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7366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7366A
KR20130067366A KR1020110134222A KR20110134222A KR20130067366A KR 20130067366 A KR20130067366 A KR 20130067366A KR 1020110134222 A KR1020110134222 A KR 1020110134222A KR 20110134222 A KR20110134222 A KR 20110134222A KR 20130067366 A KR20130067366 A KR 20130067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xecution
contents
display
categ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8363B1 (ko
Inventor
배희정
권용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4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363B1/ko
Priority to US13/710,972 priority patent/US9602861B2/en
Priority to CN2012105389394A priority patent/CN103167352A/zh
Priority to CN201710499225.XA priority patent/CN107277600B/zh
Priority to CN201811508863.4A priority patent/CN109996108B/zh
Priority to JP2012272761A priority patent/JP2013125550A/ja
Priority to CN201911050533.XA priority patent/CN110691273B/zh
Priority to EP12197199.8A priority patent/EP2605528A1/en
Publication of KR20130067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366A/ko
Priority to US14/721,632 priority patent/US9900649B2/en
Priority to US14/849,678 priority patent/US998628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363B1/ko
Priority to US15/948,508 priority patent/US10771839B2/en
Priority to US16/937,972 priority patent/US1124055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3Processing operations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컨텐츠에 관한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와, 제1컨텐츠의 실행 중 상기 제1컨텐츠와 다른 제2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 실행 중인 상기 제1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에 관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원하는 컨텐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TV는 방송채널을 선국하여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여 출력하는 기능만을 수행했으나,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최근의 TV는 방송 시청 이외에도, 외부 영상소스의 멀티미디어 재생, 게임/음악 등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넷 검색 등 다양한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진입해야 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현재 출시되는 TV의 경우 하드웨어 적 제약 등으로 인해 하나의 컨텐츠 만을 실행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를 실행 중 다른 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 이전에 실행했던 컨텐츠로 되돌아가는데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컨텐츠에 관한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 제1컨텐츠의 실행 중 상기 제1컨텐츠와 다른 제2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 실행 중인 상기 제1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에 대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에 대한 UI가 선택되면, 상기 제1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컨텐츠의 종료 시점에서 상기 제1컨텐츠의 실행을 재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와 다른 제3컨텐츠를 상기 제2컨텐츠의 실행 중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1컨텐츠에 대한 UI 및 상기 제2컨텐츠에 대한 UI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실행 종료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실행 종료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UI는 최근 종료된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UI는 실행된 빈도에 따라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I는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의 실행 종료 당시의 화면에 대응하는 썸네일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컨텐츠에 관한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 상기 컨텐츠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종료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종료된 컨텐츠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제1컨텐츠의 실행 중 상기 제1컨텐츠와 다른 제2컨텐츠가 실행되면, 상기 제1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관한 UI가 선택되면,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 중 가장 최근 종료된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관한 UI가 선택되면,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 중 실행된 빈도가 가장 높은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실행 중인 제1컨텐츠와 다른 제2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1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에 대한 UI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에 대한 UI가 선택되면, 상기 제1컨텐츠가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컨텐츠의 종료 시점에서 상기 제1컨텐츠의 실행이 재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와 다른 제3컨텐츠를 상기 제2컨텐츠의 실행 중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1컨텐츠에 대한 UI 및 상기 제2컨텐츠에 대한 UI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실행 종료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실행 종료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UI는 최근 종료된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UI는 실행된 빈도에 따라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I는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의 실행 종료 당시의 화면에 대응하는 썸네일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 중인 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종료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종료된 컨텐츠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컨텐츠의 실행 중 상기 제1컨텐츠와 다른 제2컨텐츠가 실행되면, 상기 제1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관한 UI가 선택되면,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 중 가장 최근 종료된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관한 UI가 선택되면,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 중 실행된 빈도가 가장 높은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원하는 컨텐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복수의 UI가 카테고리에 따라 표시된 화면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복수의 UI가 최근 종료된 순서 또는 실행 빈도에 따라 표시된 화면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 1제어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 2제어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저장부(120), UI생성부(130), 제어부(140)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양한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TV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실행되는 컨텐츠의 영상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방송 채널 이외에도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실행하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으며, 후술할 복수의 UI를 포함하는 컨텐츠 바(contents bar)가 표시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이 표시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과 디스플레이패널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구동하는 패널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세한 구현 방식에 있어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20)는 후술할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20)는 제1컨텐츠의 실행 중 제2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 제1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되는 정보는 제1컨텐츠의 종류, 중단된 재생 시간, 중단 당시의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에 HDD(Hard Disk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는 저장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UI생성부(130)는 컨텐츠에 관한 UI를 생성한다. UI생성부(130)는 특히, 실행 종료된 제1컨텐츠에 관한 UI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UI는 제1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UI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컨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UI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UI는 제1컨텐츠의 실행 종료 당시의 화면에 대응하는 썸네일(thumbnail)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각 UI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실행 종료 당시에 표시된 화면 전체의 레이아웃(layout)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140)는 도시되지 않으나, 제어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는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딩되는 RAM과 같은 휘발성의 메모리와, 로딩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 Unit) 등과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1컨텐츠의 실행 중 제1컨텐츠와 다른 제2컨텐츠를 실행하라는 사용자의 입력을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에 마련된 키입력부(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미도시)를 통해 수신하면, 제2컨텐츠를 실행하고 실행 중이던 제1컨텐츠는 실행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시에 하나의 컨텐츠 만이 실행될 수 있다.
제1컨텐츠의 실행이 종료되면, 제어부(140)는 종료된 제1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정보는 제1컨텐츠의 종류, 중단된 재생 시간, 중단 당시의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컨텐츠의 실행이 종료되면, 종료된 제1컨텐츠에 관한 UI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도록 UI생성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컨텐츠에 관한 UI는 제1컨텐츠의 실행 종료 당시 화면에 대응하는 썸네일(thumbnail)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컨텐츠의 종류와 제목 등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와 다른 제3컨텐츠를 제2컨텐츠의 실행 중 실행하는 경우, 제1컨텐츠에 대한 UI 및 제2컨텐츠에 대한 UI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실행된 컨텐츠의 이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 종료된 컨텐츠 각각에 대한 UI가 컨텐츠 바(300)에 포함되어 표시되어 있으며, UI 각각은 최근 종료된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즉, 가장 최근에 종료된 컨텐츠의 순서대로 채널 7번(310), 채널 8번(320), 게임 A(330), HDMI로 연결된 DVD(340), 채널 12번(350) 등의 UI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키입력부 또는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각 컨텐츠에 대응하는 UI를 선택하여 각 컨텐츠를 쉽게 실행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가 키입력부 또는 원격제어장치에 포함된 특정 버튼을 누르면, 그에 따라 가장 최근에 실행되었던 컨텐츠(도 3에서 채널 7번)를 바로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 이외에 종전에 실행했던 컨텐츠를 쉽게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어부(140)는 복수의 UI를 실행된 빈도에 따라 순서대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최근 특정 기간 동안 실행된 빈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UI를 컨텐츠 바(300)에 포함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키입력부 또는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복수의 UI중 특정 UI를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특정 UI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며, 이 때 제어부(140)는 컨텐츠의 종료 시점에서 실행을 재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컨텐츠의 전환 후 종전에 사용했던 컨텐츠를 다시 실행하는 경우, 종료 당시에 실행했던 부분부터 재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며, 특히, 하드웨어 적 제약으로 인해 하나의 컨텐츠 만을 실행할 수 있는 경우에도 컨텐츠의 전환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설명하며,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특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컨텐츠의 사용이력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한다. 사용이력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실행되었던 컨텐츠의 리스트에 해당한다. 제어부(140)는 분류된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UI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UI가 컨텐츠바(200)에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최근 시청한 채널(210), 최근 연결한 Allshare(220),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230), 최근 검색한 웹사이트(240), 최근 연결한 영상소스(250) 등 각각의 카테고리로 분류된 UI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채널은 튜너(tuner)에 의한 채널 튜닝을 기준으로 마지막으로 튜닝 완료된 채널을 표시하고, Allshare를 통한 멀티미디어의 경우 마지막 재생 위치를 표시하고, 웹사이트는 웹브라우저의 히스토리 목록에서 가장 최근에 검색된 사이트를 표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카테고리 명칭, 종료 당시 화면의 썸네일, 컨텐츠의 세부 명칭을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UI를 선택하면,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 중 가장 최근 종료된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 중 실행된 빈도가 가장 높은 컨텐츠를 실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 1제어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 시청 이외에도 다양한 컨텐츠로 활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를 실행하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한다(S110). 사용자로부터 실행 중인 제1컨텐츠와 다른 제2컨텐츠를 실행하라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12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컨텐츠를 실행하여 표시하고(130), 종전에 실행 중이던 제1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한다(140). 이에 따라, 동시에 하나의 컨텐츠 만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컨텐츠의 실행이 종료되면, 종료된 제1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S150). 이 때, 저장되는 정보는 제1컨텐츠의 종류, 중단된 재생 시간, 중단 당시의 화면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에 HDD(Hard Disk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는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종료된 제1컨텐츠에 관한 UI를 생성하여 표시한다(S160). 이 때, 표시되는 UI는 종료된 제1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UI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UI 각각은 제1컨텐츠의 실행 종료 당시의 화면에 대응하는 썸네일(thumbnail)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컨텐츠의 종류와 제목 등의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와 다른 제3컨텐츠를 제2컨텐츠의 실행 중 실행하는 경우, 제1컨텐츠에 대한 UI 및 제2컨텐츠에 대한 UI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실행된 컨텐츠의 이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각각의 UI는 최근 종료된 순서 또는 실행된 빈도에 따라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사용자는 표시된 복수의 UI중 특정 UI를 선택하여, 선택된 특정 UI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선택된 컨텐츠의 종료 시점에서 컨텐츠의 실행을 재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컨텐츠의 전환 후 종전에 사용했던 컨텐츠를 다시 실행하는 경우, 종료 당시에 실행했던 부분부터 재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며, 특히, 하드웨어 적 제약으로 인해 하나의 컨텐츠 만을 실행할 수 있는 경우에도 컨텐츠의 전환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 2제어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를 실행하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한다(S21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한다(S120). 사용이력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실행되었던 컨텐츠의 리스트에 해당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분류된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한 UI를 표시한다(S130). UI가 표시되는 예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특정 카테고리에 관한 UI가 선택되면,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 중 가장 최근 종료된 컨텐츠가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 중 실행된 빈도가 가장 높은 컨텐츠를 실행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저장부
130: UI생성부
140: 제어부

Claims (26)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컨텐츠에 관한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
    제1컨텐츠의 실행 중 상기 제1컨텐츠와 다른 제2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 실행 중인 상기 제1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에 대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에 대한 UI가 선택되면, 상기 제1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컨텐츠의 종료 시점에서 상기 제1컨텐츠의 실행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와 다른 제3컨텐츠를 상기 제2컨텐츠의 실행 중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1컨텐츠에 대한 UI 및 상기 제2컨텐츠에 대한 UI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상기 컨텐츠의 사용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행 종료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UI는 최근 종료된 순서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UI는 실행된 빈도에 따라 순서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의 실행 종료 당시의 화면에 대응하는 썸네일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컨텐츠에 관한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
    사용자의 상기 컨텐츠의 사용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컨텐츠의 실행 중 상기 제1컨텐츠와 다른 제2컨텐츠가 실행되면, 상기 제1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관한 UI가 선택되면,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 중 가장 최근 종료된 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관한 UI가 선택되면,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 중 실행된 빈도가 가장 높은 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실행 중인 제1컨텐츠와 다른 제2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1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에 대한 UI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에 대한 UI가 선택되면, 상기 제1컨텐츠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텐츠의 종료 시점에서 상기 제1컨텐츠의 실행이 재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와 다른 제3컨텐츠를 상기 제2컨텐츠의 실행 중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1컨텐츠에 대한 UI 및 상기 제2컨텐츠에 대한 UI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기 컨텐츠의 사용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실행 종료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UI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UI는 최근 종료된 순서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UI는 실행된 빈도에 따라 순서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상기 종료된 제1컨텐츠의 실행 종료 당시의 화면에 대응하는 썸네일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3.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상기 컨텐츠의 사용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제1컨텐츠의 실행 중 상기 제1컨텐츠와 다른 제2컨텐츠가 실행되면, 상기 제1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관한 UI가 선택되면,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 중 가장 최근 종료된 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6. 제 2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관한 UI가 선택되면,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 중 실행된 빈도가 가장 높은 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10134222A 2011-12-14 2011-12-1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58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222A KR101758363B1 (ko) 2011-12-14 2011-12-1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3/710,972 US9602861B2 (en) 2011-12-14 2012-12-11 Control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providing various types of content
CN201710499225.XA CN107277600B (zh) 2011-12-14 2012-12-13 提供各种类型的内容的控制方法和显示装置
CN201811508863.4A CN109996108B (zh) 2011-12-14 2012-12-13 提供各种类型的内容的控制方法和显示装置
JP2012272761A JP2013125550A (ja) 2011-12-14 2012-12-13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1911050533.XA CN110691273B (zh) 2011-12-14 2012-12-13 提供各种类型的内容的控制方法和显示装置
CN2012105389394A CN103167352A (zh) 2011-12-14 2012-12-13 提供各种类型的内容的控制方法和显示装置
EP12197199.8A EP2605528A1 (en) 2011-12-14 2012-12-14 Control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providing various types of content
US14/721,632 US9900649B2 (en) 2011-12-14 2015-05-26 Control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providing various types of content
US14/849,678 US9986284B2 (en) 2011-12-14 2015-09-10 Control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providing various types of content
US15/948,508 US10771839B2 (en) 2011-12-14 2018-04-09 Control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providing various types of content
US16/937,972 US11240553B2 (en) 2011-12-14 2020-07-24 Control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providing various types of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222A KR101758363B1 (ko) 2011-12-14 2011-12-1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367A Division KR101868031B1 (ko) 2017-07-10 2017-07-1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366A true KR20130067366A (ko) 2013-06-24
KR101758363B1 KR101758363B1 (ko) 2017-07-17

Family

ID=4756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222A KR101758363B1 (ko) 2011-12-14 2011-12-1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9602861B2 (ko)
EP (1) EP2605528A1 (ko)
JP (1) JP2013125550A (ko)
KR (1) KR101758363B1 (ko)
CN (4) CN1072776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293B1 (ko) * 2013-05-29 2017-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412457B2 (en) 2016-09-28 2019-09-10 T-Mobile Usa, Inc. User-tailored content access menus
US11451874B2 (en) * 2017-12-21 2022-09-20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progress bar for updating viewing status of previously viewed content
WO2019223967A1 (en) * 2018-05-22 2019-11-28 Arcelik Anonim Sirketi A display device having a source switching interface
JP7289617B2 (ja) * 2018-07-31 2023-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19107140B4 (de) * 2019-03-20 2023-06-29 Nordson Corporation Düsenanordnung mit Druckreguliervorrichtung sowie Granuliervorrichtung
CN110099296B (zh) * 2019-03-27 2021-02-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12035173B (zh) * 2020-11-04 2021-03-05 北京爱奇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支持vr一体机多维度内容聚合展示的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4509A (en) 1993-06-22 1997-01-14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visual interface for the display of multiple levels of information on a display
JP3508784B2 (ja) 1994-11-11 2004-03-2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受信制御装置および画像受信制御方法
US5835717A (en) * 1995-12-13 1998-11-10 Silicon Graph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state information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JPH10145689A (ja) 1996-11-13 1998-05-29 Sharp Corp チャンネル選択方法及び装置
US6141003A (en) 1997-03-18 2000-10-31 Microsoft Corporation Channel bar user interface for an entertainment system
US20020056098A1 (en) 1998-06-29 2002-05-09 Christopher M. White Web browser system for displaying recently viewed television channels
US6349410B1 (en) * 1999-08-04 2002-02-19 Intel Corporation Integrating broadcast television pause and web browsing
TW516309B (en) 1999-12-10 2003-01-0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Features for use with advanced set-top applications o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KR100370080B1 (ko) * 2000-08-11 200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osd 메뉴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US20040128700A1 (en) 2002-12-30 2004-07-01 Ming-Da Pan Viewing selection management system
JP2005051493A (ja) * 2003-07-28 2005-02-24 Toshiba Corp 映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映像記録再生方法
JP4487517B2 (ja) * 2003-08-28 2010-06-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836473B2 (en) 2003-10-31 2010-11-16 Microsoft Corporation Interface strategies for creating and invoking marks
JP2005286855A (ja) * 2004-03-30 2005-10-13 Hitachi Ltd 携帯型情報端末装置
KR100716988B1 (ko) * 2004-11-20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Dmb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디스플레이 방법, 선호서비스 관리방법 및 장치
US8640166B1 (en) 2005-05-06 2014-01-28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surfing
US20070009229A1 (en) * 2005-05-16 2007-01-11 Toshiba America Consumer Products, Llc User interface for consumer electronic product
US20060294557A1 (en) 2005-06-23 2006-12-28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ation of information relating to change of a programming state
KR100753090B1 (ko) * 2005-08-01 200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채널 정보 표시방법
US20070150368A1 (en) * 2005-09-06 2007-06-28 Samir Arora On-line personalized content and merchandising environment
DK1969846T3 (da) * 2005-12-29 2014-01-2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er og fremgangsmåder til at administrere indhold
US20070186177A1 (en) * 2006-02-03 2007-08-09 Yahoo! Inc. Content navigation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US8869200B2 (en) * 2006-02-14 2014-10-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lection list of thumbnails
US9021041B2 (en) * 2006-06-29 2015-04-28 Nextpat Limited System to provide integrated on-line support
KR20080012054A (ko) * 2006-08-02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정보표시방법
JP4360390B2 (ja) * 2006-09-21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8914729B2 (en) * 2006-10-30 2014-12-16 Yahoo!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customizable guide for navigating a corpus of content
KR20080060921A (ko) 2006-12-27 200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방송수신방법
KR20080085512A (ko) * 2007-03-20 2008-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 표시 방법
KR20090050577A (ko) 2007-11-16 200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 및 재생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및 그 장치와 제어방법
US8768137B2 (en) * 2007-12-14 2014-07-01 Microsoft Corporation Program segments display bar
CA2711054A1 (en) * 2008-01-04 2009-07-16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media assets for display in a screen of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US20090199106A1 (en) 2008-02-05 2009-08-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graphical bookmark manager
US8151215B2 (en) 2008-02-07 2012-04-03 Sony Corporation Favorite GUI for TV
KR101504360B1 (ko) 2008-09-11 2015-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데이터 재생 방법
US20100083304A1 (en) 2008-09-26 2010-04-01 Yang Pan System and method of rendering advertisements by employing paused screen of television
US8117564B2 (en) * 2009-04-10 2012-02-1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media guidance application with multiple perspective views
US8549561B2 (en) * 2009-08-19 2013-10-01 Sony Corporation TV user interface with recommended content entry in favorites menu
KR101710545B1 (ko) 2009-11-05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20110074039A (ko) * 2009-12-24 201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컨텐츠 제어방법
JP5119288B2 (ja) 2010-03-15 2013-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出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517638B1 (ko) * 2010-04-22 2015-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1752355B1 (ko) * 2010-07-26 201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CN101924891B (zh) * 2010-08-05 2012-05-30 北京歌华有线电视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电视频道切换方法及系统
US9398339B2 (en) 2010-09-01 2016-07-19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1945234A (zh) * 2010-09-13 2011-01-12 深圳市华曦达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用户使用频率制定个性化菜单的方法及电视终端
US10740117B2 (en) 2010-10-19 2020-08-11 Apple Inc. Grouping windows into clusters in one or more workspaces in a user interface
KR101556165B1 (ko) 2011-05-27 201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634001A1 (en) * 2011-05-26 2020-04-0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27624A1 (en) 2018-08-09
CN109996108B (zh) 2022-02-18
US9900649B2 (en) 2018-02-20
US9602861B2 (en) 2017-03-21
US20150256889A1 (en) 2015-09-10
CN109996108A (zh) 2019-07-09
JP2013125550A (ja) 2013-06-24
CN107277600B (zh) 2018-12-14
US20130159933A1 (en) 2013-06-20
CN110691273B (zh) 2022-04-29
US11240553B2 (en) 2022-02-01
KR101758363B1 (ko) 2017-07-17
EP2605528A1 (en) 2013-06-19
CN107277600A (zh) 2017-10-20
US20160007073A1 (en) 2016-01-07
US10771839B2 (en) 2020-09-08
CN110691273A (zh) 2020-01-14
US20200359081A1 (en) 2020-11-12
US9986284B2 (en) 2018-05-29
CN103167352A (zh)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8479B2 (en)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240553B2 (en) Control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providing various types of content
JP452576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CN102348089A (zh) 视频播放方法及系统
KR10179021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US2013012775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76956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function applying thereto
US818584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on 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generating on screen display
KR10186803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615769B (zh) 广播接收设备及其信息提供方法
US20130198651A1 (en) Display apparatus and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EP262919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146777A1 (en) Electronic equipment providing electronic manu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1152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4321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US9940012B2 (en) Display device, calibr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04867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97173B1 (ko) 휴대 단말과 연동되어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16471456A (zh) 播放多媒体文件的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