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5016A - 산성 고분자, 이를 이용하는 폭발물 감지 방법 및 폭발물 감지용 센서 - Google Patents

산성 고분자, 이를 이용하는 폭발물 감지 방법 및 폭발물 감지용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5016A
KR20130085016A KR1020130005690A KR20130005690A KR20130085016A KR 20130085016 A KR20130085016 A KR 20130085016A KR 1020130005690 A KR1020130005690 A KR 1020130005690A KR 20130005690 A KR20130005690 A KR 20130005690A KR 20130085016 A KR20130085016 A KR 20130085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ves
nitro aromatic
detecting
polymer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3749B1 (ko
Inventor
이정훈
이성준
김문상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30085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4/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14/18Monomers containing fluorine
    • C08F14/26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4Introducing sulfur atoms or sulfur-containing groups
    • C08F8/36Sulfonation; Sulf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2Fuels; Explos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과 반응하여 마이센하이머 복합체(Meisenheimer Complex)를 형성할 수 있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 이를 이용하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의 감지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니트로 방향족 기반의 폭발물을 고특이적 및 고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별도로 습식 환경을 조성해줄 필요 없이, 건식 환경에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어, 복잡한 장치 없이 간편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플랫폼에 제한이 없으며, 가역적 반응을 이용함으로써, 동적평형 상태를 유지하여 정량적이고 연속적인 탐지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산성 고분자, 이를 이용하는 폭발물 감지 방법 및 폭발물 감지용 센서{ACIDIC POLYMER, METHOD FOR DETECTING EXPLOSIVE USING THE SAME AND SENSOR FOR DETECTING EXPLOSIV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폭발물 감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니트로 방향족 기반의 폭발물과 마이센하이머 복합체(Meisenheimer Complex)를 형성할 수 있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 이를 이용하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 방법 및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센서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폭발물로는 트리니트로톨루엔(Trinitrotoluene, TNT), 디니트로톨루엔(Dinitrotoluene, DNT), 니트로톨루엔(Nitrotoluene, NT) 등과 같은 니트로 방향족 기반의 물질, RDX(Research Department Explosive), PETN(Tetranitropentaerythrite) 등과 같은 비방향족 기반의 물질이 알려져 있다. 니트로 방향족 기반의 폭발 물질은 대부분의 무기 제조에 이용되고 있으며, 비방향족 기반의 폭발 물질에서도 불순물의 형태로 상기 존재한다.
이와 같은 폭발물은 높은 폭발성을 가질 뿐 아니라, 환경 오염 및 인체에 대한 독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폭발물 감지는 특히 민간 안전 측면에서 특히 중요한 문제이다. 종래 폭발물 감지는 동물의 후각을 이용하는 방법 또는 폭발물의 케이스를 탐지하는 방법과 같은 간접 감지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동물의 후각을 이용하는 폭발물 감지 방법은 동물의 피로에 의한 운용 시간의 제한 및 수명 제한의 문제가 있으며, 높은 훈련비 및 훈련 시간도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폭발물의 케이스를 탐지하는 방법은 폭발물을 직접 탐지하는 방법이 아니므로 오인식율이 높아 실용적이지 못하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센서나 나노센서를 이용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마이크로센서나 나노센서를 이용한 폭발물 감지 기술에 있어서는 폭발물 흡착성 고분자 또는 바이오 리셉터 등이 이용된다.
그러나, 흡착성 고분자의 경우 파이 상호작용이나 무극성 상호작용에 기반하고 있는데, 이러한 반응은 선택성이 낮기 때문에 여전히 오인식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한편, 바이오 리셉터의 경우 높은 특이성을 갖는 반면, 습식 환경에서만 동작가능하므로, 복잡한 유체 장치를 필요로 하는 제한이 있어서 휴대성 측면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실용화가 어렵다. 또한, 대부분의 바이오 리셉터 기반의 반응은 비가역적인 경우가 많아, 센서를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고, 정량적인 탐지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센서 플랫폼이나 동작 환경의 제한 없이 폭발물을 고특이적이고 고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좀더 용이하고 실용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성 고분자와 니트로 방향족 기반 폭발물 사이에 형성되는 마이센하이머 복합체(Meisenheimer Complex)를 이용함으로써, 폭발물 감지의 특이성 및 선택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센서 플랫폼이나 동작 환경의 제한 없이 적용가능하며, 정량적이고 연속적인 탐지가 가능한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 이를 이용하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 방법 및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과 반응하여 마이센하이머 복합체(Meisenheimer Complex)를 형성할 수 있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를 이용하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의 감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니트로 방향족 기반의 폭발물과 마이센하이머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산성 고분자를 이용함으로써 니트로 방향족 기반의 폭발물을 고특이적 및 고선택성으로 매우 민감하고 신뢰성 있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지 방법은 공극율이 높아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고분자를 이용하므로, 별도로 습식 환경을 조성해줄 필요 없이, 건식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어, 복잡한 장치 없이 간편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지 방법은 고분자에 기반하고 있어, 기존 화학처리 방식이나 바이오 리셉터 방식과 달리 특별한 표면이 요구되지 않아 센서 플랫폼에 제한이 없는 장점을 갖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감지 방법에 있어서 반응은 가역적이므로, 동적평형 상태를 유지하여 정량적이고 연속적인 탐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성 고분자와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사이의 마이센하이머 복합체 형성 반응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T 농도에 따른 QCM 신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T 농도에 따른 QCM 반응의 감지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모델 테스트에 있어서 환기 전후의 QCM 신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톨루엔에 대한 QCM 신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과 반응하여 마이센하이머 복합체(Meisenheimer Complex)를 형성할 수 있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에 관한 것이다.
마이센하이머 복합체는 벤젠과 같은 방향족 구조에 전자 부족 현상이 발생할 경우, 방향족 분자가 전자가 풍부한 분자와 반응하여 형성하는 안정적인 복합체를 나타낸다. 니트로기와 같이 전기 음성도가 강한 치환기가 방향족 구조에 전자 부족 현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치환기가 많을수록 마이센하이머 복합체가 쉽게 형성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대표적인 폭발물인 니트로 방향족 화합물은 방향족 고리와 니트로기를 포함하므로, 마이센하이머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가장 잘 알려진 물질로는 방향족인 톨루엔에 니트로기가 3개 치환된 트리니트로톨루엔(TNT)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니트로톨루엔, 디니트로톨루엔 등이 있다.
또한, 이러한 니트로 방향족 화합물들은 RDX(Research Department Explosive), PETN(Tetranitropentaerythrite) 등과 같은 비방향족 폭발물에서도 불순물 형태로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니트로 방향족 화합물의 마이센하이머 복합체 형성을 통하여 이러한 폭발물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될 수 있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은 니트로벤젠, 디니트로벤젠, 트리니트로벤젠, 니트로톨루엔, 디니트로톨루엔, 트리니트로톨루엔, 디니트로플루오로벤젠, 디니트로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젠, 아미노디니트로톨루엔, 클로로디니트로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헥사니트로스틸벤, 트리니트로페닐메틸니트라민 및 트리니트로페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은 기체, 액체 또는 고체 상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기체 상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산성 고분자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과 반응하여 마이센하이머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산성 고분자는 술폰산기, 아크릴기, 카르복실기, 인산기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능기는 쉽게 해리되어 전자가 풍부한 산소를 노출시켜 니트로 방향족 화합물과 반응하여 마이센하이머 복합체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산성 고분자는 술폰화 테트라플루로오에틸렌(Sulfonated tetrafluoroethylene, Nafion®)일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는 특히 산소가 2개 이상 존재하고, 공명구조를 가지고 있어 전자에 대한 구속력이 약해 마이센하이머 복합체를 형성하기 좋은 특징을 갖는다.
도 1에 산성 고분자와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사이의 마이센하이머 복합체 형성 반응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마이센하이머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작용기가 해리되기 위한 습식 환경이 요구된다. 그러나, 고분자 화합물은 공극율이 30~50% 수준으로 높아 수분을 쉽게 함유할 수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성 고분자는 별도로 습식 환경을 조성해 줄 필요 없이 건식 환경에서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과 마이센하이머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과 직접 반응하여 마이센하이머 복합체를 형성하므로,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을 고특이적이며 고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반응은 가역적 반응으로 동적평형 상태를 유지하므로, 정량적이고 연속적인 탐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를 이용하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의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의 감지 방법은 상기 고분자와 상기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사이에 마이센하이머 복합체를 형성하는 반응을 포함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산성 고분자에 대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의 감지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를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에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와 상기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사이의 마이센하이머 복합체 형성 반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이센하이머 복합체 형성 반응의 검출은 석영 크리스탈 마이크로밸런스(Quartz Crytal Microbalance, QCM), 캔틸레버(Cantilever), 멤브레인 트랜스듀서(Membrance Transducer) 및 탄소나노튜브 전계효과 트랜지스터(CNT-FE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 방법은 고분자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화학처리 방식이나 바이오 리셉터 방식과 같이 특별한 표면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센서 플랫폼에 제한받지 않고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 방법에 따르면 건식 환경에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복잡한 장치를 구성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센서에 관한 것이다.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센서는 고분자에 기반하고 있어, 특별한 표면 처리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센서 플랫폼에 제한받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는 석영 크리스탈 마이크로밸런스(Quartz Crytal Microbalance, QCM), 캔틸레버(Cantilever), 멤브레인 트랜스듀서(Membrance Transducer) 및 탄소나노튜브 전계효과 트랜지스터(CNT-FE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센서는 반응 선택성 및 특이성이 우수하면서, 소형화 및 휴대화가 가능하므로, 광범위한 분야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센서는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박막 형태의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를 감지 물질로 포함할 수 있다.
산성 고분자의 박막은 공지된 기술, 예를 들어, 스프레이, 스핀코팅, 드롭 코팅, 딥 코팅, 랑뮈르-블로젯 코팅, 전기화학 증착 또는 고분자 전구체의 인 시츄 중합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박막의 두께는 센서의 동작 환경 및 조건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 Å 내지 100 ㎛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센서는 고분자를 감지 물질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습식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건식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어, 구성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센서는 그 반응이 가역적이므로, 동적평형 상태를 유지하여, 정량적이고 연속적인 탐지가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는 대기 또는 지질 분석, 보안 장치, 지뢰 탐지기, 공항 검색대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QCM 센서(센서 부피 1 ㎝ × 1 ㎝ × 0.05 ㎝) 표면에 술폰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약 10 ㎛ 두께로 코팅한 후, 표준가스발생장치를 이용하여 2,4-디니트로톨루엔(DNT)에 노출시켰다. DNT의 농도를 1 ppb에서 100 ppb까지 변화시키면서, 반응을 확인하였다. DNT 농도에 따른 QCM 신호 변화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QCM의 반응은 즉각적이고 명확하였다. DNT에 대한 감도는 약 0.32 ㎐/ppb이었으며, 최소 감지 농도는 1 ppb 수준이었다.
도 3은 DNT 농도에 따른 QCM 반응의 감지 시간을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10 ppb 농도의 DNT에 대하여 센서의 응답 시간은 4.5 초 미만으로 고속 감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현장 모델 테스트를 위하여, 450 ㎜ × 350 ㎜ × 550 ㎜ 크기의 투명 챔버 내에, 10 ㎎의 DNT 분말을 지하 약 10 ㎝ 깊이로 매설하고, QCM 센서 표면에 술폰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약 10 ㎛ 두께로 코팅한 센서 시스템을 이용하여 DNT 탐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챔버 내부의 공기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로 환기시키거나 정체시키는 방식으로 통지되었고, 환기 전후의 QCM 신호를 비교하여 탐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도 4에 환기 전후의 QCM 신호 변화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약 2~3 ppb 농도의 매설된 DNT 시료를 감지할 수 있었다. 이는 실용화된 센서와 유사한 수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감지 기술이 현장에서도 실제 사용될 수 있는 수준의 반응 선택성과 관용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실시예 3
폭발물 유사체를 이용하여 센서의 반응 선택성을 확인하였다. DNT 또는 TNT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톨루엔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 1과 유사한 방식으로 감도 및 응답 시간을 측정하였다. 도 5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톨루엔에 대한 센서의 감도는 약 1.24 ㎐/ppm이었고, 응답 시간은 약 5분이었다. 이는 DNT에 대한 감도 84 ㎐/ppm, 응답 시간 4.5 초 미만(10 ppb 기준)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수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감지 기술이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에 대하여 높은 반응 선택성 및 특이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습도에 대한 센서의 반응을 전술한 실시예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실험하였다. 수분에 대한 센서의 감도는 약 100 ㎐/% RH, 즉 0.320 ㎐/ppm(25℃ 기준, 1% RH = 312.57 ppm)로, DNT에 비하여 약 1/260로, 제한된 시간 동안 습도는 일정하다고 볼 수 있어 실사용상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과 반응하여 마이센하이머 복합체(Meisenheimer Complex)를 형성할 수 있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술폰산기, 아크릴기, 카르복실기, 인산기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술폰화 테트라플루로오에틸렌(Sulfonated tetrafluoroethylene)인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건식 환경에서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을 감지하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은 니트로벤젠, 디니트로벤젠, 트리니트로벤젠, 니트로톨루엔, 디니트로톨루엔, 트리니트로톨루엔, 디니트로플루오로벤젠, 디니트로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젠, 아미노디니트로톨루엔, 클로로디니트로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헥사니트로스틸벤, 트리니트로페닐메틸니트라민 및 트리니트로페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
  6. 제1항에 따른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를 이용하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의 감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고분자와 상기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사이에 마이센하이머 복합체를 형성하는 반응을 포함하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의 감지 방법.
  8. 제6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건식 환경에서 수행되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의 감지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항에 따른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를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에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와 상기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사이의 마이센하이머 복합체 형성 반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의 감지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석영 크리스탈 마이크로밸런스(Quartz Crytal Microbalance, QCM), 캔틸레버(Cantilever), 멤브레인 트랜스듀서(Membrance Transducer) 및 탄소나노튜브 전계효과 트랜지스터(CNT-FE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에 의해 이루어지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의 감지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은 니트로벤젠, 디니트로벤젠, 트리니트로벤젠, 니트로톨루엔, 디니트로톨루엔, 트리니트로톨루엔, 디니트로플루오로벤젠, 디니트로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젠, 아미노디니트로톨루엔, 클로로디니트로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헥사니트로스틸벤, 트리니트로페닐메틸니트라민 및 트리니트로페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의 감지 방법.
  12. 제1항에 따른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산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센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석영 크리스탈 마이크로밸런스(Quartz Crytal Microbalance, QCM), 캔틸레버(Cantilever), 멤브레인 트랜스듀서(Membrance Transducer) 및 탄소나노튜브 전계효과 트랜지스터(CNT-FE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기반으로 하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센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건식 환경에서 동작하는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센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은 니트로벤젠, 디니트로벤젠, 트리니트로벤젠, 니트로톨루엔, 디니트로톨루엔, 트리니트로톨루엔, 디니트로플루오로벤젠, 디니트로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젠, 아미노디니트로톨루엔, 클로로디니트로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헥사니트로스틸벤, 트리니트로페닐메틸니트라민 및 트리니트로페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니트로 방향족 폭발물 감지용 센서.
KR1020130005690A 2012-01-18 2013-01-18 산성 고분자, 이를 이용하는 폭발물 감지 방법 및 폭발물 감지용 센서 KR101503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854 2012-01-18
KR20120005854 2012-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016A true KR20130085016A (ko) 2013-07-26
KR101503749B1 KR101503749B1 (ko) 2015-03-19

Family

ID=48995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690A KR101503749B1 (ko) 2012-01-18 2013-01-18 산성 고분자, 이를 이용하는 폭발물 감지 방법 및 폭발물 감지용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7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640B1 (ko) * 2013-11-11 2015-01-02 국방과학연구소 양자점과 바이러스의 층상 자기조립 복합체를 이용한 선택적 고민감성 폭발물 감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RU2567841C1 (ru) * 2014-10-27 2015-11-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о проблемам гражданской обороны и чрезвычайных ситуаций МЧС России" (федеральный центр науки и высоких технологий)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обработки объект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индикаторного состав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73707A4 (en) 2008-12-31 2012-09-26 Rdi Holdings Llc MOLECULAR FOOTPRINTED POLYMER MATERIALS FOR THE VISUAL DETECTION OF EXPLOSIVES
WO2010086834A2 (en) 2009-01-30 2010-08-05 Mistral Detection Ltd. Method and kit for identification of an explosive substance which contains an oxidant
IL206241A0 (en) 2010-06-08 2010-12-30 Fernando Patolsky Modified nanowires for use in detecting nitro - containing chemica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640B1 (ko) * 2013-11-11 2015-01-02 국방과학연구소 양자점과 바이러스의 층상 자기조립 복합체를 이용한 선택적 고민감성 폭발물 감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RU2567841C1 (ru) * 2014-10-27 2015-11-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о проблемам гражданской обороны и чрезвычайных ситуаций МЧС России" (федеральный центр науки и высоких технологий)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обработки объект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индикаторного состав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749B1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eberzeit et al. Sensor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in environmental analysis
Du et al. Synthesis and evaluation of a new polysiloxane as SAW sensor coatings for DMMP detection
Becker et al. Air pollution monitoring using tin-oxide-based microreactor systems
Wang et al. Synthesis of tetraphenylethylene pillar [6] arenes and the selective fast quenching of their AIE fluorescence by TNT
Gross et al. Cyclic-voltammetry-based solid-state gas sensor for methane and other VOC detection
Krivitsky et al. Direct and selective electrochemical vapor trace detection of organic peroxide explosives via surface decoration
Yu et al. Mitigation of humidity interference in colorimetric sensing of gases
Goud et al. OPAA/fluoride biosensor chip towards field detection of G-type nerve agents
Shaik et al. p-Hexafluoroisopropanol phenyl functionalized graphene for QCM based detection of dimethyl methylphosphonate, a simulant of the nerve agent sarin
Wang et al. Real-time detection of styrene using SAW sensors based on hexafluoroisopropanol group functionalized hydrogen-bond acidic polymers
Athavale et al. Fast potentiometric CO2 sensor for high-resolution in situ measurements in fresh water systems
KR20130085016A (ko) 산성 고분자, 이를 이용하는 폭발물 감지 방법 및 폭발물 감지용 센서
An et al. A water-soluble fluorescent probe for selective detection of 2, 4, 6-trinitrophenol (TNP) in real samples
He et al. The highly sensitive and facile colorimetric detection of the glycidyl azide polymer based on propargylamine functionalized gold nanoparticles using click chemistry
Zheng et al. Design of a versatile and selective electrochemical sensor based on dummy molecularly imprinted PEDOT/laser-induced graphene for nitroaromatic explosives detection
US20140274804A1 (en) Organic molecule sensor for detecting, differentiating, and measuring organic compounds
Chen et al. Femtogram level detection of nitrate ester explosives via an 8-pyrenyl-substituted fluorene dimer bridged by a 1, 6-hexanyl unit
Brown et al. Fluorescence-enhancement sensing of ammonia and hydrazines via disruption of the internal hydrogen bond in a carbazolopyridinophane
Gogoi et al. Instant detection of picric acid vapour by developing layer by layer polymer detectors and an electronic prototype
Ding et al. Potentiometric sensing of butyrylcholinesterase based on in situ generation and detection of substrates
Choi et al. Real-Time Monitoring and 3D Mapping of Trace Vapors of Explosive Nitroaromatic Compounds at Room Temperature by Gas-Phase Scanning Electrochemical Microscopy
Mallin Increasing the selectivity and sensitivity of gas sensors for the detection of explosives
Yang et al. Arginine Wettability and Impedance Dual‐Signal Response by Aldehyde Calix [4] arene Self‐Assembled Monolayers
Huang et al. Improved colorimetric detection of 2, 4, 6‑trinitrotoluene through γ-cyclodextrin complexation
Xie et al. Review on the leak detection technology of unsymmetrical dimethylhydraz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