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830A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integrated identification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integrated identif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830A
KR20130082830A KR1020110138319A KR20110138319A KR20130082830A KR 20130082830 A KR20130082830 A KR 20130082830A KR 1020110138319 A KR1020110138319 A KR 1020110138319A KR 20110138319 A KR20110138319 A KR 20110138319A KR 20130082830 A KR20130082830 A KR 20130082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terminal
data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3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8247B1 (en
Inventor
김현숙
변성완
정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3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247B1/en
Publication of KR20130082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8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2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URPOSE: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tore recommended content in a user terminal in advance and to generate user history information. CONSTITUTION: A system requests a user terminal service through a reference terminal when a user who uses a plurality of terminals contacts to the system (S110). The system provides content according to a user request and selects the recommended content based on a user history by collecting the user history (S120). The system stores content data which is suitable for playback time set by the terminal (S150) by confirming the connected terminal of the user (S140). When the content is requested through the reference terminal (S160), content which is generated after the provided data is transmitted (S170).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110) Request a user terminal service through a reference terminal; (S120) Provide contents/Collect the user history; (S130) Select recommended contents; (S140) Check a connecting condition of each terminal; (S150) Provide content data for the predetermined playback time in the terminal; (S160) Request the content to provide through the reference terminal; (S170) Provide the content data after the provided data is transmitted

Description

통합 아이디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INTEGRATED IDENTIFICATION}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integrated I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INTEGRATED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통합 아이디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합 아이디를 이용하여 생성한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using an integrated 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usage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using an integrated ID.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단말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휴대용 단말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하나의 사용자가 다수의 단말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types of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n particular, as the types of portable terminals are diversified, it is common for one user to use a plurality of terminals.

따라서, 사용자는 때와 장소에 따라 단말의 종류를 달리하여 콘텐츠를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Accordingly, users are increasingly using content by different types of terminals according to time and place.

종래의 기술 중 한국공개특허 제2011-0022837호는 사용자의 사용 이력에 따라서 사용자가 선호할 것 같은 추천 콘텐츠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단말기가 통신 연결이 가능한 상태일 때 제공하여 다운로드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9-0058402호는 다수의 디바이스 아이디(Device ID)와, 유저 배치(User Configuration) 정보, 그리고 유저 플레이 이력(User Play History) 정보 등을, 하나의 동일한 유저 아이디(User ID)를 기준으로 연계 저장하여, 콘텐츠 리스트(Content List)로 통합 관리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022837 of the prior art manages recommended content information that a user may prefer according to a user's usage history, and discloses a configuration that provides and downloads it when the terminal is in a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58402 discloses a plurality of device IDs, user configuration information, user play history information, and the like. ), A configuration is disclosed in which the integrated storage is managed in a Content Lis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력 정보는 하나의 단말에 대하여만 수집되므로 다수의 단말을 이용하는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이력 정보가 생성될 수 없다.However,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since the user's history information is collected only for one terminal, the history information for one user using multiple terminals cannot be generated.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경우, 고화질의 콘텐츠일수록 그리고 단말의 통신 방식에 따라 콘텐츠의 다운로드 속도가 느려 콘텐츠의 재생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receives and plays content using his or her terminal, the higher quality content and a slower download speed of the content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terminal may cause a problem that content is not played smooth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사용자의 통합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단말을 통해 이용된 콘텐츠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추천 콘텐츠의 일부를 사용자의 단말에 미리 저장하여, 사용자가 콘텐츠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use history information on content used through one or more terminals of a user using an integrated ID of one user, and uses a portion of the recommended content selected based on the generated use history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that can be stored in advance in the terminal of the user, the user can use the content smoothly.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사용자의 통합 아이디(identification)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 아이디의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한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 아이디에 대응하는 추천 콘텐츠를 선택하는 콘텐츠 추천부 및 상기 선택된 추천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 중 미리 정해진 크기의 데이터를 상기 통합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통합 아이디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the usage history information of the integrated ID based on the content usage history of one or more user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tegrated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A usage history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 content recommendation unit selecting a recommend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ed ID based on the generated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data of a predetermined size among the content data of the selected recommend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ed I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an integrated ID including a content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 상기 통합 아이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통신 방식을 확인하는 단말 연결 상태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는 각각 상기 미리 정해진 크기의 데이터가 전송될 사용자 단말의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a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terminal connection status check unit for confirming a communication scheme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nified ID, wherein the size of data transmitted to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is each of the predetermined siz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scheme of the user terminal to which the data of.

또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 생성부는 상기 통합 아이디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요청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사용 이력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콘텐츠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history information generation unit collects the content usage history of one or more user terminals requesting content based on the integrated ID, and the user history information based on the collected content usage history. Can be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추천 콘텐츠의 제공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콘텐츠 전송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 중 상기 미리 정해진 크기의 데이터 이외의 나머지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수신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 중 상기 미리 정해진 크기의 데이터 및 상기 나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콘텐츠를 모두 재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quest for providing the recommended content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of the one or more user terminals, the content transmission unit is other data other than the data of the predetermined size among the content data. And to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can play all of the recommended content based on the data of the predetermined size and the remaining data of the received content data.

또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 상기 콘텐츠 추천부는 제공 가능한 콘텐츠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may calculate a score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for the content that can be provided, and select the recommended content based on the calculated score.

또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 상기 통합 아이디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이 상기 통합 아이디에 대응하여 대표 단말로 미리 설정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표 단말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표 단말로 미리 설정된 단말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요청에 대하여만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representative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the content on the basis of the integrated ID is a terminal preset as a representativ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ed ID, the representative terminal The requested content may be provided only for a content request received from a preset terminal.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의 제공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콘텐츠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합 아이디에 대응하는 콘텐츠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 아이디에 대한 추천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콘텐츠의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부분의 데이터를 상기 통합 아이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은 상기 수신한 미리 설정된 부분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콘텐츠의 미리 설정된 부분을 재생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서버가 통합 아이디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quest for provision of content from a user terminal, and provide the reques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o the integrated ID of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corresponding content usage history information, selecting recommended content for the integrated ID based on the content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one of dat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data of the recommend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ed ID; And transmitting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wherein the at least one terminal plays the preset part of the recommended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preset part data. It can provide a way to.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하나의 통합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단말에 의해 이용된 콘텐츠의 사용 이력을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추천한 후, 추천된 콘텐츠의 일부를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모든 단말에 미리 저장하여, 이후 사용자가 추천된 콘텐츠를 제공받는 경우 미리 저장한 부분을 이용하여 장애없이 원활하게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ingle integrated ID to collect the usage history of the content used by one or more terminals of the user, and recommending the content based on the collected usage history, the recommended A part of the content may be stored in advance in one or more terminals of the user, and when the user is provided with the recommended content, the content may be smoothly provided without any obstacle by using the pre-stored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아이디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아이디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이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재생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an integrated 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an integrated 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ownloading and playing content by a user termina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아이디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an integrated 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10)는 다수의 단말(100-1 내지 100-3)을 이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통합 아이디(identification, ID)를 이용하여 다수의 단말을 관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1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자신의 하나의 통합 아이디를 등록하고, 등록한 통합 아이디에 자신의 다수의 단말(100-1 내지 100-3)을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10 may use a plurality of terminals 100-1 to 100-3, and manage a plurality of terminals by using one integrated ID. . That is, the user 10 may register his or her one integrated I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nd register and use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0-1 through 100-3 in the registered integrated ID.

따라서, 사용자가 다수의 단말(100-1 내지 100-3) 중 하나의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 자신의 통합 아이디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에 로그인하여 접속할 수 있으며, 다수의 단말(100-1 내지 100-3) 중 하나의 단말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받는 경우, 콘텐츠의 사용 이력은 통합 아이디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refore, when a user uses one of the terminals 100-1 to 100-3, the user can log in and acces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using his or her integrated ID,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0-1 to 100. When the content is provided through one of -3), the usage history of the content may be matched with the integrated ID and stored.

또한,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3)은 대표 단말로 등록된 단말을 통해 통합 아이디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하고 콘텐츠 제공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3)은 대표 단말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s 100-1 to 100-3 may log i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using the integrated ID through the terminal registered as the representative terminal and request a content providing.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s 100-1 to 100-3 may be provided with content through the representative terminal.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2)이 통합 아이디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하고 콘텐츠를 제공받는 경우, 통합 아이디를 기준으로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한다.When the user terminals 100-1 to 100-2 log in using the integrated ID and receive the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generates usage history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grated ID.

즉, 제 1 사용자 단말(100-1)이 통합 아이디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한 후 콘텐츠 A를 이용하고, 다시 제 2 사용자 단말(100-2)이 통합 아이디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한 후 콘텐츠 B를 이용한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통합 아이디만을 기준으로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결과적으로 통합 아이디의 사용자는 콘텐츠 A 및 콘텐츠 B를 이용한 것으로 사용 이력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That is, after the first user terminal 100-1 logs in using the integrated ID and uses the content A, the second user terminal 100-2 logs in using the integrated ID and then the contents. In the case of using B,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generates usage history information based only on the integrated ID, and as a result, the user of the integrated ID uses the content A and the content B so that the usage history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통합 아이디에 대하여 생성한 사용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아이디의 사용자에게 추천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아이디를 통해서 시리즈물의 콘텐츠가 계속 제공된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해당 시리즈물의 콘텐츠를 사용자가 계속 이용할 것을 예측하고, 해당 시리즈물의 콘텐츠 중 사용자가 이용하지 않은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select content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of the integrated ID by using the usage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for the integrated ID. For example, if the content of the series is continuously provided through the unified I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predicts that the user will continue to use the content of the series, and recommends the content not used by the user among the contents of the series. Can be.

또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선호 장르, 선호 배우 등을 분석하여 콘텐츠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점수를 기준으로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analyze the usage history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score for the content by analyzing the user's preferred genre, the preferred actor, and the like, and recommend the content based on the calculated score.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된 콘텐츠 중 일부를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3)로 미리 제공한다. 즉,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추천된 콘텐츠의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3)에 적합한 재생 데이터, 즉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3)의 별도의 요청이 없이도 미리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3)에 제공한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previously provides some of the recommended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s 100-1 to 100-3 based on the user history information. That i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provide the playback data suitable for the user terminals 100-1 to 100-3 of the recommended content, that is, the content data without a separat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s 100-1 to 100-3. It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s 100-1 to 100-3 in advance.

이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콘텐츠 데이터 전부를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3)에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 데이터의 미리 설정된 부분을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3)에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does not provide all of the content data to the user terminals 100-1 to 100-3 but instead provides a preset portion of the content data to the user terminals 100-1 to 100-3. can do.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200)가 고화질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1)에 처음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하는 경우, 영상 재생 중 스트리밍되지 않은 부분의 경우 영상의 재생이 멈출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콘텐츠 제공에 불편을 느낄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provides a high quality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00-1 as a streaming service from the beginning, in the case of the non-streamed portion of the video playback, the playback of the video may stop. Therefore, the user may feel inconvenient in providing the content.

따라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제공을 요청할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의 데이터 중 일부 데이터, 예를 들어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처음 약 10분의 재생 시간만큼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3) 각각에 미리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transmit some data among the data of the content that is highly likely to be requested by the user, for exampl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10 minutes of playing time based on the playing time. 100-3) can be transmitted to each in advance.

이로 인해,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3)은 사용자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미리 수신하여 저장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을 시작하고 동시에 콘텐츠의 나머지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재생의 멈춤없이 원활하게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terminal 100-1 to 100-3 requests a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user, the user terminals 100-1 to 100-3 start providing the content using data previously received and stor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nd simultaneously The remaining data can be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to smoothly provide content to the user without stopping playback.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3)이 콘텐츠 제공 서버(200)와 접속한 통신 방식에 따라 미리 제공할 콘텐츠 데이터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3)이 유선 네트워크 또는 Wi-Fi를 통해 접속하는 경우에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양은 3G/4G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에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양보다 많을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determine the amount of content data to be provided in advanc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connec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by the user terminals 100-1 to 100-3. For example, the amount of content data provided when the user terminals 100-1 to 100-3 are connected via a wired network or Wi-Fi is determined by the content data provided when the user terminals 100-1 to 100-3 are connected via 3G / 4G data communication. It can be more than a quantit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아이디 관리부(210),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 콘텐츠 추천부(230), 단말 연결 상태 확인부(240), 콘텐츠 전송부(250), 대표 단말 인증부(260), 콘텐츠 요청 수신부(270), 사용자 아이디 데이터베이스(282), 사용 이력 데이터베이스(284) 및 단말 데이터베이스(286)를 포함한다.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ID management unit 210, usage history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20, content recommendation unit 230, terminal connection status check unit 240, content transmission unit 250, a representative terminal authenticator 260, a content request receiver 270, a user ID database 282, a usage history database 284, and a terminal database 286.

사용자 아이디 관리부(210)는 사용자 별로 통합 아이디를 등록하고, 사용자 별로 등록된 통합 아이디에 대하여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단말을 등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콘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각각의 단말마다 설정된 아이디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하고 콘텐츠를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설정된 통합 아이디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하고,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원하는 단말에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The user ID manager 210 registers an integrated ID for each user and registers one or more terminals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integrated ID registered for each user. Therefore, when a user requests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by using any one of one or more terminals, the user does not log in using the ID set for each terminal and requests the content, rather than one or more terminals. The user may log in using an integrated ID that is set in common with each other and request to download a content to a desired terminal.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는 각각의 단말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콘텐츠의 정보를 각각의 단말에 등록된 사용자의 통합 아이디를 기준으로 수집하고, 수집한 콘텐츠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통합 아이디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한다.The usage history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20 collects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used by the user in each terminal based on the integrated ID of the user registered in each terminal, and uses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of the user. Generate usage history information for.

따라서,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는 사용자의 단말 각각에 대하여 콘텐츠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 아이디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에 의해 사용된 콘텐츠의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단말에 공통적으로 등록된 사용자의 통합 아이디에 대하여 콘텐츠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age history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20 does not generate content usag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terminal of the user, bu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content used by the terminal of the user who requested the content using the integrated ID, and thus the terminal of the user. Content usage history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for an integrated ID of a user registered in common with.

그러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 중 어떠한 단말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이용하든지 콘텐츠 사용 이력 정보는 사용자의 통합 아이디를 기준으로 수집되고, 수집된 콘텐츠 사용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콘텐츠 사용 이력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Therefore, regardless of which terminal the user uses the content of his or her terminal content usage history information is collected based on the user's integrated ID, the content usage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can be generated using the collected content usage history information have.

콘텐츠 추천부(230)는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220)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제공을 요청할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 또는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판단되는 콘텐츠를 선택한다.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230 analyzes the content usage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sage history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20 and selects content that the user is likely to request to provide or content that the user thinks to prefer.

예를 들어, 콘텐츠 추천부(230)는 사용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콘텐츠마다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점수에 기초하여 추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230 may calculate the score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for each of the contents expected to be used by the user by analyzing the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select the recommended content based on the calculated score.

점수의 산출은 해당 콘텐츠의 시청 여부, 콘텐츠가 시리즈물인 경우 시리즈의 연속 시청 여부 등을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리즈물의 연속 시청 횟수가 많을수록 높은 점수가 산정될 수 있다.The calculation of the score may be performed based on whether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viewed or whether the series is continuously viewed when the content is a series. For example, the higher the number of consecutive viewing of the series, the higher the score can be calculated.

단말 연결 상태 확인부(240)는 사용자의 통합 아이디에 대하여 등록된 하나 이상의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사용자 단말은 유선 통신, Wi-Fi, 3G/4G 이동 통신망 등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접속될 수 있으며, 단말 연결 상태 확인부(240)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이 어떠한 방식으로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terminal connection status checker 240 checks the network connection status of one or more terminals registered with respect to the integrated ID of the user. The user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through wired communication, Wi-Fi, 3G /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and the terminal connection state checking unit 240 may us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eg, the user terminal in some way).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connected to the network.

콘텐츠 전송부(250)는 콘텐츠 추천부(230)에 의해 추천된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 중 일부를 통합 아이디에 대하여 등록된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송한다. 콘텐츠 전송부(25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대한 사용자 단말의 접속 방식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콘텐츠 데이터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The content transmitter 250 transmits a part of the content data of the content recommended by the content recommender 230 to one or more terminals registered for the integrated ID. The content transmitter 250 may select the size of content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access method of the user terminal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콘텐츠 전송부(250)가 전송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크기는 사용자 단말이 3G/4G 이동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콘텐츠 전송부(250)가 전송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through a wired network, the size of the content data transmitted by the content transmitting unit 250 may be such that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content through the 3G /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connected to the 200, the content transmitter 250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ontent data transmitted.

이처럼 사용자 단말이 보다 안정적이거나 속도가 빠른 통신 방식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접속되는 경우, 콘텐츠 전송부(250)는 보다 많은 양의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through a more stable or faster communication method, the content transmitting unit 250 may transmit a larger amount of content data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또한, 콘텐츠 전송부(250)는 단말의 성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콘텐츠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의 크기가 큰 데스크탑, 노트북의 경우, 콘텐츠 전송부(250)는 보다 많은 양의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고, 스토리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스마트폰의 경우, 콘텐츠 전송부(250)는 보다 작은 양의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transmitter 250 may determine the size of content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termin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esktop or a laptop having a large storage size, the content transmitting unit 250 may transmit a larger amount of content data to a user terminal, and in case of a smartphone having a relatively small storage size, content transmission may be performed. The unit 250 may transmit a smaller amount of content data to the user terminal.

대표 단말 인증부(260)는 사용자가 대표 단말로 설정된 단말을 이용하여 통합 아이디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로그인 또는 콘텐츠 제공을 요청한 단말이 대표 단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representative terminal authenticator 26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requesting login or providing content corresponds to the representative terminal when the user authenticates the user with the integrated ID by using the terminal set as the representative terminal.

사용자는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휴대 단말 등을 대표 단말로 미리 등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대표 단말을 통해서만 통합 아이디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의 로그인이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may pre-register a mobile terminal mainly used as the representative terminal in advance, and in this case, the logi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using the integrated ID may be performed only through the representative terminal.

따라서, 대표 단말 인증부(260)는 통합 아이디를 이용한 로그인이 요청되는 경우 로그인을 요청한 단말이 통합 아이디에 대하여 대표 단말로 설정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login using the integrated ID is requested, the representative terminal authenticator 260 may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requesting the login is a terminal set as the representative terminal for the integrated ID.

또한, 대표 단말로 설정된 단말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로의 콘텐츠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 대표 단말 인증부(260)는 콘텐츠 제공을 요청한 단말이 대표 단말로 설정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questing content provision to another terminal using a terminal set as the representative terminal, the representative terminal authenticator 260 may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requesting the content provision is a terminal set as the representative terminal.

콘텐츠 요청 수신부(270)는 통합 아이디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한 단말로부터 콘텐츠 요청을 수신한다. 콘텐츠 요청 수신부(270)는 수신한 콘텐츠 요청을 콘텐츠 전송부(23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에 요청된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한다.The content request receiving unit 270 receives a content request from the terminal which has logged in using the integrated ID. The content request receiver 270 transmits the received content request to the content transmitter 230 to provide the reques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아이디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an integrated 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110)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는 콘텐츠 제공 요청과 함께 사용자의 통합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통합 아이디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가 콘텐츠를 제공받기에 적합한 자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11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es a content providing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receive the integrated ID of the user together with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and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who requested the content providing is eligible to receive the content using the received integrated ID.

또한, 통합 아이디를 이용한 로그인 및 콘텐츠 제공 요청이 통합 아이디에 대하여 대표 단말로 등록된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에만 로그인 및 콘텐츠 제공이 허용되도록 설정된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콘텐츠 제공을 요청한 단말이 콘텐츠 제공 요청과 함께 수신한 통합 아이디의 대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login and content providing request using the integrated ID is set to allow login and content providing only when the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registered as the representative terminal for the integrated I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quests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from the terminal requesting the content providing.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representative terminal of the integrated ID received together with.

단계(S120)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는 단계(S110)에서 요청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콘텐츠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통합 아이디의 사용 이력 정보에 사용 이력을 수집한다.In step S12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provides the content requested in step S110 to the user terminal, and collects the usage history on the usage history information of the integrated ID of the user terminal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

단계(S130)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는 통합 아이디에 대해 생성된 사용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아이디의 사용자에 대한 추천 콘텐츠를 선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서버는 사용자가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를 추천 콘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In step S13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selects the recommended content for the user of the integrated ID using the usage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for the integrated ID.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select content highly likely to be used by a user as recommended content.

단계(S140)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는 통합 아이디에 대하여 등록된 하나 이상의 단말의 콘텐츠 제공 서버에 대한 연결 상태 및 연결 방식을 확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 제공 서버에 대하여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 중에서도 Wi-Fi 또는 3G/4G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In step S14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checks the connection state and the connection metho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of the one or more terminals registered with respect to the integrated I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may acces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rough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and may access the Wi-Fi or 3G /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mong wireless networks.

따라서, 콘텐츠 제공 서버는 통합 아이디에 대하여 등록된 하나 이상의 단말이 유선 네트워크, Wi-Fi 또는 3G/4G 이동 통신망 등의 연결 방식 중 어떠한 연결 방식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check whether one or more terminals registered with respect to the integrated ID have access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using any one of a connection method such as a wired network, Wi-Fi, or 3G /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단계(S150)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는 통합 아이디에 대하여 등록된 하나 이상의 단말로 단계(S130)에서 선정된 추천 콘텐츠의 일부를 전송한다. 즉, 콘텐츠 제공 서버는 통합 아이디에 등록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단말로 추천 콘텐츠의 데이터의 일부분을 전송하여 단말에 미리 저장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단말은 미리 저장된 콘텐츠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일부를 재생할 수 있다.In step S15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s a part of the recommended content selected in step S130 to one or more terminals registered for the integrated ID. That i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transmit a part of data of the recommended content to one or more terminals of the user registered in the integrated ID and store the data in the terminal in advance. Can play.

콘텐츠 제공 서버는 단계(S140)에서 확인한 연결 방식을 기초로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될 콘텐츠의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determine the size of data of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s terminal based on the connection method identified in step S140.

단계(S160)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는 단계(S150)에서 사용자의 단말에 미리 제공한 콘텐츠의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In step S16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es a request for providing content provided in advance to the user's terminal in step S150.

단계(S170)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는 단계(S150)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콘텐츠의 데이터를 통합 아이디에 등록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송한다.In step S17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data of the content other than the data provided in step S150 to one or more terminals of the user registered in the integrated ID.

사용자의 단말은 단계(S150)에서 전송된 콘텐츠의 데이터 및 단계(S170)에서 전송된 콘텐츠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계(S160)에서 요청한 콘텐츠를 전부 재생할 수 있다.The user's terminal may reproduce all the content requested in step S160 by using the data of the content transmitted in step S150 and the data of the content transmitted in step S170.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용 가능성이 높은 추천 콘텐츠의 일부를 미리 사용자 단말에 저장하므로,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콘텐츠가 재생되기 위해 필요한 지연 시간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art of recommended content which is highly available to the user is stored in advance in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requests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delay time required for the content to be played by the user terminal is maximized. Can be reduc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이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재생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ownloading and playing content by a user termina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210)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콘텐츠 요청을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요청하는 콘텐츠의 정보 및 통합 아이디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210,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content request of the user. The user terminal may receive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he integrated ID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user.

단계(S220)에서, 사용자 단말은 단계(S210)에서 요청된 콘텐츠의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 제공 서버에 의해 추천 콘텐츠로 선정된 콘텐츠의 일부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은 단계(S210)에서 요청된 콘텐츠의 데이터가 이처럼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220,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whether data of the content requested in step S210 is previously stored in the user terminal. That is, the user terminal may store some data of the content selected as the recommended content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n advance, and the user terminal may determine whether the data of the content requested in step S210 is previously stored in the user terminal. Can be.

단계(S230)에서는, 단계(S220)에서 요청된 콘텐츠의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의 데이터 중 다운로드가 필요한 데이터를 검색한다.In step S23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of the content requested in step S220 is stored in advance in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searches for data that needs to be downloaded from the data of the content.

단계(S240)에서, 사용자 단말은 단계(S230)에서 검색된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필요한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In step S240, the user terminal downloads data that requires the download of the content retrieved in step S230.

단계(S250)에서,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의 미리 다운로드한 데이터 및 단계(S240)에서 다운로드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계(S210)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를 재생한다.In step S250, the user terminal reproduces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in step S210 by using the data downloaded in advance and the data downloaded in step S240.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S240)에서 미리 저장되지 않은 콘텐츠의 데이터가 다운로드된 후 콘텐츠가 재생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리 다운로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일부가 우선 재생되고, 단계(S240)에서 다운로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나머지 부분이 재생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ontent is played after the data of the content not previously stored is downloaded in step S24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part of the content is first played based on the previously downloaded data.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content may be played based on the data downloaded in S240.

단계(S260)에서는, 단계(S220)에서 요청된 콘텐츠의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요청된 콘텐츠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콘텐츠를 재생한다.In step S26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20 that the data of the requested content is not stored in the user terminal in advance, the user terminal downloads the data of the requeste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plays the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being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ose elem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system having a general purpose hardware architectur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10)

통합 아이디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통합 아이디(identification)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 아이디의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 이력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한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 아이디에 대응하는 추천 콘텐츠를 선택하는 콘텐츠 추천부 및
상기 선택된 추천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 중 미리 정해진 크기의 데이터를 를 상기 통합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the integrated ID,
A usage history information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usage history information of the integrated ID based on content usage history of one or more user terminals corresponding to an integrated ID of the user;
A content recommending unit for selecting recommend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ed ID based on the generated usage history information;
Content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of a predetermined size of the content data of the selected recommended content to the one or mor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nified ID
Content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아이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통신 방식을 확인하는 단말 연결 상태 확인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는 각각 상기 미리 정해진 크기의 데이터가 전송될 사용자 단말의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erminal connection status check unit for confirming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ed ID
Further comprising:
The size of the data transmitted to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user terminal to which the data of the predetermined size is to be transmitted,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 생성부는 상기 통합 아이디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요청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사용 이력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콘텐츠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user history information generation unit collects the content usage history of one or more user terminals that requested the content based on the integrated ID, and generates the user history information based on the collected content usage histo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추천 콘텐츠의 제공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콘텐츠 전송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 중 상기 미리 정해진 크기의 데이터 이외의 나머지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수신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 중 상기 미리 정해진 크기의 데이터 및 상기 나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콘텐츠를 모두 재생할 수 있는 것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recommended content is requested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of the one or more user terminals, the content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remaining data other than the predetermined size of the content data to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
And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is capable of playing both the recommended content based on the data of the predetermined size and the remaining data among the received content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추천부는 제공 가능한 콘텐츠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calculates a score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for the content that can be provided, and selects the recommended content based on the calculated sc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아이디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이 상기 통합 아이디에 대응하여 대표 단말로 미리 설정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표 단말 인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표 단말로 미리 설정된 단말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요청에 대하여만 상기 요청된 콘텐츠가 제공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Representative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the content on the basis of the integrated ID is a terminal set in advance as a representativ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ed ID
Further comprising:
And the requested content is provided only with respect to a content request received from a terminal previously set as the representative terminal.
콘텐츠 제공 서버가 통합 아이디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의 제공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콘텐츠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합 아이디에 대응하는 콘텐츠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 아이디에 대한 추천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콘텐츠의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부분의 데이터를 상기 통합 아이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은 상기 수신한 미리 설정된 부분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콘텐츠의 미리 설정된 부분을 재생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
In the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using the integrated ID,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sion of content from a user terminal, and providing the reques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content usage histo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ed ID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Selecting recommended content for the integrated ID based on the content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data of a predetermined portion of data of the recommended content to one or more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ed ID;
Lt; / RTI >
And the one or more terminals play the preset part of the recommended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preset part dat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ize of data transmitted to the one or more user terminals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scheme of each of the one or more user terminal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아이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추천 콘텐츠의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콘텐츠의 데이터 중 상기 전송된 미리 설정된 부분의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부분의 데이터 및 상기 나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콘텐츠의 전부가 재생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the recommended content from at least one terminal among one or more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ed ID; and
Transmitting remaining data excluding data of the transmitted preset portion among the data of the recommended content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nd all of the recommended content is reproduced based on the data of the preset portion and the remaining dat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통합 아이디의 대표 단말로 설정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표 단말인 경우,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Providing the reques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the content is a terminal set as a representative terminal of an integrated ID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If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the content is the representative terminal, providing the reques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Cont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110138319A 2011-12-20 2011-12-2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integrated identification KR1018582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319A KR101858247B1 (en) 2011-12-20 2011-12-2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integrated ident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319A KR101858247B1 (en) 2011-12-20 2011-12-2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integrated identif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830A true KR20130082830A (en) 2013-07-22
KR101858247B1 KR101858247B1 (en) 2018-06-29

Family

ID=4899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319A KR101858247B1 (en) 2011-12-20 2011-12-2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integrated identif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24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230A (en) * 2018-05-25 2019-12-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commended wor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thereof
KR102389219B1 (en) * 2021-10-19 2022-04-21 주식회사 노티플러스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recommended content through prediction of content reading ti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2646A (en) * 2007-01-26 2008-08-07 Softbank Mobile Corp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er
KR20090058402A (en) * 2007-12-04 2009-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list
KR20110041342A (en) * 2009-10-15 2011-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Contents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2646A (en) * 2007-01-26 2008-08-07 Softbank Mobile Corp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er
KR20090058402A (en) * 2007-12-04 2009-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list
KR20110041342A (en) * 2009-10-15 2011-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Contents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230A (en) * 2018-05-25 2019-12-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commended wor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thereof
KR102389219B1 (en) * 2021-10-19 2022-04-21 주식회사 노티플러스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recommended content through prediction of content reading 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247B1 (en)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140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service in network based on content use history
US201801990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ssage Notification
US11184671B2 (en) Dynamic content ratings
US8850469B1 (en) Distribution of video in multiple rating formats
US10172116B2 (en) Messaging abstraction in a mobile device server
US9246965B1 (en) Source assignment based on network partitioning
US20180359477A1 (en) Distribution of video in multiple rating formats
US201001155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distributing media content
US201200231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US93384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ed content playback on a display device
US9426500B2 (en) Optimal quality adaptive video delivery
US8924305B2 (en) DLNA data distribution from a remote source
US8555401B2 (en) Content provision system
US11805296B2 (en) Per-viewer engagement-based video optimization
US20040044745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ervicing viewing record of contents
KR1018582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integrated identification
US20140359648A1 (en) History record and proxy rating for media recommendations
KR1018412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video playing of client
US8549029B2 (en) Method for generating data enabling the search for content, system, terminal, and server complements to implement the method
US20130144985A1 (en) Terminal, distribution system, distribution server, playback method, and program
KR20130012222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ustom-view
KR20130082915A (en) Server and method for dividing contents and providing divided contents, and server for managing user using record
KR20140056636A (en)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playlist sharing
US201301330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broadcasting
KR102269929B1 (en) Method, user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video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