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4170A -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4170A
KR20130074170A KR1020110142082A KR20110142082A KR20130074170A KR 20130074170 A KR20130074170 A KR 20130074170A KR 1020110142082 A KR1020110142082 A KR 1020110142082A KR 20110142082 A KR20110142082 A KR 20110142082A KR 20130074170 A KR20130074170 A KR 20130074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search
static
user terminal
dyn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195B1 (ko
Inventor
강동민
김일환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11014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1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가, 웹사이트의 전체 영역 중 정적 영역 및 동적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아이들 모드(idle-mode) 상태에서 접속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브라우저 캐시로부터 우선적으로 브라우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적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동적 영역의 브라우징 이전에도 가능하다.

Description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SYSTEM AND METHOD FOR SHORTENING SEARCH PERFORMING TI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이 아이들 모드(idle mode) 상태에서 연결(connected) 상태까지의 웨이크-업(wake-up) 과정을 진행하는 동안 야기되는 검색창 진입시간 지연을 해소하여 사용자 단말의 전체적인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은 이제 유선을 넘어 무선 이동통신 기술로의 급발전을 가져오게 되었고, 실생활에 있어서도 휴대폰, PDA, 핸드헬드(Hand-Held) 컴퓨터 등의 이동 단말을 통한 인터넷상에서의 정보 검색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들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일반 휴대폰에서 스마트폰으로 사용자들이 많이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이란 휴대폰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휴대폰으로서, 휴대폰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기능, 인터넷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등이 추가되며, 다양한 입력 방식과 터치스크린 등이 구비되어 사용에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팩스, 뱅킹, 게임 등 단말기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한편,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의 수용을 위하여 표준화된 운영 체제(OS) 또는 전용 운영 체제를 갖추기도 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 등 다양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 내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전용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들과 콘텐츠(content)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 등을 통해 인터넷 웹사이트에 접속하고자 할 경우, 네트워크의 종류 및 상태 등에 따라 웹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웹페이지를 브라우징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 항상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평시에는 배터리 소모의 절약 등을 이유로 연결(connected) 상태가 아닌 아이들 모드(idle mode)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접속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과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도 1은 이동 단말이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전환되기까지의 웨이크-업 지연(wake-up delay)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예컨대, 이동 단말)에서 브라우저의 주소창을 통해 특정 웹서버의 주소를 입력하고, 접속을 요청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네트워크(예컨대, 3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이동 단말이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 접속 상태로 전환된다. 예컨대, 이동통신 표준 규약에 따라 CELL_DCH(Dedicated channel) 또는 CELL_FACH(Forward access channel) 채널 등을 형성함으로써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설정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웨이크-업 처리 과정은 일정한 시간(예컨대, 2~3 초)이 소요되며, 상기 웨이크-업 처리에 따른 시간 지연은 사용자로 하여금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체감 속도를 저해하도록 하는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이동 단말(예컨대,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크게 두 가지 경로로 포털 사이트(예컨대, 네이버)의 검색창에 접근할 수 있다. 한 가지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기능을 구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즉, 검색앱)을 구동하여 검색창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다른 한 가지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메인 웹페이지를 브라우징함으로써 검색창(400)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웹페이지는 사용자 단말이 이동 단말일 경우 이동 단말에 최적화된 모바일 웹페이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방법들 중에서, 도 4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검색창(400)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 메인 웹페이지는 접속시마다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제공되는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고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게 되나 상기 도 1 및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이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전환되는 웨이크-업 지연으로 인해 메인 웹페이지의 로딩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평균 4초 이상의 로딩 시간을 기다려야만 검색창(400)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하여 검색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검색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이 평상시에는 아이들 모드 상태(S501)를 유지하다가 소정 모바일 웹페이지(예컨대, 'm.naver.com')로 접속(S502)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3G 이동통신 표준 규약에 따라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한 후 해당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상기 단계 S502에서, 모바일 웹페이지로 접속하는 방식은 미리 등록된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하거나,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주소를 직접 입력하거나 즐겨찾기에 등록된 모바일 웹페이지를 선택하는 등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로가기 실행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의 주소에 해당하는 웹서버(510)로 메인 웹페이지를 요청(S503)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500)은 아이들 모드 상태이므로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연결 상태로 전환(S504)한 후에 상기 해당 메인 웹페이지를 웹서버(510)로부터 전송(S505)받는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상태로의 전환에 따른 웨이크-업 지연이 발생하며, 사용자는 이러한 지연 시간 동안 대기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연결 상태의 전환 후에, 메인 웹페이지를 전송받으면, 사용자 단말(500)에서는 상기 전송된 메인 웹페이지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우징(S506)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인 웹페이지에 포함된(예컨대, 메인 웹페이지의 상단에 위치한)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S507)하고, 검색 실행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웹서버(510)에 검색을 요청(S058)한다.
상기 요청에 따라 해당 웹서버(510)에서는 소정의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을 수행(S509)하고, 검색 결과를 웹페이지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500)로 전송(S510)한다. 사용자 단말(500)에서는 상기 검색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S511)한다.
한편, 상기 절차에서 모바일 웹페이지의 바로가기 실행에서 메인 웹페이지의 로딩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예컨대, 웨이크-업을 위한 시간이 2~3초 정도 소요될 수 있으며, 메인 웹페이지의 로딩 시간이 평균적으로 4초 이상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무선 인터넷에서의 정보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556530호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엔에이치엔 (주))(문헌 1)에는 최소한의 무선 인터넷 접속으로 또는 접속을 통하지 않고서도 각종 정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된다. 그러나, 문헌 1은 검색 요청 이후 검색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검색 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을 뿐, 검색창을 로딩하기까지의 시간을 줄이지는 못하며, 정상적인 웹페이지의 검색창을 이용하여 검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연결에 따른 시간 지연을 줄이고 검색창을 사용자 단말에서 빠르게 구동하여 전체적인 검색 수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556530호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엔에이치엔 (주)) 2006.02.23.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이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 검색을 위한 웹페이지에 접속할 때, 웨이크-업 지연 없이 빠르게 검색창에 접근할 수 있는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웹페이지의 전체 영역 중 검색창에 대한 영역을 정적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정적 영역을 사용자 단말의 브라우저 캐시에 미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이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 검색을 위한 웹페이지에 접속할 때, 웨이크-업 지연 없이 빠르게 검색창에 접근할 수 있는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웹페이지의 전체 영역 중 검색창에 대한 영역을 정적 영역으로, 나머지 콘텐츠 영역은 동적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정적 영역을 사용자 단말의 브라우저 캐시에 미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이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 검색을 위한 모바일 웹페이지에 접속할 때, 네트워크 접속 전이라도 검색창을 빠르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네트워크 접속 및 동적 영역에 대한 정보 수신을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가, 웹사이트의 전체 영역 중 정적 영역 및 동적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아이들 모드(idle-mode) 상태에서 접속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브라우저 캐시로부터 우선적으로 브라우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적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동적 영역의 브라우징 이전에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적 영역은 검색 키워드의 입력이 가능한 검색창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은 상기 검색창 내의 소정 검색 키워드 입력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브라우저 캐시로부터 우선적으로 브라우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동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웹서버로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청한 동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한 이후에, 상기 수신된 동적 영역을 상기 정적 영역과 결합하여 브라우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브라우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검색창을 통해 입력된 상기 검색 키워드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따른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적 영역 및 동적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웹사이트의 주소와 관련하여 이전에 로딩된 매니페스트 파일을 참조하여 수행되고, 상기 메니페스트 파일은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및 상기 동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한 참조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는, 웹사이트의 전체 영역 중 정적 영역 및 동적 영역을 인식하는 인식 수단,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아이들 모드(idle-mode) 상태에서 접속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브라우저 캐시로부터 우선적으로 브라우징하는 브라우징 수단 및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저장된 브라우저 캐시를 포함하고, 상기 정적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동적 영역의 브라우징 이전에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웹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동적 영역 및 정적 영역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을 갖는 웹사이트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제공 수단,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동적 영역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동적 영역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적 영역 제공 수단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 검색 키워드를 수신하고, 상기 검색 키워드에 기초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 결과 제공 수단에 의한 검색 결과의 제공은, 상기 동적 영역 제공 수단에 의한 상기 동적 영역에 해당되는 데이터의 제공 완료 이전에도 가능하며, 상기 웹사이트가 갖는 전체 영역은 상기 사용자 단말 내부에서 정적 영역 및 상기 동적 영역으로 나뉘어 인식되고, 이 중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되는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아이들 모드(idle-mode) 상태에서 접속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브라우저 캐시로부터 우선적으로 브라우징된다.한편,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을 제공받기 위한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도 검색을 위한 웹페이지의 검색창에 웨이크-업 지연 없이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네트워크 접속 전이라도 검색어의 입력 및 검색 요청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전체적인 검색 수행 시간 지연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웨이크-업 지연에 따른 웹페이지 로딩 시간 동안 기다려야 하는 지루함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웹페이지의 전체 영역 중 검색창에 대한 영역을 정적 영역으로 구분하고, HTML5 등 애플리케이션 캐시(Application Cache) 기능을 지원하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표준을 이용하여 상기 정적 영역을 사용자 단말의 브라우저 캐시에 미리 저장함으로써, 정적 영역에 대한 처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사용자 단말이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전환되기까지의 웨이크-업 지연(wake-up delay)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3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접속 상태 변환을 나타내는 상태 천이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검색 애플리케이션의 검색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에서 브라우징되는 웹페이지의 메인 검색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검색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분할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체 검색 수행 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검색 수행 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적 영역 및 동적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캐시 매니페스트 파일의 작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한편,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이동 단말'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대표적인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HTML5 등 애플리케이션 캐시(Application Cache) 기능을 지원하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폰을 포함하여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항법 장치 등 이동 단말뿐만 아니라 컴퓨터, TV 등 고정 단말을 포함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모든 사용자 단말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단말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역 분할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에 브라우징되는 특정한 메인 웹페이지, 바람직하게는 검색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웹페이지는 상기 검색창을 포함하는 정적 영역(610)과 상기 정적 영역(6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구성된 동적 영역(6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정적 영역(610)은 검색하고자 하는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을 입력할 수 있는 검색창을 포함하며, 상기 검색창으로만 구현하거나 상기 검색창을 포함하여 웹페이지 접속시마다 변경되지 않는 주변 영역까지를 정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적 영역(610)은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frame)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도록 프레임 단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동적 영역(620)은 전체 메인 웹페이지 중에서 상기 정적 영역(6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각종 다양한 콘텐츠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 6에 의해 분할된 각 영역(즉, 검색창을 포함하는 정적 영역(610) 및 각종 콘텐츠를 포함하는 동적 영역(6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별개로 로딩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정적 영역(710) 및 동적 영역(720)을 포함하는 메인 웹페이지를 한 번이라도 접속한 적이 있는 경우, 정적 영역(710) 및 동적 영역(720)은 모두 사용자 단말 내에서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버젼 5(HTML 5)의 표준 규격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캐시(application cache)를 이용하여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메인 웹페이지를 다시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정적 영역(7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 상태가 아닐지라도 상기 애플리케이션 캐시에 저장된 내용으로부터 우선적으로 로딩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에 빠르게 도달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동적 영역(720) 은 상기 정적 영역(7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캐시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으로부터가 아닌, 네크워크 연결 완료 후 해당 웹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동적 영역(720)의 내용은 웹서버에서 자유롭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실시간으로 정보가 갱신되고,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웹페이지를 정적 영역(710)과 동적 영역(720)으로 구분하고, 상기 검색창 영역을 포함하는 정적 영역(710)을 HTML 5 표준 규격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캐시를 활용하여 우선적으로 캐싱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에서 네트워크 연결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검색창의 즉각적인 구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검색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웹사이트의 메인 웹페이지를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으로 분리하고, 적어도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하는 정적 영역 데이터(801)는 사용자 단말(500)에 포함된 브라우저 캐시(800)에 저장된다.
이후,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500)이 상기 메인 웹페이지를 해당 웹서버(510)에 요청할 경우, 사용자 단말(500)이 접속 상태로 전환되기 전이라도 상기 메인 웹페이지의 정적 영역 데이터(801)는 브라우저 캐시(800)로부터 우선적으로 로딩되여 디스플레이됨으로써 빠른 검색창으로의 접근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500)의 네트워크 접속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이 완료되면, 통신 네트워크(810)를 통해 웹서버(510)로 상기 메인 웹페이지 중에서 동적 영역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상기 웹서버(510)는 상기 요청된 동적 영역에 해당하는 동적 영역 데이터(820)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810)를 통해 사용자 단말(500)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500)에서는 상기 동적 영역 데이터(820)를 웹서버(51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이미 로딩된 정적 영역 데이터(801)와 결합하여 하나의 메인 웹페이지를 생성한다. 이미 로딩된 정적 영역 데이터(801)와 수신된 동적 영역 데이터(820)를 결합한 하나의 메인 웹페이지 생성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로서 메인 웹페이지 중 동적 영역을 하나의 아이프레임(iframe)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또는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나열된 예에 한정되어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500)이 상기 동적 영역 데이터(820)를 모두 수신하기 전이라도, 상기 정적 영역 데이터(801)를 통해 제공된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여 검색을 요청하게 되면, 상기 웹서버(510)는 상기 해당 동적 영역 데이터(820)의 전송 완료 이전이라도, 상기 새롭게 요청된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검색을 수행한 후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50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통신 네트워크(81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810)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s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전송기술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도 8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검색창 진입 절차를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검색창 진입시간 단축을 위한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500)을 이용하여 특정 웹사이트의 메인 웹페이지를 최초로 방문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500)는 HTML 5 표준 규격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캐시 기능을 이용하여 메인 웹페이지의 웹 리소스(Web Resource)를 브라우저 캐시에 저장(S901)하여 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 웹페이지는 정적 영역 데이터 및 동적 영역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중 적어도 정적 영역 데이터는 브라우저 캐시에 저장된다. 애플리케이션 캐시 기능에 따른 정적 영역 데이터의 캐시 저장, 그리고 이후 캐시로부터의 우선적인 로딩 등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HTML 5 표준 규격에 의한 캐시 매니페스트(Cache Manifest) 파일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S901에 대해서 웹서버(510)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웹 서버는 사용자 단말(500)이 특정 웹사이트의 메인 웹페이지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메인 웹페이지의 웹 리소스를 사용자 단말(500)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500)이 이동 단말일 경우 별도의 작업이나 데이터 요청이 없을 때 배터리 소모의 절약 등을 이유로 평시에는 아이들 모드 상태(S902)를 유지한다. 이때, 사용자가 검색 등을 위해 사용자 단말(500)에서 앞서 방문한 바 있는 특정 웹사이트의 메인 웹페이지의 바로가기를 실행하거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웹페이지의 주소를 직접 입력하여 모바일 웹페이지로 접속(S903)하면, 상기 실행에 따라 동적 영역 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해당 웹서버(510)로 요청(S904)한다. 즉, 상기 메인 웹페이지의 바로가기 실행, 또는 주소의 입력 등 모바일 웹페이지로의 접속시 종래와 같이 전체 웹페이지에 대한 요청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적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동적 영역에 대한 데이터에 대해서만 전송을 요청할 수 있고, 이는 후술할 캐시 매니페스트 파일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500)이 아이들 모드 상태에 있었으므로, 접속 상태로 전환되기 위한 웨이크-업 지연 시간을 갖게 된다. 이러한 웨이크-업 절차 진행에 따라 접속 상태로 전환되어 사용자 단말(500)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 채널이 형성된 후 상기 웹서버(510)로부터 요청한 데이터, 즉 동적 영역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웨이크-업 진행 과정 중 사용자 단말(500)에서는 상기 브라우저 캐시에 기저장된 정적 영역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브라우징(S906)함으로써 상기 정적 영역에 포함된 검색창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공된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S906)하고, 검색 버튼 등을 클릭하는 절차에 의해 검색을 요청(S908)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500)은 상기 검색어 입력 절차 진행과 동시에 네트워크 연결 상태로의 전환 절차가 진행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500)이 네트워크 연결 상태로 전환(S907)되면, 상기 요청된 동적 영역 데이터가 상기 웹서버(510)로부터 전송(S908)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500)에 브라우징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동적 영역 데이터의 전송(S908)이 완료되기 전이라도, 상기 검색 요청(S909)이 실행되면, 상기 동적 영역 데이터의 전송 완료 여부와 관계 없이, 웹서버(510)에서는 검색 엔진 등을 통해 상기 검색 요청에 따른 검색(S910)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검색을 통한 검색 결과가 사용자 단말(500)로 전송(S911)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500)에서는 수신된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S912)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500)이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로 완전히 전환되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지기 전이라도 사용자 단말(500)상에 바로 검색창을 제공해줌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검색창으로의 빠른 진입 및 이를 통한 보다 빠른 검색이 가능해지게 된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체 검색 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검색 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을 비교하면, 종래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이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 네트워크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웨이크-업 지연이 예컨대 3초 정도 경과되고, 검색창과 콘텐츠가 포함된 메인 페이지가 로딩되는 시간이 4초 정도 소요된다. 즉, 검색창 이용 가능 시점(1000)까지는 총 7초가 소요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검색창을 통해 키워드를 입력하고, 상기 키워드 입력 시간에 3초가 소요된다고 가정하면, 검색 요청까지 걸리는 시간이 10초 이상 소요된다. 또한,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브라우징하는 데까지 5초의 시간이 소요될 경우, 사용자가 검색에서 결과를 확인하는데 총 15초 이상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웹페이지의 바로가기를 실행한 시점에서 검색창 이용 가능 시점까지 7초 동안을 대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웹페이지의 바로가기를 실행할 경우 1초 이내에 정적 영역, 즉 검색창을 포함하는 영역이 먼저 브라우징되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이 아이들 모드 상태에 있을지라도 미리 상기 검색창을 이용하여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적 영역의 브라우징 및 검색어 입력 동안 사용자 단말은 웨이크-업 절차가 진행되고, 상기 웨이크-업 절차가 완료되어 네트워크 연결 상태로 전환되면 동적 영역에 대한 수신 및 로딩이 진행된다. 이때, 상기 동적 영역에 대한 수신 완료 전이라도 상기 검색어 입력 후 검색 실행을 하게 되면, 검색 절차가 진행된다.
따라서, 상기 도 10에서와 동일하게 키워드 입력 상기 키워드 입력 시간에 3초가 소요된다고 가정하면, 검색 요청까지 걸리는 시간이 4초밖에 안 걸리며,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브라우징하는 데까지 5초의 시간이 소요될 경우, 사용자가 검색에서 결과를 확인하는데 총 9초만으로도 가능하게 된다.
앞서 도 10 및 도 11에서 언급된 구체적인 소요 시간은 단말기의 종류, 네트워크의 종류 및 상황, 사용자의 조작이나 측정 방식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바뀔 수 있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도 10 및 도 11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경우 웹페이지 로딩 및 검색 수행이 종래 기술에 비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웹페이지를 정적 영역 및 동적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정적 영역을 HTML 5 규약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캐시 기능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브라우저 캐시에 저장하는 프로그램 작성 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적 영역 및 동적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캐시 매니페스트 파일의 작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이 HTML 5 표준 규약을 지원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캐시 매니페스트 파일(Cashe manifest file)을 작성함으로써, 동적 영역 및 정적 영역에 대한 구분된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 12에서와 같이 매니페스트 파일 내에 소정 웹페이지 중 디바이스 로컬 공간(즉, 사용자 단말 내의 메모리 영역)에 캐싱된 것으로부터 우선적으로 가져올 리소스를 정적 영역으로 구분하고, 네트워크에서 항상 가져올 리소스를 동적 영역으로 구분한다. 또한, 상기 도 12와 같은 매니페스트 파일은 해당 웹페이지 내에 지정되어 사용자 단말을 통한 최초 접속시 사용자 단말로 로딩되고, 이와 함께 정적 영역을 포함하는 리소스 또한 웹 서버로부터 로딩되어 브라우저 캐시에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 단말에서 해당 모바일 웹페이지에 대한 로딩을 다시 한 번 실행할 경우, 사용자 단말은 이전에 로딩된 매니페스트 파일에 포함된 내용에 기초하여 정적 영역에 대한 리소스는 사용자 단말이 아이들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라도 브라우저 캐시로부터 우선적으로 로딩하여 브라우징함으로써 빠른 검색창으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 다음, 네트워크 연결 상태로 전환이 완료되면, 상기 네트워크에서 항상 가져올 동적 영역에 대한 리소스를 웹 서버에 요청하여 브라우징하게 된다.
한편, 상기 HTML 5 규약에 따른 매니페스트 파일은 도시된 바와 같이 'CACHE', 'NETWORK', 'FALLBACK' 등과 같이 자원이 분리되어 기록된다. 이때, 상기 'CACHE' 항목은 캐시에 저장된 리소스로부터 우선적으로 로드할 대상 데이터로서 본 발명의 정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NETWORK' 항목은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 연결 상태일 경우에만 접근하여 로딩 및 브라우징 되는 데이터로서 본 발명의 동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FALLBACK' 항목은 원본 자원이 사용 불가능할 경우 대체 사용하도록 제공하는 자원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작성된, 상기 매니페스트 파일은 다음과 같이 HTML 파일에 등록함으로써 HTML 태그에 매티페스트 속성이 추가된다.
<! doctype html>
<html manifest="cache.manifest">
<head>
이와 같이 매니페스트 파일이 작성되면, HTML 5 규약에 따라 상기 'CACHE'로 지정된 항목은 웹브라우저 동작시 브라우저 캐시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브라우징하며, 업데이트는 백그라운드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e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400 : 검색창 영역 500 : 사용자 단말
510 : 웹서버 610, 710 : 검색창 영역
620, 720 : 콘텐츠 영역 800 : 브라우저 캐시
801 : 정적 영역 데이터 810 : 통신 네트워크
820 : 동적 영역 데이터

Claims (14)

  1.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가,
    웹사이트의 전체 영역 중 정적 영역 및 동적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아이들 모드(idle-mode) 상태에서 접속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브라우저 캐시로부터 우선적으로 브라우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적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동적 영역의 브라우징 이전에도 가능한,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적 영역은 검색 키워드의 입력이 가능한 검색창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은 상기 검색창 내의 소정 검색 키워드 입력을 포함하는,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브라우저 캐시로부터 우선적으로 브라우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동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웹서버로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요청한 동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한 이 후에,
    상기 수신된 동적 영역을 상기 정적 영역과 결합하여 브라우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브라우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검색창을 통해 입력된 상기 검색 키워드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따른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적 영역 및 동적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웹사이트의 주소과 관련하여 이전에 로딩된 매니페스트 파일을 참조하여 수행되고,
    상기 매니페스트 파일은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및 상기 동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한 참조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8. 웹사이트의 전체 영역 중 정적 영역 및 동적 영역을 인식하는 인식 수단;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아이들 모드(idle-mode) 상태에서 접속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브라우저 캐시로부터 우선적으로 브라우징하는 브라우징 수단; 및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저장된 브라우저 캐시를 포함하고,
    상기 정적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동적 영역의 브라우징 이전에도 가능한,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정적 영역은 검색 키워드의 입력이 가능한 검색창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은 상기 검색창 내의 소정 검색 키워드 입력을 포함하는,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상기 브라우저 캐시로부터 우선적으로 브라우징된 이후, 상기 동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웹서버로 요청하는 동적 영역 요청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동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한 이후, 상기 수신된 동적 영역을 상기 정적 영역과 결합하여 브라우징하는 통합 브라우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브라우징한 이후에, 상기 검색창을 통해 입력된 상기 검색 키워드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검색을 요청하고,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따른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검색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정적 영역 및 동적 영역의 인식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웹사이트의 주소와 관련하여 이전에 로딩된 매니페스트 파일을 참조하여 수행되고,
    상기 매니페스트 파일은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및 상기 동적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한 참조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14.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동적 영역 및 정적 영역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을 갖는 웹사이트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제공 수단;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동적 영역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동적 영역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적 영역 제공 수단;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 검색 키워드를 수신하고, 상기 검색 키워드에 기초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 결과 제공 수단에 의한 검색 결과의 제공은, 상기 동적 영역 제공 수단에 의한 상기 동적 영역에 해당되는 데이터의 제공 완료 이전에도 가능하며,
    상기 웹사이트가 갖는 전체 영역은 상기 사용자 단말 내부에서 정적 영역 및 상기 동적 영역으로 나뉘어 인식되고, 이 중 상기 정적 영역에 해당되는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아이들 모드(idle-mode) 상태에서 접속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브라우저 캐시로부터 우선적으로 브라우징되는, 검색 시간 단축을 위한 웹 서버.
KR1020110142082A 2011-12-26 2011-12-26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325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082A KR101325195B1 (ko) 2011-12-26 2011-12-26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082A KR101325195B1 (ko) 2011-12-26 2011-12-26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170A true KR20130074170A (ko) 2013-07-04
KR101325195B1 KR101325195B1 (ko) 2013-11-04

Family

ID=4898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082A KR101325195B1 (ko) 2011-12-26 2011-12-26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1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2954A (zh) * 2016-11-30 2018-06-08 深圳联友科技有限公司 一种html页面的本地化加载方法及装置
CN113158098A (zh) * 2020-01-07 2021-07-2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页面生成方法、装置、设备和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919B1 (ko) * 2001-11-20 2008-02-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웹 브라우져 상시 운용방법
KR101520658B1 (ko) * 2008-01-02 2015-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웹사이트 접속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2954A (zh) * 2016-11-30 2018-06-08 深圳联友科技有限公司 一种html页面的本地化加载方法及装置
CN113158098A (zh) * 2020-01-07 2021-07-2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页面生成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3158098B (zh) * 2020-01-07 2024-03-1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页面生成方法、装置、设备和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195B1 (ko)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987B1 (ko) 웹페이지 콘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장치
JP5357326B2 (ja) ページをレンダリング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107549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customized webpage on double webview
JP5863214B2 (ja) Domベースの同形によるウェブブラウジング計算の記憶
US94953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browser
US8612418B2 (en) Mobile web browser for pre-loading web pages
US10198410B2 (en) Method, device and mobile terminal for restoring page
US9503499B1 (en) Concealing latency in display of pages
US201002574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mini-softwar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a web site
US2010011545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Navigation Bars in a Client Browser for a Client Device
US201302546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rowsing histories of web browser
TW201723897A (zh) 資訊顯示方法、裝置及智能終端
US9250765B2 (en) Changing icons for a web page
US201202219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 page content
CN104423991A (zh) 在移动终端加载网页、提供网页数据的方法及装置
WO2018072388A1 (zh) 网页预读方法、网页访问方法、设备及可编程设备
US20170075865A1 (en) Intelligent rendering of webpages
US9292321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ynchronous script lazy loading
KR101325195B1 (ko) 검색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40331117A1 (en) Application-based dependency graph
US9524076B2 (en) Web pag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hereof
CN111984868A (zh) 一种浏览器中浏览网页的控制方法及装置
CN116070052A (zh) 界面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150293919A1 (en) Obtaining desired web content for a mobile device
KR101132220B1 (ko) 캐쉬(cache)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