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855A - Window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 Google Patents

Window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855A
KR20130081855A KR1020120002922A KR20120002922A KR20130081855A KR 20130081855 A KR20130081855 A KR 20130081855A KR 1020120002922 A KR1020120002922 A KR 1020120002922A KR 20120002922 A KR20120002922 A KR 20120002922A KR 20130081855 A KR20130081855 A KR 20130081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ito electrode
ito
mobile termin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호
채수현
양승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2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1855A/en
Publication of KR20130081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8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window assembly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include an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 which is extended to the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window, thereby extending the display area of the window and improving an exterior design. CONSTITUTION: An ITO film (53) is attached to the back side of a window which i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s. An ITO electrode (55) provides a route which transmits the electric signal between the ITO film and an external device. One side of the ITO electrode is attached to one area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TO film. The other side is extended to the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ow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ne area am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ow. The ITO electrode exposes the pattern and the color comprising the ITO electrode to the outside.

Description

윈도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WINDOW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WINDOW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본 발명은 윈도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윈도우의 외주방향으로 연장된 ITO 전극을 포함하여, 윈도우의 표시영역이 확장되며 외관 디자인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윈도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assembly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ndow assembly including an ITO electrode extending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 window, the display area of the window being expanded and the appearance design being improved. It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or a mobile phone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a multimedia device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photographing or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music or a moving picture fi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The terminal can move It may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it is present.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the terminal, it is contemplat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ortion of the terminal.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한정된 크기 내에서 표시영역을 극대화하기 위한 각종 변형이 시도되고 있으나, 뚜렷한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various modifications have been made to maximize the display area within a limited size of various terminals including mobile terminals, but there is no clear improvement.

본 발명은 윈도우의 외주방향으로 연장된 ITO 전극을 포함하여, 윈도우의 표시영역이 확장되며 외관 디자인이 향상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윈도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assembly including an ITO electrode extending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 window, and to a window assembly having an effect of expanding a display area of the window and improving an appearance design,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어셈블리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배면(背面)에 부착된 ITO 필름; 및 상기 ITO 필름과 외부 디바이스 간의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ITO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ITO 전극은, 일측은 상기 ITO 필름의 외주(外周, outer circumference)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윈도우의 위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의 외주 중 적어도 일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Window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 window of a substantially transparent material; An ITO film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And an ITO electrode providing a path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ITO film and an external device, wherein the ITO electrode is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region of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ITO film and the other side thereof.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indow, i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ow of the transparent material.

상기 ITO 전극은, 상기 ITO 전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과 적어도 하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at least one pattern and at least one color constituting the ITO electrod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TO electrode.

상기 윈도우의 배면측에는 LCD 패널이 더 위치하며, 상기 LCD 패널에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의 면적과 상기 윈도우를 통하여 상기 LCD 패널이 관측되는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An LCD panel is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window, and an area of an area where an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LCD panel and an area where the LCD panel is observed through the window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상기 윈도우는, 상기 윈도우의 외주 중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가공되어 케이스에 접촉되는 곡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may further include a curved port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ow is curv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ase.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LCD 패널; 및 상기 LCD 패널의 전면 측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획득하는 윈도우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배면(背面)에 부착된 ITO 필름; 및 상기 ITO 필름과 외부 디바이스 간의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ITO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ITO 전극은, 일측은 상기 ITO 필름의 외주(外周, outer circumference)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윈도우의 위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의 외주 중 적어도 일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LCD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window assembly positioned on a front side of the LCD panel and acquiring a touch signal of a user, wherein the window assembly comprises: a window of a substantially transparent material; An ITO film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And an ITO electrode providing a path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ITO film and an external device, wherein the ITO electrode is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region of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ITO film and the other side of the ITO electrod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indow, i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ow of the transparent material.

상기 ITO 전극은, 상기 ITO 전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과 적어도 하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at least one pattern and at least one color constituting the ITO electrod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TO electrode.

상기 이동 단말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의 외주 중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케이스를 향한 곡면이 형성된 곡면부가 위치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ase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curved portion having a curved surface facing the case may be locat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ow.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윈도우의 외주방향으로 연장된 ITO 전극을 포함하여, 윈도우의 표시영역이 확장되며 외관 디자인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window assembly and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 ITO electrod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indow, thereby extending the display area of the window and improving the appearance desig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I-I 방향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 이동 단말기의 윈도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 이동 단말기와 다른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II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ndo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2.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different from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n addition, the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navigation.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etc.,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mobile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前面)에 위치한 윈도우 어셈블리(5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ndow assembly 50 located in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윈도우 어셈블리(50)는, 실질적으로 이동 단말기(100) 전면(前面)의 전영역(全領域)에 걸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전면측에서 이동 단말기(100)를 관측하는 경우에, 실질적으로 윈도우 어셈블리(50)의 외관이 관측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윈도우 어셈블리(50)는, 표시영역(DA, view are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ow assembly 50 may be located substantially over the entire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is, when the user observes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front side, it means that the appearance of the window assembly 50 can be substantially observed. The window assembly 50 may include a display area DA.

표시영역(DA)은,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이미지를 관측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즉, 표시영역(DA)을 통하여 LCD 패널(도 2의 57)의 이미지를 관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display area DA may be an area in which a user may observe an image. That is, the image of the LCD panel 57 of FIG. 2 may be observed through the display area DA.

표시영역(DA)의 면적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표시할 수 있는 이미지 영역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CD 패널(도 2의 57)의 이미지 표시영역이 상대적으로 넓은 경우에도 표시영역(DA)의 면적이 그 보다 적은 경우라면, 이미지의 표시가 제한될 수 있다.The area of the display area DA may be one of main factors for determining an image area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even when the image display area of the LCD panel 57 of FIG. 2 is relatively large, if the area of the display area DA is smaller than that, the display of the image may be restricted.

표시영역(DA)의 면적은, 윈도우 어셈블리(50)에 포함된 ITO 전극(도 2의 55)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해당하는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ITO 전극(도 2의 55)는, ITO 필름(도 2의 53)과 터치컨트롤러(미도시) 간의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투명한 ITO 필름(도 2의 53)과 달리, ITO 전극(도 2의 55)는 불투명할 수 있다. 따라서 불투명한 ITO 전극(도 2의 55)이 윈도우(도 2의 51)를 통하여 관측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불투명한 테코시트(도 4의 59a, 59b, deco sheet)를 부착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데코시트(도 4의 59a, 59b)를 제거하여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음은 물론 표시영역(DA)이 확장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The area of the display area DA may be limited by the ITO electrode 55 of FIG. 2 included in the window assembly 50.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rresponding part, the ITO electrode 55 of FIG. 2 may serve as a path for transmitting a signal between the ITO film 53 of FIG. 2 and the touch controller (not shown). Unlike the transparent ITO film (53 in FIG. 2), the ITO electrode (55 in FIG. 2) may be opaqu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opaque ITO electrode (55 in FIG. 2) from being observed through the window (51 in FIG. 2), it is necessary to attach the opaque teco sheets (59a, 59b and deco sheet in FIG. 4). May occur.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process by removing the decor sheets (59a and 59b of FIG. 4), and also have an effect of expanding the display area DA.

윈도우 어셈블리(50)의 외부를 구성하는 윈도우(도 2의 51)의 외주(外周)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곡면(曲面)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윈도우 어셈블리(50)를 구성하는 윈도우(도 2의 51)의 외주 부분이 일정하거나 변화되는 곡률로 휘어진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외주 부분에 곡면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외관 디자인을 보다 미려하게 설계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느끼는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ow 51 of FIG. 2 constituting the outside of the window assembly 50. That is, it means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window 51 of FIG. 2 constituting the window assembly 50 may be curved with a constant or varying curvature. Since the curv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the appearance design can be designed more beautifully. Furthermore, the grip feeling felt by the user can be improved.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I-I 방향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I-I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前面)에 위치한 윈도우 어셈블리(50)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어셈블리(50)는, 윈도우(51)와, ITO 필름(53)과, ITO 전극(55)과, LCD 패널(57)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ndow assembly 50 located in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window assembly 50 may include a window 51, an ITO film 53, an ITO electrode 55, and an LCD panel 57.

윈도우(5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前面) 및/또는 후면(後面)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윈도우(51)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후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대한 설명을 갈음한다.The window 51 may be located at the front side and / or the rea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case in which the window 51 is located at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and thus the description of the case where the window 51 is located at the rear thereof will be replaced.

윈도우(51)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51)는 투명한 유리, 강화유리, 플라스틱, 강화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51)는, 전면(全面)에 걸쳐서 투명하게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윈도우(51)를 통하여 LCD 패널(57)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다.The window 51 may be made of a substantially transparent material. For example, the window 51 may be made of transparent glass, tempered glass, plastic, reinforced plastic, or the like. The window 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ransparently over the entire surface. Therefore, the user can observe the image displayed on the LCD panel 57 through the window 51.

윈도우(51)의 외주는, 곡면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51)의 외주 부분이 케이스(10) 측으로 굽어져 있는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윈도우(51)가 굽어져 있음으로 인하여, 케이스(10)의 일부가 윈도우(51) 방향으로 돌출된 종래의 베젤(bezel)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베젤로 인한 이동 단말기(100)의 가용공간의 축소가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베젤이 존재하지 않게됨으로 인하여, 디자인적인 차별이 부각될 수도 있다.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ow 51 may be in the form of a curved surface. For example, it means that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window 51 may be bent to the case 10 side. Since the window 51 is bent, a conventional bezel in which a part of the case 10 protrudes toward the window 51 may not be required. Therefore, reduction of the available sp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due to the bezel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because the bezel is not present, design discrimination may be highlighted.

ITO 필름(53)은, 윈도우(51)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ITO 필름(53)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ITO 필름(53)은, 투명한 도전막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따라서 ITO 필름(53) 이라는 표현이, 단순히 인듐-틴-옥사이드를 사용한 투명한 도전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IZO(인듐-징크-옥사이드), AZO(Al-doped ZnO), CNT(탄소나노튜브), PEDOT(전도성 고분자), 은(Ag), 구리(Cu), 투명 잉크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ITO film 53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51. The ITO film 53 may detect a user's touch input. The ITO film 53 broadly means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herefore, the expression ITO film 53 is not limited to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which simply uses indium tin oxide. For example, IZO (Indium-Zink Oxide), AZO (Al-doped ZnO), CNT (Carbon Nanotube), PEDOT (Conductive Polymer), Silver (Ag), Copper (Cu), Transparent Ink, etc. may be used. It means that there is.

ITO 필름(53)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윈도우(51) 상면에 근접 및/또는 윈도우(51) 상면을 터치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 등의 근접 및/또는 터치가 된 지점 및/또는 시간을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ITO film 53 may detect this when the user's finger or the like tou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51 and / or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51. For example, it means that a point and / or time when a proximity and / or a touch of a finger or the like is made can be sensed.

ITO 전극(55)은, ITO 필름(53)과 외부 디바이스(미도시) 간의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경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미도시)는, ITO 컨트롤러일 수 있다. 외부 다비이스(미도시)는, ITO 필름(53)을 통한 감지값 그 자체 및/또는 감지값을 가공한 결과를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The ITO electrode 55 may be a path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ITO film 53 and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not shown) may be an ITO controller. The external device (not shown) may transmit the result of processing the detection value itself and / or the detection value through the ITO film 53 to the controller 180.

ITO 전극(55)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금속재질일 수 있다. ITO 전극(55)은, 확대하여 관찰한다면 다수의 전선의 집합일 수 있다. 다만, ITO 전극(55)을 구성하는 전선은 매우 미세하여, 통상적인 시각으로 관찰하는 경우라면 금속의 판막과 같이 보일 수 있다.The ITO electrode 55 may be made of metal in order to transmit electrical signals as described above. The ITO electrode 55 may be a collection of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if magnified and viewed. However, the electric wire constituting the ITO electrode 55 is very fine and may look like a metal valve if observed in a normal time.

ITO 전극(55)은 일측이 ITO 필름(53)의 외주에 접촉되고 타측은 실질적으로 윈도우(51)의 외주까지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51)의 면적은, ITO 필름(53) 면적과 ITO 전극(55) 면적의 합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One side of the ITO electrode 55 may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TO film 53, and the other side of the ITO electrode 55 may extend substantially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ow 51. For example, the area of the window 51 may mean the sum of the area of the ITO film 53 and the area of the ITO electrode 55.

ITO 전극(55)은, 윈도우(51)를 통하여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시각으로 관찰할 때 금속판막과 같이 보이는 ITO 전극(55) 자체가 관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금속판막과 같은 ITO 전극(55)이 관찰되므로 해당 부분에 별도의 데코레이션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The ITO electrode 55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indow 51. That is, as described above, it means that the ITO electrode 55 itself, which looks like a metal plate film, can be observed when viewed in a normal view. Since the ITO electrode 55, such as a metal plate, is observed, a separate decoration may not be required for the corresponding portion.

ITO 전극(55)은, ITO 필름(53)의 외주 부분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종래와는 달리 LCD 패널(57)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ITO 전극(55)이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LCD 패널(57)의 면적(A)과 ITO 필름(53)의 면적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표시영역(도 1의 DA)의 면적이 증가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The ITO electrode 55 may be located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TO film 53. That is, unlike the related art, the ITO electrode 55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not overlapping with the LCD panel 57. For example, it means that the area A of the LCD panel 57 and the area of the ITO film 53 can be substantially the same. Therefore, as compared with the related art, the area of the display area (DA of FIG. 1) can be increased.

LCD 패널(57)은, 윈도우(51)의 배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터치동작이 수행되는 윈도우(51)의 반대편에 LCD 패널(57)이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The LCD panel 57 may be located on the back side of the window 51. That is, the LCD panel 57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indow 51 where the user's touch operation is performed.

도 3은 도 2 이동 단말기의 윈도우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ndo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2.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윈도우(51)는, 표시영역(DA)과 데코영역(MA)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window 51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area DA and a decor area MA.

표시영역(DA)은, LCD 패널(도 2의 57)에서 생성된 영상이 외부로 표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The display area DA may be an area where an image generated by the LCD panel 57 of FIG. 2 is externally displayed.

데코영역(MA)은, 표시영역(DA)의 외주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데코영역(MA)을 표시영역(DA)의 좌우측에 표시하였으나, 데코영역(MA)은 표시영역(DA)의 상하 등에도 위치할 수 있다.The decor area MA may be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play area DA. In FIG. 3, the decor area MA is display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area DA, but the decor area MA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isplay area DA.

데코영역(MA)은, 별도의 데코필름의 부착 등이 없이 ITO 전극(도 2의 55) 자체에 의하여 표출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재질이며 통상적인 시각으로 볼 때 금속막과 같이 보여지는 ITO 전극(도 2의 55) 자체에 의하여 데코레이션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데코영역(MA)은 ITO 전극(도 2의 55)을 이루는 패턴,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노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 데코영역(MA)을 위하여 별도로 데코필름 등을 부착하지 않는 것이 가능함으로 인하여, 생산공정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decor area MA may be expressed by the ITO electrode (55 in FIG. 2) itself without attaching a separate decor film. That is, as described above, it means that the decoration effect can be achieved by the ITO electrode (55 of FIG. 2) itself, which is made of metal and looks like a metal film in a normal view. The decor area MA may have a form in which at least one of a pattern and a color forming the ITO electrode 55 of FIG. 2 is exposed. Since it is possible not to attach a deco film or the like separately for the decor area MA,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production process. Therefore, the cost reduction effect can be expected.

도 4는 도 1 이동 단말기와 다른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different from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표시영역(DA)의 면적을 확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an effect of enlarging the area of the display area DA.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 단말기(100a)는, 제1 표시영역(DAa)에 해당하는 면적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LCD 패널(57)에 표시된 이미지가 제1 표시영역(DAa)의 면적에 해당하는 크기로 관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4A,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may display an image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DAa. That is, it means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LCD panel 57 can be observ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first display area DAa.

제1 표시영역(DAa)은, 제1 윈도우(51a)의 제1 데코필름(59a)에 의하여 차폐되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일 수 있다. 제1 데코필름(59a)은, 제1 ITO 전극(55a)을 차폐하는 데코레이션 필름일 수 있다.The first display area DAa may be an area excluding a portion of the first window 51a that is shielded by the first decor film 59a. The first decor film 59a may be a decoration film that shields the first ITO electrode 55a.

제1 윈도우(51a)의 외주측에는 케이스(10)에서 연장된 베젤(10a)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윈도우(51a)의 외측에 베젤(10a)이 위치함으로 인하여, 외관디자인을 구성함에 있어서 한계가 있을 수 있다.The bezel 10a extending from the case 10 may be located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first window 51a. Due to the location of the bezel 10a on the outside of the first window 51a, there may be a limit in constructing the appearance design.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 단말기(100b)는, 제2 표시영역(DAb)에 해당하는 면적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LCD 패널(57)에 표시된 이미지가 제2 표시영역(DAb)의 면적에 해당하는 크기로 관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4B,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may display an image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DAb. That is, it means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LCD panel 57 can be observ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second display area DAb.

제2 표시영역(DAb)은, 제2 윈도우(51b)의 제2 데코필름(59b)에 의하여 차폐되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일 수 있다. 제2 데코필름(59b)은, 제2 ITO 전극(55b)을 차폐하는 데코레이션 필름일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area DAb may be an area excluding a portion of the second window 51b that is shielded by the second decor film 59b. The second decor film 59b may be a decoration film that shields the second ITO electrode 55b.

제2 ITO 전극(55b)을 일부 차폐하며 연장된 제2 데코필름(59b)을 구성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데코필름(59b)을 생성하기 위한 공정으로 인하여 원가가 상승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In order to partially extend the second decor film 59b while partially shielding the second ITO electrode 55b, an additional process may be required. In additio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second decor film 59b may cause a cost increase.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표시영역(DA)에 해당하는 면적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LCD 패널(57)에 표시된 이미지가 표시영역(DA)의 면적에 해당하는 크기로 관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4C,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display an image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DA. That is, it means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LCD panel 57 can be observ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display area DA.

표시영역(DA)은, 제1,2 표시영역(DAa, DAb) 보다 넓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제1,2 데코필름(59a, 59b)의 존재를 고려할 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표시영역(DA)이 확대됨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전체적은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이미지를 좀더 크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표시영역(DA)을 넓게 표현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를 생산하기 위한 비용이, 제1,2 데코필름(59a, 59b)을 생성하는 공정의 생략으로 인하여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The display area DA may be wider tha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areas DAa and DAb. This can be clearly understood when considering the presence of the first and second decor films 59a and 59b. As the display area DA is enlarged, the image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larger while maintaining the same size.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area DA can be widely expressed, an advantageous effect can be expected in terms of design. Furthermore, the cost for producing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expected to be reduced due to the omission of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first and second decor films 59a and 59b.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100: mobile terminal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sensing unit 151: display unit
180:

Claims (7)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배면(背面)에 부착된 ITO 필름; 및
상기 ITO 필름과 외부 디바이스 간의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ITO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ITO 전극은,
일측은 상기 ITO 필름의 외주(外周, outer circumference)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윈도우의 위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의 외주 중 적어도 일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어셈블리.
A window of substantially transparent material;
An ITO film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And
Including an ITO electrode for providing a path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ITO film and an external device,
The ITO electrode,
One side is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TO film and the other side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indow,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ow of the transparent material Window assemb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ITO 전극은,
상기 ITO 전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과 적어도 하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TO electrode,
And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pattern and at least one color constituting the ITO electrode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배면측에는 LCD 패널이 더 위치하며,
상기 LCD 패널에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의 면적과 상기 윈도우를 통하여 상기 LCD 패널이 관측되는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CD panel is further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window,
And an area of the area where the LCD panel can display an image and an area where the LCD panel is observed through the window are substantially the sa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윈도우의 외주 중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가공되어 케이스에 접촉되는 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above window,
And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ow is curved to contact the case.
이미지를 표시하는 LCD 패널; 및
상기 LCD 패널의 전면 측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획득하는 윈도우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어셈블리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배면(背面)에 부착된 ITO 필름; 및
상기 ITO 필름과 외부 디바이스 간의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ITO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ITO 전극은,
일측은 상기 ITO 필름의 외주(外周, outer circumference)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윈도우의 위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의 외주 중 적어도 일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n LCD panel displaying an image; And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LCD panel, including a window assembly for obtaining a user's touch signal,
The window assembly,
A window of substantially transparent material;
An ITO film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And
Including an ITO electrode for providing a path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ITO film and an external device,
The ITO electrode,
One side is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TO film and the other side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indow,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ow of the transparent material Mobile terminal.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ITO 전극은,
상기 ITO 전극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과 적어도 하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TO electrode,
And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pattern and at least one color constituting the ITO electrode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의 외주 중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케이스를 향한 곡면이 형성된 곡면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case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In at least one area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ow,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surface portion is formed facing the case.
KR1020120002922A 2012-01-10 2012-01-10 Window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KR201300818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922A KR20130081855A (en) 2012-01-10 2012-01-10 Window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922A KR20130081855A (en) 2012-01-10 2012-01-10 Window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855A true KR20130081855A (en) 2013-07-18

Family

ID=4899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922A KR20130081855A (en) 2012-01-10 2012-01-10 Window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185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2972A (en) * 2014-04-24 201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2972A (en) * 2014-04-24 201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485B1 (en) Touch panel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EP297936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4007922B (en) The method that feedback is provided and the terminal for realizing the method are inputted in response to user
US11257401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ppl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49646B1 (en) Portable terminal
CN103809792A (en) Touch display
KR20150019165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147761A1 (en) Touch panel, touch-panel manufacturing method, and touch-panel-integrated display device
KR20150019133A (en) Mobile terminal
KR102155836B1 (en)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objects display on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for
US20150092120A1 (en) Touch panel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N109375822B (en) Touch screen, touch display screen and mobile terminal
US20160026309A1 (en) Controller
CN105278771A (en) Non-blocking touch handheld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835986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execution screen of applic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559030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ouch pan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40085208A1 (en) Touchscree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5278717A (en) Slip band type intelligent apparatus
CN103336639A (en) Capacitive touch screen
KR101388793B1 (en) Digitizer pen, in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10128611A (en) Mobile terminal with dual display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terminal
US20230051261A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37791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30051784A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30081855A (en) Window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