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579A -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579A
KR20130082579A KR1020110131821A KR20110131821A KR20130082579A KR 20130082579 A KR20130082579 A KR 20130082579A KR 1020110131821 A KR1020110131821 A KR 1020110131821A KR 20110131821 A KR20110131821 A KR 20110131821A KR 20130082579 A KR20130082579 A KR 20130082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server
affiliated store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수
지명인
박상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1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2579A/ko
Priority to US13/612,421 priority patent/US20130150090A1/en
Publication of KR2013008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가맹점 단말기 또는 가맹점 DB로부터 해당 가맹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통신 인프라로부터 해당 무선통신 인프라에 관한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가맹점 단말기에 대해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행함에 있어서,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무선 인프라에 관한 측정정보 및 가맹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무선인프라에 관한 측정정보 및 가맹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인프라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기반서비스 서버, 및 이렇게 생성된 무선통신 인프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통신 인프라 위치 DB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장치 및 대응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시 제공되는 결제위치정보 및 무선통신 인프라들의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무선통신 인프라들의 위치 DB를 생성하고, 결제위치정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GPS 기반 측위 기술은, GPS 위성을 활용하여 전 지구상의 실외영역에서 수m~수십m 수준의 위치정확도로, GPS 수신기가 탑재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전역 좌표계(예: 위도, 경도, 고도 등)로 제공할 수 있다. 향후에는 유럽의 갈릴레오(Galileo), 러시아의 글로나스(Glonass) 등의 추가적인 광역위성항법시스템의 등장으로 실외 공간에서 위치 가용성 및 정확도가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실내 및 도심 밀집 지역에서 건물 차단에 따른 미약신호 수신 및 다중경로오차 증가로 인해 위치결정이 불가능하거나, 위치 정확도가 떨어진다.
이동통신 기지국 기반 측위 기술은 GPS에 비해 상대적으로 초기위치결정시간을 빠르게 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GPS에 비해 위치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와이파이(Wi-Fi) 기반 측위 기술은 GPS가 수신되지 않거나 GPS 위치오차가 큰 건물 실내 및 도심 밀집지역에서 Wi-Fi AP(Access Point)들로부터의 신호세기 등을 이용하여 수m 수준의 정밀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에는 미국의 Skyhook Wireless사를 중심으로 워드라이빙(Wardriving 또는 AP mapping) 기술을 통해 대도시 영역으로 서비스 가용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을 이용한 워드라이빙 기술은 Wi-Fi AP의 위치 DB 초기 구축에 필요한 비용이 큰 문제가 된다.
최근 보급이 늘고 있는 스마트폰은 3G 이동통신 칩뿐만 아니라 Wi-Fi 칩을 내장하고 있어, GPS, Wi-Fi, 셀룰러 기반 각각의 위치인식 및 복합적 위치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향후 이동통신망의 진화(예: LTE, WiMAX 등) 및 근거리통신(예: NFC 등) 기능 지원 등을 고려할 때, 다중 인프라들을 이용한 측위 기술을 통한 단말의 위치 가용성 및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미국공개특허 2010-0157848호는 모바일 단말에서 수신한 무선 통신 인프라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로컬 지도 및 위치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중 인프라 기반 측위기술을 단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국 또는 전세계적인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에 대한 다중 인프라들의 위치 DB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전국 또는 전세계적인 광역 환경에서 고정밀 이종 인프라 위치 DB의 생성을 위해서는 수집위치를 최대한 정확히 제공하면서 주변의 인프라 위치 DB의 측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서비스 연계형 수집 기술이 필요하다.
그런데,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경우, 최근 NFC 모듈 추가를 통한 모바일 단말의 하드웨어적인 발전과 이동통신사와 신용카드 회사와의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한 모바일 결제 시장의 활성화 추세를 감안할 때, 향후 모바일 서비스 시장에서 킬러 어플리케이션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모바일 결제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모바일 쿠폰 사용 또는 모바일 결제 요청 시 가맹점 DB에 포함한 상호명, 상호대표자, 주소, 사업자등록번호, 전화번호 등을 활용하여 기준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렇게 획득된 기준 위치와 결제 시 획득한 Wi-Fi, WCDMA, WiBro, RFID, ZigBee, NFC, Bluetooth 등의 인프라 측정정보를 결합하여 이종 인프라 위치 DB 생성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활용하여 모바일 단말 사용자의 기준 위치 및 인프라 측정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렇게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인프라 위치 DB를 생성하고 결제위치를 기반으로 한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가맹점 단말기 또는 가맹점 DB로부터 해당 가맹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통신 인프라로부터 해당 무선통신 인프라에 관한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대해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행함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인프라에 관한 상기 측정정보 및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무선인프라에 관한 측정정보 및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인프라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기반서비스 서버, 및 상기 생성된 무선통신 인프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통신 인프라 위치 DB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는, 상기 무선 인프라에 관한 상기 측정정보 및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를,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 서버는 신용카드사 서버, 직불카드사 서버, 통신사 서버, 상품권사 서버 또는 포인트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는, 가맹점 DB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의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무선통신 인프라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데 활용할 정도의 정밀도를 갖지 못할 경우,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의 ID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지도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는 상기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의 ID 정보를 상기 지도 DB와 비교하여,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맹점 단말기 또는 가맹점 DB로부터 해당 가맹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통신 인프라로부터 해당 무선통신 인프라에 관한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대해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행함에 있어서, 위치기반 서비스 장치에 의해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인프라에 관한 상기 측정정보 및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무선인프라에 관한 측정정보 및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인프라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무선통신 인프라의 위치 정보를 무선통신 인프라 위치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반 인프라 위치 DB 생성 및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수의 모바일 단말 사용자들로부터 무선통신 인프라 위치 DB 생성에 필요한 기준위치 및 무선통신 인프라 측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특히 GPS 기반 기준위치 제공이 불가능한 실내 환경에서 가맹점 DB 내 가맹점 위치정보를 활용하거나, 지도 DB와의 비교를 통해 기준위치를 자동으로 획득함으로서, 별도의 기준위치 획득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광역에 분포한 모바일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무선통신 인프라 위치 DB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LBS(Location Based Service) 서버(또는 위치기반서비스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수집전용 차량 기반 수집방법에 비해 수집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위치 DB 생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반 인프라 위치 DB를 수집하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반 인프라 위치 DB 생성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반 인프라 위치 DB 생성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반 위치 DB 생성 및 결제위치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반 결제위치 획득방법의 흐름도.
도 6은 제1 실시예 중 신용카드사 서버(700)가 관련된 경우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반 인프라 위치 DB 생성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도.
도 7은 제1 실시예 중 통신사, 상품권사, 포인트사 서버(710)가 관련된 경우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반 인프라 위치 DB 생성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반 인프라 위치 DB 생성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반 인프라 위치 DB를 수집하는 개념도이다. 크게 오프라인 VAN(부가가치통신망) 환경과 온라인 VAN 환경에서의 위치 DB 수집 절차로 나뉜다.
우선 오프라인 VAN 환경에서의 위치 DB 수집 절차는 다음과 같다.
가맹점을 방문한 모바일 단말 사용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찾아서 계산대로 향한다. 계산대에서는 상품 정보(가격 및 수량 등)를 바코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 등을 통해 입력하고 총 구매금액을 계산한다.
이어 모바일 할인 쿠폰 적용 또는 결제를 원하는 사용자는 모바일 결제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가맹점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할인쿠폰 정보 및 신용카드 정보를 전송하며, 결제를 요청한다.
결제 요청을 받은 가맹점 단말기는 모바일 결제사 및 신용카드 서버와 연동하여 거래승인을 요청 및 응답 받는다. 응답을 받은 가맹점 단말기는 모바일 단말에게 전자영수증을 제공한다. 이때, 제공하는 영수증 내에는 가맹점 위치(즉 결제 위치)가 포함된다. 만약 가맹점 DB 내에 가맹점 위치가 없거나 요구 정확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이름, 대표자, 주소, 사업자등록번호 또는 고유번호, 전화번호 등의, 가맹점 DB 또는 가맹점 내 객체 DB 내의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를 LBS 서버에 전달하여 지도 DB 정보와 비교하여 결제 위치를 획득한다.
최종적으로 모바일 결제 기반 무선통신 인프라의 위치 DB 생성을 위한 결제 위치(가맹점 DB 또는 가맹점 내 객체 DB 기반 결제위치 제공 가능 시) 또는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가맹점 DB 또는 가맹점 내 객체 DB 기반 결제위치 제공 불가능 시)를, 무선통신 인프라 측정정보와 함께 LBS 서버에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LBS 서버는 무선통신 인프라의 위치 DB를 생성하는데 사용하고, 만약 단말 사용자가 결제위치 기반 서비스(예: 할인쿠폰, 광고 등)를 요구하는 경우 결제위치와 함께 제공한다.
여기서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는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시설물의 유일한 식별정보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시설물의 이름, 대표자, 주소, 사업자등록번호 또는 고유번호,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위치는 결제가 이루어진 위치를 의미하며, 절대좌표(예: 위도/경도/고도), 상대좌표(예: 기준점 기준 상대위치 X, Y, Z) 또는 주소체계(예: 서울시 aaa구 bbb동 ccc로 dd번지 fff빌딩 gg층 iii호 jjj출입구 등)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온라인 VAN 환경에서의 위치 DB 수집 절차는 다음과 같다.
가맹점을 방문한 모바일 단말 사용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찾아서 계산대로 향한다. 계산대에서는 상품 정보(가격 및 수량 등)를 바코드, RFID, NFC 장치 등을 통해 입력하고 총 구매금액을 계산한다.
이어 모바일 할인 쿠폰 또는 결제를 원하는 사용자는 모바일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가맹점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주문정보를 전송 받는다. 주문 정보를 전송 받은 가맹점 어플리케이션은 가맹점 DB 및 서버에 주문 정보를 전송하고, 가맹점 DB로부터 가맹점 위치정보 또는 가맹점 ID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어 가맹점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거래인증을 등록하고, 가맹점 서버,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서버, 신용카드사 서버와 연동하여 카드사 인증 및 결제 승인요청/응답을 수행한다. 승인 결과를 전송받은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서버는 LBS 서버와 연동하여 결제위치(또는 가맹점 ID 정보) 및 무선통신 인프라 측정정보를 전송하고 결제위치 기반 정보를 전송받는다.
최종적으로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서버는 승인결과 및 결제위치(또는 결제위치 기반 정보)를 단말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반 인프라 위치 DB 생성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는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서버(400)를 경유하여, 무선 통신 인프라 위치 DB(620)를 생성하기 위한 무선 인프라 측정정보를 수집하고, 결제위치기반 정보(예: 할인 쿠폰, 광고 등)를 제공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가맹점 어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하면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가맹점 단말기(200), 가맹점 서버(300) 및 가맹점 DB(310),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 서버(400) 및 주변 무선 통신 인프라(5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단말기이다.
가맹점 단말기(200)는 바코드, RFID, NFC 등을 통해 상품 정보 및 가격을 입력 받는 장치, 상품 정보 및 가격을 표시하는 장치, 모바일 단말(100)에게 상품 정보 및 가격(이하 상품 주문 정보)을 제공하는 통신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가맹점 DB(310) 및 가맹점 서버(300)는, 가맹점 및 가맹점 내 객체의 상세 정보(이름, 대표자, 주소, 사업자등록번호 또는 고유번호, 전화번호 등) 및 상품의 상세 정보 등을 저장하는 DB 및 해당 DB를 관리하는 연산장치를 의미한다. 가맹점 DB(310) 및 가맹점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기(200) 또는 모바일 단말(100)에 설치된 가맹점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결제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여 가맹점 및 상품의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100) 또는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결제정보를 요청받아 신용카드사 서버(700) 또는 통신사, 상품권사, 포인트사 등의 서버(710)와 같은 결제대금 지급사 서버에게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 승인 결과를 모바일 단말(100) 또는 가맹점 단말기(200)에 전달하는 서버이다. 또한, 해당 서버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생성한 결제위치(또는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 및 무선통신 인프라 측정정보를 LBS 서버(610)에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인프라(500)는, 모바일 단말(100) 주변의 기지국 또는 AP를 의미하며, 모바일 단말(100)은 수동 또는 능동적인 통신을 통해 다양한 측정정보(ID, MAC Address, RSSI, RTT, AoA 등)를 획득한다.
LBS 서버(610)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결제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 모바일 결제사 DB 및 서버(400)로부터 결제위치 및 무선통신 인프라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인프라 위치를 생성하고 위치 DB(620)에 저장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100)에서 결제위치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수신한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DB(630)와 비교하여 해당 결제위치를 계산한다. 이어 계산된 결제위치 및 무선통신 인프라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무선통신 인프라 위치를 생성하고, 위치 DB(620)에 저장한다. 또한, LBS 서버(610)는 상기 결제위치(또는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를 기반으로 부가정보, 즉 결제위치 기반 정보(예: 할인쿠폰, 광고 등)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100)에게 제공한다.
한편, LBS 서버(610)와 무선통신 인프라 위치 DB(620), 그리고 필요하다면 지도 DB(630)는 본발명의 위치기반서비스 장치(600)를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반 인프라 위치 DB 생성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다르게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서버(400)를 경유하지 않는 실시예이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서버(400)와 관련된 부분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LBS 서버(610)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결제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결제위치 및 무선통신 인프라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인프라 위치를 생성하고 위치 DB(620)에 저장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100)에서 결제위치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수신한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DB(630)와 비교하여 해당 결제위치를 계산한다. 이어 계산된 결제위치 및 무선통신 인프라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무선통신 인프라 위치를 생성하고, 위치 DB(620)에 저장한다. 또한, LBS 서버(610)는 상기 결제위치(또는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를 기반으로 부가정보, 즉 결제위치 기반 정보(예: 할인쿠폰, 광고 등)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100)에게 제공한다.
한편,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LBS 서버(610)와 무선통신 인프라 위치 DB(620), 그리고 필요하다면 지도 DB(630)는 본발명의 위치기반서비스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반 위치 DB 생성 및 결제위치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S410)에서, 모바일 단말(100)은 가맹점 단말기(200)로부터 모바일 결제에 필요한 정보(총 구매금액, 가맹점 정보 등) 및 주변 무선통신 인프라(500)들로부터 수신된 무선통신 인프라(예: 기지국 또는 AP) 측정정보(MAC Address 또는 ID, RSSI, RTT 등)를 송수신한다.
이어서 단계(S420)에서, 모바일 단말(100)은 결제에 필요한 정보, 무선통신 인프라 측정정보 및 결제 위치(또는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를 LBS 서버(610)에 전달한다.
이어서 단계(S430)에서, LBS 서버(610)는 수신한 무선통신 인프라 측정정보 및 결제 위치(또는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통신 인프라의 위치를 새로 계산하여 위치 DB(620)에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단계(S430)에서, 만약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자가 희망하는 경우, LBS 서버(610)는 결제 위치 기반 정보(예: 할인쿠폰, 광고 등)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100)에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반 결제위치 획득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S510)에서, 가맹점 단말기(200)는 주문정보(총 구매금액, 가맹점 정보 등)를 모바일 단말(100)에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S520)에서, 만약 모바일 단말(100)이 가맹점 DB(310)에 접근 가능하고, 가맹점 DB(310) 내의 가맹점 위치정보가 무선통신 인프라(500)의 위치 추정에 활용가능한 정밀도를 가진다면, 단계(S530)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즉, 모바일 단말(100)이 가맹점 DB(310)에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접근이 가능하더라도 가맹점 DB(310) 내의 가맹점 위치정보가 무선통신 인프라 위치추정에 활용가능할 정도의 정밀도를 갖지 못한다면) 단계(S540)로 진행한다.
단계(S530)에서, 모바일 단말(100)은 가맹점 DB(310) 내에 저장된 가맹점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위치를 획득한다.
단계(S540)에서, 모바일 단말(100)은 가맹점 DB(310) 내에 저장된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예: 이름, 대표자, 주소, 사업자등록번호 또는 고유번호, 전화번호 등)를 LBS 서버(610)에 전달한다.
이어서 단계(S550)에서, LBS 서버(610)는, 수신한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와 해당 가맹점을 포함하고 있는 지도 DB(630)와 비교하여 가맹점 위치를 추정하고 이로부터 결제위치를 획득한다.
도 6은 제1 실시예 중 신용카드사 서버(700)가 관련된 경우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반 인프라 위치 DB 생성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도이다. 도 6은 특히 스마트폰 온라인 VAN 환경에서의 신용카드 기반 모바일 결제의 절차를 나타낸다.
가맹점 단말기(200)는 모바일 단말(100) 내의 가맹점 어플리케이션(100-1)에 주문정보를 전송한다. 가맹점 어플리케이션(100-1)은 수신된 주문정보를 가맹점 DB(310)에 전송하여 저장하고, 가맹점 DB(310) 내에 저장된 가맹점 위치정보(또는 가맹정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를 획득한다.
카드사 인증/결제를 위해 모바일 결제 어플리케이션(100-2)을 추가로 실행한다. 이어서, 모바일 결제 어플리케이션(100-2)은, 결제정보, 결제위치(또는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 및 무선통신 인프라 측정정보를 가맹점 서버(300)를 경유하여,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서버(400)에 전달한다.
이어서,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 서버(400)는 신용카드사 서버(700)에 승인 요청하여 승인 결과를 응답받는다. 또한,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 서버(400)는, 수신한 결제위치(또는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 및 무선통신 인프라 측정 정보를 LBS 서버(610)에 전달하여, 무선통신 인프라 위치 DB(620)의 생성에 활용한다.
또한, LBS 서버(610)는, 모바일 단말 사용자의 요청 시, 결제위치 기반 정보(예: 할인쿠폰, 광고 등)를 생성해서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 서버(400)에 전달한다.
최종적으로,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서버(400)는 승인결과 및 결제위치 기반 정보를 가맹점 서버(300) 및 가맹점 DB(310)를 경유해서, 모바일 단말(100)내의 가맹점 어플리케이션(100-1)에 전달한다.
도 7은 제1 실시예 중 통신사/상품권사/포인트사 서버(710)가 관련된 경우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반 인프라 위치 DB 생성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도이다. 도 7은 특히 스마트폰 온라인 VAN 환경에서의 휴대폰/상품권/포인트 기반 모바일 결제의 절차를 나타낸다.
가맹점 단말기(200)는 모바일 단말(100) 내의 가맹점 어플리케이션(100-1)에 주문정보를 전송한다. 가맹점 어플리케이션(100-1)은 수신된 주문정보를 가맹점 DB(310)에 전송하여 저장하고, 가맹점 DB(310) 내에 저장된 가맹점 위치정보(또는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를 획득한다.
카드사 인증/결제를 위해 모바일 결제 어플리케이션(100-2)을 추가로 실행한다. 모바일 결제 어플리케이션(100-2)은 통신사/상품권사/포인트사 서버(710)에 인증 및 조회를 요청하고 결과를 응답받는다. 또한, 모바일 결제 어플리케이션(100-3)은, 결제정보, 결제위치(또는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 및 무선통신 인프라 측정정보를 가맹점 서버(300)를 경유해서,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 서버(400)에 전달한다.
이어서,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 서버(400)는 통신사/상품권사/포인트사 서버(710)에 승인 요청하여 승인 결과를 응답받는다. 또한,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 서버(400)는, 수신한 결제 위치(또는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 및 무선통신 인프라 측정정보를 LBS 서버(610)로 전달하여, 무선통신 인프라 위치 DB(620)의 생성에 활용한다.
또한, LBS 서버(610)는, 모바일 단말 사용자의 요청 시, 결제위치 기반 정보를 생성해서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 서버(400)에 전달한다.
최종적으로,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서버(400)는 승인결과 및 결제위치 기반 정보를 가맹점 서버(300) 및 가맹점 DB(310)를 경유해서, 모바일 단말(100)내의 가맹점 어플리케이션(100-1)에 전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반 인프라 위치 DB 생성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도이다. 도 8은 특히 스마트폰 오프라인 VAN 환경에서 신용카드/직불카드/포인트카드 기반 모바일 결제 실시예를 나타낸다.
가맹점 단말기(200)는 바코드, RFID, NFC 등을 통해 입력된 상품정보를 바탕으로 총 구매금액을 계산한다. 모바일 결제를 위해 모바일 단말 내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2)을 실행하고, 모바일 단말(10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가맹점 단말기(200)와 통신하여 할인쿠폰 정보 또는 신용카드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200)에 전달한다.
가맹점 단말기(200)는, 제공받은 할인쿠폰 정보 또는 신용카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 서버(400)를 경유해서, 신용카드사/직불카드사/포인트카드사 서버(800)에 거래승인/취소를 요청하고 응답받는다. 이때, 전자영수증 내에 포함된 가맹점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면, 결제위치와 무선통신 인프라 측정정보를 LBS 서버(610)로 전송한다. 만약,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 위치를 결정할 수 없다면, 전자영수증 내에 포함된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 ID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무선통신 인프라 측정정보와 함께 LBS 서버(610)에 전달하여, 지도 DB(630)와 비교를 통해 결제 위치를 획득한다. 최종적으로, LBS 서버(610)는 모바일 단말(100)에게 결제위치 기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가맹점 단말기 또는 가맹점 DB로부터 해당 가맹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통신 인프라로부터 해당 무선통신 인프라에 관한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대해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행함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인프라에 관한 상기 측정정보 및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무선인프라에 관한 측정정보 및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인프라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기반서비스 서버, 및
    상기 생성된 무선통신 인프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통신 인프라 위치 DB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는, 상기 무선 인프라에 관한 상기 측정정보 및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를,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 서버는 신용카드사 서버, 직불카드사 서버, 통신사 서버, 상품권사 서버 또는 포인트사 서버와 통신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는, 가맹점 DB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의 ID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무선통신 인프라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데 활용할 정도의 정밀도를 갖지 못할 경우,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의 ID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지도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는 상기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의 ID 정보를 상기 지도 DB와 비교하여,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7. 가맹점 단말기 또는 가맹점 DB로부터 해당 가맹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통신 인프라로부터 해당 무선통신 인프라에 관한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대해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행함에 있어서, 위치기반 서비스 장치에 의해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인프라에 관한 상기 측정정보 및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무선인프라에 관한 측정정보 및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인프라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무선통신 인프라의 위치 정보를 무선통신 인프라 위치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인프라에 관한 상기 측정정보 및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를,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결제사 DB 및 결제 서버는 신용카드사 서버, 직불카드사 서버, 통신사 서버, 상품권사 서버 또는 포인트사 서버와 통신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는, 가맹점 DB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의 ID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무선통신 인프라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데 활용할 정도의 정밀도를 갖지 못할 경우,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의 ID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장치는 지도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는 상기 가맹점 또는 가맹점 내 객체의 ID 정보를 상기 지도 DB와 비교하여, 상기 가맹점의 상기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131821A 2011-12-09 2011-12-09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30082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821A KR20130082579A (ko) 2011-12-09 2011-12-09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3/612,421 US20130150090A1 (en) 2011-12-09 2012-09-1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821A KR20130082579A (ko) 2011-12-09 2011-12-09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579A true KR20130082579A (ko) 2013-07-22

Family

ID=4857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821A KR20130082579A (ko) 2011-12-09 2011-12-09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150090A1 (ko)
KR (1) KR201300825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5164A1 (ko) * 2015-12-02 2017-06-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의 위치 기반 결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93419A (ko) * 2016-02-05 201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크라우드소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0853806B2 (en) 2014-08-29 2020-12-01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1426B2 (en) * 2013-02-05 2019-06-04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Integrated communications network for transactions
CN103646328A (zh) * 2013-12-06 2014-03-19 上海众人网络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摄像头的安全支付方法
CN108141708A (zh) * 2015-09-07 2018-06-08 Sk普兰尼特有限公司 使用信标提供内容信息的服务方法以及确定用户是否进入和离开商店的方法
CN107087260A (zh) * 2017-04-20 2017-08-22 浙江舟水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定位系统的水利施工现场定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1919B2 (en) * 2002-05-23 2013-12-17 Wounder Gmbh., Ll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and mobile e-commerce
JP2006191540A (ja) * 2004-12-09 2006-07-20 Ntt Docomo Inc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携帯型端末及び携帯型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US8489067B2 (en) * 2006-07-06 2013-07-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distribution of a mobile wallet for a mobile device
US8229458B2 (en) * 2007-04-08 2012-07-24 Enhanced Geographic Llc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the name of a location visited by a user of a wireless device
US7580699B1 (en) * 2007-10-18 2009-08-25 At&T Mobility Ii Llc Network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mobile devices to enhance consumer experience
US20120084210A1 (en) * 2010-09-30 2012-04-05 Arvin Farahmand Mobile device payment system
US20120130790A1 (en) * 2010-11-19 2012-05-24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and history-based distribution of offers to mobile devic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3806B2 (en) 2014-08-29 2020-12-01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US11295307B2 (en) 2014-08-29 2022-04-05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WO2017095164A1 (ko) * 2015-12-02 2017-06-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의 위치 기반 결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93419A (ko) * 2016-02-05 201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크라우드소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50090A1 (en)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51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device location using wireless data and other geographical location data
KR101667606B1 (ko)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가맹점 광고방법
KR20130082579A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Vaughan-Nichols Will mobile computing's future be location, location, location?
Kushki et al. WLAN positioning system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in location-based services
US8355693B2 (en) Determining application usage relative to a particular location
US90374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access point information in linkage with mobile card payment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US20170078851A1 (en) Associating a signal observation with a location tag
US85325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location for a RF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its proximity to a mobile device
US93804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access point information for location measurement
US83746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using mobile code
US20140164280A1 (en) Shipping address determination based on device location
TW201204130A (en) A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wireless access point using single device based power measurements
KR20090116526A (ko) 물류차량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물류정보시스템
JP2009171365A (ja) 位置情報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移動体端末及びアクセスポイント
CN113574558A (zh) 用于动态地理栅栏的电子装置及方法
US20170299688A1 (en) Beacon transmitting device and beacon transmitting method
CN111148035B (zh) 一种活动区域热力图的生成方法和服务器
Asghar et al. A review of location technologies for wireless mobile location-based services
CN101772157A (zh) 终端辅助的下行定位方法
US20140364143A1 (en) Providing location assistance information using data from smart meters
US201002380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KR20160124066A (ko)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가맹점 광고방법
US9307349B2 (en) Communication terminal, place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of detecting place information thereof
KR102646378B1 (ko) 가상 비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가상 비콘 서비스 실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