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283A -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283A
KR20130077283A KR1020110145908A KR20110145908A KR20130077283A KR 20130077283 A KR20130077283 A KR 20130077283A KR 1020110145908 A KR1020110145908 A KR 1020110145908A KR 20110145908 A KR20110145908 A KR 20110145908A KR 20130077283 A KR20130077283 A KR 20130077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ck
search
service
click valu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7837B1 (ko
Inventor
조수란
김유진
양정석
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10145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8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gebra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서비스 영역에 분포되어 있는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한 클릭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클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 각각의 클릭 가치인 제1 클릭 가치를 산정하는 제1 클릭 가치 산정부, 그리고 상기 제1 클릭 가치 산정부의 산정 결과를 기초로 검색어별 서비스 영역의 클릭 가치인 제2 클릭 가치를 산정하는 제2 클릭 가치 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ARCHING SERVICE}
본 발명은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사용자는 포털 사이트(portal site) 등에서 관심 있는 업체 등을 검색하고, 검색된 업체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검색은 관심 있는 업체와 관련된 검색어(keyword)를 다양하게 입력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업체에 관련된 검색어를 입력하면, 포털 사이트 등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된 검색 결과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검색 결과 목록은 검색 결과의 속성에 따라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영역으로 각각 제공된다. 이러한 서비스 영역은, 예를 들어, 블로그 검색 결과, 뉴스 검색 결과, 카페 검색 결과, 사전 검색 결과 및 광고 검색 결과 등일 수 있다. 이때, 각 서비스 영역의 노출 순서는 상황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비스 영역 노출 순위를 결정함에 있어서 서비스 영역 별 사용자의 선택 현황을 반영함으로써 검색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서비스 영역에 분포되어 있는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한 클릭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클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 각각의 클릭 가치인 제1 클릭 가치를 산정하는 제1 클릭 가치 산정부, 그리고 상기 제1 클릭 가치를 기초로 검색어별 서비스 영역의 클릭 가치인 제2 클릭 가치를 산정하는 제2 클릭 가치 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클릭 가치 산정부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 각각의 클릭 점유 비율을 상기 제1 클릭 가치로서 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릭 가치는 해당 서비스 영역의 클릭수를 클릭수 합계로 나눈값일 수 있다.
상기 제2 클릭 가치 산정부는 검색어별 서비스 영역의 클릭 점유 비율을 상기 제2 클릭 가치로서 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클릭 가치는 해당 검색어에 대한 모든 사용자의 각 서비스 영역의 상기 제1 클릭 가치의 합을 해당 검색어에 대한 모든 사용자의 수로 나눈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클릭 가치 산정부 및 상기 제2 클릭 가치 산정부 각각은 일정한 주기로 상기 제1 클릭 가치 및 상기 제2 클릭 가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클릭 가치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 제공부는, 상기 제2 클릭 가치 순서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의 노출 순서를 정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 제공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신규 등록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 각각의 평균 클릭 점유 비율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영역의 노출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 각각의 클릭수를 기초로 검색 품질을 평가하는 평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서비스 영역에 분포되어 있는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한 클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클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 각각의 클릭 가치인 제1 클릭 가치를 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클릭 가치를 기초로 검색어별 서비스 영역의 클릭 가치인 제2 클릭 가치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클릭 가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의 노출 순서를 결정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릭 가치는 해당 서비스 영역의 클릭수를 클릭수 합계로 나눈값일 수 있다.
상기 제2 클릭 가치는 해당 검색어에 대한 모든 사용자의 각 서비스 영역의 상기 제1 클릭 가치의 합을 해당 검색어에 대한 모든 사용자의 수로 나눈 값일 수 있다.
상기 제1 클릭 가치를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클릭 가치를 산정하는 단계는 각각 일정한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규 등록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 각각의 평균 클릭 점유 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평균 클릭 점유 비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의 노출 순서를 정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영역 별 사용자의 선택 현황을 반영하여 서비스 영역 노출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며, 검색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동작하는 환경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동작하는 환경의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화면의 예이다.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검색 결과가 포함된 복수의 서비스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선택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선택 이력에 따라 복수의 서비스 영역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300)에게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 300)은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통신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컴퓨터,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텔레비전(television, TV)등 다양한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수신부(105), 제1 클릭 가치 산정부(110), 제2 클릭 가치 산정부(120), 검색 결과 제공부(130) 및 평가부(140)를 포함한다.
수신부(105)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검색어의 검색 결과에 대한 클릭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검색 결과는 복수의 서비스 영역에 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클릭 가치 산정부(110)는 수신부(105)가 수신한 클릭 정보를 기초로 각 서비스 영역의 클릭 가치를 산정한다. 이에 대하여 표 1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 검색어 클릭수 합계 서비스 영역1 서비스 영역2 서비스 영역3
사용자1 A 5 3 2 0
사용자1 B 1 0 0 1
사용자2 A 4 2 0 2
사용자3 B 3 1 1 1
사용자4 B 10 10 0 0
표 1을 참고하면, 사용자 1은 검색어 A를 입력하고 제공받은 검색 결과에 대하여 총 5회의 클릭을 하되, 서비스 영역 1을 3회 클릭하고, 서비스 영역 2를 2회 클릭하였으며, 검색어 B를 입력하고 제공받은 검색 결과에 대하여 총 1회의 클릭을 하되 서비스 영역 3을 1회 클릭하였다. 사용자 2는 검색어 A를 입력하고 제공받은 검색 결과에 대하여 총 4회의 클릭을 하되, 서비스 영역 1을 2회 클릭하고, 서비스 영역 3을 2회 클릭하였다. 사용자 3은 검색어 B를 입력하고 제공받은 검색 결과에 대하여 총 3회의 클릭을 하되, 서비스 영역 1을 1회 클릭하고, 서비스 영역 2를 1회 클릭하고, 서비스 영역 3을 1회 클릭하였다. 사용자 4는 검색어 B를 입력하고 제공받은 검색 결과에 대하여 총 10회의 클릭을 하되, 서비스 영역 1을 10회 클릭하였다.
이때 서비스 영역의 클릭 가치는 서비스 영역의 클릭 점유 비율일 수 있으며,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서비스 영역의 클릭 점유 비율=해당 서비스 영역의 클릭수/클릭수 합계
수학식 1에 따르면, 사용자 1의 검색어 A에 대한 서비스 영역 1의 클릭 가치는 0.6이며, 사용자 1의 검색어 A에 대한 서비스 영역 2의 클릭 가치는 0.4이며, 사용자 1의 검색어 A에 대한 서비스 영역 3의 클릭 가치는 0이다.
사용자 1의 검색어 B에 대한 서비스 영역 1의 클릭 가치는 0이며, 사용자 1의 검색어 B에 대한 서비스 영역 2의 클릭 가치는 0이며, 사용자 1의 검색어 B에 대한 서비스 영역 3의 클릭 가치는 1이다.
사용자 2의 검색어 A에 대한 서비스 영역 1의 클릭 가치는 0.5이며, 사용자 2의 검색어 A에 대한 서비스 영역 2의 클릭 가치는 0이며, 사용자 2의 검색어 A에 대한 서비스 영역 3의 클릭 가치는 0.5이다.
사용자 3의 검색어 B에 대한 서비스 영역 1의 클릭 가치는 0.33이며, 사용자 3의 검색어 B에 대한 서비스 영역 2의 클릭 가치는 0.33이며, 사용자 3의 검색어 B에 대한 서비스 영역 3의 클릭 가치는 0.33이다.
이때 클릭 가치 산정을 위하여 클릭수가 아닌 클릭 점유 비율을 사용하는 이유는 사용자 별 클릭 빈도에 따른 가중치를 제거하고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표 1에서 사용자 1이 검색어 B를 입력한 경우 서비스 영역 3을 1회 클릭하였고, 사용자 4가 검색어 B를 입력한 경우 서비스 영역 1을 10회 클릭하였다. 이때 클릭수를 기초로 클릭 가치를 산정하는 경우 사용자 4의 과도한 클릭 빈도수로 인하여 검색어 B에 대한 서비스 영역 1의 클릭 가치가 과도하게 높아질 수 있으므로 클릭 점유 비율을 사용한다. 또한 표 1에서 사용자 3이 검색어 B를 입력한 경우와 사용자 4가 검색어 B를 입력한 경우를 비교해보면, 사용자 3은 특정 서비스 영역에 대한 명확한 검색 의도가 있지 않으나, 사용자 4는 특정 서비스 영역에 대한 명확한 검색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이경우 클릭수를 기초로 클릭 가치를 산정하면, 명확한 검색 의도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클릭 점유 비율을 사용한다.
제2 클릭 가치 산정부(120)는 제1 클릭 가치 산정부(110)가 산정한 서비스 영역의 클릭 가치를 기준으로 각 검색어별 서비스 영역의 가치를 산정한다. 검색어별 서비스 영역의 가치는 검색어별 서비스 영역의 클릭 점유 비율일 수 있으며, 이는 해당 검색어에 대한 모든 사용자의 각 서비스 영역의 클릭 점유 비율을 해당 검색어에 대한 모든 사용자의 수로 나눈 값 결정될 수 있다. 즉 검색어별 서비스 영역의 가치는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1
검색어 사용자 클릭 점유 비율
서비스 영역 1 서비스 영역 2 서비스 영역 10 합계
A 사용자1 0.5 0.5 0 1
사용자2 0.2 0.8 0 1
사용자123 0 0 0.7 1
합계 29.5 83.7 8.8 123
B 사용자1 0.1 0 0 1
사용자2 0.1 0.5 0.1 1
사용자369 0 0 0.8 1
합계 45.2 47.3 49 369
표 2를 참고하면, 검색어 A에 대한 서비스 영역 1의 클릭 가치는29.5/123으로서 24%이며, 검색어 A에 대한 서비스 영역 2의 클릭 가치는 83.7/123으로서 68%이며, 검색어 A에 대한 서비스 영역 3의 클릭 가치는 8.8/123으로서 7%이다.
또한 검색어 B에 대한 서비스 영역 1의 클릭 가치는 45.2/369으로서 12%이며, 검색어 B에 대한 서비스 영역 2의 클릭 가치는 47.3/369으로서 13%이며, 검색어 B에 대한 서비스 영역 3의 클릭 가치는 49/369으로서 13%이다.
제1 클릭 가치 산정부(110) 및 제2 클릭 가치 산정부(120)가 산정하는 결과는 경우에 따라 다양한 주기, 예를 들어 일정한 시간, 일, 주 및 월을 단위로 생성될 수 있다.
검색 결과 제공부(13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고, 제2 클릭 가치 산정부(120)가 산정한 결과에 따라 해당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200)이 검색어 A를 입력한 경우, 표 2에서와 같이 검색어 A에 대하여는 서비스 영역 2의 클릭 가치가 가장 높으므로 서비스 영역 2(31)를 가장 상위에 배치하며, 그 다음으로 클릭 가치가 높은 서비스 영역1을 두 번째에 배치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한편, 검색 결과 제공부(130)는 각 서비스 영역의 평균 클릭 점유 비율을 기초로 신규 등록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의 서비스 영역 노출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영역 1의 평균 클릭 점유 비율이 0.8이고, 서비스 영역 2의 평균 클릭 점유 비율이 0.1이며, 서비스 영역 3의 평균 클릭 점유 비율이 0.1인 경우, 일반적으로 서비스 영역1의 활용도가 높다고 판단되므로 검색 결과 제공부(130)는 신규 등록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는 서비스 영역1을 최상위에 노출할 수 있다.
평가부(140)는 특정 검색어에 대한 서비스 영역의 클릭수를 기초로 검색 품질을 평가한다. 예를 들어 검색어 A에 대하여 서비스 영역 1은 1928개의 클릭이 일어났고, 서비스 영역 2는 621개의 클릭이 일어났고, 서비스 영역 3은 301개의 클릭이 일어난 경우, 서비스 영역 1이 전체 클릭의 약 68%를 차지하므로, 서비스 영역 2 및 서비스 영역 3에 대하여 검색 품질에 문제가 없는지 점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영역 별 사용자의 선택 현황을 반영하여 서비스 영역 노출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며, 검색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은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게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선택하여 전송한다(S410). 그러면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200)의 선택 결과를 기초로 각 서비스 영역의 클릭 점유 비율을 클릭 가치로서 산정한다(S420). 즉, 각 사용자 단말(200)의 각 검색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영역 각각의 클릭 점유 비율을 산정한다.
그런 후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각 검색어별 서비스 영역의 클릭 가치를 산정한다(S430). 즉, 동일한 검색어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200)의 서비스 영역의 클릭 점유 비율을 합산하여, 이를 동일한 복수의 사용자(100)의 수로 나눈다.
한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한다(S440). 그러면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300)의 입력 검색어에 대하여 검색 결과를 생성하고(S450), 앞서 산정한 각 검색어별 서비스 영역의 가치에 기초하여 서비스 영역의 노출 순서를 정하여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공한다(S460).
만일 사용자 단말(300)이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서비스 영역의 클릭 가치를 산정하지 않은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에는, 평균 클릭 점유 비율이 가장 높은 순서로 서비스 영역을 배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서비스 영역에 분포되어 있는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한 클릭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클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 각각의 클릭 가치인 제1 클릭 가치를 산정하는 제1 클릭 가치 산정부, 그리고
    상기 제1 클릭 가치를 기초로 검색어별 서비스 영역의 클릭 가치인 제2 클릭 가치를 산정하는 제2 클릭 가치 산정부
    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제1 클릭 가치 산정부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 각각의 클릭 점유 비율을 상기 제1 클릭 가치로서 산정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제1 클릭 가치는 해당 서비스 영역의 클릭수를 클릭수 합계로 나눈값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제2 클릭 가치 산정부는 검색어별 서비스 영역의 클릭 점유 비율을 상기 제2 클릭 가치로서 산정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제2 클릭 가치는 해당 검색어에 대한 모든 사용자의 각 서비스 영역의 상기 제1 클릭 가치의 합을 해당 검색어에 대한 모든 사용자의 수로 나눈 값으로 결정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제1 클릭 가치 산정부 및 상기 제2 클릭 가치 산정부 각각은 일정한 주기로 상기 제1 클릭 가치 및 상기 제2 클릭 가치를 생성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제2 클릭 가치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서,
    상기 검색 결과 제공부는,
    상기 제2 클릭 가치 순서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의 노출 순서를 정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7항에서,
    상기 검색 결과 제공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신규 등록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 각각의 평균 클릭 점유 비율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영역의 노출 순서를 결정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 각각의 클릭수를 기초로 검색 품질을 평가하는 평가부
    를 더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서비스 영역에 분포되어 있는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한 클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클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 각각의 클릭 가치인 제1 클릭 가치를 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클릭 가치를 기초로 검색어별 서비스 영역의 클릭 가치인 제2 클릭 가치를 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서,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클릭 가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의 노출 순서를 결정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제1 클릭 가치는 해당 서비스 영역의 클릭수를 클릭수 합계로 나눈값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2항에서,
    상기 제2 클릭 가치는 해당 검색어에 대한 모든 사용자의 각 서비스 영역의 상기 제1 클릭 가치의 합을 해당 검색어에 대한 모든 사용자의 수로 나눈 값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2항에서,
    상기 제1 클릭 가치를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클릭 가치를 산정하는 단계는 각각 일정한 주기로 수행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2항에서,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규 등록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 각각의 평균 클릭 점유 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평균 클릭 점유 비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의 노출 순서를 정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145908A 2011-12-29 2011-12-29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97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908A KR101297837B1 (ko) 2011-12-29 2011-12-29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908A KR101297837B1 (ko) 2011-12-29 2011-12-29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283A true KR20130077283A (ko) 2013-07-09
KR101297837B1 KR101297837B1 (ko) 2013-08-19

Family

ID=4899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908A KR101297837B1 (ko) 2011-12-29 2011-12-29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2851A (zh) * 2019-04-15 2020-10-27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检测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9106A (ko) * 2004-05-13 2005-11-17 엔에이치엔(주) 통합 검색 결과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2851A (zh) * 2019-04-15 2020-10-27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检测方法及装置
CN111832851B (zh) * 2019-04-15 2024-03-29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检测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7837B1 (ko) 201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388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audience measurement data
US20180255009A1 (en) Emoji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US8583685B2 (en) Determination of category information using multiple stages
US8700447B2 (en) Systems and methods to present search results of business listings
US20230179683A1 (en) Providing Content Based On Event Related Information
US20140095598A1 (en) Systems, methods and interfaces for evaluating an online entity presence
US10614079B1 (en) Identifying a level of relevancy of a keyword cluster related to an event category for a given time period relative to the event
KR20210132208A (ko) 데이터베이스 사업자에 의한 기인오류 및/또는 논-커버리지에 대해 노출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45303B1 (ko) 위치-기반 콘텐트를 액세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20423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device or carrier change conversions
CN105005582A (zh) 多媒体信息的推荐方法及装置
CN105635210B (zh) 网络信息的推荐方法及装置、阅读系统
KR101120641B1 (ko)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US9519712B2 (en) Systems and methods to evaluate search qualities
US1138824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delivery
US10229164B1 (en) Adjusting a relevancy score of a keyword cluster—time period—event category combination based on event related information
CN105208409A (zh) 一种信息推荐方法及装置
US20160092852A1 (en) Allocation and distribution of payment for podcast services
KR101297837B1 (ko)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US10721705B1 (en) Content Relevance Weighting System
KR20140094892A (ko) 실사용 이력 기반 디지털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KR102167756B1 (ko) 광고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50111027A (ko)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Xu et al. A location-and diversity-aware news feed system for mobile users
KR20130101906A (ko) 광고 관리 시스템 및 광고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