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0081A -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0081A
KR20130080081A KR1020120000803A KR20120000803A KR20130080081A KR 20130080081 A KR20130080081 A KR 20130080081A KR 1020120000803 A KR1020120000803 A KR 1020120000803A KR 20120000803 A KR20120000803 A KR 20120000803A KR 20130080081 A KR20130080081 A KR 20130080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coordinate value
unit
inpu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8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태형
김동희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0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0081A/en
Publication of KR2013008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0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Abstract

PURPOSE: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hare the inputted coordinate value of a user with communication terminals, thereby offering a new communication method to users. CONSTITUTION: An application driving unit (240) manages the driving state of an applic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n operation mode management unit (250) changes and confirms the operation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 coordinate value processing unit (270) collects the coordinate values which are inputted through an input unit. When the input for pages exists in a coordinate value, the coordinate value processing unit adds a set of information to the coordinate value according to the page which is the input object of the user; transmits the coordinate value and the information; and generates a figure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 which is received from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Reference numerals] (100)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200) Control unit; (210) Communication unit; (220) Input unit; (230) Output unit; (240) Application driving unit; (250) Operation mode management unit; (260) Registration state checking unit; (270) Coordinate value processing unit; (280) Storing unit

Description

통신단말 및 그 통신단말의 정보처리 방법{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2 이상의 통신단말 간의 정보처리,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통신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다른 통신단말과 공유하여 복수의 통신단말을 통해 공통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processing between two or mor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more particularly,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sharing a user's input for on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perform common tasks throug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It is about.

통신단말장치는 대중에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사회 각층의 사용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및 컴퓨팅이 가능한 스마트폰 등을 통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활용되고 있으며, 메신저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 통신을 활용해 통신단말장치의 사용자 간에 문자메시지를 보내거나 영상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의사소통에 활용하고 있다.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are widely available to the public, and the usage of various layers of society is increasing rapidly. For example, various applications are utilized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and computing smartphones, and a method of sending a text message or video data between users of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ing data communication using an application such as a messenger. It is used for communication.

그러나, 기존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완성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사용자 간에 직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과정을 공유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existing messenger application, although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completed image data,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hare the process of creating image data directly between user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통신단말 간에 동기화를 통하여 화상 작성 과정을 공유하여 공동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통신단말 및 그 통신단말의 정보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nabling a collaborative work by sharing an image creation process through synchronization betwee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또한, 상기 화상 작성 과정에서 복수의 페이지를 작성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페이지를 연속적인 관계를 확인하여 복수의 통신단말간에 보다 효율적인 공동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통신단말 및 그 통신단말의 정보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creating a plurality of pages in the image creation process,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nabling more efficient collaboration betwee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by confirming the succes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page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통신단말은, 서버 또는 다른 통신단말과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통신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상태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부,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변경 및 확인하는 동작 모드 관리부, 통신 중인 다른 통신 단말의 사용자가 통신 단말에 저장된 사용자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등록 상태 확인부, 사용자에 입력 장치에 입력한 좌표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좌표값을 수집하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좌표값을 전송하며, 통신부를 통하여 다른 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한 좌표값에 따라 도형을 생성하는 좌표값 처리부 및 입력부로부터 입력 받은 좌표 및 다른 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한 좌표값에 따라 생성된 도형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구비한다.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or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an application driver for managing the driving state of the applic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operation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ion mode management unit for changing and confirming the registration status check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user of the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in communication is registered in the user list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coordinate value input to the input device to the user, A coordinate value processor which collects the coordinate values input by the input unit, transmits the coordinate value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generates a figure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s received from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ordinates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and other To display the figure created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One output unit is provided.

일측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둘 이상의 통신단말간의 메시지 전송을 위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as a messenger application for message transmission between two or more communication terminals.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좌표값 처리부는, 사용자가 좌표값을 입력할 경우, 실시간으로 상기 수집된 각 좌표값을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when the user inputs the coordinate value, the coordinate value processor may transmit the collected coordinate values in real tim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좌표값 처리부는, 사용자가 좌표값을 입력할 경우, 하나의 선으로 판단되는 좌표값들을 하나의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하나의 선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는 시점에 상기 좌표값들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가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로 구성된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접촉하여 접촉 좌표를 이동한 후, 상기 손가락을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떼어 접촉 상태를 분리한 경우, 접촉 시점부터 접촉 종료시점까지 접촉접이 이동한 좌표값을 하나의 입력으로 판단하여 좌표값의 모음을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when the user inputs the coordinate value, the coordinate value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e coordinate values determined as one line as one input, and at the time when the input for the one line is completed Coordinate values can be transmitted. For example, when the input unit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panel, after touching a user's finger with the touch screen panel to move contact coordinates, the finger is separated from the touch screen to separate the contact state. In this case, the collection of coordinate values may be transmitted by determining a coordinate value of the contact contact moved from the contact point to the contact end point as one input.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좌표값 처리부는, 좌표값과 함께 점의 크기, 선의 굵기 또는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ordinate value processing unit may transmit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ize of a point, a thickness of a line, and a color together with a coordinate value.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방법에 따른 통신단말은, 서버 또는 다른 통신단말과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통신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상태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부,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변경 및 확인하는 동작 모드 관리부, 통신 중인 다른 통신 단말의 사용자가 통신 단말에 저장된 사용자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등록 상태 확인부, 사용자에 입력 장치에 입력한 좌표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출력부에 출력되고 있는 페이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페이지 이동 요청이 있는 경우, 페이지 이동을 처리하는 페이지 관리부, 상기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좌표값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좌표값에 페이지 관리부를 통해 얻은 현재 출력되고 있는 페이지에 따라 상기 좌표값에 정보를 추가하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좌표값을 전송하며, 통신부를 통하여 다른 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한 좌표값에 따라 도형을 생성하는 좌표값 처리부 및 입력부로부터 입력 받은 좌표 및 다른 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한 좌표값에 따라 생성된 도형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구비한다.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or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an application driver for managing the driving state of the applic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ode management unit for checking, registration status check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user of the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in communication is registered in the user list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coordinate values input to the input device to the user, output unit Check the page being output, if there is a page movement request of the user, the page management unit for processing the page movement, the coordinate value input by the input unit, the current output obtained through the page management unit to the collected coordinate value According to the page being added, information is added to the coordinate value, and the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s the coordinate value, and displays the figu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 received from the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ordinate value processing unit and the coordinate value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the figure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 received from the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 output part for carrying out is provided.

일측에 따르면, 상기 좌표값에 추가되는 정보는, 표시되는 페이지 위치에 따라 좌표값을 수정할 수 있다. 즉, 한 페이지에 포함되는 좌표값이 총 가로 100 개, 세로 150 개인 경우, 가로 축으로 이동한 페이지의 경우 가로 축 좌표값을 페이지를 이동한 횟수만큼 100 단위를 더하거나 제함으로써 페이지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information added to the coordinate value, it is possible to modify the coordinate value according to the displayed page position. That is, if a page contains 100 coordinates and 150 coordinates in total, the page is moved by the horizontal axis, and the position of the page is confirmed by adding or subtracting 100 units by the number of times the page is moved. can do.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좌표값에 추가되는 정보는, 표시되는 페이지를 식별하기 위한 별도의 정보일 수 있다. 즉, 각 페이지에 대한 고유번호 또는 별도의 좌표값을 지정하여 페이지에 대한 고유번호 또는 좌표값을 추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information added to the coordinate value may be additional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displayed page. That is, a unique number or a coordinate value for a page may be added by designating a unique number or a separate coordinate value for each pag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좌표값 처리부는, 각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좌표값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는, 좌표값을 표시부에서 점, 선 등의 도형으로 출력 시, 점, 선 등의 색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색상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정해지거나, 또는 사용자의 성별 등 별도의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정해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ordinate value processor may transmit the coordinate value including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each user. The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the user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color of a point, a line, and the like when outputting a coordinate value from a display unit to a figure such as a point or a line. It may be determined or automat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gender of the user.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좌표값 처리부는, 상기 수집된 좌표값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좌표에 대응하는 도형의 배율을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ordinate value processing unit, if the user's input is recognized as a character by analyzing the collected coordinate values, it may be output by adjusting the magnification of the figure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input by the user.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좌표값 처리부는, 상기 수집된 좌표값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별도로 설정된 글씨체 및 글자 크기에 따라 문자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ordinate value processing unit, by analyzing the collected coordinate values when the user's input is recognized as a character, may generate and output the character according to the font and font size set separately.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에서의 정보처리 방법은, 통신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구동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대화상대 목록에 등록된 다른 상대 통신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와,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대 통신 단말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대 통신 단말과 동기화 하는 단계 및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 받은 좌표값을 상대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hecking an application driving stat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ing another counterpart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ered in a conversation partner list, and checking an operation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terminal, synchronizing with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oordinate value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to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둘 이상의 통신단말 간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좌표값을 공유하여 통신단말의 사용자들이 공동 작업으로 그림을 생성할 수 있어 사용자들 간에 새로운 의사소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haring the coordinate values input by the user between two or mor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user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create a picture in a collaborative work to provide a new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user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 단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입력부로부터 좌표값을 입력 받아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다른 통신단말로부터 좌표값을 수신하여 도형을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form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above,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rpretation.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coordinate values from a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 coordinate value from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ting a fig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의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shown below are for the preferred method among various method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limited only to the following drawings an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As a resul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on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 1은 제1통신단말(100)과 제2통신단말(110)이 중계서버(120)와 연결되어, 제1통신단말(100)과 제2통신단말(110)간에 입력되는 좌표값을 공유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In more detail, FIG. 1 illustrates that a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are connected to a relay server 120 to be input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A configuration for sharing coordinate values is shown.

도면 상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제1통신단말(100)과 제2통신단말(110)과 중계서버(120)간 연결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eparately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the relay server 120 may be variously configured.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서버(120)는 메신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통신단말간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중계서버(120)는 통신단말 간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기 위한 것으로서, 만일 통신단말 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생략될 수 있다.
The relay serv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role of relaying data transmiss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to provide a messenger service. In addition, the relay server 120 is for relaying data transmiss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and may be omitted i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i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제1통신단말(100)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대화 상대방을 저장하고 있는 목록으로부터 제2통신단말(110)의 역할을 수행할 통신단말을 선택하고,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제2통신단말(110)로 입력 받은 좌표값을 전송하고, 제2통신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좌표값에 따른 도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a messenger application to select a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a rol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from a list storing a conversation counterpart, and according to a set operation mode. It transmits the coordinate value received to the two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generates and outputs a figure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 receiv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본 발명에 따른 제2통신단말(110)은, 상기 제1통신단말(120)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도면 상에는 하나의 통신단말로 도시되어 있으나, 2 이상의 통신단말일 수 있다.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20 and perform the same role. Although shown as on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drawing, two or more communication It may be a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통신단말(100) 및 제2통신단말(110)의 각각의 기능은 통신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Each func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여기서, 상기 제1통신단말(100) 및 제2통신단말(110)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이동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을 포함한다.
Here,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cludes all terminals capable of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 단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 2는 이동통신 시스템 상에서 운용되는 통신단말(100)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도면상에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통신단말(100)은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외형상 몸체와 키패드, LCD(Liquid Crystal Display), 터치 스크린 패널, 안테나와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 현재 또는 향후 통신단말(100)의 기능과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FIG. 2 illustrates that a communication terminal 100 operating o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pplied to inform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as an external appearance in terms of hardware. The body may include a keypa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ouch screen panel, an antenna, a battery,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present or future.

바람직하게, 전술한 하드웨어적인 특성을 참조하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100)의 주요 기능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10)와, 입력부(220)와, 출력부(230)와, 애플리케이션 구동부(240)와, 동작 모드 관리부(250)와, 등록 상태 확인부(260)와, 좌표값 처리부(270)와, 저장부와, 상기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통신단말(100)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각 구성부는 추가 또는 제외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main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hardware characteristics, as shown,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input unit 220, the output unit 230, The application driver 240, the operation mode manager 250, the registration status checking unit 260, the coordinate value processing unit 270, the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units are configured. Each component may be added or excluded depending on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부(210)는, 중계서버(120) 또는 제2통신단말(110)로 좌표값 기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중계서버(120) 또는 제2통신단말(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 the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coordinate values or other data to the relay server 120 or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or receives data from the relay server 120 or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It serves to receive.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220)는, 통신단말을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 또는 좌표값 등을 입력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input unit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role of receiving a command or a coordinate value of a user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즉, 상기 입력부(220)는 좌표값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Touch Panel)으로부터 좌표값을 입력 받거나, 좌표 값에 따른 위치 표현이 가능한 마우스 커서 등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at is, the input unit 220 may be implemented by receiving a coordinate value from a touch panel capable of inputting coordinate values or by using a mouse cursor or the like capable of representing a position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

본 발명에 따른 출력부(230)는 상기 입력부(220)를 통하여 입력 받은 좌표값에 따라 형성된 도형 또는 제2통신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좌표값에 따라 형성된 도형 등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output uni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figure formed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220 or a figure formed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 receiv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

상기 출력부(2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으로 구현 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과 같은 상호작용 표시장치(Interactive Display)를 활용하여 상기 입력부(220)와 동일한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30 may be implemented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and utilizes the same hardware as the input unit 220 by using an interactive display such as a touch screen panel.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통신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제1통신단말(100) 및 제2통신단말(1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2통신단말(110)에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있지 않은 경우, 통신을 위해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제2통신단말(110)에 요청할 수 있고, 제2통신단말(11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구동 요청을 받은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The application driver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rive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whether the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are driven. If the application is not drive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request the driving of the application for communication, and the application is drive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If requested, the application can be launched.

여기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둘 이상의 통신단말간의 메시지 전송을 위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as a messenger application for message transmission between two or more communication terminals.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모드 관리부(25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통신단말(110)과 좌표값을 공유하는 동기화 모드로 전환하고, 현재 사용자의 통신단말(100)이 어떠한 동작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operation mode manager 2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witches to a synchronization mode in which coordinate values are shared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the current user is set to any operation mode. It checks if it is

본 발명에 따른 등록 상태 확인부(260)는, 사용자에게 대화 상대방을 저장하고 있는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목록 중 대화 상대방을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registration status confirming unit 2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st in which the conversation counterpart is stored to the user, and selects the conversation counterpart from the list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여기서, 상기 목록은 상기 중계서버(120)에 저장되어 있는 목록을 수신하거나, 통신단말(100) 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Here, the list may receive a list stored in the relay server 120 or may be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또한, 상기 등록 상태 확인부(260)는, 데이터 수신 시, 데이터를 전송한 상대방이 상기 목록에 저장되어 잇는 대화 상대방에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gistration status checker 260 may determine whether the other party that has transmitted the data is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counterpart stored in the list when the data is received.

본 발명에 따른 좌표값 처리부(270)는, 상기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좌표값을 수집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부(240)를 통하여 제1통신단말(100) 및 제2통신단말(110)에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있음이 확인되며, 상기 동작 모드 관리부(250)를 통하여 좌표값을 공유하는 동기화 모드로 설정되어 있음이 확인되며, 상기 등록 상태 확인부(260)를 통하여 대화 상대방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집한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된 좌표값을 제2통신단말(110)로 전송하고, 상기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좌표값에 따른 도형 및 제2통신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좌표값에 따른 도형을 생성하여 출력부(230)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도형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coordinate value processor 2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coordinate values input from the input unit 220, and transmits the coordinate values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rough the application driver 240.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is running, it is confirmed that the synchronization mode for sharing the coordinate value through the operation mode management unit 250 is set, and the conversation partner is selected through the registration status check unit 260 The coordinates input from the collected input unit 220 ar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the coordinates received from the figur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s input from the input unit 220. It generates a figure according to the value to output the generated figure through the output unit 2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좌표값 처리부(270)는, 입력되는 각각의 좌표값을 입력 후 즉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통신단말(100)에 입력하는 즉시 그와 동일한 도형을 제2통신단말(110)에서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rdinate value processing unit 270 may immediately transmit each input coordinate value after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ame figure may be output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immediately after inputt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00.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좌표값 처리부(270)는, 하나의 선으로 판단되는 연속된 좌표값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1회의 입력으로 판단하여, 상기 1회 입력이 완료되는 시점에 상기 연속된 좌표값들을 일시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220)가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터치 패널에 손가락을 접촉하여 이동 후, 손가락과 터치 패널 간의 접촉이 중단되는 시점에 상기 손가락이 접촉하여 이동한 경로에 대응하는 좌표값을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통신단말(100)에서 1회의 입력이 완성되는 시점에 제2통신단말에서 1회의 입력에 해당하는 하나의 선을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rdinate value processing unit 270 determines the user's input for the continuous coordinate value determined as one line as one input, and the time point when the one input is completed The continuous coordinate values may be transmitted at a time. For example, when the input unit 220 is configured as a touch panel, after the user touches and moves a finger on the touch panel, the user touches the finger on the touch panel and stops the contact between the finger and the touch panel.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value can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one line corresponding to one input may be output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t the time when one input is complet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00.

또한, 상기 좌표값 처리부(270)는, 좌표값과 함께 점의 크기 또는 선의 굵기, 색상 등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전송하거나, 이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도형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ordinate value processor 270 may transmit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point, the thickness of the line, the color, etc. together with the coordinate value, or may receive and generate a figure corresponding thereto.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좌표값 처리부(270)는, 복수의 페이지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좌표값에 페이지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가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 대상이 되는 페이지에 따라 상기 좌표값을 수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입력 대상이 되는 페이지에 대한 식별하기 위한 별도의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좌표값을 수정하는 경우, 한 페이지에 총 가로 100 개, 세로 150개의 좌표가 포함되는 경우, 기본 페이지로부터 가로로 1페이지 이동한 페이지의 경우 입력되는 좌표값 중 가로 축에 해당하는 좌표값에 100을 더하거나, 또는 페이지 작성 순서에 따라 고유 번호를 지정하거나 페이지에 대한 별도의 좌표값을 지정하여 해당 정보를 좌표값에 추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user input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pages, the coordinate value processing unit 270 may add information for classifying pages to the coordinate values. Here, the added information may be additional information for modifying the coordinate value according to a page to be input by the user or identifying a page to be input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modifying a coordinate value, if a page includes a total of 100 horizontal and 150 vertical coordinates, and a page moved one page horizontally from the main page, the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axis among the input coordinate values The information can be added to the coordinate value by adding 100 to the coordinate value, or by assigning a unique number according to the page creation order or by specifying a separate coordinate value for the page.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좌표값 처리부(270)는, 상기 좌표값 처리부는, 각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좌표값을 전송하거나, 각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 사용자별로 색상 등을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중 성별이 남성인 경우 파란색 선으로 출력하고, 여성인 경우 붉은색 선으로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rdinate value processing unit 270, the coordinate value processing unit, including the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each user transmits the coordinate value, or each user to distinguish each user Colors can be displayed separately for each user. For example, if the gender of the user information is male, it may be output as a blue line, and if it is female, it may be output as a red line.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좌표값 처리부(270)는, 상기 수집된 좌표값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좌표에 대응하는 도형의 배율을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이 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좌표값을 특정 값으로 나누어 배율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문자 인식 기술이란 필기되는 순서에 따라 들어오는 좌표열을 가지고 어떠한 문자인지 판독하는 기술로서, 필기 인식 기술(Recognition of Writing Technology)라고도 하며, 이미 기존에 다수 공개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s input is recognized as a character by analyzing the collected coordinate values, the coordinate value processing unit 270 adjusts the magnification of the figure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input by the user. Can be output. For example, when the user's input is recognized as a character,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coordinate value input by the user into a specific value to adjust the magnification and output it. The character recognition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reads any character with an incoming coordinate sequence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it is written. Also referred to as a recognition of writing technology, many descriptions are already disclosed,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또한, 상기 좌표값 처리부(270)는, 상기 수집된 좌표값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별도로 설정된 글씨체 및 글자 크기에 따라 문자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ordinate value processor 270 analyzes the collected coordinate values, and when a user input is recognized as a character, may generate and output a character according to a separately set font and font size.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28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며,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Storage unit 2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predetermined program routine (or code) and / or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ROM (Read Only Memory), Flash memory (Flash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280)는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된 좌표값을 임시 저장하거나, 대화 상대방 목록, 애플리케이션, 기타 설정값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280 may temporarily store the coordinate values input from the input unit 220, or further store a list of conversation counterparts, applications, and other setting value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입력부로부터 좌표값을 입력 받아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coordinate values from a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애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통신단말(10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310).
First, the application driver 240 drives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310).

이후, 대화 상대방에 저장되어 있는 목록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통신단말(110)을 선택한다(S320).
Thereafter,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from the list stored in the conversation counterpart (S320).

이후, 상기 (S320)단계에서 선택한 제2통신단말(110)에 통신 연결 요청을 하여(S330), 제1통신단말(100)과 제2통신단말(110)간 통신채널을 형성한다(S340).
Thereafter,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is made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selected in the step S320 (S330)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S340). .

이후, 제2통신단말(110)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 실행되어 있지 않은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며, 동작 모드 관리부(250)를 통하여 동작 모드를 확인한다(S350).
Thereafter,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checks whether the application is executed, and if not, requests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and checks the operation mode through the operation mode manager 250 (S350). .

이후, 동작 모드가 동기화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S360), 사용자가 입력부(220)를 통하여 입력하는 좌표값을 수집하여(S370), 수집된 좌표값 및 부가 정보를 제2통신단말(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복수의 페이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좌표값을 수정하거나, 또는 페이지 식별을 위한 별도의 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S380).
Thereafter,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synchronization mode (S360), the coordinate values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20 are collected (S370), and the collected coordinate values and additional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 send. In this case, when a user input to a plurality of pages exists, the coordinate values may be corrected or additional information for page identification may be added and transmitted (S380).

또한, 도면에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통신단말(100)에서 화면에 출력 중인 페이지 이동이 있는 경우, 상기 (S380)단계에서 제2통신단말(120)에 대하여 제1통신단말(100)과 동일한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출력 페이지 이동 요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면 이동 요청에 대한 정보에는 페이지 이동 후 출력할 페이지에 해당하는 좌표값, 출력할 페이지에 해당하는 식별번호, 현재 페이지에 해당하는 좌표값, 또는 현재 페이지에 해당하는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eparately illustrated in the drawing, when there is a page movement being output on the screen by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00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20 in step S380. Information about an output page move request for moving to the same page may be transmitted. The information about the screen movement request may include any one of a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a page to be output after a page move, an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a page to be output, a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a current page, or an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a current page. It includes the above.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380)단계에서 좌표값 전송 시, 각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좌표값을 전송하거나, 각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 사용자별로 색상 등을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ordinate value is transmitted in step S380, the coordinate value is transmitted by including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each user, or color for each user to distinguish each user. Etc. can be displayed separately for each user.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380)단계에서 좌표값 전송 시, 상기 수집된 좌표값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좌표에 대응하는 도형의 배율을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이 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좌표값을 특정 값으로 나누어 배율을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mitting the coordinate value in the step (S380), when the user's input is recognized as a character by analyzing the collected coordinate value, the figure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input by the user You can output by adjusting the magnification of. For example, when the user's input is recognized as a character, the coordinate value input by the user may be divided by a specific value, and the magnification may be adjusted and outpu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다른 통신단말로부터 좌표값을 수신하여 도형을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 coordinate value from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ting a fig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S410), 상기 통신 연결 요청을 발송한 통신단말과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S420).
When receiv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S410), and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sen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S420).

이후,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요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동작 모드가 동기화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S430).
Thereafter, when the application is not running, the application is driven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synchronization mode (S430).

이후, 동기화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S440), 통신부(210)를 통하여 좌표값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한다(S450).
Subsequently, when the synchronization mode is set (S440), the coordinate valu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S450).

상기 수신한 좌표값 및 부가 정보에 따라 형성된 도형을 출력부(230)를 통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한 좌표값의 범위 또는 별도의 페이지 식별정보에 따라 수신한 좌표값을 복수의 페이지 영역에 별도로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다(S460).
The figure formed according to the received coordinate valu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230. Here, the received coordinate values may be separately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ge areas and output according to the received range of coordinate values or separate p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460).

또한, 도면에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S450)단계에서 페이지 이동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230)를 통하여 출력되는 페이지를 제1통신단말(100)에서의 페이지 이동과 동일하게 제2통신단말(110)에서 페이지 이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eparately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pag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230 by receiv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page movement in step S450 is the same as the page movement i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second step.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perform page movement.

또한, 상기 (S460)단계에서, 수신한 좌표값 및 부가 정보에 따라 형성된 도형 출력 시, 각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좌표값을 전송하거나, 각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 사용자별로 색상 등을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step (S460), when outputting the figure formed according to the received coordinate valu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ransmit the coordinate value including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each user, or to color each user to distinguish each user Etc. can be displayed separately for each user.

또한, 상기 (S460)단계에서, 수신한 좌표값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좌표에 대응하는 도형의 배율을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In operation S460, when the received coordinate value is analyzed and the user's input is recognized as a character, the magnification of the figure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input by the user may be adjusted and output.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통신단말(100)이 제2통신단말(110)과 통신 채널이 연결되고, 두 단말간 동작 모드가 동기화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통신단말(100)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이용하여 하나의 선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입력하면, 제2통신단말(110)에서 그와 동일한 좌표에 해당하는 선을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the communication channel, and the operation mode between the two terminals is set to the synchronization mode,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case of inputting a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one line by using a touch screen panel,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10 outputs and confirms a line corresponding to the same coordinat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신단말(100)에 복수의 페이지에 대한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각 페이지 분할에 대하여 페이지 분할을 위한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복수의 통신단말 간에 여러 페이지에 대한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when there are inputs for a plurality of pages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formation for page division is added to each page division to continuously perform operations on multiple pages among the communication terminals. Can be done.

100 : 제1통신단말 110 : 제2통신단말
120 : 중계서버 200 : 제어부
210 : 통신부 220 : 입력부
230 : 출력부 240 : 애플리케이션 구동부
250 : 동작 모드 관리부260 : 등록 상태 확인부
270 : 좌표값 처리부 280 : 저장부
100: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110: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20: relay server 200: control unit
210: communication unit 220: input unit
230: output unit 240: application driver
250: operation mode management unit 260: registration status check unit
270: coordinate value processing unit 280: storage unit

Claims (7)

통신 단말에 있어서,
서버 또는 다른 통신단말과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통신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상태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부;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변경 및 확인하는 동작 모드 관리부;
통신 중인 다른 통신 단말의 사용자가 통신 단말에 저장된 사용자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등록 상태 확인부;
사용자에 입력 장치에 입력한 좌표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좌표값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좌표값에 복수의 페이지에 대한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 대상이 되는 페이지에 따라 상기 좌표값에 정보를 추가하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좌표값 및 추가된 정보를 전송하며, 통신부를 통하여 다른 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한 좌표값에 따라 도형을 생성하는 좌표값 처리부; 및
입력부로부터 입력 받은 좌표 및 다른 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한 좌표값에 따라 생성된 도형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or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An application driver for managing a driving state of an applic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 operation mode manager for changing and confirming an operation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 registration status check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a user of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in communication is registered in a user list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coordinate value input to the input device by the user;
Collecting coordinate values input by the input unit, and if there are inputs for a plurality of pages in the collected coordinate values, add information to the coordinate values according to the page to be input by the user, 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coordinate value processor which transmits the coordinate value and the added information and generates a figure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 received from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nd
And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a figure generated according to coordinates received from an input unit and coordinate values received from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값에 추가되는 정보는,
입력 대상이 되는 페이지 위치에 따라 좌표값을 수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added to the coordinate value is
Modifying coordinate values according to page position to be input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값에 추가되는 정보는,
입력 대상이 되는 페이지를 식별하기 위한 별도의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added to the coordinate value is
Separat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age to be entered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통신 단말에서의 정보처리 방법에 있어서,
통신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구동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대화상대 목록에 등록된 다른 상대 통신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통신 단말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대 통신 단말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대 통신 단말과 동기화 하는 단계;
표시되는 페이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 받은 좌표값을 상기 표시되는 페이지에 따른 정보를 추가하여 상대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방법.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hecking an application driving stat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ing another counterpart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ered in the contact list;
Confirming an operation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counterpart communication terminal;
Synchronizing with a counterpart communication terminal;
Checking the displayed page; And
And transmitting the coordinate value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to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terminal by add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played pag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값에 추가되는 정보는,
표시되는 페이지 위치에 따라 좌표값을 수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formation added to the coordinate value is
Modifying coordinate values according to page position displaye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값에 추가되는 정보는,
표시되는 페이지를 식별하기 위한 별도의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formation added to the coordinate value is
Separate information to identify the page being displaye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 to 9.
KR1020120000803A 2012-01-04 2012-01-04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300800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803A KR20130080081A (en) 2012-01-04 2012-01-04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803A KR20130080081A (en) 2012-01-04 2012-01-04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081A true KR20130080081A (en) 2013-07-12

Family

ID=4899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803A KR20130080081A (en) 2012-01-04 2012-01-04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008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60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nting specified applications through a touch screen display
CN1045845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on of a device for content sharing operations
CN103455270A (en) Video file transmission method and video file transmission system
US10637895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4146229A (en) Screen sharing system and central device
CN106293563B (e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1880695A (en) Screen shar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170153865A1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13499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ile transmission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ing apparatus
EP3133808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image, and carrier means
US11144276B2 (en)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system, and display method
CN107483729B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captured image by multi-image display
CN113504859A (e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14726906B (en) Device interaction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5657323A (en) Video call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1000893B1 (en) Method for sharing displaying screen and device thereof
TW2017169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video interaction
CN106155462A (en) A kind of interface alternation method and device
CN110309462B (en) Data display method and system
JP629390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CN107291834B (en) Information input method, equipment and terminal based on readable codes
CN113783770B (en) Image sharing method, image shar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872849B (en) Message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6201217B (en) File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KR20130080081A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