가 연결됨에 따라 그라운드 방향으로의 빔 틸팅(Beam Tilting)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상대 안테나로 인해 그라운드가 확장되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16 (a) shows that the radiation pattern and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ront and rear cross sections of the ZX plane and the left and right cross sections of the YZ plane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that are observed when only the first antenna 11 is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12 16 (b) shows that the radiation pattern and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ront and rear cross sections of the ZX plane and the left and right cross sections of the YZ plane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when only the second antenna 12 is present, the first antenna ( 11) changes as they are connected. In conclusion, in both cases, it can be seen that beam tilting in the ground direction occurs as the relative antenna is connected. This is because the relative antenna has an effect of expanding the ground.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안테나 배치에 따른 방사 패턴 및 편파 특성(Polarization)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diation pattern and polarization according to the antenna arrange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의 (a)는 제1 안테나(110)만 있을 경우, 관측되는 3차원 공간의 ZX 평면의 앞뒤단면 및 YZ 평면의 좌우단면의 방사 패턴 및 편파 특성이 제2 안테나(120)가 연결됨에 따라 변화됨을 보여주고 있고, 도 17의 (b)는 제2 안테나(120)만 있을 경우, 3차원 공간의 ZX 평면의 앞뒤단면 및 YZ 평면의 좌우단면의 방사 패턴 및 편파 특성이 제1 안테나(110)가 연결됨에 따라 변화됨을 보여주고 있다.FIG. 17A illustrates that the radiation pattern and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ront and rear cross sections of the ZX plane and the left and right cross sections of the YZ plane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that are observed when only the first antenna 1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120. 17 (b) shows that the radiation pattern and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ront and rear cross sections of the ZX plane and the left and right cross sections of the YZ plane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when only the second antenna 120 exists, the first antenna ( 110 changes as it is connected.

도 17의 (a)를 참고하면, 제2 안테나(120)의 연결에 따라 빔 틸팅(Beam Tilting)이 발생하지 않아, 그라운드 조건에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라운드 조건이 변화하지 않음은 제2 안테나(120)의 연결로 그라운드가 확장 또는 축소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라운드 조건에 변화가 없으면, 제2 안테나(120)의 연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이 적어짐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A, beam tilting does not occur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antenna 120, and thus it is understood that there is no change in the ground condition. Not changing the ground condition may mean that the ground is not extended or reduced by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antenna 120.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ground condition, it may mean that interference caused by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antenna 120 is reduced.

도 17의 (b)를 참고하면, 제1 안테나(110)의 연결에 따라 방사 패턴 및 편파 특성이 직교성을 확보하도록 변화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방사 패턴 및 편파 특성이 직교성을 확보하는 경우, 제1 안테나(110)의 연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이 적어짐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B, it can be seen that the radiation pattern and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 are changed to ensure orthogonality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first antenna 110. When the radiation pattern and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 secure the orthogonality, it may mean that the interference that may occur due to the connection of the first antenna 110 is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readable by a processor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Examples of the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etc.,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s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It is possible.

Claims (10)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그라운드;
상기 그라운드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급전점을 통해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1 안테나; 및
상기 그라운드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급전점을 통해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은 상기 타측과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
In the mobile terminal,
ground;
A first antenna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a first feed point located at one side of the ground; And
A second antenna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a second feed point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The one side is a mobile terminal adjacent to the othe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급전점은,
상기 타측의 제1 점과 제2 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점은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의 교점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점은 상기 제1 점으로부터 상기 타측 길이의 1/4만큼 떨어진 점에 해당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feed point,
Located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f the other side,
The first point corresponds to the intersection of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 second point corresponds to a point distant from the first point by a quarter of the other l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급전점은,
상기 타측의 제1 점과 제2 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점은 상기 일측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점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점은 상기 제1 점으로부터 상기 타측 길이의 1/4만큼 떨어진 점에 해당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feed point,
Located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f the other side,
The first point corresponds to the point farthest from the one side,
The second point corresponds to a point distant from the first point by a quarter of the other lengt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에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one side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obi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battery at the bottom of the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안테나는,
동시에 사용되며, 상기 제1,2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통화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통화 음성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A mobile terminal, which is used at the same tim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transmits and receives call voice data and the other transmits and receives data other than the call voice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안테나는,
중첩된 주파수 대역에서 운영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A mobile terminal operating in an overlapping frequency ba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의 길이는 상기 중첩된 주파수 대역의 파장 길이의 1/4에 해당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length of the ground corresponds to one quarter of the wavelength of the overlapping frequency ba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안테나의 길이는 상기 중첩된 주파수 대역의 파장 길이의 1/4에 해당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corresponds to 1/4 of the wavelength of the overlapping frequency band.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된 주파수 대역은,
700MHz과 1GHz 사이의 범위를 갖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 to 8, wherein the overlapping frequency bands,
Mobile terminal having a range between 700 MHz and 1 GHz.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의 길이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한 메탈 프레임에 의해 결정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the ground,
A mobile terminal determined by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metal frame loca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KR1020120006690A 2012-01-20 2012-01-20 Mobile terminal KR201300857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690A KR20130085707A (en) 2012-01-20 2012-01-20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690A KR20130085707A (en) 2012-01-20 2012-01-20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707A true KR20130085707A (en) 2013-07-30

Family

ID=4899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690A KR20130085707A (en) 2012-01-20 2012-01-20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5707A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5133A (en) * 2006-02-13 2007-08-23 Ntt Docomo Inc Dipole antenna and multi-antenna unit
KR20090016481A (en) * 2004-07-20 2009-02-13 노키아 코포레이션 A multi-band antenna arrangement
KR20090039103A (en) * 2007-10-17 2009-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Mimo antenna apparatus
KR20100108062A (en) * 2009-03-27 2010-10-06 스카이크로스 인코포레이티드 Multiband antenna structure
KR20110085586A (en) * 2010-01-21 2011-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multiple antenna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481A (en) * 2004-07-20 2009-02-13 노키아 코포레이션 A multi-band antenna arrangement
JP2007215133A (en) * 2006-02-13 2007-08-23 Ntt Docomo Inc Dipole antenna and multi-antenna unit
KR20090039103A (en) * 2007-10-17 2009-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Mimo antenna apparatus
KR20100108062A (en) * 2009-03-27 2010-10-06 스카이크로스 인코포레이티드 Multiband antenna structure
KR20110085586A (en) * 2010-01-21 2011-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multiple antenna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59117B (en) Antenna assembly for reducing mutual coupling between antennas and self-healing decoupling method
US20190260113A1 (en) Antenna and Mobile Terminal
CN109346833B (en) Terminal equipment with WIFI MIMO antenna
US9008728B2 (en) Antenna arrangement for 3G/4G SVLTE and MIMO to enable thin narrow boardered display phones
US8750798B2 (e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antenna module and associated method
US8711043B2 (en) Wideband antenna
US9401543B2 (en) Broadband antenna
US9825366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tenna and printed circuit board
US20120329407A1 (en) Antenna Arrangement
US20140273887A1 (en) Tunable ila and dila matching for simultaneous high and low band operation
US9531084B2 (e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antennas having polarization and angle diversity and related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US20150002359A1 (en) Antennas with shared grounding structure
US20130162486A1 (en) Switchable diversity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Malviya et al. Offset planar MIMO antenna for om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s
US201003099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a controlled power output at an antenna port over a range of frequencies defined by two or more frequency bands
Luomaniemi et al. Designing hand-immune handset antennas with adaptive excitation and characteristic modes
US20130194156A1 (en) Lte antenna pair for mimo/diversity operation in the lte/gsm bands
Elshirkasi et al. Performance study of a MIMO mobile terminal with upto 18 elements operating in the sub-6 GHz 5G band with user hand
US8779991B2 (en) Antenna assembly with electrically extended ground plane arrangement and associated method
US20120299780A1 (en) Wideband Antenna
US20110227801A1 (en) High isolation multi-band antenna set incorporated with wireless fidelity antennas and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ntennas
Rasilainen et al. LTE handset antenna with closely-located radiators, low-band MIMO, and high efficiency
US11056781B2 (en) Antenna and mobile terminal
CN101997166B (en) Annular multiband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KR20130085707A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