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336A -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 Google Patents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336A
KR20130077336A KR1020110145982A KR20110145982A KR20130077336A KR 20130077336 A KR20130077336 A KR 20130077336A KR 1020110145982 A KR1020110145982 A KR 1020110145982A KR 20110145982 A KR20110145982 A KR 20110145982A KR 20130077336 A KR20130077336 A KR 20130077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ser
processing unit
intelligent virtual
application exec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석
문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블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블루
Priority to KR1020110145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7336A/ko
Publication of KR20130077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송수신유닛을 통해 웹 서버에 접속되어 웹 서버로부터 운동 종류 및 운동 코스 등이 저장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전송받는 단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처리유닛이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관한 운동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처리유닛이 사용자가 소정 부위에 착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센서 단말기로부터 출력 값을 무선으로 전달 받아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처리유닛이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기초로 사용자의 운동량을 디스플레이유닛에 출력하는 단계 및 처리유닛이 사용자의 운동량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메모리유닛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Description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METHOD FOR INTELLIGENT VIRTUAL TRAINING AND APPLICATION EXECUTABLE DEVICE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용중인 센서 단말기로부터 센서 단말기의 출력 값을 전달받아 사용자의 운동자세 또는 운동 횟수 등의 운동 상태를 검출하고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을 용이하게 보조할 수 있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건강과 운동에 관심을 가지고있다. 걷기, 뛰기에서부터 다양한 운동들이 있다. 그 중에 집이나 헬스장에서 할 수 있는 운동으로는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스트레칭, 팔굽혀펴기, 윗몸 일으키기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운동 코스들이 있는데, 각 운동자의 상태 및 운동 목적에 따라 (살빼기, 특정 부위 근육 만들기, 여성과 남성, 청소년 및 성인, 노인, 재활운동 등) 운동 방법, 도구, 운동 순서와 강도 등이 각각 다르게 된다.
따라서 개인별 맞춤 운동을 위해서는 전문 트레이너를 통해서 개인의 건강 상태와 목적에 맞는 운동을 처방받고 정확한 운동방법을 배워야 한다. 트레이너가 필요한 또 다른 이유는 운동을 너무 무리하게 하거나 잘못된 운동 방법은 오히려 몸에 무리가 가거나 다칠 위험성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전문 트레이너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비용적인 문제 때문에 전문 트레이너로부터 운동을 배우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증가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운동을 보조하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며 운동의 횟수를 카운트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을 뿐, 전문 트레이너에 의한 개인별 특성에 따른 맞춤 운동 스케줄을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운동을 보조하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은 운동의 속도 및 운동 자세 등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안내해 주지 못하여 운동 효과를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운동을 보조하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은 운동하는 동안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파지 또는 거치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운동 시 불편함을 초래하며, 사용자가 운동 시 자칫 스마트폰이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웹 서버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사용자 개인별로 최적화된 다양한 종류의 운동 종류 또는 운동 코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착용중인 센서 단말기로부터 센서 단말기의 출력 값을 전달받아 사용자의 운동자세 또는 운동 횟수 등의 운동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을 용이하게 보조할 수 있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송수신유닛을 통해 웹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웹 서버로부터 운동 종류 및 운동 코스 등이 저장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전송받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처리유닛이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관한 운동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처리유닛이 사용자가 소정 부위에 착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센서 단말기로부터 출력 값을 무선으로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운동 상태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운동량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메모리유닛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운동 정보는 운동 방법 및 운동 목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운동 정보의 상기 운동 종류를 기초로 상기 센서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단말기는 주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여 센서 값을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서 값을 기초로 상기 출력 값을 생성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출력 값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송수신부와, 상기 센서부, 처리부 및 상기 송수신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상기 송수신유닛과 상기 센서 단말기의 상기 송수신부는 무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값은 상기 센서 단말기의 가속도 및 각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출력 값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자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출력 값을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포함된 자세 검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검출하는 검출 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자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검출 값과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포함된 자세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값이 자세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자세 교정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세 교정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자세교정 영상을 출력하여 자세교정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세교정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음성출력유닛을 통해 자세교정메시지를 출력하여 자세교정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출력 값이 상기 자세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유닛이 카운트된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횟수와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기초로 기 설정된 운동 횟수를 비교하여, 카운트된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횟수와 상기 기 설정된 운동 횟수가 불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계속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횟수와 상기 기 설정된 운동 횟수가 일치하면 운동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운동이 종료되면,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기초로 설정된 익일 운동 목표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운동량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운동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결과는 칼로리소모량 및 체중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량은 상기 운동량은 상기 사용자의 전체 운동 횟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횟수 단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운동량을 상기 송수신유닛을 통해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키 및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에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는 웹 서버를 통해 전송받은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기초로 사용자 개인에게 최적화된 운동 방법 및 운동 목표 등의 운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에 따르면 운동 시, 소형의 센서 단말기만을 장착하면 되기 때문에 편리하게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에 따르면 운동하는 사람의 운동 상태에 대한 진단을 통해 자세 및 운동 속도 등에 대한 안내를 실시간으로 하기 때문에 전문 트레이너로부터 운동을 강습 받는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운동한 사람의 운동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운동한 사람의 운동 히스토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운동하면서 착용중인 소형의 센서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을 기초로 한 사용자의 운동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운동량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제어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의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되는 화면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되는 화면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되는 화면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되는 화면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또는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데,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제어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 하면, 웹 서버(110)는 다양한 종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웹 서버(110)는 별도의 기억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웹 서버(110)의 관리자 또는 작업자는 웹 서버(110)에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운동 종류 및 운동 코스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상기 운동 종류 및 운동 코스에 대응되는 운동 정보가 기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 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웹 서버(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하고 웹 서버(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기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Tablet PC)등이 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처리유닛(121), 메모리유닛(122), 송수신유닛(123), 디스플레이유닛(124), 사용자 인터페이스유닛(125) 및 음성출력유닛(126)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유닛(121)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의 전체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유닛(122)은 처리유닛(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송수신유닛(123)은 처리유닛(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유닛(124)은 처리유닛(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처리유닛(121)에 의해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 등에서 생성되는 화면 및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유닛(124)은 공지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유닛(125)은 키보드, 터치 스크린 또는 키패드 등과 같은 공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음성출력유닛(126)은 처리유닛(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처리유닛(121)에 의해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 등에서 생성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메모리유닛(122)에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은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처리유닛(121)을 통해 인털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송수신유닛(123)을 통해 웹 서버(110)에 접속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송수신유닛(123)을 통해 웹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전송받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의 처리유닛(121)은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메모리유닛(122)에 저장하고 실행하여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전송받아 실행시킴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운동 또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 코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처리유닛(121)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송수신유닛(123)을 통해 센서 단말기(130)와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 단말기(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센서 단말기(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환경의 변화를 감지하여 센서 값을 출력하기 위한 센서부(131), 센서 값을 처리하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부(132), 결과 데이터의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33), 결과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로 송신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에서 제공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설치되는 송수신부(134) 및 구동을 위해 전원이 필요한 각 부분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부(13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센서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심장박동측정센서,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한 센서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메모리부(133)에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도록 하는 이유는 센서 단말기(130)가 특정 용도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센서 단말기(130)가 다양한 운동에 대한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체온 및 심박 측정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 소프트웨어가 변경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부연하면, 센서 단말기(130) 상에 프로그램이 고정되어 있으면 용도가 처음 제작된 상태로 제한이 됨으로써 상황에 따라 여러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전술한 센서부(131), 처리부(132), 메모리부(133), 송수신부(134) 및 전원공급부(135)는 별도의 케이스에 내장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케이스는 사용자가 간단하게 휴대하거나 몸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형태는 단추나 브로치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센서 단말기(130)는 센서부(131)에서 측정한 아날로그 값을 처리부(132)에서 처리 가능한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ADC(Analog Digital Converter, 13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단말기(130)의 자체에는 스위치(137) 또는 디스플레이부(138)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센서 단말기(130)에는 다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외형적으로는 견고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장치(120)와는 별도로 동작할 수 있도록 충전단자 및 통신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 단말기(130)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패드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장치(120)와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어플리케이션 실행장치(120)의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장치(1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센서 단말기(13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센서 단말기(130)의 송수신부(134)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출력 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센서 단말기(130)의 메모리부(133)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자세검출 알고리즘 프로그램이 기 저장될 수 있다. 처리부(132)는 상기 자세검출 알고리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부(110)에서 감지한 센서 값을 기초로 운동하는 사람의 운동 자세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생성하여 송수신부(134)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장치(120)의 메모리유닛(122)에 하기에서 설명할 자세검출 알고리즘 프로그램이 미리 저장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장치(120)가 센서 단말기(130)로부터 검출 값을 전송받아 운동하는 사람의 운동 자세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의 처리유닛(121)에 상기 자세 검출 알고리즘이 기 설정되어 처리유닛(121)이 출력 값을 기초로 검출 값을 생성하는 경우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상기 출력 값을 전달받아 사용자의 운동상태 및 운동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용자의 운동상태 및 운동량을 웹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단말기(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로부터 생성되는 센서 변경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센서부(131)는 처리부(132)에 의해 주변환경 또는 사용자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의 종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31)는 가속도 센서 및 심장박동측정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131)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센서 단말기(130)가 설치되는 부위의 속도가 변화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 단말기(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로부터 상기 센서 변경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센서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센서부(131)는 처리부(132)에 의해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상기 심장박동측정센서로 변경할 수 있다. 센서 단말기(130)는 상기 심장박동측정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심장박동 수를 측정한 센서 값을 상기 출력 값으로 변환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의 종류가 변경되어 작동되는 것뿐만 아니라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로부터 복수의 센서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도 있다.
이하에서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인 도 4를 참고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에 설치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 트레이닝을 보조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의 송수신유닛(123)을 통해 웹 서버(110)에 접속되어 웹 서버(110)에 저장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전송받는 단계(S110)를 포함한다.
이때, 웹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웹 서버(110) 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웹 서버(110)의 회원인 경우, 웹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가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전송받는 것을 허가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운동 종류 및 운동 코스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웹 서버(110)의 회원이 아닌 경우, 웹 서버(110)는 사용자의 회원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회원 가입을 완료하면, 웹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가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전송받는 것을 허가할 수 있다.
또한, 처리유닛(121)은 사용자의 사용자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유닛(125)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키 및 사용자의 몸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유닛(121)은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자신에게 적합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전송받아 운동을 할 수 있다.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의 처리유닛(121)을 통해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관한 운동정보를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출력(S120)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정보는 운동 방법 및 운동 목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운동 방법이 덤벨 운동인 경우, 처리유닛(121)은 사용자가 덤벨을 파지하는 자세 및 덤벨을 들어올리는 자세의 화면 및 영상을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처리유닛(121)은 사용자가 덤벨 운동을 수행해야 하는 운동 횟수를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처리유닛(121)은 상기 운동 정보의 상기 운동 종류를 기초로 센서 단말기(13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운동 종류가 덤벨 운동인 경우, 사용자는 덤벨을 들고 있는 팔을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시키면서 운동을 한다. 이때, 처리유닛(121)은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센서 단말기(130)가 덤벨 운동을 할 때 가장 많이 움직이는 사용자의 팔에 착용되는 화면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센서 단말기(130)를 팔에 착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종류가 사이클인 경우, 사용자는 사이클에 앉아 발로 페달을 밟으면서 운동을 한다. 이때, 처리유닛(121)은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센서 단말기(130)가 사이클을 할 때 가장 많이 움직이는 사용자의 발목에 착용되는 화면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센서 단말기(130)를 발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단말기(130)는 사용자가 운동할 때 가장 많이 움직이는 부위에 착용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운동을 하는 동안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가 아닌 센서 단말기(130)를 몸에 착용함으로써 힘을 주어 운동을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힘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단말기(130)은 소형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한 후 운동을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운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은 사용자가 소정 부위에 착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센서 단말기(130)로부터 출력 값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의 송수신유닛(123)을 통해 전달 받아(S130) 상기 출력 값을 기초로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센서 단말기(130)는 사용자에게 착용된 부위가 움직일 때마다 상기 출력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의 송수유닛(123)과 센서 단말기(130)의 송수신부(133)는 블루투스 방식 또는 와이파이 방식과 같은 무선방식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단말기(130)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출력 값은 센서 단말기(130)의 센서부(131)의 종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31)가 특정 물체가 움직이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인 경우, 상기 출력 값은 가속도에 대한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센서부(131)가 특정 물체가 움직이는 각이 변화되는 속도를 측정하는 각속도 센서인 경우, 상기 출력 값은 각속도에 대한 값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는 센서 단말기(130)로부터 생성되는 출력 값을 기초로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검출하고 검출된 운동 자세를 근거로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먼저, 처리유닛(121)은 상기 출력 값을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포함된 자세 검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값을 생성(S141)할 수 있다. 처리유닛(121)은 상기 검출 값과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포함된 자세 기준 값을 비교(S142)할 수 있다.
상기 검출 값이 상기 자세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처리유닛(121)은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사용자의 자세교정을 요청(S143)할 수 있다. 이때, 처리유닛(121)은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자세교정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처리유닛(121)은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음성으로 자세교정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 값이 상기 자세 검출 알고리즘에 적용된 상기 검출 값이 9이고 상기 자세 기준 값이 10인 경우, 처리유닛(121)은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영상으로 자세교정을 요청하거나,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음성으로 자세교정을 요청할 수 있다.
처리유닛(121)이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자세교정을 요청하는 경우, 처리유닛(121)은 디스플레이유닛(124)에 "팔을 더 높이" 또는 "다리를 더 곧게"등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처리유닛(121)이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자세교정을 요청하는 경우, 처리유닛(121)은 "자 힘내세요" 또는 "팔을 더 높이"등의 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검출 값이 상기 자세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상기 운동 횟수를 카운트(S144)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출 값이 10이고 상기 자세 기준 값이 10인 경우, 처리유닛(121)은 사용자의 상기 운동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처리유닛(121)은 카운트된 상기 운동 횟수를 디스플레이유닛(124) 또는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처리유닛(121)은 카운트된 사용자의 상기 운동 횟수와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기초로 기 설정된 운동 횟수를 비교(S145)할 수 있다.
상기 카운트된 운동 횟수가 상기 기 설정된 운동 횟수와 불일치하는 경우, 처리유닛(121)은 센서 단말기(13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을 상기 자세 검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검출 값을 산출하고, 검출 값이 자세 기준 값보다 큰 경우에 대해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카운트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카운트된 운동 횟수와 상기 기 설정된 운동 횟수가 일치하는 경우, 처리유닛(121)은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운동종료를 출력(S150)한다.
처리유닛(121)은 상기 카운트된 운동 횟수를 기초로 사용자의 운동량을 디스플레이유닛(124)에 출력하고 메모리유닛(122)에 저장(S160)할 수 있다. 상기 운동량은 사용자의 전체 운동 횟수 또는 사용자의 운동 횟수 단위일 수 있다.
또한, 처리유닛(121)은 상기 운동량을 기초로 사용자의 운동결과를 산출하여 상기 운동결과를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출력(S170)할 수 있다. 이때, 운동결과는 칼로리소모량 및 체중변화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처리유닛(121)은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기초로 설정된 익일 운동 목표를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출력(S180)할 수 있다. 상기 익일 운동 목표는 운동 종류 및 운동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익일 운동 목표는 금일 운동 목표보다 운동의 강도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강도를 조금씩 높여가면서 운동을 할 수 있다.
처리유닛(121)은 송수신유닛(123)을 통해 사용자의 상기 운동량을 웹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웹 서버(110)는 상기 운동량을 저장하여 사용자가 상기 운동량의 열람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운동량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로 전송(S190)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를 통해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과정의 일 실시예에 대해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웹 서버(110)에 접속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송수신유닛(123)을 통해 웹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전송받을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디스플레이유닛(124)를 통해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전송받는 진행 과정을 출력할 수 있다.(도 5 참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저장되어 있는 운동 종류 및 운동 코스를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유닛(125)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운동 종류 및 운동 코스를 검출할 수 있다.(도 6 참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유닛(125)을 통해 운동 종류 또는 운동 코스를 선택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운동 종류 또는 운동 코스에 대한 설명을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센서 단말기(130)가 착용되는 위치를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운동 종류 또는 운동 코스에 대한 설명을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도 7 참고)
예를 들어, 덤벨 운동의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센서 단말기(13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디스플레이유닛(124)과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덤벨 운동 과정을 동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오늘의 운동 목표는 덤벨 운동 12회씩 3세트입니다" 또는 "센서를 팔목 밴드에 착용해 주세요."등과 같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덤벨 운동 방법을 인지하고 있거나 센서 단말기(130)가 착용되는 위치를 인지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가 운동 종류 또는 운동 코스 등을 설명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디스플레이유닛(124) 및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카운트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숫자로 표시해줄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하나, 둘..."과 같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운동 자세가 바르지 않거나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빠른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사용자의 자세교정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빠른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조금 천천히..." 또는 "조금 더 빠르게 2초에 한번 속도로 하세요."등과 같은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운동 자세가 바르지 않은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팔을 더 높이" 또는 "다리를 더 곧게"등과 같은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운동이 진행되는 동안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디스플레이유닛(124) 또는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사용자를 격려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스물아홉, 서른. 첫 세트가 끝났습니다. 30초간 휴식하세요." 또는 "...스물, 자 힘내세요. 조금만 더, 스물하나..."등과 같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운동 또는 운동 코스 중 하나가 종료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디스플레이유닛(124) 또는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다음 운동 또는 운동 코스로 넘어가는 화면 또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다음 단계는 1분 휴식 후에 사이클입니다. 사이클 운동을 준비하세요. 사이클 운동의 센서 착용 위치는 발목입니다."등과 같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유닛(124) 또는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모든 운동 또는 모든 운동 코스가 종료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사용자에게 운동 종료를 알려 운동을 사용자가 운동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익일 운동 목표를 디스플레이유닛(124) 또는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음 운동에 대비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디스플레이유닛(124) 또는 음성출력유닛(126)을 통해 "오늘 운동을 잘 마무리하셨습니다." 또는 "내일은 덤벨을 1kg 높여서 하도록 하겠습니다."등과 같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사용자의 운동결과를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운동결과는 칼로리소모량 및 체중변화의 운동결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120)는 상기 운동결과를 디스플레이유닛(124)을 통해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도 8 참고)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의 운동 목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웹 서버
120: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130: 센서 단말기

Claims (22)

  1.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송수신유닛을 통해 웹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웹 서버로부터 운동 종류 및 운동 코스 등이 저장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전송받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처리유닛이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관한 운동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처리유닛이 사용자가 소정 부위에 착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센서 단말기로부터 출력 값을 무선으로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운동 상태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운동량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메모리유닛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정보는 운동 방법 및 운동 목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운동 정보의 상기 운동 종류를 기초로 상기 센서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위치를 출력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단말기는,
    주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여 센서 값을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서 값을 기초로 상기 출력 값을 생성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출력 값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송수신부와,
    상기 센서부, 처리부 및 상기 송수신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상기 송수신유닛과 상기 센서 단말기의 상기 송수신부는 무선방식으로 연결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인,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값은 상기 센서 단말기의 가속도 및 각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값을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출력 값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자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출력 값을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포함된 자세 검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검출하는 검출 값을 생성하는 단계인,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자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검출 값과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포함된 자세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값이 자세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자세 교정을 요청하는 단계인,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교정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자세교정 영상을 출력하여 자세교정을 요청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교정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음성출력유닛을 통해 자세교정메시지를 출력하여 자세교정을 요청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출력 값이 상기 자세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유닛이 카운트된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횟수와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기초로 기 설정된 운동 횟수를 비교하여, 카운트된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횟수와 상기 기 설정된 운동 횟수가 불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계속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횟수와 상기 기 설정된 운동 횟수가 일치하면 운동을 종료하는 단계인,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운동이 종료되면,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기초로 설정된 익일 운동 목표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처리유닛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운동량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운동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결과는,
    칼로리소모량 및 체중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은,
    상기 운동량은 상기 사용자의 전체 운동 횟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횟수 단위인,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운동량을 상기 송수신유닛을 통해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의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출력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키 및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의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KR1020110145982A 2011-12-29 2011-12-29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KR20130077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982A KR20130077336A (ko) 2011-12-29 2011-12-29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982A KR20130077336A (ko) 2011-12-29 2011-12-29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336A true KR20130077336A (ko) 2013-07-09

Family

ID=4899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982A KR20130077336A (ko) 2011-12-29 2011-12-29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733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6461A1 (ko) * 2014-04-09 2015-10-15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7132A (ko) * 2014-04-09 2015-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1695A (ko) * 2014-05-16 201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646158B1 (ko) * 2015-02-09 2016-08-1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 결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90021817A (ko) * 2017-08-24 2019-03-06 구자현 운동 자세의 평가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그 운동 감지 장치 및 운동 관리 장치
KR20200061611A (ko) * 2018-11-26 2020-06-03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맞춤형 운동 시각화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6461A1 (ko) * 2014-04-09 2015-10-15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7132A (ko) * 2014-04-09 2015-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354551B2 (en) 2014-04-09 2019-07-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131695A (ko) * 2014-05-16 201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646158B1 (ko) * 2015-02-09 2016-08-1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 결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90021817A (ko) * 2017-08-24 2019-03-06 구자현 운동 자세의 평가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그 운동 감지 장치 및 운동 관리 장치
KR20200061611A (ko) * 2018-11-26 2020-06-03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맞춤형 운동 시각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46221A1 (en) Strength Exercise Mechanisms
US10391360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timizing the training of athletes
US100619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assessing muscular capacities of athletes using short tests
KR20130077336A (ko) 인텔리전트 가상 트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JP5985858B2 (ja)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リング方法、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製品及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
EP3060119B1 (en) Method for sensing a physical activity of a user
US20110112771A1 (en) Wearable sensor system with gesture recognition for measuring physical performance
JP2019166327A (ja) 人体に触覚指示を伝達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655618B2 (en) Accelerome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ccelerometer
US10569124B2 (en) Portable elliptical exercise machine, resistance band extension, and transport mechanism
KR101209076B1 (ko) 운동가이드장치 및 운동가이드방법
KR102212716B1 (ko) 모션 패턴에 따른 근력 운동 자세 분석 시스템 및 방법
US201903146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selecting physical exercises
KR100892665B1 (ko) 운동자세 및 운동량을 알려주는 헬스 웨이트 서비스 방법
WO2013040424A1 (en) System and methods for evaluating and providing feedback regarding movement of a subject
WO2015139089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eedback on exercise technique
KR10186013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수영자세 분석교정 시스템
JP2019534062A (ja)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JP2010246676A (ja) 運動支援システム、運動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39616B1 (ko) 운동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2238072A (ja) 行動評価装置
KR20210085253A (ko) 스마트 개인훈련 운동시스템 및 개인훈련 운동방법
US20230398031A1 (en) Wearabl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exercise posture evaluation information of user and operation methods thereof
KR20210041669A (ko) 스마트 헬쓰장갑 시스템
US20230035175A1 (en) Indoor cycle linked with game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