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4978A - 모션 감지 스위치 - Google Patents

모션 감지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4978A
KR20130074978A KR1020110143132A KR20110143132A KR20130074978A KR 20130074978 A KR20130074978 A KR 20130074978A KR 1020110143132 A KR1020110143132 A KR 1020110143132A KR 20110143132 A KR20110143132 A KR 20110143132A KR 20130074978 A KR20130074978 A KR 20130074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receiving
led chip
reflecto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9257B1 (ko
Inventor
정회원
최준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to KR1020110143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2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7Optical touch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션 감지 스위치로써, 사용자에 의한 접촉 없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다양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모션 감지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션 감지 스위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수광소자와; 상기 프레임에 상기 수광소자를 중심으로 이격 배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다수개의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소자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LED칩과;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LED칩을 덮는 렌즈; 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는, 상기 LED칩에서 발산된 빛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투과부와; 상기 투과부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LED칩에서 발산된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수광소자가 배치된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LED칩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투과부를 통해 상기 수광소자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방출되고, 상기 수광소자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되어 반사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동작신호를 보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신호를 받아 상기 반사체의 모션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션 감지 스위치 { Motion sensing switch }
본 발명은 모션 감지 스위치로써, 사용자에 의한 접촉 없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다양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모션 감지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전화 또는 PDA 등의 휴대단말기는 사람들의 현대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 되어 있으며,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새로운 특수 기능을 가지며 조작이 편리하게 개선되어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고 있다.
현재 휴대단말기는 고유한 기능인 전화통화 기능 이외에도 인터넷 접속기능, 게임기능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선택 및 제어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키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크린 터치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이동성과 휴대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소형화 설계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상에 마련된 키버튼을 정확히 선택하여 누르기 쉽지 않다.
특히, 이동 중 또는 운전 중과 같은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활동이 제약을 받는 경우 사용자가 키버튼 또는 휴대단말기의 스크린을 직접 터치해야 하기 때문에 입력동작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키패드 등의 입력장치와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비접촉동작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제어기능을 갖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기능을 구현하는 비접촉식 제어장치는 휴대단말기뿐만 아니라 각종 기기의 인터페이스장치, 모션 인식 게임, 자동차 패널, 주방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장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등록특허 제10-0864288호에는 모션 감지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션 감지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모션 감지 스위치(100)는 이미지 센서부(110) 및 광원부(120)를 포함하는 촬상부(170), 상기 촬상부(170)를 수용하는 하우징(180), 상기 하우징(18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80)의 상부에 형성된 투광부(160) 및 상기 촬상부(170)에 의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정보가 입력되게 하는 메인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에는 상기 투광부(160) 상에는 반사체(14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반사체(140)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써, 마우스에 장착된 상기 모션 감지 스위치(100)는 상기 반사체(140)의 움직임을 추출하여 전자기기에 정보를 입력한다.
즉,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상기 투광부(160) 상에서 상기 반사체(140)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미지 센서부(110)가 상기 반사체(140)를 연속적으로 촬영하고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해 상기 반사체(140)의 움직임에 따른 정보가 입력되게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부(120)에서 나온 빛은 상기 반사체(140)인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반사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부(110)에 입사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부(110)는 상기 반사체(140)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광하여 이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해 상기 반사체(140)의 움직임이 인식되어, 전자기기에서 상기 반사체(140)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션 감지 센서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반사체(14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각각의 상기 광원부(120)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광원부(1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각각의 상기 광원부(120)에서 방출된 빛이 중첩되기 때문에 상기 메인제어부에서 상기 반사체(140)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모션 감지 스위치(100)와 상기 반사체(140)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광원부(120)의 발광범위가 증가하여 상기 광원부(140)에서 방출된 빛의 중첩범위가 증가함으로써 역시 상기 메인제어부에서 상기 반사체(140)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위에 제시된 종래의 모션 감지 스위치(100)는 사용자가 손가락(반사체)을 상기 투광부(160)에 접촉하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상기 광원부(120)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면 상기 반사체(140)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용이하지만 상기 모션 감지 스위치(100)의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전화기, 내비게이션의 베젤, 스위치의 케이스 등과 같은 소형기기에 종래의 상기 모션 감지 스위치(100)를 장착할 경우, 상기 모션 감지 스위치(100)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게 되어 이러한 소형기기를 소형화하기 어렵고 휴대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형화하여 소형기기에 장착하여도 원거리에서 외부동작의 인식률을 높이고 외부동작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여 각종 기기의 제어가 편리한 모션 감지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모션 감지 스위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수광소자와; 상기 프레임에 상기 수광소자를 중심으로 이격 배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다수개의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소자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LED칩과;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LED칩을 덮는 렌즈; 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는, 상기 LED칩에서 발산된 빛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투과부와; 상기 투과부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LED칩에서 발산된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수광소자가 배치된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LED칩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투과부를 통해 상기 수광소자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방출되고, 상기 수광소자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되어 반사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동작신호를 보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신호를 받아 상기 반사체의 모션을 인식한다.
상기 차단부에는 반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LED칩에서 발산된 빛을 반사시킨다.
상기 발광소자는 4개로 이루어져 상기 수광소자를 중심으로 90°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격벽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상부에는 상기 수광소자를 덮어 상기 반사체에 반사된 빛이 투과하는 투광커버가 결합된다.
상기 투과부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투과부의 광축은 상기 베이스 상면의 법선에 대해 상기 수광소자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감지 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발광소자에서 발산되는 빛은 투과부를 통해 수광소자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방출되어 원거리에서도 각각의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의 간섭구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모션 감지 스위치를 소형화하여 소형기기에서 장착되는 공간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원거리에서도 접촉 없이 외부 반사체의 동작을 민감하게 감지하여 소형기기를 제어하기 편리하다.
또한, 차단부에는 반사면이 형성되어 LED칩에서 발산된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LED칩에서 발산된 빛의 발광범위를 제한하면서 투과부로 방출되도록 빛을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격벽이 돌출 형성되어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을 수광소자에서 직접 감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어부가 인식하는 반사체의 위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션 감지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감지 스위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감지 스위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감지 스위치의 변형된 렌즈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빛의 방출각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발광범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감지 스위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감지 스위치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감지 스위치의 변형된 렌즈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빛의 방출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감지 스위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 수광소자(20), 발광소자(30), 보상소자(40) 및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은 휴대단말기 또는 기타 외부 물체의 모션을 감지하여 작동되는 다양한 기기 등에 장착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모션 감지 스위치는 전체 크기를 소형화하면서 외부 물체의 모션을 더욱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소형화 및 슬림화된 소형기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모션 감지 스위치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다양한 편의장치나 안전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소자(20), 발광소자(30) 및 보상소자(4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는 회로기판이 장착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상기 수광소자(20), 발광소자(30) 및 보상소자(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제어부가 장착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광소자(20)가 장착되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는 격벽(11)이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10)의 중심부에는 상기 수광소자(20)가 장착되고, 상기 수광소자(20)와 발광소자(30) 사이에 격벽(11)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광소자(20)와 발광소자(30)를 격리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수광소자(20)와 발광소자(30)는 상기 격벽(11)에 의해 격리되어 상기 발광소자(30)에서 방출된 빛이 외부의 반사체(F)에 반사되지 않고 상기 수광소자(20)에 직접 감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11)의 상부에는 상기 수광소자(20)를 덮어 상기 반사체(F)에 반사된 빛이 투과하는 투광커버(12)가 결합된다.
상기 반사체(F)는 직접적인 접촉 없이 모션 감지 스위치가 장착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사용자에 의해 움직이는 각종 도구가 될 수 있다.
상기 수광소자(20)는 포토다이오드(Photodiode)로 이루어져 빛을 감지하면 전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장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광소자(20)는 상기 프레임(10)의 중심부에 장착되어 상기 격벽(11)에 의해 상기 발광소자(30)와 격리된다.
그리고 상기 수광소자(20)는 상기 투광커버(1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소자(30)에서 방출되어 상기 반사체(F)에 의해 반사된 빛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광소자(20)는 전류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류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어 상기 반사체(F)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동작신호가 된다.
상기 수광소자(20)는 상기 격벽(11)에 의해 상기 발광소자(30)와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발광소자(30)에서 방출된 빛을 직접 감지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상기 반사체(F)의 잘못된 동작신호를 보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는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수광소자(20)를 중심으로 이격 배치되어 빛을 발산한다.
이러한 상기 발광소자(30)는 4개로 이루어져 상기 수광소자(20)를 중심으로 90°간격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소자(30)는 베이스(31), LED칩(32) 및 렌즈(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31)는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되고 상부에 상기 LED칩(32)과 렌즈(33)가 장착된다.
상기 LED칩(32)은 상기 베이스(31)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방향으로 적외선을 발산한다.
상기 렌즈(33)는 상기 베이스(31)에 장착되어 상기 LED칩(32)을 덮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발광소자(30)는 일반적인 LED 구조와 유사하며 상기 LED칩(32)에서 발산되는 적외선의 방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33)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상기 렌즈(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부(34)와 차단부(35)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과부(34)는 상기 LED칩(32)에서 발산된 빛을 외부로 방출시킨다.
즉, 상기 투과부(34)는 투명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LED칩(32)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투과부(34)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차단부(35)는 상기 투과부(34)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LED칩(32)에서 발산된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부(35)는 상기 수광소자(20)가 배치된 방향에 형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칩(32)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투과부(34)를 통해 상기 수광소자(20)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방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35)에는 반사면(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LED칩(32)에서 발산된 빛을 반사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반사면에 의해 상기 렌즈(33)의 내부에서 반사된 빛은 상기 투과부(34)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차단부(35)에는 상기 반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LED칩(32)에서 발산된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LED칩(32)에서 발산된 빛의 발광범위를 제한하면서 상기 투과부(34)로 방출되도록 빛을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부(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광소자(20)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투과부(34)의 광축(X)은 상기 베이스(31) 상면에 수직인 법선(N)에 대해 상기 수광소자(20)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광축은 일반적인 렌즈에서 렌즈의 곡률 중심과 기하학적 형상의 중심점을 지나는 선으로써, 보통 광축을 지나는 빛이 렌즈를 통과하는 주광선이 되고 이러한 광축에 평행하게 입사되는 빛은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굴절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LED칩(32)에서 발산된 빛은 상기 투과부(34)의 볼록한 형상에 의해 상기 수광소자(20)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굴절되어 방출된다.
상기 투과부(34)를 통해 방출되는 빛은 상기 투과부(34)의 광축과 상기 베이스(31) 상면의 법선 사이의 각도, 상기 투과부(34)의 볼록한 정도(곡률)에 따라 굴절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과부(34)의 형상에 따라 상기 LED칩(32)에서 발산되는 빛의 방출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발광소자(30)는 그 개수를 본 실시예와 같이 제한하지 않고 모션 감지 스위치가 장착되는 기기의 제어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보상소자(40)는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상기 수광소자(20)에 적외선을 발산한다.
즉, 상기 보상소자(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광소자(20)와 함께 상기 격벽(11)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수광소자(20)를 향해 배치되고, 상기 투광커버(12)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상소자(40)는 상기 수광소자(20)에 빛을 발산한다.
이와 같이 상기 보상소자(40)는 상기 수광소자(20)에 빛을 발산함으로써, 상기 발광소자(30)로부터 발산되어 상기 반사체(F)에 반사된 빛에 의해 상기 수광소자(20)에서 발생된 동작신호를 보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상소자(40)는 별도로 장착된 센서(미도시)가 감지하는 주위 환경의 밝기에 따라 상기 수광소자(20)가 일정한 양의 빛을 감지하도록 빛을 발산하게 된다.
즉, 실내의 조명, 야외의 날씨, 터널 등과 같은 환경 변화는 상기 수광소자(20)가 감지할 수 있는 광원에 변화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상기 보상소자(40)가 외부 빛의 양에 따라 상기 수광소자(20)에 빛을 발산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발광소자(30)를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4개의 상기 발광소자(30)를 순차적으로 점멸시킨다.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점멸되어 상기 발광소자(30)에서 방출된 빛은 상기 반사체(F)에 반사되어 상기 투광커버(12)를 통해 상기 수광소자(20)로 들어오게 된다.
상기 수광소자(20)는 상기 반사체(F)에 의해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전류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에 상기 반사체(F)의 동작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신호를 받아 상기 반사체(F)의 모션을 인식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에 따른 모션 감지 스위치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30)의 발광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T로 표시된 원은 상기 수광소자(20)의 수광범위이고, R로 표시된 원은 각각의 상기 발광소자(30)의 발광범위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소자(30)를 순차적으로 반복 점멸시켜 상기 모션 감지 스위치의 상부로 빛을 발산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발광소자(30)를 순차적으로 점멸시킴으로써, 상기 제어부에서 4개의 상기 발광소자(30)에서 발산된 빛을 구별하기 용이하다.
어느 하나의 상기 발광소자(30)에서 발산된 빛은 상기 반사체(F)에 반사되어 상기 수광소자(20)가 감지하게 되는데 상기 반사체(F)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반사체(F)에 반사되는 빛은 그 세기가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상기 발광소자(30)에서 발산되어 상기 반사체(F)에 반사된 빛의 세기가 변하는 동안 나머지 상기 발광소자(30)에서 발산된 빛은 상기 반사체(F)에 반사되지 못하여 상기 수광소자(20)에서 감지하지 못하거나 상기 반사체(F)에 반사되어 상기 수광소자(20)에서 감지하더라도 그 세기의 변화가 작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체(F)에 반사되어 상기 수광소자(20)가 감지한 빛에 의해 발생된 전류 즉, 동작신호의 세기 변화에 따라 상기 반사체(F)에 반사되어 상기 수광소자(20)에서 감지한 빛이 발산된 수광소자(20)를 구별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체(F)의 위치 및 수평·수직 이동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수광소자(20)는 상기 반사체(F)에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동작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신호에 의해 상기 동작신호의 세기 및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반사체(F)의 위치 및 이동을 확인하고 모션 감지 스위치가 장착된 기기를 상기 반사체(F)의 모션에 따라 작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발광소자(30)에서 발산된 빛은 상기 차단부(35)에 의해 상기 투과부(34)를 통해 상기 수광소자(20)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방출되기 때문에 상기 반사체(F)가 모션 감지 스위치로부터 멀어져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발광소자(30)의 발광범위(R)가 중첩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모션 감지 스위치를 소형화하면서도 원거리에서 상기 반사체(F)의 움직임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션 감지 스위치를 장착하여도 소형기기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소형기기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모션 감지 스위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프레임, 11 : 격벽, 12 : 투광커버, 20 : 수광소자, 30 : 발광소자, 31 : 베이스, 32 : LED칩, 33 : 렌즈, 34 : 투과부, 35 : 차단부, 40 : 보상소자,

Claims (4)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수광소자와;
    상기 프레임에 상기 수광소자를 중심으로 이격 배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다수개의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소자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LED칩과;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LED칩을 덮는 렌즈; 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는,
    상기 LED칩에서 발산된 빛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투과부와;
    상기 투과부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LED칩에서 발산된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수광소자가 배치된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LED칩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투과부를 통해 상기 수광소자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방출되고,
    상기 수광소자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되어 반사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동작신호를 보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신호를 받아 상기 반사체의 모션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감지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에는 반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LED칩에서 발산된 빛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감지 스위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4개로 이루어져 상기 수광소자를 중심으로 90°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격벽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상부에는 상기 수광소자를 덮어 상기 반사체에 반사된 빛이 투과하는 투광커버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감지 스위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투과부의 광축은 상기 베이스 상면의 법선에 대해 상기 수광소자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감지 스위치.

KR1020110143132A 2011-12-27 2011-12-27 모션 감지 스위치 KR101349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132A KR101349257B1 (ko) 2011-12-27 2011-12-27 모션 감지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132A KR101349257B1 (ko) 2011-12-27 2011-12-27 모션 감지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978A true KR20130074978A (ko) 2013-07-05
KR101349257B1 KR101349257B1 (ko) 2014-01-10

Family

ID=4898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132A KR101349257B1 (ko) 2011-12-27 2011-12-27 모션 감지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25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515B1 (ko) * 2009-09-14 2011-12-0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원격 터치 패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90965B1 (ko) 2011-07-18 2011-12-08 주식회사 하이소닉 모션 감지 스위치
KR101090970B1 (ko) 2011-08-19 2011-12-08 주식회사 하이소닉 모션 감지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257B1 (ko) 201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965B1 (ko) 모션 감지 스위치
KR101090970B1 (ko) 모션 감지 스위치
EP2419812B1 (en) Optical touch screen systems using reflected light
US68359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monitoring of proximity sensors
US20090184852A1 (en) Optical joystick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9383434B2 (en) Compact opto-electronic sensor modules for detecting gestures or other movements by a user
KR101268340B1 (ko) 차단커버가 장착된 일체형 모션 감지 스위치
CN201218933Y (zh) 光学轨迹感测模块
KR101349257B1 (ko) 모션 감지 스위치
KR101388697B1 (ko) 옵티컬 네비게이션 모듈 및 옵티컬 네비게이션 모듈용 렌즈
KR101337973B1 (ko) 모션 감지 스위치
KR101337971B1 (ko) 모션 감지 스위치
KR101337972B1 (ko) 일체형 모션 감지 스위치
KR101167061B1 (ko) 광 조이스틱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20130109031A (ko) 모션 제스처 인식 모듈 및 그것의 모션 제스처 인식 방법
KR20180000158A (ko) 광학 장치가 설치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광학 센싱 방법
KR100991360B1 (ko) 광 조이스틱 및 광 조이스틱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CN201247452Y (zh) 光学移动轨迹模块
KR101382506B1 (ko) 모션 감지 스위치의 수광 장치
KR101092857B1 (ko) 초슬림 광조이스틱
KR101092855B1 (ko) 광 조이스틱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20120040774A (ko) 광 포인팅 장치 및 광 포인팅 장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
KR101089065B1 (ko) 초 슬림 광 조이스틱
KR101538965B1 (ko) 모션 감지 스위치
KR101174441B1 (ko) 측면지향성 광원을 이용한 광학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