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690A -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690A
KR20130073690A KR1020110141673A KR20110141673A KR20130073690A KR 20130073690 A KR20130073690 A KR 20130073690A KR 1020110141673 A KR1020110141673 A KR 1020110141673A KR 20110141673 A KR20110141673 A KR 20110141673A KR 20130073690 A KR20130073690 A KR 20130073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ress
coupling member
fastening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일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3690A/ko
Priority to US13/406,870 priority patent/US20130163178A1/en
Publication of KR20130073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11B25/04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using rotating disc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 및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장착을 위해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프레스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을 형성하며, 상기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상호 접촉부를 가지도록 이중으로 겹쳐지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Base assembly and driving device of recording dis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정보 저장 장치 중의 하나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는 자기 헤드를 사용하여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베이스는 자기 헤드를 디스크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헤드 구동부, 즉 HSA(Head Stack Assembly)가 설치되며, 상기 헤드 구동부에 의해 상기 자기 헤드는 디스크의 기록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부상한 상태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면서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제공되는 베이스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알루미늄(Al)을 다이캐스팅(Die-Casting) 한 후 중요형상에 대해서는 후가공으로 완성하는 방식으로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다이캐스팅(Die-Casting) 방식은 단조용 알루미늄(Al)을 용융 상태로 주입하여 형태를 만드는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고온 고압을 필요로 하여 많은 에너지가 공정에 요구되며, 공정시간도 증가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이캐스팅(Die-Casting) 금형의 수명 측면에서도 하나의 금형으로 많은 수의 베이스를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다이캐스팅(Die-Casting) 공정에 의한 베이스는 치수 정밀도가 좋지 않다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그래서, 다이캐스팅(Die-Casting) 공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프레스 공법을 이용하여 베이스를 제조하게 되었으나, 프레스 공법에 의하는 경우 판재를 가압하고 벤딩하는 공정에 의해 기본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프레스 공법에 의해 제조된 베이스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동을 위한 구성물을 체결하는 경우 체결부의 구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를 구현하더라도 상기 체결부에 의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내부가 완벽하게 실링되는데 영향이 없어야 한다.
또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동을 위한 구성물과의 체결을 위해 다수개의 체결부가 인접하여 형성되어야 하는 경우 프레스 공법에 의해 제조된 베이스에는 상기와 같은 다수개의 체결부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더하여, 체결부가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구성물과 베이스의 결합력이 약한 문제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체결부의 형상 변경은 실링을 위한 실링 테이프를 부착할 영역이 증가되어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하기의 선행문헌 1,2에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가 개시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0-24512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335084호
프레스 베이스와 결합부재의 결합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 및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장착을 위해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프레스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을 형성하며, 상기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상호 접촉부를 가지도록 이중으로 겹쳐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 베이스에는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실링부재가 삽입 장착되는 덴트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상호 접촉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부가 이중으로 겹쳐지도록 절곡되는 경우 절곡을 용이하게 하도록 노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노치는 단면이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부의 내경은 상기 삽입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장착을 위해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프레스 베이스를 구비하는 베이스 어셈블리와, 상기 프레스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 스텍 어셈블리 및 상기 헤드 스텍 어셈블리에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스 베이스에 설치되는 스핀들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을 형성하며, 상기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상호 접촉부를 가지도록 이중으로 겹쳐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를 통해 결합부재를 프레스 베이스에 결합시킴으로써 프레스 베이스와 결합부재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삽입부에 의해 실링 테이프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부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한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100)는 일예로서, 결합부재(120)와 프레스 베이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120)에는 체결부재(S)가 삽입되는 삽입홀(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120)가 프레스 베이스(14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S)는 나사일 수 있으며, 삽입홀(H)을 형성하는 결합부재(120)에는 체결부재(S)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120)는 브라켓 장치(160), 하측 요크(170), 램프(180)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재(120)가 브라켓 장치(160), 하측 요크(170), 램프(18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결합부재(120)는 프레스 베이스(140)에 고정 설치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스 베이스(140)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되며, 결합부재(120)의 장착을 위해 삽입홀(H)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부재(S)가 삽입되는 삽입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스 베이스(140)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200, 도 5 참조)에 있어서, 커버(210, 도 5 참조)와 함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구성하며, 디스크 배치부(144), 헤드 스텍 어셈블리 배치부(146) 및 브라켓 장치 배치부(148)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크 배치부(144), 헤드 스텍 어셈블리 배치부(146) 및 브라켓 장치 배치부(148)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기본적인 형상이 제조된 후, 추가 가공인 굴곡 또는 절개를 통해 최종적인 프레스 베이스(140)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스 베이스(140)는 종래의 알루미늄(Al)을 다이캐스팅(Die-Casting) 한 후 다이캐스팅에 의해 발생되는 버(Burr) 등을 제거하는 후가공 방식으로 생산되는 베이스와는 달리, 프레스 가공에 의해 한 번의 공정, 또는 한 번의 공정과 추가 가공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프레스 베이스(140)에 구비되는 디스크 배치부(144), 헤드 스텍 어셈블리(146) 및 브라켓 장치 배치부(148)는 냉간압연강판(SPCC, SPCE 등), 열간압연강판, 스테인리스 강 또는 로본 혹은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량 합금 강판을 프레스 금형에 배치하고 소정의 프레스 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스 베이스(140)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되므로, 공정시간 및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디스크 배치부(144)는 디스크(D)가 배치되는 부분으로 디스크(D)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크 배치부(144)는 프레스 베이스(140)의 일부 영역이 축방향 하측으로 만입되어 디스크(D)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헤드 스텍 어셈블리 배치부(146)는 디스크 배치부(144)에 인접 배치되어 헤드 스텍 어셈블리(HSA, 220, 도 5 참조)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또한, 브라켓 장치 배치부(148)는 헤드 스텍 어셈블리 배치부(146)에 인접 배치되며, 브라켓 장치(160)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한편, 삽입부(142)는 도 3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S)가 삽입되는 체결홀(142a)을 형성하며,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상호 접촉부(142b)를 가지도록 이중으로 겹쳐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142)에는 상호 접촉부(142b)의 상부에 배치되어 삽입부(142)가 이중으로 겹쳐지도록 절곡되는 경우 절곡을 용이하게 하도록 노치(142c)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노치(142c)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노치(142c)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일예로서 도 4의 변형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노치(142c)의 단면 형상을 삽입부(142)가 이중으로 겹쳐지도록 절곡되는 경우 절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142)의 내부면에는 체결부재(S)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삽입부(142)의 내경은 상기한 삽입홀(H)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S)의 체결시 삽입부(142)는 탄성 변형되어 체결부재(S)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재(120)와 프레스 베이스(14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중으로 겹쳐진 형상을 가진 삽입부(142)에 의해 삽입부(142)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142)의 영구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삽입부(142)의 내경을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결국, 삽입부(142)의 내경이 삽입홀(H)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체결부재(S)는 억지끼움에 의한 방식으로 삽입부(142)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120)와 프레스 베이스(14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프레스 베이스(140)에는 삽입부(142)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실링부재(190)가 삽입 장착되는 덴트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190)는 실링 테이프일 수 있으며, 상기한 덴트부(15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부(142)가 상호 접촉부(142b)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프레스 베이스(140)에 버링 가공으로 체결부재(S)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실링부재(190)의 접착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프레스 베이스(140)에 버링 가공으로 체결부재(S)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는 경우 버링 다이가 설치되는 공간이 프레스 베이스(140)에 형성되어야 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삽입부(142)는 상호 접촉부(142b)를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므로, 프레스 베이스(140)에 버링 다이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삽입부(142)가 형성되는 부분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결국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190)가 설치되는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190)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베이스 어셈블리(100)의 제조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중으로 겹쳐진 형상을 가진 삽입부(142)에 의해 삽입부(142)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142)의 영구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삽입부(142)의 내경을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결국, 삽입부(142)의 내경이 삽입홀(H)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체결부재(S)는 억지끼움에 의한 방식으로 삽입부(142)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120)와 프레스 베이스(14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삽입부(142)가 형성되는 부분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결국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190)가 설치되는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190)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베이스 어셈블리(100)의 제조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200)는 일예로서, 베이스 어셈블리(100), 헤드 스텍 어셈블리(HSA, 220), 스핀들 모터(230), 주회로기판(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어셈블리(100)는 일예로서, 결합부재(120)와 프레스 베이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5에는 베이스 어셈블리(100)에 구비되는 구성의 도면부호를 자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며, 자세한 도면부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결합부재(120)에는 체결부재(S)가 삽입되는 삽입홀(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120)가 프레스 베이스(14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S)는 나사일 수 있으며, 삽입홀(H)을 형성하는 결합부재(120)에는 체결부재(S)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120)는 브라켓 장치(160), 하측 요크(170), 램프(180)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재(120)가 브라켓 장치(160), 하측 요크(170), 램프(18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결합부재(120)는 프레스 베이스(140)에 고정 설치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스 베이스(140)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되며, 결합부재(120)의 장착을 위해 삽입홀(H)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부재(S)가 삽입되는 삽입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스 베이스(140)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200)에 있어서, 커버(210)와 함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구성하며, 디스크 배치부(144), 헤드 스텍 어셈블리 배치부(146) 및 브라켓 장치 배치부(148)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크 배치부(144), 헤드 스텍 어셈블리 배치부(146) 및 브라켓 장치 배치부(148)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기본적인 형상이 제조된 후, 추가 가공인 굴곡 또는 절개를 통해 최종적인 프레스 베이스(140)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스 베이스(140)는 종래의 알루미늄(Al)을 다이캐스팅(Die-Casting) 한 후 다이캐스팅에 의해 발생되는 버(Burr) 등을 제거하는 후가공 방식으로 생산되는 베이스와는 달리, 프레스 가공에 의해 한 번의 공정, 또는 한 번의 공정과 추가 가공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프레스 베이스(140)에 구비되는 디스크 배치부(144), 헤드 스텍 어셈블리(146) 및 브라켓 장치 배치부(148)는 냉간압연강판(SPCC, SPCE 등), 열간압연강판, 스테인리스 강 또는 로본 혹은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량 합금 강판을 프레스 금형에 배치하고 소정의 프레스 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스 베이스(140)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되므로, 공정시간 및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디스크 배치부(144)는 디스크(D)가 배치되는 부분으로 디스크(D)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크 배치부(144)는 프레스 베이스(140)의 일부 영역이 축방향 하측으로 만입되어 디스크(D)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헤드 스텍 어셈블리 배치부(146)는 디스크 배치부(144)에 인접 배치되어 헤드 스텍 어셈블리(HSA,220)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또한, 브라켓 장치 배치부(148)는 헤드 스텍 어셈블리 배치부(146)에 인접 배치되며, 브라켓 장치(160)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한편, 삽입부(142)는 체결부재(S)가 삽입되는 체결홀(142a)을 형성하며,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상호 접촉부(142b)를 가지도록 이중으로 겹쳐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142)에는 상호 접촉부(142b)의 상부에 배치되어 삽입부(142)가 이중으로 겹쳐지도록 절곡되는 경우 절곡을 용이하게 하도록 노치(142c)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노치(142c)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노치(142c)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일예로서 도 4의 변형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노치(142c)의 단면 형상을 삽입부(142)가 이중으로 겹쳐지도록 절곡되는 경우 절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142)의 내부면에는 체결부재(S)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삽입부(142)의 내경은 상기한 삽입홀(H)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S)의 체결시 삽입부(142)는 탄성 변형되어 체결부재(S)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재(120)와 프레스 베이스(14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중으로 겹쳐진 형상을 가진 삽입부(142)에 의해 삽입부(142)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142)의 영구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삽입부(142)의 내경을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결국, 삽입부(142)의 내경이 삽입홀(H)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체결부재(S)는 억지끼움에 의한 방식으로 삽입부(142)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120)와 프레스 베이스(14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프레스 베이스(140)에는 삽입부(142)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실링부재(190)가 삽입 장착되는 덴트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190)는 실링 테이프일 수 있으며, 상기한 덴트부(15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부(142)가 상호 접촉부(142b)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프레스 베이스(140)에 버링 가공으로 체결부재(S)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실링부재(190)의 접착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프레스 베이스(140)에 버링 가공으로 체결부재(S)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는 경우 버링 다이가 설치되는 공간이 프레스 베이스(140)에 형성되어야 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삽입부(142)는 상호 접촉부(142b)를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므로, 프레스 베이스(140)에 버링 다이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삽입부(142)가 형성되는 부분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결국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190)가 설치되는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190)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베이스 어셈블리(100)의 제조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헤드 스텍 어셈블리(220)는 자기 헤드를 탑재하고, 자기 헤드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켜 디스크(D)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디스크(D)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헤드 스텍 어셈블리(220)는 코일(250)과 상측 및 하측 마그네트(260,270)를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에 의해 자기 헤드를 디스크(D)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보이스 코일 모터(VCM)에 제공되는 코일(250)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는 상측 및 하측 마그네트(260,270)는 자속밀도의 증가 및 프레스 베이스(140)와의 고정을 위해 각각 상측 및 하측 요크(262,17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VCM)는 서보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며, 보이스 코일 모터(VCM)에 제공되는 코일(250)에 의해 입력되는 전류와 상기 상측 및 하측 마그네트(260,270)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른 방향으로 헤드 스텍 어셈블리(220)를 피벗축(15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헤드 스텍 어셈블리(220)의 작동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작동 개시 명령이 입력되어 디스크(D)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보이스 코일 모터(VCM)는 스윙암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자기 헤드를 디스크(D)의 기록면 위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작동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보이스 코일 모터(VCM)는 스윙암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자기 헤드가 디스크(D)를 벗어나도록 한다.
한편, 디스크(D)의 기록면을 벗어난 자기 헤드는 디스크(D)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램프(280)에 파킹된다.
여기서, 램프(180)는 자기 헤드를 파킹시키는 동시에, 자기 헤드가 디스크(D)로 이동하는 경우 소정 간격 이격되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디스크(D)의 데이터를 독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스텍 어셈블리(220)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스윙암을 회전시키도록 프레스 베이스(140)의 저면에 배치되는 주회로기판(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단자(124)를 구비하는 브라켓 장치(160)를 매개로 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브라켓 장치(160)에 의해 주회로기판(240)과 헤드 스텍 어셈블리(2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브라켓 장치(160)는 헤드 스텍 어셈블리(HSA, 220)의 일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헤드 스텍 어셈블리(220)를 프레스 베이스(140)의 저면에 배치되는 주회로기판(240)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스핀들 모터(230)는 디스크(D)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프레스 베이스(140)의 디스크 배치부(144) 중앙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D)는 스핀들 모터(230)에 장착되어 스핀들 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면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스핀들 모터(230)의 상단부에는 디스크(D)를 스핀들 모터(23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232)가 스크류(234)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스핀들 모터(230)에 하나의 디스크(D)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핀들 모터(230)에는 하나 이상의 디스크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핀들 모터(230)에 복수개의 디스크(D)가 장착되는 경우 복수개의 디스크(D) 사이에는 간격 유지를 위해 링 형상의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중으로 겹쳐진 형상을 가진 삽입부(142)에 의해 삽입부(142)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142)의 영구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삽입부(142)의 내경을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결국, 삽입부(142)의 내경이 삽입홀(H)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체결부재(S)는 억지끼움에 의한 방식으로 삽입부(142)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120)와 프레스 베이스(14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삽입부(142)가 형성되는 부분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결국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190)가 설치되는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190)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베이스 어셈블리(100)의 제조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베이스 어셈블리
120 : 결합부재
140 : 프레스 베이스
160 : 브라켓 장치
170 : 하측 요크
180 : 램프
200 :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210 : 커버
220 : 헤드 스텍 어셈블리
230 : 스핀들 모터
240 : 주회로기판

Claims (10)

  1.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 및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장착을 위해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프레스 베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을 형성하며, 상기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상호 접촉부를 가지도록 이중으로 겹쳐지게 형성되는 베이스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베이스에는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실링부재가 삽입 장착되는 덴트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상호 접촉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부가 이중으로 겹쳐지도록 절곡되는 경우 절곡을 용이하게 하도록 노치를 구비하는 베이스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단면이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경은 상기 삽입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가압하는 베이스 어셈블리.
  6.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장착을 위해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프레스 베이스를 구비하는 베이스 어셈블리;
    상기 프레스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 스텍 어셈블리; 및
    상기 헤드 스텍 어셈블리에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스 베이스에 설치되는 스핀들 모터;
    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을 형성하며, 상기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상호 접촉부를 가지도록 이중으로 겹쳐지게 형성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베이스에는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실링부재가 삽입 장착되는 덴트부가 형성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상호 접촉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부가 이중으로 겹쳐지도록 절곡되는 경우 절곡을 용이하게 하도록 노치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단면이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경은 상기 삽입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가압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KR1020110141673A 2011-12-23 2011-12-23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KR20130073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673A KR20130073690A (ko) 2011-12-23 2011-12-23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US13/406,870 US20130163178A1 (en) 2011-12-23 2012-02-28 Base assembly and recording disk driv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673A KR20130073690A (ko) 2011-12-23 2011-12-23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690A true KR20130073690A (ko) 2013-07-03

Family

ID=4865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673A KR20130073690A (ko) 2011-12-23 2011-12-23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163178A1 (ko)
KR (1) KR20130073690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6583A (en) * 1992-04-30 1996-11-19 Hitachi Metals, Ltd. Swing-type actuator
US5581422A (en) * 1993-02-09 1996-12-03 Hitachi Metals, Ltd. Actuator with moveable coil and recording apparatus
JPH103758A (ja) * 1996-06-14 1998-01-06 Fujitsu Ltd ディスク装置
KR19990008845A (ko) * 1997-07-04 1999-02-05 윤종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브이씨엠 댐퍼
US6702592B1 (en) * 1999-12-03 2004-03-09 Seagate Technology Llc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with secondary side rigid electrical pin to mate with compliant contact
US7609486B1 (en) * 2005-04-25 2009-10-27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including a post attached to a disk drive base and a cover for limiting rotation of an actuator
KR20100103922A (ko) * 2009-03-16 201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63178A1 (en)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6800A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용 베이스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101477331B1 (ko) 모터용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30048825A (ko) 모터용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30059587A (ko) 슈라우드 일체형 덮개 및 이를 구비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30073690A (ko)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KR20130073689A (ko)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KR20130059589A (ko) 모터용 베이스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101474104B1 (ko)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KR20130016559A (ko) 모터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30054695A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용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40039872A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용 베이스 플레이트, 그 제조방법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US8861128B2 (en) Base assembly and recording disk driving device having the same
KR20130072528A (ko) 모터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101320239B1 (ko) 모터용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US20150187391A1 (en) Base for hard disk drive and hard disk drive including the same
KR20130015889A (ko) 모터용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30032524A (ko) 모터용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50025849A (ko)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30045477A (ko) 모터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101218992B1 (ko) 모터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30059591A (ko) 모터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50004650A (ko)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30009073A (ko) 모터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30077861A (ko) 모터용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40077343A (ko)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