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7983A - Method for managing power of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mode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power of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m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7983A
KR20130067983A KR1020110135081A KR20110135081A KR20130067983A KR 20130067983 A KR20130067983 A KR 20130067983A KR 1020110135081 A KR1020110135081 A KR 1020110135081A KR 20110135081 A KR20110135081 A KR 20110135081A KR 20130067983 A KR20130067983 A KR 20130067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base station
mod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일구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5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7983A/en
Publication of KR20130067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9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PURPOSE: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user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modes is provided to reduce power by effectively managing a user terminal. CONSTITUTION: A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communication mode receiving the location of a user terminal from a satellite is converted into an on mode(S205).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by using the satellite.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map and the distance of the user terminal are displayed(S215). When the base station providing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is existed, a base station searching mode is converted into the on mode(S220). The GPS communication mode is converted into the set initial mode.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200) Download a map; (S205) GPS communication ON; (S210) Base station searching OFF; (S215) Display the existence of a base station and a distance from a terminal; (S220) Base station searching ON & GPS communication OFF

Description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POWER OF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MODE}METHOD FOR MANAGING POWER OF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MOD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이 저전력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a user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at low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modes.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운영체제 및 통신 기술의 성능과 기능이 강화되어 이용자들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있다. 하지만, 복잡해지고 성능이 향상된 사용자 단말의 이용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배터리 기술의 발전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려서 사용자들의 가장 큰 불만 사항 중 하나로 지적받고 있다.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has enhanced performance and functions of a processor, a memory, an operating system, and a communication technology to improve user convenience. However, the development of battery technology, which determines the duration of use of a user terminal, which is complicated and has improved performance, is relatively slow, and has been pointed out as one of the biggest complaints of users.

기존의 이동 통신 기술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단말이 멀어지거나 오류율이 증가하는 환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데이터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은 지속적으로 기지국을 검색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의 검색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도 기지국의 검색을 시도하여 불필요하게 전력을 소모한다. 오히려, 기지국이 검색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은 송신 전력을 더욱 증가시킨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이 거의 없는 지역 또는 페이딩, 잡음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오류율이 높은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전력 소비 효율이 매우 열악해 진다.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 주기적으로 검색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의 통신 모듈이 지속적으로 동작한다.In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even when the user terminal moves away from the base station or moves to an environment in which an error rate increases, the user terminal that want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continuously searches for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even when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an area where it is difficult to search for the base station, attempting to search the base station consumes unnecessary power. Rather, if the base station is not found, the user terminal further increases the transmit power. Therefore, when the user terminal moves to an area where there is little base station or an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fading or noise, the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is very poor. In order for the user terminal to periodically search without prior information on the base station or to detec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user terminal operates continuously.

따라서, 기지국의 검색이 어려운 경우, 사용자 단말이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when the search of the base station is difficult, a method for efficiently managing power by the user terminal is requir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이 전력을 절감하도록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fficiently managing a user terminal to save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modes.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리소스를 최대한 활용하고, 불필요하게 기지국 검색을 위해 전력을 낭비하는 경우를 최소화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use of resources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and to minimize the unnecessary waste of power for the base station search.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단말의 통신 모드가 주변 기지국 환경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환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mode of a user terminal is switched manually or automatically according to a surrounding base station environment.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이 전력을 관리하는 방법은 서버로부터 기지국의 분포를 지시하는 맵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셀룰러 이동 통신이 가능한 기지국을 검색함을 지시하는 기지국 검색 모드를 오프(OFF)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인공위성으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수신함을 지시하는 GPS 통신 모드를 온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맵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셀룰러 이동 통신이 가능한 기지국의 존재 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를 표시하는 단계 및 셀룰러 이동 통신이 가능한 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기지국 검색 모드를 온(ON)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GPS 통신 모드를 미리 설정한 초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장 근접한 기지국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이동하거나 채널 상황이 열화되어 상기 가장 근접한 기지국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수신하는 주기를 미리 설정된 주기보다 더 길게 변경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aging power by a user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downloading a map indicating a distribution of a base station from a server, and searching a base station capable of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to the OFF mode; switching the GPS communication mode indicating the reception of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satellite to the on mode; receiving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using the satellite;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 base station capable of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and a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if the base station capable of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exists, switching the base station search mode to an ON mode. And switching the GPS communication mode to a preset initial mode. If the user terminal moves away from the nearest base station or the channel condition deteriorates and the nearest base station is not found, the period of receiving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using the satellite is more than a preset period. Change it long.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전력 소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multiple modes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때 전력을 관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때 전력을 관리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aging power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mo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networ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managing power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modes.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rather unclear.

또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단말(또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전력을 절감하도록 관리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외부 통신망에 의한 방법(실시예1)과 사용자 단말 내부의 알고리즘을 이용한 방법(실시예2)이 있다.There are two methods for managing power savings of the user terminal (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method (Example 1) using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Example 2) using an algorithm inside a user terminal.

첫째, 외부 통신망에 의한 방법(External Approach)으로 사용자 단말의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실시예1).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은 외부 통신망에 의한 여러 가지 통신 수단을 포함된다. 예를 들어, 셀룰러 이동통신(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Wireless LANs), 블루투스 (Bluetooth), FM (Frequency Modulation),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이 있다. 와이파이 존의 확대와 메쉬 네트워크, 이동 차량 와이파이 등의 기술 발달로 와이파이의 사용 영역이 실외로 확장되고 있으며, FMC(Fixed Mobile Convergence) 기술의 발달로 실내에서도 유선 전화 대신 셀룰러 단말과 같은 이동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Firs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of the user terminal by the method (External Approach) by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Example 1). A user termi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modes includes various communication means by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re are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Wi-Fi (Wireless LANs), Bluetooth, Bluetooth (Frequency Modulation), and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With the expansion of Wi-Fi zones, the development of mesh networks and mobile vehicle Wi-Fi, the use of Wi-Fi is expanding to the outdoors, and with the development of Fixed Mobile Convergence (FMC) technology,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ellular terminals are used instead of landline phones indoors. It is possible to us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기지국, 인공위성, 무선랜 AP(Wireless Lan Access Point, 이하 AP라 한다)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은 다중 모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인공위성을 통한 GPS 통신, 기지국을 통한 셀룰러 이동 통신, AP를 이용한 와이파이 통신 또는 단말과 단말사이의 P2P(Peer to Peer) 통신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Referring to FIG. 1, a network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a base station, a satellite, and a wireless LAN access point (AP). The user terminal may support a multi-mode communication method, and may support GPS communication through satellites,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through a base station, Wi-Fi communication using an AP, or peer-to-peer communication between a terminal and the terminal.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mmunication scheme.

또한, 네트워크는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셀룰러 기지국 또는 AP와 같은 중계지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미리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지국 맵(map)을 다운받을 수 있다. 스마트폰 이용자는 아이폰의 앱스토어 또는 안드로이드폰의 안드로이드 스토어에서 기지국 맵을 사전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twork may further comprise a server. The user terminal may previousl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a location of a relay station such as a cellular base station or an AP from the server. For example, a base station map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can be downloaded. Smartphone users can download base station maps in advance from the iPhone's App Store or Android phones' Android Store.

일 예로,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이동 단말이 제1 통신 수단으로 셀룰러 이동 통신 방식을 사용 중이고, 전력 소비 효율 향상을 위해 제2 통신 수단으로 GPS 통신을 활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통신 수단 또는 제2 통신 수단은 각각 GPS, 셀룰러 이동 통신, 와이파이 통신 또는 P2P 통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As an example, in order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uses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s a first communication means and uses GPS communication as a second communication means to improve power consumption. d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may be any one of GPS,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or P2P communication.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의 밀집도가 높은 지역(예를 들면, 도심)을 벗어나 기지국의 밀집도가 낮은 지역, 즉, 기지국의 검색이 어려운 지역으로 진입하면,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의 검색을 중단한다. 또는 기지국 검색의 주기를 줄인다.When the user terminal enters an area where the density of the base station is high (for example, a city center) and enters an area where the base station is low in density, that is, an area where the search of the base station is difficult, the user terminal stops searching for the base station. Or reduce the frequency of base station search.

인접한 기지국이 검색되지 않아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과 연결할 수 없다면, 사용자 단말은 셀룰러 이동 통신 모드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거나, 셀룰러 이동 통신 모듈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전력 소비를 절감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GPS 통신 모듈을 켜서 현재 위치 정보를 인공 위성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된 기지국 맵을 기초로 근접한 기지국과의 거리를 주기적으로 계산한다.If the user terminal cannot connect with the base station because the adjacent base station is not found, the user terminal switches the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mode to the low power mode or cuts off the power supply of the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turns on the GPS communication module to receiv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atellite and periodically calculates the distance to the adjacent base station based on the base station map previously stored in the user terminal.

상기 계산 결과를 기초로 만약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거리가 신호 도달 범위 내라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셀룰러 이동 통신 모듈을 켜고, 기지국 검색을 시작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GPS 통신 모듈을 끄거나, 미리 설정한 초기 모드로 전환한다.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is within a signal coverage range, the user terminal turns on the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starts searching for the base station.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turns off the GPS communication module or switches to a preset initial mode.

한편,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되는 기지국 맵은 새로운 기지국이 개설되거나 기지국 관련 정보가 변경될 때, 이러한 내용을 업데이트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은 상기 기지국 맵을 다운로드하여 기지국의 변경 정보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네비게이션 맵을 업데이트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새로운 도로, 건물, 지명이 변경되면, 네비게이션 맵 제공자가 이러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사용자가 수시로 업데이트된 맵을 다운로드 받아 이용한다. Meanwhile, the base station map stored in advance in the user terminal is updated when the new base station is opened or the base station related information is updated and stored in the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downloads the base station map to provide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etc. I can receive it. For example, a method of updating a navigation map of a car may be applied. As new roads, buildings and names change, the navigation map provider updates this information and the user downloads and uses the updated map from time to time.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때 전력을 관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셀룰러 이동 통신과 GPS 통신을 이용한 것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aging power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mo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uses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and GPS commun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은 통신을 수행하기 전에 미리 서버로부터 기지국의 분포를 지시하는 맵을 다운로드한다(S200). 기지국의 위치는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된 기지국 맵을 기준으로 검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서비스 운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가 기지국 맵을 서버에 업로드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이것을 사전에 단말로 다운로드 받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erminal downloads a map indicating the distribution of the base station from the server in advance before performing communication (S200). This is because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can be searched based on the base station map previously stored in the user terminal. When the service operator or the service provider uploads the base station map to the server, the user terminal may download it to the terminal in advance and store it in the memory.

인공위성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수신함을 지시하는 GPS 통신 모드를 온모드로 전환한다(S205). GPS 통신은 셀룰러 이동 통신보다 간단하고 전력 소모량이 적으므로, 전력 소비 효율이 향상된다. 기지국과 셀룰러 이동 통신이 매우 양호한 경우, 사용자 단말 스스로 GPS 통신 모드를 오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The GPS communication mode indicating that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satellite is switched to the on mode (S205). GPS communication is simpler tha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and consumes less power, thereby improving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If the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very good, the user terminal can switch the GPS communication mode to the off mode by itself.

만약, GPS 통신을 통해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검색한 결과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과 셀룰러 이동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범위에 위치하면, 셀룰러 이동 통신이 가능하지 않게 되면 주변에 셀룰러 이동 통신이 가능한 기지국을 검색함을 지시하는 기지국 검색 모드를 오프(OFF) 모드로 전환한다(S210). 기지국과 통신이 불가능함에도 지속적으로 검색하는 것은 전력 낭비의 큰 원인이기 때문이다. 단, 단계 S205 이후에 단계 S210이 수행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계 S210이 먼저 수행된 이후에 단계 S205가 수행될수도 있다.If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a range where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with the base station as a result of periodically searching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GPS communication, if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a base station capable of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may be provided. The base station search mode instructing to search is switched to the off mode (S210). This is because continuously searching even when it is im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is a big source of power wast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performing step S210 after step S205, and step S205 may be performed after step S210 is performed first.

기지국을 검색하지 않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자신의 위치를 상기 인공위성으로부터 지속적으로(미리 설정된 주기로) 수신하고, 미리 다운로드한 상기 맵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의 주변에 위치한 셀룰러 이동 통신이 가능한 기지국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검색한 셀룰러 이동이 통신 가능한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단말간의 거리를 표시한다(S215). 기지국 맵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기지국 후보군을 검색하며, 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이 셀룰러 이동 통신이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that does not search for a base station receives a base station continuously from the satellite (in a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base station capable of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located around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re-downloaded ma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exists, and displays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searched cellular movement can communicate and the user terminal (S215). Based on the base station map, the nearest neighboring candidate group is searched for from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based on this, the user terminal may move to an area where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is possible.

일 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장 근접한 기지국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이동하면, 상기 인공위성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수신하는 주기를 미리 설정된 주기보더 더 길게 변경하여 전력 소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moves away from the nearest base station, the frequency of receiving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satellite may be changed to be longer than a preset period to further improve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GPS 통신을 통해 셀룰러 이동 통신이 가능한 기지국이 검색되면 상기 기지국 검색 모드를 온(ON)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GPS 통신 모드를 미리 설정한 초기 모드로 전환한다(S220). 기지국 검색 모드가 온 모드로 전환된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을 검색한 후, 기지국에 연결된다. When a base station capable of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is found through GPS communication, the base station search mode is switched to an ON mode, and the GPS communication mode is switched to a preset initial mode (S220). The user terminal in which the base station search mode is switched to the on mode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after searching for the base station.

다른 예로, 기지국과의 연결이 불안정한 상황이면 GPS 통신 모드를 온 모드로 유지하여 셀룰러 이동 통신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미리 대비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unstable, the GPS communication mode may be maintained in an on mode to prepare for cellular cellular communication in advance.

도 3은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때 전력을 관리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와이파이 AP 네트워크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때 전력 관리에 관한 것이다.3 is a networ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managing power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modes. It relates to power management when sending and receiving signals in a Wi-Fi AP network.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운용자가 서버에 업로드한 AP 맵을 사전에 다운로드 받는다. AP 맵은 앞서 설명한 기지국 맵과 유사하게, AP의 분포를 나타내는 맵이다. Referring to FIG. 3, the user terminal previously downloads an AP map uploaded by a service operator to a server. The AP map is a map representing the distribution of APs, similar to the base station map described above.

일 예로,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중인 사용자 단말이 AP가 검색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GPS 통신 또는 셀룰러 이동 통신으로 AP의 위치를 검색하며, AP 통신 모듈의 전력 공급 유무 또는 저전력 모드 전환 유무를 결정한다.For example, when a user terminal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moves to a location where the AP is not detected, the user terminal searches for the location of the AP through GPS communication or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AP communication module is supplied with power or switched to low power mode. do.

다른 예로,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중인 사용자 단말은 AP를 통해 셀룰러 이동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지국을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검색할 수 있는 셀룰러 이동 통신 기지국 수가 많을수록 AP를 통한 검색의 정확도가 증가한다. 왜냐하면, 셀룰러 이동 통신 기지국들의 신호 도달 거리의 공통 영역이 이동 단말이 위치한 영역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As another example, a user terminal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may search for a base station to perform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through the AP. As the number of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searchable by the user terminal increases, the accuracy of searching through the AP increases. This is because the common area of the signal arrival distances of the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is determined by the area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AP1은 기지국 1, 기지국2 및 기지국3의 신호 도달 범위 내에 모두 포함되고, AP2는 기지국 2 및 기지국 3의 신호 도달 범위 내에 포함되고, AP3는 기지국 1 및 기지국 3의 신호 도달 범위 내에 포함되고, AP4는 기지국 1 및 기지국 2의 신호 도달 범위 내에 포함되고, AP5는 기지국 2의 신호 도달 범위 내에 포함되고, AP6는 기지국 3의 신호 도달 범위 내에 포함되고, AP7는 기지국 1의 신호 도달 범위 내에 포함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AP1에 가장 근접하다고 가정한다.AP1 is included in the signal coverage of base stations 1, 2 and 3, AP2 is included in the signal coverage of base stations 2 and 3, AP3 is included in the signal coverage of base stations 1 and 3, and AP4. Is included within the signal coverage of base station 1 and base station 2, AP5 is included within the signal coverage of base station 2, AP6 is included within the signal coverage of base station 3, and AP7 is included within the signal coverage of base station 1.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user terminal is closest to AP1.

만약, AP1이 사용 불가능한 상황이라면(또는 존재하지 않는다면), AP2, AP3 또는 AP4가 사용자 단말에 가장 근접한 AP이다. 그 다음 AP4, AP5 및 AP6이 근접한 AP이다.If AP1 is unavailable (or does not exist), AP2, AP3 or AP4 is the AP closest to the user terminal. Then AP4, AP5 and AP6 are adjacent APs.

일 예로, 사용자 단말은 AP1,AP2,AP3 또는 AP4 중 어느 하나와 통신이 가능하면 기지국의 검색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기지국의 검색을 중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 terminal can communicate with any one of AP1, AP2, AP3, or AP4, the user terminal may perform a search of the base station, or otherwise stop the search of the base station.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의 검색을 수행 또는 중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대신에 다음과 같이 기지국의 검색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한 AP1이 존재하면 기지국이 검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기지국의 검색 주기를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P1)로 설정한다. 유사하게,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한 AP2, AP3 또는 AP4 중 하나가 존재하면 기지국의 검색 주기를 중간 수준의 주기(P2)로 설정한다.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한 AP5, AP6 또는 AP7 중 하나가 존재하면 기지국의 검색 주기를 상대적으로 긴 주기(P3)로 설정한다. 또한, 통신 가능한 AP가 존재하지 않으면 기지국의 검색 주기를 가장 긴 주기(P4)로 설정한다(또는 기지국의 검색을 중단한다). 즉, 기지국의 검색 주기는 "P1 < P2 < P3 < P4"로 설정한다.As another example, the user terminal may perform an operation of adjusting the search period of the base station as follows instead of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or stop the search of the base station. If there is an AP1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since the base station is likely to be searched, the search period of the base station is set to a relatively short period (P1). Similarly, if there is one of AP2, AP3 or AP4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the search period of the base station is set to a medium level period P2. If one of AP5, AP6, or AP7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exists, the search period of the base station is set to a relatively long period (P3). If there is no AP that can communicate, the search period of the base station is set to the longest period P4 (or the search of the base station is stopped). That is, the search period of the base station is set to "P1 <P2 <P3 <P4".

둘째, 사용자 단말의 내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실시예2).Second, power of the user terminal may be reduced by using an internal algorithm of the user terminal (Example 2).

일 예로, 사용자 단말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또는 검색 횟수) 기지국이 검색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 스스로 기지국 검색 주기를 증가시켜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기지국이 검색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 스스로 검색을 종료하고 저전력 상태로 전환하거나, 전력 공급을 중단하고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base station is not search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number of searches) at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may increase the base station search period by itself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when the base station is not search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may end the search and switch to the low power state, or may stop the power supply and switch to the standby state.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이 현재 사용중인 통신 모드의 기지국이 제공하는 신호 도달 범위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보다 먼 거리의 연결을 지원하는 통신 모드로 전환을 한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모드의 사용자 단말은 AP가 제공하는 신호 도달 범위 외부로 이동하면 GPS 통신 모드 또는 셀룰러 통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통신 모드가 전환되면, 이전에 사용했던 통신 모드의 통신 모듈은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거나 전원 공급이 중단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전환된 새로운 통신 모드로 기지국과 연결되어 송수신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moves out of the signal coverage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of the communication mode currently in use, the user terminal switches to a communication mode supporting a longer distance connec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in the Wi-Fi mode moves out of the signal coverage provided by the AP, the user terminal may switch to the GPS communication mode or the cellular communication mode. As such, when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user terminal is switched,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reviously used communic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low power mode or the power supply is stopped.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in the switched new communication mode and transmits and receives.

이때, 보다 먼 거리의 연결을 통신 모드는 별도의 저주파 통신을 이용한 통신 모드 일 수 있으며,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간에 규약에 의해 정해져 있는 전송 주파수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2GHz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이동 통신 모드의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의 신호 범위 가장자리에서 700MHz 대역 주파수의 통신 모드로 전환하여 기지국과 연속적인 통신을 한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mode for a longer distance connection may be a communication mode using a separate low frequency communication, and uses a transmission frequency determined by a protoco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 using the 2 GHz band frequency switches to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700 MHz band frequency at the edge of the signal range of the base station to continuously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이 전력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기지국의 분포를 지시하는 맵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셀룰러 이동 통신이 가능한 기지국을 검색함을 지시하는 기지국 검색 모드를 오프(OFF)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인공위성으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수신함을 지시하는 GPS 통신 모드를 온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맵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셀룰러 이동 통신이 가능한 기지국의 존재 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를 표시하는 단계;
셀룰러 이동 통신이 가능한 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기지국 검색 모드를 온(ON)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GPS 통신 모드를 미리 설정한 초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장 근접한 기지국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이동하거나 채널 상황이 열화되어 상기 가장 근접한 기지국을 검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수신하는 주기를 미리 설정된 주기보다 더 길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전력 관리방법.
In a method for managing power by a user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ing a map indicating a distribution of base stations from a server;
Switching a base station search mode to an OFF mode indicative of searching for a base station capable of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a GPS communication mode to an on mode indicative of receiving a location of a user terminal from a satellite;
Receiving a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using the satellite and displaying whether there is a base station capable of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and a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map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Switching the base station search mode to an on mode if the base station capable of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exists, and switching the GPS communication mode to a preset initial mode;
When the user terminal moves away from the nearest base station or the channel condition is deteriorated and the nearest base station cannot be searched, the period for receiving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using the satellite is greater than a preset period. The power management method of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er change.
KR1020110135081A 2011-12-15 2011-12-15 Method for managing power of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mode KR201300679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081A KR20130067983A (en) 2011-12-15 2011-12-15 Method for managing power of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081A KR20130067983A (en) 2011-12-15 2011-12-15 Method for managing power of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m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983A true KR20130067983A (en) 2013-06-25

Family

ID=4886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081A KR20130067983A (en) 2011-12-15 2011-12-15 Method for managing power of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m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798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77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access map and applications
KR101443546B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access network connectivity information using predicted locations
CN106792957B (en) Network switching method and system of NB-IoT (NB-IoT) terminal
US20140228067A1 (en) Television band (tvbd) channel quieting across diverse radio access technologies
CN103582076A (en) WLAN WifiTrak control method and device
WO2013173163A1 (en) Driving hybrid location services from wlan stations using access points
CN109151210B (en) Mobile termin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related product
US10154522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via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aths
KR20100046341A (en) Method for connecting to wireless lan access point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60211418A1 (en) Method for carrying out a handover
KR20040090945A (en) Wtru with function for handover between cellular system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10591577B2 (en)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CN111757411A (en) Cell selection method and device
US8743789B2 (en) Radio access device, a radio access system, a network selection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CN103298080A (en) Enhanced power management in communication device
KR102056119B1 (en) Assistant method and system for retrieving wireless signals for mobile devices
US20220394717A1 (en) Location-matrix based user equipment band scanning
US20120315885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twork-side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method of changing operation period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2474809A (en) Selecting access network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5453616A (en) Methods and devices for mobile station device-to-device beacon window determination
EP2523507A1 (en) Method for triggering wake-up of dormant base station(s) located in the vicinity of a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ssociated network entities
EP3171639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terminal
KR20130067983A (en) Method for managing power of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mode
WO2016199295A1 (en)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setting method
CN112514419A (en)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to acquire measurem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