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0034A -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034A
KR20130070034A KR1020110137151A KR20110137151A KR20130070034A KR 20130070034 A KR20130070034 A KR 20130070034A KR 1020110137151 A KR1020110137151 A KR 1020110137151A KR 20110137151 A KR20110137151 A KR 20110137151A KR 20130070034 A KR20130070034 A KR 20130070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master
slave
stereoscopic image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10137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0034A/ko
Publication of KR2013007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할 때 두 개의 스마트폰과 피사체와의 각도가 일정정도 차이나도록 서로 겹친채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하여 커플링하여 동일 피사체를 동시에 촬영한 다음 촬영결과를 결합함으로써 입체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전문장비를 구비하지 아니하고서도 간단하게 피사체의 입체적인 형상을 기록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TAKING STEREOSCOPIC PICTURE USING SMARTPHONES}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입체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진은 입체적인 형상을 가진 피사체를 렌즈의 시점에서 보이는 모습 그대로 2차원의 평면으로 표현한 것이다.
사진을 보면서 사람들은 피사체의 명암이나 색상을 통해 그 입체적인 모습을 상상할 수 있을 것이나, 피사체를 실제로 보는 것처럼 각도에 따라서 또는 거리에 따라서 입체적으로 보이지는 아니한다.
이는 사진이라는 매체가 가지는 매체 속성상 한계라고 할 것이다.
최근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여러 방향에서 촬영하고 이를 이용하여 마치 3D 그래픽인양 피사체를 여러 방향에서 돌려볼 수 있도록 하는 기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법은 웹 페이지나 영화 등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지나치게 전문적이고 고가의 장비들을 요하는 바 일반인들은 쉽게 접근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기술을 응용하여 전문장비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입체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면 가정이나 야외 등 다양한 공간에서 사물이나 사람의 입체적인 모습을 기록으로 남길 수 있을 것이다.
문헌 1. 특허출원 제10-2004-20463호 "중심점 보정을 이용한 입체영상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문헌 2. 특허출원 제10-2009-67074호 "한쪽 눈만으로도 느낄 수 있는 입체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피사체를 여러 각도에서 촬영함으로써 입체이미지를 생성하는 종래기술을 응용하여 누구나 쉽게 전문장비 없이 입체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및 그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두 개의 스마트폰을 겹친 상태에서 블루투스에 의해 연동시켜 하나의 피사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동시에 촬영토록 함으로써 입체이미지를 생성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및 그 방법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는 스틸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마스터 카메라모듈; 및 상기 마스터 카메라모듈을 제어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하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슬레이브 스마트폰과 커플링되는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 앱;을 구비하는 마스터 스마트폰;
스틸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슬레이브 카메라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카메라모듈을 제어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하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마스터 스마트폰과 커플링되는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 앱;을 구비하는 슬레이브 스마트폰;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카메라모듈 및 슬레이브 카메라모듈이 소정거리 이내로 인접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 앱의 스틸이미지 촬영기능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이 상기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앱으로 스틸이미지 촬영을 요청함과 동시에 상기 마스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으로부터 촬영을 요청받은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앱이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앱은 상기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를 상기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으로 전송하고, 전송받은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은 마스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와 상기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앱으로부터 전송받은 스틸이미지를 결합함으로써 입체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방법은 마스터 스마트폰 및 슬레이브 스마트폰이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상호간 커플링되는 제 110 단계;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 및 슬레이브 스마트폰이 소정거리 이내로 인접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마스트 스마트폰의 스틸이미지 촬영기능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이 상기 슬레이브 스마트폰으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스틸이미지 촬영을 요청함과 동시에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하는 제 120 단계;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으로부터 촬영을 요청받은 슬레이브 스마트폰이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하는 제 130 단계;
슬레이브 스마트폰이 촬영된 스틸이미지를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하여 전송하는 제 140 단계; 및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이 촬영한 스틸이미지와 상기 슬레이브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스틸이미지를 결합함으로써 입체이미지를 생성하는 제 150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사용자는 전문장비 없이도 간단히 두 개의 스마트폰을 겹쳐서 촬영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입체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두 개의 스마트폰에 전용앱을 설치하여 상호간 블루투스에 의해 연동되도록 한 다음 어느 하나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촬영을 시도하는 것만으로도 두 스마트폰에 의해 동시에 촬영이 이루어짐은 물론 자동으로 촬영된 영상이 어느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 입체이미지의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극대화된다.
도 1은 마스터 스마트폰 및 슬레이브 스마트폰을 겹친 상태로 동일 피사체를 촬영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블록도이며,
도 3은 좌우 2개의 채널로 분리된 입체이미지를 설명하는 참고도이며,
도 4는 스마트폰을 좌우로 회전함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들을 번갈아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며,
도 5는 겹쳐진 마스터 스마트폰 및 슬레이브 스마트폰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오차를 보정함으로써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일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마스터 스마트폰 및 슬레이브 스마트폰을 겹친 상태로 동일 피사체를 촬영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하여 두 개의 스마트폰(110, 120)을 겹쳐 각 스마트폰의 내장 카메라 모듈(111,112)이 동일한 피사체를 바라보도록 한 채로 동시에 촬영하여 촬영된 스틸이미지(Still Image) 또는 모션이미지(Motion Image)를 생성한다.
이때, 동시 촬영을 위한 주요한 제어를 수행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입체이미지를 생성하는 스마트폰을 마스터 스마트폰(110), 나머지 하나의 스마트폰을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이라 칭한다.
이러한 마스터 스마트폰(110)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마트폰들과 같이 스틸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마스터 카메라모듈(111), 슬레이브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어댑터(미도시),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113)를 구비한다.
슬레이브 스마트폰(120) 또한 스틸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슬레이브 카메라모듈(121), 마스터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어댑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즉, 카메라모듈(111, 121)이나 무선통신어댑터, 자이로 센서(113)는 종래기술에 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스마트폰(110)과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이 커플링 된 상태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은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일 수 있으나 이외의 다른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마스터 스마트폰(110)은 사용자가 스틸이미지 촬영기능을 선택하면 마스터 카메라 모듈(111)을 구동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하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커플링된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으로 스틸이미지 촬영을 요청하는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112)을 더 구비한다.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은 이러한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112)와 연동되어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112)의 요청시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121)을 구동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스틸이미지를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112)로 반환하는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앱(122)을 더 구비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하고 입체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스마트폰(110, 120)을 겹친다.
두 스마트폰(110, 120)을 겹치기 위해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112)은 또는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앱(122)은 마스터 스마트폰(110)과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의 상호 겹쳐질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어느 위치로 겹칠 것인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두 스마트폰(110, 120)이 겹쳐진 상태에서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112)을 통해 스틸이미지 촬영기능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112)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커플링된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앱(122)으로 스틸이미지 촬영을 요청함과 동시에 마스터 카메라 모듈(111)을 구동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한다.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앱(122)은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112)의 요청에 따라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121)을 구동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스틸이미지를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112)로 전송한다.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112)은 마스터 카메라 모듈(111)에 의해 직접 촬영한 스틸이미지와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앱(122)으로부터 전송받은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121)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를 결합함으로써 입체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입체 이미지란 보는 방법이나 방향 등에 따라서 입체적인 느낌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를 포괄하며,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112)은 마스터 카메라 모듈(111)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와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121)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 가운데 어느 하나를 우측 이미지 채널로 나머지 하나를 좌측 이미지 채널로 포함하여 결합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오른쪽 눈으로 지각하는 이미지와 왼쪽 눈으로 지각하는 이미지의 차이를 이용해 공간감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지의 입체안경을 착용하고 볼 수 있도록 레드채널, 블루채널에 포함시켜 결합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마스터 스마트폰(110)을 좌우로 회전시킴에 따라 마스터 카메라 모듈(111)과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121)에 의해 각각 촬영된 스틸이미지를 번갈아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마스터 카메라 모듈(111)과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121)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겹쳐진 상태에서 동일 피사체를 촬영했을 경우 피사체와 마스터 카메라 모듈(111) 및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121)이 이루는 각도가 근소하게 차이가 나며 따라서 사용자가 마스터 스마트폰(110)을 좌우로 회전시킴에 따라 마스터 카메라 모듈(111)과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121)에 의해 각각 촬영된 스틸이미지를 번갈아 화면에 표시할 경우 사용자는 피사체를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관찰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마스터 스마트폰(110)은 자이로 센서(113)을 구비하며, 자이로 센서(113)를 이용하여 마스터 스마트폰(110)의 회전을 감지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촬영된 두 스틸이미지를 이용하여 입체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스마트폰(110, 120)을 겹쳐서 촬영하므로 실제로는 마스터 카메라 모듈(111)과 피사체의 거리,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121)과 피사체의 거리간 스마트폰의 두께만큼 거리차이가 나게 된다.
이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상 피사체의 크기가 차이가 난다.
도 5의 (a)에 의할 때 좌측의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상 피사체의 크기가 우측의 마스터 스마트폰(110)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의 피사체 크기에 비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112)은 마스터 카메라 모듈(111)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와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121)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 가운데 어느 하나를 크롭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일치하도록 오차보정을 수행한 다음 입체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121)에 의해 촬영된 좌측 스틸이미지를 소정 크기만큼 크롭한 다음,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사이즈를 마스터 카메라 모듈(111)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의 이미지 사이즈와 동일하게 확대함으로써 피사체의 크기를 동일하게 보정할 수 있다.
어느 정도로 크롭할 것인지는 스마트폰의 두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마스터 스마트폰(110)과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이 각각 스틸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를 결합함으로써 입체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마스터 스마트폰(110)과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이 각각 동영상을 촬영한 다음 동일한 과정을 거쳐 입체영상을 생성토록 할 수도 있다.
입체영상의 촬영시 두 동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결합함으로써 입체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공지의 입체영상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입체영상은 3D TV 또는 3D 모니터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사용자가 마스터 스마트폰(110) 및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의 전용앱(112, 122)을 실행시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상호간 커플링한다(S110).
이러한 전용앱(112, 122)은 반드시 비용을 지불하고 구입한 풀 버전일 필요는 없으며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으로 촬영을 요청하거나, 촬영된 스틸이미지를 전송받아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마스터 스마트폰(110)의 전용앱(112)은 유료 풀버전으로,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에 설치되는 전용앱(122)은 단순히 요청에 따라 스틸이미지를 촬영하고 마스터 스마트폰(110)으로 전송하는 기능만을 갖는 무료버전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은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방식일 수 있다.
이후,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110) 또는 상기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이 상호 겹쳐질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를 화면에 표시한다(S111).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가이드를 따라 마스터 스마트폰(110) 및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겹쳐, 그 상태에서 마스터 스마트폰(110)을 조작하여 스틸이미지의 촬영을 시도한다.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마스트 스마트폰(110)의 스틸이미지 촬영기능이 선택됨에 따라 마스터 스마트폰(110)은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으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스틸이미지 촬영을 요청함과 동시에 카메라 모듈(111)을 구동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한다(S120).
한편, 마스터 스마트폰(110)으로부터 촬영을 요청받은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은 카메라 모듈(121)을 구동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한다(S130).
이후,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이 촬영된 스틸이미지를 마스터 스마트폰(110)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하여 전송한다(S140).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으로부터 스틸이미지를 전송받음에 따라 마스터 스마트폰(110)은 두 스틸이미지간 피사체까지의 거리 오차를 보정한다. 이를 위해 두 스틸이미지 가운데 어느 하나를 크롭한 다음 이미지 사이즈를 동일하게 확대함으로써 피사체의 크기를 일치시킨다(S141).
촬영한 스틸이미지와 상기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으로부터 전송받은 스틸이미지를 결합함으로써 입체이미지를 생성한다(S150).
이때, 입체이미지의 생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스마트폰(110)이 직접 촬영한 스틸이미지와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으로부터 전송받은 스틸이미지 가운데 어느 하나를 우측 이미지 채널로 나머지 하나를 좌측 이미지 채널로 포함하여 결합된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스마트폰(110)이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110)이 촬영한 스틸이미지 및 상기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으로부터 전송받은 스틸이미지를 포함하는 스틸이미지를 생성하였다가, 내장된 자이로 센서(113)가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110)의 회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110)이 촬영한 스틸이미지 및 상기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으로부터 전송받은 스틸이미지를 번갈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두 장의 스틸이미지를 이용하여 입체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S120 단계에서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110) 및 슬레이브 스마트폰(120)은 각각 스틸이미지 대신 동영상을 촬영하며, S150 단계에서는 마스터 스마트폰(110)이 직접 촬영한 동영상과 상기 슬레이브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동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결합함으로써 입체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입체영상의 생성을 위한 알고리즘은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생성된 입체영상은 3D TV나 3D 모니터를 통해 재생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DVD-ROM, CD-ROM, 하드 디스크, USB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수록된다는 표현은 대량으로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패키지 형태로 유통되는 경우는 물론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 기록매체에 수록되는 경우를 모두 포괄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10 : 마스터 스마트폰
111 : 마스터 카메라모듈
112 :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 앱
113 : 자이로 센서
120 : 슬레이브 스마트폰
121 : 슬레이브 카메라모듈
122 :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 앱

Claims (15)

  1. 스틸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마스터 카메라모듈; 및 상기 마스터 카메라모듈을 제어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하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슬레이브 스마트폰과 커플링되는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 앱;을 구비하는 마스터 스마트폰;
    스틸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슬레이브 카메라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카메라모듈을 제어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하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마스터 스마트폰과 커플링되는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 앱;을 구비하는 슬레이브 스마트폰;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카메라모듈 및 슬레이브 카메라모듈이 소정거리 이내로 인접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 앱의 스틸이미지 촬영기능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이 상기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앱으로 스틸이미지 촬영을 요청함과 동시에 상기 마스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으로부터 촬영을 요청받은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앱이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앱은 상기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를 상기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으로 전송하며, 전송받은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은 마스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와 상기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앱으로부터 전송받은 스틸이미지를 결합함으로써 입체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은 상기 마스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와 상기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 가운데 어느 하나를 우측 이미지 채널로 나머지 하나를 좌측 이미지 채널로 포함하여 결합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은 자이로 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은 자이로 센서가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의 회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마스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 및 상기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를 번갈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은 상기 마스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와 상기 슬레이브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스틸이미지 가운데 어느 하나를 크롭함으로써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일치하도록 오차보정을 수행한 다음 입체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은 또는 상기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앱은 마스터 스마트폰과 슬레이브 스마트폰의 상호 겹쳐질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카메라모듈 및 슬레이브 카메라모듈은 각각 스틸이미지 대신 동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마스터 입체이미지촬영앱은 상기 마스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과 상기 슬레이브 입체이미지촬영앱으로부터 전송받은 동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결합함으로써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8. 마스터 스마트폰 및 슬레이브 스마트폰이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상호간 커플링되는 제 110 단계;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 및 슬레이브 스마트폰이 소정거리 이내로 인접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마스트 스마트폰의 스틸이미지 촬영기능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이 상기 슬레이브 스마트폰으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스틸이미지 촬영을 요청함과 동시에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하는 제 120 단계; 및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으로부터 촬영을 요청받은 슬레이브 스마트폰이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여 스틸이미지를 촬영하는 제 13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0 단계 이후, 상기 슬레이브 스마트폰이 촬영된 스틸이미지를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하여 전송하는 제 140 단계; 및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이 촬영한 스틸이미지와 상기 슬레이브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스틸이미지를 결합함으로써 입체이미지를 생성하는 제 150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50 단계에서,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은 직접 촬영한 스틸이미지와 상기 슬레이브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스틸이미지 가운데 어느 하나를 우측 이미지 채널로 나머지 하나를 좌측 이미지 채널로 포함하여 결합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50 단계에서,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은 내장된 자이로 센서가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의 회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이 촬영한 스틸이미지 및 상기 슬레이브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스틸이미지를 번갈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50 단계 이전에,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이 직접 촬영한 스틸이미지와 상기 슬레이브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스틸이미지 가운데 어느 하나를 크롭함으로써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일치하도록 오차보정을 수행하는 제 141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0 단계에서,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 또는 상기 슬레이브 스마트폰이 상호 겹쳐질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 111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0 단계에서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 및 슬레이브 스마트폰은 각각 스틸이미지 대신 동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제 150 단계에서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은 직접 촬영한 동영상과 상기 슬레이브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동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결합함으로써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방법.
  15. 제 8 항 내지 제 14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방법을 컴퓨터상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10137151A 2011-12-19 2011-12-19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70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151A KR20130070034A (ko) 2011-12-19 2011-12-19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151A KR20130070034A (ko) 2011-12-19 2011-12-19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034A true KR20130070034A (ko) 2013-06-27

Family

ID=48864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151A KR20130070034A (ko) 2011-12-19 2011-12-19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00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7433A1 (en) * 2016-03-16 2017-09-21 Deutsche Telekom Ag System and method for human computer intera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7433A1 (en) * 2016-03-16 2017-09-21 Deutsche Telekom Ag System and method for human computer intera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6893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selecting image capture positions to generate three-dimensional (3D) images
KR102013978B1 (ko) 이미지들의 융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8208048B2 (en) Method for high dynamic range imaging
JP2017505565A (ja) 多面映像の生成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804199B1 (ko) 입체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TW201351959A (zh) 立體全景影像合成方法及其相關之立體攝影機
TWI584050B (zh) 全景立體圖像的合成方法、裝置及其移動終端
JP6512575B2 (ja) 三次元形状情報の配信または放送の方法
US201503268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a 3d image using single camera
KR20120046802A (ko)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03576A (ko) 삼차원 영상 생성 또는 재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7118662A1 (en) Spherical virtual reality camera
JP6649010B2 (ja) 情報処理装置
KR101670328B1 (ko) 다중 실시간 영상 획득 카메라를 통한 실감영상표출장치 및 이를 통한 영상 제어 인식방법
JP5563625B2 (ja) 画像解析装置、画像解析方法、および画像解析システム
US9591284B2 (en) Visually-assisted stereo acquisition from a single camera
JP5453552B2 (ja) 撮影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04885B2 (ja) 撮影機器、撮影方法及び撮影制御プログラム
KR2013007003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입체이미지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EP28521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processing and delivery of 3D video
WO2012014695A1 (ja) 立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撮像方法
KR20140067611A (ko) 입체영상 카메라 제어 방법
JP5367747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ならびに、撮像システム
JP4249187B2 (ja) 立体映像処理装置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2013070153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