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321A - 발광 칫솔 - Google Patents

발광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321A
KR20130068321A KR1020110135362A KR20110135362A KR20130068321A KR 20130068321 A KR20130068321 A KR 20130068321A KR 1020110135362 A KR1020110135362 A KR 1020110135362A KR 20110135362 A KR20110135362 A KR 20110135362A KR 20130068321 A KR20130068321 A KR 20130068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light emitting
present
power uni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우
Original Assignee
유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우 filed Critical 유영우
Priority to KR1020110135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8321A/ko
Publication of KR20130068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2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n electr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2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magne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lighting means, e.g. laser, bulb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칫솔은 칫솔모가 구비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칫솔대;를 포함하고, 상기 칫솔대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부를 왕복 운동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전력부 및 상기 전력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하여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칫솔{Light emitting toothbrush}
본 발명은 발광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환경 오염 및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발광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은 식후 또는 잠자기 전에 치아를 닦는 기구로써,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필요한 생활 필수품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나 어린 아이들은 잇몸이 아프거나 치약이 매워서 양치하는 것을 꺼린다.
어린 시절에 바람직하지 못한 양치 습관은 성인이 되어서 까지 영향을 미쳐 치아 건강에 좋지 않은 결과를 낳는다. 유년기의 바람직한 양치 습관을 형성하는 것은 국민보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자치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인스턴트 식품이나 당분이 많이 포함된 음식물의 섭취가 증가되어 바람직한 양치 습관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유아나 어린이들이 바람직한 양치 습관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끌 수 있도록 디자인하거나 고급 칫솔모를 사용한 칫솔들이 출시 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052897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4-0013186호는 건건지 등을 이용하여 빛을 발산하는 칫솔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환경 오염 및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발광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칫솔모가 구비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칫솔대;를 포함하고, 상기 칫솔대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부를 왕복 운동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전력부 및 상기 전력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하여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칫솔대의 내부 공간에 상기 자석의 이동 거리를 제어할 수 있는 칸막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칫솔대의 단부에는 상기 칫솔대의 내부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마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칫솔대에는 상기 자석의 운동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칫솔대에는 상기 코일과 연결된 축전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칫솔대에는 상기 전력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전력부가 형성되는 칫솔대와 분리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헤드부에 상기 전력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하여 발광하는 발광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볼록렌즈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상기 헤드부 또는 상기 칫솔대의 전부 또는 일부에 광 섬유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칫솔은 과학적인 원리를 실생활에 접목시킨 것으로, 운동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바뀌는 과정과 발전기의 원리(Lenz's law, Faraday's law) 및 전반사의 원리를 직접 눈으로 볼 수 있어 교육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칫솔은 과학적 원리를 눈으로 볼 수 있어 어린 아이들에게 과학적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양치하는 시간을 즐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칫솔모가 형성된 헤드부는 전력부가 형성되는 칫솔대와 분리될 수 있어 칫솔모가 마모되어도 쉽게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칫솔모가 형성된 헤드부에 광섬유를 통해서 들어온 빛이 발산되어 위생 상태를 확인하기 쉬워 발광 칫솔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칫솔은 건전지 등의 전원 공급없이 반영구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 환경 오염과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칫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칫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칫솔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칫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발광 칫솔은 칫솔모가 구비된 헤드부(110) 및 헤드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칫솔대(121, 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110)와 칫솔대(121, 122)는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10) 및 칫솔대(121, 122)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 및 칫솔대의 전부 또는 일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칫솔대는 헤드부(110)에서 연장된 제1 칫솔대부(121) 및 상기 제1 칫솔대부(121)에서 연장된 제2 칫솔대부(122)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제2 칫솔대부(122)는 발광 칫솔의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광 칫솔은 일체의 형태로 제조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칫솔대부(121)와 제2 칫솔대부(122)가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칫솔대부(121) 및 제2 칫솔대부(122)의 연결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2 칫솔대부(122)가 제1 칫솔대부(121)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헤드부(110)와 칫솔대(121, 122)가 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력부가 형성된 칫솔대와 칫솔모가 형성되는 헤드부는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칫솔은 칫솔모(111)가 마모되는 경우 손쉽게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칫솔대(121, 122)에는 전력부(131, 132)와 상기 전력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하여 발광하는 발광소자(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부(131, 132)는 칫솔대의 손잡이 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부는 코일(131)과 상기 코일의 내부를 왕복 운동하는 자석(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131)은 칫솔대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칫솔대의 내부 공간에 상기 자석(13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131)을 감싸도록 상기 칫솔대의 외면에는 고무, 플라스틱 등의 재료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코일(131)은 구리선으로 형성할 수 있고,상기 구리선의 지름은 0.1mm 이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일의 감긴는 횟수를 확보하고 손잡이의 부피를 줄이기 상기 구리선의 지름은 0.07mm이하의 것, 0.01mm 이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석(132)은 코일의 내부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발광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질하는 경우 손으로 흔들어야 하므로, 상기 자석을 코일 내부를 관통하여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이때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가하는 운동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바뀌는 것이다.
상기 자석(132)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Nd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자석은 높이가 16mm이고, 지름이 13mm인 원통 자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전력부는 코일(131)과 자석(132)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전력부(131, 132)와 연결된 발광 소자(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40)는 상기 전력부(131, 132)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하여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40)는 상기 코일(131)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코일(131)에서 연장된 전선(133)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LED는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밝기가 우수하며, 백열 전구 등의 다른 발광 소자에 비하여 수명이 오래가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발광 소자(140)는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각각 빨강(Red), 녹색(Green), 파랑(Blue)를나타내는 LED 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발광 소자(140)의 배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LED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LED는 제1 칫솔대부(121)에 형성되고, 두개의 LED는 제2 칫솔대부(12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칫솔모가 형성된 헤드부(110)에도 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칫솔대의 내부 공간에 발광 소자를 구비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칫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10)에 발광소자(14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110)의 단부에는 볼록 렌즈(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10)를 입안에 넣으면, 상기 볼록렌즈(112)에 의하여 발광소자(140)는 더 밝게 빛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구강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자석(132)의 이동거리를 제어하기 위하여 칫솔대의 내부 공간에 칸막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칫솔대(121, 122) 및 헤드부의 내부 공간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자석(132)의 이동 경로는 헤드부(110)의 단부에서 칫솔대(121, 122)의 단부일 수 있으나, 상기 칸막이부(123)를 포함하는 경우 자석(132)의 이동 거리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칸막이부(123)의 형성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코일(131)의 시작점 부근 또는 시작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131)은 제2 칫솔대부(122)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자석(132)은 상기 칸막이부(123)와 칫솔대 단부 사이에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자석(132)의 이동 거리가 짧을수록 왕복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즉, 칫솔대의 단부에는 마개(1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개(124)는 칫솔대의 내부 공간의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마개(124)는 칫솔대 단부에 칫솔대의 내부 공간을 열고 닫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개(124)를 여는 경우 칫솔대 내부 공간에 배치된 자석(132)을 꺼내거나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칫솔대에는 상기 자석의 운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충격흡수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칸막이부(123) 또는 마개(124)에 충격흡수재(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고무 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칸막이부(123), 칫솔대의 단부 또는 상기 마개(124)를 충격흡수재로 형성하는 경우 별도의 충격 흡수재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칫솔대(122)에는 축전기(1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전기(134)는 코일(131) 또는 상기 코일(131)에서 연장된 전선(133)과 연결되어 자석(132)의 왕복 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축전기(134)는 예를 들면 3.6V, 20mAh의 조건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140)는 축전기(134)와 연결되어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를 이용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광 칫솔에 운동 에너지를 가하면 전기가 발생되고, 발생된 전기는 축전기에 저장되거나 발광 소자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칫솔대(122)에는 운동 에너지의 전환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하여 스위치(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35)는 회로 기판(136)과 연결되어 온/엣/오프 등의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35)가 온(on) 상태에 있는 경우 발생된 전기는 상기 축전기(134)에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발광 소자(14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135)가 엣(at) 상태에 있는 경우 축전기(134)에는 전기가 저장되지 않고, 상기 발광 소자(140)에만 전기가 절달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35)가 오프(off) 상태이면, 전기는 상기 발광 소자(140)로 전달되지 않고, 축전기(134)에만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의 상태 조절에 따라, 상기 발광 칫솔에 운동 에너지를 가하여 빛의 발광없이 축전기에 전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칫솔에 운동 에너지가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도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를 이용하여 발광 소자에 전기를 공급하여 발광 칫솔은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칫솔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광 칫솔의 헤드부 및 제1 칫솔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광 칫솔은 헤드부가 교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교체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전력부는 제2 칫솔대부에 형성되고, 헤드부 및 제1 칫솔대부가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헤드부 또는 칫솔대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광섬유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10) 및 제1 칫솔대부(221)에 광섬유(25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광섬유는 헤드부 또는 칫솔대의 내부 벽면에 형성되거나, 헤드부 및 칫솔대의 벽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서 만들어진 전류는 발광 소자를 통하여 빛을 발산하고, 이 빛은 다시 전반사 원리로 상기 광섬유는 통하여 헤드부에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칫솔모가 형성된 헤드부에 광섬유를 통해서 들어온 빛이 발산되어 위생 상태를 확인하기 쉬워 발광 칫솔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칫솔모가 형성된 헤드부는 전력부가 형성되는 칫솔대와 분리될 수 있어 칫솔모가 마모되어도 쉽게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칫솔은 과학적인 원리를 실생활에 접목시킨 것으로, 운동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바뀌는 과정과 발전기의 원리(Lenz's law, Faraday's law) 및 전반사의 원리를 직접 눈으로 볼 수 있어 교육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칫솔은 과학적 원리를 눈으로 볼 수 있어 어린 아이들에게 과학적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양치하는 시간을 즐겁게 할 수 있다.
또한, 건전지 등의 전원 공급없이 반영구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 환경 오염과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210: 헤드부 111, 211: 칫솔모
112: 볼록렌즈 121, 221: 제1 칫솔대부
122: 제2 칫솔대부 123: 칸막이부
124: 마개 125: 충격흡수재
131: 코일 132: 자석
133: 전선 134: 축전기
135: 스위치 136: 회로기판
140: 발광소자 250: 광섬유

Claims (11)

  1. 칫솔모가 구비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칫솔대;를 포함하고,
    상기 칫솔대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부를 왕복 운동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전력부 및 상기 전력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하여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의 내부 공간에 상기 자석의 이동 거리를 제어할 수 있는 칸막이부가 형성되는 발광 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의 단부에는 상기 칫솔대의 내부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마개가 형성되는 발광 칫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에는 상기 자석의 운동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재가 형성되는 발광 칫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에는 상기 코일과 연결된 축전기가 구비되는 발광 칫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에는 상기 전력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발광 칫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전력부가 형성되는 칫솔대와 분리되는 구조인 발광 칫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상기 전력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하여 발광하는 발광 소자가 배치되는 발광 칫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볼록렌즈가 형성되는 발광 칫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인 발광 칫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또는 상기 칫솔대의 전부 또는 일부에 광 섬유가 형성되는 발광 칫솔.
KR1020110135362A 2011-12-15 2011-12-15 발광 칫솔 KR20130068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362A KR20130068321A (ko) 2011-12-15 2011-12-15 발광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362A KR20130068321A (ko) 2011-12-15 2011-12-15 발광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321A true KR20130068321A (ko) 2013-06-26

Family

ID=48863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362A KR20130068321A (ko) 2011-12-15 2011-12-15 발광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83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4948A1 (de) 2013-06-14 2014-12-18 Hyundai Motor Company Planetengetriebezug eines Automatikgetriebes für ein Fahrzeug
KR101660177B1 (ko) * 2015-07-23 2016-09-26 김상우 올바른 양치습관을 유도하는 다기능 led 칫솔
KR20210086379A (ko) * 2019-12-30 2021-07-08 (주)크리스챤모드 칫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4948A1 (de) 2013-06-14 2014-12-18 Hyundai Motor Company Planetengetriebezug eines Automatikgetriebes für ein Fahrzeug
KR101660177B1 (ko) * 2015-07-23 2016-09-26 김상우 올바른 양치습관을 유도하는 다기능 led 칫솔
KR20210086379A (ko) * 2019-12-30 2021-07-08 (주)크리스챤모드 칫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969B1 (ko) 복수의 광원이 교대로 배열된 광 조사 칫솔
US6106294A (en) Lighting toothbrush and method of use
KR20050057480A (ko) 전동 칫솔
TW201406324A (zh) 發光多光閃爍牙刷及使用方法
US20160286948A1 (en) Novelty toothbrush with light-up fiber optic bristles
KR20130068321A (ko) 발광 칫솔
CN203121471U (zh) Led灯牙刷
KR200476042Y1 (ko) 발광막대
CN102793368A (zh) 一种音乐照明牙刷
KR101166064B1 (ko) 광출사 장치, 브러쉬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칫솔
TWI540986B (zh) 具牙菌斑顯示功能之牙刷
CN214414347U (zh) 一种发光牙刷
KR101166065B1 (ko) 광출사 장치, 브러쉬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칫솔
KR20040052897A (ko) 발광 칫솔
CN112472344A (zh) 电动牙刷
KR101226469B1 (ko) 양치용 컵
CN202104478U (zh) 紫外线深度抗菌牙刷
CN217243109U (zh) 一种具有发光功能的牙刷
KR200289368Y1 (ko) 칫솔대의 발광장치
CN203226418U (zh) 闪光牙刷
CN201683304U (zh) 闪光定时牙刷
KR102084434B1 (ko) 일체형 칫솔 헤드부가 구비된 슬림형 진동칫솔
CN104305716A (zh) 一种闪光型牙刷结构
KR200203005Y1 (ko) 유아용 칫솔
KR20130000216U (ko) 거울이 구비된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