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0858A -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858A
KR20130070858A KR1020110138080A KR20110138080A KR20130070858A KR 20130070858 A KR20130070858 A KR 20130070858A KR 1020110138080 A KR1020110138080 A KR 1020110138080A KR 20110138080 A KR20110138080 A KR 20110138080A KR 20130070858 A KR20130070858 A KR 20130070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groove
supporter
backlight uni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8139B1 (ko
Inventor
임동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8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139B1/ko
Publication of KR20130070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66Reflectors for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point like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light sources the shape of which is unspecif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9Optical design with a combination of different curv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10Constru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reflect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2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 1 리플렉터(reflector)와, 제 2 리플렉터와, 제 1, 제 2 리플렉터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모듈과, 제 2 리플렉터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터(supporter)를 포함하고, 제 2 리플렉터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서포터의 일부는 제 2 리플렉터 홈 내에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backlight unit and illumination system using the same}
실시예는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표적인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이 있다.
자발광 방식의 PDP와는 다르게 LCD는 자체적인 발광소자의 부재로 인해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이 필수적이다.
LCD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엣지(edge)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과 직하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분되는데, 엣지 방식은 LCD 패널의 좌우 측면 또는 상하 측면에 광원을 배치하고 도광판을 이용하여 빛을 전면에 고르게 분산시키므로 빛의 균일성이 좋고 패널 두께의 초박형화가 가능하다.
직하 방식은 보통 20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기술로써, 패널 하부에 광원을 복수 개로 배치하므로 엣지 방식에 비해 광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 고휘도를 요구하는 대형 디스플레이에 주로 사용된다.
기존 엣지 방식이나 직하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CCFL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은 항상 CCFL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상당량의 전력이 소모되며, CRT에 비해 약 70% 수준의 색 재현율, 수은이 첨가됨에 따른 환경 오염 문제들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체품으로 현재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LED를 백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 경우, LED 어레이의 부분적인 온/오프가 가능하여 소모전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RGB LED의 경우,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색 재현 범위 사양의 100%를 상회하여 보다 생생한 화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light guide plate)(2), 리플렉터(reflector)(3), 광학부재(optical member)(4), 광원 모듈(light source module)(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은 탑 섀시(top chassis)(6), 바텀 섀시(bottom chassis)(7) 및 패널 가이드 모듈(panel guide module)(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널 가이드 모듈(8)은 디스플레이 패널(9)을 지지할 수 있고, 탑 섀시(6)는 패널 가이드 모듈(8) 및 바텀 섀시(7)에 연결될 수 있다.
이어, 도광판(2)은 하부면에 리플렉터(3)가 배치되고, 상부면에 광학부재(4)가 배치될 수 있다.
다음, 광원 모듈(5)은 기판(5a)과 기판(5a) 위에 배열된 광원(5b)을 포함하는데, 광원 모듈(5)은 도광판(2)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2)을 이용하여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지만, 도광판(2)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백라이트 유닛의 무게가 무거워질 뿐만 아니라,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도광판(2)이 없어도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실시예는 도광판 없이, 경사면을 갖는 리플렉터 및 서포터(supporter)를 이용하여, 에어 가이드(air guide)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제 1 리플렉터(reflector)와, 제 2 리플렉터와, 제 1, 제 2 리플렉터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모듈과, 제 2 리플렉터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터(supporter)를 포함하고, 제 2 리플렉터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서포터의 일부는 제 2 리플렉터 홈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리플렉터의 경사면은 제 1 리플렉터의 표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진 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사면은 오목면(concave surface), 볼록면(convex surface), 평면(flat surfac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리플렉터는 오목면 또는 볼록면 중 어느 하나와 적어도 하나의 평면(flat surface)을 포함하고, 제 2 리플렉터의 평면은 제 1 리플렉터와 평행한 면이며, 서포터는 제 2 리플렉터의 경사면 및 평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 실시예는 제 2 리플렉터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를 더 포함하고, 제 2 리플렉터와 광학 부재 사이의 공간에는 에어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는 광학 부재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서포터와 광학 부재 사이의 간격은 제 2 리플렉터의 홈 깊이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서포터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제 2 리플렉터의 홈 내에 삽입되는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는 상부면이 좁고 하부면이 넓을 수 있으며, 바디부의 하부면의 폭과 제 2 리플렉터의 홈의 폭은 1 : 1.1 - 3일 수 있다.
또한, 바디부는 다수의 돌기 또는 다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하는 다수의 돌기 또는 홈들은 나란히 배열되거나 또는 교대로 엇갈려 배열될 수도 있다.
다음, 바디부와 받침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 받침부의 높이와 제 2 리플렉터의 홈의 깊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의 측면과 제 2 리플렉터의 홈의 제 1 측면 사이는 제 1 간격을 가지고, 받침부의 측면과 제 2 리플렉터의 홈의 제 2 측면 사이는 제 2 간격을 가지며, 제 1 간격과 제 2 간격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 2 리플렉터의 홈의 측면은 홈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평면, 경사진 평면 및 경사진 곡면일 수 있다.
이어, 서포터는 제 2 리플렉터의 홈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으며, 서포터는 하부에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제 2 리플렉터의 홈 내에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며, 서포터의 체결 부재는 홀 내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리플렉터는 지지층과, 지지층 위에 형성되고 홈이 형성되는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리플렉터는 제 1 홈이 형성되는 지지층과, 지지층 위에 형성되고 지지층의 제 1 홈에 대응하여 제 2 홈이 형성되는 반사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홈의 폭은 제 2 홈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실시예들은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고, 경사면을 갖는 리플렉터 및 서포터(supporter)를 이용하여, 에어 가이드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함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제작단가가 저렴하며, 균일한 휘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의 경제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서포터의 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제 2 리플렉터의 홈 깊이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제 2 리플렉터의 홈에 배치되는 서포터의 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제 2 리플렉터의 홈의 측면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서포터의 부착 방법을 보여주는 제 1 실시예
도 8a 및 도 8b는 서포터의 부착 방법을 보여주는 제 2 실시예
도 9a 및 도 9b는 미세 돌기를 포함하는 서포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미세 홈들을 포함하는 서포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광원 모듈과 제 1, 제 2 리플렉터 사이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a 내지 도 12d는 경사면을 갖는 제 1 리플렉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a 내지 도 13d는 반사 패턴을 갖는 제 1 리플렉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 및 도 16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100a) 및 기판(100b)을 포함하는 광원 모듈(100), 제 1 리플렉터(reflector)(200), 제 2 리플렉터(300), 서포터(supporter)(400) 및 광학 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은 제 1 리플렉터(200)와 제 2 리플렉터(300)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리플렉터(200) 또는 제 2 리플렉터(3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광원 모듈(100)은 제 1 리플렉터(200)에 접촉됨과 동시에 제 2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 2 리플렉터(300)에 접촉됨과 동시에 제 1 리플렉터(200)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광원 모듈(100)은 제 1 리플렉터(200)와 제 2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 1 리플렉터(200)와 제 2 리플렉터(300)에 동시에 접촉될 수도 있다.
그리고, 광원 모듈(100)은 전극 패턴을 갖는 기판(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00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은 상면 발광형(top view type)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광원(100a)은 측면 발광형(side view type) 발광 다이오드일 수도 있다.
그리고, 기판(100b)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실리콘(Si)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물질로 이루어진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일 수도 있고,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기판(100b)은 단층 PCB, 다층 PCB, 세라믹 기판, 메탈 코아 PCB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00b)은 반사 코팅 필름 및 반사 코팅 물질층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고, 광원(100b)에서 생성된 광을 제 2 리플렉터(300)의 중앙영역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어, 광원(100a)은 발광 다이오드 칩(LED chip)일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칩은 블루 LED 칩 또는 자외선 LED 칩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레드 LED 칩, 그린 LED 칩, 블루 LED 칩, 엘로우 그린(Yellow green) LED 칩, 화이트 LED 칩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한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화이트 LED는 블루 LED 상에 옐로우 인광(Yellow phosphor)을 결합하거나, 블루 LED 상에 레드 인광(Red phosphor)과 그린 인광(Green phosphor)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블루 LED 상에 옐로우 인광(Yellow phosphor), 레드 인광(Red phosphor) 및 그린 인광(Green phosphor)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 제 1 리플렉터(200)와 제 2 리플렉터(300) 사이의 빈 공간에는 에어 가이드(air guide)을 갖도록, 제 1 리플렉터(200)와 제 2 리플렉터(300)는 일정 간격 떨어져 서로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200)는 반사 코팅 필름 및 반사 코팅 물질층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광원 모듈(100)로부터 생성된 광을 제 2 리플렉터(300)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200)의 표면 중 광원 모듈(100)에 마주보는 표면 위에는 톱니형태의 반사 패턴이 형성되고, 반사 패턴의 표면은 평면 또는 곡면일 수도 있다.
제 1 리플렉터(200)의 표면에 반사 패턴을 형성하는 이유는 광원 모듈(100)에서 생성된 광을 제 2 리플렉터(300)의 중앙영역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백라이트 유닛의 중앙영역에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이어, 제 2 리플렉터(300)는 일부에 경사면(inclined surface)을 가질 수 있으며, 알루미늄(Al), 은(Ag), 금(Au), 이산화 티타늄(TiO2)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리플렉터(300)의 경사면은 광원 모듈(100) 및 제 1 리플렉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리플렉터(300)의 경사면은 제 1 리플렉터(200)의 표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진 면일 수 있고, 경사면은 오목면(concave surface), 볼록면(convex surface), 평면(flat surfac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2 리플렉터(300)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inclined surface)과 적어도 하나의 평면(flat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 2 리플렉터(300)의 평면은 제 1 리플렉터(200)와 평행한 면일 수 있고, 서포터(400)는 제 2 리플렉터(300)의 경사면 및 평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리플렉터(300)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갖는 적어도 2개 경사면을 포함하고, 변곡점을 중심으로 인접하는 제 1, 제 2 경사면의 곡률은 서로 다르며, 서포터(400)는 제 2 리플렉터(300)의 제 1, 제 2 경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400)는 제 2 리플렉터(300)에 하나 또는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는데, 제 2 리플렉터(300)의 전체 표면 중 경사면 위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편평한 면 위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경사면과 편평한 면 위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2와 같이, 제 2 리플렉터(300)는 제 1, 제 2, 제 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 1 영역은 광원 모듈(100) 및 제 1 리플렉터(200)와 정렬(align)되고, 제 1 리플렉터(200)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제 1 경사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영역은 제 1 영역에 인접하며, 제 1 영역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제 2 경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경사면은 제 1 곡률 R1을 갖는 곡면이고, 제 2 경사면은 제 2 곡률 R2을 갖는 곡면일 수 있으며, 제 1, 제 2 곡률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제 2 경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오목한 곡면 또는 볼록한 곡면일 수도 있다.
이어, 제 3 영역은 제 2 영역에 인접하는 중앙영역에 형성될 수 있는데, 제 3 영역은 제 1 리플렉터(200)와 평행한 평면이거나 또는 제 3 곡률을 갖는 곡면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3 영역은 제 2 리플렉터(300)의 중앙영역에 위치하는데, 제 3 영역이 날카로운 형상을 가질 경우, 광이 집중하여 핫 스팟(hot spot) 현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제 3 영역을 완만한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균일한 휘도를 제공할 수 있다.
만일, 서포터(400)가 제 2 리플렉터(300)의 제 3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 2 리플렉터(300)의 제 3 영역에는 서포터(400)의 안착을 위한 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400)의 일부는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서포터(400)가 제 2 리플렉터(300)의 제 1, 제 2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하는 경우, 각 영역에는 서포터(400)의 안착을 위한 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터(400)의 일부는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내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포터(400)의 일부가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내에 삽입되는 이유는, 광이 서포터(400)에 반사됨으로써, 일부 영역에 집중되는 핫 스팟(hot spot)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 2 리플렉터(300)는 서포터(400)가 위치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홈(310)이 형성되고, 서포터(400)는 일부분이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서포터(400)는 광학 부재(60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학 부재(600)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바디부(410)와 받침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400)의 받침부(420)는 바디부(410)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터(400)는 광학 부재(6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는데, 서포터(40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간격은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깊이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한편, 광학 부재(600)는 제 2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리플렉터(30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공간에는 에어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부재(600)는 상부 표면에 요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광학 부재(600)는 광원 모듈(100)에서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확산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부 표면에 요철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광학 부재(600)는 여러 층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요철 패턴은 최상층 또는 어느 한 층의 표면에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요철 패턴은 광원 모듈(100)을 따라 배치되는 스트라이프(stri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요철 패턴은 광학 부재(600) 표면으로 돌출부를 가지고, 돌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구성되며,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은 둔각 또는 예각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광학 부재(600)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로 이루어지는데,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휘도 강화 시트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확산 시트는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확산시켜 주고, 프리즘 시트는 확산된 광을 발광 영역으로 가이드하며, 휘도 확산 시트는 휘도를 강화시켜 준다.
도 3은 서포터의 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400)는 바디부(410)와 받침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410)는 상부면이 좁고 하부면이 넓은 형상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 원뿔 형상 등일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410)의 하부면의 폭 W2과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의 폭 W1은 1 : 1.1 - 3일 수 있다.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의 폭 W1이 바디부(410)의 하부면의 폭 W2보다 더 큰 이유는, 서포터(400) 일부를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내에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 서포터(400)의 받침부(420)는 바디부(410)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부(420)의 높이 h는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깊이 d와 동일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받침부(420)의 높이 h는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깊이 d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받침부(420)의 높이 h는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깊이 d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또한, 받침부(420)는 홈(310)의 바닥면(310a), 홈(310)의 제 1 측면(310b) 및 제 2 측면(31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받침부(420)는 홈(310)의 바닥면(310a), 홈(310)의 제 1 측면(310b) 및 제 2 측면(31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서포터(400)의 받침부(420)는 바디부(410)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서포터(400)의 바디부(410)는 고분자 수지이고, 서포터(400)의 받침부(420)는 금속 재질일 수도 있다.
이어, 서포터(400)는 광학 부재(6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는데, 서포터(40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간격 D은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깊이 d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포터(400)를 광학 부재(600)에 가깝게 배치하는 이유는 광학 부재(600)가 하부로 처질 때, 서포터(400)가 광학 부재(600)를 지지함으로써, 광학 부재(60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제 2 리플렉터의 홈 깊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400)는 바디부(410)와 받침부(4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서포터(400)의 받침부(420)는 바디부(410)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부(420)의 높이 h는 도 4a와 같이,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깊이 d와 동일할 수 있다.
이처럼, 서포터(400)의 받침부(420)를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내에 삽입하는 이유는, 광이 서포터(400)의 받침부(420)에 반사됨으로써, 일부 영역으로 광이 집중되는 핫 스팟(hot spot)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즉, 서포터(400)의 받침부(420)가 제 2 리플렉터(300)의 표면 위로 노출될 경우, 광이 서포터(400)의 받침부(420)에 반사되어, 일부 영역으로 광이 집중되는 핫 스팟(hot spot)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핫 스팟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서포터(400)의 받침부(420)를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내에 삽입시키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 도 4b와 같이, 받침부(420)의 높이 h는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깊이 d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여기서, 받침부(420)의 높이 h와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깊이 d의 차이에 따른 간격 g는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깊이 d의 0.1 - 0.5배일 수 있다.
즉, 받침부(420)의 높이 h와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깊이 d는 1 : 2 - 10일 수 있다.
그 이유는 받침부(420)의 높이 h가 너무 낮으면, 서포터(400)의 바디부(410)의 높이가 더 높아져야 하고, 그로 인하여, 서포터(400)의 구조가 불안정하여 쉽게 무너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음, 도 4c와 같이, 받침부(420)의 높이 h는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깊이 d보다 더 클 수도 있다.
여기서, 받침부(420)의 높이 h와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깊이 d의 차이에 따른 간격 g는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깊이 d의 0.1 - 1배일 수 있다.
즉, 받침부(420)의 높이 h와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깊이 d는 1 : 0.5 - 0.9일 수 있다.
그 이유는 받침부(420)의 높이 h가 너무 높으면, 광의 핫 스팟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휘도가 불균일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제 2 리플렉터의 홈에 배치되는 서포터의 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400)는 바디부(410)와 받침부(4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서포터(400)의 받침부(420)는 바디부(410)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400)의 받침부(420)의 폭 W3은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의 폭 W1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420)는 홈(310)의 바닥면(310a)에 부착되고, 홈(310)의 제 1 측면(310b) 및 제 2 측면(31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받침부(420)는 홈(310)의 바닥면(310a), 홈(310)의 제 1 측면(310b) 및 제 2 측면(31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받침부(420)의 측면과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의 제 1 측면(310b) 사이는 제 1 간격 d1을 가지고, 받침부(420)의 측면과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의 제 2 측면(310c) 사이는 제 2 간격 d2을 가질 수 있는데, 제 1 간격 d1과 제 2 간격 d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제 2 리플렉터의 홈의 측면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의 측면(310b, 310c)은 홈(310)의 바닥면(310a)에 대해 수직한 평면, 경사진 평면 및 경사진 곡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6a는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의 제 1 측면(310b)은 홈(310)의 바닥면(310a)에 대해 수직한 평면일 수 있고,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의 제 2 측면(310c)도 홈(310)의 바닥면(310a)에 대해 수직한 평면일 수 있다.
여기서, 홈(310)의 제 1 측면(310b)과 홈(310)의 바닥면(310a) 사이의 제 1 각도 θ1은 홈(310)의 제 2 측면(310c)과 홈(310)의 바닥면(310a) 사이의 제 2 각도 θ2와 동일할 수 있다.
도 6b는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의 제 1 측면(310b)은 홈(310)의 바닥면(310a)에 대해 수직한 경사면일 수 있고,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의 제 2 측면(310c)도 홈(310)의 바닥면(310a)에 대해 수직한 경사면일 수 있다.
여기서, 홈(310)의 제 1 측면(310b)과 홈(310)의 바닥면(310a) 사이의 제 1 각도 θ1은 홈(310)의 제 2 측면(310c)과 홈(310)의 바닥면(310a) 사이의 제 2 각도 θ2와 동일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6c는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의 제 1 측면(310b)은 홈(310)의 바닥면(310a)에 대해 오목한 곡면일 수 있고, 제 2 리플렉터(300)의 홈(310)의 제 2 측면(310c)도 홈(310)의 바닥면(310a)에 대해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
여기서, 홈(310)의 제 1 측면(310b)의 제 1 곡률 R1은 홈(310)의 제 2 측면(310c)의 제 2 곡률 R2와 동일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서포터의 부착 방법을 보여주는 제 1 실시예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리플렉터(300)는 지지층(300a)과, 반사층(30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층(300a)은 고분자 수지일 수 있고, 반사층(300b)은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은(Ag), 금(Ag) 또는 이산화 티타늄(TiO2)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반사층(300b)은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고분자 수지인 지지층(300a) 위에 증착 또는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금속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증착하는 방법으로는 열증착법, 증발법 또는 스퍼터링법과 같은 진공증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코팅 또는 인쇄하는 방법으로는 프린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또는 실크 스크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사층(300b)은 필름 또는 시트(sheet) 형태로 제작되어, 고분자 수지인 지지층(300a) 위에 접착제로 접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지지층(300a)과 반사층(300b)을 포함하는 제 2 리플렉터(300)는 반사층(300b)의 일부를 제거하여 지지층(300a)을 노출시킴으로써, 제 1 홈(310a)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홈(310a) 내에는 접착제(430)가 형성되고, 바디부(410)와 받침부(420)를 포함하는 서포터(400)가 제 1 홈(310a) 내의 접착제(430)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층(300a)과 반사층(300b)을 포함하는 제 2 리플렉터(300)는 반사층(300b)의 일부를 제거하여 지지층(300a)을 노출시킴으로써, 제 1 홈(310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 제 2 리플렉터(300)는 제 1 홈(310a) 내에 노출된 지지층(300a)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제 1 홈(310a)에 대응하여 제 2 홈(310b)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홈(310a)의 폭 W6은 제 2 홈(310b)의 폭 W5보다 더 클 수 있다.
그리고, 제 2 홈(310b)의 깊이 d는 서포터(400)의 받침부(420)의 높이 h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제 2 홈(310b) 내에는 접착제(430)가 형성되고, 바디부(410)와 받침부(420)를 포함하는 서포터(400)가 제 2 홈(310b) 내의 접착제(430)와 부착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서포터의 부착 방법을 보여주는 제 2 실시예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리플렉터(300)는 지지층(300a)과, 반사층(30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리플렉터(300)는 반사층(300b)의 일부를 제거하여 지지층(300a)을 노출시킴으로써, 제 1 홈(310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 제 1 홈(310a) 내에는 서포터(400)의 체결 부재(440)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3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서포터(400)의 받침부(420) 하부에는 제 2 리플렉터(300)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440)가 형성되고, 서포터(400)의 체결 부재(440)는 제 2 리플렉터(300)의 제 1 홈(310a) 내에 형성된 홀(320)에 삽입됨으로써, 제 2 리플렉터(300)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층(300a)과 반사층(300b)을 포함하는 제 2 리플렉터(300)는 반사층(300b)의 일부를 제거하여 지지층(300a)을 노출시킴으로써, 제 1 홈(310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 제 2 리플렉터(300)는 제 1 홈(310a) 내에 노출된 지지층(300a)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제 1 홈(310a)에 대응하여 제 2 홈(310b)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홈(310a)의 폭 W6은 제 2 홈(310b)의 폭 W5보다 더 클 수 있다.
그리고, 제 2 홈(310b)의 깊이 d는 서포터(400)의 받침부(420)의 높이 h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다음, 제 2 홈(310b) 내에는 서포터(400)의 체결 부재(440)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3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서포터(400)의 받침부(420) 하부에는 제 2 리플렉터(300)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440)가 형성되고, 서포터(400)의 체결 부재(440)는 제 2 리플렉터(300)의 제 2 홈(310b) 내에 형성된 홀(320)에 삽입됨으로써, 제 2 리플렉터(300)와 체결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미세 돌기를 포함하는 서포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400)는 바디부(410)와 받침부(4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서포터(400)의 바디부(410) 표면에는 다수의 미세 돌기(41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미세 돌기(412)들은 바디부(410) 표면 전체에 배치될 수 있는데, 서로 인접하는 미세 돌기(412)들은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고, 나란히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미세 돌기(412)들은 바디부(410) 표면 전체에 배치될 수 있는데, 서로 인접하는 미세 돌기(412)들은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고, 교대로 엇갈려서 배열될 수도 있다.
여기서, 미세 돌기(412)들은 반사 물질이 코팅된 반사체로서, 광을 반사 및 확산시킴으로써, 균일한 휘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미세 홈들을 포함하는 서포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400)는 바디부(410)와 받침부(4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서포터(400)의 바디부(410) 표면에는 다수의 미세 홈(414)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미세 홈(414)들은 바디부(410) 표면 전체에 배치될 수 있는데, 서로 인접하는 미세 홈(414)들은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고, 나란히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미세 홈(414)들은 바디부(410) 표면 전체에 배치될 수 있는데, 서로 인접하는 미세 홈(414)들은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고, 교대로 엇갈려서 배열될 수도 있다.
여기서, 미세 홈(412)들은 반사 물질이 코팅된 반사체로서, 광을 반사 및 확산시킴으로써, 균일한 휘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광원 모듈과 제 1, 제 2 리플렉터 사이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는 제 1 리플렉터(200)와 제 2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광원 모듈(100)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b는 제 1 리플렉터(200)와 제 2 리플렉터(300)에 동시에 접촉되는 광원 모듈(100)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c는 제 1 리플렉터(200)에 접촉됨과 동시에 제 2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광원 모듈(100)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d는 제 1 리플렉터(200)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됨과 동시에 제 2 리플렉터(300)에 접촉되는 광원 모듈(10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는 제 1 리플렉터(200)로부터 제 1 거리 d1만큼 이격되고, 제 2 리플렉터(300)로부터 제 2 거리 d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거리 d1과 제 2 거리 d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일 예로, 제 1 거리 d1은 제 2 거리 d2 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제 1 거리 d1이 제 2 거리 d2 보다 더 클 경우, 핫 스팟(hot spot)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은 제 1 리플렉터(200)와 제 2 리플렉터(300)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은 제 1, 제 2 리플렉터(200, 300)에 접촉됨으로써, 핫 스팟 방지하고, 광원 모듈(100)로부터 먼 영역으로 광을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백라이트 유닛의 두께를 줄일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은 제 1 리플렉터(200)에 접촉되고, 제 2 리플렉터(300)로부터 거리 d만큼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은 제 1 리플렉터(200)에 접촉됨으로써, 핫 스팟 방지하고, 광원 모듈(100)로부터 먼 영역으로 광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은 제 2 리플렉터(300)에 접촉되고, 제 1 리플렉터(200)로부터 거리 d만큼 이격될 수도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경사면을 갖는 제 1 리플렉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2a는 경사면이 평면인 경우이고, 도 12b, 도 12c 및 도 12d는 경사면이 곡면인 경우이다.
도 12a 내지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리플렉터(300)를 마주보는 제 1 리플렉터(200)의 일측 표면은 제 1 리플렉터(200)의 타측 표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의 경사각도 θ는 제 1 리플렉터(200)의 타측 표면에 대해 평행한 수평면에 대해 1 - 85도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리플렉터(200)의 두께는 광원 모듈(100)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감소할 수도 있고, 또는 점차 증가할 수도 있다.
즉, 제 1 리플렉터(200)는 광원 모듈(100)에 인접한 영역의 두께 t1와 광원 모듈(100)에서 먼 영역의 두께 t2가 서로 다를 수 있는데, 도 12a 및 도 12b와 같이, 광원 모듈(100)에 인접한 영역의 두께 t1이 광원 모듈(100)에서 먼 영역의 두께 t2보다 더 클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12c 및 도 12d와 같이, 광원 모듈(100)에 인접한 영역의 두께 t1이 광원 모듈(100)에서 먼 영역의 두께 t2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또한, 도 12d와 같이, 제 1 리플렉터(200)는 경사면과 평면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제 1 리플렉터(200)에서, 광원 모듈(100)에 인접한 영역은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광원 모듈(100)에서 먼 영역은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의 길이 L1은 평면의 길이 L2와 동일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200)의 표면에는 소정의 반사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반사 패턴을 갖는 제 1 리플렉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a는 반사 패턴(220)이 톱니형상이고, 반사 패턴(220)의 표면은 평면이며, 도 13b 및 도 13c는 반사 패턴(220)이 톱니형상이고, 반사 패턴(220)의 표면은 곡면일 수 있다.
여기서, 도 13b는 반사 패턴(220)의 표면이 오목한 곡면이고, 도 13c는 반사 패턴(220)의 표면이 볼록한 곡면이다.
경우에 따라서, 도 13d와 같이, 반사 패턴(220)의 크기가 제 1 리플렉터(200)의 끝단에서 오픈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커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리플렉터(200) 위에 반사 패턴(220)을 형성하는 이유는, 광의 반사뿐만 아니라, 광을 균일하게 퍼지게 하는 확산 효과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반사 패턴(220)은 백라이트의 전체 휘도 분포에 따라, 해당 영역에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들은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고, 경사면을 갖는 리플렉터 및 서포터(supporter)를 이용하여, 에어 가이드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함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제작단가가 저렴하며, 균일한 휘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의 경제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0)은 디스플레이 패널(800) 및 백라이트 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800)은 서로 마주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컬러필터 기판(810)과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820)을 포함하며, 상기 두 기판(810, 820)의 사이에 액정층(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800)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상부 편광판(830) 및 하부 편광판(84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하게는 컬러필터 기판(810)의 상면에 상부 편광판(830)이 배치되고, TFT 기판(820)의 하면에 하부 편광판(840)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800)의 측면에는 패널(8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20), 디스플레이 모듈(20)을 둘러싸는 프론트 커버(30) 및 백 커버(35), 백 커버(35)에 구비된 구동부(55) 및 구동부(55)를 감싸는 구동부 커버(40)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30)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한 재질의 전면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면 패널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디스플레이 모듈(20)을 보호하며, 디스플레이 모듈(2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켜 디스플레이 모듈(2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한다.
백 커버(35)는 프론트 커버(30)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0)을 보호할 수 있다.
백 커버(35)의 일면에는 구동부(55)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55)는 구동 제어부(55a), 메인보드(55b) 및 전원공급부(55c)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55a)는 타이밍 컨트롤러로 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20)의 각 드라이버 IC에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구동부이고, 메인보드(55b)는 타이밍 컨트롤러에 V싱크, H싱크 및 R, G, B 해상도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이며, 전원 공급부(55c)는 디스플레이 모듈(20)에 전원을 인가하는 구동부이다.
구동부(55)는 백 커버(35)에 구비되어 구동부 커버(4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백 커버(35)에는 복수의 홀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20)과 구동부(55)가 연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하는 스탠드(60)가 구비될 수 있다.
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5)의 구동 제어부(55a)는 백 커버(35)에 구비되고, 메인보드(55b)와 전원보드(55c)는 스탠드(60)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동부 커버(40)는 백 커버(35)에 구비된 구동부(55)만을 감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보드(55b)와 전원보드(55c)를 각각 따로 구성하였으나, 하나의 통합보드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제 1, 제 2 리플렉터, 서포터,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지시 장치, 조명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명 시스템은 램프, 가로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 시스템은 다수의 LED를 집속하여 빛을 얻는 조명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건물의 천장이나 벽체 내에 매입되어 셰이드의 개구부 측이 노출되게 장착 될 수 있도록 하는 매입등(다운라이트)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광원 모듈 200 : 제 1 리플렉터
300 : 제 2 리플렉터 400 : 서포터
410 : 바디부 420 : 받침부

Claims (23)

  1. 제 1 리플렉터(reflector);
    제 2 리플렉터;
    상기 제 1, 제 2 리플렉터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모듈; 그리고,
    상기 제 2 리플렉터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터(supporter)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리플렉터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의 일부는 상기 제 2 리플렉터 홈 내에 삽입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플렉터의 경사면은 상기 제 1 리플렉터의 표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진 면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오목면(concave surface), 볼록면(convex surface), 평면(flat surfac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백라이트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플렉터는 오목면 또는 볼록면 중 어느 하나와 적어도 하나의 평면(flat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리플렉터의 평면은 상기 제 1 리플렉터와 평행한 면이며,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 2 리플렉터의 경사면 및 평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플렉터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리플렉터와 상기 광학 부재 사이의 공간에는 에어 가이드가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광학 부재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와 광학 부재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리플렉터의 홈 깊이보다 더 작은 백라이트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 2 리플렉터의 홈 내에 삽입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부면이 좁고 하부면이 넓은 백라이트 유닛.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의 폭과 상기 제 2 리플렉터의 홈의 폭은 1 : 1.1 - 3인 백라이트 유닛.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다수의 돌기 또는 다수의 홈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다수의 돌기 또는 홈들은 나란히 배열되는 백라이트 유닛.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다수의 돌기 또는 홈들은 교대로 엇갈려 배열되는 백라이트 유닛.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받침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높이와 상기 제 2 리플렉터의 홈의 깊이는 서로 다른 백라이트 유닛.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측면과 상기 제 2 리플렉터의 홈의 제 1 측면 사이는 제 1 간격을 가지고, 상기 받침부의 측면과 상기 제 2 리플렉터의 홈의 제 2 측면 사이는 제 2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 1 간격과 제 2 간격은 서로 다른 백라이트 유닛.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플렉터의 홈의 측면은 상기 홈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평면, 경사진 평면 및 경사진 곡면인 백라이트 유닛.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 2 리플렉터의 홈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백라이트 유닛.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하부에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리플렉터의 홈 내에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서포터의 체결 부재는 상기 홀 내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백라이트 유닛.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플렉터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 위에 형성되고, 상기 홈이 형성되는 반사층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플렉터는,
    제 1 홈이 형성되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 위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층의 제 1 홈에 대응하여 제 2 홈이 형성되는 반사층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의 폭은 상기 제 2 홈의 폭보다 더 작은 백라이트 유닛.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1020110138080A 2011-12-20 2011-12-20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948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080A KR101948139B1 (ko) 2011-12-20 2011-12-20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080A KR101948139B1 (ko) 2011-12-20 2011-12-20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858A true KR20130070858A (ko) 2013-06-28
KR101948139B1 KR101948139B1 (ko) 2019-02-15

Family

ID=4886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080A KR101948139B1 (ko) 2011-12-20 2011-12-20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1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650A (ko) * 2014-01-06 2015-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402A (ko) * 2002-05-23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하형 액정표시장치
JP2005208408A (ja) * 2004-01-23 2005-08-04 Nec Lcd Technologies Ltd 直下型バックライト及び表示装置
JP2006106212A (ja) * 2004-10-01 2006-04-20 Nippon Leiz Co Ltd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100030334A (ko) * 2008-09-10 2010-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0264B2 (ja) * 2006-06-02 2011-03-02 ソニー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組立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402A (ko) * 2002-05-23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하형 액정표시장치
JP2005208408A (ja) * 2004-01-23 2005-08-04 Nec Lcd Technologies Ltd 直下型バックライト及び表示装置
JP2006106212A (ja) * 2004-10-01 2006-04-20 Nippon Leiz Co Ltd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100030334A (ko) * 2008-09-10 2010-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324048호(2007.12.13.)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650A (ko) * 2014-01-06 2015-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139B1 (ko) 2019-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288B1 (ko) 조명 시스템
US9110333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30155676A1 (en) Light unit and illumin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13009691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US8931911B2 (en) Lighting system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94814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94813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850436B1 (ko) 표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868536B1 (ko) 조명 시스템
KR10194814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89435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933999B1 (ko) 조명 시스템
KR10183072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85485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814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2013005851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2013005851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20140028429A (ko) 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2013010391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20130058515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2013000934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4566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0705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2012012388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