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8534A - 7.1채널 코덱을 사용한 서라운드 사운드를 제공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7.1채널 코덱을 사용한 서라운드 사운드를 제공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8534A
KR20130078534A KR1020110147537A KR20110147537A KR20130078534A KR 20130078534 A KR20130078534 A KR 20130078534A KR 1020110147537 A KR1020110147537 A KR 1020110147537A KR 20110147537 A KR20110147537 A KR 20110147537A KR 20130078534 A KR20130078534 A KR 20130078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hannels
sound field
field synthesis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현
서정일
이태진
최근우
강경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47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8534A/ko
Priority to US13/651,708 priority patent/US20130170652A1/en
Publication of KR20130078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3Aspects of down-mixing multi-channel audio to configurations with lower numbers of playback channels, e.g. 7.1 -> 5.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13Application of wave-field synthesis in stereophonic au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라우드 스피커를 적게 설치하면서도 음장감을 제공할 수 있는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음장 합성 신호 재생 시스템의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장치는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1 채널들과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2 채널들을 포함한 음장 합성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부; 및 음장 합성 콘텐츠에 포함된 채널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다채널 부호화기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7.1채널 코덱을 사용한 서라운드 사운드를 제공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 및 방법{FRONTAL WF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RROUND SOUND USING CONVENTIONAL 7.1CHANNEL CODEC}
본 발명은 음장 합성 신호를 재생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라우드 스피커 6개로 구성된 전방 어레이 스피커와 디스크리트 라우드 스피커 2개로 구성된 후방 서라운드 스피커를 사용하여 음장 합성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라우드 스피커를 적게 설치하면서도 음장감을 제공할 수 있는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장 합성(WFS) 재생 기술은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의 파면을 합성하여 청취 공간 상의 여러 청취자에게 동일한 음장감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음장 합성 재생 기술은 대규모 공연장과 같이 청취자 주위 360도 공간을 모두 둘러싸는 환경에 최적화 되고 있다. 그러나, 대규모 공연장과 달리 가정에서는 4면에 모두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를 설치할 공간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가급적 라우드 스피커 설치를 적게 하는 방향으로 개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유행하고 있는 사운드 바(sound bar)는 설치의 간소화를 위해 전방에 가로로 긴 형태의 스테레오 스피커를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사운드 바는 인테리어 관점에서의 강점을 가지지만, 음장감 제공 측면에서는 큰 장점을 가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라우드 스피커를 적게 설치하면서도 음장감을 제공할 수 있는 음장 합성 재생 환경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WFS 콘텐츠는 오디오 객체 신호와 음상 정위 정보로 구성된다. 그러나, 재생 환경이 특정하게 고정된다면 오디오 객체 신호와 음상 정위 정보를 모두 전송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특정 환경에 최적화하여 렌더링된 음장 합성 신호를 전송할 경우, 신호에 포함된 정보의 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라우드 스피커를 적게 설치하면서도 음장감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상 정위 정보의 전송 없이도 음장 합성 신호를 재생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은 7.1 채널 부호화기를 사용하여 라우드 스피커 6개로 구성된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6개의 제1 채널과 디스크리트 라우드 스피커 2개로 구성된 후방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2개의 제2 채널을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부호화 장치; 및 7.1 채널 복호화기를 사용하여 수신한 신호에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복호화하고, 각 채널에 대응하는 스피커에 각 채널을 전송하는 복호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장치는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1 채널들과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2 채널들을 포함한 음장 합성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부; 및 음장 합성 콘텐츠에 포함된 채널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다채널 부호화기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복호화 장치는 다 채널 복호화기를 사용하여 전방 음장 합성 신호에서 복수의 채널을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복호화한 채널들을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1 채널들과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2 채널들로 분류하는 채널 분류부; 및 분류 결과에 따라 각 채널에 대응하는 스피커에 각 채널을 전송하는 채널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방법은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1 채널들과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2 채널들을 포함한 음장 합성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음장 합성 콘텐츠에 포함된 채널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다채널 부호화기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복호화 장치는 다 채널 복호화기를 사용하여 전방 음장 합성 신호에서 복수의 채널을 복호화하는 단계; 복호화한 채널들을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1 채널들과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2 채널들로 분류하는 단계; 및 분류 결과에 따라 각 채널에 대응하는 스피커에 각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라우드 스피커 6개로 구성된 전방 어레이 스피커와 디스크리트 라우드 스피커 2개로 구성된 후방 서라운드 스피커를 사용하여 음장 합성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라우드 스피커를 적게 설치하면서도 음장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특정 환경에 최적화하여 랜더링된 음장 합성 신호를 다채널 부호화기로 부호화하여 전송하고, 복호화 과정에서 각 채널의 순서에 따라 각 채널에 대응하는 스피커를 식별하여 해당 스피커에 전송함으로써, 음상 정위 정보의 전송 없이도 음장 합성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에 대응하는 재생 환경의 일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장치가 전방 음장 합성 신호를 부호화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복호화 장치가 전방 음장 합성 신호를 복호화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복호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은 특정 환경에 최적화하여 랜더링된 음장 합성(WFS: Wave Field Synthesis)신호를 부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음상 정위 정보의 전송 없이도 음장 합성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은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장치(110)와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복호화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장치(110)는 콘텐츠 수신부(111), 부호화부(112), 및 신호 전송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수신부(111)는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1 채널들과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2 채널들을 포함한 음장 합성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음장 합성 콘텐츠는 라우드 스피커 6개로 구성된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6개의 제1채널과 디스크리트 라우드 스피커 2개로 구성된 후방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2개의 제2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수신부(111)가 수신한 음장 합성 콘텐츠에 대응하는 재생 환경은 이하 도 2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부호화부(112)는 콘텐츠 수신부(111)가 수신한 음장 합성 콘텐츠에 포함된 채널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다채널 부호화기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부호화하여 전방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부호화부(112)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에 따라 다채널 부호화기에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입력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은 다채널 부호화기에 입력되는 채널의 순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부(112)는 8개 채널을 부호화하는 7.1 채널 부호화기를 사용하여 음장 합성 콘텐츠에 포함된 6개의 제1 채널과 2개의 제2 채널을 부호화할 수 있다. 이때, 부호화부(112)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이 1번 채널부터 6번 채널까지의 신호가 전방 어레이 스피커 중 왼쪽에서 오른쪽까지의 순차적으로 대응하고, 7번 채널이 왼쪽 서라운드 신호, 8번 채널이 오른쪽 서라운드 신호인 경우, 제1 채널을 7.1 채널 부호화기의 1번 채널부터 6번 채널까지에 입력하고, 제2 채널을 7.1 채널 부호화기의 7번 채널과 8번 채널에 입력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신호 전송부(113)는 부호화부(112)가 생성한 전방 음장 합성 신호를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복호화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복호화 장치(120)는 복호화부(121), 채널 분류부(122) 및 채널 전송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복호화부(121)는 다 채널 복호화기를 사용하여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전방 음장 합성 신호에서 복수의 채널을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호화부(121)는 7.1 채널 복호화기를 사용하여 전방 음장 합성 신호에서 8개의 채널을 복호화할 수 있다. 이때, 7.1 채널 복호화기는 7.1 채널 부호화기와 함께 7.1채널 코덱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채널 분류부(122)는 복호화부(121)가 복호화한 채널들을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1 채널들과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2 채널들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채널 분류부(122)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에 따라 복호화한 채널을 제1 채널들과 제2 채널들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이 1번 채널부터 6번 채널까지의 신호가 전방 어레이 스피커 중 왼쪽에서 오른쪽까지의 순차적으로 대응하고, 7번 채널이 왼쪽 서라운드 신호, 8번 채널이 오른쪽 서라운드 신호인 경우, 채널 분류부(122)는 7.1 채널 복호화기에서 출력한 채널들 중 1번 채널부터 6번 채널까지를 제1 채널로 분류하고, 7번 채널과 8번 채널을 제2 채널로 분류할 수 있다.
채널 전송부(123)는 채널 분류부(122)의 분류 결과에 따라 각 채널에 대응하는 스피커에 각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전송부(123)는 제1 채널로 분류된 1번 채널부터 6번 채널까지의 신호를 전방 어레이 스피커 중 가장 왼쪽 스피커부터 오른쪽 스피커까지의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전송부(123)는 제2 채널로 분류된 7번 채널을 왼쪽 서라운드 스피커로 전송하고, 제2 채널로 분류된 8번 채널을 오른쪽 서라운드 스피커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은 특정 환경에 최적화하여 랜더링된 음장 합성(WFS: Wave Field Synthesis)신호를 다채널 부호화기로 부호화하여 전송하고, 복호화 과정에서 각 채널의 순서에 따라 각 채널에 대응하는 스피커를 식별하여 해당 스피커에 전송함으로써, 음상 정위 정보의 전송 없이도 음장 합성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에 대응하는 재생 환경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에 대응하는 재생 환경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어레이 스피커(210)와 사용자의 좌측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왼쪽 서라운드 스피커(220) 및 사용자의 우측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오른쪽 서라운드 스피커(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방 어레이 스피커(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드 스피커 6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방 왼쪽 서라운드 스피커(220)와 후방 오른쪽 서라운드 스피커(230)는 디스크리트 라우드 스피커일 수 있다.
그러나, 8개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재생 환경은 모두 7.1 채널 부호화기/복호화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도 2와는 스피커의 배치가 다르더라도, 재생 환경에 대응하는 음장 합성 콘텐츠와 각 스피커에 대응하는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한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상 정위 정보의 전송 없이도 음장 합성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6개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재생 환경도 기존의 5.1 부호화기/복호화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재생 환경에 대응하는 음장 합성 콘텐츠와 각 스피커에 대응하는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한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상 정위 정보의 전송 없이도 음장 합성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라우드 스피커 6개로 구성된 전방 어레이 스피커와 디스크리트 라우드 스피커 2개로 구성된 후방 서라운드 스피커를 사용하여 음장 합성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라우드 스피커를 적게 설치하면서도 음장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장치가 전방 음장 합성 신호를 부호화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장치(110)의 부호화부(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드 스피커 6개로 구성된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6개의 제1채널(310)과 디스크리트 라우드 스피커 2개로 구성된 후방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2개의 제2 채널(320)을 포함하는 음장 합성 콘텐츠를 7.1 채널 부호화기(300)로 부호화하여 전방 음장 합성 신호(34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부호화부(112)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이 1번 채널부터 6번 채널까지의 신호가 전방 어레이 스피커 중 왼쪽에서 오른쪽까지의 순차적으로 대응하고, 7번 채널이 왼쪽 서라운드 신호, 8번 채널이 오른쪽 서라운드 신호인 경우, 제1 채널(310)을 7.1 채널 부호화기의 1번 채널부터 6번 채널까지에 입력하고, 제2 채널(320)을 7.1 채널 부호화기의 7번 채널과 8번 채널에 입력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복호화 장치가 전방 음장 합성 신호를 복호화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복호화 장치(120)의 복호화부(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7.1 채널 복호화기(410)를 사용하여 전방 음장 합성 신호(340)에서 8개의 채널(420)을 복호화할 수 있다.
이때, 채널 분류부(122)는 복호화부(121)가 복호화한 채널(420)들을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1 채널들(430)과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2 채널들(440)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이 1번 채널부터 6번 채널까지의 신호가 전방 어레이 스피커 중 왼쪽에서 오른쪽까지의 순차적으로 대응하고, 7번 채널이 왼쪽 서라운드 신호, 8번 채널이 오른쪽 서라운드 신호인 경우, 채널 분류부(122)는 7.1 채널 복호화기에서 출력한 채널들 중 채널 1부터 채널 6까지를 제1 채널(430)로 분류하고, 채널 7과 채널 8을 제2 채널(440)로 분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채널 전송부(123)는 제1 채널로 분류된 채널 1부터 채널 6번까지의 신호를 전방 어레이 스피커 중 가장 왼쪽 스피커부터 오른쪽 스피커까지의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전송부(123)는 제2 채널로 분류된 채널 7을 왼쪽 서라운드 스피커로 전송하고, 제2 채널로 분류된 채널 8을 오른쪽 서라운드 스피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S510)에서 콘텐츠 수신부(111)는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1 채널들과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2 채널들을 포함한 음장 합성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S520)에서 부호화부(112)는 단계(S510)에서 수신한 음장 합성 콘텐츠에 포함된 채널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다채널 부호화기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부호화하여 전방 음장 합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부호화부(112)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에 따라 다채널 부호화기에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입력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전송부(113)는 부호화부(112)가 생성한 전방 음장 합성 신호를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복호화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복호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S610)에서 복호화부(121)는 다 채널 복호화기를 사용하여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전방 음장 합성 신호에서 복수의 채널을 복호화할 수 있다.
단계(S620)에서 채널 분류부(122)는 단계(S610)에서 복호화한 채널들을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1 채널들과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2 채널들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채널 분류부(122)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에 따라 복호화한 채널을 제1 채널들과 제2 채널들로 분류할 수 있다.
단계(S530)에서 채널 전송부(123)는 각 채널을 단계(S520)에서 분류한 채널에 대응하는 스피커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라우드 스피커 6개로 구성된 전방 어레이 스피커와 디스크리트 라우드 스피커 2개로 구성된 후방 서라운드 스피커를 사용하여 음장 합성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라우드 스피커를 적게 설치하면서도 음장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환경에 최적화하여 랜더링된 음장 합성 신호를 다채널 부호화기로 부호화하여 전송하고, 복호화 과정에서 각 채널의 순서에 따라 각 채널에 대응하는 스피커를 식별하여 해당 스피커에 전송함으로써, 음상 정위 정보의 전송 없이도 음장 합성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장치
111: 콘텐츠 수신부
112: 부호화부
113: 신호 전송부
120: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복호화 장치
121: 복호화부
122: 채널 분류부
123: 채널 전송부

Claims (17)

  1.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1 채널들과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2 채널들을 포함한 음장 합성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부; 및
    음장 합성 콘텐츠에 포함된 채널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다채널 부호화기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를 포함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에 따라 다채널 부호화기에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입력하여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은,
    다채널 부호화기에 입력되는 채널의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장 합성 콘텐츠는,
    라우드 스피커 6개로 구성된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6개의 제1채널과 디스크리트 라우드 스피커 2개로 구성된 후방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2개의 제2 채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7.1 채널 부호화기를 사용하여 6개의 제1 채널과 2개의 제2 채널을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장치.
  6. 다 채널 복호화기를 사용하여 전방 음장 합성 신호에서 복수의 채널을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복호화한 채널들을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1 채널들과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2 채널들로 분류하는 채널 분류부; 및
    분류 결과에 따라 각 채널에 대응하는 스피커에 각 채널을 전송하는 채널 전송부
    를 포함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복호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분류부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에 따라 복호화한 채널을 제1 채널들과 제2 채널들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은,
    복호화한 채널의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장치.
  9. 7.1 채널 부호화기를 사용하여 라우드 스피커 6개로 구성된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6개의 제1 채널과 디스크리트 라우드 스피커 2개로 구성된 후방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2개의 제2 채널을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부호화 장치; 및
    7.1 채널 복호화기를 사용하여 수신한 신호에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복호화하고, 각 채널에 대응하는 스피커에 각 채널을 전송하는 복호화 장치
    를 포함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
  10.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1 채널들과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2 채널들을 포함한 음장 합성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음장 합성 콘텐츠에 포함된 채널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다채널 부호화기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부호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하는 단계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에 따라 다채널 부호화기에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입력하여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은,
    다채널 부호화기에 입력되는 채널의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장 합성 콘텐츠는,
    라우드 스피커 6개로 구성된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6개의 제1채널과 디스크리트 라우드 스피커 2개로 구성된 후방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2개의 제2 채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하는 단계는,
    7.1 채널 부호화기를 사용하여 6개의 제1 채널과 2개의 제2 채널을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방법.
  15. 다 채널 복호화기를 사용하여 전방 음장 합성 신호에서 복수의 채널을 복호화하는 단계;
    복호화한 채널들을 전방 어레이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1 채널들과 서라운드 스피커에 대응하는 제2 채널들로 분류하는 단계; 및
    분류 결과에 따라 각 채널에 대응하는 스피커에 각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복호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에 따라 복호화한 채널을 제1 채널들과 제2 채널들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은,
    복호화한 채널의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신호 부호화 방법.
KR1020110147537A 2011-12-30 2011-12-30 7.1채널 코덱을 사용한 서라운드 사운드를 제공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78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537A KR20130078534A (ko) 2011-12-30 2011-12-30 7.1채널 코덱을 사용한 서라운드 사운드를 제공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 및 방법
US13/651,708 US20130170652A1 (en) 2011-12-30 2012-10-15 Front wave field synthesis (wf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rround sound using 7.1 channel code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537A KR20130078534A (ko) 2011-12-30 2011-12-30 7.1채널 코덱을 사용한 서라운드 사운드를 제공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534A true KR20130078534A (ko) 2013-07-10

Family

ID=4869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537A KR20130078534A (ko) 2011-12-30 2011-12-30 7.1채널 코덱을 사용한 서라운드 사운드를 제공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170652A1 (ko)
KR (1) KR201300785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230B1 (ko) 2014-10-06 2020-12-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향 특성을 예측하는 오디오 시스템 및 방법
KR102340202B1 (ko) 2015-06-25 2021-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내의 반사 특성을 추출하는 오디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70652A1 (en)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33843B (zh) 用于捕获、编码、分布和解码沉浸式音频的系统和方法
US9697844B2 (en) Distributed spatial audio decoder
US82086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multi-channel sound using cable/wireless device
CN101356573B (zh) 对双耳音频信号的解码的控制
US20100324915A1 (e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es for high quality multi-channel audio codec
JP2013174891A (ja) 高品質マルチチャネルオーディオ符号化および復号化装置
KR102322104B1 (ko) 사운드 바를 위한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5191354A (zh) 音频处理装置及其方法
JP2014089467A (ja) マルチチャンネルオーディオ信号のエンコーディング/デコーディングシステム、記録媒体及び方法
AU2008225321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CN104428835A (zh) 音频信号的编码和解码
CN107277691B (zh) 基于云的多声道音频播放方法、系统及音频网关装置
KR102149411B1 (ko) 오디오 데이터 생성 장치 및 방법,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40005025A (ko) 다채널 입체음향 사운드 생성방법 및 장치
JP2006033847A (ja) 最適な仮想音源を提供する音響再生装置及び音響再生方法
US93129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udio object
KR20130078534A (ko) 7.1채널 코덱을 사용한 서라운드 사운드를 제공하는 전방 음장 합성 시스템 및 방법
Rumsey Immersive audio: Objects, mixing, and rendering
CN1953526B (zh) 显示装置以及应用该显示装置的影音播放系统
JP6228388B2 (ja) 音響信号再生装置
JP6204683B2 (ja) 音響信号再生装置、音響信号作成装置
KR20090109425A (ko) 가상 입체 음향 구현 장치 및 방법
Ando Preface to the Special Issue on High-reality Audio: From High-fidelity Audio to High-reality Audio
KR101634387B1 (ko) 멀티 채널 오디오 재생 장치 및 시스템
US20240163629A1 (en) Adaptive sound scene ro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