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5622A - 단일 단말에서 서비스 별 등록을 통해 복수 i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단일 단말에서 서비스 별 등록을 통해 복수 i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5622A
KR20130085622A KR1020120006508A KR20120006508A KR20130085622A KR 20130085622 A KR20130085622 A KR 20130085622A KR 1020120006508 A KR1020120006508 A KR 1020120006508A KR 20120006508 A KR20120006508 A KR 20120006508A KR 20130085622 A KR20130085622 A KR 20130085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s
service
terminal
ims service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06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5622A/ko
Publication of KR20130085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단말에서 복수 IMS AS(Application Server)의 서비스 구분을 위해 서비스 별 피쳐 태그(feature tag)가 포함된 등록키를 IMS 망에 등록하여 각각의 IMS AS를 통해 IMS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IMS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일 단말에서 서비스 별 등록을 통해 복수 I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Providing Plurality of IMS Service through Respective Service Registrations in Single User Station}
본 발명은 단일 단말에서 복수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일 단말에서 복수 IMS AS(Application Server)의 서비스 구분을 위해 서비스 별 피쳐 태그(feature tag)가 포함된 등록키를 IMS 망에 등록하여 각각의 IMS AS를 통해 IMS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IMS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IMS 서비스는 유무선 엑세스 네트워크와는 독립적으로 구축되어 IP(Internet Protocol) 망을 기반으로하는 각종 유무선 통합망을 연동시켜 음성, 오디오, 비디오, 또는 데이터 등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이다. 기존 IMS 표준 규격(3GPP TS 24.229) 상에는 기본적으로 한 사용자가 한 개의 단말을 사용하여 한 개의 IMS 서비스를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복수개의 IMS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별로 각각 다른 단말을 사용하도록 제시되어 있다. 한 사용자가 각각 다른 단말을 통해 IMS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각각의 IMS 단말을 통해 IMS 사용자간 착신 라우팅을 위한 식별자인 Public User ID(PUID)와 각 IMS 단말의 인증을 위한 식별자인 PRivate user ID(PRID)가 포함된 등록키를 IMS 망에 등록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이 한 단말에서 IP망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통신 서비스(예, 카카오톡, 트위터, 스카이프 등)가 제공되는 환경이 도래하였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IMS 플랫폼 기반으로 위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한 단말에서 복수개의 IMS 서비스를 제공하여야만 한다. 하지만, 도 1과 같이 PUID와 PRID를 등록키로 사용하는 IMS 표준 규격상으로는 이와 같은 단일 단말을 통한 복수 IMS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용 할 수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어느 하나의 단말(예, 도 1에서 PUID=1, PRID=1인 단말)을 통해 IMS 서비스 A에 대해 IMS 망에 등록을 수행한 후, 같은 단말을 통해 IMS 서비스 B에 대해 IMS 망에 등록을 수행할 경우, IMS 망에서 등록키가 중복이 되지 않도록 기존 등록 정보는 삭제하고 새로운 IMS 서비스 B에 대하여 등록키를 유지하며, IMS 서비스 B에 대하여만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단일 단말을 통한 복수 IMS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 사용자가 2 이상의 복수의 PUID(예, MSISDN)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동일 PRID를 갖는 한 단말이 서로 다른 PUID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IMS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IMS 망에 각각의 등록키를 등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복수의 PUID를 할당 받도록 가입과 등록을 필요로 하므로, 최근 스마트폰과 같이 한 단말에서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에 적합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PUID를 복수로 할당받기 위한 불필요한 가입을 유도하므로 IMS 서비스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같은 단일 단말을 통해 복수 IMS AS의 서비스 구분을 위해 서비스 별 피쳐 태그(feature tag)가 포함된 등록키를 IMS 망에 등록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단말을 사용하여도 하나의 PUID를 통해 복수 IM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IMS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일 단말을 통한 복수의 I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단일 단말이 PUID(Public User ID)와 PRID(PRivate user ID) 이외에 각각의 IMS 서비스에 대응된 피쳐 태그를 포함한 등록키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키들 각각에 대한 상기 단일 단말의 IMS 서비스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IMS 서버 각각에서 해당 I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일 단말로부터의 각각의 IMS 서비스에 대한 접속 요청에 대하여, IMS망에서 해당 요청에 포함된 등록키의 인증을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되는 해당 가입자 정보를 해당 IMS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해당 IMS 서버에서 상기 해당 가입자 정보의 등록을 통해 상기 단일 단말로의 IMS 서비스를 수행한다.
상기 등록키들의 저장에 있어서, 사용자의 IMS 서비스 가입 청약 시 또는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어플리케이션 설치 시에, 해당 시스템으로부터 피쳐 태그를 통보받아 해당 IMS 서비스에 대응된 등록키를 저장하며, 상기 해당 시스템이 전송하는 등록키가 상기 IMS 망의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된다.
상기 IMS 망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가입자별 등록키와 상기 단일 단말의 사양 정보가 포함된 가입자 정보가 관리되고, 상기 IMS 망으로부터 상기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복수의 IMS 서버는 각각 상기 사양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IM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MS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단일 단말을 통해 하나의 PUID와 PRID에 대응된 복수 IMS AS의 서비스 구분을 위한 서비스 별 피쳐 태그(feature tag)가 포함된 등록키를 IMS 망에 등록함으로써, 최근 스마트폰과 같이 한 단말에서 IP망 기반 복수 개의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환경에서 복수의 IMS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하나의 PUID를 사용하는 단일 단말을 통해 제공 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IMS 서비스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 단말을 통한 복수 IMS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IMS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의 HSS(Home subscriber server)에서의 피쳐 태그(feature tag)를 포함한 등록키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 단말을 통한 복수 IMS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은, IP망과 연동하는 IMS 망에 CSCF(Call State Control Function) 시스템(140)과 HSS(Home subscriber Server) 시스템(150)을 포함하며, IMS 망에서의 호 제어를 받아 사용자 단말에 음성, 오디오, 비디오, 또는 데이터 등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S AS들(Application Servers)(110)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IMS 서비스 가입의 청약을 받기 위한 IMS 서비스 청약 시스템(120)과 IMS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인터넷 상에서 온라인으로 제공하기 위한 IMS 서비스 프로비저닝 시스템(130)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사용자 단말은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받아 IMS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모든 단말을 포함하고, 또한, WCDMA, LTE 등 프로토콜에 따라 이동 통신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을 포함하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notepad), 태블릿(tablet) PC등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받는 모바일 단말, 또는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등 유선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받는 단말 등일 수 있다.
HSS 시스템(150)는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로서 데이터베이스에 가입자 정보(예, 가입자별 IMS 서비스를 위한 등록키(PUID, PRID, Feature Tag), 위치정보, 인증정보, 서비스 정보, 단말 사양 정보 등)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HSS 시스템(150)은 IMS 서비스를 위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의 HLR(홈위치등록기)의 기능과 AuC(인증센터) 기능을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HSS 시스템(150)은 IMS 체계에 따른 인증 처리시에 이용하기 위한 PUID(Public User ID), PRID(PRivate user ID), 피처태그(feature tag)를 포함한 등록키를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고 있다(도 4 참조). 여기서, PUID는 위와 같은 IMS 단말 간의 착신 라우팅을 위한 식별자로서, 예를 들어, MSISDN(Mobile Subscriber ISDN Number)과 같은 사용자 전화번호일 수 있다. 또한, PRID는 각 IMS 단말의 인증을 위한 식별자로서, 예를 들어,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ndentity) 번호일 수 있다. 피처태그(feature tag)는 단일 IMS 단말을 통해 복수 IMS AS(110)가 제공하는 각각의 IMS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IMS 단말과 HSS 시스템(150)에 관리되는 정보로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 IMS AS(110)의 각각의 IMS 서비스에 대응된 위와 같은 등록키의 피처태그(feature tag)를 이용하여, 복수의 IMS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단일 단말을 통해 제공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피처태그(feature tag)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좀더 기술하기로 한다.
CSCF 시스템(140)은 호 서비스 제어 기능(Call State Control Function) 모듈로서 호 및 세션 처리에 관련된 부분을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CSCF 시스템(140)은 IMS 서비스에 대한 인입호에 대한 게이트웨이로서의 기능(Incoming Call Gateway)(예, 인입호의 라우팅 등), 호 제어 기능(Call Control Function)(예, 호의 설정과 종료 및 상태/이벤트 관리, 다자간서비스를 위한 MRF(Media Resource Function)와의 상호 작용, 과금을 위한 호 이벤트 보고, 응용 레벨 등록의수신 및 처리 등), SPD(Serving Profile Database) 기능(예, HSS 시스템과 통신하여 수신한 가입자 정보의 관리 등), 주소 처리(예, IP Address Handling 등)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IMS 서비스 가입을 청약하는 경우에 운영자는 IMS 서비스 청약 시스템(12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PUID와 PRID에 대응되는 피처태그(feature tag)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IMS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에 임비디드(embedded)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원되는 경우에, IMS 서비스 청약 시스템(120)이 전송하는 해당 피처태그(feature tag)가 사용자 단말에서 저장되어 해당 IMS 서비스의 이용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IMS 서비스 청약 시스템(120)는 해당 사용자의 IMS 서비스에 대한 PUID, PRID, 피처태그(feature tag)를 포함한 등록키를 HSS 시스템(150)으로 통보하여, HSS 시스템(150)이 이를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단말을 통해 온라인 상의 앱 스토어 형태의 IMS 서비스 프로비저닝 시스템(130)에서 IMS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때 IMS 서비스 프로비저닝 시스템(130)은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PUID와 PRID에 대응되는 피처태그(feature tag)를 생성할 수 있다. IMS 서비스 프로비저닝 시스템(130)은 해당 피처태그(feature tag)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의 IMS 서비스에 대한 PUID, PRID, 피처태그(feature tag)를 포함한 등록키를 HSS 시스템(150)으로 통보하여, HSS 시스템(150)이 이를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단일 단말에는 PUID, PRID 와 함께 복수 IMS AS(110)의 각 IMS 서비스에 대응된 피처태그(feature tag)를 포함한, 등록키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이 복수 IMS AS(110)로부터 각각의 IMS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각 서비스마다 해당 등록키를 이용해 접속(등록) 요청함으로써, 해당 IMS AS(110)에서 해당 IM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IMS 망의 CSCF 시스템(140)는 HSS 시스템(150)과 연동하여 해당 접속 요청에 포함된 등록키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CSCF 시스템(140)은 HSS 시스템(150)으로부터 받는 해당 가입자 정보를 해당 IMS AS(1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IMS AS(110)는 수신한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여 이를 기초로 IM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IMS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 3 흐름도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 통신 서비스 대리점 등을 통하여 IMS 서비스 가입을 청약하는 경우에(S10), 운영자는 IMS 서비스 청약 시스템(12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 기 부여된 PUID와 PRID에 대응되는 피처태그(feature tag)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IMS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에 임비디드(embedded)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원되는 경우에, IMS 서비스 청약 시스템(120)을 통하여 해당 피처태그(feature tag)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11). 이에 따라 해당 IMS 서비스의 지원을 위한 피처태그(feature tag)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해당 IMS 서비스의 이용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여된 피처태그(feature tag)와 사용자 단말의 PUID와 PRID가 포함된 등록키(예, PUID=1, PRID=1, Feature Tag=TAG A)는 HSS 시스템(150)으로 통보될 수 있으며(S12) HSS 시스템(150)은 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다(S13).
또는, 사용자는 단말을 통해 온라인 상의 앱 스토어 형태 등의 IMS 서비스 프로비저닝 시스템(130)에서 IMS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으며(S20), 이때 IMS 서비스 프로비저닝 시스템(130)은 사용자 단말에 기 부여된 PUID와 PRID에 대응되는 피처태그(feature tag)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도록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S21), 해당 사용자의 IMS 서비스에 대한 PUID, PRID, 피처태그(feature tag)를 포함한 등록키(예, PUID=1, PRID=1, Feature Tag=TAG B)를 HSS 시스템(150)으로 통보하여(S22), HSS 시스템(150)이 이를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S23).
이와 같이 사용자의 단일 단말에는 PUID, PRID 와 함께 복수 IMS AS(110)의 각 IMS 서비스에 대응된 피처태그(feature tag)를 포함한 등록키들이 저장되어 각 IMS 서비스에 접속시 사용될 수 있으며, HSS 시스템(150)은 위와 같은 가입자별 등록키(PUID, PRID, Feature Tag)와 사용자 단말의 사양 정보 등이 포함된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한다. 특히, 도 4와 같이 HSS 시스템(150)은 데이터베이스에 가입자별 등록키(PUID, PRID, Feature Tag)를 저장 관리하되, 한 사용자에 대하여 해당 식별자 PUID와 PRID에 대응된 각 IMS 서비스를 구분하는 피쳐태그들을 저장 관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하나의 단말을 사용하여도 해당 단일 단말에 복수 IM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사용자 단말이 복수 IMS AS(110)로부터 각각의 IMS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각 서비스마다 해당 등록키를 이용해 접속(등록) 요청함으로써, 해당 IMS AS(110)에서 해당 IM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 복수 IMS AS(110) 중 어느 하나의 IMS AS로부터 IMS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접속(등록) 요청 시에 해당 등록키(예, PUID=1, PRID=1, Feature Tag=TAG A)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단말이 다른 IMS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는 다른 등록키(예, PUID=1, PRID=1, Feature Tag=TAG A)를 포함한 메시지를 IMS 망의 CSCF 시스템(140)으로 전송할 수 있다(S30).
이에 따라 CSCF 시스템(140)은 HSS 시스템(150)과 연동하여 해당 접속 요청에 포함된 등록키(PUID, PRID, Feature Tag)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31). 예를 들어, CSCF 시스템(140)은 수신한 등록키를 HSS 시스템(150)으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HSS 시스템(150)은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되는 등록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인증 성공 시에 HSS 시스템(150)은 해당 가입자에 대응된 가입자 정보(등록키(PUID, PRID, Feature Tag)(생략가능), 위치정보, 인증정보, 서비스 정보, 단말 사양 정보 등)를 전송하며(S32), 이를 수신한 CSCF 시스템(140)은 해당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해당 IMS AS(110)로 전송하여 IMS 서비스 대상 단말로 등록되도록 한다(S33).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해당 IMS AS(110)에 접속되어 해당 IMS AS(110)가 제공하는 영상통화, 메신저, VoIP 서비스 등, 음성,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IMS AS(110)는 CSCF 시스템(140)으로부터 수신한 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의 단말의 사양 정보(예, CPU 성능, 메모리 사이즈, 네트워크 대역폭, 디스플레이 해상도 등)에 기초하여 그에 맞는 맞춤형 IMS 서비스(예, 사양에 맞는 데이터 크기, 전송 속도 등의 조정 가능)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IMS AS (Application Server) (110)
IMS 서비스 청약 시스템(120)
IMS 서비스 프로비저닝 시스템(130)
CSCF(Call State Control Function) 시스템(140)
HSS(Home subscriber Server) 시스템(150)

Claims (4)

  1. 단일 단말을 통한 복수의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단일 단말이 PUID(Public User ID)와 PRID(PRivate user ID) 이외에 각각의 IMS 서비스에 대응된 피쳐 태그를 포함한 등록키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키들 각각에 대한 상기 단일 단말의 IMS 서비스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IMS 서버 각각에서 해당 I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단말로부터의 각각의 IMS 서비스에 대한 접속 요청에 대하여, IMS망에서 해당 요청에 포함된 등록키의 인증을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되는 해당 가입자 정보를 해당 IMS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해당 IMS 서버에서 상기 해당 가입자 정보의 등록을 통해 상기 단일 단말로의 IMS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키들의 저장에 있어서, 사용자의 IMS 서비스 가입 청약 시 또는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어플리케이션 설치 시에, 해당 시스템으로부터 피쳐 태그를 통보받아 해당 IMS 서비스에 대응된 등록키를 저장하며, 상기 해당 시스템이 전송하는 등록키가 상기 IMS 망의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MS 망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가입자별 등록키와 상기 단일 단말의 사양 정보가 포함된 가입자 정보가 관리되고, 상기 IMS 망으로부터 상기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복수의 IMS 서버는 각각 상기 사양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IMS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006508A 2012-01-20 2012-01-20 단일 단말에서 서비스 별 등록을 통해 복수 i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30085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508A KR20130085622A (ko) 2012-01-20 2012-01-20 단일 단말에서 서비스 별 등록을 통해 복수 i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508A KR20130085622A (ko) 2012-01-20 2012-01-20 단일 단말에서 서비스 별 등록을 통해 복수 i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622A true KR20130085622A (ko) 2013-07-30

Family

ID=48995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508A KR20130085622A (ko) 2012-01-20 2012-01-20 단일 단말에서 서비스 별 등록을 통해 복수 i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56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9381B2 (en) SMF selection based on supported DNN
US9986414B1 (en) Dynamic CSCF assignment
CN115442423A (zh) 发现由网络存储库功能提供的服务的方法
CN102474523B (zh) 用于发起在ip多媒体子系统网络的hss中对订户数据进行预配置的方法和装置
US87124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rminating communication sessions with roaming mobile devices
JP7257526B2 (ja) I/oデバイスのセットを使用した通信サービスの提供
CN102273238A (zh) 创建订户装置的全局唯一标识符
US20100099426A1 (en)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08141716A (zh) 使用寻线组和隐式注册的通信终止
US202001870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gba for services used by multiple functions on the same device
EP27904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n Aggregation/Authentication Proxy to route XCAP messages to IMS Application Server
CN105230091A (zh) 在通信系统中发起呼叫
WO2018113536A1 (zh) 一种多设备连通通讯的实现方法及实现系统
US9326141B2 (e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MS) authentication for non-IMS subscribers
JP2014238664A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端末認証方法及びシステム
CN107343285B (zh) 一种管理设备及设备管理方法
KR101511439B1 (ko) Ims 프로파일 동기화 시스템, 홈 가입자 서버, 호제어 기능장치,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그 ims 프로파일 동기화 방법
US201702084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at a sim and a sip client are co-located in the same mobile equipment
WO2016056020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fferential service scheme
CN108140229A (zh) 将设备信息传送给服务与通信相关联的计算设备的应用服务器
US88049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virtual private network users to obtain presence status and/or location of others on demand
CN105376727A (zh) 数据卡处理方法及装置
KR20130085622A (ko) 단일 단말에서 서비스 별 등록을 통해 복수 i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070021045A (ko)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EP3190768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line, multi-device service with user capability disco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