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628A -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2628A KR20130082628A KR1020110132758A KR20110132758A KR20130082628A KR 20130082628 A KR20130082628 A KR 20130082628A KR 1020110132758 A KR1020110132758 A KR 1020110132758A KR 20110132758 A KR20110132758 A KR 20110132758A KR 20130082628 A KR20130082628 A KR 201300826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
- dangerous
- permission
- application
- ris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17 stra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은, 위험작업의 종류별로 계층화된 위험작업 항목이 저장된 위험작업 계층화 데이터베이스; 계층화된 작업장소 항목이 저장된 위험작업 장소 데이터베이스; 신청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위험작업 항목과 작업장소 항목을 독출하여 작업신청서를 생성하는 신청서 생성부; 상기 신청서에 포함된 위험작업에 대해 기 설정된 허가 절차에 따라 승인자로부터 허가 승인을 입력받는 위험작업 허가 관리부; 및 상기 작업신청서에 포함된 위험작업과 병행되는 작업 중 위험작업 병행점검 대상으로 설정된 위험작업 내역을 검색하여 경고하는 위험작업 병행 점검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특정 작업을 특정 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정된 사람들에게 인가해 주는 작업 허가 제도를 표준화 및 전산화하여 위험도가 높은 작업을 분류하고 등급별로 승인권자를 명확히 지정함으로써, 위험작업을 허가받기 위한 업무 흐름을 최소화하고 작업에 따른 위험 요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작업을 특정 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정된 사람들에게 인가해 주는 작업 허가 제도를 표준화 및 전산화하여 위험도가 높은 작업을 분류하고 등급별로 승인권자를 명확히 지정함으로써, 위험작업을 허가받기 위한 업무 흐름을 최소화하고 작업에 따른 위험 요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험설비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작업장에서는 안전사고에 대한 문제를 가장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무엇보다 생산과 관련된 작업장에서는 생산 증대도 중요하지만 설비에 관련하여 사고가 발생하면 이후의 설비 중단과 또 다른 요인으로 인하여 모든 생산 중단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더 많은 손실을 가져올 수가 있다.
이에, 위험작업이 진행되는 작업장에는 안전관리부서가 있으며, 해당 부서는 위험에 관련된 모든 업무에 있어 사전에 허가를 받도록 하는 일련의 업무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라 위험작업에 대한 허가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 담당자는 작업에 관련된 안전작업 허가 신청서를 작성하여 안전부서에 해당 작업의 허가를 요청한다. 안전작업 허가 신청서에는 설비 및 지역의 위험등급 정보 및 작업자 정보, 기타 외부기술자가 있는 경우 해당 정보, 작업에 대한 내용, 작업 일정 등의 작업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안전부서에서 해당 부서의 안전작업 허가 신청서를 받게 되면 작업자의 기술 등급 및 위험지역 인가자인지를 평가하는 적격심사를 하게 된다. 적격심사 후 해당 위험지역 및 위험설비에 있어 갖추어야할 안전작업 지시서 및 안전 작업에 관련된 준비 공구를 문서로 작성을 하여 안전작업 허가증과 같이 내려준다. 또한, 일일 안전 점검표도 첨부한다.
이에, 작업자는 안전부서의 안전작업 허가를 통보를 받고, 안전작업과 관련된 안전작업 허가증, 안전지침서, 일일 안전 점검표를 수령 후 위험지역 및 설비에 있어 작업을 진행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의 일련의 과정들은 구비 서류들을 준비하여 각 담당자에게 일일이 허가를 받으러 다녀야 하므로, 위험작업 허가에 있어 많은 시간이 소비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험작업 허가를 받기 위한 업무 흐름이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신청자나 승인자에 따라 업무 흐름이 달라지거나 위험작업 허가를 위해 요구되는 조건들이 달라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작업 허가 권한을 갖는 승인권자가 불명확해 지고 이는 작업 허가에 대한 책임 소재가 불분명해지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위험작업 신청 및 허가 과정이 해당 작업에만 국한되어 있어, 동일 작업장에서 여러 종류의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 그 위험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정 작업을 특정 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정된 사람들에게 인가해 주는 작업 허가 제도를 표준화 및 전산화하여 위험도가 높은 작업을 분류하고 등급별로 승인권자를 명확히 지정함으로써, 위험작업을 허가받기 위한 업무 흐름을 최소화하고 작업에 따른 위험 요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위험작업의 종류별로 계층화된 위험작업 항목이 저장된 위험작업 계층화 데이터베이스; 계층화된 작업장소 항목이 저장된 위험작업 장소 데이터베이스; 신청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위험작업 항목과 작업장소 항목을 독출하여 작업신청서를 생성하는 신청서 생성부; 상기 신청서에 포함된 위험작업에 대해 기 설정된 허가 절차에 따라 승인자로부터 허가 승인을 입력받는 위험작업 허가 관리부; 및 상기 작업신청서에 포함된 위험작업과 병행되는 작업 중 위험작업 병행점검 대상으로 설정된 위험작업 내역을 검색하여 경고하는 위험작업 병행 점검부를 포함하는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위험작업의 허가 절차별로 작업내용에 따라 관리되어야 항목이 저장되는 절차별 관리항목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험작업 계층화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위험작업의 종류를 구분하는 대분류, 상기 대분류로 분류된 위험작업의 작업영역을 구분하는 중분류 및 상기 중분류로 분류된 위험작업의 상세 작업내용을 포함하는 소분류로 구분된 작업항목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작업 장소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위험작업 장소를 호선에 따라 구분하는 대분류, 상기 대분류로 분류된 장소 내의 상세 구역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장소 장소항목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험작업 허가 관리부는, 상기 위험작업의 위험도에 따라 지정되는 범위의 승인자로부터 상기 위험작업에 대한 허가 승인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위험작업의 종류별로 계층화된 위험작업 항목이 저장되는 단계; 계층화된 작업장소 항목이 저장되는 단계; 신청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위험작업 항목과 작업장소 항목을 독출하여 작업신청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신청서에 포함된 위험작업에 대해 기 설정된 허가 절차에 따라 승인자로부터 허가 승인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작업신청서에 포함된 위험작업과 병행되는 작업 중 위험작업 병행점검 대상으로 설정된 위험작업 내역을 검색하여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 허가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위험작업의 허가 절차별로 작업내용에 따라 관리되어야 관리항목을 미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신청자 또는 승인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절차별 관리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험작업의 종류별로 계층화된 위험작업 항목이 저장되는 단계는, 상기 위험작업의 종류를 구분하는 대분류, 상기 대분류로 분류된 위험작업의 작업영역을 구분하는 중분류 및 상기 중분류로 분류된 위험작업의 상세 작업내용을 포함하는 소분류로 구분된 작업항목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층화된 작업장소 항목이 저장되는 단계는, 상기 위험작업 장소를 호선에 따라 구분하는 대분류, 상기 대분류로 분류된 장소 내의 상세 구역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장소 장소항목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청서에 포함된 위험작업에 대해 기 설정된 허가 절차에 따라 승인자로부터 허가 승인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위험작업의 위험도에 따라 지정되는 범위의 승인자로부터 상기 위험작업에 대한 허가 승인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위험작업의 종류별로 계층화된 위험작업 항목이 저장되는 단계; 계층화된 작업장소 항목이 저장되는 단계; 신청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위험작업 항목과 작업장소 항목을 독출하여 작업신청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신청서에 포함된 위험작업에 대해 기 설정된 허가 절차에 따라 승인자로부터 허가 승인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작업신청서에 포함된 위험작업과 병행되는 작업 중 위험작업 병행점검 대상으로 설정된 위험작업 내역을 검색하여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 허가 관리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는, 특정 작업을 특정 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정된 사람들에게 인가해 주는 작업 허가 제도를 표준화 및 전산화하여 위험도가 높은 작업을 분류하고 등급별로 승인권자를 명확히 지정함으로써, 위험작업을 허가받기 위한 업무 흐름을 최소화하고 작업에 따른 위험 요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허가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작업을 계층화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작업의 허가 절차별 관리항목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작업 병행점검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허가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작업을 계층화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작업의 허가 절차별 관리항목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작업 병행점검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특정 작업을 특정 시간 내에 수행할 것에 대해 허가를 받고자 하는 신청자는 신청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작업 허가를 신청하고, 작업 허가 요청에 대해 승인 권한을 갖는 승인자는 승인자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신청자의 작업 허가 요청을 승인한다. 여기서, 신청자 인터페이스(200)와 승인자 인터페이스(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100)에 접속하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100)은 위험작업 계층화 데이터베이스(110), 위험작업 장소 데이터베이스(120), 절차별 관리항목 데이터베이스(130), 신청서 생성부(170), 위험작업 허가 관리부(160), 위험작업 일정 저장부(140), 위험작업 병행 점검부(150)를 포함한다.
위험작업 계층화 데이터베이스(110)는 위험작업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계층화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위험작업 계층화 데이터베이스(110)는 위험작업의 위험도에 따라 설정된 허가 승인기준과 작업 허가 절차가 저장된다. 위험작업의 대분류는 화기작업, 도장작업, 전기작업 등의 작업의 종류를 포함하고, 중분류는 도크, 안벽, 밀폐공간 등의 대분류 작업의 작업범위를 포함하며, 소분류는 구체적인 작업내용을 포함한다. 작업의 위험도에 따라 설정된 승인권자는 반장, 과장, 부서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작업 허가 절차로는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100)을 통해 작업의 신청한 후 종료하기까지 수행해야할 일련의 절차들이 저장될 수 있다.
위험작업 장소 데이터베이스(120)는 위험작업이 수행되는 작업장소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위험작업 장소는 대분류와 소분류로 계층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대분류 정보는 기관실, 거주구, 밀폐 탱크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소분류 정보는 대분류로 분류된 장소 내의 상세 구역정보와 장소명, 작업장소의 특성, 등을 포함될 수 있다.
절차별 관리항목 데이터베이스(130)는 위험작업 허가 절차별로 작업내용에 따라 관리되어야 항목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위험작업 허가 절차는 위험작업 신청, 승인, 병행작업조율, 사전안전점검, 승인자 현장점검, 안전부서 현장확인, 작업종료의 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들을 진행하면서 작업내용에 따라 관리해야할 항목은 각기 상이하므로, 관리항목을 표준화하여 절차별 관리항목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 및 관리한다. 예컨대, 사전점검 단계이고, 화기작업을 신청하고자 하는 경우 확인해야할 관리항목은 병행작업 여부, 인화물질 제거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청서 생성부(170)는 신청자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허가 신청서를 생성한다. 신청서 생성부(170)는 위험작업 허가 신청 시 입력되는 작업일자, 작업시간, 위험작업 분류, 위험작업 장소(호선, 작업장소)를 이용하여 신청서를 작업 허가 신청서를 생성한다. 신청서 생성부(170)는 위험작업 계층화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작업 분류와 위험작업 장소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위험작업 장소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선택함으로써 신청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위험작업 허가 관리부(160)는 승인자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입력된 작업 허가 승인에 따라 해당 작업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승인자는 절차별 관리항목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위험작업별 승인기준에 따라 위험작업을 허가하고, 현장점검을 실시 후, 그 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위험작업 병행 점검부(150)는 허가 신청 시 입력되는 작업일자, 작업시간, 위험작업 분류, 위험작업 장소를 이용하여 위험작업 병행 유무를 점검하고, 점검결과에 따라 병행 작업의 위험도를 표시하여 해당 작업을 조율하도록 할 수 있다. 위험작업 병행점검 대상은 병행 작업 시 위험도가 높은 작업들로써 대상이 되는 병행작업은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위험작업 일정 저장부(140)는 신청된 위험작업의 일정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에, 신청자와 승인자는 위험작업의 신청 및 진행절차를 확인하여 작업일정을 조율하거나 위험작업에 대한 승인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특정 작업을 특정 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정된 사람들에게 인가해 주는 작업 허가 제도를 표준화 및 전산화하여 위험도가 높은 작업을 분류하고 등급별로 승인권자를 명확히 지정함으로써, 위험작업을 허가받기 위한 업무 흐름을 최소화하고 작업에 따른 위험 요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허가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100)은 신청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위험작업 신청을 입력받는다(S110). 신청자는 작업일자, 작업시간, 위험작업 분류,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 위험작업 장소 정보를 입력한다. 신청자는 위험작업 계층화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작업 내용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작업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장소정보 또한, 위험작업 장소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내용으로부터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신청서 생성부(170)는 입력된 신청 내용을 이용하여 작업 허가 신청서를 생성한다(S120).
생성된 신청서에 대해 위험작업별 승인기준에 따라 승인자가 위험작업을 허가한다(S130). 승인자는 현장점검을 실시 한 후, 그 결과를 입력한다.
그리고, 신청자 혹은 승인자는 위험작업 병행점검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위험작업 병행 점검부(150)는 위험작업 병행 유무를 점검한다(S140). 위험작업 병행 점검부(150)는 해당 작업일, 작업시간, 작업장소에서 수행되는 모든 위험작업 정보를 조회하여 위험작업 병행점검 대상 작업에 대하여 위험도를 경고한다(S150). 이에, 위험작업 병행시에는 해당 작업을 조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 상태도이다.
도 3은 위험작업을 계층화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작업은 계층화 관리되어, 신청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을 입력하려 하는 경우 대분류 리스트(500)와, 중분류 리스트(510), 및 소분류 리스트(520)가 표시된다.
대분류 리스트(500)는 화기작업, 도장작업, 전기작업 등의 작업의 종류를 포함한다. 대분류 리스트(500)에서 신청하고자 하는 작업의 종류를 선택하면 그에 따른 중분류 리스트(510)가 표시된다. 예컨대, 대분류 리스트(500)에서 화기작업을 선택한 경우, 중분류 리스트(510)에는 P.E장, 도크, 안벽, 밀폐공간 등의 대분류 작업의 작업범위가 표시된다. 중분류 리스트(510)에서 작업범위를 선택하면 그에 따른 소분류 리스트(520)가 표시된다. 소분류 리스트(520)에는 구체적인 작업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작업의 위험도에 따라 설정된 승인범위(530)가 자동으로 표시된다. 승인 범위는 승인을 받아야할 반장, 직책과장, 부서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의 종류 및 위험도에 따라 작업 허가 절차(540)가 표시된다. 작업 허가 절차는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100)을 통해 작업의 신청한 후 종료하기까지 수행해야할 일련의 절차를 포함한다. 예컨대, 신청, 승인, 조율, 사전점검, 현장확인, 안전점검, 작업종료의 순서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도 4는 위험작업의 허가 절차별 관리항목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것이다.
절차별 관리 항목은 위험작업 허가 절차별로 작업 내용에 따라 관리되어야할 항목을 정의한 것이다. 위험작업 허가 절차는 신청, 승인, 조율, 사전점검, 현장확인, 안전점검, 작업종료의 순서로 진행되며, 각 절차별로 위험작업 종류에 따라 관리되어야할 점검 내용은 각기 상이하다. 이에, 점검해야할 내용들을 관리항목으로 표준화하여 관리한다.
예컨대, 위험작업 허가 절차(600) 중 "사전점검" 절차를 진행중이고, 작업종목(610)이 "화기작업"일 경우를 선택하면, 화기작업을 위한 사전점검 단계에서 확인해야할 관리 항목 리스트(620)가 표시된다.
도 5 및 도 6은 위험작업 병행점검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작업 허가 신청 화면은, 작업 일자와 작업 시간을 입력하는 작업일시 입력영역(700), 작업의 분류와 내용을 입력하는 작업분류 입력영역(710), 위험작업 장소를 입력하는 작업 내용 입력영역(720)을 포함한다. 이상의 입력영역(700, 710, 720)에 해당 내용을 모두 입력한 후에는 위험작업병행점검(750) 버튼을 선택하면 작업병행점검 결과가 도 6의 화면과 같이 표시된다.
도 6은 작업병행점검 결과 화면으로써, 위험작업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작업일, 작업시간, 작업장소에서 수행되는 모든 위험작업 정보를 조회하여 리스트(800)가 표시된다. 조회된 작업들 중 병행 시 위험도가 높은 작업, 예컨대, 화기작업과 도장작업 등은 위험작업 병행점검 대상으로 분류되어 위험경고(810)가 표시된다. 이에, 작업 신청자 혹은 승인자는 위험작업이 병행되는 것을 미리 인지함으로써, 작업 일정을 조정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특정 작업을 특정 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정된 사람들에게 인가해 주는 작업 허가 제도를 표준화 및 전산화하여 위험도가 높은 작업을 분류하고 등급별로 승인권자를 명확히 지정함으로써, 위험작업을 허가받기 위한 업무 흐름을 최소화하고 작업에 따른 위험 요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110 : 위험작업 계층화 데이터베이스
120 : 위험작업 장소 데이터베이스
130 : 절차별 관리항목 데이터베이스
140 : 위험작업 일정 저장부 150 : 위험작업 병행 점검부
160 : 위험작업 허가 관리부 170 : 신청서 생성부
200 : 신청자 인터페이스 300 : 승인자 인터페이스
110 : 위험작업 계층화 데이터베이스
120 : 위험작업 장소 데이터베이스
130 : 절차별 관리항목 데이터베이스
140 : 위험작업 일정 저장부 150 : 위험작업 병행 점검부
160 : 위험작업 허가 관리부 170 : 신청서 생성부
200 : 신청자 인터페이스 300 : 승인자 인터페이스
Claims (11)
- 위험작업의 종류별로 계층화된 위험작업 항목이 저장된 위험작업 계층화 데이터베이스;
계층화된 작업장소 항목이 저장된 위험작업 장소 데이터베이스;
신청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위험작업 항목과 작업장소 항목을 독출하여 작업신청서를 생성하는 신청서 생성부;
상기 신청서에 포함된 위험작업에 대해 기 설정된 허가 절차에 따라 승인자로부터 허가 승인을 입력받는 위험작업 허가 관리부; 및
상기 작업신청서에 포함된 위험작업과 병행되는 작업 중 위험작업 병행점검 대상으로 설정된 위험작업 내역을 검색하여 경고하는 위험작업 병행 점검부를 포함하는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작업의 허가 절차별로 작업내용에 따라 관리되어야 항목이 저장되는 절차별 관리항목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작업 계층화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위험작업의 종류를 구분하는 대분류, 상기 대분류로 분류된 위험작업의 작업영역을 구분하는 중분류 및 상기 중분류로 분류된 위험작업의 상세 작업내용을 포함하는 소분류로 구분된 작업항목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작업 장소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위험작업 장소를 호선에 따라 구분하는 대분류, 상기 대분류로 분류된 장소 내의 상세 구역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장소 장소항목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작업 허가 관리부는,
상기 위험작업의 위험도에 따라 지정되는 범위의 승인자로부터 상기 위험작업에 대한 허가 승인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 위험작업의 종류별로 계층화된 위험작업 항목이 저장되는 단계;
계층화된 작업장소 항목이 저장되는 단계;
신청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위험작업 항목과 작업장소 항목을 독출하여 작업신청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신청서에 포함된 위험작업에 대해 기 설정된 허가 절차에 따라 승인자로부터 허가 승인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작업신청서에 포함된 위험작업과 병행되는 작업 중 위험작업 병행점검 대상으로 설정된 위험작업 내역을 검색하여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 허가 관리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작업의 허가 절차별로 작업내용에 따라 관리되어야 관리항목을 미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신청자 또는 승인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절차별 관리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허가 관리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작업의 종류별로 계층화된 위험작업 항목이 저장되는 단계는,
상기 위험작업의 종류를 구분하는 대분류, 상기 대분류로 분류된 위험작업의 작업영역을 구분하는 중분류 및 상기 중분류로 분류된 위험작업의 상세 작업내용을 포함하는 소분류로 구분된 작업항목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허가 관리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화된 작업장소 항목이 저장되는 단계는,
상기 위험작업 장소를 호선에 따라 구분하는 대분류, 상기 대분류로 분류된 장소 내의 상세 구역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장소 장소항목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허가 관리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청서에 포함된 위험작업에 대해 기 설정된 허가 절차에 따라 승인자로부터 허가 승인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위험작업의 위험도에 따라 지정되는 범위의 승인자로부터 상기 위험작업에 대한 허가 승인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허가 관리방법.
- 위험작업의 종류별로 계층화된 위험작업 항목이 저장되는 단계; 계층화된 작업장소 항목이 저장되는 단계; 신청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위험작업 항목과 작업장소 항목을 독출하여 작업신청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신청서에 포함된 위험작업에 대해 기 설정된 허가 절차에 따라 승인자로부터 허가 승인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작업신청서에 포함된 위험작업과 병행되는 작업 중 위험작업 병행점검 대상으로 설정된 위험작업 내역을 검색하여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 허가 관리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2758A KR20130082628A (ko) | 2011-12-12 | 2011-12-12 |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2758A KR20130082628A (ko) | 2011-12-12 | 2011-12-12 |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2628A true KR20130082628A (ko) | 2013-07-22 |
Family
ID=48993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2758A KR20130082628A (ko) | 2011-12-12 | 2011-12-12 |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82628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37098A (ko) * | 2015-03-12 | 2017-12-12 | 리파이프 타이 리미티드 | 현장의 위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
CN112214792A (zh) * | 2020-09-29 | 2021-01-12 | 浪潮云信息技术股份公司 | 一种基于cockroachDB数据库的权限管理方法及工具 |
KR102284691B1 (ko) | 2020-10-27 | 2021-08-03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현장에서 두 명 이상의 작업자를 확인할 수 있는 안전 관리 방법 |
KR20210112579A (ko) * | 2020-03-05 | 2021-09-15 | 주식회사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 디지털 안전 작업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230097864A (ko) | 2021-12-24 | 2023-07-03 |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실시간 위치 기반 작업허가방법 및 시스템 |
-
2011
- 2011-12-12 KR KR1020110132758A patent/KR2013008262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37098A (ko) * | 2015-03-12 | 2017-12-12 | 리파이프 타이 리미티드 | 현장의 위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
KR20210112579A (ko) * | 2020-03-05 | 2021-09-15 | 주식회사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 디지털 안전 작업관리 시스템 및 방법 |
CN112214792A (zh) * | 2020-09-29 | 2021-01-12 | 浪潮云信息技术股份公司 | 一种基于cockroachDB数据库的权限管理方法及工具 |
KR102284691B1 (ko) | 2020-10-27 | 2021-08-03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현장에서 두 명 이상의 작업자를 확인할 수 있는 안전 관리 방법 |
KR20230097864A (ko) | 2021-12-24 | 2023-07-03 |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실시간 위치 기반 작업허가방법 및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enahan | Turnaround, shutdown and outage management: Effective planning and step-by-step execution of planned maintenance operations | |
Paulk et al. | Key practices of the capability maturity model version 1.1 | |
US20060259336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risks associated with a project | |
KR20170137098A (ko) | 현장의 위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KR20130082628A (ko) | 작업 허가 관리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 |
US20180322598A1 (en) | Propert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 thereof | |
US20140278819A1 (en) | Alternate Scenario Analysis for Project Management | |
Popescu et al. | Considerations on integrating risk and quality management | |
Dadashi Haji et al. | BIM-based safety leading indicators measurement tool for construction sites | |
Bashynska et al. | Risk Management. Lecture course: textbook | |
US20070276679A1 (en) | Hazard identification and tracking system | |
US11416589B2 (en) | Data processing and scanning systems for assessing vendor risk | |
Aleksandrov et al. |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certification of a new generation of quality management systems for organizations of the aviation and space industries | |
US20060004687A1 (en) | Web-based event correction and prevention system | |
Raap | SAP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 |
Kiselev et al. | Risk-oriented approach in the activities of organizations: problems of theory and practice for its implementation | |
Caiado et al. |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Monitoring the Regulatory Compliance of Static Equipment in Industrial Plants—an Empirical Study in the Oil and Gas Sector | |
Sinha | IT-enabled safety management framework in 3Indian mines. | |
Kuchmieiev | INNOVATIVE RISK MANAGEMENT SYSTEM OF WHOLESALE ENTERPRISES | |
Klunngien et al. | The Journey of SSHE Audit Tracking System | |
Hinsch et al. | Operation | |
Wotschke et al. | Construction Auditing: Planning-Implementation-Use | |
Larumbe | Configuration Items Selection Process Review | |
Kuwar et al. | Critical Review of the Industrial Product Service System model for the Screw Air Compressor | |
Novitasari et al. | A Practical Application of FMEA for IT Project Prioritization: a Case Study at Manufacturing Compan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