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792A -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 picture adjusting of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 picture adjusting of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792A
KR20130084792A KR1020120005638A KR20120005638A KR20130084792A KR 20130084792 A KR20130084792 A KR 20130084792A KR 1020120005638 A KR1020120005638 A KR 1020120005638A KR 20120005638 A KR20120005638 A KR 20120005638A KR 20130084792 A KR20130084792 A KR 20130084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b
pointer
displayed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6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07212B1 (en
Inventor
김익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5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212B1/en
Publication of KR20130084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7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2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control screen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n apparatus thereof are provided to easily confirm the content of a main screen without on/off operation of a sub screen even though a part of the main screen is hidden. CONSTITUTION: If a sub screen is outputted, a control unit confirms the location of a pointer corresponding to a user control signal (204,206). In case there is the pointer within the sub screen, the control unit makes the sub screen be transparent or be moved to the outside of a main screen (208,210). In case there is not the pointer inside the sub scre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o input a dragging signal of the pointer (212). The control unit makes the sub screen be moved to a location where the pointer is dragged (214). [Reference numerals] (202) Web browser display mode; (204) Output a PIP screen; (206) Is the location of a pointer in the PIP screen?; (208) Is the pointer within the PIP screen for a predetermined time?; (210) Move / Transparently treat to the PIP screen; (212) Drag the PIP screen; (214) Display the PIP screen on the dragged location; (216) Does the pointer move to the outside of the PIP screen?; (218) Return the PIP screen into a previous state / location; (AA) Start; (BB,DD,FF,HH) No; (CC,EE,GG,II) Yes; (JJ) End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 picture adjusting of display device}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 picture adjusting of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display device, and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 adjustme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스마트 티브이가 주목 받으면서 티브이에 웹 브라우저(Web browser)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As smart TVs are attracting attention, Web browsers are being added to TVs.

일반적인 PC에서 동작하는 것과 달리 티브이 시청이 기본 기능인 티브이 환경에서는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면서도 티브이 시청을 위해 웹 브라우저 화면에서 PIP(Picture-in-Picture)기능이 제공된다. Unlike TV, which is the basic function of TV viewing, TV environment provides basic picture-in-picture (PIP) function in the web browser screen while watching TV.

하지만 PIP화면으로 인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표시되는 내용이 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웹 브라우저 내용을 보기 위해서는 PIP기능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수시로 온/오프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due to the PIP screen, the content displayed by the web browser is hidden, and the user may manually turn on / off the PIP function in order to view the web browser contents.

즉, 화면의 이동 및 조정을 위하여 지능적으로 동작되지 않고 사용자의 리모콘 또는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들에 대한 수동적인 동작을 통하여 화면이 온/오프 되도록 함으로써, 가려진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In other words, the screen is turned on / off by manual operation of input devices such as a user's remote control or a mouse, instead of being operated intelligently to move and adjust the screen, so that the contents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hidden screen must be checked. There is discomfor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주화면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에 대하여 유동적으로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주화면 및 부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에서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reen adjust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video display device to easily view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by allowing the fluid to be adjusted to the sub-screen is displayed superimposed on the main scree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do.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서 화면 조정 방법에 있어서, 주화면에 중첩되어 부화면이 출력되는 단계, 주화면 또는 부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출력되는 부화면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method of adjusting a screen in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utputting a sub-screen superimposed on the main screen,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or sub-screen, the position of the pointer And processing the display state of the subscreen to be changed when the subscreen is present inside the output subscreen.

또한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서 화면 조정 장치에 있어서, 주화면 또는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을 주화면 또는 부화면으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분리된 주화면 또는 부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포인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포인터의 위치 이동 및 주화면 또는 부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주화면에 소정 영역에 중첩되어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포인터가 부화면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reen adjusting apparatus in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or sub-screen, processing the image to display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to separate the main screen or sub-scree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ain screen or a sub-screen separa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changing and displaying a display state of the sub-scree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inter;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of an image, and superimposed on a predetermined area on a main screen to detect a display position of a pointer when the sub screen is displayed, and when the pointer is inside the sub screen, displays the display state of the sub screen. With a control to handle changes .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표시기기에서 부화면이 주화면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어 주화면의 일부가 가려지는 경우에도 부화면의 온오프 동작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아도, 주화면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sub-screen is overlaid and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in a video display device so that a part of the main screen is covered, the contents of the main screen can be easily checked without performing an on-off operation of the sub-screen separately. Has the effect of doing

또한 사용자의 단순한 드래그 위치 이동을 위한 입력에 의해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state of the sub-screen can be easily changed by an input for a simple drag position movement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화면 조정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화면 조정을 위한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화면 조정 시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복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display devic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djusting a sub-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when a sub scree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an operation for adjusting sub-scre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when the display state of the subscreen is restored when the subscreen is adjust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display devic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영상 처리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오디오 처리부(150), 오디오 출력부(160), 메모리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 user input unit 120, an image processing unit 130, a display unit 140, an audio processing unit 150, and an audio output unit ( 160, a memory unit 170, and a controller 180.

통신부(110)는 영싱표시기기(100)와 방송 콘텐츠 제공자 또는 인터넷 콘텐츠 제공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or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English display device 100 and a broadcast content provider or an Internet content provid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방송신호 수신부(111), 인터넷 연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111 and an internet connection unit 112.

방송신호 수신부(111)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 받아 영상표시기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11 may receive a broadcast signal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video display device.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연결부(112)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연결부는 상기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의 형태에 따라 무선 또는 유선 등 다양한 형태로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The internet connection 112 may include a module for internet access. The Internet connec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in various forms such as wireless or wired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module for accessing the Internet.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111)와 인터넷 연결부(112)는 동시에 다양한 방송신호 및 인터넷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11 and the internet connection unit 112 may simultaneously receive various broadcast signals and internet contents.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들을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마우스, 리모콘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2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user input unit 120 may receive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a key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 mouse,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120)는 주화면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부(140)에서 다양한 형태의 포인터(pointer)를 디스플레이하므로, 상기 사용자 제어 신호에 대한 이동 경로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user input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display state of the sub-screen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various types of pointers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20, the movement path for the user control signal may be easily identified.

영상처리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영상 또는 방송 정보 및 인터넷 콘텐츠 영상 및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적합한 사이즈 및 화질로 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부(130)는 주화면 영상처리부(131)와 부화면 영상처리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130 adjusts the image and the broadcast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Internet content image and the image information to a suitable size and image quality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The image processo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screen image processor 131 and a sub-screen image processor 132.

주화면 영상처리부(131)와 부화면 영상처리부(132)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을 각각 주화면과 부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화면의 화질 및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main screen image processing unit 131 and the sub screen image processing unit 132 may process an imag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so as to be suitable for the image quality and size of the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and the sub screen, respectively.

디스플레이부(140)는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 및 영상처리부(130)에서 처리된 영상을 표시(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40)는 영상처리부(130)에서 처리된 영상에 대하여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분리된 복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도 있다, 또한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한 변경에 따른 정보 및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부화면 디스플레이 상태 변경을 위한 제어 신호 입력에 따라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되는 리모컨 또는 마우스 등의 외부 입력 기기의 동작에 대응되도록 화면 내부에서 움직이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an image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130. The display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 plurality of screens divided into a main screen and a sub-screen with respect to the image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130. Information and an image according to the change can be displayed, and a pointer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or changing a user's sub-screen display state. The pointer may be displayed while moving inside the screen to correspond to the operation of an external input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ler or a mouse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0.

오디오 처리부(150) 및 오디오 출력부(160)는 통신부(110)를 통해 입력된 영상 또는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를 처리 및 출력 할 수 있다.The audio processor 150 and the audio outputter 160 may process and output audio included in an image or content input through the communicator 110.

메모리부(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 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The memory unit 17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영상표시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부화면이 주화면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제어 신호에 따라 포인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부화면에 포인터가 존재하는 경우 부화면을 투명 또는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처리하여 부화면에 가려졌던 주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부화면 디스플레이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감지하고, 부화면 내부에서 부화면 외부로 포인터가 이동함을 감지하면 상기 부화면을 이전 디스플레이 상태로 복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o display the image on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and when the sub-screen is displayed superimposed on the main screen to the user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0 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pointer can be detected.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ointer, and when the pointer is present on the sub-screen, processes the sub-screen to move to a transparent or arbitrary position so that the main screen that is hidden on the sub-screen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pointer according to the sub-screen display, and if the sub-screen is detected to move out of the sub-screen, the controller 180 may restore the sub-screen to a previous display state and display the sub-screen. have.

이하 부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for adjusting the sub scree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화면 조정 동작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화면 조정을 위한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화면 조정 시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복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djusting a sub-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when a sub-scree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ub-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an operation for screen adjustment.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when a display state of a sub screen is restored when adjusting a sub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통신부(110)의 인터넷 연결부(112)를 통하여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에서 특정 웹 브라우저가 디스플레이되는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모드를 수행한다.(202단계)2 to 3, the controller 180 performs a web browser display mode in which a specific web browser is displayed while the Internet is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connection unit 112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step 202).

제어부(180)는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모드 수행 중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화면(300)에 일부 영역에 중첩되도록 부화면(310)이 출력되면(204단계) 리모컨 또는 마우스 등의 사용자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포인터(P)의 위치를 확인한다.(206단계) 즉,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P)의 위치가 부화면(310)의 내부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The controller 180 outputs the sub-screen 310 to superimpose some areas on the main screen 300 as shown in FIG. 3 during the web browser display mode (step 204). The location of the pointer P is determined (operation 206). That is,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pointer P exists in the sub-screen 310.

제어부(180)는 포인터(P)의 위치가 도 4의 화면 예시도 (a)와 같이 포인터(P)가 부화면(310) 외부 즉, 주화면(300)에서 상기 부화면 내부로 포인터(P)가 이동함을 감지하면 상기 포인터(P)가 부화면(310)의 내부에 소정 시간 동아 존재하는지 판단한다.(208단계)The controller 18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ointer P is positioned outside the sub-screen 310, that is, the main screen 300 from the main screen 300 to the inside of the sub-screen as shown in FIG. 4. If it is detected that the movement of the control unit 1 move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inter P exists for a predetermined time inside the sub-screen 310 (step 208).

제어부(180)는 부화면(310)을 도 4의 화면예시도 (a)와 같이 투명으로 처리하거나 도 4의 화면 예시도 (b)와 (c)와 같이 화면의 외부 또는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210단계) The controller 180 processes the sub-screen 310 to be transparent as in the screen example (a) of FIG. 4 or moves to the outside or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screen as shown in the screen examples (b) and (c) of FIG. To be displayed (step 210).

즉, 제어부(180)는 도 3과 같이 주화면에 일부 영역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을 도 4의 화면예시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P)가 주화면(300)에서 부화면(310) 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된 포인터(P)가 상기 부화면 내부에 소정 시간 동안 존재하면 투명 처리하여 부화면(310)에 의해 가려졌던 주화면(300)이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sub-screen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by overlapping a portion of the main screen as shown in FIG. 3, as shown in (A) of the screen example of FIG. 4. When the moved pointer P is present inside the sub-screen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ain screen 300 which is obscured by the sub-screen 310 may be displayed.

또한 도 4의 화면 예시도 (b)는 부화면(310) 내부에 포인터(P)가 소정 시간 동안 존재하여 상기 부화면(310)의 주화면(300)의 외부로 사라지는 형태로 주화면(300)만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화면 예시도(c)는 부화면(310) 내부에 포인터(P)가 소정 시간 동안 존재하여 상기 부화면(310)이 주화면의 임의의 영역으로 이동(310)하여 디스플레이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creen example of FIG. 4 (b) is a main screen 300 in a form in which the pointer P exists inside the sub screen 310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disappears to the outside of the main screen 300 of the sub screen 310. ) Can be displayed only. In addition, the screen example diagram (c) of FIG. 4 illustrates that the pointer P is present within the sub-screen 310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sub-screen 310 is moved 310 to an arbitrary area of the main screen to be displayed. Can be.

반면, 제어부(180)는 소정 시간 동안 포인터(P)가 부화면(310)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포인터(P)의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212단계)On the other hand, if the pointer P does not exist inside the sub-screen 310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a drag signal of the pointer P is input (step 212).

제어부(180)는 포인터(P)가 드래그된 위치에 부화면(310)을 이동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214단계) 즉, 제어부(180)는 도 4의 화면 예시도(d)와 같이 부화면(310) 내부에 포인터(P)가 존재하나 상기 포인터(P)의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면 드래그된 포인터(P)가 위치하는 주화면(300)의 해당 영역에 부화면(3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the sub-screen 310 by moving the pointer P to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P is dragged (step 214). That is, the controller 180 is as shown in the example screen (d) of FIG. When the pointer P exists inside the sub-screen 310 but the drag signal of the pointer P is input, the sub-screen 310 is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main screen 300 where the dragged pointer P is located. can do.

제어부(180)는 상기와 같이 부화면을 투명처리 또는 임의의 위치로 이동 및 드래그된 상태에서 포인터(p)가 상기 디스플레이가 변경된 부화면(310)의 외부로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한다.(216단계)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pointer p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ubscreen 310 where the display is changed in the state where the subscreen is moved or dragged to a transparent process or an arbitrary position as described above. )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된 부화면(310)의 내부에서 외부로 포인터(p)가 이동한 경우 상기 부화면(310)을 최초에 디스플레이된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형태로 복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pointer p is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subscreen 310 where the display state is changed to the outside, the controller 180 may restore the subscreen 310 to the display form of the initially displayed subscreen so that the subscreen 310 is displayed. have.

즉, 제어부(180)는 도 5의 화면 예시도에서와 같이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투명 처리된 부화면(310)인 경우 포인터(P)가 상기 투명 부화면(310)의 내부에서 외부인 주화면(300)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투명 처리된 부화면(310)을 주화면(300)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던 원상태의 부화면(310)으로 복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the screen example of FIG. 5, when the display state of the sub-screen is the sub-screen 310 that is transparently processed, the controller 180 has a main screen whose pointer P is external to the inside of the transparent sub-screen 310. In case of moving to 300, the transparent subscreen 310 may be restored to the original subscreen 310 which is displayed while being superimposed on the main screen 3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웹 브라우저가 영상표시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방송 영상이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분할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부화면 디스플레이 상태를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a web browser is displayed on an image display apparatus is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even when a broadcast image is divided into a main screen and a sub-screen, the sub-screen display state may be adjusted as described above.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영상표시기기
110 : 통신부 120 : 사용자 입력부]
130 : 영상처리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오디오 처리부 160 : 오디오 출력부
170 : 메모리부 180 : 제어부
100: video display device
110: communication unit 120: user input unit]
130: image processing unit 140: display unit
150: audio processing unit 160: audio output unit
170: memory unit 180: control unit

Claims (10)

주화면에 중첩되어 부화면이 출력되는 단계;
주화면 또는 부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출력되는 부화면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방법.
Outputting a sub-screen superimposed on the main screen;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or the sub-screen;
And processing the display state of the subscreen to be changed when a location of a pointer exists inside the output subscreen.
How to adjust screen of video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가 상기 부화면 내부에 소정 시간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화면을 투명처리하여 상기 주화면이 상기 부화면 상위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pointer exists within the sub scree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sub screen is transparently displayed so that the main screen is displayed above the sub screen.
How to adjust screen of video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가 상기 부화면 내부에 소정 시간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화면을 주화면의 임의 영역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pointer exists within the sub scree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sub screen is moved to an arbitrary area of the main screen to be displayed.
How to adjust screen of video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가 상기 부화면 내부에 존재하고 상기 포인터의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포인터가 드래그된 위치로 상기 부화면을 이동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pointer exists inside the sub-screen and a drag signal of the pointer is input, the sub-screen is moved and displayed to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dragged.
How to adjust screen of video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가 부화면 내에서 상기 부화면의 외부로 이동하면 상기 부화면의 상태를 이전 디스플레이 상태로 복구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f the pointer moves out of the subscreen within the subscreen, restoring the subscreen state to a previous display state;
How to adjust screen of video display device.
주화면 또는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을 주화면 또는 부화면으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분리된 주화면 또는 부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포인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포인터의 위치 이동 및 주화면 또는 부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주화면에 소정 영역에 중첩되어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포인터가 부화면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장치.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an image to be displayed on a main screen or a sub-screen;
An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an image to display an imag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s a main screen or a sub-screen and display the divided image;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main screen or the sub-screen separated by the image processor, and to change the display state of the sub-scree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inter;
A user input unit for moving a pointer and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of an image displayed on a main screen or a sub-scree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 display position of the pointer when the sub screen is displayed while being superimposed on a main area on the main screen, and to change the display state of the sub screen when the pointer exists inside the sub screen.
Screen control device of video display device.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부화면 내부에 소정 시간 이상 존재함을 감지하면 상기 부화면을 투명처리하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When the pointer detects that the sub screen exist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sub screen is transparently processed.
Screen control device of video display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부화면 내부에 소정 시간 이상 존재함을 감지하면 상기 부화면을 주화면의 임의의 영역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When the pointer detects that the pointer exists within the sub-screen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ub-screen is moved to an arbitrary area of the main screen and displayed.
Screen control device of video display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포인터가 부화면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화면을 이동하기 위한 포인터 드래그 신호를 입력 받고, 제어부에서 상기 입력받은 드래그 위치에 따라 상기 부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user input unit receives a pointer drag signal for moving the subscreen when the pointer exists inside the subscreen, and displays a subscreen according to the input drag position by the controller.
Screen control device of video display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가 부화면 내에서 상기 부화면의 외부로 이동하면 상기 부화면의 상태를 이전 디스플레이 상태로 복구되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조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When the pointer moves out of the sub screen within the sub screen, the state of the sub screen is restored to the previous display state.
Screen control device of video display device.
KR1020120005638A 2012-01-18 2012-01-18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 picture adjusting of display device KR1019072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638A KR101907212B1 (en) 2012-01-18 2012-01-18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 picture adjusting of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638A KR101907212B1 (en) 2012-01-18 2012-01-18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 picture adjusting of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792A true KR20130084792A (en) 2013-07-26
KR101907212B1 KR101907212B1 (en) 2018-10-11

Family

ID=4899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638A KR101907212B1 (en) 2012-01-18 2012-01-18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 picture adjusting of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21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136A (en) * 2001-02-20 2002-08-27 엘지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IP of video display device
KR20050076448A (en) * 2004-01-20 2005-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display and method of disposing sub-picture thereof
KR20070062148A (en) * 2005-12-12 200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pip function
KR100817315B1 (en) * 2006-09-25 2008-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p screen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136A (en) * 2001-02-20 2002-08-27 엘지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IP of video display device
KR20050076448A (en) * 2004-01-20 2005-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display and method of disposing sub-picture thereof
KR20070062148A (en) * 2005-12-12 200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pip function
KR100817315B1 (en) * 2006-09-25 2008-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p scree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212B1 (en)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6346B2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moving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323623B (en) Display apparatus, multi-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346892B2 (en)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 control apparatus,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 control program
US201401573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10003845B2 (en) Remote controll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30050274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KR102252321B1 (en)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KR101712909B1 (en)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ouch screen display, a interface method us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US20070266397A1 (en) Multimedia display apparatus with add-on personal computer functions capable of entering keyboard keys with remote control
US20140298252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24260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US20130212629A1 (en) Television system operated with remote touch control
US20140285437A1 (en) Method of internet browser-based remote user interface virtual mouse cursor positioning
EP2613550B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KR20040066222A (en) Application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s and navigation method using the same
EP268829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117937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244470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2469879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8479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 picture adjusting of display device
EP3032393B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140106201A (en) Display device to display information window and service execution methods of display device
US2019021547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external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system
KR101915319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US20170055038A1 (en) Handheld Devices And Applications for T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