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644A -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와 이를 위한 직물 슬리브 팽창 리미터 및 배기 행거 밴드의 인장 강도 증가 방법 - Google Patents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와 이를 위한 직물 슬리브 팽창 리미터 및 배기 행거 밴드의 인장 강도 증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644A
KR20130081644A KR1020127027924A KR20127027924A KR20130081644A KR 20130081644 A KR20130081644 A KR 20130081644A KR 1020127027924 A KR1020127027924 A KR 1020127027924A KR 20127027924 A KR20127027924 A KR 20127027924A KR 20130081644 A KR20130081644 A KR 20130081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wall
wale direction
sleeve
hanger band
w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7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씨 엠 말로이
존 에머슨 버디
Original Assignee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8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30/00Structure of catalyst support or particle filter
    • F01N2330/12Metallic wire mesh fabric or kni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와 그 슬리브 및 배기 행거 밴드의 인장 강도(elongation strength)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는 배기 부재를 차량의 프레임 부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탄성중합체 바디를 포함한다. 탄성중합체 바디는 양 측면부 사이에서 바디 중심축을 따라 뻗어있는 환형의 외면을 가진다. 조립체는 양 단부 사이에서 바디 중심축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슬리브 중심축을 따라 뻗어있는 관형 벽을 가지는 직물 슬리브를 더 포함한다. 관형 벽은 슬리브 중심축을 따라 뻗어있는 적어도 한 구역의 웨일 방향 편사 및 관형 벽의 외주 둘레에 웨일 방향 편사에 대해 대체로 횡단하여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사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위사는 적어도 한 구역의 웨일 방향 편사와 연결된다.

Description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와 이를 위한 직물 슬리브 팽창 리미터 및 배기 행거 밴드의 인장 강도 증가 방법{EXHAUST HANGER BAND ASSEMPLY AND TEXTILE SLEEVE EXPANSION LIMITER THEREFOR AND METHOD OF INCREASING THE TENSILE STRENGTH OF AN EXHAUST HANGER BAND}
본 발명은 대체로 충격 하중 감쇠용 탄성중합체 바디를 가지는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의 연신을 제한하는데 사용되는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행거 밴드에 감쇠 특성을 통합시키는 탄성중합체 재료로 몰딩가공된 메인 바디를 가지는 배기 행거 밴드를 구성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배기 행거 밴드는 통상적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관통형 개구부를 가지며, 관통형 개구부는 일반적으로 그 개구부를 통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뻗어있는 분리 행거 로드(hanger rod)의 수납용 평행 축들을 따라 뻗어있다. 행거 로드 중 하나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프레임 부재에 고정되고, 행거 로드 중 다른 하나는 통상적으로 배기 부재에 고정된다. 사용 동안, 분리 행거 로드는 차량이 도로에서 충돌에 직면할 때 압축 하중 및 인장 하중을 행거 밴드에 전하는 한편, 바디의 탄성중합체 특성은 그렇지 않으면 야기될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작용한다. 안타깝게도, 행거 밴드의 탄성중합체 특성은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들고, 그로 인하여 밴드의 피로로 이어지며, 결국은 밴드는 인장하에서 연신되어 파괴점까지 이르게 된다. 탄성중합체 밴드의 피로 파괴율에 영향을 주는 몇몇 요인으로 밴드 상에 주어지는 인장력의 크기, 밴드 상에 주어지는 인장력의 지속시간 및 빈도 수, 차량에 의해 횡단되는 영역의 요철성 그리고 사용 중 밴드가 겪는 배기 시스템으로부터의 열의 노출 정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직물 슬리브와 통합되는 행거 밴드는,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거나 극히 최소화시킨다.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는 배기 부재를 차량의 프레임 부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탄성중합체 바디를 포함한다. 탄성중합체 바디는 양 측면부 사이에서 바디 중심축을 따라 뻗어있는 환형의 외면을 가진다. 조립체는 바디 중심축 및 양 단부 사이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슬리브 중심축을 따라 뻗어있는 관형 벽을 가지는 직물 슬리브를 추가로 포함한다. 관형 벽은 슬리브 중심축을 따라 뻗어있는 적어도 한 구역의 웨일 방향 편사(wale direction knit yarn) 및 관형 벽의 외주 둘레의 경편사에 대해 대체로 횡단하여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사(weft inserted yarns)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위사는 적어도 한 구역의 웨일 방향 편사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탄성중합체 배기 행거 밴드에 대해 밀착 끼움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직물 슬리브가 제공된다. 직물 슬리브는 양 단부 사이에서 중심축을 따라 뻗어있는 관형 벽을 가진다. 관형 벽은 중심축을 따라 뻗어있는 적어도 한 구역의 웨일 방향 편사 및 관형 벽의 외주 둘레의 웨일 방향 편사에 대해 대체로 횡단하여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사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위사는 적어도 한 구역의 웨일 방향 편사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탄성중합체 배기 행거 밴드의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이 방법은 환형의 외면을 가진 탄성중합체 배기 행거 밴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관형 직물 슬리브를 환형의 외면 둘레에 밀착 끼움되게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직물 슬리브는 인장력을 견디도록 증가된 용량을 가진 행거 밴드를 제공하고, 거기에 적용되는 주어진 인장력을 위한 행거 밴드의 연신량을 감소시키며, 복사열을 견디도록 행거 밴드의 능력을 증가시키고, 행거 밴드의 유효 수명을 늘리며, 본 발명의 행거 밴드의 인장 강도를 쉽게 증가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행거 밴드에 개장(retrofitted)되도록 개조되고, 제조 및 사용면에서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이런저런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최선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첨부의 도면을 고려하여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즉시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직물 슬리브를 포함하는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몰딩가공된 직물 슬리브를 포함하는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의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직물 슬리브의 단면도(end view)이다.
도 3은 직물 슬리브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일 실시예에 따라 편물 패턴을 도시하되, 직물 슬리브의 내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직물 슬리브의 외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직물 슬리브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편물 패턴을 도시하되, 직물 슬리브의 외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슬리브의 경도 축을 따라 절단된 직물 슬리브 벽의 개략적인 단면도(cross-sectional view)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직물 슬리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직물 슬리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배기 행거 밴드의 인장 연신 및 주어진 인장 하중 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슬리브와 통합되는 배기 행거 밴드의 인장 연신(tensile elongation)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을 보다 상세하게 참조하면,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구성되고 이하에서 단순히 슬리브(12)라고 언급되는 팽창 리미터(limiter) 직물 슬리브를 포함하는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10) 및 탄성중합체 바디(14)를 가지는 행거 밴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바디(14)는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주지의 행거 밴드 구성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한편, 슬리브(12)는 제조되는 조립체 또는 에프터 마켓 중 어느 하나로서 행거 밴드 바디(14)의 환형 외면(16) 위에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슬리브(12)는 바디(14)에 대해 추가된 강도가 제공되도록 이미 존재하는 행거 바디(14) 위에 배치되어 있다. 슬리브(12)를 바디(14) 위에 배치할 때, 바디(14)는 그 유용한 탄성을 보유하고, 그 때문에 사용 중의 진동을 흡수하고 감쇠시키는 기능을 유지하지만, 다른 것들 중에서 슬리브(12)는 도 9의 그래프에서 도시되는 것과 같이 바디(14)의 인장 연신의 거리를 제한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바디(14)는 피로 지점까지 늘어남이 없이 높은 인장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그 때문에 행거 밴드 바디(14)의 유효 수명을 향상시킨다.
행거 바디(14)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관통형 개구부(18,20)를 가지며, 관통형 개구부(18,20)는 관통형 개구부를 통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뻗어있는 분리 행거 로드(22,24)의 수납용 평행 축을 따라 뻗어있다. 행거 로드 중 하나(22)는 차량의 프레임 부재(미도시)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행거 로드의 다른 하나(24)는 배기 부재(미도시)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행거 바디(14)는 배기 부재를 차량에 작동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행거 바디(14)의 외면(16)은 양 측면부(26,28) 사이에서 중심축(29)을 따라 뻗어있는 너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기립되고 원주방향으로 뻗어있는 에지(30)를 포함하고, 이 에지(30)는 각각의 측면부(26,28)에 인접한다. 따라서, 외면(16)은 마주하여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확개되는(flared) 에지(30) 사이에 뻗어있는 다소 축소된 환형 직경 부분(32)을 가진다.
도 1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2)는 개방형 양 단부(38,40) 사이에서 슬리브 중심축(36)을 따라 뻗어있는 관형 벽(34)을 가진다. 도 3 및 도 5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벽(34)은 중심축(36)을 따라 뻗어있는 적어도 한 구역(42)의 웨일 방향 편사(44), 중심축(36)에 대해 대체로 횡단하여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씨실이 내적된 실(weft laid-in yarn)(위사(46)라고도 함) 및 관형 벽(34)의 외주 둘레에 웨일 방향 편사(44)를 가진다. 위사(46)는 도 6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턱 스티치(tuck stitches)(48)를 통하여 웨일 방향 편사(44)와 연결되어 있고, 복수 개의 웨일 방향 편사(44)를 넘어서 직선 방향으로 외측으로 뻗어있는 플로트(50)를 가진다. 따라서, 위사(46)는 최소량의 실을 사용하는 관형 벽(34)의 외주 둘레에 뻗어있고, 실은 "편물(knit)" 루프를 가지지 않고 대체로 직선 경로를 따라 뻗어있기 때문에 최소한의 크림프를 가짐으로써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조우할 때 최소한의 연신을 갖는다. 웨일 방향 편사(44) 및 위사(46)는 다양한 재료로 제공되고, 특히 위사(46)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파라-아라미드(케블라,트와론), 액정 중합체(백트란), 고 강인성 중합체(패트,나일론)와 같은 고 장력 실로서 제공되고, 추가적으로는 예컨대 1,000정도의 비교적 큰 데니어를 가진다. 따라서, 웨일 방향 편사(44) 및 위사(46)는 매우 높은 파괴 강도 및 매우 낮은 연신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게다가, 이 사(44,46)는 차량의 배기 시스템에 가까이 인접하여 조우되는 것과 같은 고온에 대해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웨일 방향 편사(44)는 관형 벽(34)의 외주 둘레에 연속하여 뻗어있고, 양 단부(38,40) 사이에서 연속하여 뻗어있다. 따라서, 웨일 방향 편사(44)는 관형 벽(34)의 외면(52) 및 내면(54)을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위편사와 경편사가 웨일 방향 편사(44)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떠있을 수 있을지라도, 위편사(46)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위사 방향을 따라 경편사(44)와 함께 삽입되어 있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경편사(44)는 내면(54)을 따라 뻗어있는 플로트(50)를 가지고 삽입되어 있다(도 3 및 도 5). 따라서, 외면(52)에서 볼 때 위편사(46)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웨일 방향 편사(44)는 예를 들어 저지 니트 스티치(jersey knit stitich), 인터락 니트 스티치(interlock knit stitch), 리브 니트 스티치(rib knit stitch)와 같은 임의의 다양한 니트 스티치를 이용하여 편성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게다가, 웨일 방향 편사(44)는 단부(38,40)에서 어떠한 위사(46)도 없는 마감 편물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10')는 탄성중합체 행거 바디(14)의 외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슬리브(12)라기보다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사하게 구성되는 슬리브(12)를 가지고 있으며, 행거 바디(14)는 슬리브(12)에 몰딩가공 되어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중합체 행거 바디(14)는 슬리브(12) 둘레에 오버 몰딩가공 되어서, 슬리브(12)는 행거 바디(14)의 탄성중찹체 재료 내에 몰딩가공 되어 삽입된다. 따라서, 슬리브(12) 및 행거 바디(14)는 완전한 불가분인 일체형 조립체이고, 이 슬리브(12)는 보이지 않으나 바디(14)의 재료로써 보호되어있다(encapsulated). 물론, 슬리브(12)는 탄성중합체 재료가 슬리브(12)의 반경방향으로 내측으로 몰딩가공 된다면 외부 부재로서 잔존할 수 있으므로, 슬리브(12)는 바디(14) 외면에 대한 몰딩가공 공정에서 바디(14)의 몰딩 재료에 접착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슬리브(12)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바디(14)가 슬리브(12)의 미리 정하여진 원주 한계를 넘어서 탄력적으로 신장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조립체(10')의 유효 수명을 늘리도록 기능할 수 있고, 더욱이 바디(14)의 조기 피로를 방지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도 7에는, 슬리브(112)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도시되어 있고, 슬리브(12)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일한 참조 번호에 100을 더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부재를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슬리브(112)는 관형벽(134)을 가지되, 벽(134)은 양 단부(138,140) 사이로 뻗어있는 웨일 방향 편사의 원주방향으로 연속하여 얽혀있는 네트워크를 가지고, 슬리브(112)는 관형 벽(134)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웨일 방향 편물 구역(56)에 구성되어 있는 웨일 방향 편사(144)를 가지며, 구역(56)은 슬리브(112)의 경도방향의 중심축(136)에 대체로 평행하게 뻗어있다. 더불어,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웨일 방향 편물 구역(56)은 관형 벽(134)의 외주 둘레에 뻗어있는 환형의 웨일 방향 편물 구역(5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예로서, 환형의 웨일 방향 편물 구역(58)은 관형 벽(134) 양 단부(138,140) 둘레에 뻗어있고 양 단부(138,140)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앞서 언급된 슬리브(12)와 마찬가지로, 슬리브(112)는 적어도 몇몇 웨일 방향 편사(144)와 얽혀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사(146)를 가지고 있어서, 웨일 방향 편사(144)는 위사(146)를 적소에 붙들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위사(146)는 중심축(136)을 따라 뻗은 웨일 방향 편물 구역(56)과 얽혀있는 것이지, 단부(138,140)를 형성하는 환형의 웨일 방향 편물 구역(58)과 얽혀있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위사(146)는 슬리브(112)에 미리 정하여진 고정된 반경방향의 연신을 제공하고, 이는 탄성중합체 행거 밴드 바디(14)가 슬리브(112)의 연신 한계를 넘어서 연신되는 것을 방지하여서, 그 행거 밴드 바디(14)의 유효 수명을 늘린다.
도 8에서, 슬리브(2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고, 슬리브(12)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일한 참고 번호에 200을 더한 참고 번호는 유사한 부재를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슬리브(212)는, 슬리브(112)와 유사하게 양 단부(238,240) 사이에 뻗어있는 관형 벽(234)을 가지고 이 관형 벽(234)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웨일 방향 편물 구역(256)에 구성되어 있는 웨일 방향 편사(244)를 가지고, 구역(256)은 슬리브(212)의 경도방향 중심축(236)에 대체로 평행하게 뻗어있다. 그러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웨일 방향 편물 구역(256)은 환형의 웨일 방향 편물 구역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별개의 구역(256)으로서 완전히 분리된 채로 남아있다.
앞서 언급된 슬리브(12)와 마찬가지로, 슬리브(212)는 적어도 몇몇 웨일 방향 편사(244)와 얽혀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사(246)를 가진다. 위사(246)는 중심축(236)을 따라 뻗어있는 경사 편물 구역(256)과 얽혀있고 슬리브(212)에 미리 정하여진 고정된 반경방향의 연신을 제공하며, 이는 탄성중합체 행거 바디(14)가 슬리브(212)의 연신 한계를 넘어서 늘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행거 밴드 바디(14)의 유효 수명을 늘린다.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행거 밴드 조립체는, 예컨대 편물 슬리브의 크기와 형상을 변경시킴으로써 다양한 형상, 크기 및 직경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사실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당해 출원 및 임의의 관련 출원에서 이슈화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의되어 진다.

Claims (25)

  1. 배기 부재를 차량의 프레임 부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양 측면부 사이에서 바디 중심축을 따라 뻗어있는 환형의 외면을 가지는 탄성중합체 바디; 및
    양 단부 사이에서 상기 탄성중합체 바디의 상기 중심축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슬리브 중심축을 따라 뻗어있는 관형 벽을 가지는 직물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벽은 상기 중심축을 따라 뻗어있는 적어도 한 구역의 웨일 방향 편사 및 상기 관형 벽의 외주 둘레에 상기 웨일 방향 편사에 대해 대체로 횡단하게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사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사는 상기 적어도 한 구역의 웨일 방향 편사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슬리브는 상기 탄성중합체 바디의 상기 외면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바디는 상기 직물 슬리브에 몰딩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바디는 상기 직물 슬리브 둘레에 오버 몰딩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구역의 웨일 방향 편사는 상기 관형 벽 둘레에 연속하여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사는 상기 웨일 방향 편사에 대해 횡단하게 뻗어있는 플로트 부분(float portion)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부분은 상기 관형 벽의 내면을 따라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구역의 경편사는 상기 관형 벽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경사 편물 구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웨일 방향 편물 구역은, 상기 관형 벽의 상기 외주 둘레에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의 웨일 방향 편물 구역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환형의 웨일 방향 편물 구역은 상기 관형 벽의 상기 양 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
  11. 탄성중합체 배기 행거 밴드 둘레에 밀착 끼움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된 직물 슬리브로서,
    양 단부 사이에서 중심축을 따라 뻗어있는 관형 벽을 구비하고, 상기 벽은 상기 중심축을 따라 뻗어있는 적어도 한 구역의 웨일 방향 편사 및 상기 관형 벽의 외주 둘레에 상기 웨일 방향 편사에 대해 대체로 횡단하게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사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사는 상기 적어도 한 구역의 웨일 방향 편사와 서로 연결되어있는 직물 슬리브.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구역의 웨일 방향 편사는 상기 관형 벽 둘레에 연속하여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사는 상기 웨일 방향 편사에 대해 횡단하게 뻗어있는 플로트 부분(float portion)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부분은 상기 관형 벽의 내면을 따라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구역의 웨일 방향 편사는 상기 관형 벽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웨일 방향 편물 구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웨일 방향 편물 구역은 상기 관형 벽의 상기 외주 둘레에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의 웨일 방향 편물 구역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환형의 웨일 방향 편물 구역은 상기 관형 벽의 상기 양 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18. 환형의 외면을 가지는 탄성중합체 배기 행거 밴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관형 직물 슬리브를 상기 환형의 외면 둘레에 밀착 끼움되게 배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탄성중합체 행거 밴드의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중심축을 따라 양 단부 사이에 뻗어있는 적어도 한 구역의 웨일 방향 편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관형 벽의 외주 둘레에 상기 웨일 방향 편사에 대해 대체로 횡단하게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사를 가지고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위사를 상기 적어도 한 구역의 웨일 방향 편사에 서로 연결하는 직물 슬리브의 벽을 편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중합체 행거 밴드의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벽 둘레에 상기 적어도 한 구역의 웨일 방향 편사를 연속적으로 편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중합체 행거 밴드의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사에 상기 웨일 방향 편사에 대해 횡단되게 뻗어있는 플로트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중합체 행거 밴드의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벽의 내면을 따라 상기 플로트 부분을 연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중합체 행거 밴드의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벽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웨일 방향 편물 구역에 상기 적어도 한 구역의 웨일 방향 편사를 편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중합체 행거 밴드의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웨일 방향 편물 구역을 상기 관형 벽의 외주 둘레에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의 웨일 방향 편물 구역과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중합체 행거 밴드의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벽의 상기 양 단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일 방향 편물 구역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중합체 행거 밴드의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KR1020127027924A 2010-03-31 2010-03-31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와 이를 위한 직물 슬리브 팽창 리미터 및 배기 행거 밴드의 인장 강도 증가 방법 KR201300816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0/029338 WO2011123105A1 (en) 2010-03-31 2010-03-31 Exhaust hanger band assembly and textile sleeve expansion limiter therefor and method of increasing the tensile strength of an exhaust hanger b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644A true KR20130081644A (ko) 2013-07-17

Family

ID=4471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924A KR20130081644A (ko) 2010-03-31 2010-03-31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와 이를 위한 직물 슬리브 팽창 리미터 및 배기 행거 밴드의 인장 강도 증가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525658A (ko)
KR (1) KR20130081644A (ko)
CN (1) CN102906391A (ko)
WO (1) WO20111231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9706A1 (en) * 2016-11-30 2018-06-07 Jaguar Land Rover Limited Vehicle exhaust system and exhaust isolator assembly
GB2557368B (en) * 2016-11-30 2019-02-20 Jaguar Land Rover Ltd Exhaust isolator assembly
FR3077845B1 (fr) * 2018-02-14 2020-01-24 Psa Automobiles Sa Vehicule automobile a crochet d’echappement relie au silencieux par des moyens rupture predeterm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1248A (en) * 1994-06-23 1996-03-26 Lmk Enterprises, Inc. Expandable pipe liner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20030018135A (ko) * 2001-08-27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장변위의 제한이 가능한 배기계 마운팅 행거
KR20060058279A (ko) * 2004-11-25 2006-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머플러의 행거
US8273429B2 (en) * 2006-01-19 2012-09-25 Federal-Mogul World Wide, Inc. Fabric for end fray resistance and protective sleeves formed therewith and methods of construction
US20080135119A1 (en) * 2006-12-07 2008-06-12 Takashi Tonooka Protective sleeve assembly having a support memb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3105A1 (en) 2011-10-06
CN102906391A (zh) 2013-01-30
JP2013525658A (ja)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9981B2 (ja) パイプ、特に燃料パイプを衝撃から保護するためのシース
US11608576B2 (en) Knit sock with targeted compression zone
JP5165576B2 (ja) 二方向弾性補強要素を有するタイヤ
KR101429571B1 (ko) 자동-말림 편성 슬리브 및 제조 방법
CN100533890C (zh) 柔性防护波纹管
US8021051B2 (en) Sleeve bearing assembly and method of construction
CN109312507B (zh) 带有可轴向地塌缩的抗扭结特征的编织织物套筒及其构造方法
US10697588B2 (en) Inflatable structural member
US20110240827A1 (en) Exhaust hanger band assembly and textile sleeve expansion limiter therefor and method of increasing the tensile strength of an exhaust hanger band
US20120168061A1 (en) Sleeve bearing assembly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20160124128A (ko) 비틀림이 없는 래핑가능한 편성 슬리브 및 그 제조 방법
US4679599A (en) Safety hose
EP1236822A1 (en) Utilisation of a warp knitting machine for the manufacturing of open or closed tubes for protecting cables, conduits and the like, and protecting tube manufactured with said machine
JP5143826B2 (ja) 二方向弾性補強要素を有するアンカーを備えたタイヤ
KR20130081644A (ko) 배기 행거 밴드 조립체와 이를 위한 직물 슬리브 팽창 리미터 및 배기 행거 밴드의 인장 강도 증가 방법
JP7152108B2 (ja) ダブルラッセル編地
US20210291092A1 (en) Bag-shaped filter
NZ272692A (en) Grasscatcher bag made from a warp knit fabric
JP2009537391A (ja) 二方向弾性補強要素を有する下方領域を備えたタイヤ
KR20190028722A (ko) 자발적 확대 상태와 수축 상태를 가진 편물로 짜여진 직물 슬리브 및 상기 편물로 짜여진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JP7305913B2 (ja) ホースカバー
CN112013069B (zh) 可膨胀结构构件
KR101648757B1 (ko) 편성포와 그 편성방법
JP2012097361A (ja) 衣料用生地及び圧迫衣料
JP2016183429A (ja) 筒状経編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