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981A - Wiper blade device - Google Patents

Wiper blad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981A
KR20130073981A KR1020137011515A KR20137011515A KR20130073981A KR 20130073981 A KR20130073981 A KR 20130073981A KR 1020137011515 A KR1020137011515 A KR 1020137011515A KR 20137011515 A KR20137011515 A KR 20137011515A KR 20130073981 A KR20130073981 A KR 20130073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blade
carrier element
wiper
strip unit
bla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더크 헤린크스
헬멋 데폰트
코엔 벡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73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9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79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placed in side grooves in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08Spoiler integral with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3Connectors having a sp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5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 B60S1/3867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pin formed on the interior of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7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 B60S2001/38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the backing strip being an essentially planar reinforcing strip, e.g. verteb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Wind Motor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로 형성된 바람막이 소자(14) 및 와이퍼 립(16)을 구비하는 와이퍼 스트립 유닛(12) 그리고 스프링 탄성적인 캐리어 소자(10)를 갖춘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와 관련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에서는, 상기 캐리어 소자(10)가 조립 갭(20)을 구비하고, 상기 조립 갭이 상기 와이퍼 스트립 유닛(12)을 형상 결합 방식으로 수용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제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strip unit 12 having an integrally formed windscreen element 14 and a wiper lip 16 and a spring resilient carrier element 10. In the wiper blad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proposed that the carrier element 10 has an assembly gap 20, the assembly gap being provided for the purpose of accommodating the wiper strip unit 12 in a shape coupling manner. .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WIPER BLADE DEVICE}WIPER BLADE DEVICE {WIPER BLADE DEVICE}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bla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amble of patent claim 1.

스프링 탄성적인 캐리어 소자 및 와이퍼 스트립 유닛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 유닛은 일체로 형성된 바람막이 소자 및 와이퍼 립을 구비한다.Wiper blade arrangements are already known which comprise a spring resilient carrier element and a wiper strip unit. The wiper strip unit has an integrally formed windscreen element and a wiper lip.

본 발명은 일체로 형성된 바람막이 소자 및 와이퍼 립을 구비한 와이퍼 스트립 유닛 그리고 스프링 탄성적인 캐리어 소자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로부터 출발한다.The present invention starts from a wiper blade device comprising an integrally formed windscreen element and a wiper strip unit with a wiper lip and a spring resilient carrier element.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에서는, 캐리어 소자가 와이퍼 스트립 유닛을 형상 결합 방식으로 수용할 목적으로 제공된 조립 갭을 구비하는 것이 제안됨으로써, 상기 캐리어 소자는 와이퍼 스트립 유닛과 특히 신속하고도 경제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관계에서 "스프링 탄성적인 캐리어 소자"란 특히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적어도 10 %만큼, 특히 적어도 20 %만큼, 바람직하게 적어도 30 %만큼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만큼 탄성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구비하는 그리고 특히 상기 연장부의 변경에 의존하는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경에 비례하고 상기 변동을 저지하는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소자로서 이해된다. 상기와 같은 관계에서 한 소자의 "연장부"란 특히 상기 소자를 하나의 평면에 수직으로 투영할 때에 두 개 점 간의 최대 거리로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캐리어 소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었다. 상기와 같은 관계에서 "바람막이 소자"는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에 작용을 하는 상대 바람을 막을 목적으로 그리고/또는 와이퍼 립을 차량 윈도우에 압착하기 위해서 제공된 소자로서 이해된다. 상기와 같은 관계에서 "일체형으로"라는 표현은 특히 예를 들어 용접 공정 및/또는 접착 공정 등에 의해 재료 결합 방식으로 결합 된 상태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캐스팅을 이용한 제조 및/또는 단일 성분- 혹은 다중 성분 사출 성형 방법을 이용한 제조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서 이해된다. 상기와 같은 관계에서 "조립 갭"이란 특히 캐리어 소자를 관통하는 그리고 적어도 상기 캐리어 소자의 세로 연장부의 큰 부분에 걸쳐서 연장되는 갭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조립 갭은 한 측에서 개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폐쇄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 캐리어 소자는 상기 조립 갭을 완전히 둘러싸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윤곽(contour)을 형성한다. 상기 조립 갭의 폭은 바람직하게 상기 캐리어 소자의 폭의 적어도 50 % 미만을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미만을 차지한다. 상기와 같은 관계에서 "세로 연장부"란 특히 최대로 가능한 연장부로서 이해된다. 상기와 같은 관계에서 "큰 부분"이라는 표현은 특히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관계에서 "제공된"이라는 표현은 특히 특별하게 설계 및/또는 설치되었다는 의미로 이해된다.In the wiper blad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proposed that the carrier element has an assembly gap provided for the purpose of receiving the wiper strip unit in a shape-mating manner so that the carrier element can be assembled particularly quickly and economically with the wiper strip unit. Can be. In this regard, the term "spring elastic carrier element" is to be changed elastically by at least 10%, in particular by at least 20%, preferably by at least 30% and particularly preferably by at least 50%, especially under normal operating conditions. It is understood as a device having at least one extension, which in particular depends on the change of the extension and generates a resistive force which is preferably proportional to the change and resists the change. In such a relationship, the "extension" of an element is understood as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two points, in particular when projecting the element perpendicular to one plane. Preferably the carrier element is formed integrally. In this regard, the “windscreen element” is understood as an element provided in particular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relative wind acting on the wiper blade arrangement and / or for pressing the wiper lip onto the vehicle window. In the above relation the expression "in one piece" is in particular in a state of being joined in a material bonding manner, for example by a welding process and / or an adhesion proc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produced by casting and / or a single component or multiple component. It is understood as a state formed integrally by the manufacture using the injection molding method. In this regard, an "assembly gap" is understood in particular as a gap penetrating the carrier element and extending at least over a large portion of the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carrier element. The assembly gap can be open on one side, but is preferably completely closed, ie the carrier element forms an integrally formed contour which completely surrounds the assembly gap. The width of the assembly gap preferably accounts for at least less than 50% and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20% of the width of the carrier element. "Vertical extensions" in this regard are understood in particular as the maximum possible extension. The expression "large part" in this relationship means especially at least 50%, preferably at least 80%. The expression "provided" in this regard is understood in particular to mean specially designed and / or installed.

또한, 바람막이 소자 및 와이퍼 립을 구비한 와이퍼 스트립 유닛 그리고 스프링 탄성적인 캐리어 소자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가 제안되며, 이 경우 상기 캐리어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조립 개구는 적어도 한 영역에서는 상기 캐리어 소자의 조립 갭보다 더 넓고, 조립시에 상기 와이퍼 스트립 유닛을 관통할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그럼으로써, 상기 와이퍼 스트립 유닛은 캐리어 소자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계에서 "조립 개구"란 특히 조립 갭에 인접하는 개구로서 이해된다. 상기와 같은 관계에서 "더 넓은"이라는 표현은 특히 한 연장부의 크기가 세로 연장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는 한 방향으로 더 크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립 개구는 캐리어 소자의 한 단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관계에서 "단부 영역"이란 특히 캐리어 소자의 한 자유 단부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캐리어 소자의 한 길이 연장부의 처음 및/또는 마지막 20 % 안에, 바람직하게는 처음 및/또는 마지막 10 % 안에 있는 영역으로서 이해된다.There is also proposed a wiper blade arrangement comprising a windscreen element and a wiper strip unit with a wiper lip and a spring-elastic carrier element, in which case the carrier element has at least one assembly opening, the assembly opening being at least one. The area is wider than the assembly gap of the carrier element and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penetrating the wiper strip unit during assembly. Thereby, the wiper strip unit can be assembled with the carrier element in a particularly simple manner. "Assembly opening" in this regard is understood in particular as an opening adjacent to the assembly gap. The expression "wider" in such a relationship is understood in particular to the extent that one extension is larger in one direction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extension. Preferably the assembly opening is arranged in one end region of the carrier element. A "end region" in this regard is in particular a region which starts from one free end of the carrier element and is within the first and / or last 20% of the one length extension of the carrier element, preferably within the first and / or last 10%. I understand.

한 가지 추가의 실시 예에서는, 한 세로 연장부 내에서 이루어진 적어도 한 가지 작동 상태에서는 캐리어 소자의 조립 갭이 양측에서 폐쇄되는 것이 제안되며, 이와 같은 폐쇄 상황에 의해서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가 특히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 further embodiment, it is proposed that the assembly gap of the carrier element is closed on both sides in at least one operating state made within one longitudinal extension, which makes the wiper blade arrangement particularly stable. Can be.

조립된 상태에서 캐리어 소자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를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가 구비하면, 상기 캐리어 소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에 특히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계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란 특히 와이퍼 암과의 커플링을 위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의 커플링 영역을 마련할 목적으로 제공된 어댑터로서 이해된다.If the wiper blade device is provided with a wiper blade adapter which at least partially surrounds the carrier element in the assembled state, the carrier element can be particularly securely fixed to the wiper blade adapter. In this regard, a "wiper blade adapter" is understood as an adapter provided in particular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coupling area of the wiper blade device for coupling with the wiper arm.

바람막이 소자가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수용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수용 영역 내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를 수용할 목적으로 제공된 고정 리세스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의 특히 콤팩트한 구조에 도달할 수 있다.The particularly compact structure of the wiper blade device can be reached when the windscreen device has a wiper blade adapter receiving area and a fixed recess provided for receiving the wiper blade adapter is arranged in the wiper blade adapter receiving area. have.

또한, 바람막이 소자 및 와이퍼 립이 다중 성분-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도 제안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람막이 소자 및 와이퍼 립은 공압출-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서는 바람막이 소자와 와이퍼 립 간의 결합이 특히 안정적으로 그리고 그와 동시에 유리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It is also proposed that the windscreen element and the wiper lip are produced by a multi-component injection molding method. Preferably the windscreen element and wiper lip are produced by a coextrusion injection molding method. By such a manufacturing method, the coupling between the windscreen element and the wiper lip can be made particularly stable and at the same time advantageous.

캐리어 소자를 손상 및/또는 부식으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제공된 보호 코팅을 상기 캐리어 소자가 구비하면,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의 소모 현상이 바람직하게 지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계에서 "보호 코팅"이란 특히 캐리어 소자보다 더 단단하고/단단하거나 부식에 더 강한 코팅으로서 이해된다.If the carrier element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coating provid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carrier element from damage and / or corrosion, the consumption phenomenon of the wiper blade device can be preferably delayed. "Protective coating" in this regard is understood in particular as a coating which is harder and / or more resistant to corrosion than the carrier element.

상기 와이퍼 스트립 유닛이 외부로 개방된 캐리어 소자 수용 영역을 구비하면, 캐리어 소자의 조립은 특히 신속하고도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관계에서 "캐리어 소자 수용 영역"이란 특히 상기 와이퍼 스트립 유닛을 적어도 세 개 측에서 둘러싸는 그리고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소자가 그 내부로 돌출하는 영역으로서 이해된다.If the wiper strip unit has a carrier element receiving area open to the outside, the assembly of the carrier element can be particularly quick and safe. A "carrier element receiving area" in this regard is understood in particular as an area which surrounds the wiper strip unit on at least three sides and protrudes therein in the assembled state.

와이퍼 스트립 유닛이 캐리어 소자의 조립 갭 안으로 삽입되면,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의 안전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wiper strip unit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gap of the carrier element, a safe assembly of the wiper blade device can be achieved.

와이퍼 스트립 유닛이 삽입되기 전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가 캐리어 소자에 장착되면,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가 특히 신속하게 조립될 수 있다.
If the wiper blade adapter is mounted on the carrier element before the wiper strip unit is inserted, the wiper blade device can be assembled particularly quickly.

추가의 장점들은 아래의 도면 설명부로부터 드러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 설명부 그리고 청구범위는 다수의 특징을 조합된 형태로 포함한다. 당업자는 상기 특징들을 목적에 따라 개별적으로 관찰하여 합리적인 추가의 조합들로 통합하게 된다.
도 1은 조립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의 캐리어 소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로킹 소자를 보여주는 도 2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캐리어 소자의 한 단부 영역을 보여주는 도 2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와이퍼 스트립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고정 리세스를 보여주는 도 5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의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9는 한 가지 조립 단계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urther advantages emerge from the description of the figures below.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drawings.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and the claims contain multiple features in combin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observe these features individually for purposes and incorporate them into reasonable additional combinations.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per bla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ssembled stat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rier element of the wiper blade device according to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showing a locking element;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showing one end region of the carrier element;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per strip unit,
6 is an enlarged cross sectional view of FIG. 5 showing a fixed recess;
7 is a front view of the wiper blade adapter,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per blade adapter shown in FIG. 7, and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per blade device in one assembly step.

도 1은 조립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는 스프링 탄성적인 캐리어 소자(10) 및 와이퍼 스트립 유닛(12)을 구비한다. 상기 캐리어 소자(10)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바람막이 소자(14) 및 와이퍼 립(16)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는 또한 상기 캐리어 소자(1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18)를 구비한다.Figure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per blad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the assembled state. The wiper blade arrangement comprises a spring resilient carrier element 10 and a wiper strip unit 12. The carrier element 10 includes a windscreen element 14 and a wiper lip 16 integrally formed with one another. The wiper blade device also has a wiper blade adapter 18 which partially surrounds the carrier element 10.

상기 캐리어 소자(10)는 또한 래커 코팅에 의해서 형성된 보호 코팅을 구비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관계에서 특히 고무 코팅, 에나멜 코팅 또는 갈바노(galvano) 기술적으로 형성된 커버 층과 같이 당업자에게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또 다른 보호 코팅들도 생각할 수 있다.The carrier element 10 also has a protective coating formed by a lacquer coating. However, other protective coatings which are considered suitable for the skilled person, in particular in this regard, such as rubber coatings, enamel coatings or galvano technically formed cover layers, are also conceivable.

도 2는 조립 갭(20)을 갖는 캐리어 소자(10)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조립 갭(20)은 캐리어 소자(10)를 따라서 세로 방향(22)으로 연장된다. 상기 세로 방향(22)은 캐리어 소자(10)의 한 세로 연장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조립 갭(20)의 폭은 캐리어 소자(10)의 폭의 12 %를 차지한다.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element 10 having an assembly gap 20. The assembly gap 2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22 along the carrier element 10. The longitudinal direction 22 extends parallel to one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carrier element 10. The width of the assembly gap 20 occupies 12% of the width of the carrier element 10.

도 3은 캐리어 소자(10)의 중앙 영역(24)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중앙 영역(24)에는 로킹 리세스(28)로서 형성된 로킹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관계에서는 상기 로킹 소자들을 연장부로서 그리고/또는 당업자에게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다른 형태들로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영역(24)은 세로 방향(22)으로 관찰할 때에 캐리어 소자(10)의 세로 연장부의 45 % 내지 55 %만큼 연장된다.3 shows a central region 24 of the carrier element 10. In the central region 24 are arranged locking elements formed as locking recesses 28. However, in such a relationship, it is also conceivable to form the locking elements as extensions and / or in other forms deemed suitabl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central region 24 extends by 45% to 55% of the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carrier element 10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22.

도 4는 조립 개구(30)가 그 안에 배치되어 있는 한 단부 영역(26)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조립 개구(30)는 조립 갭(20)보다 3배 더 넓다. 상기 조립 개구(30)는 또한 조립 갭(20)에 대하여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서 조립 개구(30) 및 조립 갭(20)은 세로 방향(22)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나의 공통된 대칭 평면(32)을 갖고 있다.4 shows the end region 26 as long as the assembly opening 30 is disposed therein. The assembly opening 30 is three times wider than the assembly gap 20. The assembly opening 30 is also centrally located with respect to the assembly gap 20, that is, the assembly opening 30 and the assembly gap 20 extend in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22. It has a plane 32.

단부 영역(26)에서 상기 조립 갭(20)은 캐리어 소자(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가로 소자(50)에 의해 제한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캐리어 소자(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그리고 상기 조립 갭(20)을 완전히 둘러싸는 윤곽을 형상한다.In the end region 26 the assembly gap 20 is limited by the transverse element 50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rrier element 10. As such, the carrier element 10 is shaped integrally and contours completely surrounding the assembly gap 20.

세로 연장부 내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소자(10)의 조립 갭(20)은 두 개의 가로 소자(50)에 의해 양측에서 폐쇄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관계에서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가로 소자(50)를 생략하는 것 그리고 조립된 상태에서 캐리어 소자(10)와 결합 되는 해체 가능한 결합 소자로 대체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In the state assembled in the longitudinal extension, the assembly gap 20 of the carrier element 10 is closed at both sides by two transverse elements 50. However, in such a relationship, it is conceivable to omit one or two horizontal elements 50 and to replace them with disassembleable coupling elements which are combined with the carrier element 10 in an assembled state.

도 5는 고정 리세스(34)를 구비하는 와이퍼 스트립 유닛(12)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와이퍼 스트립 유닛(12)의 주(主) 세로 연장부에서 관찰할 때에 상기 고정 리세스(34)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수용 영역(36)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wiper strip unit 12 with a securing recess 34. When viewed from the main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wiper strip unit 12, the securing recess 34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wiper blade adapter receiving area 36.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람막이 소자(14) 및 와이퍼 립(16)은 다중 성분-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이와 같은 관계에서는 특히 적어도 상기 바람막이 소자(14)와 상기 와이퍼 립(16) 간에 재료 결합 방식의 결합을 야기하는 다른 사출 성형 방법, 단일 성분-사출 성형 방법, 압축 방법, 접착 방법 및/또는 용접 방법과 같이 당업자에게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다른 제조 방법들도 생각할 수 있다.The windscreen element 14 and the wiper lip 16 shown in the figure were manufactured by a multi-component injection molding method. In this relationship, in particular, at least another injection molding method, a single component-injection molding method, a compression method, an adhesion method and / or a welding method that causes a material bonding method between the windscreen element 14 and the wiper lip 16. As such, other manufacturing methods deemed suit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conceivable.

도 6은 와이퍼 스트립 유닛(12)의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수용 영역(36)을 측면도로 보여주고 있다. 고정 리세스는 두 개의 측벽(38) 및 하나의 지지 면(40)을 구비한다. 상기 측벽(38)들은 전체 세로 연장부에 대하여 45°의 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벽들은 서로에 대하여 90°의 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지지 면(40)은 상기 측벽(38)들에 인접한다.FIG. 6 shows a wiper blade adapter receiving area 36 of the wiper strip unit 12 in a side view. The stationary recess has two side walls 38 and one support surface 40. The side walls 38 are arranged at an angle of 45 ° with respect to the entire longitudinal extension. As such, the walls form an angle of 90 °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support surface 40 is adjacent to the side walls 38.

상기 와이퍼 스트립 유닛(12)은 외부로 개방된 캐리어 소자 수용 영역(42)을 갖고, 상기 캐리어 소자 수용 영역 내에서는 홈(44)이 뻗는다. 상기 캐리어 소자 수용 영역(42)은 와이퍼 스트립 유닛(12)을 완전히 둘러싼다.The wiper strip unit 12 has a carrier element accommodating area 42 which is open to the outside, and a groove 44 extends in the carrier element accommodating area. The carrier element receiving area 42 completely surrounds the wiper strip unit 12.

도 7은 와이퍼 스트립 수용 영역(46)을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18)의 정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 수용 영역(46) 내부에는 홈 모양의 두 개의 가이드 레일(48)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들은 캐리어 소자(10)를 수용할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상기 가이드 레일(48)들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세로 방향(22)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된다.FIG. 7 shows a front view of a wiper blade adapter 18 with a wiper strip receiving area 46. Inside the wiper strip receiving area 46, two groove-shaped guide rails 48 are arranged, which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accommodating the carrier element 10. The guide rails 48 extend parallel to one longitudinal direction 22 as shown in FIG. 8.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를 조립하기 위하여, 먼저 캐리어 소자(10)가 자체 중앙 영역에서 압축된다. 폭이 줄었기 때문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18)가 캐리어 소자(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캐리어 소자(10)가 풀어지면, 상기 캐리어 소자(10)는 가이드 레일(48)과 형상 결합을 체결하게 된다. 상기 캐리어 소자(10)의 로킹 리세스(28)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18)와 로킹 결합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캐리어 소자(10)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1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세로 방향(22)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는 동작을 방지해준다.In order to assemble the wiper blade arrangement, the carrier element 10 is first compressed in its central region. Because of the reduced width, the wiper blade adapter 18 can be disposed on the carrier element 10. When the carrier element 10 is released, the carrier element 10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48 and the shape coupling. The locking recess 28 of the carrier element 10 locks in engagement with the wiper blade adapter 18, whereby the carrier element 10 i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22 relative to the wiper blade adapter 18. This prevents the motion of moving in parallel to.

제 2 조립 단계에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 유닛(12)은 캐리어 소자(10)의 조립 개구(30)를 관통하여 상기 조립 갭(20) 안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캐리어 소자(10)는 와이퍼 스트립 유닛(12)의 캐리어 소자 수용 영역(42) 안에 결합 된다. 캐리어 소자(10)와 와이퍼 스트립 유닛(12)은 하나의 형상 결합부를 형성한다.In the second assembly step, the wiper strip unit 12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gap 20 through the assembly opening 30 of the carrier element 10. The carrier element 10 is then coupled in the carrier element receiving region 42 of the wiper strip unit 12. The carrier element 10 and the wiper strip unit 12 form one shape coupling.

상기 와이퍼 스트립 유닛(12)은 또한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립 갭(20)을 따라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18)를 통과하게 된다. 와이퍼 스트립 유닛(20)이 캐리어 소자(10) 안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캐리어 소자(10)는 더 이상 압축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18)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The wiper strip unit 12 also passes through the wiper blade adapter 18 along the assembly gap 20, as shown in FIG. 9. When the wiper strip unit 20 is fully inserted into the carrier element 10, the carrier element 10 is no longer compressed and consequently is not separated from the wiper blade adapter 18.

Claims (13)

일체로 형성된 바람막이 소자(14) 및 와이퍼 립(16)을 구비하는 와이퍼 스트립 유닛(12) 그리고 스프링 탄성적인 캐리어 소자(10)를 갖춘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소자(10)가 조립 갭(20)을 구비하고, 상기 조립 갭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 유닛(12)을 형상 결합 방식으로 수용할 목적으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In the wiper strip unit 12 having an integrally formed windscreen element 14 and a wiper lip 16 and a spring resilient carrier element 10,
The wiper bla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rier element (10) has an assembly gap (20), the assembly gap being provided for the purpose of receiving the wiper strip unit (12) in a shape-fitting manner.
바람막이 소자(14) 및 와이퍼 립(16)을 구비하는 와이퍼 스트립 유닛(12) 그리고 스프링 탄성적인 캐리어 소자(10)를 갖춘 특히 제 1 항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소자(10)가 적어도 하나의 조립 개구(30)를 구비하며, 상기 조립 개구는 적어도 한 영역에서 상기 캐리어 소자(10)의 조립 갭(20)보다 더 넓고, 조립시에 상기 와이퍼 스트립 유닛(12)을 관통하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In the wiper blade arrangement according to claim 1, in particular a wiper strip unit 12 having a windscreen element 14 and a wiper lip 16 and a spring-elastic carrier element 10.
The carrier element 10 has at least one assembly opening 30, the assembly opening being wider than the assembly gap 20 of the carrier element 10 in at least one region, and at the time of assembly the wiper strip unit. A wiper bla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penetrate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세로 연장부 내에서 이루어진 적어도 한 가지 작동 상태에서는 상기 캐리어 소자(10)의 조립 갭(20)이 양측에서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iper blade arran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gap (20) of the carrier element (10) is closed at both sides in at least one operating state made in the longitudinal extens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소자(1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wiper bla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per blade adapter (18) at least partially surrounding the carrier element (10) in an assembled stat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막이 소자(14)가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수용 영역(36)을 갖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수용 영역 내에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18)를 수용할 목적으로 제공된 고정 리세스(34)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windscreen element 14 has a wiper blade adapter accommodating area 36 and a fixing recess 34 provided for receiving the wiper blade adapter 18 is disposed in the wiper blade adapter accommodating area. , Wiper blade device.
적어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막이 소자(14) 및 상기 와이퍼 립(16)이 다중 성분-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per bla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screen element (14) and the wiper lip (16) are manufactured in a multi-component injection molding method.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소자(10)가 보호 코팅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 코팅은 상기 캐리어 소자(10)를 손상 및/또는 부식으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wiper bla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rier element (10) has a protective coating, the protective coating being provid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carrier element (10) from damage and / or corrosion.
적어도 제 1 항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의 와이퍼 스트립 유닛(12). A wiper strip unit (12) of at least the wiper blade arrangement according to claim 1. 제 8 항에 있어서,
외부로 개방된 캐리어 소자 수용 영역(4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스트립 유닛.
The method of claim 8,
A wiper strip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outwardly open carrier element receiving region (42).
적어도 제 2 항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의 캐리어 소자(10).Carrier element (10) of at least the wiper blade arrangement according to claim 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의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18).The wiper blade adapter (18) of the wiper blad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 유닛(12)을 상기 캐리어 소자(10)의 조립 갭(20) 안으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A method for assembling a wiper blad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Inserting said wiper strip unit (12) into an assembly gap (20) of said carrier element (1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 유닛(12)을 삽입하기 전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18)를 상기 캐리어 소자(10)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 method for assembling a wiper bla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per blade adapter 18 is mounted to the carrier element 10 before the wiper strip unit 12 is inserted.
KR1020137011515A 2010-12-13 2011-11-08 Wiper blade device KR2013007398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62905.7 2010-12-13
DE102010062905A DE102010062905A1 (en) 2010-12-13 2010-12-13 Wiper blade device
PCT/EP2011/069629 WO2012079853A1 (en) 2010-12-13 2011-11-08 Wiper blad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981A true KR20130073981A (en) 2013-07-03

Family

ID=4492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515A KR20130073981A (en) 2010-12-13 2011-11-08 Wiper blade devic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651711A1 (en)
KR (1) KR20130073981A (en)
CN (1) CN103228498B (en)
BR (1) BR112013014555A2 (en)
DE (1) DE102010062905A1 (en)
WO (1) WO201207985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CA2843527C (en) 2011-07-28 2018-11-2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CA2865292C (en) 2012-02-24 2018-03-1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8723B4 (en) * 1997-04-28 2009-10-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oyota-shi Windshield wipers
DE19734843A1 (en) * 1997-08-12 1999-02-18 Bosch Gmbh Robert Wiper blade for windows of motor vehicles
US6119301A (en) * 1997-12-11 2000-09-19 Asmo Co., Ltd. Wiper device including cover
AU2001266054A1 (en) * 2000-06-28 2002-01-08 N V. Bekaert S.A. Reinforced wiper element
DE102004012867B4 (en) * 2004-03-16 2017-04-06 Volkswagen Ag Windscreen wiper for the windscreen wiper system on a vehicle
JP2007118621A (en) * 2004-06-18 2007-05-17 Mitsuba Corp Wiper device
CN2832607Y (en) * 2005-05-11 2006-11-01 黄椿庭 Soft keel rain wiper without supporting point
KR100699187B1 (en) * 2005-11-30 2007-03-23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Wiper blade
KR100733623B1 (en) * 2005-12-05 2007-06-29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Wiper blade
FR2894544B1 (en) * 2005-12-14 2009-07-03 Valeo Systemes Dessuyage WIPER BLADE COMPRISING A SUPPORT MOUNT, AN INTERNAL VERTEBRA AND A CONNECTING ELEMENT
TR200804768U (en) * 2006-04-21 2008-09-22 Teklas Kauçuk Sanayi̇ Ve Ti̇caret A.Ş. A profile for vehicle wipers.
CN201120880Y (en) * 2007-11-08 2008-09-2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Vehicle rain wi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28498B (en) 2016-06-01
EP2651711A1 (en) 2013-10-23
DE102010062905A1 (en) 2012-06-14
CN103228498A (en) 2013-07-31
BR112013014555A2 (en) 2016-09-20
WO2012079853A1 (en)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3981A (en) Wiper blade device
US7971312B2 (en) Connecting element for wiper
US20130326837A1 (en) Wiper blade and end cap
US7451520B2 (en) Wiper blade to clean windshields, in particular of automobiles
US20090172910A1 (en) Wiper blade
US20170334402A1 (en) Wiping device, in particular wip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pane
ES2702426T3 (en) Wiper blade adapter, particularly for a car wiper device
CN108357573B (en) Spoiler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11858475B2 (en) Windshield wiper blade
JP2009280201A (en) Wiper blade
WO2010121729A2 (en) Flat wiper blade
US20100275403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20090042785A (en) Wiper blade
KR101166494B1 (en) Endcap of wiper
US20160016554A1 (en) Top-lock wiper blade adapter
KR101498224B1 (en) Wiper blade device
US9630592B2 (en) Wiping device, in particular wip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pane
KR200427210Y1 (en) Protection moulding for vehicle
RU2587749C2 (en) Windscreen wiper
FR3007717A1 (en) WIPER BLADE BRUSH DEVICE AND WIPER BLADE EQUIPPED WITH SUCH A DEVICE
KR101469051B1 (en) Wiper blade unit
CN106256618B (en) Wiper blade device
US9604599B2 (en) Wiper blade device
CN104349951A (en) Windscreen wiper blade device
CN106347309B (en) Wiper blad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