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090A - 효과적인 채널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효과적인 채널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090A
KR20130076090A KR1020110144515A KR20110144515A KR20130076090A KR 20130076090 A KR20130076090 A KR 20130076090A KR 1020110144515 A KR1020110144515 A KR 1020110144515A KR 20110144515 A KR20110144515 A KR 20110144515A KR 20130076090 A KR20130076090 A KR 20130076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nformation
user
screen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8646B1 (ko
Inventor
류장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소프트
Priority to KR1020110144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64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7Processing of monitored end-user data, e.g. trend analysis based on the log file of viewer sel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선호 채널 등을 관리하고 많은 채널의 검색과 채널 변경을 선호 채널을 중심으로 효과적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효과적인 채널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for Effectively Managing Channel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선호 채널 등을 관리하고 많은 채널의 검색과 채널 변경을 선호 채널을 중심으로 효과적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TV 수상기 등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유저가 선택하는 채널에 대한 주파수 튜닝과 시스템 복조기를 이용한 해당 방송 콘텐츠를 담고 있는 스트림의 추출을 통해, 비디오, 오디오, 채널 정보 등의 신호를 분리하고 사용자의 권한을 점검한 후 해당 디코더와 출력장치를 통해 화면 또는 음성 출력 장치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북미향 ATSC DTV 전송 시스템에서는, 스튜디오에서 제작된 비디오 정보와 오디오 정보를 각각 압축하고, 압축된 스트림을 믹싱하여 서비스 다중화기를 통해 다수의 스트림을 하나의 서비스 패킷으로 다중화한 뒤에, 다중화된 압축 데이터를 전송 스트림 형태로 송신소로 보내고 이 데이터가 채널 부호화 및 변조를 통해 RF(Radio Frequency) 신호로 일반 가정까지 송신될 수 있도록 한다. 송신된 신호는 위의 언급된 과정의 역 처리과정과 에러 보정을 통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원이 된다.
한편, 최근에는 기존 DTV 방송 채널 중 남는 대역에 휴대 이동방송용 모바일 TV 채널 정보가 같이 전송되는 형태의 ATSC M/H (Mobile/Handheld) 시스템이 휴대 이동방송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판명됨에 따라, 북미향 TV는 하나의 방송 주파수 안에 2개 이상의 콘텐츠를 송출하게 되었으며, 이를 이용하는 단말 또는 시스템은 이전보다 많은 콘텐츠를 처리해야 하게 되었다. 또한, 한국의 경우 코리아뷰와 같이 하나의 채널안에 다수의 시청 가능한 콘텐츠를 포함시킬 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는 등 기존 DTV 방송으로 할당 받은 대역폭을 사용하고 남는 대역폭에 할당된 논리적 채널을 추가함에 따라 시청 가능한 논리적 채널이 이전보다 크게 증가 되었다. 이로 인하여 앞으로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과 모바일 TV의 일상화는 이전의 방식으로는 채널의 이동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선호 채널 등을 관리하고 많은 채널의 검색과 채널 변경을 선호 채널을 중심으로 효과적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 선택 채널에 대하여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위한 RF 신호를 복조하여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및 채널 정보를 포함한 방송 채널 정보를 생성하는 복조기; 상기 복조기를 통해 탐색된 각 채널의 방송 채널 정보에 포함된 채널 정보를 관리하는 채널 관리부; 사용자 선택 채널에 대한 시청 시각과 시청 지속 시간을 포함한 시청 정보(시청 시각대 콘텐츠의 정보(타이틀, 시청 등급 등) 포함 가능)를 추출하는 시청 정보 추출기; 상기 시청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시청하는 선호 채널 목록을 생성하여 저장하되, 카테고리별 선호 채널의 우선 순위가 부여된 선호 채널 목록을 저장하는 선호 채널 저장부; 및 채널 업/다운, 화면상의 전자채널가이드에서의 선택, 또는 화면상의 아이콘 선택 방식으로 사용자의 채널 선택을 지원하되,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호 채널 목록을 기초로 우선 순위가 높은 우선 순위의 채널이 먼저 선택되도록 채널 변경을 지원하는 이동 모드 선택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는, 상기 이동 모드 선택기의 채널 변경 시에 상기 선호 채널 목록 상의 채널과 상기 채널 관리부의 채널 정보를 매칭시켜 전자채널가이드 화면의 각 채널 목록이나 아이콘 화면의 각 채널 아이콘에 해당 요약 정보를 제공하는 채널 매칭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은, 사용자 선택 채널에 대하여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위한 RF 신호를 복조하여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및 채널 정보를 포함한 방송 채널 정보를 생성할 때, 사용자 선택 채널에 대한 시청 시각과 시청 지속 시간을 포함한 시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시청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시청하는 선호 채널 목록을 생성하여 저장하되, 카테고리별 선호 채널의 우선 순위가 부여된 선호 채널 목록을 저장하는 단계; 및 채널 업/다운, 화면상의 전자채널가이드에서의 선택, 또는 화면상의 아이콘 선택 방식으로 사용자의 채널 선택을 지원하되,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호 채널 목록을 기초로 우선 순위가 높은 채널이 먼저 선택되도록 채널 변경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카테고리별 일정 시간 동안에 누적된 시청 지속 시간이 긴 순서에 따라 우선 순위를 높게 하여 상기 선호 채널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우선 순위 설정 방식 변경으로 카테고리별 각 채널 번호의 순서나 채널 정보의 텍스트의 배열 순서, 또는 현재 채널 영상에 대한 카테고리별 장면 유사성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하여 상기 선호 채널 목록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채널 업/다운 방식에서, 채널 업 또는 다운을 위한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현재 시청 중인 채널과 같은 카테고리에서 하나 위 또는 아래의 우선 순위의 채널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면상의 전자채널가이드에서의 선택 방식에서, 전자채널가이드 화면 상에 카테고리별로 구분된 시간대별 각 채널 목록에 텍스트 요약 정보 또는 이와 함께 미리 준비된 썸네일 이미지나 현재 채널 영상이 표시되고, 카테고리별 채널 목록과 독립적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하나 이상의 선호 채널을 모아 화면 상의 가장 상단에 배치하여 시간대별 각 채널 목록에 텍스트 요약 정보 또는 이와 함께 미리 준비된 썸네일 이미지나 현재 채널 영상이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각 카테고리나 선호 채널 목록에서 커서의 이동으로 각 채널이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전자채널가이드 화면 상의 각 카테고리나 선호 채널 목록으로의 이동 시에 초기 커서는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채널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커서의 이동으로 다른 순위의 채널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면상의 아이콘 선택 방식에서, 아이콘 선택 화면 상에 각 채널 아이콘에 텍스트 요약 정보 또는 이와 함께 미리 준비된 썸네일 이미지나 현재 채널 영상이 표시되고,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카테고리의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채널 아이콘에 초기 커서가 위치하며,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커서의 이동으로 하나 위 또는 아래의 우선 순위의 채널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미리 선호 채널 등을 관리하고 많은 채널의 검색과 채널 변경을 선호 채널을 중심으로 효과적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DTV 또는 휴대용 단말 등에 적용하여 제품의 기술 경쟁력 강화와 성능 개선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를 통해 탐색된 전체 채널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아이콘을 이용한 채널 변경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a와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전자채널가이드(EPG) 화면에서의 채널 변경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 c는 종래의 전자채널가이드(EPG) 화면에서의 채널 변경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100)는 ATSC DTV, ATSC M/H, DMB 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로서,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위한 RF(Radio Frequency) 신호는 지상파 또는 위성파 일 수 있으며, 이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휴대형 단말 등 사용자 단말에 탑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100)는 셋톱 박스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가정용 디지털 TV나 IPTV 등에 내장되어 탑재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100)가 탑재되는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무선 통신이 가능한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이나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등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나, 기타 가정용 또는 기업용 사회 전반의 다양한 전자 기기 또는 장치에도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100)가 탑재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100)는, 복조기(110), 시청 정보 추출기(112), 선호채널 저장부(130), 이동 모드 선택기(140), 채널 관리부(150), 및 채널 매칭부(160)를 포함한다.
시스템 복조기(110)는 사용자 선택 채널에 대하여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위한 RF 신호를 복조하여 비디오 정보(V), 오디오 정보(A) 및 채널 정보(C)(전자채널정보가이드, 채널번호/프로그램 제목 등이 포함된 시간대별 방송 편성표, 정보 키프레임, 화면에 대한 특성 등)를 포함한 방송 채널 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해당 채널에 대해 소정 A/V 출력부를 통해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은 리모콘의 채널 번호, 채널 업/다운 등의 버튼을 눌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이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 화면 상에 표시되는 채널 번호, 채널 업/다운 등의 화면 버튼을 터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한, 사용자 단말에 기계적으로 설치된 채널 번호, 채널 업/다운 등의 버튼을 눌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채널 관리부(150)는 복조기(110)를 통해 탐색된 각 채널의 방송 채널 정보(V, A, C)에 포함된 채널 정보(C)를 관리할 수 있다. 채널 관리부(150)는 사용자 단말에 기계적으로 설치된 메뉴 버튼, 리모콘의 메뉴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의 메뉴 버튼을 통해, 자동 채널 탐색 기능이나 수동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채널 설정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복조기(110)를 통해 탐색되어 복조될 수 있는 채널들을 자동 탐색하여 설정하도록 하거나 수동 채널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각 채널의 방송 채널 정보(V, A, C)에 포함된 채널 정보(C)(전자채널정보가이드, 채널번호/프로그램 제목 등이 포함된 시간대별 방송 편성표, 정보 키프레임, 화면에 대한 특성 등)를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시청 정보 추출기(112)는 위와 같이 복조기(110)에서 복조되는 사용자 선택 채널에 대한 시청 시각과 시청 지속 시간을 포함한 시청 정보(시청 시각대 콘텐츠의 정보(타이틀, 시청 등급 등) 포함 가능)를 추출하고 일정 시간 동안(예, 하루, 일주일, 한달..등) 해당 정보를 메모리에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선호채널 저장부(130)는 위와 같이 메모리에 일정 기간 동안 누적 저장되는 사용자 선택 채널에 대한 시청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시청하는 선호 채널 목록을 생성하여 저장하되, 카테고리별 선호 채널의 우선 순위가 부여된 선호 채널 목록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선택 채널에 대한 방송 채널 정보(V, A, C)에 포함된 채널 정보(C)를 기초로 뉴스, 스포츠, 드라마, 영화, 음악 등의 카테고리 분류가 가능하며, 선호 채널 목록에는 이와 같은 카테고리별로 해당 채널들의 우선 순위가 정해져 메모리에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들의 채널 정보(C)를 기초로 채널 카테고리별 일정 시간 동안(예, 하루, 일주일, 한달..등)에 누적된 시청 지속 시간이 긴 순서에 따라 우선 순위를 높게 하여 선호 채널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에 기계적으로 설치된 메뉴 버튼, 리모콘의 메뉴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의 메뉴 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우선 순위 설정 방식을 변경함에 따라, 카테고리별 각 채널 번호의 순서나 채널 정보(C)의 텍스트(KBS, MBC, SBS..등)의 배열 순서(예, 영어 알파벳 순서, 한글 어순 등), 또는 현재 채널 영상에 대한 카테고리별 장면 유사성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장면 유사성에 따른 순위 구분은, 예를 들어, 현재 채널 영상이 클래식 음악에 대한 영상인 경우에, 사용자에 의한 채널 업/다운 선택이나 하기하는 바와 같이 화면상의 아이콘 선택 방식 등에서 사용자에 의한 해당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해당 클래식 음악의 영상과 유사성이 많은 장면이 많이 나오는 채널을, 현재 시청 중인 채널 다음으로 선택(채널 업/다운 선택 방식에서)되거나 현재 시청 중인 채널의 아이콘에 인접하게 배치하여(화면상의 아이콘 선택 방식에서), 사용자가 빠르게 유사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장면 유사성은 일정 시간 동안 각 채널에 대한 비디오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유사성의 크기를 산출해 획득될 수 있으며, 선호채널 저장부(130)는 소정 영상 신호 처리 과정을 수 행하여 각 채널에 대한 비디오 정보의 수 프레임을 비교하여, 뉴스, 스포츠, 드라마, 영화, 음악 등의 카테고리 분류는 물론, 같은 카테고리의 채널들에 대하여도 비디오 정보의 수 프레임을 비교하여 그 유사한 정도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선호 채널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모드 선택기(140)는 채널 업/다운(예, 사용자 단말에 기계적으로 설치된 메뉴 버튼, 리모콘의 메뉴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의 메뉴 버튼을 통해 선택), 화면상의 전자채널가이드에서의 선택(도 4 참조), 또는 화면상의 아이콘 선택 방식(도 3 참조)으로 사용자의 채널 선택을 지원하되, 위와 같은 다양한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호 채널 목록을 기초로 우선 순위가 높은 채널이 먼저 선택되도록 채널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채널 매칭부(160)는 이동 모드 선택기(140)의 채널 변경 시에 상기 선호 채널 목록 상의 채널과 채널 관리부(150)의 채널 정보(C)를 매칭시켜 전자채널가이드 화면(도 4 참조)의 각 채널 목록이나 아이콘 화면(도 3 참조)의 각 채널 아이콘에 해당 요약 정보를 제공하여, 채널 변경 시의 빠른 안내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모드 선택기(140)에서의 채널 업/다운(예, 사용자 단말에 기계적으로 설치된 메뉴 버튼, 리모콘의 메뉴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의 메뉴 버튼을 통해 선택), 화면상의 전자채널가이드에서의 선택(도 4 참조), 또는 화면상의 아이콘 선택 방식(도 3 참조)과 같은 각각의 채널 선택 방식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채널 업/다운에 채널 선택 방식에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기계적으로 설치된 메뉴 버튼, 리모콘의 메뉴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의 메뉴 버튼을 통해, 채널 업/다운 버튼을 눌러 채널을 선택하면, 이동 모드 선택기(140)는 해당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호 채널 저장부(130)의 선호 채널 목록을 기초로 우선 순위가 높은 채널이 먼저 선택되도록 채널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여러 방식으로 채널 업 또는 다운을 위한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현재 시청 중인 채널과 같은 카테고리에서 하나 위 또는 아래의 우선 순위의 채널이 선택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위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채널 카테고리별 일정 시간 동안(예, 하루, 일주일, 한달..등)에 누적된 시청 지속 시간이 긴 순서에 따라 우선 순위를 높게 하여 구성한 선호 채널 목록에 따라, 채널 업 또는 다운 시에 현재 시청 중인 채널 보다 하나 위 또는 아래의 우선 순위의 채널이 선택되어 방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카테고리별 각 채널 번호의 순서나 채널 정보(C)의 텍스트(KBS, MBC, SBS..등)의 배열 순서(예, 영어 알파벳 순서, 한글 어순 등), 또는 현재 채널 영상에 대한 카테고리별 장면 유사성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 하도록, 사용자가 우선 순위 설정 방식을 변경함에 따라, 채널 업 또는 다운 시에 이와 같은 순위에 기초하여 현재 시청 중인 채널 보다 하나 위 또는 아래의 우선 순위의 선택되어 방영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상의 아이콘 선택에 의한 채널 선택 방식에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기계적으로 설치된 메뉴 버튼, 리모콘의 메뉴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의 메뉴 버튼을 통해, 아이콘 선택 화면에서 화살표 버튼 등을 눌러 채널을 선택하면, 이동 모드 선택기(140)는 해당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호 채널 저장부(130)의 선호 채널 목록을 기초로 우선 순위가 높은 채널이 먼저 선택되도록 채널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여러 방식으로 사용자는 도 3과 같이 아이콘 선택 화면이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모드 선택기(14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각 채널에 대한 아이콘 생성을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 메뉴를 통해 도 3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생성한 아이콘 선택 화면이 현재 시청 중인 채널의 영상 화면 주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이외에도 전체 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각 채널 아이콘에는 채널 매칭부(160)에서 제공된 해당 텍스트 요약 정보(예, MBC, SBS, KBS1..등)가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함께 각 채널 아이콘에 미리 준비된 썸네일 이미지나 현재 채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선택 화면에서, 이동 모드 선택기(140)는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카테고리(예, 전체 채널 목록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채널을 포함하는 카테고리)의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채널 아이콘에 초기 커서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커서의 이동으로 하나 위 또는 아래의 우선 순위의 채널이 선택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도, 채널 카테고리별 일정 시간 동안(예, 하루, 일주일, 한달..등)에 누적된 시청 지속 시간이 긴 순서에 따라 우선 순위를 높게 하여 구성한 선호 채널 목록에 따라, 위와 같은 여러 방식의 상하좌우 커서 이동을 위한 버튼의 선택으로, 초기 커서의 위치 보다 하나 위 또는 아래의 우선 순위의 채널이 선택되어 방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이동 모드 선택기(140)는 우선 순위에 무관하게 사용자가 화면에서 채널 아이콘들의 위치를 이동시켜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외에도, 카테고리별 각 채널 번호의 순서나 채널 정보(C)의 텍스트(KBS, MBC, SBS..등)의 배열 순서(예, 영어 알파벳 순서, 한글 어순 등), 또는 현재 채널 영상에 대한 카테고리별 장면 유사성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 하도록, 사용자가 우선 순위 설정 방식을 변경함에 따라, 상하좌우 커서 이동 시에 이와 같은 순위에 기초하여 현재 시청 중인 채널 보다 하나 위 또는 아래의 우선 순위의 선택되어 방영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상의 전자채널가이드에서의 채널 선택 방식에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기계적으로 설치된 메뉴 버튼, 리모콘의 메뉴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의 메뉴 버튼을 통해, 화살표 버튼 등을 눌러 채널을 선택하면, 이동 모드 선택기(140)는 해당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호 채널 저장부(130)의 선호 채널 목록을 기초로 우선 순위가 높은 채널이 먼저 선택되도록 채널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모드 선택기(140)는 도 2와 같은 전체 채널들에 대하여, 위와 같은 여러 방식으로 사용자가 도 4a와 같이 전자채널가이드에서 카테고리 선택으로 시간대별 해당 각 채널 목록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자채널가이드 채널 목록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채널가이드 화면 상에서 카테고리별로 구분된 시간대별 각 채널 목록에 채널 매칭부(160)에서 제공된 해당 텍스트 요약 정보(예, MBC, SBS, KBS1..등)가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함께 각 채널 목록에 미리 준비된 썸네일 이미지나 현재 채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자채널가이드 화면 상에서 위와 같은 카테고리별 채널 목록과 독립적으로 도 4b와 같이 우선 순위가 높은 하나 이상의 선호 채널을 모아 선호 채널 목록을 화면 상의 가장 상단에 배치하여 시간대별 각 채널 목록에 텍스트 요약 정보 또는 이와 함께 미리 준비된 썸네일 이미지나 현재 채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모드 선택기(140)는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각 카테고리나 선호 채널 목록에서 커서의 이동으로 각 채널이 선택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이 화면에 표시되는 전자채널가이드 화면 상의 각 카테고리나 선호 채널 목록으로의 이동 시에, 이동 모드 선택기(140)는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채널 목록에 초기 커서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커서의 이동으로 하나 위 또는 아래의 다른 우선 순위의 채널이 선택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도, 채널 카테고리별 일정 시간 동안(예, 하루, 일주일, 한달..등)에 누적된 시청 지속 시간이 긴 순서에 따라 우선 순위를 높게 하여 구성한 선호 채널 목록에 따라, 위와 같은 여러 방식의 상하좌우 커서 이동을 위한 버튼의 선택으로, 초기 커서의 위치 보다 하나 위 또는 아래의 우선 순위의 채널이 선택되어 방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이동 모드 선택기(140)는 우선 순위에 무관하게 사용자가 화면에서 각 채널 목록의 위치를 이동시켜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도 4c와 같이 기존에는 단순히 전자채널가이드 화면에 전체 채널에 대한 시간대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선호 채널로의 변경이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같이 채널 아이콘을 통해 텍스트 요약 정보나 이와 함께 각 채널 목록에 미리 준비된 썸네일 이미지나 현재 채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도 4a와 같이 전자채널가이드 화면에서 선호 채널 목록이나 각 카테고리의 선호 채널에 대한 시간대별 각 채널 목록을 제공(텍스트 요약 정보나 이와 함께 각 채널 목록에 미리 준비된 썸네일 이미지나 현재 채널 영상이 포함될 수 있음)함으로써,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많은 채널에 대한 검색과 채널 변경을 선호 채널을 중심으로 효과적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부채널 생성 장치(110)
복조기(111)
근거리 통신부(112)
채널 정보 추출부(113)
부채널 정보 저장부(114)
전송부(115)
DTV 수상기(120)
복조기(121)
근거리 통신부(122)
A/V 출력부(123)
부채널 정보 처리부(124)

Claims (8)

  1. 사용자 선택 채널에 대하여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위한 RF 신호를 복조하여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및 채널 정보를 포함한 방송 채널 정보를 생성하는 복조기;
    상기 복조기를 통해 탐색된 각 채널의 방송 채널 정보에 포함된 채널 정보를 관리하는 채널 관리부;
    사용자 선택 채널에 대한 시청 시각과 시청 지속 시간을 포함한 시청 정보를 추출하는 시청 정보 추출기;
    상기 시청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시청하는 선호 채널 목록을 생성하여 저장하되, 카테고리별 선호 채널의 우선 순위가 부여된 선호 채널 목록을 저장하는 선호 채널 저장부; 및
    채널 업/다운, 화면상의 전자채널가이드에서의 선택, 또는 화면상의 아이콘 선택 방식으로 사용자의 채널 선택을 지원하되,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호 채널 목록을 기초로 우선 순위가 높은 우선 순위의 채널이 먼저 선택되도록 채널 변경을 지원하는 이동 모드 선택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드 선택기의 채널 변경 시에 상기 선호 채널 목록 상의 채널과 상기 채널 관리부의 채널 정보를 매칭시켜 전자채널가이드 화면의 각 채널 목록이나 아이콘 화면의 각 채널 아이콘에 해당 요약 정보를 제공하는 채널 매칭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 채널에 대하여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위한 RF 신호를 복조하여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및 채널 정보를 포함한 방송 채널 정보를 생성할 때, 사용자 선택 채널에 대한 시청 시각과 시청 지속 시간을 포함한 시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시청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시청하는 선호 채널 목록을 생성하여 저장하되, 카테고리별 선호 채널의 우선 순위가 부여된 선호 채널 목록을 저장하는 단계; 및
    채널 업/다운, 화면상의 전자채널가이드에서의 선택, 또는 화면상의 아이콘 선택 방식으로 사용자의 채널 선택을 지원하되,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호 채널 목록을 기초로 우선 순위가 높은 채널이 먼저 선택되도록 채널 변경을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카테고리별 일정 시간 동안에 누적된 시청 지속 시간이 긴 순서에 따라 우선 순위를 높게 하여 상기 선호 채널 목록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업/다운 방식에서,
    채널 업 또는 다운을 위한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현재 시청 중인 채널과 같은 카테고리에서 하나 위 또는 아래의 우선 순위의 채널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상의 전자채널가이드에서의 선택 방식에서,
    전자채널가이드 화면 상에 카테고리별로 구분된 시간대별 각 채널 목록에 텍스트 요약 정보 또는 이와 함께 미리 준비된 썸네일 이미지나 현재 채널 영상이 표시되고, 카테고리별 채널 목록과 독립적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하나 이상의 선호 채널을 모아 화면 상의 가장 상단에 배치하여 시간대별 각 채널 목록에 텍스트 요약 정보 또는 이와 함께 미리 준비된 썸네일 이미지나 현재 채널 영상이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각 카테고리나 선호 채널 목록에서 커서의 이동으로 각 채널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상의 아이콘 선택 방식에서,
    아이콘 선택 화면 상에 각 채널 아이콘에 텍스트 요약 정보 또는 이와 함께 미리 준비된 썸네일 이미지나 현재 채널 영상이 표시되고,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카테고리의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채널 아이콘에 초기 커서가 위치하며,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커서의 이동으로 하나 위 또는 아래의 우선 순위의 채널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8.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채널 목록의 구성에서,
    카테고리별 일정 시간 동안에 누적된 시청 지속 시간이 긴 순서에 따라 우선 순위를 높게 하거나,
    사용자의 우선 순위 설정 방식 변경으로 카테고리별 각 채널 번호의 순서나 채널 정보의 텍스트의 배열 순서, 또는 현재 채널 영상에 대한 카테고리별 장면 유사성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KR1020110144515A 2011-12-28 2011-12-28 효과적인 채널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1348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515A KR101348646B1 (ko) 2011-12-28 2011-12-28 효과적인 채널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515A KR101348646B1 (ko) 2011-12-28 2011-12-28 효과적인 채널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090A true KR20130076090A (ko) 2013-07-08
KR101348646B1 KR101348646B1 (ko) 2014-01-10

Family

ID=4898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515A KR101348646B1 (ko) 2011-12-28 2011-12-28 효과적인 채널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6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445B1 (ko) 2015-12-22 202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606621B2 (en) 2017-06-15 2023-03-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of providing personalized channel change lis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64B1 (ko) * 2000-01-25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선호도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방법
KR100826025B1 (ko) * 2006-07-04 2008-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00081549A (ko) * 2009-01-06 2010-07-15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dmb 방송 채널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110065935A (ko) * 2009-12-10 2011-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646B1 (ko) 201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09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106956B2 (en) Method for displaying program information and image display apparatus thereof
US863143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2475167A1 (en) Method for displaying video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pplying the same
CN101316338B (zh) 一种电视频道查找方法及装置
US20040237105A1 (en) Method of managing electronic program guide,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JPH11220675A (ja) 放送受信装置
US20100306803A1 (en)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KR101467790B1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KR20110065935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CN101779449A (zh) 用于显示电子节目指南的方法和装置
KR101348646B1 (ko) 효과적인 채널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1422010B1 (ko) 방송 수신기 및 방송 프로그램 검색 방법
US200501446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gram
KR10122924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장르별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 방법
JP2011035629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受信方法
KR100716948B1 (ko) 텔레비젼 프로그램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01928A (ko)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74639A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
KR10168988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링크 메뉴 선택 방법
US9332317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search for program content via a remote control interface
KR20110051435A (ko) 네트워크 tv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13884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채널 편집 및 채널 브라우징 방법
KR100617190B1 (ko) 디지털 티브이에서 프로그램 방송 예정시간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26233A (ko) 네트워크 tv 및 그 컨텐츠 통합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