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911A - Pipe connector - Google Patents

Pipe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911A
KR20130068911A KR1020110136360A KR20110136360A KR20130068911A KR 20130068911 A KR20130068911 A KR 20130068911A KR 1020110136360 A KR1020110136360 A KR 1020110136360A KR 20110136360 A KR20110136360 A KR 20110136360A KR 20130068911 A KR20130068911 A KR 20130068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connector
circumference
pip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3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97594B1 (en
Inventor
오강원
Original Assignee
오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강원 filed Critical 오강원
Priority to KR1020110136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594B1/en
Publication of KR20130068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9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5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drain pipe connector is provided to reduce costs by stably connecting a connection pipe to a penetration hole regardless of a diameter of a main pipe. CONSTITUTION: A drain pipe connector comprises a connector main body(1), a variable diameter type fixing ring(2), a watertight ring(5), and a band clamp(3). The connector main body is closely inserted into an inner circumference of a penetration hole of a main pipe, and a peripheral sinking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ar. The variable diameter type fixing ring comprises a peripheral partitioning wall ring, an expansion bent unit(22), and an opening unit cover partitioning plate(23) and fixes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of the connector main body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enetration hole. The band clamp is mounted on the peripheral sinking groove and fixes a connection pipe to the connector main body.

Description

하수관 연결구{Pipe connector}Sewer pipe connector

본 발명은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에 고정되는 연결구 본체를 연결배관의 직경마다 한 종류만을 제조하여 주배관의 직경과 관계없이 상기 관통홀에 연결배관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직경 가변형 고정링을 통해 연결구 본체를 주배관의 관통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er pipe connector, and more specifically, to manufacture only one type of connector body fixed to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main pipe for each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to connect and fix the connection pipe to the through-hole regardless of the diameter of the main pipe. And it relates to a sewer pipe connector to be fixed to the through-hole of the main pipe through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콘크리트 옹벽으로 이루어진 지하시설물로서의 하수관과, 필요에 의해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는 하수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수관은 사람이 사용하고 버리는 생활하수를 일정한 장소 즉, 생활하수를 정화하는 하수정화처리장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지하에 매설하는 관을 지칭하는 것이다.In general, sewage pipes can be divided into sewage pipes as underground facilities consisting of concrete retaining walls, and sewage pipes that can be replaced or repaired as necessary. It refers to a pipe buried underground to flow to the purification plant.

이와 같은 하수관은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지나 사무실(빌딩)과 같은 건물을 건축하는데 필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며,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은 자연적으로 흐르도록 매설되고, 그 재질은 콘크리트이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경에는 방수코팅이 되어 생활하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These sewer pipes are essentially buried underground to build inhabited houses or offices (buildings), and sewer pipes buried underground flow naturally, and the material is concrete and cylindrical. Its inner diameter is waterproof coated to prevent leakage of domestic sewage.

상기와 같은 하수관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변에 사람이 거주하고 생활하는 새로운 건축물(주택이나 빌딩)을 건축할 경우에 주변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에 새로운 하수관을 연결하게 된다. When building a new building (house or building) where people live and live in the state where the sewer pipe is buried underground, the new sewer pipe is connected to the sewer pipe buried nearby.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새로운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하수구 연결구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2365호의 "하수관 연결구"(이하, "종래 일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ment of the sewer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new sewer pipe, first, the "sewer pipe connector" (hereinafter, "sewer pipe connector of the conven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nt has been previously fil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1-0082365) .) Is as follows.

종래의 하수관 연결구는,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측 둘레면에 내측 외부에 형성된 둘레 돌출부가 밀착되게 삽입 관통되고, 외측 외부에는 나선부가 형성되며, 내부의 둘레에는 연결배관의 단부가 밀착되는 밀착 돌출턱이 형성된 연결구본체와; 상기 연결구본체의 외부에 삽입되는 수밀링과; 상기 나선부에 체결되어 잠금 체결을 통해 수밀링을 눌러주는 누름너트를; 포함한다.The conventional sewer pip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main pipe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ipheral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ide, the outer outer side is formed with a spiral porti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close contact protrusion th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ipe is in close contact A formed connector body; A water sealing ring inserted into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body; A push nut which is fastened to the spiral part and presses a water-tight ring through a lock fastening; .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하수관 연결구를 사용하여 주배관과 연결배관을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주배관의 직경이 각기 다름에 따라서 연결구 본체의 내측 외부에 형성된 둘레 돌출부를 주배관의 직경과 상응되게 크기별로 여러 종류로 제조해야 한다. 다시말해 연결배관의 직경마다 연결구 본체를 제조해야 하며, 연결배관의 직경이 동일한 연결구 본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주배관의 직경마다 또 다른 여러 종류의 연결구 본체를 제조해야 한다. However,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main pipe and the connection pipe using the conventional sewer pipe connec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the diameter of the main pipe is different, the circumferential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connector body is different in size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main pipe. It must be manufactured in kind. In other words, the connector body should be manufactured for each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an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same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another different type of connector body should be manufactured for each diameter of the main pipe.

따라서 연결배관의 직경마다 연결구 본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의 직경마다 여러 종류의 연결구 본체를 제조해야 함에 따라, 다종의 연결구 본체의 제조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Therefore, in manufacturing the connector body for each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according to the production of various types of connector body for each diameter of the main pip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st of the production of the connector body of various types is excessi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에 고정되는 연결구 본체를 연결배관의 직경마다 한 종류만을 제조하여 주배관의 직경과 관계없이 상기 관통홀에 연결배관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직경 가변형 고정링을 통해 연결구 본체를 주배관의 관통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nufacture only one type of connector body fixed to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main pipe for each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so as to connect and fix the connection pipe to the through hole irrespective of the diameter of the main pipe, fixed diameter variable typ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wer pipe connector that allows the connector body to be firmly fix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main pipe through the r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구 본체에 삽입되는 연결배관의 전방 단부를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에 밀착되게 하여 연결배관의 전방이 시공 도중이나 시공 후 연결구 본체의 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ip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body in close contact with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to prevent the front of the connection pipe from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connector body during or after construction. To provide sewer pipe connection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경 가변형 고정링에 구비된 신축 절곡부를 누르는 과정만을 통해 직경 가변형 고정링의 직경을 신속하게 확장시킬 수 있게 하고, 직경 가변형 고정링의 둘레 격판링에 형성된 둘레 조정 개방부의 외측을 개방부 커버격판으로 커버하여 연결구 본체의 고정력을 좀 더 향상 시킬 수 있게 하는 하구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expand the diameter of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by pressing the stretchable bent portion provided in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the circumferenc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plate of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Covering the outer side of the adjustment opening with the opening cover plate provides an inlet pipe connector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connector bod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구 본체의 외주면에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후방 주위의 후면에 밀착되는 수밀링을 더 구비함으로써, 연결구 본체와 관통홀 사이의 수밀성을 좀 더 향상시키는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er pipe connector further improving the watertightness between the connector body and the through-hole by further comprising a water-tight r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rea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main pipe. In provid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측 둘레면에 전방의 외주면이 밀착되게 삽입되고, 후방의 외주면에는 둘레 함몰홈이 형성된 연결구 본체와;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부의 전방 둘레에 직경의 가변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부의 전방 둘레를 외측으로 눌러주어 상기 연결구 본체의 전방 둘레를 상기 관통홀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과;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부에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연결배관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둘레 함몰홈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배관을 연결구 본체의 내부에 고정하는 밴드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nector body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main pipe, the connector body formed with a recessed recess in the rear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is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by pressing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inside of the connector body to the outside by mounting the variable diameter in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connector body. and; A band clamp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recessed groove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ipe is insert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connector body to fix the connection pipe to the inside of the connector body; .

또한,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은, 원형링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둘레에는 둘레 조정 개방부가 형성된 둘레 격판링과;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의 양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의 양 단부측의 내면에 양측이 고정되어 펴짐과 접힘을 통해 둘레 조정 개방부의 폭을 조정하는 신축 절곡부와;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의 일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의 일 단부측의 외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의 타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의 타측 단부측의 외면에 밀착되게 돌출되어 있는 개방부 커버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ameter-variable fixed ring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ing, the circumferential diaphragm ring is formed in the circumference adjustment opening; An elastic bending portion for adjusting both the widths of the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s by extending and folding both sides to inner surfaces of both end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ring which are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ce openings; One side is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one end side of the circumferential ring, which is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 and the other side is an open part protrud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side of the circumferential plate, which is the oth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 Cover plate; .

또한, 상기 둘레 격판링은, 둘레의 전방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배관의 전방 단부가 밀착되는 전방 둘레돌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ront circumferential projection plate protruding inward to the front of the circumferen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pipe.

또한, 상기 둘레 격판링은, 둘레의 전방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전방 둘레돌출판과, 둘레의 후방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배관의 전방 단부가 밀착되는 후방 둘레돌출판과, 상기 전,후방 둘레돌출판의 사이에 끼워져 둘레 격판링의 내측 둘레를 막는 둘레 밀봉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ircumferential plate may include a front circumferential plate protruding inwardly at the front of the circumference, a rear circumferential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at the rear of the circumference and closely contacting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pipe, and the front and rear circumferential protrusions of the circumferential pla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ircumferential sealing ring sandwiched between and blocki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tial plate.

또한, 상기 신축 절곡부는, 상기 둘레 고정 개방부의 양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의 양 단부측의 내면에 고정되는 양 측 고정판과; 상기 양 측 고정판의 사이에서 양 측 절곡부와 중간 절곡부에 의해 양 측 고정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돌출된 신축 절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bending portion, both side fixing plate which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th end side of the circumferential plate which is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fixed opening; A stretchable bending plate integrally formed with both side fixing plates and protruding inwardly by both side bending portions and the middle bending portion between the two side fixing plates; .

또한, 상기 연결구 본체는, 전방 단부측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의 전방이 밀착되는 내측 돌출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ner protruding jaw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in the front end side inside the front of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is in close contact.

또한, 상기 연결구 본체는, 내부 전방의 둘레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이 삽입되는 링 장착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ing mounting groove is formed to be recessed around the inner front, the diameter-variable fixed ring is inserted.

또한, 상기 연결구 본체의 외주면의 중간에 형성된 돌출 누름턱과, 상기 돌출 누름턱의 전방인 연결구 본체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전방 둘레가 상기 주배관의 관통홀 후방 주위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수밀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water pressure ring i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ressing jaw formed in the middl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main body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main body which is the front of the protruding pressing jaw so that the front circumferen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round the rear of the through hole of the main pipe. It further comprise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에 고정되는 연결구 본체를 연결배관의 직경마다 한 종류만을 제조하여 주배관의 직경과 관계없이 상기 관통홀에 연결배관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구 본체의 종류를 줄여 연결구 본체들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직경 가변형 고정링을 통해 연결구 본체를 주배관의 관통홀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making only one type of connector body fixed to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main pipe for each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to connect and fix the connection pipe to the through hole irrespective of the diameter of the main pip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ype of the main body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nnector body, and also to secure the connector body in the through-hole of the main pipe through a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to prevent the leakage of water even if used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 본체에 삽입되는 연결배관의 전방 단부를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에 밀착되게 하여 연결배관의 전방이 시공 도중이나 시공 후 연결구 본체의 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결배관의 전방이 주배관의 내부로 돌출되어 주배관의 하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pip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main body in close contact with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to prevent the front of the connecting pipe from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connector main body during or after construction of the connection pipe, It is also effective to prevent the front protrudes into the inside of the main pipe to interfere with the sewage flow of the main pipe.

또한, 본 발명은, 직경 가변형 고정링에 구비된 신축 절곡부를 누르는 과정만을 통해 직경 가변형 고정링의 직경을 신속히 확장시켜 하수관의 연결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직경 가변형 고정링의 둘레 격판링에 형성된 둘레 조정 개방부의 외측을 개방부 커버격판으로 커버하여 직경 연결구 본체의 고정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수밀성을 좀 더 향상시키는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sewer pipe by rapidly expanding the diameter of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only by pressing the stretchable bending portion provided in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the circumference of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Covering the out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 formed in the diaphragm with an opening cover plate, it is also effective to provide a sewer pipe connector that further improves watertightness by improving the fixing force of the diameter connector body.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 본체의 외주면에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후방 주위의 후면에 밀착되는 수밀링을 더 구비함에 따라, 연결구 본체의 외주면과 관통홀 사이의 수밀성을 좀 더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has an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watertightness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the through-hole by further including a water-tight r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circumference of the rea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main pi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구성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구성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wer pip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wer pip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constituting the sewer pip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wer pipe connector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wer pipe connector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Figure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constituting the sewer pipe connector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describ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wer pip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wer pip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는, 주배관(100)에 형성된 관통홀(101)에 연결배관(20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는, 상기 관통홀(101)에 삽입되는 관 형상의 연결구 본체(1)와, 상기 연결구 본체(1)의 전방의 내부 둘레를 상기 주배관(100)의 관통홀(101)의 내부 둘레에 고정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2)과, 상기 연결구 본체(1)의 내부에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연결배관(200)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둘레 함몰홈(11)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배관(200)을 연결구 본체(1)의 내부에 고정하는 밴드 클램프(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wer pip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connect the connecting pipe 200 to the through-hole 101 formed in the main pipe (100). And the sewer pi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ular connector body 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01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front of the connector body 1 in the through hole 101 of the main pipe 100 A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ion body 200 is mounted to the circumference recessed groove (11)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pipe 200 is insert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connecting body (1) The band clamp 3 which fixes the piping 200 to the inside of the connector main body 1 is included.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구 본체(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연결배관(200)이 삽입되고, 삽입된 연결배관(200)을 상기 주배관(100)의 관통홀(101)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The connector main body 1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and 3, is configured in a tubular shape inside the connection pipe 200 is insert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the insertion pipe 200 inserted ) Serves to connect the through hole 101 of the main pipe (100).

그리고 상기 연결구 본체(1)는, 상기 주배관(100)에 형성된 관통홀(101)의 내측 둘레면에 전방의 외주면이 밀착되게 삽입되고, 후방의 외주면에는 둘레 함몰홈(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연결구 본체(1)는, 연결구 본체(1)를 상기 주배관(100)에 관통홀(101)에 끼울 수 있고 내부 후방에 연결배관(200)을 끼울 수 있도록, 유동성을 가진 고무재나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And the connector body 1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01 formed in the main pipe 100, the peripheral recessed groove 11 is formed on the rear outer peripheral surface. . In addition, the connector body (1), the connector body (1)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01 in the main pipe 100 and the connection pipe 200 in the rear to the inside, of a rubber material or soft having fluidity It is composed of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둘레 함몰홈(11)은, 상기 연결구 본체(1)의 내부 후방에 삽입되는 연결배관(200)을 고정하는 상기 밴드 클램프(3)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밴드 클램프(3)의 전,후방 폭과 동일한 폭으로 연결구 본체(1)의 외주면 둘레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e circumferential recessed groove 11 is mounted with the band clamp 3 for fixing the connection pipe 200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connector main body 1,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band clamp 3. It is formed to be recesse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main body 1 in the same width | variety.

또한 상기 연결구 본체(1)는, 전방 단부측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의 전방이 밀착되는 내측 돌출턱(12)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내측 돌출턱(12)에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의 전방이 밀착됨으로써,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을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onnector main body 1 further includes an inner protruding jaw 12 in which the front end side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and the front of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is in close contact. Therefore, the front of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rotruding jaw 12,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fixed more firmly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또한 상기 연결구 본체(1)는, 내부 전방의 둘레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이 삽입되는 링 장착홈부(13)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링 장착홈부(13)는,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의 전,후방 폭과 동일한 전,후방의 폭으로 연결구 본체(1)의 내부 둘레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링 장착홈부(13)에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을 설치함으로써,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의 설치를 좀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onnector main body 1 further includes a ring mounting groove 13 formed to be recessed around the inner front to insert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therein. In addition, the ring mounting groove 13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or main body 1 with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equal to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Therefore, by installing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in the state in which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is inserted into the ring mounting groove 13,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quickly and easily install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There is also.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구성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constituting the sewer pip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 본체(1)의 내부의 전방 둘레에 직경의 가변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연결구 본체(1)의 내부의 전방 둘레를 외측으로 눌러주어 상기 연결구 본체(1)의 전방 둘레를 상기 관통홀(101)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variable diameter of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inside of the connector body 1 is mounted to enable the connector body (1) By pressing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inner side to the outside to serve to fix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connector body (1)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01).

그리고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은, 원형링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둘레에는 둘레 조정 개방부(211)가 형성된 둘레 격판링(21)과;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양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양 단부측의 내면에 양측이 고정되어 펴짐과 접힘을 통해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폭을 조정하는 신축 절곡부(22)와;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외측을 커버하는 개방부 커버격판(23)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둘레 격판링(21)과 신축 절곡판(222) 및 개방부 커버격판(23)은, 둘레 격판링(21)의 직경을 확장시킨 후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진 철 등의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다. And the diameter-variable fixed ring (2)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ing, the circumferential diaphragm 21 is formed in the circumference adjustment opening 211; Both sides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both end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diaphragm 21, which is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 211, and the elastic bend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circumference adjustment opening 211 through opening and folding ( 22); An opening part cover plate 23 covering an outer side of the circumference adjusting opening part 211; . 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plate 21 and the elastic bending plate 222 and the opening cover plate 23, such as iron having sufficient strength to maintain the state after expanding the diameter of the circumferential plate 21 It is composed of a metal material.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는, 둘레 격판링(21)의 둘레에 하나가 종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신축 절곡부(22)의 누름을 통해 양 단부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서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직경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One of the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s 211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ring 21 and the circumferential ring as the widths of both ends of the circumferential ring 21 widen by pressing the stretchable bent portion 22.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diameter of (21).

상기 신축 절곡부(22)는, 누름에 의한 펴짐을 통해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양측 폭을 넓히고, 접힘 공구에 의한 접힘을 통해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양측 폭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신축 절곡부(22)는,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양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양 단부측의 내면에 고정되는 양 측 고정판(221)과, 상기 양 측 고정판(221)의 사이에서 양 측 절곡부(223)와 증간 절곡부(224)에 의해 양 측 고정판(221)과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돌출된 신축 절곡판(22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신축 절곡부(22)를 누르는 과정만을 통해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의 직경을 신속히 확장시켜 하수관의 연결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양 측 고정판(221)은 상기 양 둘레 격판링(21)의 내면에 용접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The elastic bending portion 22 widens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 211 through unfolding by pressing, and reduces the width of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ce adjustment opening 211 through folding by a folding tool. To do. In addition, the stretchable bending portion 22 includes both side fixing plates 221 fixed to inner surfaces of both end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diaphragm 21 that are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 211, and the both side fixing plates ( The elastic bending plate 222 integrally formed with both side fixing plates 221 and protruded inward by both side bending portions 223 and the intermediary bending portions 224 between the 221s.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nection construction of the sewer pipe can be shortened by rapidly expanding the diameter of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only by pressing the stretchable bending part 22. In addition, the both side fixing plate 221 is firm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diaphragm 21 by welding.

상기 개방부 커버격판(23)은,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일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일 단부측의 외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타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타측 단부측의 외면에 밀착되게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둘레 조정 개방부(211)를 상기 개방부 커버격판(23)으로 커버함으로써, 상기 연결구 본체(1)의 고정력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The opening part cover plate 23 has one side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one end side of the circumferential diaphragm 21 which is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 211 and the other side of the circumference adjustment opening 211. It protrude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side of the said circumferential ring 21 which is the other side. Therefore, by covering the circumference adjusting opening 211 of the circumferential ring 21 with the opening cover plate 23,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connector body (1) more.

아울러 상기 둘레 격판링(21)은, 둘레의 전방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배관(200)의 전방 단부가 밀착되는 전방 둘레돌출판(24)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배관(200)의 전방 단부를 상기 전방 둘레돌출판(24)의 후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연결배관(200)의 전방이 시공 도중이나 시공 후 연결구 본체(1)의 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plate 21 further includes a front circumferential protrusion 24 protruding inward to the front of the circumference such that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ipe 200 is in close contact. Therefore,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ipe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front circumferential protrusion plate 24, so that the front of the connection pipe 200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connector body 1 during or after construction. It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밴드 클램프(3)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 본체(1)의 후방 외주면의 둘레를 긴장되게 감싸 고정함으로써 연결구 본체(1)의 내부 후방에 삽입된 연결배관(2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band clamp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by tightening the circumference around the rea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1 to the inner rear of the connector body (1) It serves to firmly insert the inserted connection pipe 200.

상기 밴드 클램프(3)는, 상기 연결구 본체(1)의 후방 외주면에 형성된 둘레 함몰홈(11)에 삽입되는 밴드와 밴드의 양 단부를 상호 조이면서 연결하는 조임 연결수단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밴드 클램프(3)는 여러 종류가 공지되어 있는 것이다.
The band clamp (3), the band is inserted into the circumferential recessed groove (11) formed on the re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1 and tightening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and tightening both ends of the band, such a band clamp (3) several kinds are know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 본체(1)의 외주면의 중간에 형성된 돌출 누름턱(4)과, 상기 돌출 누름턱(4)의 전방인 연결구 본체(1)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전방 둘레가 상기 주배관(100)의 관통홀(101) 후방 주위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수밀링(5)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wer pip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projection pressing jaw (4) formed in the middl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1, and the projection pressing jaw ( It further includes a water-tight ring (5)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1) that is the front of 4) and the front circumferen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round the rear of the through-hole 101 of the main pipe 100.

상기 수밀링(5)은, 후방의 수직 단부가 상기 돌출 누름턱(4)의 전방 수직면에 밀착되고, 전방의 굴곡면이 상기 관통홀(101) 후방 주위의 둘레면에 밀착됨으로써, 연결구 본체(1)의 외주면과 주배관(100)의 관통홀(101) 사이의 수밀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The water-tight ring 5 has a rear end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vertical surface of the protruding pressing jaw 4, and the front curved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round the rear of the through hole 101.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watertightness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1) and the through hole 101 of the main pipe 100 mor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functional relationship of the sewer pip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를 통해 주배관(100)에 연결배관(200)을 연결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연결구 본체(1)의 외주면의 중간에 형성된 돌출 누름턱(4)의 전방에 수밀링(5)을 삽입한다. 1 to 4, when connecting the connection pipe 200 to the main pipe 100 through the sewer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protrusion formed in the middl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1) The water sealing ring 5 is inserted in front of the pressing jaw 4.

다음 상기 수밀링(5)이 삽입된 연결구 본체(1)의 전방을 주배관(100)에 형성된 관통홀(101)에 삽입하고, 상기 수밀링(5)의 전방면을 관통홀(101)의 후방 주위의 둘레면에 밀착시킨다. Next, the front of the connector body 1 into which the water milling ring 5 is inserte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01 formed in the main pipe 10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milling ring 5 is rearward of the through hole 101. It adheres to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ce.

다음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을 상기 연결구 본체(1)의 내부 전방의 둘레에 삽입하고,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을 구성하는 신축 절곡부(22)의 증간 절곡부(224)를 외측으로 눌러 둘레 격판링(21)의 직경을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링 장착홈부(13)의 둘레를 외측을 눌러주는 과정을 통해 연결구 본체(1)를 주배관(100)의 관통홀(101)에 고정한다. Next,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is inserted around the inner front of the connector body (1), and the intermediate bending portion (224) of the elastically folded portion (22) constituting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to the outside. By pressing to expand the diameter of the circumferential diaphragm 21, the connector body 1 is fixed to the through-hole 101 of the main pipe 100 through the process of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ing mounting groove (13).

다음 상기 연결구 본체(1)의 내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연결배관(200)을 삽입하면서, 연결배관(200)의 전방 단부를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의 전방 둘레돌출판(24)의 후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연결배관(200)의 전방 이동을 방지하면서 연결배관(200)을 연결구 본체(1)의 내부에 삽입한다. Next, while inserting the connection pipe 200 from the rear to the front inside the connector body 1,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ipe 200 to the rear of the front circumferential projection plate 24 of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By being in close contact, the connection pipe 20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body 1 while preventing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onnection pipe 200.

최종적으로 상기와 같이 연결배관(200)이 연결구 본체(1)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구 본체(1)의 후방 외주면에 형성된 둘레 함몰홈(11)에 밴드 클램프(3)를 조임을 통해 고정하여 연결배관(200)을 고정함으로써, 주배관(100)과 연결배관(200)의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다. Finally,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ipe 20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body 1 as described above, the band clamp 3 is fixed to the circumferential recessed groove 11 formed on the re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1 by tightening. By fixing the connection pipe 200,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the main pipe 100 and the connection pipe 200.

따라서,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에 의한 고정을 통해, 상기 주배관(100)에 형성된 관통홀(101)에 고정되는 연결구 본체(1)를 연결배관(200)의 직경마다 한 종류만 제조하여 주배관(100)의 직경과 관계없이 상기 관통홀(101)에 연결배관(200)을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각 직경의 연결배관(200)마다 한 종류의 연결구 본체(1)만을 제조함에 따라, 연결구 본체(1)의 종류를 줄여 연결구 본체(1)들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을 통해 연결구 본체(1)를 주배관(100)의 관통홀(101)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연결배관(200)의 연결 후 장기간이 경과 되더라도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장점도 있다. Therefore, by fixing by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by manufacturing only one type of connector body 1 fixed to the through-hole 101 formed in the main pipe 100 for each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200 Regardless of the diameter of the main pipe 100, the connection pipe 200 can be fixed to the through-hole 101. Therefore, by manufacturing only one type of connector body 1 for each connection pipe 200 of each diame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type of connector body 1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nnector body (1). In addition, by fixing the connector body 1 to the through-hole 101 of the main pipe 100 through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even if a long time passes after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pipe 200, There is also an advantage to prevent.

아울러 상기 연결구 본체(1)에 삽입되는 연결배관(200)의 전방 단부를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에 밀착되게 하여 연결배관(200)의 전방이 시공 도중이나 시공 후 연결구 본체(1)의 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배관(200)의 전방이 주배관(100)의 내부로 돌출되어 주배관(100)의 하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ipe 20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body 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so that the front of the connection pipe 200 during or after construction of the connector body (1) Prevents from protruding from the front. Therefore, the front of the connection pipe 200 also protrudes into the inside of the main pipe 100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in advance to prevent the sewage flow of the main pipe 10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구성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wer pipe connector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wer pipe connector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2,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fixed diameter variable ring constituting the sewer pipe connector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을 제외하고 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wer pipe connector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is assumed that the other configuration includes all of the sewer pip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구성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은, 원형링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둘레에는 둘레 조정 개방부(211)가 형성된 둘레 격판링(21)과;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양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양 단부측의 내면에 양측이 고정되어 펴짐과 접힘을 통해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폭을 조정하는 신축 절곡부(22)와;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일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일 단부측의 외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타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타측 단부측의 외면에 밀착되게 돌출되어 있는 개방부 커버격판(23)과; 둘레의 전방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전방 둘레돌출판(25)과; 둘레의 후방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배관(200)의 전방 단부가 밀착되는 후방 둘레돌출판(26)과; 상기 전,후방 둘레돌출판(25)(26)의 사이에 끼워져 둘레 격판링(21)의 내측 둘레를 막는 둘레 밀봉링(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constituting the sewer pipe connector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ircumferential plate (21)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ing, the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 (211) is formed on the circumference; Both sides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both end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diaphragm 21, which is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 211, and the elastic bend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circumference adjustment opening 211 through opening and folding ( 22); One side is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one end side of the circumferential ring 21, which is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 211, and the other side is the circumferential plate 21, which is the oth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 211. An opening part cover plate 23 which protrude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side of the opening; A front circumferential protrusion 25 projecting inwardly at the front of the circumference; A rear circumferential protrusion 26 protruding inward to the rear of the circumference such that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ipe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periphery; A circumferential sealing ring 27 insert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circumferential protrusion plates 25 and 26 to block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tial diaphragm 21; .

상기 둘레 밀봉링(27)은,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의 전,후방 둘레돌출판(25)(26)의 사이에 끼워져 하수의 흐름시 저항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신축성을 가진 고무재나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이다.The circumferential sealing ring 27 is sandwich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circumferential protrusion plates 25 and 26 of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2 to reduce resistance during the flow of sewage, It is composed of synthetic resin.

따라서, 상기 연결배관(200)의 전방 단부를 후방 둘레돌출판(26)의 후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연결배관(200)의 전방이 시공 도중이나 시공 후 연결구 본체(1)의 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결배관(200)의 전방이 주배관(100)의 내부로 돌출되어 주배관(100)의 하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ipe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rear circumferential projection plate 26, thereby preventing the front of the connection pipe 200 from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connector body 1 during or after construction. You can do it. Therefore, the front of the connection pipe 200 is protrud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pipe 100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in advance to hinder the sewage flow of the main pipe 100.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 연결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the sewag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is is only for describing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thereof is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limited. In addition, an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will be apparent that this is also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연결구 본체
11 : 둘레 함몰홈
12 : 내측 돌출턱
13 : 링 장착홈부
2 : 직경 가변형 고정링
21 : 둘레 격판링
211 : 둘레 조정 개방부,
22 : 신축 절곡부
221 : 측 고정판, 222 : 신축 절곡판,
223 : 측 절곡부, 224 : 중간 절곡부,
23 : 개방부 커버격판
24 : 전방 둘레돌출판
25 : 전방 둘레돌출판
26 : 후방 둘레돌출판
27 : 둘레 밀봉링
3 : 밴드 클램프
4 : 돌출 누름턱
5 : 수밀링
100 : 주배관
101 : 관통홀
200 : 연결배관
1 connector body
11: perimeter recessed groove
12: inner projection jaw
13 ring mounting groove
2: diameter variable ring
21: perimeter plater
211: circumference adjusting opening,
22: elastic bending part
221: side fixing plate, 222: elastic bending plate,
223: side bend, 224: middle bend,
23: opening cover plate
24: front periphery protrusion plate
25: front circumference protrusion plate
26: rear periphery protrusion plate
27: circumference sealing ring
3: band clamp
4: protruding pressing jaw
5: water milling
100: main pipe
101: through hole
200: connection piping

Claims (4)

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측 둘레면에 전방의 외주면이 밀착되게 삽입되고, 후방의 외주면에는 둘레 함몰홈이 형성되며, 전방 단부와 내부에 내측에 돌출턱과 장착홈부가 형성된 연결구 본체와;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부의 전방 둘레에 직경의 가변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부의 전방 둘레를 외측으로 눌러주어 상기 연결구 본체의 전방 둘레를 상기 관통홀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과;
상기 연결구 본체의 외주면의 중간에 형성된 돌출누름턱과, 상기 돌출 누름턱의 전방인 연결구 본체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전방 둘레가 상기 주배관의 관통홀 외주연에 밀착되는 수밀링과;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부에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연결배관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둘레 함몰홈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배관을 연결구 본체의 내부에 고정하는 밴드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
Consists of a tubular shap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is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main pipe, the peripheral recess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the front end and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or formed with a projection jaw and the mounting groove A main body;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is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by pressing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inside of the connector body to the outside by mounting the variable diameter in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connector body. and;
A protruding pressing jaw formed in the middl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main body, and a water sealing ring inserted in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main body which is the front of the protruding pressing jaw so that the front circumferen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main pipe;
A band clamp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recessed groove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ipe is insert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connector body to fix the connection pipe to the inside of the connector body;
Sewer pi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은,
원형링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둘레에는 둘레 조정 개방부가 형성된 둘레 격판링과;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의 양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의 양 단부측의 내면에 양측이 고정되어 펴짐과 접힘을 통해 둘레 조정 개방부의 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둘레 결판링의 양 단부측의 내면에 공정되는 양 측 고정판과 양 측 고정판과 일체를 이루며 내측으로 돌출된 신축 절곡판으로 이루어진 신축 절곡부와;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의 일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의 일 단부측의 외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의 타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의 타측 단부측의 외면에 밀착되게 돌출되어 있는 개방부 커버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variable diameter fixed ring,
A circumferential plat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ing and having a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 formed thereon;
Both sides are fixed to inner surfaces of both end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ring, which are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 both sides of which are processed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end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binding ring to adjust the width of the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 through opening and folding. An elastic bending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plate and both sides of the fixing plate, and configured to extend inwardly;
One side is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one end side of the circumferential ring, which is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 and the other side is an open part protrud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side of the circumferential plate, which is the oth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adjustment opening. Cover plate;
Sewer pi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격판링은 둘레의 전방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배관의 전방 단부가 밀착되는 전방 둘레 돌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circumferential plate is a sewer pipe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 front circumferential protrusion that protrudes inward to the front of the circumferen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pi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격판링은 둘레의 전방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전방 둘레돌출판과, 둘레의 후방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배관의 전방 단부가 밀착되는 후방 둘레돌출판과, 상기 전,후방 둘레돌출판의 사이에 끼워져 둘레 격판링의 내측 둘레를 막는 둘레 밀봉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circumferential plate is inserted between the front circumferential plate protruding inward to the front of the circumference, the rear circumferential plate protruding inward to the rear of the circumference, a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pip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circumferential protrusions. A sewer pipe connector further comprising a circumferential sealing ring for blocki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tial plate ring.
KR1020110136360A 2011-12-16 2011-12-16 Pipe connector KR1012975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360A KR101297594B1 (en) 2011-12-16 2011-12-16 Pipe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360A KR101297594B1 (en) 2011-12-16 2011-12-16 Pipe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911A true KR20130068911A (en) 2013-06-26
KR101297594B1 KR101297594B1 (en) 2013-08-19

Family

ID=4886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360A KR101297594B1 (en) 2011-12-16 2011-12-16 Pipe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5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033B1 (en) * 2020-11-09 2022-01-10 김대현 tube connecting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111B1 (en) 2019-03-13 2020-07-23 한기만 sewer pipe connection device
KR102146010B1 (en) 2020-02-13 2020-08-20 한기만 sewer pipe connection device
KR102454257B1 (en) 2021-08-17 2022-10-14 한기만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sewer pipes
KR102447124B1 (en) 2022-03-14 2022-09-23 한기만 The connection structure of pip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662Y1 (en) * 2005-08-09 2005-10-26 채 석 전 Connection apparatus for manhole
KR200424466Y1 (en) 2006-06-09 2006-08-22 이근호 Pipe Connecting Device and Concrete Manhole having such Device
KR100894896B1 (en) 2008-10-01 2009-04-30 신광공업 주식회사 Drain-pipe connection structure of manhole
KR20110082365A (en) * 2010-01-11 2011-07-19 오강원 A clamp for connecting drain pi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033B1 (en) * 2020-11-09 2022-01-10 김대현 tube connect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7594B1 (en) 201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5721C2 (en) Flexible drain bellows
KR101297594B1 (en) Pipe connector
KR101011018B1 (en)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US9322157B1 (en) Mechanically coupled drain fixture and outlet fitting
KR100977308B1 (en) Pipe connecting apparatus of one-touch type
KR102146010B1 (en) sewer pipe connection device
KR20080033131A (en) Coupler for branc pipe
RU2692568C2 (en) Connecting means fixed on pipe, comprising movable end fastening element for connection of two pipes
KR20130039037A (en) Pipe connector
KR101957725B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branch pipe
KR20160004207U (en) Waterproof connector of sewer concrete pipe joint with socket
KR101350205B1 (en) A coupler for connecting drain pipe
KR20190139578A (en) The Construction sleeve with adjustable ring With micro-height control and anti-rotation function
KR20130051222A (en) Pipe connector
KR100849527B1 (en) Pipe connection part of manhole
KR101000666B1 (en) Both derection type's pipe coupling device using expandable prominence
KR101294759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pipe
KR101164187B1 (en) A pipe connetctor
KR101773392B1 (en) Drain pip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manhole connectors and Manhole connectors for drain pipe
KR101825428B1 (en) Socket joint for drain pi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343963Y1 (en) A coupler for the water supply pipe or drain pipe
KR100894896B1 (en) Drain-pipe connection structure of manhole
KR20190045632A (en) pipe connector
KR200319627Y1 (en) A coupler for the water supply pipe or drain pipe
KR102447124B1 (e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