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130A -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 - Google Patents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130A
KR20130076130A KR1020110144580A KR20110144580A KR20130076130A KR 20130076130 A KR20130076130 A KR 20130076130A KR 1020110144580 A KR1020110144580 A KR 1020110144580A KR 20110144580 A KR20110144580 A KR 20110144580A KR 20130076130 A KR20130076130 A KR 20130076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split ring
ring resonator
antenna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8277B1 (ko
Inventor
최재훈
김의선
이순용
서원범
이호주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4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2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means for shaping the antenna pattern, e.g. in order to protect user against rf exp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는 유전체 기판 및 패치를 구비한다. 유전체 기판은 분할 링 공진기(SRR; Split Ring Resonator) 쌍이 배열된다. 패치는 상기 유전체 기판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분할 링 공진기 쌍은 각각 상기 패치를 중심으로 일축대칭의 위치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ISM 대역에서 음의 유전율과 투자율을 갖는 SRR(split ring resonator)를 구비함으로써 전체 방사 패턴은 유지하면서도 전/후방비를 개선하여 SAR 특성을 최소화 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인체에 의한 성능상의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Description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Patch antenna for imporving SAR and frond/back ratio}
본 발명은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의한 전자파 흡수율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지능형 센서, 마이크로전자공학 및 집적회로, SoC 설계와 저전력 무선통신의 급속한 발달로 소형 지능형 센서노드의 개발이 촉진되고 있다. 이러한 센서 노드는 인체센서 네트워크의 개발에 초석이 되어 향후 이 분야의 급속한 발전을 기대하게 한다.
초 저전력 RF 기술의 발전에 따라 침투식 및 비침투식 장치들을 통하여 원격 단말과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을 통하여 환자를 장기간 모니터링하여 의료 전문가로부터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받는 의료용 서비스가 가능하여 졌으며, 입을 수 있는 컴퓨터와 같은 인체기반 통신시스템이 현실화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9-0037324호, "SAR 및 HAC 특성 개선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 안테나"(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선행기술 1은 주파수 대역이 512, 661, 810 MHz인 휴대용 단말기용 안테나의 SAR 및 HAC의 저감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커플링 브랜치의 빔 패턴 틸트 기능으로 SAR과 HAC특성을 향상 시킨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의 경우 빔 패턴 틸트로 인하여 전체 빔 패턴의 지향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안테나에 의한 인체 영향 등이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체 통신용으로 전환되기 어렵다. 또한, 입체 구조 및 다층 구조로서 제작이 용이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안테나의 성능과 전자파 흡수율을 저감이 가능하도록 ISM 대역에서 음의 유전율과 투자율을 갖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는 유전체 기판 및 패치를 구비한다.
유전체 기판은 분할 링 공진기(SRR; Split Ring Resonator) 쌍이 배열된다.
패치는 상기 유전체 기판 일측면에 구비되고,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분할 링 공진기 쌍은 각각 상기 패치를 중심으로 일축대칭의 위치에 배열된다.
또한 상기 분할 링 공진기는 개방 루프형 분할 링 공진기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분할 링 공진기는 상기 패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 링 공진기 쌍의 길이 방향이 H 필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 링 공진기 쌍은 둘 이상 구비되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단일층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ISM 대역에서 음의 유전율과 투자율을 갖는 분할 링 공진기(SRR; Split Ring Resonator)를 구비함으로써 전체 방사 패턴은 유지하면서도 전/후방비를 개선하여 SAR 특성을 최소화 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인체에 의한 성능상의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패치 안테나의 V1-V2선을 잘라 본 종단면도이다.
도 2b는 패치 안테나를 인체 팬텀에 부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a은 단위 분할 링 공진기 구조의 음의 유전율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단위 분할 링 공진기 구조의 음의 투자율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자유공간과 인체 표면에서 분할 링 공진기의 유무에 따른 S11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분할 링 공진기의 구조가 포함되지 않은 안테나와 포함된 안테나의 자유공간에서의 xz와 yz평면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분할 링 공진기의 구조가 포함되지 않은 안테나와 포함된 안테나의 인체 팬텀에서의 xz와 yz평면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 및 7b는 각각 분할 링 공진기의 구조가 포함되지 않은 안테나와 포함된 안테나의 인체 팬텀에서의 전자파 흡수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는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S11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의 인체 팬텀에서 xz와 yz평면상의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은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의 인체 팬턴에서 전자파 흡수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패치 안테나의 V1-V2선을 잘라 본 종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10)는 ISM 대역에서 동작한다. 패치 안테나(10)는 유전체 기판(130) 및 패치(12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유전체 기판(130)은 4.4의 유전율(εr)과 54 mm × 45 mm의 넓이로 형성되며 높이는 1.6mm 이다. 유전체 기판(13)은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며, RF 신호의 매질에 해당한다.
패치(120)는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27.8 mm × 27.8 mm의 넓이로 형성되며 유전체 기판 일측면에 구비된다. 또한 패치(120)는 50옴의 임피던스를 갖는 동축케이블을 통하여 급전점(140)으로 급전된다. 패치(120)의 급전점(140)은 패치(120)의 중심부(P1)에서 x 방향으로 일정 거리(L1)만큼 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L1은 6.2 mm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분할 링 공진기(110; SRR, Split Ring Resonator)는 ISM 대역(2.45 GHz)에서 음의 유전율을 갖는 메타 물질로 형성된다. 분할 링 공진기는 개방 루프형 분할 링 공진기일 수 있다. 즉, 분할 링 공진기(110)는 유전체 기판(130) 상에 끊어진 링(ring) 형태로 인쇄된 동판으로 구성된다. 분할 링 공진기(110)는 1mm의 폭으로 인쇄되며, 링의 끊어진 부분간의 갭(G)은 1 mm이다. 각 분할 링 공진기(110)는 갭(G)이 패치(120)를 향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분할 링 공진기(110)는 전기장 결합에 의해 전자기파 흡수체와 같은 역할을 한다. 분할 링 공진기(110)는 링의 길이에 의해 인덕턴스 값을 가지며, 끊어진 갭을 통해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다.
한편, 분할 링 공진기(110)는 두 쌍, 즉 총 4개가 배열된다. 각 분할 링 공진기(110)는 각각 패치(120)를 중심으로 일축(Ax)대칭의 위치에 배열된다. 즉, 패치(120)의 중심을 지나는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분할 링 공진기(110)가 쌍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또한 각각의 분할 링 공진기(110)는 길이방향이 H 필드의 방향(x 방향)과 일치하도록 인쇄된다. 패치(120)의 중심(P1)에서 각 분할 링 공진기의 중심 간의 거리는 20 mm 이다.
도 2b 내지 도 74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에 대한 실험을 설명한다. 도 2b는 패치 안테나를 인체 팬텀에 부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a은 단위 분할 링 공진기 구조의 음의 유전율 특성을 나타내고, 도 3b는 단위 분할 링 공진기 구조의 음의 투자율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4는 자유공간과 인체 표면에서 분할 링 공진기의 유무에 따른 S11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먼저 실험을 위하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10)를 인체 팬텀(20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D1 방향으로 부착하였다. 인체 팬텀(200)은 80mm x 70 mm의 넓이와 50 mm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었다. 인체 팬텀(200)은 인체 등가 액체팬텀으로 채워져 있으며 안테나는 중앙에 위치하여 실험이 진행되었다. 결과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는 2.45 GHz에서 음의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도 4를 살펴보면 안테나는 광대역 특성을 가지며 ISM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2.4 GHz ~ 2.485 GHz)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와 분할 링 공진기 구성을 구비하지 않은 패치 안테나와의 비교 결과를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분할 링 공진기의 구조가 포함되지 않은 안테나와 포함된 안테나의 자유공간에서의 xz와 yz평면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분할 링 공진기의 구조가 포함되지 않은 안테나와 포함된 안테나의 인체 팬텀에서의 xz와 yz평면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7a 및 7b는 각각 분할 링 공진기의 구조가 포함되지 않은 안테나와 포함된 안테나의 인체 팬텀에서의 전자파 흡수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먼저 도 5a 및 도 5b를 살펴보면 자유공간에서 분할 링 공진기 구조가 없는 안테나의 최대 이득은 4.5 dBi이며 전후방 비는 14.5 dB이다. 자유공간에서 분할 링 공진기 구조가 있는 안테나의 최대 이득은 4 dBi이며, 전후방 비는 20.5 dB이다. 도 6a 및 도 6b를 살펴보면 인체 팬텀에서는 인체의 영향으로 인하여 분할 링 공진기 구조가 없는 경우 최대 이득은 2 dBi 이며, 전후방비는 12 dB이다. 같은 조건에서 분할 링 공진기 구조가 있는 경우 최대 이득은 3.5 dBi이며, 전후방비는 22.5 dB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를 살펴보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를 통하여 전자파 흡수율이 0.081 W/kg에서 0.058 W/kg으로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자파 흡수율 측정을 위해서 250 mW의 입력 전력을 사용 하였으며, 1g 조직(tissue)기준 법을 사용하였다.
위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는 분할 링 공진기 구성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ISM 대역에서 전/후방 비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를 설명하고, 두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의 성능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는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S11--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11은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의 인체 팬텀에서 xz와 yz평면상의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2은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 안테나의 인체 팬턴에서 전자파 흡수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2 실시예의 패치 안테나(10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링 공진기(110)가 한 쌍, 즉 총 2개 구비된다. 한 쌍의 분할 링 공진기(110)는 패치(120)의 중점을 기준으로 점 대칭의 위치에 구비된다. 다만 각 분할 링 공진기(110)는 길이방향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H 필드의 방향인 x방향과 일치하도록 인쇄된다. 한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각각 중앙의 축(Ax)을 중심으로 각각 반대편의 위치에 분할 링 공진기(11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예의 패치 안테나(10b)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링 공진기(110)가 한 쌍, 즉 총 2개 구비된다. 다만, 제2 실시예의 패치 안테나(10a)와는 달리 분할 링 공진기 쌍이 각각 중앙의 축(Ax)을 중심으로 일축대칭의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각 분할 링 공진기(110)의 중앙을 지나는 가상의 선이 패치(120)의 중점(P1)을 지나도록 인쇄된다.
도 10에 도시된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의 특성을 살펴보면, 각 실시예의 안테나는 ISM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인체 팬텀상에서의 방사패턴을 살펴보면,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최대 이득은 3.5 dBi이며, 전후방비는 22.5 dB이고,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최대 이득은 3.6 dBi이며, 전후방비는 22.6 dB이다.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의 경우 모두 제1 실시예에 비하여 약화된 성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인체 팬텀에서의 전자파 흡수율 분포를 살펴보면 제2 실시예의 전자파흡수율은 0.060W/kg이고, 제3 실시예의 전자파흡수율은 0.059W/kg이다. 전자파흡수율 면에서도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의 경우 모두 제1 실시예에 비하여 약화된 성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H 필드를 따라 배열된 분할 링 공진기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전/후방비가 개선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자파 흡수율 측정을 위해서 250 mW의 입력 전력을 사용 하였으며, 1g 조직(tissue)기준 법을 사용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10, 10a, 10b: 패치 안테나 110: 분할 링 공진기(SRR)
120: 패치 130: 유전체 기판
135: 비아홀 140: 급전점
150: 접지면 200: 인체 팬텀

Claims (5)

  1. 분할 링 공진기(SRR; Split Ring Resonator) 쌍이 배열되는 유전체 기판; 및
    상기 유전체 기판 일측면에 구비되고,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는 패치;를 구비하고,
    상기 분할 링 공진기 쌍은 각각 상기 패치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열되는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링 공진기 쌍은 일축 각각 대칭 또는 점 대칭인 위치에 배열되는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링 공진기는 상기 패치 방향으로 개방되는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링 공진기 쌍의 길이 방향이 H 필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링 공진기 쌍은 둘 이상 구비되는 배치되는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
KR1020110144580A 2011-12-28 2011-12-28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 KR101308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580A KR101308277B1 (ko) 2011-12-28 2011-12-28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580A KR101308277B1 (ko) 2011-12-28 2011-12-28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130A true KR20130076130A (ko) 2013-07-08
KR101308277B1 KR101308277B1 (ko) 2013-09-13

Family

ID=4898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580A KR101308277B1 (ko) 2011-12-28 2011-12-28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27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7159A (zh) * 2013-08-13 2013-12-04 江苏大学 一种多层复合复式晶格结构左手材料框形贴片天线
CN104934714A (zh) * 2015-06-26 2015-09-23 厦门大学 扳手型谐振环加载北斗微带天线
KR101601599B1 (ko) * 2015-04-22 2016-03-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착용형 장비 안테나
WO2018004169A1 (ko) * 2016-07-01 2018-01-04 김미정 알에프 패시브 소자 및 그의 소형화 방법
WO2018143532A1 (ko) * 2016-02-05 2018-08-09 김미정 그래핀 반도체 설계방법
CN110829000A (zh) * 2019-11-19 2020-02-21 榆林学院 一种cpw馈电双频宽带srr结构加载的单平面天线
US10573951B2 (en) 2016-08-11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lit resonator and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the same
WO2024041075A1 (en) * 2022-08-24 2024-02-29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tenna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3956B (zh) * 2014-05-15 2016-06-08 重庆大学 一种基于裂口谐振环的双频带小型化微带天线
EP3133695B1 (en) * 2015-08-18 2021-04-07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Antenna system and antenna module with reduced interference between radiating patter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424B1 (ko) * 2008-02-20 2010-03-05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자석 유전체를 이용한 메타머티리얼 안테나
KR101159948B1 (ko) * 2010-02-10 2012-06-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 물질 구조물을 이용한 중계기 안테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7159A (zh) * 2013-08-13 2013-12-04 江苏大学 一种多层复合复式晶格结构左手材料框形贴片天线
KR101601599B1 (ko) * 2015-04-22 2016-03-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착용형 장비 안테나
CN104934714A (zh) * 2015-06-26 2015-09-23 厦门大学 扳手型谐振环加载北斗微带天线
CN104934714B (zh) * 2015-06-26 2018-01-23 厦门大学 扳手型谐振环加载北斗微带天线
WO2018143532A1 (ko) * 2016-02-05 2018-08-09 김미정 그래핀 반도체 설계방법
US10836642B2 (en) 2016-02-05 2020-11-17 Mee Jeong KIM Graphene semiconductor design method
WO2018004169A1 (ko) * 2016-07-01 2018-01-04 김미정 알에프 패시브 소자 및 그의 소형화 방법
US10516212B2 (en) 2016-07-01 2019-12-24 Mee Jeong KIM RF passive device and miniaturization method therefor
US10573951B2 (en) 2016-08-11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lit resonator and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the same
CN110829000A (zh) * 2019-11-19 2020-02-21 榆林学院 一种cpw馈电双频宽带srr结构加载的单平面天线
WO2024041075A1 (en) * 2022-08-24 2024-02-29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tenna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277B1 (ko) 201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277B1 (ko) 전자파 흡수율 특성 및 전/후방비가 개선된 인체 통신용 패치 안테나
US10741929B2 (en)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iang et al. A compact, wideband circularly polarized co-designed filtering antenna and its application for wearable devices with low SAR
US11329387B2 (en) Single and dual polarized dual-resonant cavity backed slot antenna (D-CBSA) elements
US7652628B2 (en) Antenna for use in earphone and earphone with integrated antenna
JP4481716B2 (ja) 通信装置
US8368595B2 (en) Metamaterial loaded antenna devices
US20110273353A1 (en) Hybrid metamaterial antenna structures
US20150380800A1 (en) Multi-Mode Cavity Filter
CN111129704B (zh) 一种天线单元和电子设备
US11984645B2 (en) Antenna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CN110890625A (zh) 引入双弯折谐振环的方环形容性加载植入式圆极化天线
KR20120072017A (ko) 인공자기도체와 결합된 영차 공진 메타 안테나
CN107196069B (zh) 紧凑型基片集成波导背腔缝隙天线
US10153553B2 (en) Antenna device having patch antenna
US9054428B2 (en)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RU2524563C1 (ru) Компактная сверхширокополосная антенна
CN110518340B (zh) 一种天线单元及终端设备
US20090295650A1 (en) Antenna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10233353B (zh) 一种超材料单元及基于超材料的双层辐射天线装置
WO2023280069A1 (zh) 电子设备
Gudarzi et al. Gain enhancement and miniaturization of microstrip antennas using MTM superstrates
CN110808455B (zh) 一种天线单元及电子设备
Letavin et al. Simulation of 3600–3800 MHz frequency band antenna for fif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CN112736439A (zh) 天线、天线组件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