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2258A - 개선된 오디오 재생 방법 및 보청기 - Google Patents

개선된 오디오 재생 방법 및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2258A
KR20130072258A KR20137012290A KR20137012290A KR20130072258A KR 20130072258 A KR20130072258 A KR 20130072258A KR 20137012290 A KR20137012290 A KR 20137012290A KR 20137012290 A KR20137012290 A KR 20137012290A KR 20130072258 A KR20130072258 A KR 20130072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voice
input signal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1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5379B1 (ko
Inventor
요르겐 쎄더버그
헤닝 호가드 안데르센
메테 달 메인케
안드리아스 브린치 니엘슨
Original Assignee
비덱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덱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비덱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30072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translation techniques
    • H04R25/353Frequency, e.g. frequency shift or compres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93Discriminating between voiced and unvoiced parts of speech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주파수 이동기(frequency shifter)(20)를 포함하는 보청기는 입력 신호에서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22)을 가진다. 주파수 이동기(20)는 검출된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의 고정 관계의 존재에 기반하여, 입력 신호의 제 1 주파수 범위를 입력 신호의 제 2 주파수 범위로 전위한다(transpose).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 간의 고정 관계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34, 35, 36)은 주파수 전위기(2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유성음 음성 및 무성음 음성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음성 검출기(26)는 음성 포먼트를 보존하기 위해서, 유성음 음성 신호들의 전위를 억제하려고 제공된다. 보청기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주파수 대역을 전위하는 것의 목적은, 신호의 원래의 포락선, 고조파 코히어런스, 및 음성 양해도를 유지하면서, 보청기 사용자가 들을 수 없는 주파수를 들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보청기에서 입력 신호의 주파수 범위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선된 오디오 재생 방법 및 보청기 {HEARING AID AND A METHOD OF IMPROVED AUDIO REPRODUCTION}
본 출원은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좀 더 구체적으로, 청각 장애 사용자가 지각할 수 있는 한계 범위를 넘어서는 다른 주파수에서 소리를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보청기에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퇴화된 청각을 가진 개인들은 생활에 있어서 여러 가지로 불편하거나 불리하다. 그러나, 잔여 지각이 존재한다면, 그들은 보청기, 즉 청각 장애(hearing deficiency)를 만회하기 위해 주변 소리를 적절히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의 사용이 유용할 것이다. 보통, 청각 장애는 다양한 주파수들에서 만들어질(established) 것이고, 보청기는 그러한 주파수들에 따라 청각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주파수의 함수로서 선택적인 증폭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것이다.
보청기는 청각 장애인의 귀 뒤에 또는 귀 안에 착용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 오디오 프로세서, 음향 출력 변환기를 포함하는 배터리로 작동되는 소형의 장치로서 규정된다. 사용자의 청각 손실 측정으로부터 계산된 처방전에 따른 보청기 피팅에 의해서, 보청기는 특정 주파수 대역들을 증폭하여 그 주파수 대역들 내의 청각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정확하고 유연한 증폭을 제공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최신 보청기들은 디지털 종(variety)에 해당한다. 디지털 보청기는 처방전에 따라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음향 출력 변환기를 구동하기에 적합한 전기적 신호로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그러나, 고 주파수에서 매우 심각한 청각 손실을 가진 자들은 그러한 주파수 증폭으로 인하여 음성 지각에 있어서 어떠한 개선도 얻지 못한다. 청력은 고 주파수에서는 급격하게 감소하는 반면에 저 주파수에서는 거의 정상에 근접할 수 있다. 이러한 급추형 청력 손실(steeply sloping hearing losses)은 청력도에서 그러한 손실을 나타내기 위한 매우 특징적인 커브로 인해서 스키 슬로프 청력 손실(ski-slope hearing loss)로서도 지칭된다. 급추형 청력 손실은 감각 신경성 유형이고, 이는 달팽이관 내의 손상된 생모 세포에 따른 결과이다.
(통상적으로 2-8 kHz 이상의) 더 높은 주파수에서 음향 지각이 없는 자들은 음성 지각뿐만 아니라,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른 유용한 소리의 지각에 있어서도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종류의 소리는 알람 소리, 초인종, 전화 벨, 또는 새소리일 수 있고, 또는 특정 교통 음이거나 즉각적인 주의를 요청하는 기계로부터의 소리 변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의 베어링으로부터 나는 독특한 삐걱 소리는 정상 청력을 가진 자의 주의를 끌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장 또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베어링을 고정하거나 교체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가장 최신의 보청기 성능을 넘어서는, 심각한 고 주파수 청력 손실을 가진 자는 보청기가 있더라도, 그 소리 내의 주요 주파수 성분이 인간의 유효 청각 범위를 벗어나서 있기 때문에, 이 소리를 완전히 알아채지 못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고 주파수 정보가 상위(upper) 주파수 내의 음향 에너지를 지각할 수 없는 자에게 대안적인 방법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 대안적인 방법은 선택된 주파수들의 범위 또는 대역을, 청각 손실이 있는 자가 감지할 수 없는 주파수 스펙트럼의 부분으로부터, 동일인이 적어도 일부 청각 능력이 여전히 남아 있는 주파수 스펙트럼의 다른 부분으로 전위하는(transposing) 것을 수반한다.
WO-A1-2007/000161은 보청기 사용자가 지각할 수 있는 가청 주파수(audio frequency) 범위의 밖에서 발생하는 주파수를 재현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보청기를 제공한다. 소스 대역(source band)으로 표시되는, 감지할 수 없는 주파수 범위가 선택되고, 적절한 대역 제한 이후에, 타겟 대역(target band)으로 표시되는, 보청기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범위로 주파수 전위되어, 거기에서 신호의 비전위 부분과 믹싱된다. 주파수 이동(frequency shift)을 선택함에 있어서, 장치는 소스 대역 내의 우세 주파수(dominant frequency) 및 타겟 대역 내의 우세 주파수를 검출 및 추적하도록 구성되고, 소스 대역 내의 전위된 우세 주파수가 타겟 대역 내의 우세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얼마나 소스 대역이 전위되어야 하는지, 보다 더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서 이러한 주파수들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추적은 바람직하게는, 적응 가능한 노치 필터(an adaptable notch filter)에 의해서 수행되고, 여기에서 적응은 노치 필터의 출력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소스 대역의 우세 주파수를 향해 노치 필터의 중심 주파수를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것은 노치 필터의 중심 주파수가 우세 주파수에 일치할 때의 경우일 것이다.
타겟 주파수 대역은 보통 소스 주파수 대역보다 더 낮은 주파수를 포함하는데, 이것이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소스 대역 내의 우세 주파수 및 타겟 대역 내의 우세 주파수는 둘 다 동일한 기본 주파수를 갖는 고조파로 추정된다. 전위(transposition)는 소스 대역 내의 우세 주파수 및 타겟 대역 내의 우세 주파수가 항상 상호 고정 정수 배의 관계를 갖는다는 가정, 예를 들어 만약 소스 대역 내의 우세 주파수가 타겟 대역에 대응하는 우세 주파수보다 한 옥타브 위인 경우, 그 고정 정수 관계는 2가 되는 것과 같은 가정에 기반한다. 따라서, 만약 소스 대역이 주파수에 있어서 적절한 거리만큼 하향 전위되면, 전이된 우세 소스 주파수는 한 옥타브 아래의 주파수에서 타겟 대역 내의 대응하는 주파수에 일치할 것이다. 발명자는 일부 경우에, 이 가정이 불완전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기본 주파수와 다수의 고조파 주파수로 구성된 자연적으로 발생한 소리를 고려하자. 이 소리는 예컨대, 누군가의 말하는 음성 또는 새 소리와 같은 일부 자연 현상 또는 악기로부터 비롯할 수 있다. 제 1의 경우는, 소스 대역 내의 우세 주파수가 기본 주파수의 짝수 고조파가 될 수 있고, 즉 고조파의 주파수가 기본 주파수에 짝수를 곱한 것에 의해서 획득될 수 있다. 제 2의 경우는, 우세 고조파 주파수가 기본 주파수의 홀수 고조파가 될 수 있고, 즉 고조파의 주파수가 기본 주파수에 홀수를 곱한 것에 의하여 획득될 수 있다.
만약 소스 주파수 대역 내의 우세 고조파 주파수가 타겟 대역 내의 기본 주파수의 짝수 고조파라면, 상기 언급된 종래 기술의 전위기(transposer) 알고리즘은, 전위된 우세 고조파 주파수를 타겟 주파수 대역 내의 또 다른 고조파 주파수에 일치시키는 방식으로, 소스 주파수 대역을 항상 전위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소스 주파수 대역 내의 우세 고조 주파수가 기본 주파수의 홀수 고조파라면, 우세 소스 주파수는 더 이상 타겟 대역 내에 존재하는 어떤 주파수와도 상호 고정 정수 관계를 공유하지 않으므로, 전위된 소스 주파수 대역은 타겟 주파수 대역 내의 대응하는 고조파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전위된 소스 대역 및 타겟 대역이 결합된 소리의 결과는, 타겟 대역 및 전이된 소스 대역의 소리 간의 인식가능한 관계가 결합된 소리에서 더 이상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청취자에게 혼란감 및 불쾌감으로 나타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전위기 알고리즘의 또 다른 고유한 문제는 신호를 전위할 때 음성의 존재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만약 유성음-음성 신호(voiced-speech signals)가 종래 기술의 알고리즘에 따라 전위된다면, 음성 신호에 존재하는 포먼트(formants)는 신호의 나머지와 함께 전위될 것이다. 이것은 양해도(intelligibility)의 심각한 손실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는 포먼트 주파수가 인간의 두뇌에 있는 음성 이해 과정에 대해 중요한 핵심 특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파열음이나 마찰음 같은 무성음-음성 신호(unvoiced-speech signals)는, 특히 무성음-음성 신호의 주파수가 청각 장애인 사용자의 지각 가능한 주파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실제로 전위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보청기가 고안되고, 상기 보청기는 신호 프로세서를 가지며, 이 신호 프로세서는 입력 신호를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기 위한 수단,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제 1 특성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는 제 1 주파수 검출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제 2 특성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는 제 2 주파수 검출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 안에 속하는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주파수 간격을 두고 이동(shift)시키기 위한 수단, 제 1 주파수 검출기 및 제 2 주파수 검출기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진기, 제 2 주파수 대역 범위 안에 속하는 주파수-이동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발진기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제 1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와 곱하는 수단,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 주파수-이동된 신호를 겹치게 하기(superimposing) 위한 수단, 및 주파수-이동된 신호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결합 신호를 출력 변환기에 나타내기 위한 수단,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 간의 고정 관계를 결정하는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오디오 신호 전위시에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 간의 관계를 고려함으로써, 더 높은 성능으로(a higher fidelity of) 프로세싱된 신호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보청기 내에서 가청 주파수들을 전위하는 방법에 관여한 것이다. 본 방법은 입력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입력 신호 내의 제 1 우세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 입력 신호 내의 제 2 우세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 입력 신호의 제 1 주파수 범위를 입력 신호의 제 2 주파수 범위로 이동하는 단계, 입력 신호의 주파수-이동된 제 1 주파수 범위를 입력 신호로부터 구해진 파라미터 집합에 따라 입력 신호의 제 2 주파수 범위에 겹치게 하는 단계를 수반하고, 여기에서 제 1 우세 주파수 및 제 2 우세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는 제 1 우세 주파수 및 제 2 우세 주파수 간의 고정 관계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주파수 범위를 이동하는 단계는 제 1 우세 주파수 및 제 2 우세 주파수 간의 고정 관계에 의해 제어된다.
보청기 신호들의 전위를 제어하기 위해 제 1 검출된 주파수 및 제 2 검출된 주파수 간의 고정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좀 더 이해가능한 전위된 신호의 재생이 획득된다.
도 1은 보청기에 대한 종래 기술의 주파수 전위기의 블록 도식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주파수 전위기 동작을 도시하는 주파수 그래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신호 전위의 문제를 도시하는 주파수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조파 주파수 추적기를 포함하는 주파수 전위기의 블록 도식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되기 위한 음성 검출기의 블록 도식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기 위한 복합 변조 믹서의 블록 도식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조파 주파수 추적기의 블록 도식이다.
도 8은 고조파 주파수를 추적하여 신호를 전위하는 것을 도시하는 주파수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전위기를 포함하는 보청기의 블록 도식이다.
추가적인 특징 및 실시예가 종속항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보청기에 대한 종래 기술의 주파수 전위기(1)의 블록 도식을 도시한다. 주파수 전위기는 노치 분석 블록(2), 발진기 블록(3), 믹서(4) 및 대역 통과 필터 블록(5)을 포함한다. 입력 신호는 노치 분석 블록(2)의 입력으로 제시된다. 입력 신호는 재현되어 변경되지 않는 저-주파수 부분 및 전위되는 고-주파수 부분 모두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이다.
노치 분석 블록(2)에서는, 입력 신호에서 나타나는 우세 주파수가 검출되고 분석되며, 분석 결과는 발진기 블록(3)을 제어하기 위해 적합한 주파수 값이 된다. 발진기 블록(3)은 노치 분석 블록(2)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를 가진 연속적인 사인 파동을 생성하고, 이 사인 파동은 믹서(4)에 대한 변조 신호로서 사용된다. 입력 신호가 캐리어 신호로서 믹서(4)의 입력으로 제시될 때, 상측파대(upper sideband) 및 하측파대(lower sideband)가 믹서(4)에서 발진기 블록(3)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변조되어 입력 신호로부터 생성된다.
상측파대는 대역 통과 필터 블록(5)에 의해 필터링된다. 타겟 주파수 대역에 부가되기 위해 준비되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전위된 버전을 포함하는 하측파대는, 필터(5)를 통과해서 주파수 전위기(1)의 출력으로 간다. 주파수 전위기(1)로부터의 주파수-전위된 출력 신호는 주파수-전위된 출력 신호의 전반적인 레벨과 입력 신호의 저-주파수 부분의 레벨을 신중하게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적절히 증폭되고(증폭수단은 미도시), 따라서 입력 신호의 전이된 고-주파수 부분 및 입력 신호의 저-주파수 부분 둘 다 보청기 사용자가 들을 수 있게 한다.
도 2에서 주파수 전위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도시하기 위해 일련의 고조파 주파수, 제 1 고조파, 제 2 고조파, 제 3 고조파 등, 제 22 고조파까지 포함하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도시된다. 명확성을 위해, 고조파 시리즈에 대응하는 신호의 기본 주파수는 도 2에 도시되지 않는다. 2 kHz 보다 위의 모든 주파수들을 지각할 수 없게 되는 청각 손실을 갖는 잠재적인 보청기 사용자를 고려하자. 이러한 사람은 신호의 일부분, 예를 들어, 2 kHz와 4 kHz 사이의 주파수의 선택된 대역이, 각각 1 kHz 및 2 kHz의 주파수들로 한정된 주파수 대역 내에 포함되도록 주파수가 하향 전위되게 하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고, 이는 원래 보청기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최고의 주파수를 넘어서는 신호들을 지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것은 전위기에 대해 소스 대역으로 규정되는 제 1 구역(SB), 및 전위기에 대해 타겟 대역으로 규정되는 제 2 구역(TB)에 의해서 도 2에 도시된다. 도 2에서, 소스 주파수 대역(SB)은 2 kHz 폭이고 타겟 주파수 대역(TB)은 1 kHz 폭이다. 전위기 알고리즘이 전위된 주파수 대역을 정확하게 맵핑하기 위해서, 타겟 대역 상에 겹쳐 놓기 전에 1 kHz의 폭으로 대역을 제한한다. 이것은 전위를 위해 소스 대역으로부터 우세 주파수 주위의 1 kHz의 대역을 프레임화하는, "주파수 창"으로서 생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제 11 고조파 주파수 및 제 12 고조파 주파수는 사람의 한계 상위 주파수보다 높지만 소스 대역 주파수 제한 내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조파 주파수들은, 예시에서 보청기 사용자에 의해 지각되기 위해 소스 대역으로 주파수 하향 전위되도록 주파수 대역을 제어하기 위한 우세 주파수의 후보가 된다.
종래 기술의 전위기는 소스 대역(SB)을 적절한 대역 통과 필터링에 의해 대역제한하고, 전위 프로세스에 의해 소스 대역 내의 신호가 맵핑되는 타겟 대역 내의 타겟 주파수를 계산함에 의해서, 입력 신호의 대역 제한 부분을 타겟 대역으로 하향 전위한다. 타겟 주파수는 소스 대역 내의 우세 주파수를 추적하는 것과 우세 주파수에 대한 고정 팩터(fixed factor)에 의해 이 우세 주파수 근처의 1kHz 주파수 대역을 하향 전위하는 것에 의해서 계산된다. 즉, 만약 고정 팩터가 2이고 소스 대역 내에서 추적된 우세 주파수가, 예를 들어, 3200 Hz라면, 전위된 신호는 1600 Hz 주파수 근처에서 맵핑될 것이다. 전위된 신호는 그 이후에 타겟 대역 내에 이미 존재하는 신호 상으로 겹쳐지게 될 것이고, 결과적인 신호는 조절되어 보청기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입력 신호의 소스 주파수 대역(SB)의 전위는 소스 주파수 대역 신호에 미리 계산된 사인파 함수를 곱함으로써 수행되고, 그 주파수는 전술한 방식으로 계산된다. 대부분의 자연적인 소리의 경우, 소스 대역 내의 추적된 주파수는 주파수 스펙트럼의 더 낮은 부분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기본 주파수에 속하는 고조파 주파수가 될 것이다. 따라서, 검출된 주파수에 관해 하나 또는 두 옥타브만큼 소스 주파수 대역 신호를 하향 전이하는 것은, 이상적으로는 상기 청각 손실 주파수 제한 아래에 대응하는 고조파 주파수에 일치하도록 만들 것이고, 이는 신호의 비전위 부분과 쾌적하고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블렌딩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소스 대역 신호를 전위하기 이전에, 소스 대역(SB) 내의 추적된 고조파 주파수와 타겟 대역(TB) 내의 대응하는 고조파 주파수 간의 정확한 고조파 관계를 보장하기 위해 주의가 취해지지 않는다면, 전위된 신호는, 전위된 소스 대역으로부터의 우세 고조파 주파수가 대응하는 타겟 대역 내의 고조파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고, 그것으로부터의 일부 거리에 있는 주파수에서 끝나는 방식으로, 뜻하지 않게 전이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불쾌한 소리의 경험을 겪게 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인데, 이는 소스 대역로부터의 전위된 고조파 주파수 및 대응하는, 이미 타겟 대역 내에 나타난 비전위 고조파 주파수가 제어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이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의 스펙트럼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일련의 고조파 주파수들과 유사하게, 종래 기술에 따른 보청기 입력 신호의 일련의 고조파 주파수들이 도시된다. 전위기 알고리즘은 소스 대역(SB)을 타겟 대역(TB)에 일치시키기 위해 한 옥타브 하향 전위하도록 구성된다. 소스 대역(SB) 내에서, 제 11 고조파 주파수 및 제 12 고조파 주파수는 동일한 레벨을 가지며, 따라서 그것들은 소스 대역 신호 부분을 타겟 대역으로 하향 전위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전위 알고리즘에 의해서 거의 동등하게 검출되고 추적될 수 있다. 만약 종래 기술의 전위 알고리즘이 전위를 위하여 사용되는 소스 주파수로서 제 11 고조파 주파수 및 제 12 고조파 주파수 사이에서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허용된다면, 어떤 경우에는 뜻하지 않게 제 12 고조파 주파수 대신 제 11 고조파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서 제 11 고조파는 대략 2825 Hz의 주파수를 갖고, 그것을 TD1의 거리만큼 그 주파수의 절반으로 하향 전위하는 것으로, 대략 1412.5 Hz에 그것을 맵핑하고, 이는 전위된 소리가 청취자에게 불쾌하고 심지어 이해할 수 없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만약 2980 Hz의 주파수를 갖는 제 12 고조파 주파수가 전위를 위한 기초로서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되었다면, 전위된 제 12 고조파 주파수는 타겟 대역 내의 한 옥타브 아래인 1490 Hz에서 완벽하게 제 6 고조파 주파수와 일치하게 될 것이고, 결과적인 소리는 청취자에게 좀 더 편안하고 친화적일 것이다. 보청기 내에서 소리를 전위할 때 이러한 불확실성의 불편함이 본 발명에 의해 경감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에 대한 주파수 전위기(20)의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된다. 주파수 전위기(20)는 입력 선택기(21), 주파수 추적기(22), 제 1 믹서(23), 제 2 믹서(24), 및 출력 선택기(25)를 포함한다. 또한 음성 검출기(26) 및 음성 인핸서(enhancer) 블록(27)이 도 4에 도시된다. 입력 신호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 중 어떤 부분이 주파수-전위될 것인지 결정하는 입력 선택기(21)에 제시되고, 신호의 비전위 부분을 신호의 주파수-전위된 부분에 부가하는 출력 선택기(25)에 제시된다. 주파수 전위기(20)는 독립적으로 소스 신호의 두 개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전위할 수 있고, 그러한 주파수 대역을 두 개의 상이한 타겟 대역 상에 독립적이고 동시적으로 맵핑한다. 이러한 특징은 보청기의 피팅 동안 전위기 주파수의 대역 제한에 있어서 더 유연한 셋업을 허용하고, 하나 이상의 소스 대역이 제공됨에 따라 좀 더 유연한 주파수 전위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입력 선택기(21)는 또한 입력 신호의 부분들이 전위되지 않도록 적절한 필터링을 제공한다.
입력 신호를 더 많은 수의 소스 부분 및 타겟 부분으로 분할하기 위해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는 동일한 원리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유성음-음성(Voiced-speech) 신호는, 전위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많은 다른 소리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본 주파수 및 다수의 대응하는 고조파 주파수를 포함한다. 그러나, 만약 유성음-음성 신호가 유성음 음성에 나타난 포먼트 주파수들로 인하여 전위된다면, 유성음-음성 신호는 양해도 저하를 겪게 될 수 있다. 포먼트 주파수들은 음성 내의 상이한 모음들 간의 인식 및 구별과 연관된 인지 프로세스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만약 포먼트 주파수가 주파수 스펙트럼 내에서 그들의 자연적인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게 된다면, 또 다른 것으로부터 하나의 모음을 인식하는 것은 더 어렵게 된다. 반면에, 무성음-음성(Unvoiced-speech) 신호는, 전위로부터 실제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음성 검출기(26)는 음성 신호의 존재를 검출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무성음-음성 신호를 전위하고 유성음-음성 신호를 비전위 상태로 남겨두는 방식으로 유성음과 무성음 음성 신호를 분리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이 목적을 위해, 음성 검출기(26)는 입력 선택기(21)를 위한 세 개의 제어 신호, 즉, 입력 신호 내의 음성 신호의 존재 확률의 측정을 나타내는 유성음-음성 확률 신호(VS), 입력 신호에서 음성의 존재를 표시하는 음성 플래그 신호(SF), 및 입력 신호에서 무성음 음성의 존재를 표시하는 무성음-음성 플래그(USF)를 생성한다. 음성 검출기는 또한 음성 인핸서(27)을 위한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음성 검출기(26)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입력 신호로부터, 입력 선택기(21)는 6개의 상이한 신호들을 생성한다: 제 1 소스 대역 제어 신호(SC1), 제 2 소스 대역 제어 신호(SC2), 제 1 타겟 대역 제어 신호(TC1), 및 제 2 타겟 대역 제어 신호(TC2)는 이들 모두 주파수 추적기(22)를 위해 의도되는 것이고, 제 1 믹서(23)를 위해 의도되는 제 1 소스 대역 직접 신호(SD1), 제 2 믹서(24)를 위해 의도되는 제 2 소스 대역 직접 신호(SD2)가 있다. 내부적으로, 주파수 추적기(22)는 제 1 소스 대역 주파수, 제 2 소스 대역 주파수, 제 1 타겟 대역 주파수 및 제 2 타겟 대역 주파수를 각각 제 1 소스 대역 제어 신호(SC1), 제 2 소스 대역 제어 신호(SC2), 제 1 타겟 대역 제어 신호(TC1), 및 제 2 타겟 대역 제어 신호(TC2)로부터 결정한다. 소스 대역 주파수 및 타겟 대역 주파수가 알려질 때, 소스 주파수 및 타겟 주파수의 관계가 주파수 추적기(22)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제 1 소스 대역 주파수 및 제 2 소스 대역 주파수는 제 1 캐리어 신호(C1) 및 제 2 캐리어 신호(C2)를 각각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는 각각 제 1 믹서(23) 내에서 제 1 소스 대역 직접 신호와 믹싱하고 제 2 믹서(24) 내에서 제 2 소스 대역 직접 신호와 믹싱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각각 제 1 주파수-전위 신호(FT1) 및 제 2 주파수-전위 신호(FT2)를 생성하기 위함이다. 제 1 직접 신호(SD1) 및 제 2 직접 신호(SD2)는 전위될 신호의 대역-제한 부분이다.
음성 검출기(26)로부터의 유성음-음성 확률 신호(VS)의 레벨로써 표시되듯이, 유성음-음성 신호가 입력 신호에 나타나는 경우, 입력 신호는 전위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입력 선택기(21)는 유성음-음성 신호가 검출되는 한 제 1 소스 대역 직접 신호(SD1) 및 제 2 소스 대역 직접 신호(SD2)의 레벨을 대략 12 dB 만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고, 만일 유성음-음성 확률 신호(VS)가 미리 결정된 레벨 밑으로 떨어지거나 음성 플래그(SF)가 논리 신호 LOW로 된다면 제 1 소스 대역 직접 신호(SD1) 및 제 2 소스 대역 직접 신호(SD2)의 레벨을 되돌리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입력 신호에서 유성음이 검출될 때마다 전위기(20)로부터 출력 신호 레벨을 감소시킬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메커니즘은 전위된 신호 및 비전위 신호의 레벨들 사이에 균형을 제어하기 위해 의도된 것임을 주목해야 한다.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 중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적용될 적절한 증폭이 신호 프로세싱 체인의 후속 스테이지에서 결정된다.
전술한 방법으로 음성 검출기(26)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들(VS, USF 및 SF)을 이용하기 위해서, 입력 선택기(21)는 이하의 방식으로 동작한다: 음성 플래그(SF)가 논리 신호 HIGH 일 때마다, 그것은 유성음 또는 무성음의 음성 신호가 전위될 입력 신호에 존재한다는 것을 입력 선택기(21)에게 나타낸다. 그러면, 입력 선택기는 입력 신호에 나타나는 유성음 음성의 양을 결정하기 위하여 유성음 음성 확률 레벨 신호(VS)를 사용한다.
유성음 음성 확률 레벨(VS)이 미리 결정된 제한을 초과할 때마다, 제 1 소스 대역 직접 신호(SD1) 및 제 2 소스 대역 직접 신호(SD2)의 진폭들은 대응하여 감소되고, 따라서 그에 부응하여, 출력 선택기(25)로 제시되는 제 1 믹서(23)로부터의 변조된 신호(FT1) 및 제 2 믹서(24)로부터의 변조된 신호(FT2)의 신호 레벨들이 감소한다. 최종 결론은, 유성음 음성 신호가 입력 신호에 나타날 때마다 신호의 전위된 부분이 억제되고, 그로 인해 유성음 음성 신호를 주파수 전위기(20)에 의해 전위되는 것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배제한다는 것이다.
음성 검출기(26)로부터의 무성음-음성 플래그(USF)로써 표시되는 바와 같이, 무성음-음성 신호가 입력 신호에 나타나는 경우, 입력 신호는 전위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입력 선택기(21)는 무성음-음성 신호의 지속기간 동안 무성음-음성 신호를 인핸스(enhance)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양만큼 전위된 신호의 레벨을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입력 신호의 레벨 증가(increment)의 미리 결정된 양은 청력 손실에 의존하는 특정 정도(degree)가 되므로, 보청기의 피팅 동안 적합한 레벨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위기(20)는 무성음-음성 신호를 인지하는데 있어서 보청기 사용자에게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전위를 수행할 때 잔여(residual) 신호를 피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전위기 내의 믹서들(23, 24)은 바람직하게는 복합 믹서로서 구현된다. 복합 믹서는 일반적인 공식 y = xre·cos(
Figure pct00001
) + xim·sin(
Figure pct00002
) 을 갖는 복소 캐리어 함수 y를 이용한다. 여기에서 xre는 복소 캐리어 함수의 실수부이고, xim은 복소 캐리어 함수의 허수부이며,
Figure pct00003
는 주파수 추적기로부터의 신호(WM)의 위상각(라디안 단위)이다. 믹싱을 위해 복소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전위된 신호의 상측파대는 프로세스 내에서 제거되고, 따라서 후속적인 필터링 또는 잔여물 제거를 위한 필요가 사라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실제(real)의 믹서 또는 변조기가 전위기 내에서 사용된다. 실제 믹서로 변조된 신호는 상측파대 및 하측파대를 생성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 실시예에서, 상측파대는 기저대역 신호에 전위된 신호를 부가하기 이전에 필터에 의해 제거된다. 부가적인 필터를 가짐으로써 추가적인 복잡도가 나타나는 것 이외에도, 이 방법은 신호의 전위된 부분 내에 에일리어싱 잔여물을 필연적으로 남긴다. 이 실시예는 따라서 현재 덜 선호된다.
제 1 주파수-전위된 신호(FT1)는 한 옥타브만큼, 즉 2 팩터(a factor of 2)만큼 하향 전위된 제 1 소스 대역 내의 신호로서, 제 1 주파수-전위된 신호(FT1)를 제 1 타겟 주파수 대역 내의 대응하는 신호와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 2 주파수-전위된 신호(FT2)는 3 팩터만큼 하향 전위된 제 2 소스 대역 내의 신호로서, 제 2 주파수-전위된 신호(FT2)를 제 2 타겟 주파수 대역 내의 대응하는 신호와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특징은 두 개의 상이한 소스 주파수 대역들이 동시적으로 전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제 1 타겟 대역 및 제 2 타겟 대역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소스 대역 직접 신호(SD1)와 주파수 추적기(22)로부터의 제 1 출력 신호(C1)를 제 1 믹서(23)에서 믹싱함으로써, 제 1 주파수-전위된 타겟 대역 신호(FT1)가 출력 선택기(25)를 위해 생성되고, 제 2 소스 대역 직접 신호(SD2)와 주파수 추적기(22)로부터의 제 2 출력 신호(C2)를 제 2 믹서(24)에서 믹싱함으로써, 제 2 주파수-전위된 타겟 대역 신호(FT2)가 출력 선택기(25)를 위해 생성된다. 출력 선택기(25)에서, 두 개의 주파수-전위된 신호들(FT1 및 FT2)은 각각 비전위 신호 부분의 레벨과 전위된 신호 부분의 레벨 간의 적절한 균형의 확립을 위해 적절한 레벨에서 입력 신호의 비전위 부분과 블렌딩된다.
도 5에서는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음성 검출기(26)의 블록 도식이 도시된다. 음성 검출기(26)는 입력 신호로부터 유성음 및 무성음 음성 신호를 검출하고 식별(discriminating)할 수 있고, 음성 검출기(26)는 유성음-음성 검출기(81), 무성음-음성 검출기(82), 무성음-음성 식별기(96), 유성음-음성 식별기(97), 및 OR 게이트(98)를 포함한다. 유성음-음성 검출기(81)는 음성 포락선 필터 블록(speech envelope filter block)(83), 포락선 대역 통과 필터 블록(84), 주파수 상관관계 계산 블록(85), 특성 주파수 룩업 테이블(86), 음성 주파수 카운트 블록(87), 유성음-음성 주파수 검출 블록(88), 및 유성음-음성 확률 블록(89)을 포함한다. 무성음-음성 검출기(82)는 저 레벨 잡음 식별기(91), 영점 교차 검출기(92), 영점 교차 카운터(93), 영점 교차 평균 카운터(94) 및 비교기(95)를 포함한다.
음성 검출기(26)는 입력 신호 내에서 유성음 및 무성음인, 음성의 특성 및 존재를 결정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 정보는 음성 인핸스의 수행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으며, 또는 이 경우, 입력 신호 내의 유성음 음성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음성 검출기(26)로 입력되는 신호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로부터 대역 분할된 신호이다. 음성 검출기(26)는 유성음 및 무성음 음성을 각각 검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차례차례 각각의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한다.
유성음 음성 신호들은 대략 75 Hz부터 약 285 Hz의 범위를 갖는 특성 포락선 주파수(characteristic envelope frequency)를 가진다. 따라서 주파수 대역 분할된 입력 신호에서 유성음-음성 신호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신뢰할만한 방법은, 개별적인 주파수 대역 내의 입력 신호를 분석하는 것이고, 이는 모든 연관 주파수 대역 내의 동일한 포락선 주파수의 존재, 또는 두 배의 포락선 주파수의 존재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이것은 입력 신호로부터 포락선 주파수 신호를 격리하는 것, 다른 소리로부터 음성 주파수를 격리하기 위하여 포락선 신호를 대역 통과 필터링하는 것, 예컨대 대역 통과 필터링된 포락선 신호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대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 내의 특성 포락선 주파수를 검출하는 것, 상관관계 분석에 의해 파생된, 검출된 특성 포락선 주파수들을 축적하는 것, 및 분석된 신호 내의 유성음 음성의 존재 확률 측정을 입력 신호로부터 파생된 이러한 팩터들로부터 계산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특성 포락선 주파수의 검출을 위한 목적으로, 주파수 상관관계 계산 블록(85)에 의해서 수행되는 상관관계 분석은 자기 상관 분석이고,
Figure pct00004
에 의해 근사된다.
여기에서 k는 검출될 특성 주파수이고, n은 샘플이고, N은 상관계수 창에 의해 사용되는 샘플의 개수이다. 상관관계 분석에 의해 검출 가능한 최고 주파수는 시스템의 샘플링 주파수
Figure pct00005
로 정의되고, 검출 가능한 최저 주파수는 상관계수 창에서 샘플들의 수 N에 의존한다. 즉,
Figure pct00006
이다.
상관관계 분석은 지연 시간이 특성 주파수에 매칭할 때마다 상관계수가 가장 커지므로 지연 분석이 된다. 입력 신호는, 입력 신호의 음성 포락선이 음성 포락선 필터 블록(83)에 의해 추출되는, 유성음-음성 검출기(81)의 입력으로 들어가고, 음성 포락선 신호 내의 특성 음성 주파수들의 상하 주파수들이 필터링되는, 즉 대략 50 Hz 미만 주파수들 및 1 kHz 초과 주파수들이 필터링되는 포락선 대역 통과 필터 블록(84)의 입력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주파수 상관관계 계산 블록(85)은 특성 주파수 룩업 테이블(86) 내에 저장된 미리 결정된 포락선 주파수들 세트에 대해 검출된 포락선 주파수들을 비교함으로써 대역 통과 필터(84)로부터 출력 신호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고, 그것의 출력으로서 상관관계 측정을 생성한다.
특성 주파수 룩업 테이블(84)은, 표 1에 나타난 세트와 유사하게, 한 세트의 쌍을 이룬, 특성 음성 포락선 주파수(Hz 단위)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7
표 1. 쌍을 이룬, 특성 음성 포락선 주파수들.
표 1의 상단 행은 상관관계 음성 포락선 주파수를 나타내고, 표 1의 하단 행은 대응하는 두 배 또는 절반의 상관관계 음성 포락선 주파수를 나타낸다. 상관관계 분석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이산 주파수 테이블을 사용하는 이유는 테이블 크기, 검출 속도, 운영 안정성 및 충분한 정밀도 간의 절충을 하기 위한 의도이다.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는 목적은 우세한 화자(speaker)의 신호 존재를 검출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정확한 주파수는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관관계 분석의 결과는 검출된 주파수들의 세트이다.
만약 단일 화자로부터 비롯된 순수한, 유성음의 음성 신호가 입력 신호로서 제시된다면, 적은 특성 포락선 주파수들만이 일정한 시점의 순간에서 입력 신호 내에 우위를 차지할 것이다. 만약 유성음 음성 신호가 부분적으로 잡음에 의해 가려진다면, 더 이상 그러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동일한 특성 포락선 주파수가 셋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 발견된다면, 주파수 상관관계 계산 블록(85)에 의해서 유성음 음성이 여전히 충분한 정확도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주파수 상관관계 계산 블록(85)은 음성 주파수 카운트 블록(87)의 입력으로 들어가는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이 입력 신호는 상관관계 분석에 의해 발견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로 구성된다. 음성 주파수 카운트 블록(87)은 입력 신호 내에서 특성 음성 포락선 주파수들의 발생을 카운트한다. 만약 특성 음성 포락선 주파수가 발견되지 않는다면, 입력 신호는 잡음으로 간주된다. 만약 하나의 특성 음성 포락선 주파수, 예를 들어, 100 Hz 또는 그것의 대응 고조파, 즉 200 Hz가 셋 이상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 검출되면, 그 신호는 한 명의 화자로부터 발신되는 유성음 음성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만약, 예를 들어 100 Hz와 167 Hz와 같은, 둘 이상의 상이한 기본 주파수가 검출되면, 유성음 음성은 아마도 둘 이상의 화자로부터 발신되는 것이다. 또한 이 상황은 프로세스에 의해 잡음으로 간주된다.
음성 주파수 카운트 블록(87)에 의해 구해지는 상관된, 특성 포락선 주파수의 수는 유성음-음성 주파수 검출 블록(88)으로의 입력으로서 사용되고, 여기에서 단일의 유성음 음성 신호의 우위의 정도는 상이한 포락선 주파수 쌍의 수를 상호 비교하여 결정된다. 만약 적어도 하나의 음성 주파수가 검출되고, 그것의 레벨이 입력 신호의 포락선 레벨보다 상당히 크다면, 유성음 음성이 시스템에 의해 검출되고, 유성음 음성 주파수 검출 블록(88)은 유성음-음성 확률 블록(89)으로의 입력 신호로서 유성음-음성 검출 값을 출력한다. 유성음-음성 확률 블록(89)에서, 유성음 음성 확률 값은 유성음-음성 주파수 검출 블록(88)에 의해서 결정된 유성음-음성 검출 값으로부터 파생된다. 유성음-음성 확률 값은 유성음-음성 검출기(81)로부터의 유성음-음성 확률 레벨 출력 신호로서 사용된다.
마찰음, 치찰음, 파열음과 같은 무성음 음성 신호들은 임의의 잘 정의된 주파수가 없는 매우 짧은 파열음으로 간주되나, 높은 주파수 성분을 많이 가진다. 디지털 도메인에서 무성음 음성 신호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비용-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은 영점 교차 검출기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는 임펄스의 수를 카운트하고, 예컨대 0.1 초와 같이 미리 결정된 시간 구간 동안 입력 신호 내의 영점 교차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고 영점 라인을 교차하는 신호들의 횟수와 예컨대 5 초와 같이 한 구간 동안 축적된 평균 영점 교차 횟수를 비교하는 카운터와 결합하여, 신호 간의 부호(sign)가 바뀔 때마다 짧은 임펄스를 제공한다. 만약 유성음 음성이 최근, 즉 최종 3 초 내에 발생하였고, 영점 교차의 수가 평균 영점 교차 횟수보다 크다면, 무성음 음성이 입력 신호 내에 존재한다.
입력 신호는 또한 음성 검출기(26)의 무성음-음성 검출기(82)의 입력, 저-레벨 잡음 식별기(91)의 입력으로 들어간다. 저-레벨 잡음 식별기(91)는 무성음-음성 검출기(82)로 하여금 무성음-음성 신호로서 검출되는 것으로부터 배경 잡음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특정 볼륨 임계값 아래의 신호는 거부한다. 입력 신호가 저-레벨 잡음 식별기(91)의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간주될 때마다, 그것은 영점 교차 검출기(92)의 입력으로 들어간다.
영점 교차 검출기(92)는 입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영점을 교차할 때마다 검출하며,
Figure pct00008
FSD(풀-스케일 디플렉션) 또는 프로세싱될 수 있는 최대 신호 값의 절반으로 규정되고, 입력 신호가 부호를 변경할 때마다 영점 교차 카운터(93)로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영점 교차 카운터(93)는 유한의 지속 기간의 시간 프레임에서 동작하고, 각 시간 프레임 내에서 신호가 영점 임계값을 교차한 횟수를 축적한다. 각 시간 프레임 동안의 영점 교차 횟수는, 몇몇의 연이은 시간 프레임의 영점 교차 수의 느린 평균 값을 계산하기 위해 영점 교차 평균 카운터(94)로 들어가고, 이 평균 값을 영점 교차 평균 카운터(94)의 출력 신호로서 제시한다. 비교기(95)는 영점 교차 카운터(93)로부터의 출력 신호 및 영점 교차 평균 카운터(94)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비교기(95)의 두 개의 입력 신호로서 받아들여, 영점 교차 카운터(93)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영점 교차 평균 카운터(94)로부터의 출력 신호보다 크면 영점 교차 카운터(93)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동등한 무성음-음성 검출기(82)에 대한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영점 교차 카운터(93)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영점 교차 평균 카운터(94)로부터의 출력 신호보다 작으면 영점 교차 평균 카운터(94)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동등한 무성음-음성 검출기(82)에 대한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기 위해, 두 개의 입력 신호를 사용한다.
유성음-음성 검출기(81)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유성음-음성 확률 레벨을 반송하고 있는 직접 출력과 유성음-음성 식별기(97)의 입력으로 나누어진다. 유성음-음성 식별기(97)는 유성음-음성 검출기(81)로부터의 유성음-음성 확률 레벨이 제 1 미리 결정된 레벨보다 클 때마다 HIGH 논리 신호를 생성하고, 유성음-음성 검출기(81)로부터의 음성 확률 레벨이 제 1 미리 결정된 레벨보다 아래로 떨어질 때마다 LOW 논리 신호를 생성한다.
무성음-음성 검출기(82)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무성음-음성 레벨을 반송하고 있는 직접 출력과 무성음-음성 식별기(96)의 제 1 입력으로 나누어진다. 유성음 음성 검출기(81)로부터의 분리된 신호는 무성음-음성 식별기(96)의 제 2 입력으로 들어간다. 이 신호는 유성음-음성이 예컨대 0.5 초와 같이 미리 결정된 주기 내에서 검출될 때마다 인에이블될 수 있다. 무성음-음성 식별기(96)는 무성음-음성 검출기(82)로부터의 무성음-음성 레벨이 제 2 미리 결정된 레벨보다 클 때마다 HIGH 논리 신호를 생성하고, 무성음-음성 검출기(82)로부터의 음성 레벨이 제 2 미리 결정된 레벨보다 아래로 떨어질 때마다 LOW 논리 신호를 생성한다.
OR-게이트(98)는 무성음-음성 식별기(96) 및 유성음-음성 식별기(97)로부터의 각각의 논리 출력 신호를 두 개의 입력 신호로 받아들이고, 보청기 회로의 다른 부분에 의해서 이용하기 위한 논리 음성 플래그를 생성한다. OR-게이트(98)에 의해 생성된 음성 플래그는 유성음-음성 확률 레벨 또는 무성음-음성 레벨 중 하나가 그들 각각의 미리 결정된 레벨보다 크면 논리 신호 HIGH이고, 유성음-음성 확률 레벨 및 무성음-음성 레벨 둘 다 그들 각각의 미리 결정된 레벨보다 작으면 논리 신호 LOW이다. 따라서, OR-게이트(98)에 의해 생성된 음성 플래그는 음성이 입력 신호에 나타나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각각의 믹서(23, 24)들로 구현되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복합 믹서(70) 실시예의 블록 도식이 도 6에 도시된다. 복합 믹서의 목적은 희망하는 주파수 범위에서 원치않는 상측파대를 동시에 생성하지 않고 입력 신호의 하측파대의 주파수-이동된 버전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원치않는 상측파대를 제거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부가적인 저역 통과 필터의 필요가 없어진다. 복합 믹서(70)는 힐버트 변환기(71), 위상 축적기(72), 코사인 함수 블록(73), 사인 함수 블록(74), 제 1 곱셈기 노드(75), 제 2 곱셈기 노드(76), 합산기(77)를 포함한다. 복합 믹서(70)의 목적은 소스 신호 X를 소스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타겟 주파수 대역으로 전위된 주파수 W와의 복소수 곱셈에 의해서 실제 전위를 수행하기 위함이고, 그 결과는 주파수-전위된 신호 y가 된다.
전위될 신호는 복합 믹서(70)의 힐버트 변환기(71)로 입력 신호 X로서 들어가고, 이는 주파수-전위될 주파수들의 소스 대역을 나타낸다. 힐버트 변환기(71)는신호의 실수부 xre 및 신호의 실수부 xre 에 대해 -90°위상 이동된, 신호의 허수부 xim를 출력한다. 신호의 실수부 xre 는 제 1 곱셈기 노드(75)로 들어가고, 허수부 xim는 제 2 곱셈기 노드(76)으로 들어간다.
전위 주파수 W는 위상 신호
Figure pct00009
를 생성하기 위해서 위상 축적기(72)에 들어간다. 위상 신호
Figure pct00010
는 두 개의 가지(branch)로 분할되고, 각각 코사인 함수 블록(73) 및 사인 함수 블록(74)으로 들어가서, 각각 위상 신호
Figure pct00011
의 코사인 및 사인을 생성한다. 신호 실수부 xre는 제 1 곱셈기 노드(75)에서 위상 신호
Figure pct00012
의 코사인과 곱해지고, 신호 허수부 xim는 제 2 곱셈기 노드(76)에서 위상 신호
Figure pct00013
의 사인과 곱해진다.
복합 믹서(70)의 합산기(77)에서, 위상 신호
Figure pct00014
의 사인과 신호 허수부 xim의 곱을 수행하는 제 2 곱셈기 노드(76)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위상 신호
Figure pct00015
의 코사인과 신호 실수부 xre의 곱을 수행하는 제 1 곱셈기 노드(75)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부가되고, 주파수 전위된 출력 신호 y를 생성한다. 복합 믹서(70)로부터의 출력 신호 y는 주파수-전위된 소스 주파수 대역의 하측파대이고, 타겟 대역와 일치한다.
전위된 신호 내의 제 1 고조파 주파수가 항상 비전위된 신호의 제 2 고조파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도 4에서 제 1 고조파 주파수 및 제 2 고조파 주파수는 둘 다 주파수 전위기(20)의 주파수 추적기(22)에 의해 검출되어야 한다. 제 1 고조파 주파수 및 제 2 고조파 주파수 간의 상호 주파수 관계는 제 1 고조파 주파수에 기반한 임의의 전위가 수행되기 이전에 입증되어야 한다. 짝수 고조파의 주파수는 항상 N 옥타브 아래의 대응하는 고조파 주파수의 N 배가 되기 때문에, 두 개의 고조파 주파수들이 함께 세트가 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열쇠(key)는 두 개의 노치 필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나는 소스 대역 내에서 고조파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하나는 타겟 대역 내에서 대응하는 고조파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검출된 고조파 주파수들 간의 관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 최신 기술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인, 디지털 보청기에 의해서 실행되는 적절한 알고리즘에 구현된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노치 필터는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일반 전달 함수를 갖는 2차 IIR 필터로서 디지털 도메인에서 구현된다.
Figure pct00016
여기에서 c는 노치 상수이고 r은 필터의 극 반지름이다(0 < r < 1). 노치 상수 c는 라디안 단위의 주파수 w의 함수로서 표현될 수 있고, 따라서
Figure pct00017
이다.
노치 필터의 주파수를 자유롭게 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법이 종래 기술에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충분히 정확한 것으로 간주되는,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방법은, 간이 그래디언트 하강법(simplified gradient descent method)으로 알려진 근사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노치 필터 전달 함수 그래디언트의 근사를 필요로 하고, 이는 전달 함수 H(z)의 분자인 D(z)를 c에 대해 미분함으로서 구할 수 있고, 필터 전달 함수의 그래디언트는 따라서 다음과 같이 구한다.
Figure pct00018
그렇다면, 노치 필터의 노치 주파수는 변환된 상수 c로서 근사화된 그래디언트를 노치 필터에 적용함에 의해 직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검출된 소스 주파수가 기본 주파수의 짝수 고조파인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 검출된 소스 주파수 및 검출된 타겟 주파수의 비는 전부 양의 상수 N 인 것으로, 즉 검출된 소스 주파수가 검출된 타겟 주파수의 N 배가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가정에 기초하여, 소스 노치 필터의 노치 상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고,
Figure pct00019
타겟 노치 필터의 노치 상수는 따라서 다음이 된다.
Figure pct00020
소스 주파수 및 타겟 주파수 간의 한 옥타브 고조파 관계, 즉 N = 2가 되기 위해서, cs 및 ct의 관계는 삼각함수 공식들을 사용하여 구해진다.
Figure pct00021
따라서, 소스 노치 필터 그래디언트는 cs를 대입하고, 전술한 방법으로 ct에 대해 미분함에 의해서 구할 수 있다.
Figure pct00022
따라서 두 개의 노치 필터의 결합된 간이 그래디언트 G(z)는 그들 각자의 간이 그래디언트의 가중된 합이 되고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23
결합된 간이 그래디언트 G(z)으로서 두 개의 노치 필터의 그래디언트 가중된 합을 사용함으로써, 소스 대역의 전위를 위해 생성된 주파수가 전위된 소스 대역의 우세 주파수를 타겟 대역 내의 우세 주파수에 항상 정확하게 일치하게 하는 것을 보장한다.
결합된 간이 그래디언트 G(z)는 소스 대역 및 타겟 대역 내 각각, 입력 신호의 국소적 최소값(local minima)들을 구하기 위해서 전위기에 의해 사용된다. 만약 우세 주파수가 소스 주파수 대역 내에 존재한다면, G(z)의 제 1 개별 그래디언트 식은 우세 소스 주파수에서 국소적 최소값을 가지게 되고, 만약 대응하는 우세 주파수가 타겟 주파수 대역 내에 존재한다면, G(z)의 제 2 개별 그래디언트 식은 우세 타겟 주파수에서 국소적 최소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만약 소스 주파수 및 타겟 주파수 모두 국소적 최소값이 되게 한다면, 소스 대역이 전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위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신호 프로세서는 32 kHz의 샘플링 레이트로 동작한다. 전술한 바에서 설명된 그래디언트-하강-기반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위기(20)의 주파수 추적기(22)는, 통상의 추적 속도 2 - 10 Hz/샘플로 충분한 정밀성을 유지하면서, 60 Hz/샘플의 속도까지 입력 신호의 우세 주파수를 추적할 수 있다.
하나의 전위기로 가능한 것보다 더 높은 고조파 주파수 대역을 전위하기 위하여, 고조파 소스 주파수보다 2 옥타브 아래의 즉, N=3이 되는 고조파 타겟 주파수를 활용하는 제 2 전위기 또한 동일한 원리를 적용하여 쉽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전위기는 제 2 소스 노치 필터 및 제 2 타겟 노치 필터를 가지며, 팩터 4 만큼, 즉 2 옥타브만큼 전위된 것에 대응하는 더 높은 주파수 스펙트럼 내의 소스 대역 상에서 별개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 경우, N=3인 소스 노치 필터 그래디언트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24
이런 식으로 둘 이상의 노치 필터들의 출력은 단일 노치 출력 및 적용될 단일 그래디언트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더 높은 주파수 대역, 즉 더 높은 수의 N의 전위를 위한 소스 노치 필터 그래디언트는 타겟 주파수와 관련된 더 높은 고조파를 프로세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서 이용될 수 있다.
도 7에서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추적기(22)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주파수 추적기(22)는 소스 노치 필터 블록(31), 타겟 노치 필터 블록(32), 합산기(33), 그래디언트 가중치 생성기 블록(34), 노치 적용 블록(35), 상수 컨버터 블록(36) 및 출력 위상 컨버터 블록(37)을 포함한다. 주파수 추적기(22)의 목적은 소스 대역 및 타겟 대역 각각에서 대응하는, 우세 주파수를 검출하는 것이고, 이는 전위 프로세스의 제어를 위한 목적이다.
소스 노치 필터(31)는 소스 주파수 대역 신호(SRC) 및 소스 상수 신호(CS)를 그것의 입력 신호로서 받아들이고, 소스 노치 신호(NS) 및 소스 노치 그래디언트 신호(GS)를 생성한다. 소스 노치 신호(NS)는 합산기(33)에서 타겟 노치 주파수 신호(NT)에 부가되고, 노치 신호(N)를 생성한다. 소스 노치 그래디언트 신호(GS)는 그래디언트 가중 생성기 블록(34)으로의 제 1 입력 신호로서 사용된다. 타겟 노치 필터 블록(32)은 타겟 주파수 대역 신호(TGT) 및 타겟 상수 신호(CT)를 그것의 입력 신호로서 받아들이고 타겟 노치 신호(NT) 및 타겟 노치 그래디언트 신호(GT)를 생성한다. 타겟 노치 신호(NT)는 합산기(33)에서 소스 노치 신호(NS)에 부가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노치 신호(N)를 생성한다. 타겟 노치 그래디언트 신호(GT)는 그래디언트 가중치 생성기 블록(34)으로의 제 2 입력 신호로서 사용된다.
그래디언트 가중치 생성기 블록(34)은 타겟 상수 신호(CT)로부터 그래디언트 신호(G)를 생성하고, 노치 그래디언트 신호 GS 및 GT를 소스 노치 필터(31) 및 타겟 노치 필터(32)로부터 각각 생성한다. 합산기(33)로부터의 노치 신호(N)는 노치 적용 블록(35)의 제 1 입력으로서 사용되고, 그래디언트 가중치 생성기 블록(34)으로부터의 그래디언트 신호(G)는 노치 적용 블록(35)의 제 2 입력으로서 사용되며, 이는 타겟 가중 신호(WT)를 생성하기 위함이다. 노치 적용 블록(35)으로부터의 타겟 가중 신호(WT)는 상수 신호 CS 및 CT를 각각 생성하기 위한 상수 컨버터 블록(36)으로의 입력 신호로서, 그리고 출력 위상 컨버터 블록(37)으로의 입력 신호로서 모두 사용된다.
출력 위상 컨버터 블록(37)은 소스 주파수 대역을 타겟 주파수 대역으로 전위하기 위해서, 가중된 믹서 제어 주파수 신호(WM)를 믹서(미도시)를 위해 생성한다. 가중된 믹서 제어 주파수 신호(WM)는 도 6에서 전위 주파수 입력(W)에 대응하고, 아래에 설명될 방식으로, 그 원점으로부터 소스 주파수 대역이 얼마나 멀리 전위될지를 직접 결정한다.
주파수 추적기(22)는 소스 주파수 대역 및 타겟 주파수 대역을 우세 주파수들에 대해 분석하는 것과 수행할 주파수 이동의 크기를 계산하기 위해서, 검출된 소스 주파수 대역 및 타겟 주파수 대역 내의 우세 주파수들 간의 관계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전위될 소스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적의 주파수 이동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이러한 분석이 수행되는 방법은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주파수 추적기(22)가 본 발명에 따른 전위기를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하기 위해서, 소스 노치 필터 블록(31)에 의해 검출된 소스 노치 주파수는 기본 주파수의 짝수 고조파 주파수로 추정되고, 타겟 노치 필터 블록(32)에 의해 검출된 타겟 노치 주파수는 소스 주파수 대역의 짝수의 고조파에 대해 고정 관계를 갖는 고조파 주파수로 추정되고, 따라서 소스 노치 필터 블록(31) 및 타겟 노치 필터 블록(32)은 병렬로 작업해야 하고, 두 개의 노치 필터에 의해 검출된 두 개의 노치 주파수들 간의 고정 관계의 존재를 활용한다. 이것은 결합된 그래디언트가 주파수 추적기(22)에 이용가능함이 분명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합된 그래디언트 G(z)는 전술한 것에서 설명한 알고리즘에 따라 소스 노치 필터(31) 및 타겟 노치 필터(32)의 그래디언트의 합으로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Figure pct00025
여기에서 Hs(z)는 소스 노치 필터 블록(31)의 전달 함수이고, Ht(z)는 타겟 노치 필터 블록(32)의 전달 함수이다.
도 8은 어떻게 타겟 주파수의 고조파 추적의 문제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전위기에 의해 올바르게 해결되는지를 도시하는 주파수 그래프이다. 도 8의 주파수 스펙트럼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일련의 고조파 주파수들과 유사한 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의 입력 신호의 일련의 고조파 주파수들이 도시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일련의 고조파 주파수에 대응하는 기본 주파수는 도시되지 않는다. 전위기 알고리즘은 제 11 고조파 및 제 12 고조파 사이에서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지만, 대신 전위를 위한 기준으로서 소스 대역 내의 짝수 고조파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이 강요된다. 앞서 도시된 것처럼, 모든 짝수 고조파 주파수들은 짝수 고조파 주파수의 절반의 주파수인, 대응하는 고조파 주파수를 갖는다. 따라서, 이 경우, 제 12 고조파 주파수는 주파수 전위기에 의해 전위를 위한 기준으로 선택된다. 제 12 고조파 주파수는 타겟 대역(TB) 상에서 TD2 거리만큼 한 옥타브 아래로 주파수가 전위될 때 제 6 고조파 주파수와 일치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8에 도시된 타겟 대역(TB) 내에서, 제 13 고조파 주파수는 제 7 고조파 주파수와 일치할 것이고 제 11 고조파 주파수는 제 5 고조파 주파수와 일치할 것이다.
이 결과는 본 발명에 의해, 소스 대역(SB)에서 검출된 제 12 고조파 주파수 및 타겟 대역(TB)에서 검출된 대응하는 제 6 고조파 주파수를 분석함에 의해서 전위 이전에 달성되고, 이는 두 개의 주파수들 간의 고조파 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증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더 적합한 전위 주파수 거리(TD2 )가 결정되고, 전위된 신호의 전위된 제 10, 11, 12, 13, 및 제 14 고조파 주파수들은 도 8에 더 가는(thinner) 윤곽으로 도시되며, 이제 전위된 소스 대역 신호가 타겟 대역 상으로 겹쳐질 때, 각각 타겟 대역(TB) 내의 대응하는 제 4, 5, 6, 7, 및 제 8 고조파 주파수들과 일치하게 되고, 사용자에게 좀 더 쾌적하고 듣기 좋은 소리가 들리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만약 소스 대역(SB) 내의 예컨대, 제 14 고조파 주파수가 제 12 고조파 주파수 대신에 전위를 위한 기준으로 선택된다면, 본 발명에 따른 전위기에 의해 전위될 때 타겟 대역(TB) 내의 제 7 고조파 주파수와 일치하게 되고, 전위된 소스 대역(SB)으로부터 이웃하는 고조파 주파수들은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그들의 대응하는 타겟 대역(TB) 내의 주파수들과 일치하게 된다. 소스 대역 주파수가 결합된 주파수 추적기에 의해서 기본 주파수의 짝수의 고조파 주파수임이 밝혀지는 한, 본 발명에 따른 전위기는 검출된, 짝수 고조파 주파수(the detected, even harmonic frequency) 주위의 주파수 대역을 거기에서 나타난 검출된 고조파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더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하향 전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전위기(20)를 포함하는 보청기(50)를 나타내는 블록 도식이다. 보청기(50)는 마이크로폰(51), 대역 분할 필터(52), 입력 노드(53), 음성 검출기(26), 음성 인핸서(27), 주파수 전위기(20), 출력 노드(54), 압축기(55), 출력 변환기(56)를 포함한다. 명확성을 위해, 증폭기, 프로그램 저장 수단,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보청기의 주파수-의존 처방 증폭 수단은 도 9에 도시되지 않는다.
사용하는 동안, 음향 신호는 마이크로폰(51)에 의해서 포착되고(picked up) 보청기(50)에 의해서 증폭을 위해 적합한 전기적 신호로 전환된다. 전기적 신호는 대역 분할 필터(52)에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되고, 결과적으로 대역-분할 신호는 입력 노드(53)를 통해 주파수 전위기(20)로 들어온다. 주파수 전위기(20)에서, 신호는 도 4와 함께 나타난 방식으로 프로세싱된다.
대역 분할 필터(52)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또한, (전술한 도 4의 맥락에서 설명된) 주파수 전위기 블록(20)을 위해 의도되는 세 개의 제어 신호(VS, USF 및 SF) 생성 및 음성 인핸서 블록(27)을 위해 의도되는 제 4 제어 신호의 생성을 위해, 음성 검출기(26)의 입력으로 들어간다. 음성 인핸서 블록(27)은 만약 광대역 잡음 레벨이 미리 결정된 제한보다 크다면 압축기(55)의 이득 값을 제어함으로써, 음성이 검출되는 주파수 대역 내의 신호 레벨을 증가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만약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음성이 검출되고 잡음이 음성보다 우세하지 않다면, 음성 인핸서 블록(27)은 음성 인핸스 이득 값을 계산하고 각각의 주파수 대역 내의 신호에 적용되는 이득에 음성 인핸스 이득 값을 적용하기 위해서, 음성 검출기(26)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사용한다. 이것은 음성 양해도 향상을 위해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이 광대역 잡음 위로 증폭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주파수 전위기(20)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출력 노드(54)를 통해 압축기(55)의 입력으로 들어간다. 압축기(55)의 목적은 보청기의 처방에 따라 결합된 출력 신호의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감축하는 것이고, 이는 보청기 사용자의, 소위 상위 안락 레벨(upper comfort limit; UCL)을 초과하는 큰(loud) 오디오 신호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부드러운(soft) 오디오 신호들은 보청기 사용자의 청취 임계 레벨(hearing threshold limit; HTL)을 초과하기에 충분하도록 증폭되기 위함이다. 압축은 신호의 주파수-전위된 부분이 보청기 처방에 따라 또한 압축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주파수-전위 뒤에 수행된다.
압축기(55)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보청기(50)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음향 재생을 위한 출력 변환기(56)를 구동하기 위해, 증폭되고 조절된다(증폭 및 조절을 위한 수단은 미도시). 신호는, 주파수-전위된 부분이 청각 장애인 사용자에게 지각 가능하게 되도록 하고 그렇지 않으면 그 부분의 주파수 범위를 지각하는 것이 불가능한 이러한 방식으로, 입력 신호의 비전위된 부분과 그 위에 겹쳐 놓은 입력 신호의 주파수-전위된 부분을 포함한다. 게다가, 입력 신호의 주파수-전위된 부분은 입력 신호의 비전위 부분과 가능한 한 일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청취되도록 한다.

Claims (14)

  1. 보청기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는 신호 프로세서를 가지며, 상기 신호 프로세서는
    입력 신호를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제 1 특성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는 제 1 주파수 검출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제 2 특성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는 제 2 주파수 검출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 안에 속하는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주파수 간격을 두고 이동(shift)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주파수 검출기 및 상기 제 2 주파수 검출기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진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범위 안에 속하는 주파수-이동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발진기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와 곱하는 수단,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상에 상기 주파수-이동된 신호를 겹치게 하기(superimposing) 위한 수단, 및
    상기 주파수-이동된 신호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결합 신호를 출력 변환기에 나타내기(present) 위한 수단,
    상기 제 1 주파수 및 상기 제 2 주파수 간의 고정 관계를 결정하는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에서 제 1 주파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은 제 1 노치 그래디언트(notch gradient)를 갖는 제 1 노치 필터이고, 상기 입력 신호에서 제 2 주파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은 제 2 노치 그래디언트를 갖는 제 2 노치 필터인 것인, 보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에서 상기 제 1 주파수 및 상기 제 2 주파수 간의 고정 관계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1 노치 그래디언트 및 상기 제 2 노치 그래디언트를 결합함으로써 결합된 그래디언트(combined gradient)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결합된 그래디언트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인, 보청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에서 유성음-음성 신호(a voiced-speech signal)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입력 신호에서 무성음-음성 신호(an unvoiced-speech signal)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유성음-음성 신호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유성음-음성 신호의 주파수 이동을 디스에이블링(disabling)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7. 제 5 항에 있어서,
    무성음-음성 신호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무성음-음성 신호의 주파수 이동을 인에이블링(enabling)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유성음-음성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포락선(envelope)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포락선 필터를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9. 제 5 항에 있어서,
    무성음-음성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포락선 신호에서 무성음-음성 레벨을 검출하기 위해서 영점 교차율(a zero-crossing rate) 카운터 및 평균 영점 교차율 카운터를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10. 보청기 내에서 가청 주파수들(audio frequencies)을 이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에서 제 1 우세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에서 제 2 우세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의 제 1 주파수 범위를 상기 입력 신호의 제 2 주파수 범위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의 주파수-이동된 상기 제 1 주파수 범위를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구해진 파라미터 집합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의 상기 제 2 주파수 범위에 겹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우세 주파수 및 상기 제 2 우세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우세 주파수 및 상기 제 2 우세 주파수 간의 고정 관계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주파수 범위를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우세 주파수 및 상기 제 2 우세 주파수 간의 고정 관계에 의해 제어되는 것인, 보청기 내에서 가청 주파수들을 이동시키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에서 제 1 우세 주파수 및 제 2 우세 주파수를 검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제 1 노치 그래디언트 및 제 2 노치 그래디언트를 유도하는(deriving)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내에서 가청 주파수들을 이동시키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에서 상기 제 1 우세 주파수 및 상기 제 2 우세 주파수 간의 고정 관계의 존재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1 노치 그래디언트 및 상기 제 2 노치 그래디언트를 결합된 그래디언트로 결합하는 단계과, 상기 입력 신호의 상기 제 1 주파수 범위를 상기 입력 신호의 상기 제 2 주파수 범위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된 그래디언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내에서 가청 주파수들을 이동시키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이동된 제 1 주파수 범위를 상기 제 2 주파수 범위에 겹치게 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1 우세 주파수 및 상기 제 2 우세 주파수 간의 상기 고정 관계의 존재를 상기 주파수-이동된 제 1 주파수 범위의 출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사용하는 것인, 보청기 내에서 가청 주파수들을 이동시키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우세 주파수 및 상기 제 2 우세 주파수를 검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에서 유성음-음성 신호 및 무성음-음성 신호의 존재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 상기 유성음-음성 신호의 주파수 이동을 인핸스하는(enhancing) 단계, 및 상기 무성음-음성 신호의 주파수 이동을 억제하는(suppressing)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내에서 가청 주파수들을 이동시키는 방법.
KR1020137012290A 2010-12-08 2010-12-08 개선된 오디오 재생 방법 및 보청기 KR101465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0/069145 WO2012076044A1 (en) 2010-12-08 2010-12-08 Hearing aid and a method of improved audio re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258A true KR20130072258A (ko) 2013-07-01
KR101465379B1 KR101465379B1 (ko) 2014-11-27

Family

ID=4426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290A KR101465379B1 (ko) 2010-12-08 2010-12-08 개선된 오디오 재생 방법 및 보청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11549B2 (ko)
EP (1) EP2649813B1 (ko)
JP (1) JP5778778B2 (ko)
KR (1) KR101465379B1 (ko)
CN (1) CN103250209B (ko)
AU (1) AU2010365365B2 (ko)
CA (1) CA2820761C (ko)
DK (1) DK2649813T3 (ko)
SG (1) SG191025A1 (ko)
WO (1) WO20120760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6362A (ko) * 2016-06-01 201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운드 신호 보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4955B2 (en) 2006-02-07 2012-10-09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11431312B2 (en) 2004-08-10 2022-08-30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10158337B2 (en) 2004-08-10 2018-12-18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10848118B2 (en) 2004-08-10 2020-11-24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11202161B2 (en) 2006-02-07 2021-12-14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gitally processing a head related audio transfer function
US10848867B2 (en) 2006-02-07 2020-11-24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9185500B2 (en) 2008-06-02 2015-11-10 Starkey Laboratories, Inc. Compression of spaced sources for hearing assistance devices
US9485589B2 (en) 2008-06-02 2016-11-01 Starkey Laboratories, Inc. Enhanced dynamics processing of streaming audio by source separation and remixing
US8705751B2 (en) 2008-06-02 2014-04-22 Starkey Laboratories, Inc. Compression and mixing for hearing assistance devices
DK2649813T3 (en) * 2010-12-08 2017-09-04 Widex As HEARING AND A PROCEDURE FOR IMPROVED SOUND RENDERING
US9185499B2 (en) 2012-07-06 2015-11-10 Gn Resound A/S Binaural hearing aid with frequency unmasking
EP2683179B1 (en) * 2012-07-06 2015-01-14 GN Resound A/S Hearing aid with frequency unmasking
US9173041B2 (en) * 2012-05-31 2015-10-27 Purdue Research Foundation Enhancing perception of frequency-lowered speech
DK2864983T3 (en) * 2012-06-20 2018-03-26 Widex As PROCEDURE FOR SOUND HEARING IN A HEARING AND HEARING
US9060223B2 (en) 2013-03-07 2015-06-16 Aphex, Llc Method and circuitry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TWI576824B (zh) * 2013-05-30 2017-04-01 元鼎音訊股份有限公司 處理聲音段之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及助聽器
US9883318B2 (en) 2013-06-12 2018-01-30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stereo field enhancement in two-channel audio systems
EP3503095A1 (en) 2013-08-28 2019-06-26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 Hybrid waveform-coded and parametric-coded speech enhancement
US9907474B2 (en) * 2013-10-01 2018-03-06 Koninklijke Philips N.V. Signal selection for obtaining a remote photoplethysmographic waveform
US20150092967A1 (en) * 2013-10-01 2015-04-02 Starkey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harmonic enhancement for hearing assistance devices
US9906858B2 (en) 2013-10-22 2018-02-27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10820883B2 (en) 2014-04-16 2020-11-03 Bongiovi Acoustics Llc Noise reduction assembly for auscultation of a body
TWI557729B (zh) * 2015-05-20 2016-11-11 宏碁股份有限公司 語音信號處理裝置及語音信號處理方法
CN106297814B (zh) * 2015-06-02 2019-08-06 宏碁股份有限公司 语音信号处理装置及语音信号处理方法
CN106328162A (zh) * 2015-06-30 2017-01-11 张天慈 处理音轨的方法
TWI578753B (zh) * 2015-07-03 2017-04-11 元鼎音訊股份有限公司 電話語音處理方法及可撥打電話之電子裝置
CA3096877A1 (en) 2018-04-11 2019-10-17 Bongiovi Acoustics Llc Audio enhanced hearing protection system
TWI662544B (zh) * 2018-05-28 2019-06-11 塞席爾商元鼎音訊股份有限公司 偵測環境噪音以改變播放語音頻率之方法及其聲音播放裝置
CN110570875A (zh) * 2018-06-05 2019-12-13 塞舌尔商元鼎音讯股份有限公司 检测环境噪音以改变播放语音频率的方法及声音播放装置
CN110648686B (zh) * 2018-06-27 2023-06-23 达发科技股份有限公司 调整语音频率的方法及其声音播放装置
WO2020028833A1 (en) 2018-08-02 2020-02-06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gitally processing a head related audio transfer function
CN113192524B (zh) * 2021-04-28 2023-08-18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音频信号处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5937A (en) * 1963-02-14 1968-05-28 Centre Nat Rech Scient Hearing aids
US4220160A (en) * 1978-07-05 1980-09-02 Clinical Systems Associat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of heart sounds
FR2598909B1 (fr) * 1986-05-23 1988-08-26 Franche Comte Universite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e prothese auditive
US5014319A (en) * 1988-02-15 1991-05-07 Avr Communications Ltd. Frequency transposing hearing aid
US5719528A (en) 1996-04-23 1998-02-17 Phonak Ag Hearing aid device
US6285979B1 (en) * 1998-03-27 2001-09-04 Avr Communications Ltd. Phoneme analyzer
FR2786908B1 (fr) * 1998-12-04 2001-06-08 Thomson Csf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traitement des sons pour correction auditive des malentendants
EP2066139A3 (en) 2000-09-25 2010-06-23 Widex A/S A hearing aid
US20040175010A1 (en) * 2003-03-06 2004-09-09 Silvia Allegro Method for frequency transposition in a hearing device and a hearing device
AU2005333866B2 (en) * 2005-06-27 2009-04-23 Widex A/S Hearing aid with enhanced high frequency reproduction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WO2009057488A1 (ja) * 2007-10-30 2009-05-07 Clarion Co., Ltd. 聴覚感度補正装置
AU2007362553A1 (en) 2007-12-19 2009-06-25 Widex A/S Hearing aid and a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aid
WO2009087968A1 (ja) 2008-01-10 2009-07-16 Panasonic Corporation 補聴処理装置、調整装置、補聴処理システム、補聴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集積回路
JP4692606B2 (ja) * 2008-11-04 2011-06-0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帯域復元装置及び電話機
DK2649813T3 (en) * 2010-12-08 2017-09-04 Widex As HEARING AND A PROCEDURE FOR IMPROVED SOUND RENDER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6362A (ko) * 2016-06-01 201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운드 신호 보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9813B1 (en) 2017-07-12
CA2820761C (en) 2015-05-19
WO2012076044A1 (en) 2012-06-14
KR101465379B1 (ko) 2014-11-27
SG191025A1 (en) 2013-07-31
CN103250209B (zh) 2015-08-05
DK2649813T3 (en) 2017-09-04
US20130182875A1 (en) 2013-07-18
CA2820761A1 (en) 2012-06-14
CN103250209A (zh) 2013-08-14
JP5778778B2 (ja) 2015-09-16
JP2013544476A (ja) 2013-12-12
US9111549B2 (en) 2015-08-18
AU2010365365A1 (en) 2013-06-06
AU2010365365B2 (en) 2014-11-27
EP2649813A1 (en)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379B1 (ko) 개선된 오디오 재생 방법 및 보청기
US936910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CN107547983B (zh) 用于提高目标声音的可分离性的方法和听力装置
EP1817769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stuttering
US20100128911A1 (en) Method to reduce feedback in hearing aids
CN101208991A (zh) 具有加强的高频再现功能的助听器以及处理声频信号的方法
Koning et al. The potential of onset enhancement for increased speech intelligibility in auditory prostheses
US9420382B2 (en) Binaural source enhancement
Kates Spectro-temporal envelope changes caused by temporal fine structure modification
US8670582B2 (en) N band FM demodulation to aid cochlear hearing impaired persons
KR101712101B1 (ko)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Arioz et al. Preliminary results of a novel enhancement method for high-frequency hearing loss
JP4185984B2 (ja) 音信号の加工装置および加工方法
Zakis Music perception and hearing aids
KR102403996B1 (ko) 보청기의 채널영역 방식, 채널영역 방식을 이용한 보청기의 피팅방법, 그리고 이를 통해 피팅된 디지털 보청기
Gockel et al. Pitch discrimination interference between binaural and monaural or diotic pitches
EP2184929B1 (en) N band FM demodulation to aid cochlear hearing impaired persons
Moshgelani et al. Objective assessment of envelope enhancement algorithms for assistive hearing devices
Vidyarthi et al. Role of Encoding Temporal Fine Structure Cues in Time Compressed Word Recognition
Mohanlal et al. Role of Encoding Temporal Fine Structure Cues in Time Compressed Word Reco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