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523A - Method for selecting network based on state of screen and mobile terminal for preform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lecting network based on state of screen and mobile terminal for preform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523A
KR20130068523A KR1020110135758A KR20110135758A KR20130068523A KR 20130068523 A KR20130068523 A KR 20130068523A KR 1020110135758 A KR1020110135758 A KR 1020110135758A KR 20110135758 A KR20110135758 A KR 20110135758A KR 20130068523 A KR20130068523 A KR 20130068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obile terminal
screen
communication uni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69240B1 (en
Inventor
이기호
이용규
지영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35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240B1/en
Publication of KR20130068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5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2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PURPOSE: A screen state-based network selecting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therefor are provided to supply a fast voice service by making a screen stay in a UTRAN(UMTS Radio Access Network) when the screen is turned off. CONSTITUTION: A first communication unit(110) transceives a wireless signal by accessing a first network. A second communication unit(120) transceives the wireless signal by accessing a second network. A screen(130) displays state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 call processing unit(140)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o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a state of the screen. The call processing unit accesses the first network or the second network. [Reference numerals] (100) Mobile terminal; (110)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Second communication unit; (130) Screen; (140) Call processing unit

Description

스크린 상태 기반 망 선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METHOD FOR SELECTING NETWORK BASED ON STATE OF SCREEN AND MOBILE TERMINAL FOR PREFORMING THE SAME}TECHNICAL FOR SELECTING NETWORK BASED ON STATE OF SCREEN AND MOBILE TERMINAL FOR PRE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크린 상태 기반 망 선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state based network selection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현재, UTRAN(UMTS Radio Access Network)은 회선 교환(CS: Circuit Switch) 방식과 패킷 교환(PS: Packet Switch) 방식을 모두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LTE(Long Term Evolution)에서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으로 음성 호를 지원하고는 있지만, 현재 대부분의 사업자들이 IMS를 도입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Currently, UTRAN (UMTS Radio Access Network) supports both circuit switched (CS) and packet switched (PS) methods. However, although LTE (Long Term Evolution) supports voice calls based on IP Multimedia Subsystem (IMS), most operators do not adopt IMS.

이에 따라, LTE 표준에서는 음성 호를 지원하기 위해서 CS 폴백(Circuit Switched Fallback) 서비스를 제안하고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support voice calls, the LTE standard proposes a CS fallback (Circuit Switched Fallback) service.

CS 폴백(fallback) 서비스는 이동 단말이 LTE 망에 캠핑(Camping)하고 있는 상태에서 MO(Mobile Originate) 콜(call)이 발생되거나 MT(Mobile Terminate) 콜이 발생된 경우, 이동 단말을 non LTE 즉 UTRAN으로 핸드오버시켜 음성 호를 처리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즉 LTE에서 mVoIP가 본격화 되기 전 UTRAN을 통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시(Temporary) 방식이라 할 수 있다.CS fallback service is a mobile terminal when a mobile originate (MO) call (MO) call (MT) or Mobile Terminate (MT) call is generated when the camping (Camping) to the LTE network, the mobile terminal is a non-LTE Handover to UTRAN to handle voice calls. In other words, LTE is a temporary method of providing voice service through UTRAN before mVoIP becomes full-scale.

이와 같이, LTE 망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3G 망인 UTRAN으로 천이되어야 하므로 천이되는 추가적인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되어 음성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지연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LTE network needs to transition to UTRAN, which is a 3G network, in order to receive voice service, an additional time delay is generated, which causes a lot of call setup delay for voice service.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크린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UTRAN에 머무르게 함으로써 음성 착신을 빠르게 하여 빠른 음성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는 망 선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twork selection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which enables fast voice service by allowing voice to be fast by staying in the UTRAN while the screen is turned off.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망 선택 방법은,Network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invention,

이동 단말이 스크린-여기서 스크린은 상기 이동 단말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임-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이 오프되어 있는 경우 제1 망을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이 온되어 있는 경우 제2 망을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etermining, by the mobile terminal, the state of the screen, wherein the screen is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electing and accessing a first network when the screen is off; And selecting and connecting a second network when the screen is turned on.

여기서, 상기 제1 망을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 전에, 상기 이동 단말이 전원 온되는 때에 상기 제2 망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Here, before the step of selecting and accessing the first network, the method further includes connecting to the second network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owered on.

또한, 상기 제1 망을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크린이 온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망으로 천이하여 상기 제2 망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selecting and accessing the first network, when the screen is turned on, the mobile terminal transitions to the second network and connects to the second network.

또한, 상기 제2 망을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크린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1 망으로 천이하여 상기 제1 망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selecting and connecting the second network, when the screen is off, the mobile terminal transitions to the first network and connects to the first network.

또한, 상기 제1 망은 서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망이고, 상기 제2 망은 패킷 서비스만을 제공할 수 있는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network may be a network capable of providing a circuit service, and the second network may be a network capable of providing a packet service only.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 단말은,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망에 접속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부; 제2 망에 접속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통신부 또는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망 또는 상기 제2 망에 접속하는 호 처리부를 포함한다.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by accessing the first network; A second communication unit connecting to a second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A screen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cal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o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creen to connect to the first network or the second network.

여기서, 상기 호 처리부는 상기 스크린이 오프되어 있는 때에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망에 접속하고, 상기 스크린이 온되어 있는 때에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망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call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via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en the screen is off,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via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hen the screen is on. do.

또한, 상기 호 처리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전원 온되는 때에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제2 망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ll processing unit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network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owered on.

또한, 상기 호 처리부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망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망으로 천이하여 상기 제1 망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ll processo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en the screen is turned off while the call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t features.

또한, 상기 호 처리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망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이 온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망으로 천이하여 상기 제2 망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ll process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by transitioning to the second network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hen the screen is turned on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t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가 스크린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UTRAN에 머무르게 함으로써 음성 착신을 빠르게 하여 빠른 음성 서비스가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stays in the UTRAN while the screen is turned off, thereby speeding up voice reception and enabling fast voice service.

또한, 이동 단말기가 스크린 온 상태에서는 바로 LTE 망에 접속하여 LTE 망에서 머므르므로 LTE 망을 이용하여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mobile terminal immediately connects to the LTE network and stays in the LTE network, high-speed data service is possible using the LTE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상태 기반 망 선택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CS 폴백 절차를 나타낸다.
도 3은 이동 단말이 LTE 망에 머무르는 상태에서의 일반적인 음성 호 서비스시 발생되는 시간 지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상태 기반 망 선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이 스크린 오프 상태에서 UTRAN에 머무르게되는 때의 음성 호 서비스시 발생되는 시간 지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a screen state based network selection method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general CS fallback proced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ime delay generated during a general voice call service in a state where a mobile terminal stays in an LTE network.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state based network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ime delay generated during a voice call service when the mobile terminal stays in the UTRAN in a screen off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상태 기반 망 선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creen state based network selection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상태 기반 망 선택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a screen state based network selection method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UE: User Equipment)(100)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LTE(Long Term Evolution) 망(네트워크)(200)에 접속하고, CS 서비스(예를 들면, 음성 서비스는 물론 영상 서비스, SMS(Short Message Service), LCS(LoCation Services),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를 이용할 경우,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CS(Circuit Switched)에 접속한다.Referring to FIG. 1, a user equipment (UE) 100 accesses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network) 200 when using a data service, and uses a CS service (eg, a voice service). Of course, when using video services, Short Message Service (SMS), LoCation Services (LCS), and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the U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is connected to CS (Circuit Switched).

이처럼, 이동통신시스템은 회선교환통신에 대응불능한 LTE 망(200) 및 회선교환통신에 대응가능한 WCDMA/GSM과 같은 UTRAN 망(300)이 혼재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LTE network 200, which cannot cope with circuit switched communication, and the UTRAN network 300 such as WCDMA / GSM, which can cope with circuit switched communication, are mixed.

여기서, 이동 단말(UE)(100)은 CS 폴백(Circuit Switched Fallback)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이다. Here, the mobile terminal (UE) 100 is a terminal that supports a CS Fallback (Circuit Switched Fallback) service.

CS 폴백 서비스는 LTE 셀 영역 내에서 서비스 중인 이동 단말(100)이 LTE 셀에 캠핑(camping)하고 있는 상태에서 MO(Mobile Originate) 콜(call)이 발생되거나 MT(Mobile Terminate) 콜이 발생된 경우, UTRAN 망(300)으로 이동 단말(100)을 핸드오버시켜 CS 서비스 호를 처리하도록 한다.The CS fallback service is when a mobile originate (MO) call is generated or a mobile terminate (MT) call is generated 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serving in the LTE cell area is camping in the LTE cell.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is handed over to the UTRAN network 300 to process a CS service call.

LTE 망(200)은 패킷 교환(PS: Packet Switch) 방식만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로서, eNodeB(210),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동성 관리 노드)(230), S-GW(Serving Gateway, 서빙 게이트웨이)(250),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PDN 게이트웨이)(270) 및 인터넷망(290)을 포함한다.LTE network 200 is a network that supports only packet switch (PS), eNodeB (210),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mobility management node) 230, S-GW (Serving Gateway, Serving Gateway) 250, a 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270, and an internet network 290.

여기서, eNodeB(210)는 LTE의 무선접속망의 기지국 장치로서, CS 폴백을 위한 페이징(Paging) 요청, SMS 메시지를 이동 단말(100)로 전달하는 기능, CS 서비스가 가능한 대상 셀(Target Cell)로의 직접 연결 기능을 지원한다.Here, the eNodeB 210 is a base station apparatus of a wireless access network of LTE, and provides a paging request for CS fallback, a function of delivering an SMS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target cell capable of CS service. It supports direct connection.

MME(230)는 CS 폴백은 물론, 이동 단말(100)로부터의 Combined EPS/IMSI Attach, Combined TA/LA Update, Detach, SMS 메시지 처리와 MSC(350)로의 SGs 인터페이스 연결 관리 기능을 지원한다. The MME 230 supports CS fallback as well as Combined EPS / IMSI Attach, Combined TA / LA Update, Detach, SMS message processing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nd SGs interface connection management to the MSC 350.

S-GW(250)는 이동 단말(100)이 eNodeB(210) 사이의 핸드오버시, 또는 3GPP 무선망 사이를 이동시 이동성 앵커 역할을 수행한다.The S-GW 250 serves as a mobility anchor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moves between handovers between the eNodeBs 210 or between 3GPP wireless networks.

P-GW(270)는 이동 단말(100)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고, 코어 망의 패킷 데이터 관련 기능을 수행하며, 3GPP 무선망과 non-3GPP 무선망 사이 이동시 이동성 앵커 역할을 수행한다.The P-GW 270 assigns an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of the mobile terminal 100, performs packet data related functions of the core network, and performs a mobility anchor role when moving between the 3GPP wireless network and the non-3GPP wireless network. do.

또한, UTRAN CS 망(300)운 회선 교환(CS: Circuit Switch)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네트워크로서, NodeB(310),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무선망 제어기)(330), MSC(Mobile Switching Center, 교환기)(350),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370) 및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390)을 포함한다. In addition, as a network supporting both a circuit switching (CS) scheme and a packet switching scheme, the UTRAN CS network 300 includes a NodeB 310,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330, and an MSC ( A Mobile Switching Center (350), a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 370, and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390.

여기서, NodeB(310)와 RNC(330)는 UTRAN CS 망(300)에서의 무선접속망으로서,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기반이며, 이동 단말(100)과 무선통신 핵심망(Core Network) 사이에 위치하여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전달한다.Here, the NodeB 310 and the RNC 330 are a wireless access network in the UTRAN CS network 300, and are based o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and are locat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core network (Core Network). Pass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MSC(350)는 CS 폴백 서비스는 물론, MME(230)로부터의 Combined EPS/IMSI Attach, Combined TA/LA Update, Detach, SMS 메시지 처리와 MME로의 SGs 인터페이스 연결 관리 기능을 지원한다.The MSC 350 supports the CS fallback service, as well as the Combined EPS / IMSI Attach, Combined TA / LA Update, Detach, SMS message processing from the MME 230 and SGs interface connection management to the MME.

이때, CS 폴백 서비스를 위해서는 Combined EPS/IMSI Attach 과정, Combined TA/LA Update 과정, Detach 과정 등의 이동성 관리 과정이 먼저 이루어지는데, 이하, 이러한 과정을 통칭하여 위치 등록 과정이라 한다.In this case, for the CS fallback service, a mobility management process such as a combined EPS / IMSI Attach process, a Combined TA / LA Update process, and a Detach process is performed first. Hereinafter, the process is referred to as a location registration process.

한편, 호 착신에 따른 CS 폴백 절차는 도 2와 같다.On the other hand, the CS fallback procedure according to the incoming call is shown in FIG.

도 2는 일반적인 CS 폴백 절차를 나타낸다.2 shows a general CS fallback procedure.

도 2를 참조하면, O-MSC로부터 발신 호(1)가 수신되면, MSC(도 1의 350)는 SGs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MME(도 1의 230)에게 페이징 요청(2)을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2, when an outgoing call 1 is received from an O-MSC, the MSC (350 of FIG. 1) transmits a paging request 2 to the MME (230 of FIG. 1) using the SGsAP protocol.

그러면, MME(도 1의 230)는 LTE 셀에 접속된 이동 단말(도 1의 100)에게 페이징 요청(3)을 전송하여 이동 단말(도 1의 100)로부터 페이징 응답(4)을 수신하고, LTE 셀로 핸드오버 커맨드(5)를 전송한다.Then, the MME (230 of FIG. 1) transmits a paging request (3) to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connected to the LTE cell to receive a paging response (4)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Send a handover command 5 to the LTE cell.

여기서, 도 2에 명시하지는 않았으나 페이징 요청(2) 이전에 UTRAN 타겟 셀의 정보(SIB)를 LTE 셀에 접속한 이동 단말(100)로 제공하는 과정이 선행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process of providing information (SIB) of the UTRAN target cell to the mobile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LTE cell is preceded by the paging request 2.

LTE 셀은 UTRAN 셀과 핸드오버와 스위치(6) 과정을 수행하고, 완료되면, MSC(도 1의 350)는 UTRAN 셀을 통해 페이징 응답을 수신하고, 호 셋업(7)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부터 이동 단말(100)은 UTRAN 셀을 통해 음성 호 서비스를 이용한다.The LTE cell performs a handover and switch 6 process with the UTRAN cell, and upon completion, the MSC (350 of FIG. 1) receives a paging response through the UTRAN cell and performs a call setup 7 process. Since then, the mobile terminal 100 uses a voice call service through the UTRAN cell.

이와 같이, LTE 망(200)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100)이 음성 호 발신 또는 착신과 같은 음성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가지 구간(구간 1, 구간 2, 구간 3, 구간 4)의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이에 해당하는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구간 1이 음성 호 발신 시의 UTRAN으로의 천이로 인한 시간 지연이고, 구간 3이 음성 호 착신 시의 UTRAN으로의 천이로 인한 시간 지연이다. 이 때, 각 구간별 지연은 다음의 [표 1]과 같다.As such,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LTE network 200 uses a voice service such as voice call origination or incoming call, four sections (section 1, section 2, section 3) are illustrated in FIG. 3. In this case, a time delay corresponding to the above procedure is required. Here, interval 1 is a time delay due to a transition to UTRAN when a voice call is originated, and interval 3 is a time delay due to a transition to UTRAN when an audio call is received. At this time, the delay for each section i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구간 1Segment 1 구간 2Section 2 구간 3Segment 3 구간 4Zone 4 합계Sum 지연delay 0.9초0.9 seconds 3.2초3.2 seconds 1.3초1.3 sec 1.9초1.9 seconds 7.3초7.3 seconds

상기 [표 1]과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UTRAN 대 UTRAN 사이의 음성 호 설정 지연은 대략 3.2초가 걸리나, LTE 망 대 LTE 망 사시의 음성 호 설정 지연은 대략 7.3초로써 UTRAN 대 UTRAN 사이의 음성 호 설정 지연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 and FIG. 3, the voice call setup delay between UTRAN and UTRAN takes approximately 3.2 seconds, but the voice call setup delay between LTE and LTE networks is approximately 7.3 seconds. It can be seen that the voice call setup delay is increased by more than twice.

이와 같이, LTE 망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3G 망인 UTRAN으로 천이되어야 하므로 천이되는 추가적인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되어 음성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지연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LTE network needs to transition to UTRAN, which is a 3G network, in order to receive voice service, an additional time delay is generated, which causes a lot of call setup delay for voice servi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상태 기반 망 선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A screen state based network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상태 기반 망 선택 방법의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state based network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 전에, 이동 단말(100)이 위치한 지역에서 LTE 망(200)과 UTRAN(300)이 오버레이되어 있고, LTE 망(200)이 UTRAN(300)보다 우선권이 높은 것으로 가정한다.Befor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LTE network 200 and the UTRAN 300 are overlaid in the reg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and the LTE network 200 has a higher priority than the UTRAN 300.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100)이 전원 온되면 이동 단말(100)은 LTE 망(200)의 우선권이 높으므로 LTE 망(200)에 접속하여 사용자에 대해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준비 상태가 된다(S100).Referring to FIG. 4,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powered on, since the priority of the LTE network 200 is high, the mobile terminal 100 accesses the LTE network 200 and is ready for data service for the user. (S100).

그 후, 이동 단말(100)은 LTE 망(200)에 캠핌하면서 이동 단말(100)의 자신의 스크린, 즉 이동 단말(100)에서 LCD와 같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인 디스플레이가 켜져 있는지, 즉 온(ON) 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10). Thereafter, the mobile terminal 100 camps on the LTE network 200 while its display, that is,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LCD on the mobile terminal 100's own screen, that is, is turned on, namely,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ON (S110).

만약 이동 단말(100)의 스크린이 온되어 있으면 이동 단말(100)은 현재 접속되어 있는 LTE 망(200)에 계속 캠핑하여 머무르면서 LTE 망(200)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제공한다(S120).If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turn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continues camping in the currently connected LTE network 200 and continues to provide data service through the LTE network 200 (S120).

그러나, 이동 단말(100)의 스크린이 꺼져 있는 경우, 즉 오프(OFF)되어 있으면, 이동 단말(100)은 LTE 망(200)으로부터 UTRAN(300)으로 천이하여 UTRAN(300)에 접속한다(S130).However, whe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turned off, that is, turned off,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itions from the LTE network 200 to the UTRAN 300 and accesses the UTRAN 300 (S130). ).

그리고, UTRAN(300)에서 음성 호 서비스를 위한 준비 상태가 된다. 즉 UTRAN(300)에 캠핑하여 머무르게 된다(S140).Then, the UTRAN 300 is ready for voice call service. That is to camp and stay in the UTRAN (300) (S140).

그 후, 이동 단말(100)은 UTRAN(300)에 캠핑하면서 이동 단말(100)의 스크린이 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50).Thereafter, the mobile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turned on while camping in the UTRAN 300 (S150).

만약 스크린이 오프되어 있으면 이동 단말(100)은 계속해서 UTRAN(300)에 캠핑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준비한다.If the screen is off, the mobile terminal 100 continues camping in the UTRAN 300 to prepare for the voice service.

그러나, 꺼져 있던 스크린이 온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LTE 망(200)으로 천이되어 LTE 망(200)에 접속한다(S160). 그리고, LTE 망(200)에 캠핑하면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준비 상태가 되는 상기 단계(S120)를 반복한다.However, when the screen is turned off,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itions to the LTE network 200 and accesses the LTE network 200 (S160). Then, the step (S120) of camping on the LTE network 200 to be ready for data service is repeated.

이와 같이, 이동 단말(100)이 스크린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LTE 망(200)이 아닌 UTRAN(300)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음성 호 착신이 있는 경우 이전과 같이 LTE 망(200)에서 UTRAN(300)으로의 천이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은 천이로 인한 시간 지연이 제거되어 음성 호 착신시 전체적인 호 설정 지연이 감소하게 된다. 이것은 이동 단말(100)의 스크린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별도의 LTE 고속 데이터 서비스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As such,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turned off,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UTRAN 300 instead of the LTE network 200, so that when there is a voice call from the outside, the UTRAN is in the LTE network 200 as before. Since the transition to 300 is not necessary, the time delay due to the conventional transition is eliminated,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call setup delay when the voice call is received. This is possible because a separate LTE high-speed data service is unnecessary whe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off.

첨부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100)이 UTRAN(300)에 캠핑하여 머무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음성 호 착신이 있는 경우 망간의 천이 없이 바로 UTRAN(300)에서 음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경우에 비해 구간 3이 제거되어 그 결과로 음성 서비스시 호 설정 지연 시간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bile terminal 100 camps and stays in the UTRAN 300, when there is an incoming voice call from the outside, the UTRAN 300 is directly transitioned without manganese transition. Voice service is available. In this cas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se shown in FIG. 3, interval 3 is eliminated, and as a result, call setup delay time during voice service can be greatly reduc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100)은 제1 통신부(110), 제2 통신부(120), 스크린(130) 및 호 처리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a screen 130, and a call processing unit 140.

제1 통신부(110)는 패킷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제1 네트워크, 즉 LTE(200)에 접속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제1 통신부(110)는 eNodeB(210)와 무선 접속되어 통신을 수행한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connects to a first network providing only a packet service, that is, the LTE 200,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That i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NodeB 210.

제2 통신부(120)는 패킷 서비스와 CS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제2 네트워크, 즉 UTRAN(300)에 접속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제2 통신부(120)는 NodeB(310)와 무선 접속되어 통신을 수행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connects to a second network that provides both packet service and CS service, that is, the UTRAN 300 and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signals. That i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NodeB 310.

스크린(130)은 이동 단말(100)의 정보 표시 수단으로, LCD 또는 LED일 수 있다.The screen 130 is an information display mea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be an LCD or an LED.

호 처리부(140)는 이동 단말(100)의 패킷 서비스 호, 서킷 서비스 호를 처리하는 수단이다. 즉, 호 처리부(150)는 이동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음성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및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를 수행한다. 즉, 호 처리부(140)는 제1 통신부(110)를 통해서 LTE 망(200)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2 통신부(120)를 통해서 UTRAN(300)에 접속하여 음성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호 처리부(140)가 스크린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The call processing unit 140 is a means for processing a packet service call and a circuit service call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is, the call processing unit 150 performs call processing for the voice service and data service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is, the call processor 140 accesses the LTE network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o provide a data service, and accesses the UTRAN 3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to provide a voice service or data service. To provide. Here, since the call processing unit 140 checks the on / off state of the scree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호 처리부(150)는 스크린(130)의 상태, 즉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제1 통신부(110) 또는 제2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LTE 망(200) 또는 UTRAN(300)에 대한 접속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크린(130)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호 처리부(150)는 제2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이동 단말(100)이 UTRAN(300)에 접속되어 머무르도록 하고, 스크린(130)이 온되어 있는 때에는 제1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이동 단말(100)이 LTE 망(200)에 접속되어 머무르도록 한다.The call processing unit 150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o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creen 130, that is, the on / off state to establish a connection to the LTE network 200 or the UTRAN 300. To perform. In particular,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processing unit 150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while the screen 130 is turned off so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stays connected to the UTRAN 300. When the screen 130 is turned 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s controlled so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stays connected to the LTE network 200.

호 처리부(150)는 이동 단말(100)의 전원이 온되는 때에 기동되어 제1 통신부(110)를 통해 LTE 망(200)에 접속하여 이동 단말(100)이 LTE 망(200)에 머무르도록 한다.The call processing unit 150 is activat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turned on and connected to the LTE network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so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stays in the LTE network 200. do.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11)

이동 단말이 스크린-여기서 스크린은 상기 이동 단말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임-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이 오프되어 있는 경우 제1 망을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이 온되어 있는 경우 제2 망을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망 선택 방법.
Determining, by the mobile terminal, the state of the screen, wherein the screen is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electing and accessing a first network when the screen is off; And
Selecting and accessing a second network when the screen is on
Network selection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망을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 전에,
상기 이동 단말이 전원 온되는 때에 상기 제2 망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망 선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Before the step of selecting and connecting to the first network,
Connecting to the second network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owered 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망을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크린이 온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망으로 천이하여 상기 제2 망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선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electing and accessing the first network, wherein the mobile terminal transitions to the second network and accesses the second network when the screen is turned 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망을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크린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1 망으로 천이하여 상기 제1 망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선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electing and connecting the second network, wherein when the screen is turned off, the mobile terminal transitions to the first network and accesses the first network.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망은 서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망이고,
상기 제2 망은 패킷 서비스만을 제공할 수 있는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선택 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first network is a network capable of providing a circuit service,
And the second network is a network capable of providing only packet service.
제1 망에 접속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부;
제2 망에 접속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통신부 또는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망 또는 상기 제2 망에 접속하는 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by accessing the first network;
A second communication unit connecting to a second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A screen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call processing unit controll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o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creen to connect to the first network or the second network;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부는 상기 스크린이 오프되어 있는 때에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망에 접속하고, 상기 스크린이 온되어 있는 때에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망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all processing unit connects to the first network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en the screen is off, and connects to the second network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hen the screen is on.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전원 온되는 때에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제2 망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call processing unit connects to the second network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owered 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부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망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망으로 천이하여 상기 제1 망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all processing unit transitions to the first network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connects to the first network when the screen is turned off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Mobile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망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이 온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망으로 천이하여 상기 제2 망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all processing unit transitions to the second network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connects to the second network when the screen is turned on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Mobile terminal.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망은 서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망이고,
상기 제2 망은 패킷 서비스만을 제공할 수 있는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10,
The first network is a network capable of providing a circuit service,
And the second network is a network capable of providing only packet services.
KR1020110135758A 2011-12-15 2011-12-15 Method for selecting network based on state of screen and mobile terminal for preforming the same KR1014692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758A KR101469240B1 (en) 2011-12-15 2011-12-15 Method for selecting network based on state of screen and mobile terminal for pre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758A KR101469240B1 (en) 2011-12-15 2011-12-15 Method for selecting network based on state of screen and mobile terminal for preform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523A true KR20130068523A (en) 2013-06-26
KR101469240B1 KR101469240B1 (en) 2014-12-05

Family

ID=4886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758A KR101469240B1 (en) 2011-12-15 2011-12-15 Method for selecting network based on state of screen and mobile terminal for preform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240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3951A (en) * 2004-08-09 2006-02-1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System for multi-acces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mobile devices with function of multi-accessing and recording medium
KR100593596B1 (en) * 2004-12-21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Internet network voice refere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13446B1 (en) * 2005-11-03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alling using wireless internet network in wireless terminal
KR101495184B1 (en) * 2009-01-19 2015-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synchronization obtain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240B1 (en) 2014-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526B1 (en) Method for selecting cell for cs fallback service
KR101311525B1 (en) Methdo, base station and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cs fallback service for load balancing
US9220052B2 (en) Providing circuit switched operation in a wireless network
EP2586263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upporting handover of a ps voice call to a cs voice call by using srvcc function
EP27647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voice over lte or cs fallback for voice sessions
JP6587016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07020780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ual mode paging
US20100260105A1 (en) Domain transfer service continuity provision to a mobile terminal
JP2013514705A (en) Maintaining packet switched sessions in LTE when establishing GSM circuit switched calls
KR201100562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301272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mt paging missing
US20110292877A1 (en) Method for changing gan controller with which a terminal is registered based on location of the terminal which is moving
WO2010106397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mory medium for circuit switched fallback and inter-rat selection
CN108616980B (en) Wireless terminal, network device and operation method
KR101472105B1 (en) Method for preferentially connecting mobile terminal to network and base station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469240B1 (en) Method for selecting network based on state of screen and mobile terminal for preforming the same
KR101444433B1 (en) Methdo for providing cs fallback service and base station for perform the same
KR101487482B1 (en) Method for processing voice call using pre-paging, and base station and home location register for performing the same
KR20140021196A (en) Methods for reselceting cell of mobile terminal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KR101451419B1 (en) Method for redirecting network, base station an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KR20130048674A (en) Method for processing voice call, and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and home location register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546754B1 (en) - / method and system for idle mode signalling reduction of ue moving between packet switching domain and circuit switching domain
KR101515593B1 (en) Methdo for providing data service and mobile terminal for perform the same
KR20130068522A (en) Methdo for providing voice service and mobile terminal for perform the same
WO2016070926A1 (en) Handling of quality of service modification triggered by charging ent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