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9236A - 유기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9236A
KR20130069236A KR1020110136863A KR20110136863A KR20130069236A KR 20130069236 A KR20130069236 A KR 20130069236A KR 1020110136863 A KR1020110136863 A KR 1020110136863A KR 20110136863 A KR20110136863 A KR 20110136863A KR 20130069236 A KR20130069236 A KR 20130069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n
light emitting
electrode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1443B1 (ko
Inventor
서정대
김효석
전은주
강혜승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6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443B1/ko
Publication of KR20130069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20Polycyclic condensed hydrocarbons
    • C07C15/27Polycyclic condensed hydrocarbons containing three rings
    • C07C15/28Anthrace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6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hetero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전자 수송층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구동 전압을 낮추고 효율을 향상시킨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차례로 적층되는 제 1 전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은 하기 화학식 1:
Figure pat00008
(R1, R2, R3, R4, R5, R6은 독립적으로 탄소 수가 6개 내지 20개의 방향족 고리나, 탄소수가 1개 내지 6개인 알킬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는 것으로 선택되며, R7, R8은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탄소 수가 6개 내지 20개의 방향족 고리 또는 탄소 수가 1개 내지 6개인 알킬에서 선택된다)로 표현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소자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새로운 전자 수송층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구동 전압을 낮추고 효율을 향상시킨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특히, 표시장치의 대형화에 따라 공간 점유가 적은 평면 표시 장치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데, 이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지 않으며 장치의 컴팩트화 및 선명한 컬러 표시를 위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경쟁력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고려되고 있다.
특히, 유기 발광 소자 중 특히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이하, 유기 발광 소자로 약칭)는 양극과 음극 상에 형성된 유기물층에 전하를 주입하면 전자와 정공이 쌍을 이룬 후 소멸하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이는 플라스틱같이 구부려질 수 있는 기판 상에도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무기 전계 발광 소자에 비해 낮은 전압(10V)으로 구동이 가능하며, 또한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어 색감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 발광 소자는 녹색, 청색, 적색의 3가지 색을 나타낼 수 있어, 차세대 풍부한 색을 표현하는 표시 장치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소자는 ITO 등으로 이루어진 양극(anode)과 Al 등으로 이루어진 음극(cathode) 사이에 유기물층을 그 기능별로 적층하고 전기장을 가함으로 빛을 내는 소자로서,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고, 또한 가볍고 플렉서블(flexible)한 기판 위에도 소자제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작되는 일반적인 유기 발광 소자들은 사용되는 재료 및 적층 구조, 그리고 양극의 표면 처리 조건 등에 따라 소자의 수명 및 효율에 큰 변화를 가져온다.
현재 유기 발광 소자의 수명 및 효율의 증가를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만족할만한 연구 결과가 나타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전자 수송층으로 주로 알려진 재료로 Alq3, TPBi, 유기 실리콘 유도체(Silole Derivatives)와 같은 재료가 있지만 이들은 모두 분자량이 낮아 열적 안정성이 떨어지고 전자 이동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전자 수송층 재료로 전자 수송층 설계시 전자 수송층과 발광층과의 LUMO 레벨 차가 작아 정공이 전자 수송층으로 넘어와, 발광층의 전자/정공 재결합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새로운 전자 수송층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구동 전압을 낮추고 효율을 향상시킨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차례로 적층되는 제 1 전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R1, R2, R3, R4, R5, R6은 독립적으로 탄소 수가 6개 내지 20개의 방향족 고리나, 탄소수가 1개 내지 6개인 알킬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는 것으로 선택되며, R7, R8은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탄소 수가 6개 내지 20개의 방향족 고리 또는 탄소 수가 1개 내지 6개인 알킬에서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 R1 내지 R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치환된 방향족 고리일 경우, 치환기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R7 또는 R8로 선택된 방향족 고리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로 치환될 수 있고, 치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사이클로헥실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의 R7, R8은 축합 고리(Fused ring)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주입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수송층의 두께는 100Å 내지 350Å일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차례로 적층되는 제 1 전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제 1 화합물과,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이들 금속과 결합하는 무기물이나 유기 화합물의 제 2 화합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칼리 금속은 Li, Na, K, Cs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토금속은 Mg, Ca, S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화합물은 상기 전자 수송층 내에 1% 내지 50% 함량 포함될 수 있다.
차례로 적층되는 제 1 전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화학식 1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R1, R2, R3, R4, R5, R6은 탄소 수가 6개 내지 20개의 방향족 고리에서 선택되며, 독립적으로 알킬, 아릴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는 것으로 선택되며, R7, R8은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탄소 수가 6개 내지 20개의 방향족 고리에서 선택되며, 선택된 방향족 고리는 알킬 또는 아릴로 치환되거나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R7, R8은 축합 고리(Fused ring)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주입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새로운 구조의 전자 수송층 재료를 통해 전자 이동도를 높여 발광층에서의 전자/정공 재결합률을 높여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에너지 밴드갭 관점에서, 새로운 구조의 전자 수송층 재료로서 발광층과 전자 수송층간 LUMO 에너지 차를 종래 재료 대비 크게 하여, 발광층에 정공이나 여기자를 컨파인(confinement)할 수 있어, 정공 또는 여기자가 전자 수송층으로 넘어와 발생하는 발광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구동 전압을 낮추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나타낸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1) 상에, 서로 대향된 제 1 전극(2) 및 제 2 전극(8)과, 상기 제 1 전극(2)과 제 2 전극(8) 사이에, 차례로 형성된 정공 주입층(3), 정공 수송층(4), 발광층(5), 전자 수송층(6) 및 전자 주입층(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는 제 1 전극(2)과 제 2 전극(8)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제 1 전극(2)으로부터 정공(hole)이 제 2 전극(8)으로부터 전자(electron)가 주입되어 발광층(5)에서 정공과 전자가 재결합하여 이로 인해 엑시톤(exciton)이 생성되며, 이 엑시톤이 기저상태로 떨어지면서 빛이 배면 발광하게 된다.
상기 정공 주입층(3)은 제 1 전극(2)으로부터 정공을 주입받아서 정공 수송층(4)에 수송하며, 정공 수송층(4)은 정공 주입층(3)으로부터 정공을 주입받아 정공을 발광층(5)에 수송한다. 유사하게, 전자 주입층(7)은 제 2 전극(8)으로부터 전자를 주입받아서 전자 수송층(6)에 수송하며, 전자 수송층(6)은 전자 주입층(7)으로부터 전자를 주입받아 전자를 발광층(5)에 수송한다.
여기서, 제 1, 제 2 전극(2, 8) 사이의 상기 정공 주입층(3)에서부터 상기 전자 주입층(7)은 유기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적으로 효율을 더 높이기 위해 소량의 무기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유기물의 경우, 전자의 이동도가 정공의 이동도보다 일반적으로 낮으므로 전자의 전달 속도가 떨어져 발광층에서 전자와 정공이 만나는 비율이 낮아 발광층의 효율이 낮게 나올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알려진 전자 수송층 재료(Alq3, TPBi, 유기 실리콘 유도체(Silole Derivatives))로는 정공 수송층과의 이동도 차이로 발광층에서 전자/정공 재결합이 충분히 이루어지기 힘들다. 또한, 상술한 전자 수송층 재료로 전자 수송층 형성시, 발광층과 전자 수송층의 LUMO 레벨 차이가 작아 정공이 전자 수송층으로 이동되어, 발광층에 정공을 컨파인(confine)하기 힘들어 발광에 최대한 활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전자 수송층 또는 전자 주입층의 재료로 새로운 구조의 화합물을 설계, 적용하여, 고효율이며 저전압 구동 소자를 구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 수송층에 이용되는 재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된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여기서, R1, R2, R3, R4, R5, R6은 독립적으로 탄소 수가 6개 내지 20개의 방향족 고리나, 탄소수가 1개 내지 6개인 알킬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는 것으로 선택되며, R7, R8은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탄소 수가 6개 내지 20개의 방향족 고리 또는 탄소 수가 1개 내지 6개인 알킬에서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 R1 내지 R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치환된 방향족 고리일 경우, 치환기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R7 또는 R8로 선택된 방향족 고리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로 치환될 수 있고, 치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사이클로헥실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의 R7, R8은 축합 고리(Fused ring)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수송 및 주입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전자 수송층 외에 상기 전자 주입층도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은 안트라센의 중심의 양측이 질소(N) 기로 치환되고, 상기 양측의 질소 기와 이미다졸 링(imidazole ring)이 연결된 구조를 모체로 하고 있다. 이러한 화학식 1에는 아민기(amine group)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조는 분자량이 크고 이동도가 향상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전자 수송층의 두께는 100Å 내지 350Å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수송층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단일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차례로 적층되는 제 1 전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제 1 화합물과,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이들 금속과 결합하는 무기물이나 유기 화합물의 제 2 화합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칼리 금속은 Li, Na, K, Cs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토금속은 Mg, Ca, S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제 1 화합물은 상기 전자 수송층 내에 1% 내지 50% 함량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나타낸 예이다.
도 2와 같이,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EM-01 부터 EM-12와 같다. 그러나, 도시된 예는 R1 내지 R8이 치환될 수 있거나 있지 않은 방향족 고리의 한정된 예에 불과한 것으로, 화학식 1에 대해 위의 설명된 조건의 범위에서 여러 형태로 치환 가능하다.
도 3 및 4는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다른 형태의 화합물 EM-13부터 EM-24와 EM-25부터 EM-36으로, 상기 방향 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치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도시된 예는 본 발명의 전자 수송층을 나타내는 화합물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학식 1에 대해 위의 설명된 조건의 범위에서 여러 형태로 치환 가능하다.
이하, 표 1을 통해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의 전자 수송층의 재료를 도 2의 EH-01(도 2 참조), EH-23(도 3 참조)으로 한 실시예 1 및 2와, 최근 이용되는 전자 수송 재료로 LGC ELT1(화학식 2 참조)로 비교예를 정하여 실험한 결과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에서 해당 재료로 이루어진 전자 수송층의 두께는 모두 200Å으로 하였고, 전류 밀도는 10mA/cm2로 일치시켜 실험하였다.
Figure pat00004
표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2의 경우, 구동 전압이 4.1V, 4.2V로, 비교예의 4.8V 대비 모두 0.6V 이상 구동 전압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양자 효율(EQE)의 값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경우, 8,8%와 9.0%로, 비교예 대비 0.2% 이상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실험에서 색좌표는 실시예들이나 비교예에서 약간의 값 차이가 있으나, 그 차이는 미미하는 것으로, 발광되는 색감은 거의 동일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시 구동 전압의 감소와 외부 양자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05
위의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에 대해 실험예는 도 1의 구조를 통해 설명된다. 실험예에는 상기 전자 수송층의 성분에 따라 실시예와 비교예로 나뉘며, 나머지 층은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동일 재료, 동일 두께로 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예]
이러한 실시예 1 및 2은 전자 수송층으로서 EM-01, EM-23에 한한 것이나, 전자 수송층으로서 상술한 화학식 1이 표현하는 다른 형태의 화합물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전자 수송층 외에 제 1, 제 2 전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및 정공 주입층의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층의 기능성을 유지한다면 다른 재료로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먼저, 도 1과 같이, 투명한 기판(1)상에 양극 물질로서 제 1 전극(2)을 형성한다. 양극 물질로는 흔히 ITO(Indium Tin Oxide)가 쓰인다.
이어, 상기 제 1 전극(2) 위에 정공 주입층(3)(HIL: Hole Injection Layer)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정공 주입층(3)으로는 주로 DNTPD (N,N′-diphenyl-N,N′-bis-[4-(phenyl-m-tolylamino)-phenyl]-biphenyl-4,4′-diamine)을 10nm 내지 60nm 두께로 형성한다.
이어, 정공수송층(4)(HTL: Hole Transport Layer)을 형성한다. 상기 정공 송층(4)으로는 NPD (4,4'-bis[N-(1-naphthyl)-N-phenylamino]-biphenyl)를 이용하여 약 10nm 내지 150nm 정도 증착하여 형성한다.
이어, 상기 정공 수송층(4) 상에 유기 발광층(5)(EML: organic emitting layer)을 형성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도펀트를 첨가한다.
예를 들어, 녹색발광의 경우 흔히 유기발광층의 호스트 물질을 beta-AND (9,10-bis(2-naphthyl)anthracene)에 도펀트(dopant)는 C545T(2,3,6,7-Tetrahydro-1,1,7,7,-tetramethyl-1H, 5H,11H-10-(2-benzothiazolyl) quinolizino[9,9a,1gh]coumarin))를 사용을 하는데 doping 농도를 3% 정도로 하며, 두께를 20~50nm 정도를 증착하여 녹색 박광층을 형성한다. 만일, 다른 색상의 발광을 꾀하는 경우, 도펀트 재료에 차이를 둘 수 있다.
이어, 상기 발광층(5) 상에, 전자 수송층(6)(ETL: Electron Transport Layer)과 전자 주입층(7)(EIL: Electron Injection Layer)을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주로 전자 수송층(5) 재료로는 실시예 1 내지 3으로는 각각 EM-01, EM-04, EM-06ㅇAl을 이용하고, 비교예에서는 LGC-ETL1(화학식 2 참조)을 형성한다.
이어, 보호막(미도시)을 더 형성하여 유기 발광 소자로의 투습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유기 발광 소자는 상술한 소자 구성 하부에 제 1 전극 또는 제 2 전극과 접속하도록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화소별로 배치하도록 하여, 화소를 매트릭스상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에 적용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화소별 색상별 구현을 위해 R, G, B 발광층을 별도로 구성하거나 백색 발광 스택의 구성을 전면 갖고, 컬러 필터층을 화소별 배치하여 컬러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 기판 2: 제 1 전극
3: 정공 주입층 4: 정공 수송층
5: 발광층 6: 전자 수송층
7: 전자 주입층 8: 음극

Claims (13)

  1. 차례로 적층되는 제 1 전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여기서, R1, R2, R3, R4, R5, R6은 독립적으로 탄소 수가 6개 내지 20개의 방향족 고리나, 탄소수가 1개 내지 6개인 알킬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는 것으로 선택되며,
    R7, R8은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탄소 수가 6개 내지 20개의 방향족 고리 또는 탄소 수가 1개 내지 6개인 알킬에서 선택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치환된 방향족 고리일 경우, 치환기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7 또는 R8로 선택된 방향족 고리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사이클로헥실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R7, R8은 축합 고리(Fused 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주입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의 두께는 100Å 내지 35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8. 차례로 적층되는 제 1 전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제 1 화합물과,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이들 금속과 결합하는 무기물이나 유기 화합물의 제 2 화합물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여기서, R1, R2, R3, R4, R5, R6은 독립적으로 탄소 수가 6개 내지 20개의 방향족 고리나, 탄소수가 1개 내지 6개인 알킬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는 것으로 선택되며,
    R7, R8은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탄소 수가 6개 내지 20개의 방향족 고리 또는 탄소 수가 1개 내지 6개인 알킬에서 선택된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치환된 방향족 고리일 경우, 치환기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R7 또는 R8로 선택된 방향족 고리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은 Li, Na, K, Cs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토금속은 Mg, Ca, S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합물은 상기 전자 수송층 내에 1% 내지 50% 함량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20110136863A 2011-12-16 2011-12-16 유기 발광 소자 KR101941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863A KR101941443B1 (ko) 2011-12-16 2011-12-16 유기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863A KR101941443B1 (ko) 2011-12-16 2011-12-16 유기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236A true KR20130069236A (ko) 2013-06-26
KR101941443B1 KR101941443B1 (ko) 2019-01-24

Family

ID=4886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863A KR101941443B1 (ko) 2011-12-16 2011-12-16 유기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912A1 (ko) * 2017-11-15 2019-08-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화물 박막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발광소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2220A (ko) * 2005-07-22 2007-0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이미다졸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자소자
KR20090079134A (ko) * 2008-01-16 2009-07-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새로운 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2220A (ko) * 2005-07-22 2007-0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이미다졸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자소자
KR20090079134A (ko) * 2008-01-16 2009-07-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새로운 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912A1 (ko) * 2017-11-15 2019-08-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화물 박막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 발광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443B1 (ko)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5996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having a color-neutral dopant in a hole-transport layer and/or in an electron-transport layer
KR101429924B1 (ko) 탠덤형 백색 유기 발광 소자
US1015796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7859186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1908509B1 (ko) 탠덤형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1535824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1929040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0836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68119B1 (ko) 파이렌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291896B1 (ko) 전하생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10007154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103050641B (zh) 有机发光器件和使用该器件的显示板
US6692846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stabilizing dopant in a hole-transport layer or in an electron-transport layer distant from the emission layer
CN106848084B (zh) 一种oled显示面板、制作方法及含有其的电子设备
KR20090095022A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US20040144974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with organic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phosphorescent material
KR20140032322A (ko) 안트라센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00073417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240041298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00072644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275535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JP2014031371A (ja) 燐光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発光ダイオード素子
TWI249368B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ree emissive layer
WO2015192591A1 (zh)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KR101941443B1 (ko) 유기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