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8470A -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8470A
KR20130078470A KR1020110147430A KR20110147430A KR20130078470A KR 20130078470 A KR20130078470 A KR 20130078470A KR 1020110147430 A KR1020110147430 A KR 1020110147430A KR 20110147430 A KR20110147430 A KR 20110147430A KR 20130078470 A KR20130078470 A KR 20130078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easuring
detector
phantom device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영훈
허현도
최상현
김금배
정해조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의학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to KR1020110147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8470A/ko
Publication of KR20130078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2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with spatial modulation of the radiation beam within the treatment head
    • A61N5/1045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with spatial modulation of the radiation beam within the treatment head using a multi-leaf collimator, e.g. for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or IMRT
    • A61N5/1047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with spatial modulation of the radiation beam within the treatment head using a multi-leaf collimator, e.g. for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or IMRT with movement of the radiation head during application of radiation, e.g. for intensity modulated arc therapy or IM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75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alibrating, or quality assurance of the radiation treatment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1Applications in the field of nuclear medicine, e.g. in vivo cou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75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alibrating, or quality assurance of the radiation treatment apparatus
    • A61N2005/107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alibrating, or quality assurance of the radi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a dummy object placed in the radiation field, e.g. phanto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는, 특정위치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팬텀 장치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일측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태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동일한 소재로 제조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측정 홈부; 및 상기 측정 홈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몸체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디텍터를 수용하는 홈 형태의 센서 설치부를 구비한 플러그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Hybrid phantom apparatus for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본 발명은 방사선 치료장치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이 치료부위에 작용하는 방사선의 조사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사선 측정용 팬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고유번호: 2011-0002305, 과제명: 방사선 치료 내부장기 움직임 추적 의학물리 기술 개발]
의료용으로 사용하는 방사선 중 치료방사선은 암환자의 종양에 가해져 암세포를 더 이상 번식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암세포가 수명을 다해 죽게 하거나 환자의 고통을 경감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치료방사선을 이용한 방사선 치료는 예컨대 수술을 한 뒤 암 세포가 남아 있을 가능성이 큰 경우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 또는 수술을 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수술보다는 방사선 치료가 더 효과적인 경우, 또는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같이 병행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 또는 항암 약물 치료와 함께 항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방사선치료는 선형가속기(linear accelerator)와 같은 방사선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료장비에 의해 행해진다. 선형가속기는 높은 선량의 엑스선 또는 전자선을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 출력 에너지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현재 방사선 치료의 표준장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방사선 치료를 수행할 때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방사선 치료장치에서 출력된 방사선의 에너지가 적절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종양의 상태나 크기 또는 깊이에 대응한 최적 에너지의 방사선을 조사하여야 최대의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으므로 선형가속기가 최적의 에너지를 갖는 방사선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에 따라 방사선 치료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가속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특히 방사선량의 조절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필요한 에너지의 방사선을 출력하는지 등의 동작 정밀성을 미리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방사선의 조사량 측정은 실제로 치료가 되어야 할 환자의 몸속 특정 부위에 조사되는 방사선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의료계에서 소위 팬텀(phantom)이라 불리는 것으로 인체를 대신하여 방사선 계측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계측 장치이다. 팬텀의 일 예가 한국공개특허 제2007-011839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팬텀 장치는 주로 방사선 치료장치가 설치된 장소 즉 특정한 방사선 치료장치가 설치된 병원 등과 같은 장소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종래의 팬텀 장치는 외부로 운반하기가 매우 불편한 정도의 크기로 제조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팬텀 장치는 동일한 위치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할 때 한 종류의 디텍터 만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런데, 디텍터의 종류에 따라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그 디텍터 자체의 오차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가 가능하고 동일한 지점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서로 다른 종류의 디텍터를 교환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텍터의 종류에 따른 측정오차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정밀한 방사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는, 특정위치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팬텀 장치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일측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태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동일한 소재로 제조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측정 홈부; 및
상기 측정 홈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몸체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디텍터를 수용하는 홈 형태의 센서 설치부를 구비한 플러그 부재;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케이스 내주면에 볼록하게 형성되며 그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의 패쇄된 일측면 내측과 상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며 탄성 복원력이 있는 소재로 형성된 완충 부재;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고 하면은 지면에 지지된 한 쌍의 받침대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는, 특정위치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팬텀 장치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일측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태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동일한 소재로 제조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된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와 동축상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제2몸체; 및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에 배치되며 조사된 방사선량의 분포를 2차원적으로 측정하는 센서 부재;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센서 부재는 필름, 열형광 선량계(TLD), 글라스 디텍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제조되고, 동일한 지점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서로 다른 종류의 디텍터를 교환하여 측정할 수 있으므로 디텍터의 종류에 따른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는 특정 위치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의 분포를 평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팬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팬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Ⅲ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팬텀을 구성하는 플러그 부재의 여러 가지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팬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팬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Ⅶ-Ⅶ 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센서 부재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팬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팬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Ⅲ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팬텀을 구성하는 플러그 부재의 여러 가지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는 특정위치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10)는 케이스(20)와, 몸체(30)와, 측정 홈부(36)와, 플러그 부재(40)와, 완충 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0)는 외부가 원기둥 형태인 부재이다. 상기 케이스(20)의 내부는 비어 있다. 상기 케이스(20)의 내부는 수용공간(22)을 형성한다. 상기 수용공간(22)의 일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0)는 지면에 대해 측면이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사용된다. 상기 케이스(20)는 예컨대 아크릴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는 외부에서 내부가 들여다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20)는 가이드 레일(24)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24)은 상기 케이스(20) 내주면에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4)은 상기 케이스(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4)은 후술하는 몸체(30)에 형성된 가이드 홈(34)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몸체(30)와 상기 케이스(20)의 결합 또는 분리를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20)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받침대(70)가 마련된다. 상기 받침대(70)는 상면이 상기 케이스(20)를 지지하고 하면이 지면에 지지 된다. 상기 받침대(70)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받침대의 상면은 상기 케이스(20)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의 하면은 지면에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30)는 상기 수용공간(22)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30)는 상기 수용공간(22)에 슬라이딩됨으로써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몸체(30)의 형상은 상기 수용공간(22)의 일부를 채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30)의 외주면은 상기 케이스(20)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됨으로써 상기 케이스(20)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몸체(30)는 상기 케이스(20)와 동일한 소재로 제조된다. 상기 몸체(30)는 가이드 홈(34)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홈(34)은 상기 몸체(30)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34)은 상기 몸체(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홈(34)은 상기 가이드 레일(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측정 홈부(36)는 상기 몸체(30)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측정 홈부(36)는 상기 몸체(30) 내부의 특정 위치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측정 홈부(36)는 상기 몸체(30)의 내부 일정 위치에서 상기 몸체(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30)의 일측면 외부와 연통된 홈 형태의 구조물이다. 즉, 상기 측정 홈부(36)는 상기 몸체(30)의 일측면 외부로부터 상기 몸체(30)의 내부 일정 지점까지 연장 형성된 직선형태의 터널과 같이 형성된 오목한 구조물이다.
상기 플러그 부재(40)는 상기 측정 홈부(36)에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디텍터(100)를 설치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플러그 부재(40)는 상기 측정 홈부(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플러그 부재(40)는 상기 몸체(30)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디텍터(100)를 수용하는 홈 형태의 센서 설치부(42)를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 부재(40)의 일단부는 상기 측정 홈부(36)의 내측 선단에 위치하며 상기 플러그 부재(40)의 타단부는 상기 측정 홈부(36)의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플러그 부재(40)의 타단부가 상기 측정 홈부(36)의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배치된 이유는 상기 플러그 부재(4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다. 즉, 상기 플러그 부재(40)를 상기 측정 홈부(36)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 부재(40)의 타단부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 상기 센서 설치부(42)는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디텍터(100)를 수용하는 부위다. 일반적으로 디텍터(100)는 이온 전리함(ion chamber)이라 불리며 여러 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 설치부(42)의 형상은 각각의 디텍터(100)의 형상에 맞도록 가공된다. 그 결과 상기 플러그 부재(40)는 상기 센서 설치부(42)의 형상에 따라 내부 형상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가 존재할 수 있다. 도 4는 여러 가지 플러그 부재(40)의 예를 보여준다. 상기 플러그 부재(40)는 상기 몸체(30)와 동일한 소재로 제조된다.
상기 완충 부재(60)는 상기 몸체(30)가 상기 케이스(20)에 조립될 때 상기 케이스(20)와 상기 몸체(30)가 충돌함으로써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완충 부재(60)는 상기 케이스(20)의 폐쇄된 일측면 내측과 상기 몸체(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완충 부재(60)는 예컨대 스펀지, 고무, 공극이 존재하는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 복원력이 있는 소재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10)의 작용 효과를 상기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10)를 조립하여 방사선 조사장치에 사용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10)가 분리된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2로부터 도 1과 같은 상태로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10)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케이스(20)의 열린 부위를 통해 상기 완충 부재(60)를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2)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30)를 상기 케이스(20)에 조립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몸체(30)에 형성된 가이드 홈(34)과 상기 케이스(2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레일(24)은 상기 몸체(30)가 상기 케이스(20) 내부로 원활하게 활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30)가 상기 케이스(2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부재(40)의 센서 설치부(42)에 디텍터(100)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부재(40)를 상기 몸체(30)에 마련된 측정 홈부(36)에 조립한다. 이제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10)가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조립되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10)를 방사선 조사 장치의 베드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70)는 베드에 상기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방사선 조사 장치가 상기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10)를 따라 선회하면서 방사선을 특정한 위치에 조사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디텍터(100)는 상기 몸체(30)의 특정 위치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하게 된다. 그런데, 디텍터(100)의 종류에 따라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 부재(40)를 다른 플러그 부재(40)로 교환하여 줌으로써 그 플러그 부재(40)에 맞은 다른 디텍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30)의 내부의 특정한 위치에 서로 다른 디텍터를 용이하게 교환 설치하여 반복적으로 방사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텍터의 종류에 따른 측정오차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10)는 휴대가 가능한 구조이므로 쉽게 다른 장소로 휴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팬텀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서술한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10)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제2실시 예에 따른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12)가 제1실시 예와 다른 점은 상기 플러그 부재(40)가 수용될 수 있는 측정 홈부(36)가 복수 구비된 점이다. 따라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12)는 복수의 위치에서 서로 다른 플러그 부재(40)를 교환함으로써 제1실시 예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팬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Ⅶ-Ⅶ 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센서 부재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3실시 예에 따른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13)는 케이스(20)와, 몸체(30)와, 센서 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0)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20)에 대한 서술은 제1실시 예를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몸체(30)는 2개로 분리된다. 즉, 상기 몸체(30)는 제1몸체(31)와 제2몸체(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31)는 상기 케이스(20)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제2몸체(32)는 상기 제1몸체(31)와 동축 상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2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몸체(31)와 상기 제2몸체(32)는 각각 제1실시 예의 몸체(30)에 구비된 것과 동일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제1몸체(31)와 상기 제2몸체(32)는 제1실시 예와 달리 측정 홈부는 구비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몸체(31)와 상기 제2몸체(32)에는 플러그 부재가 삽입되지 않는다. 제1실시 예의 플러그 부재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부재가 후술하는 센서 부재(50)이다.
상기 센서 부재(50)는 상기 제1몸체(31)와 상기 제2몸체(3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센서 부재(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센서 부재(50)는 복수의 글라스 디텍터(110)나 열형광 선량계(TL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 부재(50)는 방사선의 조사량에 따라 감광 정도가 달라지는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 부재(50)는 조사된 방사선량의 분포를 2차원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제3실시 예에 따른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는 조사된 방사선량의 2차원 분포를 측정하는데 효율적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12,13 :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
20 : 케이스 22 : 수용공간
24 : 가이드 레일 30 : 몸체
31 : 제1몸체 32 : 제2몸체
34 : 가이드 홈 36 : 측정 홈부
40 : 플러그 부재 42 : 센서 설치부
50 : 센서 부재 60 : 완충 부재
70 : 받침대 100,110 : 디텍터

Claims (6)

  1. 특정위치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팬텀 장치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일측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태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동일한 소재로 제조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그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측정 홈부; 및
    상기 측정 홈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몸체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디텍터를 수용하는 홈 형태의 센서 설치부를 구비한 플러그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주면에 볼록하게 형성되며 그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폐쇄된 일측면 내측과 상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며 탄성 복원력이 있는 소재로 형성된 완충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면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고 하면은 지면에 지지된 한 쌍의 받침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
  5. 특정위치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팬텀 장치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일측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태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와 동일한 소재로 제조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된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동축상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에 배치되며 조사된 방사선량의 분포를 2차원적으로 측정하는 센서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부재는 필름, 열형광 선량계(TLD), 글라스 디텍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
KR1020110147430A 2011-12-30 2011-12-30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 KR20130078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430A KR20130078470A (ko) 2011-12-30 2011-12-30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430A KR20130078470A (ko) 2011-12-30 2011-12-30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470A true KR20130078470A (ko) 2013-07-10

Family

ID=4899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430A KR20130078470A (ko) 2011-12-30 2011-12-30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84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1834A (zh) * 2017-02-28 2019-10-25 富士胶片株式会社 放射线照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1834A (zh) * 2017-02-28 2019-10-25 富士胶片株式会社 放射线照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0835B1 (en) Radiation beam analyzer and method
CA2935418C (en) Method and system for stereotactic intensity-modulated arc therapy
US7679049B2 (en) Calibrating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canner
ES2386971T3 (es) Braquiterapia periférica de órganos salientes conformables
US8859264B2 (en) Phantom for the experimental in-vitro validation of radiation procedures under the influence of motion, taking into account the biological effective dose
US20060153330A1 (en) System for radiation imaging and therapy of small animals
US20130261430A1 (en) Therapeutic apparatus comprising a radiotherapy apparatus, a mechanical positioning system, and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La Tessa et al. Out-of-field dose studies with an anthropomorphic phantom: comparison of X-rays and particle therapy treatments
US7899155B2 (en) Stand for holding a radiation detector for a radiation therapy device
CN208591469U (zh) 一种融合ct和pet双模态图像引导的小动物一体化放疗系统
Isacsson et al. A method to separate the rectum from the prostate during proton beam radiotherapy of prostate cancer patients
KR20130078470A (ko) 입체 세기조절 회전치료용 복합 팬텀 장치
KR101303297B1 (ko) 휴대용 팬텀 장치
CN107569779B (zh) 中子治疗装置
KR102273851B1 (ko) 근접 치료를 위한 정도 관리 팬텀 장치
CN208990091U (zh) 图像引导一致性的头部伽马刀放射治疗设备
Park et al. Improvement of VMAT plan quality for head and neck cancer with high resolution fluences generated by couch shift between arcs
Speiser et al. First assessment of a novel IGRT device for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Kacperek Dose verification by activation in vivo following proton beam eye radiotherapy
KR20130059086A (ko) 하우스 형태의 방사선 측정용 팬텀 장치
Christensen et al. Dosimetric study for breathing-induced motion effects in an abdominal pancreas phantom for carbon ion mini-beam radiotherapy
Stengl et al. Dosimetric study for breathing‐induced motion effects in an abdominal pancreas phantom for carbon ion mini‐beam radiotherapy
Gevaert et al. In vivo estimation of extracranial doses in stereotactic radiosurgery with the Gamma Knife and Novalis systems
Nishio et al. Development of tumor response observation system for dose-volume delivery guided particle therapy
KR20220038089A (ko) 입자를 사용한 환자의 신체 부위의 치료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