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5272A - 작업등 - Google Patents

작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5272A
KR20130085272A KR1020120006314A KR20120006314A KR20130085272A KR 20130085272 A KR20130085272 A KR 20130085272A KR 1020120006314 A KR1020120006314 A KR 1020120006314A KR 20120006314 A KR20120006314 A KR 20120006314A KR 20130085272 A KR20130085272 A KR 20130085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ase
cover
coupl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4592B1 (ko
Inventor
오영남
Original Assignee
오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남 filed Critical 오영남
Priority to KR1020120006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5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85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being distinct from the light source ho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2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working pl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램프(200)와 결합 되는 단자(111)가 구성되고 단자(111)측으로 상기 안정기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113)과 결합 되도록 하는 격판(110)과, 상기 베이스(100) 하단에 결합 되어 상기 램프(200)를 에워싸는 투명케이스(300)와, 상기 투명케이스(300) 하단측에 개폐되는 커버(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작업등의 조사 효율성 및 유지 보수와 작업등을 이용한 조명 효율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업등{THE WORK LANTERN}
본 발명은 작업등에 관한 것으로, 작업등의 조사 효율성 및 유지 보수와 작업등을 이용한 조명 효율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작업등은 각종 작업현장, 특히 건축공사현장이나 조선소 등에서 어두운 작업공간의 내부작업시나 야간작업시 작업자의 작업시야를 조명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안전작업등은 도 1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면중앙에 걸고리(5)가 설치되며 내부에 전구(22)가 끼워지는 전구소켓(6)이 설치된 본체(2)의 하부에 복수개의 수직프레임(8)과 수평프레임(9)으로 이루어진 전구보호테(7)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안전작업등은 작업현장에서 본체(2)상부에 설치된 걸고리(5)를 이용하여 적절한 장소에 걸어두고 사용하고 되며, 본체(2)하부에 설치된 전구보호테(7)는 작업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각종 충돌이나 충격에 의해 전구소켓(6)에 끼워진 전구(22)가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작업등은 도 13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2)의 하단부에 전구보호테(7)의 수직프레임(9)의 끝단부가 단순히 접촉시킨 상태에서 그 접점둘레에 용접부(21)를 형성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본체(2)와 전구보호테(7)의 결합상태가 아주 취약하여 사소한 충격에 의해서도 본체(2)와 전구보호테(7)의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되어 전구보호테(7)가 본체(2)로부터 완전히 떨어져 나가버리게 되거나 전구보호테(7)상단의 일부만 본체(2)에 결합된 상태로 덜렁거리게 되는 등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특 2003-0083633 (2003. 10. 30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작업등의 조사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 작업 현장에 따라 사용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램프의 교체 교환이 용이한 구조 제공과, 견고한 작업등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램프(200)와 결합 되는 단자(111)가 구성되고 단자(111)측으로 상기 안정기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113)과 결합 되도록 하는 격판(110)과,
상기 베이스(100) 하단에 결합 되어 상기 램프(200)를 에워싸는 투명케이스(300)와,
상기 투명케이스(300) 하단측에 개폐되는 커버(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장내에 설치되며 작업장에서의 작업 효율성과 능률을 확대시키기 위한 작업등을 제공함에 있어서, 작업장의 특성에 따라 자유자재로 작업등의 설치 위치를 가변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장내에서의 조도 효율성을 작업 내용 및 장소에 따라 조명갓 등을 활용하여 조도 가변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안정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소켓 타입의 작업등 모두에 적용 가능한 작업등의 구조를 제공하여 작업 환경에 따른 선택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등의 개방 및 조립이 용이하여 램프의 교체, 교환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로부터의 충격등에도 쉽게 램프가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하므로서, 작업등의 사용 수명을 현저하게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작업등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분리 도시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베이스 및 베이스와 결합되어 있는 각 구성들을 분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지지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의한 본 발명의 작업등에 대한 개괄적 정단면도
도 6은 도 1에 의한 작업등의 상면 즉 베이스의 상면으로 와이어를 이용하여 작업장내 천정면 등에 매달아 사용할 때, 와이어의 가변 상태가 가능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작업등에 조명갓을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을 분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7의 작업등을 거치대 등을 이용하여 고정 거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투명케이스 외부에 필름이 커버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베이스를 소켓 형태로 변형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종래의 작업등을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은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등(1)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의한 작업등(1)은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에 결합되는 램프(200) 및 상기 램프(200)를 에워싸는 투명케이스(300)와 상기 투명케이스(300) 하단에 개폐되는 커버(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00)는 도면에서 보듯이 원통형체를 이루는 것으로 내부에는 안정기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113)을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인쇄회로기판(113)과 결합 되는 단자(111)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단자(111)와 인쇄회로기판(113)간의 결합 구조는 도면상에서 자세히 도시되고 있지 않으나, 통상의 방법 및 구조에 따라 결합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00)에는 상기 단자(111)가 돌출되도록 하며 베이스(100) 저면을 커버링하게 되는 격판(110)을 구비하게 되고, 상기 격판(110)으로 돌출되는 단자(111)와 램프(200)간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아울러 상기 격판(110) 중앙으로 기둥체 형태를 갖는 지지구(114)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구(114) 단부측으로 연결되는 지지관(116)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114)와 지지관(116) 내부를 관통하는 스위칭(115)을 구비하여 상기 스위칭(115)에 의해 상기 램프(200)의 점등 및 점멸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도 4는 상기한 지지구(114)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보듯이 지지구(114)는 사각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상방이 개구되고 하방은 하부커버(114a)를 구성하되 상기 하부커버(114a)의 각 측면으로 돌기(114b)를 구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지지구(114)의 하단 각 측면으로 관통되는 결합홈(114c)를 구성하여 상호 결합 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커버(114a) 중앙은 관통되도록 하며, 지지구(114)의 각 측면은 내측방향으로 라운딩 처리되도록 하였다.
상기 베이스(100) 하단측 내주면과 결합 되는 것으로, 상기한 램프(200)를 에워싸며 보호하도록 하는 투명케이스(300)가 구성된다.
상기한 투명케이스(300) 하단측은 개구되어 있는 것으로, 그 하단에는 커버(400)를 투명케이스(300)와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투명케이스(300)는 베이스(100)의 하단부(도5에서 보았을 때) 내측으로 강제 삽입되도록 하고, 투명케이스(300) 하단부는 커버(400)의 외주면측에 걸려지도록 하게 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체결구(420)에 의해 커버(400)를 결합하여 투명케이스(300)가 전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400)의 중앙은 통공(410)을 이루며 관통되도록 하여, 전술한 스위칭(115)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지지관(116)의 단부측과 나사결합되는 체결구(420)를 구비하여, 상기 커버(400)의 중앙 통공(410)측으로 향하게 되는 상기한 지지관(116)의 단부측과 나사 결합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지지관(116)과 체결구(420)간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구(420)의 일면은 커버(400)의 통공(410) 주연부측과 접하게 되며 커버(400)를 지지하게 되므로서, 상기 지지관(116)과 체결되어지므로, 커버(400)의 안정적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구성을 갖는 작업등(1)을 천정에 메달도록 하기 위해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걸이부(120)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걸이부(120)는 도면에서 보듯이 베이스(100)의 상면측에 "ㄱ"자 형태를 갖는 고정구(121)가 대향되며 이격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121)를 관통하며 연결된 와이어(122)를 구비하되, 상기 와이어(122)의 일단은 고정구(121) 중 어느 하나의 고정구(121)에 고정되도록 하고 와이어(122)의 타단은 타 고정구(121)를 관통한 상태에서 길이가변조절구(123)를 통해 와이어(122)의 고정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길이가변조절구(123)는 몸체의 구멍(124)을 통해 관통하는 와이어(122)를 조여주기 위한 조임구(125)를 이용하여, 와이어(122)의 길이를 조절하며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길이가변조절구(123)에 의해 작업장의 천정면이나 기타 작업등(1)을 고정하기 위한 여타의 어느 면에 고정되게 할 경우, 와이어(122)의 길이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등(1)의 위치 조절이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장내에서의 작업등(1)으로부터 조사되는 조도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은 작업등(1)의 베이스(100)에 조명갓(500)을 실시한 형태를 나타낸다.
조명갓(500)의 경우 조사되는 빛의 영역을 한정하여, 조도의 극대화를 이루고자 할 경우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조명갓(500)은 도 7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리될 수 있는데, 조명갓(500)의 중앙부분은 관통되는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0)의 하단부까지 삽입되며 걸려지도록 하고, 상기 조명갓(500)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00)의 외주면으로 형성되는 나사부(130)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조명갓(500)을 고정하기 위한 링형태의 고정링(140)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고정링(14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를 형성하여 상기한 베이스(10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130) 즉 숫나사와 결합 되며 조명갓(500)을 조여주며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9는 작업장에서 천정면에 고정하는 형태에서 벗어나 작업장내에 설치되는 디바이스 등을 이용하여 작업등(1)을 고정 거치하기 위한 용도로 거치대(600)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거치대(60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는 "ㄷ"자형태의 고정프레임(61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610)의 중앙 지점을 고정하는 디바이스(620)를 구성한다.
상기한 디바이스(620)는 작업대나 작업장내에 구성될 수 있는 환봉 등과 같은 여타의 주변 시설물등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2는 전술한 작업등(1)의 실시형태에서 변형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지금까지는 안정기 등을 포함하는 작업등(1)을 실시하는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도 12 의 경우에는 내부에 안정기 등의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지 않는 소켓타입의 베이스(이하 이를 소켓베이스라 칭하며,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도면부호와 다르게 도면부호 700으로 표기한다. )
3파장 램프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작업등(1)을 실시할 경우에는 베이스(100) 내부에 인쇄회로기판 등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면부 외측방으로 소켓(701)을 갖는 소켓베이스(70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중앙으로는 램프(200) 즉 3파장 램프의 단자가 삽입 체결되기 위한 단자결합구(710)을 구성하고, 소켓베이스(700)의 내주면과 투명케이스(300)의 상단간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투명케이스(300)와 커버(400)간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도록 하되, 지지구(114)와 지지관(116)의 형태를 요하지 않게 될 것이다.
따라서 스위칭(115) 구조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필요치 않으며 온/오프 스위치 등의 별도 구성을 통하여 램프(200)의 점등, 점멸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바 이러한 점등, 점멸 구조는 통상의 당업자 기술수준에서의 실시가 가능한 정도에 속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도 12의 예로 변형할 경우, 소켓(701) 형태를 갖는 소켓베이스(700)에 의해 본 발명의 작업등 자체가 램프화될 수 있게 되고, 소켓(701)과 결합되는 별도의 등기구 등에 적용 가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켓 타입의 작업등의 구현 및 소켓이 없는 상태에서 내부에 소켓을 구비하여서 되는 작업등 자체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의 작업등(1)은 작업장 내에서 사용되는바, 작업장의 환경 등에 따라 작업등(1)의 투명케이스(300)에 각종 먼지나 이물질 등이 묻거나 또는 도장작업 등을 요하는 작업장에서는 투명케이스(300) 외면에 페인트류 등이 묻어 투명케이스(300)를 통해 조사되는 빛의 조사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명케이스(300) 외면을 커버하기 위한 투명필름(31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필름(310)은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투명필름(310)은 일측 상하에 각각 결합공(311)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상기 구성을 갖는 투명필름(310)을 투명케이스(300)에 게재하기 위한 구성은, 커버(410)의 외주면 일측에 투명필름(310)이 끼워지며 가이딩 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더(401)를 구비하고, 커버(410)의 외주면 타측에는 상기 투명필름(310)의 단부측에 천공되어 있는 결합공(311)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돌기(402)를 구비한다.
아울러 이와 대향되는 베이스(100)의 상단 외주면측으로도 동일하게 일측에는 가이드(101)를 구비하고 베이스(100) 상단 외주면 타측으로도 결합돌기(102)를 구비하여 상기한 투명필름(310)의 타측에 천공되어 있는 결합공(311)에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투명필름(310)을 투명케이스(300) 외주면을 따라 커버링하게 되면 작업장내의 작업환경에 의해 투명필름(310)이 더러워지더라도 투명필름(310)을 교체 교환하므로서, 항상 작업등(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도는 밝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작업등 100; 베이스
101; 가이더 102; 결합돌기
110; 격판 111; 단자
113; 인쇄회로기판
114; 지지구 115; 스위칭
116; 지지관 120; 걸이부
121; 고정구 122; 와이어
123; 길이가변조절구 124; 구멍
125; 조임구 130; 나사부
140; 고정링 200; 램프
300; 투명케이스 301; 투명필름
400; 커버 401; 가이더
402; 결합돌기 410; 통공
420; 체결구 500; 조명갓
600; 거치대 610; 고정프레임
620; 디바이스 700; 소켓베이스
701; 소켓 710; 단자결합구

Claims (3)

  1.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램프(200)와 결합 되는 단자(111)가 구성되고 단자(111)측으로 상기 안정기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113)과 결합 되도록 하되, 중앙으로 기둥체 형태를 갖는 지지구(114)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구(114) 단부측으로 연결되는 지지관(116)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114)와 지지관(116) 내부를 관통하는 스위칭(115)을 구비하여 상기 스위칭(115)에 의해 상기 램프(200)의 점등 및 점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격판(110)과,
    상기 베이스(100) 하단에 결합 되어 상기 램프(200)를 에워싸는 투명케이스(300)와,
    상기 투명케이스(300) 외면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상하에 각각 결합공(311)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커버(410)의 외주면 일측에 투명필름(310)이 끼워지며 가이딩 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더(401)를 구비하고, 커버(410)의 외주면 타측에는 상기 투명필름(310)의 단부측에 천공되어 있는 결합공(311)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돌기(402)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100)의 상단 외주면측으로도 일측에는 가이드(101)를 구비하고 베이스(100) 상단 외주면 타측으로도 결합돌기(102)를 구비하여 상기 투명필름(310)의 타측에 천공되어 있는 결합공(311)에 결합되도록 하는 투명필름(310)과,
    상기 투명케이스(300) 하단측에 개폐되는 커버(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작업등.
  2. 저면부에 소켓(701)이 이루어지는 소켓베이스(700)와,
    상기 소켓베이스(7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램프(200)의 단자와 결합 되기 위한 단자결합구(710)을 구비하는 격판(110)과,
    상기 소켓베이스(700) 하단에 나사 결합 되어 상기 램프(200)를 에워싸는 투명케이스(300)와,
    상기 투명케이스(300) 외면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상하에 각각 결합공(311)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커버(410)의 외주면 일측에 투명필름(310)이 끼워지며 가이딩 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더(401)를 구비하고, 커버(410)의 외주면 타측에는 상기 투명필름(310)의 단부측에 천공되어 있는 결합공(311)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돌기(402)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100)의 상단 외주면측으로도 일측에는 가이드(101)를 구비하고 베이스(100) 상단 외주면 타측으로도 결합돌기(102)를 구비하여 상기 투명필름(310)의 타측에 천공되어 있는 결합공(311)에 결합되도록 하는 투명필름(310)과,
    상기 투명케이스(300) 하단을 커버하는 커버(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작업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114)는 사각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상방이 개구되고 하방은 하부커버(114a)를 구성하되 상기 하부커버(114a)의 각 측면으로 돌기(114b)를 구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지지구(114)의 하단 각 측면으로 관통되는 결합홈(114c)를 구성하여 상호 결합 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커버(114a) 중앙은 관통되도록 하며, 지지구(114)의 각 측면은 내측방향으로 라운딩 처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등.
KR1020120006314A 2012-01-19 2012-01-19 작업등 KR101334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314A KR101334592B1 (ko) 2012-01-19 2012-01-19 작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314A KR101334592B1 (ko) 2012-01-19 2012-01-19 작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272A true KR20130085272A (ko) 2013-07-29
KR101334592B1 KR101334592B1 (ko) 2013-11-29

Family

ID=4899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314A KR101334592B1 (ko) 2012-01-19 2012-01-19 작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5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891A1 (ko) * 2013-09-24 2015-04-02 강성진 엔벨로프를 포함하는 방전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891A1 (ko) * 2013-09-24 2015-04-02 강성진 엔벨로프를 포함하는 방전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592B1 (ko)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856B1 (ko) 조명등 장착장치
KR20200040340A (ko) 엣지형 엘이디 조명등의 설치구조
KR101568086B1 (ko) 일체 조립 설치형 천장등
KR101334592B1 (ko) 작업등
KR20150001858U (ko) 다목적 led 전등
KR200458200Y1 (ko) 분해가 어려운 커버 유동식 엘이디 천정등
KR20110000005U (ko) 분리 결합이 용이한 비상유도등
KR20120107598A (ko) 엘이디 조명등
KR200483081Y1 (ko) 전등 커버 고정구
KR101770514B1 (ko) 엘이디 조명기구용 등 커버 고정장치
CN212456680U (zh) 一种灯具及一种灯具组合
MX2018000402A (es) Reduccion de luz ascendente para accesorios de iluminacion colgante.
CN210979442U (zh) 带有防坠落装置的灯具
KR101459273B1 (ko) 돌출형 확산커버를 이용한 매립형 다운라이트
CN217714730U (zh) 一种自平衡灯具
MX2021014940A (es) Accesorios de luz de techo y metodos.
KR101468326B1 (ko) 다기능 구조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
KR101596745B1 (ko) 방열 및 조립성이 우수한 엘이디 천정직착등
CN217635255U (zh) 壁灯
JP5797810B1 (ja) ライティングケース用ケーブル保持具
TWM446864U (zh) 發光二極體吊燈
FI20050827A (fi) Valaisimen suojus
KR200493436Y1 (ko) Led 등기구
CN209558174U (zh) 一种高棚灯
KR101823262B1 (ko) 탈부착 구조로 전등의 교체가 용이한 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