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140A - 눌러 따는 캔 뚜껑 - Google Patents

눌러 따는 캔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140A
KR20130083140A KR1020120003708A KR20120003708A KR20130083140A KR 20130083140 A KR20130083140 A KR 20130083140A KR 1020120003708 A KR1020120003708 A KR 1020120003708A KR 20120003708 A KR20120003708 A KR 20120003708A KR 20130083140 A KR20130083140 A KR 20130083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ing
lid
upper plate
hole
buck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정
Original Assignee
김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정 filed Critical 김지정
Priority to KR1020120003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3140A/ko
Publication of KR20130083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1/165Cylindrical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complete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sh-down tear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버클링에 의한 구멍 스코어의 절단을 방지한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캔 뚜껑을 구멍 편 선단과 상판의 중심을 잇는 선과 이 선에 대하여 상관의 중심을 지나서 직교하는 직선으로 부채형상의 4부분으로 구분하였을 때, 모든 부채형상의 부분의 모두에 상기의 구멍 편선단과 상판의중심을 잇는 선으로부터 상판의 중심에서 25도~65도의 범위 내에서 둘레 가장자리 홈의 근방에 좌굴부를 설치하고 상판과 둘레 가장자리 홈의 연결부 또는 그 부근에 구멍 편과 반대쪽의 좌굴부와 그 근방을 제외하고 좌굴성 보다 보강성이 작은 보강부를 설치하고 구멍 편짝의 좌굴부와 구멍 편과 반대쪽의 좌굴부의 사이에 강도차를 설치한 눌러 따는 캔 뚜껑.

Description

눌러 따는 캔 뚜껑{Push open type can end}
본 발명은 보존안정성을 개량한 푸시 오픈 타입의 눌러 따는 캔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풀오픈 타입이라고 불리는 탭을 가지는 형식의 것이 매우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풀오픈 타입의 것은 구멍 부분을 형성하는 구멍 편이 일반적으로 캔 뚜껑 상판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많고, 구멍 편이 흩어져 없어지고, 이 구멍 편의 단부는 비교적 예리하므로, 손 발 등에 손상을 주거나, 분리한 구멍 편을 새나 물고기가 먹고 죽는 사고가 많아 문제가 되고 있다. 그 때문에, 구멍 편을 캔 뚜껑 상판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 없도록 구멍 편의 상판에 대하여 연접부분을 가지는 형식의 캔 뚜껑도 제안되고 있다.
풀오픈 타입의 구멍 편과 뚜껑 체의 연접부분을 가지는 형식의 캔은, 액체 음료용 용기와 같이 용기로부터 직접으로 내용물을 마시는 경우, 코끝에 구멍 편이 위치하고, 구멍 편의 절단단부가 비교적 예리하므로, 이 코끝의 구멍 편에 의하여 위화감이 생기며, 수요자에게 선호되지 않는 결점이 있으나, 이점을 개량한 구멍 편을 상판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를 시키지 않는 용이하게 따지는 용기의 캔 뚜껑으로서는 푸시오픈타입이라고 칭하여 구멍 편을 용기내로 밀어 넣는 형식의 것이 있다.
이들 푸시오픈 타입의 캔 뚜껑은 상기의 분리한 구멍 편에 의한 결점은 해소되는데, 실제 사용되었을 때 다음과 같은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액체음료의 대부분은 탄산가스 등의 가스를 함유하는 것이 많다. 이들 가스함유 음료를 내장한 음료용기는 보존 중에 내압이 상승하면, 내부로부터 밀어 올려지고, 버클링이라 불리는 현상이 많이 발생하고, 뚜껑이 바깥으로 밀어 올려져서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이 때문에 구멍 스코어가 절단하여 캔이 열려서 음료가 나오는 것이다.
따라서 스코어에 둘러싸인 구멍 편의 선 단부 부근을 제외하고 상판의 둘레 가장자리 홈 근방을 코이닝 하여 두께가 얇은 강화부를 설치하고, 구멍 편의 선 단부 부근 이외의 상판 둘레 가장자리에 엠보스 홈 또는 코이닝 홈 등의 내압약화부를 마련한 캔 뚜껑이다. 이 발명은 두께가 두꺼운 캔 뚜껑에 있어서는 매우 유효하여서 문제는 해결되었다. 그런데 두께가 0.285㎜이하의 얇은 캔 뚜껑에 있어서는 버클링이복수회 발생하면, 뚜껑은, 원호형상으로 크게 솟아오른다. 그리고 특히 얇은 캔 뚜껑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두 번째의 커클링이 첫 번째의 버클링의 위치와 캔 중심에 대하여 반대쪽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의 뚜껑에서는 두 번째의 버클링은 구멍편 선단에 발생하여 버린다.
이 버클링의 위치를 제어하여서 미리 정한 순서로 버클링 시키고, 스코어선의 절단을 방지한 발명이 특원평 3-333819호의 발명이다. 이 발명은 구멍 편 선단과 리벳을 이은 직선과 이 직선과 리벳에서 직교하는 직선에서 4분할한 캔 뚜껑의 구멍 편의 반대쪽의 캔 뚜껑의 2개의 부채형상부분에 좌굴부를 마련하고, 여기서 버클링을 발생시키는 발명이다.
이 발명은 첫 번째의 버클링의 위치의 제어에는 충분히 효과가 있으나, 2개소의 약한 부분에서만은 두 번째 이후의 버클링에 대하여서는 위치 제어가 불충분하여 구멍 편 선단 부근에서 버클링이 생기는 경우를 볼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두 번째 이후의 버클링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불가능하였던 첫 번째, 두 번째 및 두 번째 이후의 버클링의 위치를 제어하여, 차례차례 미리 정한 순서로 버클링 시켜 구멍 편 선단부근의 버클링의 방지하고 스코어의 절단을 막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별은 수단에 의하여 이 과제의 해결에 성공하였다.
본 발명은, 상판과 상판 둘레 가장자리부에 설치한 둘레 가장자리 홈을 가지는 캔 뚜껑으로서, 상판의 대략 중앙부에 리벳에 의하여 연결한 탭과 과 종점을 리벳 곁에서 또한 힌지가 되는 간격을 두고서 설치한 스코어와, 스코어에 둘러싸인 구멍 편으로 이루어지는 눌러 따는 캔 뚜껑으로서, 이 캔 뚜껑을 구멍 편 선단과 상판의 중심을 잇는 선과, 이 선에 대하여 상판의 중심을 지나서 직교하는 직선으로 부채형상의 4부분으로 구분하였을 때 모든 부채형상의 부분의 모두에 상기의 구멍 편 선단과 상판의 중심을 잇는 선으로부터 상판의 중심에서 25도~65도의 범위 내에서 둘레 가장자리 홈의 근방에 좌굴부를 설치하고 상판과 둘레 가장자리 홈의 연결부 또는 그 부근에 구멍편과 반대쪽의 좌굴부와 그 근방을 제외하고는 좌굴성보다 보강성이 작은 보강부를 설치하여 구멍 편쪽의 좌굴부와 구멍 편과 반대쪽의 좌굴부의 사이에 강도차를 설치한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멍 편의 반대쪽이 있는 2개의 부채형상의 부분에 설치한 좌굴부와, 좌굴성이 작은 좌굴부를 구멍 편쪽의 2개의 부채형 상의 부분에 설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좌굴부가 코이닝 또는 스코어링에 의하여 상판에 형성된 가공 쪽에서 본 오목형상부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좌굴부가 엠보싱에 의하여 상판에 형성된 가공 쪽에서 본 오목형상부인,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좌굴부가 상판을 밀어 올려서 상판에 형성된 딤플인, 용이하게 따지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좌굴부가 둘레 가장자리 홈 내벽을 상판의 중심 쪽으로 변형시킨 변형내벽부인,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좌굴부가 비딩에 의하여 상판에 형성한 비드의 선단인,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좌굴부가 직선형상 또는 원호형상의 비드의 선단인,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좌굴부가 상판의 둘레 가장자리 홈 근방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원호형상 비드의 선단인, 눌러 따는 캔 뚜껑한다.
바람직하게는, 좌굴부가 구멍 편과 반대쪽에 있는 2개의 부채형상 부분의 각각과 구멍 편쪽에 있는 2개의부채형상부분의 각각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2개의 부채형상부분의 각각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비드의 선단인,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좌굴부가, 한 끝단이 둘레 가장자리 홈 외벽의 상판과 대략 같은 높이의 위치로부터 상판의 중심을 향하여 약 12㎜의 폭의 둘레 가장자리 홈을 따른 동심원 고리형상부분의 구멍 편 선단과 상판의 중심을 잇는 선으로부터 상판의 중심에서 25도~65도의 범위 내에 있고, 다른 끝단이 이 범위로부터 상판의 중심 쪽에 있는 직선형상 또는 원호형상의 4개의 비드의 둘레 가장자리 홈 쪽의 선단으로서 모든 부채형상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좌굴부가 원호형상의 비드의 선단으로서, 이 원호형상의 비드의 선단이 구멍 편과 반대쪽에 있는 2개의 부채형상의 부분의 각각과 구멍 편쪽에 있는 2개의 부채형상의 부분의 각각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이 원호형상의 비드가 뚜껑의 중심 쪽에 볼록하게 형성된,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좌굴부가 코이닝, 스코어링, 엠모싱, 딤플, 변형내벽부, 비드 등의 좌굴부를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설치한 좌굴부인,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좌굴부가 코이닝, 스코어링, 엠모싱, 딤플, 변형내벽부, 비드 등의 좌굴부를 2종류이상 중복시킨 복합좌굴부인,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부가 상판과 둘레 가장자리 홈의 연결부에 구멍 편과 반대쪽의 좌굴부를 제외하고, 전면에 코이닝 가공에 의하여 형성한 패널 코이닝부인, 용이하게 따지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부가 구멍 편쪽에서는 좌굴부와 겹쳐져 있는 보강부로 기재된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부가 구멍 편쪽에서는 좌굴부와 겹쳐져 있지 않은 보강부인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부가 구멍 편쪽에서는 좌굴부를 제외한 전주의 상판과 둘레 가장자리 홈의 연결부의 곡률반경을 구멍 편과 반대쪽의 좌굴부 근방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한 변형 연결부인 용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보강부가 구멍 편과 반대쪽의 좌굴부를 제외한 전주의 상판과 둘레 가장자리 홈의 깊이를 구멍 편과 반대쪽의 좌굴부 근방의 둘레 가장자리 홈의 깊이보다 크게 한 깊은 홈인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앞에 기술한 바와 같이 구멍 편이 분리하지 않는 푸시 오픈형의 캔 뚜껑을 분리한구
바람직하게는, 좌굴부가 원호형상의 비드의 선단으로서, 이 원호형상의 비드의 선단이 구멍 편과 반대쪽에 있는 2개의 부채형상의 부분의 각각과 구멍 편쪽에 있는 2개의 부채형상의 부분의 각각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이 원호형상의 비드가 뚜껑의 중심 쪽에 볼록하게 형성된,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좌굴부가 코이닝, 스코어링, 엠모싱, 딤플, 변형내벽부, 비드 등의 좌굴부를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설치한 좌굴부인,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좌굴부가 코이닝, 스코어링, 엠모싱, 딤플, 변형내벽부, 비드 등의 좌굴부를 2종류이상 중복시킨 복합좌굴부인,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부가 상판과 둘레 가장자리 홈의 연결부에 구멍 편과 반대쪽의 좌굴부를 제외하고, 전면에 코이닝 가공에 의하여 형성한 패널 코이닝부인,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부가 구멍 편쪽에서는 좌굴부와 겹쳐져 있는 보강부로 기재된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부가 구멍 편쪽에서는 좌굴부와 겹쳐져 있지 않은 보강부인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부가 구멍 편쪽에서는 좌굴부를 제외한 전주의 상판과 둘레 가장자리 홈의 연결부의 곡률반경을 구멍 편과 반대쪽의 좌굴부 근방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한 변형 연결부인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보강부가 구멍 편과 반대쪽의 좌굴부를 제외한 전주의 상판과 둘레 가장자리 홈의 깊이를 구멍 편과 반대쪽의 좌굴부 근방의 둘레 가장자리 홈의 깊이보다 크게 한 깊은 홈인 눌러 따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앞에 기술한 바와 같이 구멍 편이 분리하지 않는 푸시 오픈형의 캔 뚜껑을 분리한 구멍 편에 의한 문제를 발생하지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지만, 캔의 보존 중에 캔 내온 상승에 의하여 버클링에 의한 스코어 절단을 일으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이 원인에 대하여 연구를 한 결과, 풀오픈형 캔 뚜껑과 푸시 오픈형 캔 뚜껑의 구멍 스코어의 깊이의 상위로 인하여 푸시 오픈형 캔 뚜껑의 구멍 스코어의 깊이의 상위로 인하여 푸시 오픈형 캔 뚜껑에만 스코어 절단이 발생하는 것이 해명되었다. 그리고 얇은 캔에 있어서, 버클링으로 인한 캔 뚜껑의 들어 올림양이 현저하게 크고, 그 때문에, 스코어 절단이 발생하는 것도 판명하였다.
종래의 풀오픈형의 캔 뚜껑의 경우는 구멍 편을 절단하는 상판 주변부근의 스코어가 얇고, 두께가 두껍더라도 풀 탭으로 잡아당겨 따기 때문에 구멍 할 수 있으나, 푸쉬오픈형의 캔 뚜껑은 탭의 선단에서 구멍 편을 캔의 내부로 밀어 넣어서 스코어를 절단하므로, 스코어의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구멍 편선단의 상판 주변부근 소위 입을 대는 부분은 탭으로부터의 거리도 멀고 힘이 작용하기 어려우므로 스코어두께를 얇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와 같이 구멍 편의 상판 둘레 가장자리부 부근은 스코어 두께가 얇기 때문에, 이 부분에 버클링이 발생하면, 스코어가 절단하는 것이다.
버클링은 자동차 내의 온도가 높은 곳에 놓여지면, 내온이 상승하므로 캔의 내압이 높아지고, 캔을 밀어올리기 때문에 발생한다.
캔 뚜껑은 내압성을 크게 할 필요성, 상판 둘레 가장자리에 홈부가 설치되고, 이 둘레 가장리 홈의 바깥쪽에 권체부가 설치되어 있다. 홈부를 프리스 형성하면, 여기에 잔류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캔 내압이 높아지면, 이 홈부가 밖으로 팽창하여 나와서 불록부를 형성한다. 이것이 버클링이라고 불리는 현상이다.
가스함유음료는 가스의 함유량이 액체의 1.5~4.5 배이므로, 한번 버클링 한 후에도 보존조건에 따라 팽출부도 가스로 가득 차고, 내압이 높아지면 두 번, 세 번 버클링을 발생한다.
본 발명자는 푸시오픈 타입의 캔 뚜껑으로는 버클링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생각되고, 버클링을 구멍 스코어 특히 상판 둘레 가장자리에 가까운 구멍 편 선단의 스코어 부근 이외의 곳에서 발생시키는 것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위치이면 버클링 하더라도 스코어 절단의 위험이 없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뚜껑의 스코어선 절단의 위험이 없는 위치에 내압성이 작은 버클링을 발생하기 쉬운 좌굴부를 형성하는 것을 생각하였다.
버클링은 두 번 세 번 되풀이하여 발생할 위험이 있는데, 첫 번째가 가장 변형량이 크고, 두 번째가 다음으로 크다. 첫 번째와 두 번째의 버클링을 구멍 편 선단부 이외의 곳에서 발생시키면 스코어 절단의 위험을 꽤 적어진다. 얇은 캔에서는 두 번째의 버클링은 첫 번째 버클링의 위치와는 캔 뚜껑 중심에 대하여 반대쪽의 위치에 발생하기 쉬운데 스코어선 절단을 막기 위하여서는 두 번째의 버클링도 구멍 편선단의 반대쪽에서 발생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세 번째와 네 번째는 첫 번째, 두 번째가 버클링한 위치와 캔 뚜껑 중심에 대하여 반대쪽의 위치에 발생하는 데, 구멍 편 부근 특히 선단 부근에서의 버클링을 절대로 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버클링의 순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뚜껑의 중심과 구멍편 선단을 지나는 직선(이하 Y 축이라함)과 중심에서 Y축에 직교하는 직선(이하 X축이라 함)으로 4등분하고, 구멍 편 선단 쪽을 6시의 방향, 반대쪽을 12시의 방향이라고 시계로 가정하고 생각하였을 경우, 12시와 3시의 사이를 제1상안으로 하고, 9시와 12시의 사이를 제2상안, 6시와 9시의 사이를 제3상안, 3시와 6시의 사이를 제4상안으로 하면, 첫 번째의 버클링을 제1상안이나 제2상안에서 발생시키고, 두 번째를 남은 제1상안이나 제2상안에서 발생시키는 것이다.
두 번째의 버클링에 의하여 뚜껑은 크게 변형하고, 밖으로 부풀어 오르므로 세 번째 이후의 버클링에 의한 변형 량은 작아진다. 따라서 세 번째, 네 번째의 버클링은 제3상안이나 제4상안에서 발생시키는
것인데, 변형 량이 작더라도 구멍 편 부근 특히 선단 부근에서 버클링이 발생하면, 스코어선의 절단이 발생한다. 그리고 기본적 버클링은 네 번 이상을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상안, 또는 제2상안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의 버클링을 발생하고, 제3상안과 제4상안의 구멍 편 선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세 번째와 네 번째의 버클링을 발생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이다.
그를 위해서는 뚜껑의 제1상안과 제2상안에 제3상안과 제4상안보다 좌굴성이 큰 좌굴부를 설치하면 좋은 것이지만, 실제로 좌굴부를 설치하여 본 바, 좌굴부의 설치위치에 중대한 문제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첫 번째와 두 번째의 버클링을 발생시키는 좌굴부는 제1상안 및 제2상안의 Y축으로부터 25도~65도의 부채형상 부분이고, 더구나 둘레 가장자리 홈 외벽의 상판과 대략 같은 높이의 위치로부터 상판의 중심을 향해서 약 12㎜의 띠 형상의 동심원고리 부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 좌굴부를 설치하면, 두 번째의 버클링이 제3상안 내지 제4상안에 발생할 위험이 작아진다.
또, 제3, 제4상안에도 좌굴부를 설치하면, 세 번째, 네 번째의 버클링의 위치가 제어되므로 스코어 절단방지 효과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설치하는 좌굴부는 좌굴성이 제1상안과 제2상안에 설치한 좌굴부보다 좌굴성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으면 첫 번째와 두 번째의 버클링이 제3상안과 제4상안에 발생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제3상안과 제4상안에 설치하는 좌굴부의 위치도 마찬가지로 각 Y축으로부터 25~65도의 부채형상부분으로서 더구나 둘레 가장자리 홈 외벽의 상판과 대략 같은 높이의 위치로부터 상판의 중심을 향하여 약 12㎜의 띠형상의 동심원 고리부분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 밖에 있으면, 세 번째, 네 번째의 버클링에 의하여 구멍 편의 스코어가 절단하기 쉽다.
좌굴부로서는 상기의 위치의 상판에 코이닝 또는 스코어링에 의하여 설치한 홈부가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이 홈부는 좌굴성이 크고 이 부분에서 버클링이 발생한다.
또, 상기의 홈 대신에 엠보싱에 의한 오목개소를 설치하여도 좋다. 버클링은 엠보싱에 의한 변형의 오목개소 주변을 기점으로 하여서 발생한다. 엠보싱 오목개소의 경우는 버클링은 오목한 변형이 큰 곳 예컨대 반월형 오목개소의 양단의 첨단부에 발생하므로, 첨단부가 상기의 뚜껑에 위치에 있으며 이곳부터 버클링 한다.
이 외에 상판에 형성한 오목개소인 딤플도 좌굴성이 크고 효과가 있다. 버클링은 딤플의 정상은 아니고 둘레 가장자리에서 발생한다.
상판에 형성한 비드도 유효한 좌굴부를 형성한다. 비드의 경우는 비드의 선단이 좌굴부가 되고 여기서 버클링이 발생한다.
따라서 비드의 선단의 위치가 뚜껑의 상기의 범위에 있을 필요가 있으나 이 요건을 충족하면 비드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직선형상이라도 원호형상이라도 좋다.
또, 비드의 선단이 둘레 가장자리 홈 부근의 소정의 위치에 있으면 비드는 직선형상이라도 뚜껑의 중심을 향해서 볼록 형상이라도 좋다.
또 엠보싱에 의한 오목개소와 비드의 경우는 제1상안과 제2상안, 제3상안과 제4상안에 걸쳐서 형성할 수도 있다.
비드의 경우는, 제1 상안과 제4상안에 걸친 비드와, 제2상안과 제3상안에 걸친 비드를 설치하여도 좋다.
비드는 연속한 비드가 아니고, 각 상안으로 나누어서 설치하여도 좋고, 비드의 일단이 둘레 가장자리 홈외벽의 상판과 대략 같은 높이의 위치로부터 상판의 중심을 향하여 12㎜의 폭의 둘레 가장자리 홈을 따른 동심원 고리형상부분의 구멍 편 선단과 상판의 중심을 잇는 선으로부터 상판의 중심에서 25도~65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다른 끝단은 이 범위의 밖 예컨대 상판의 중심 쪽에 있어서도 좋다.
이러한 비드는 제3 및 제4 상안에도 설치하면 버클링의 위치의 제어에 유효하다.
이 밖에, 둘레 가장자리 홈의 내벽을 상판 중심쪽을 향하여 경사시켜서 변형한 변형 내벽도 좌굴부로서 유효하고, 변형 부분은 구조적인 불연속와 잔류응력에 의하여 좌굴성이 커지고 여기서 버클링이 발생한다.
좌굴부는 복수종류의 좌굴부를 병용한 복함 좌굴부도 사용된다.
예컨대 코이닝과 스코어링을 병용하거나, 딤플과 스코어링을 병용하거나 할 수 있다. 특히 변형벽은 다른 좌굴부와의 병용이 용이하다.
또 좌굴부의 가공은 뚜껑의 내외면 어디로부터의 가공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좌굴부를 4개소에 설치하여 차례로 버클링시키는 것인데, 실제로 실시한바 첫 번째나 두 번째의 버클링이 제3 상안, 제4상안 다시 말해 구멍 편쪽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볼 수 있었다. 그래서 제1상안, 제2상안의 좌굴부의 좌굴성을 제3상안, 제4상안의 좌굴부보다 크게 하여서 버클링의 발생위치를 제어하여 보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단을 사용하여도 실제로는 큰 좌굴성의 차가 생기는 것 같은 좌굴부의 형성은 캔의 취급이나 보전을 곤란하게 하기 때문에 어렵고 제3상안과 제4상안에 있어서의 첫 번째, 두 번째의 버클링의 발생을 0으로 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제1 상안, 제2 상안과 제3 상안, 제4 상안의 좌굴성에 명료하고도 유효한 차를 주기위하여, 제1 상안과 제2 상안의 좌굴부와 그 근방을 제외하고, 상판과 둘레 가장자리 홈의 연결부와 그 근방에 전체둘레에 걸쳐서 보강부를 설치한 것이다.
보강부는 제3 상안과 제4 상안의 좌굴부에도 설치되므로, 제1 상안, 제2 상안의 좌굴부에 비하여 좌굴성은 현저하게 작아진다.
그리고 제1 상안과 제2 상안의 좌굴부는 그 근방의 보강부와의 사이의 내압 강도에 현저한 차가 생겨 버클링하기 쉬워진다.
보강부는 제3 상안과 제4 상안에서는 좌굴부와 겹쳐서 설치하여도 좋고, 겹치지 않도록 틈새를 벌려서 설치하여도 좋다.
제3 상안과 제4 상안의 좌굴부와 그 근방은 보강부에 의하여 보강되는데, 보강되었다고는 해도 이 좌굴부와 그 부근의 보강부의 사이에는 내압강도에 명확한 차가 있으므로 버클링은 반드시 좌굴부에서 발생한다. 보강부와 좌굴부가 겹쳐져 있더라도, 좌굴부와 그 근방의 보강부와는 좌굴부의 효과에 의하여 강도에 큰 차가 있으므로 반드시 좌굴부에서 버클링한다.
이와 같이 버클링의 위치를 좌굴부와 보강부를 조합함으로써 완전히 제어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의하면 캔의 취급이나 보존에 악영향을 주는 무리한 좌굴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실용상의 효과가 매우 크다.
보강부로서는, 구멍 편 반대쪽의 좌굴부와 그 근방을 제외하고는 상판과 둘레 가장자리 홈의 연결부 또는 그 근방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코이닝 가공에 의하여 형성한 패널 코이닝이 알 맞는다.
또, 상판과 둘레 가장자리 홈의 연결부의 곡률 반경을 작게 하는 것도 보강효과가 크고 곡율반경을 작게 한 보강부를 설치하는 것도 유효하다.
또한, 둘레 가장자리 홈의 깊이를 크게 하는 것도 보강효과가 있다. 제1 상안과 제2 상안의 좌굴부와 그 근방을 제외하고 둘레 가장자리 홈의 깊이를 크게 하는 것이다. 이 보강부는 엄밀하게 말하면 상판과 둘레 가장자리 홈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도 볼 수 있으나, 둘레 가장자리 홈을 따라서 홈의 근방에 설치된 좌굴부에 대하여 마찬가지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보강부에 포함된다.
보강부는, 좌굴부를 형성한 뒤에 후가공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또 미리 보강부를 형성하고 나서 좌굴부를 뒤에 형성하여도 좋다.
기존의 캔 뚜껑은 구멍 부분을 형성하는 구멍 편이 일반적으로 캔 뚜껑 상판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많고, 구멍 편이 흩어져 없어지고, 이 구멍 편의 단부는 비교적 예리하므로, 손 발 등에 손상을 주거나, 분리한 구멍 편을 새나 물고기가 먹고 죽는 사고를 문제 방지하고 용이하게 따지는 효과가 생겼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캔 뚜껑의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캔 뚜껑의 좌굴부와 보강부의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캔 뚜껑의 좌굴부와 보강부의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캔 뚜껑을 사용한 캔의 버클링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캔 뚜껑의 좌굴부와 보강부의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캔 뚜껑의 좌굴부와 보강부의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캔 뚜껑의 좌굴부와 보강부의 표면 쪽으로부터의 패널코이닝의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캔 뚜껑의 좌굴부와 보강부의 이면 쪽으로부터의 패널코이닝의 설명도.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캔 뚜껑의 설명도이다. 제1도에서 1은 뚜껑의 상판이고, 2는 둘레 가장자리 홈이다.
3은 탭로서 리벳(4)에 의하여 상판에 결합되어 있다. 5는 스코어이고, 6은 스코어에 둘러싸인 구멍 편이다. 탭 선단에 의하여 밀어 내려지면 스코어가 절단하고, 구멍 편이 아래편으로 밀려 내려가서 입을 대고 마시는 구멍이 형성된다. 25는 구멍 편 선단과 뚜껑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으로 Y축이라 한다. 26은 뚜껑
의중심에서 Y축과 직교하는 직선으로 X축이라 한다. X축과 Y축은 설명상 그은 선으로 뚜껑에 있는 구조는 아니다.
X축과 Y축에 의하여 구획된 제1상안(8)의 둘레 가장자리 홈근방에 코이닝에 의하여 형성한 좌굴부(7)가설치되어 있다. 좌굴부(7)는 Y축으로부터 45도의 위치에 있다. 그리고 제2상안(9)과 제3상안(10)과 제4상안(11)에도 좌굴부(7)는 설치되어 있다.
27은 보강부로서 이 실시 예에서는 상판과 둘레 가장자리 홈의 연결부 부근에 설치한 패널코이닝이고, 좌굴부에 겹쳐져 있으나, 겹치지 않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보강부는 제1상안(8)과 제2상안(9)의 좌굴부(7)와 그 근방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나, 제3상안과 제4상안의 좌굴부(7)에는 보강부가 설치되어 있다.
첫 번째의 버클링은 보강부가 없는 좌굴부를 설치한, 제1또는 제2상안에 발생한다.
버클링에 의한 변형량이 많은 첫 번째의 버클링을 구멍 편의 반대쪽의 제1 또는 제2상안에서 발생시키므로 구멍 스코어(5)의 절단의 위험은 적다.
패널코이닝부는, 보강되므로 강도가 크다. 따라서 제1상안과 제2상안에서는 좌굴부와 패널코이닝과의 강도차가 크므로 첫 번째 외 두 번째의 버클링은 이 상안의 좌굴부에서 발생한다.
한편, 제3상안과 제4상안에서 좌굴부(7)는 패널코이닝이 설치되어 보강되어 있으므로, 제1상안과 제2상안의 좌굴부보다 강도도 크다. 따라서 첫 번째, 두 번째의 버클링은 여기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데, 패널 코이닝으로 보강되더라도 좌굴부와 그 근방의 패널 코이닝 보강부의 사이에는 명확한 강도차가 있으므로 세 번째, 네 번째의 버클링은 제3상안과 제4상안의 좌굴부에서 발생한다.
좌굴부는 원점에서 Y축으로부터 25도~60도의 범위내의 상판과 둘레 가장자리 홈의 연결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멍 편의 선단부에서의 버클링은 방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서 변형량이 최대인 첫 번째의 버클링과 변형량이 두 번째로 큰 두 번째의 버클링을 구멍편의 반대쪽의 상안에서 정확하게 발생시키고 구멍 편쪽의 세 번째 이후의 버클링도 구멍 편의 근방 이외에서 발생시키므로 스코어(5)의 절단의 위험은 매우 적어진다.
제1도에서 좌굴부는, Y축 또는 X축으로부터 45도의 위치에 있다. 25도~65도의 범위에 없으면 버클링 하였을 때의 형상이 스코어 절단을 방지하는 효과를 열화시키고, 또 다음의 버클링의 위치를 소장의 위치로부터 이동할 위험이 있다.
좌굴부는 코이닝 홈 대신에 스코어 홈 혹은 상판을 아래로부터 밀어올린 볼록부 딤플을 설치하여도 좋다.
제2도는 좌굴부인 2개의 비드를 제1상안과 제4상안, 제2상안과 제3상안에 각각 걸치게 하여서 설치한 뚜껑이다. 비드는 둘레 가장자리 홈을 따라 걸치게 하여서 설치한 뚜껑이다. 비드는 둘레 가장자리 홈을 따라 그 선단은 4개의 상안 모두에 설치되어 있고, 비드 자체는 내압강도는 대가 되는데 비드부와 보통부의 경계에서는 금속판은 비드 쪽으로 잡아당겨지기 때문에 비드의 선단(18),(19)에서 금속판에 소위 오그라드는 형상이 발생하고 상판의 원주 방향의 밸런스가 무너져 있으며, 이 점이 좌굴부가 된다. 그리고 각각 Y축으로부터 45도이며 둘레 가장자리 홈의 가까이에 설치되어 있다. 27은 보강부로서 이 실시 예 패널코이닝이고, 제3상안과 제4상안의 보강부는 좌굴부와 겹쳐져 있지 않는 예이다. 첫 번째와 두 번째의 버클링은, 제1, 제2 상안에 발생하고 이어서 세 번째와 4번째가 제3, 제4 상안에 발생한다. 또, 비드 선단(19)을 비드선단(18)의 깊이보다도 얕게 하고, 좌굴부의 좌굴성에 차를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도는 비드가 둘레 가장자리 홈을 따르고 있지 않는 예이다.
이 경우도 비드선단은, 각각 Y축으로부터 45도이며 둘레 가장자리 홈의 가까이에 설치되어 있다. 27은 보강부로서 이 실시 예, 패널코이닝이다. 첫 번째와 두 번째의 버클링은 제1, 2 상안에 발생하고 이어서 세 번째와 네 번째가 제3, 제4 상안에 발생한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뚜껑을 설치한 캔의 버클링한 상태를 나타내며 캔은 돔형상으로 솟아올라 있다.
버클링은 좌굴부(7)에서 발생하고, 주위의 상판(1)을 위편으로 들어올린다. 이 예에서는 버클링은 네 번 발생하였다. 제1, 제2 상안의 소정의 위치에서 첫 번째, 두 번째가 발생하고, 변형량이 적은 세 번째와 네 번째가 제3. 제4 상안의 소정의 위치에서 발생하고, 뚜껑은 크게 바깥으로 솟아오르고 있다. 그런데 버클링의 위치와 순서를 제어하고 있으므로 스코어(5)는 절단되지 않았다.
제5도는 비드가 깊은 끝단부가 둘레 가장자리 홈 부근의 소정의 위치에 있고, 다른 끝단의 뚜껑의 중심을 향하고 있는 원호형상의 비드이고 뚜껑의 모든 부채 형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예이다. 27은 보강부로서 이실 시예에서는 패널 코이닝이고, 제3상안과 제4상안에서는 좌굴부에 겹쳐져 있지 않다.
제6도는 직선형상의 비드로 한 예이다. 이들 뚜껑에서는 제1, 제2상안의 이어서 제3, 제4상안에서 버클링 한다.
제7도는, 뚜껑 전체의 내압성을 크게 하기 위한 둘레 가장자리 홈과 상판의 연결부에 설치한 보강부인 코이닝에 의한 패널 코이닝(27)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코이닝은 상면에서 행하여지고 있다. 패널코이닝(27)은 제1상안과 제2상안의 좌굴부 근방을 제외하고 모든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다.
패널 코이닝의 내압보강효과는 크다.
제3상안과 제4상안의 좌굴부에는 패널코이닝이 설치되어 있으나, 좌굴부의 효과가 있으므로 코이닝보강부가 있더라도 그 근방의 보강부와 명확한 강도차가 있으므로 버클링은 반드시 좌굴부에서 발생한다.
제8도의 에는 상판과 둘레 가장자리 홈의 연결부를 아래편으로부터 코이닝 처리하여서 패널코이닝(27)을 형성한 예이다. 패널코이닝의 설치는 제7도와 마찬가지이다.
제9도는 보강부를 둘레 가장자리 홈과 상판의 연결부의 곡률반경을 작게 하여서 형성한 예이다. 실선의 보강부는 점선의 구멍 편 반대쪽의 좌굴부 근방의 연결부보다 곡률반경이 작다.
제10도는 보강부를 둘레 가장자리 홈의 깊이를 깊게 하여서 형성한 예이다. 실선의 둘레 가장자리 홈은, 구멍 편 반대쪽의 좌굴부 근방의 점선의 홈보다 깊다.
1 : 상판 2 : 둘레 가장자리 홈
3 : 탭 4 : 리벳
5 : 구멍 스코어 6 : 구멍 편
7 : 좌굴부 8 : 제 1 상안(象眼)
9 : 제 2 상안 10 : 제 3 상안
11 : 제 4 상안 17 : 비드
18,19 : 비드선단 25 : Y 축
26 : X 축 27 : 보강부(연결부에 설치한 패널코이닝)

Claims (10)

  1. 보통의 캔 뚜껑에 있어서, 상관(1)과 상판(1) 둘레 가장자리부에 설치한 둘레 가장자리 홈(2)을 가지는 캔 뚜껑이며, 상판의 대략중앙부에 리벳(4)에 의하여 연결한 탭(3)과, 시점과 종점을 리벳 곁에서 또한 힌지가 되는 간격을 두고서 설치한 스코어(5)와, 스코어에 둘러싸인 구멍 편(6)으로 이루어지는 눌러 따는 캔 뚜껑으로서, 이 캔 뚜껑을 구멍편 선단과 상판의 중심을 잇는 선(25)과 이 선에 대하여 상판의 중심을 지나서 직교하는 직선(26)으로 부채형상의 4부분으로 구분하였을 때 모든 부채형상의 부분의 모두에 상기의 구멍 편 선단과 상판의 중심을 잇는 선(25)으로부터 상판의 중심에서도~65도의 범위 내에서 둘레 가장자리 홈(2)의 근방에 좌굴부(7)를 설치하고 상판(1)과 둘레 가장자리 홈(2)의 연결부 또는, 그 부근에 구멍 편(6)과 반대쪽의 좌굴부(7)와 그 근방을 제외하고 좌굴성보다 보강성이 작은 보강부를 설치하여 구멍 편(6)쪽의 좌굴부(7)와 구멍 편(6)과 반대쪽의 좌굴부(7)의 사이에 강도차를 설치한 눌러 따는 캔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구멍 편(6)의 반대쪽에 있는 2개의 부채형상의 부분에 설치한 좌굴부(7)보다, 좌굴성이 작은 좌굴부(7)를 구멍 편(6)쪽의 2개의 부채형상의 부분에 설치한 눌러 따는 캔 뚜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좌굴부(7)가 코이닝 또는 스코어링에 의하여 상판에 형성된 가공 쪽에서 본 오목형상부인 눌러 따는 캔 뚜껑.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좌굴부(7)가 엠모싱에 의하여 상판(1)에 형성된 가공쪽에서 본 오목형상부인 눌러 따는 캔 뚜껑.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좌굴부(7)가 상판(1)을 밀어 올려서 상판(1)에 형성한 딤플인 눌러 따는 캔 뚜껑.
  6.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좌굴부(7)가 둘레 가장자리 홈(2) 내벽을 상판(1)의 중심 쪽으로 변형시킨 변형내벽부인 눌러 따는 캔 뚜껑.
  7. 제1항에 있어서, 좌굴부(7)가 비딩에 의하여 상판(1)에 형성한 비드의 선단(18,19)인 눌러 따는 캔 뚜껑.
  8. 제7항에 있어서 , 좌굴부(7)가 직선형상 또는 원호형상의 비드의 선단(18,19)인 눌러 따는 캔 뚜껑.
  9. 제7항에 있어서, 좌굴부(7)가 상판(1)의 둘레 가장자리 홈(2) 근방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원호형상 비드의 선단(18,19)인 눌러 따는 캔 뚜껑.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좌굴부(7)가 구멍 편(6)과 반대쪽에 있는 2개의 부채형상부분의 각각과 구멍 편(6)쪽에 있는 2개의 부채형상부분의 각각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비드의 선단(18,19)인 눌러 따는 캔 뚜껑.
KR1020120003708A 2012-01-12 2012-01-12 눌러 따는 캔 뚜껑 KR20130083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708A KR20130083140A (ko) 2012-01-12 2012-01-12 눌러 따는 캔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708A KR20130083140A (ko) 2012-01-12 2012-01-12 눌러 따는 캔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140A true KR20130083140A (ko) 2013-07-22

Family

ID=4899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708A KR20130083140A (ko) 2012-01-12 2012-01-12 눌러 따는 캔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31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0560B2 (ja) 容易開口罐蓋
US6024239A (en) End closure with improved openability
US8336728B2 (en) Ventable resealing can end closure
EP2195247B1 (en) Can end with countersink
RU2635197C2 (ru) Торцевая крышка емкости со средствами контроля деформации
CA2872448C (en) Metallic end closure with tear panel having improved rigidity
EP2253552A1 (en) Can end
US9901972B2 (en) End closure with large opening ring pull tab
US20110297679A1 (en) Can End Produced From Downgauged Blank
SG195407A1 (en) Beverage can and can end for same
US9376233B2 (en) Easy open closure with improved pressure performance
US10150588B2 (en) Panel for a container, a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container and a method for making same
JP2799795B2 (ja) 容易開口罐蓋
KR20130083140A (ko) 눌러 따는 캔 뚜껑
KR0163979B1 (ko) 용이하게 따지는 캔 뚜껑
JP5246858B2 (ja) 開口容易缶蓋
EP0663346B1 (en) Easily openable can lid
CN115667082A (zh) 罐盖用拉环以及罐盖
JP2014019479A (ja) 缶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