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558A - 통신 장치의 동작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의 동작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66558A KR20130066558A KR1020127011811A KR20127011811A KR20130066558A KR 20130066558 A KR20130066558 A KR 20130066558A KR 1020127011811 A KR1020127011811 A KR 1020127011811A KR 20127011811 A KR20127011811 A KR 20127011811A KR 20130066558 A KR20130066558 A KR 201300665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device
- communication
- profile
- readable storage
- storage mediu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48—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the same frequency or frequency band,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7/487—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the same frequency or frequency band, to a common load or source particularly adapted as coupling circuit between transmitters and antenn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물의 교시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예를 들어 통신 장치가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설명하는 프로파일에 따라 통신 장치의 수신기 부분 및 송신기 부분 중의 하나의 하나 이상의 동작 특성을 제어하는 매칭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제어기를 갖는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2009년 10월 10일 제출되고 발명의 명칭이 "통신 장치의 동작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PERATIONS OF A COMMUNICATION DEVICE)인 만센(Manssen) 등의 미국 출원 번호 12/577,178의 우선권의 이득을 청구하며, 여기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통신 장치 동작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장치의 동작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파이(WiFi) 또는 셀룰러 기지국 등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셀 폰 및 랩탑 컴퓨터 등의 포터블 이동 장치 간의 무선 통신의 품질은 많은 요인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터블 장치의 안테나의 성능은 그 동작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무선 핸드셋에 대하여 다수의 사용 케이스가 존재하는데, 이는 사용자의 머리 옆이나 사용자의 주머니에 핸드셋의 안테나를 배치하거나 손으로 안테나를 감싸는 등의 조건을 포함하며, 이는 무선 장치 효율을 크게 악화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무선 통신의 품질은 이동 장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위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신 장치의 동작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과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고, 상기 통신 세션으로부터 상기 통신 시스템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통신 시스템에 따라 프로파일을 선택하고, 상기 프로파일 내에 포함된 제공 정보에 따라 튜닝가능 리액턴스를 갖는 매칭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튜닝 상태를 제공하는 컴퓨터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매칭 네트워크의 상기 하나 이상의 튜닝 상태는 상기 통신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성능 파라미터에 영향을 주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수반한다.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는 통신 장치의 송신기 부분 및 수신기 부분의 하나에 결합된 튜닝가능 리액턴스 회로를 수반한다. 상기 튜닝가능 리액턴스 회로는 상기 통신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성능 파라미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튜닝가능 리액턴스 회로는 상기 통신 장치가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특성을 설명하는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는 통신 장치에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성능 파라미터에 영향을 주는 튜닝가능 리액턴스 회로를 제공하는 프로파일을 이용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셀룰러 기지국을 수반한다.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는 통신 장치가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설명하는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의 수신기 부분 및 송신기 부분 중의 하나의 하나 이상의 동작 특성을 제어하는 매칭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수반한다.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는 통신 장치의 송신기 부분의 송신 전력 레벨 및 상기 통신 장치의 수신기 부분의 수신 신호 강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 내의 튜닝가능 리액턴스 회로를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반한다.
본 발명에 따라 통신 장치의 동작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통신 장치의 트랜시버의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4는 도 2의 트랜시버의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6은 튜닝가능 매칭 안테나의 튜닝가능 반응 소자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의 통신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테스트 환경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테스트 환경의 일부에서 동작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내지 12는 평활화 기능의 적용 전후의 데이터 세트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2의 트랜시버의 매칭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통신 장치에 의해 이용되는 룩업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1의 통신 장치가 동작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14의 통신 시스템의 일부에서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실행될 때 명령의 세트가 여기에 개시된 방법론 중의 하나 이상을 머신이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형태의 머신의 예시적인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통신 장치의 트랜시버의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4는 도 2의 트랜시버의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6은 튜닝가능 매칭 안테나의 튜닝가능 반응 소자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의 통신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테스트 환경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테스트 환경의 일부에서 동작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내지 12는 평활화 기능의 적용 전후의 데이터 세트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2의 트랜시버의 매칭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통신 장치에 의해 이용되는 룩업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1의 통신 장치가 동작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14의 통신 시스템의 일부에서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실행될 때 명령의 세트가 여기에 개시된 방법론 중의 하나 이상을 머신이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형태의 머신의 예시적인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통신 장치(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신 장치(100)는 (독립적인 송신부 및 수신부를 갖는) 무선 트랜시버(102), 사용자 인터페이스(UI)(104), 전원(114) 및 그 동작을 관리하는 제어기(106)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트랜시버(102)는, 몇가지만 언급하면, 블루투스, WiFi,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또는 셀룰러 통신 기술 등의 근거리 또는 장거리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셀룰러 기술은, 예를 들어, CDMA-1X, WCDMA, UMTS/HSDPA, GSM/GPRS, TDMA/EDGE, EV/DO, WiMAX 및 차세대 셀룰러 무선 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UI(104)는 롤러 볼, 조이스틱, 마우스, 또는 통신 장치(100)의 동작을 조작하는 내비게이션 디스크 등의 내비게이션 메카니즘을 갖는 누름 또는 터치 감지 키패드(108)를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108)는 통신 장치(100)의 하우징 어셈블리의 필수 부분이거나 묶인 와이어라인 인터페이스 (플렉스 케이블 등) 또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의해 그에 동작적으로 결합된 독립 장치일 수 있다. 키패드(108)는 폰에 의해 공통으로 사용되는 숫자 다이얼링 키패드 및/또는 알파수치적 키를 갖는 쿼티(Qwerty) 키패드를 나타낼 수 있다. UI(104)는 흑백 또는 칼라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110) 또는 통신 장치(100)의 엔드 유저에게 이미지를 전달하는 다른 적절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인 실시예에서, 키패드(108)의 일부 또는 전부가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전원(114)은 통신 장치(100)의 컴포넌트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포터블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대체가능 배터리, 공급 규정 기술 및 충전 시스템 기술 등의) 공통 전력 관리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기(106)는 플래시, ROM, RAM, SRAM, DRAM 또는 다른 유사한 기술 등의 연관된 저장 메모리를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등의 컴퓨팅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통신 장치(100)의 무선 트랜시버(102)의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GSM 애플리케이션에서, 트랜시버(102)의 송수신 부분은 스위치(204)에 의해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 및 임피던스 부하(206)에 결합된 공통 증폭기(201, 20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의 부하(206)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여기서, 안테나(206))일 수 있다. 무선 주파수(RF) 신호(TX)의 형태의 송신 신호는, 스위치(204)가 송신 세션에 대하여 인에이블될 때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에 의해 안테나(206)로 전달하는 증폭기(201)로 전달될 수 있다. 트랜시버(102)의 수신 부분은, 스위치(204)가 수신 세션에 대하여 인에이블될 때 안테나(206)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튜닝가능한 매칭 네트워크(202)에 의해 증폭하는 전치 증폭기(203)를 이용할 수 있다. CDMA 등의 다른 타입의 셀룰러 액세스 기술에 대해서 도 2의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이들 개시되지 않은 구성은 본 개시물에 의해 고려된다.
도 3 및 4는 도 2의 트랜시버(102)의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는 제어 회로(302) 및 튜닝가능 반응 소자(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302)는 DC/DC 변환기(304), 하나 이상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306) 및 각각의 DAC에 의해 생성된 전압을 증폭하는 하나 이상의 대응 버퍼(308)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된 신호는 튜닝가능 반응 소자(310)에 대한 가능한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튜닝가능 반응 컴포넌트(504, 506, 508)에 공급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튜닝가능 반응 소자(310)는 3개의 튜닝가능 커패시터(504 내지 508) 및 고정 인덕턴스를 갖는 인덕터(502)를 포함한다. 다른 회로 구성이 가능하며, 본 개시물에 의해 고려된다.
튜닝가능 커패시터(504 내지 508)는 각각 상기 컴포넌트의 커패시턴스의 튜닝가능성이 인에이블하는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튜닝가능 커패시터(504 내지 508)의 일 실시예는 BST(barium strontium titanate)의 조성 등의 전압 또는 전류 튜닝가능 유전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BST의 조성의 예는 파라스캔(Parascan) 튜닝가능 커패시터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튜닝가능 반응 소자(310)는 반도체 버랙터(varactor)를 이용할 수 있다. 전압 또는 전류 튜닝가능 반응 소자를 위한 수단을 지원할 수 있는 다른 현재 또는 다음 세대 방법 또는 물질 조성은 본 개시물에 의해 고려된다.
DC/DC 변환기(304)는 도 1의 통신 장치의 전원(114)으로부터 3볼트 등의 전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DC/DC 변환기(304)는 공통 기술을 이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전력 신호를 더 높은 범위(예를 들어, 30볼트)로 증폭할 수 있다. 제어기(106)는 "n"개 이상의 와이어의 제어 버스에 의해 DAC(306)의 각각에 디지털 신호를 공급하여 튜닝가능 커패시터(504 내지 508)의 커패시턴스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의 공동 리액턴스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 버스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버스 등의 2선식(2-wire) 공통 시리얼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SPI 버스로, 제어기(106)는 직렬화된 디지털 신호를 제공하여 도 3의 각각의 DAC 또는 도 4의 튜닝가능 반응 소자(404)의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의 제어 회로(302)는 공통 디지털 로직을 이용하여 SPI 버스를 구현하고 제어기(106)에 의해 공급된 디지털 신호를 DAC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는 디코더 형태의 제어 회로(40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가능 반응 소자를 포함하는 튜닝가능 반응 소자(4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어기(106)는 공통 불린(Boolean) 또는 상태 머신 로직으로 디코딩될 수 있는 제어 회로(402) 신호를 SPI 버스를 통해 공급하여 개별적으로 스위칭 소자(602)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602)는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에서 이용되는 반도체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머시닝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칭 소자(602)를 갖는 도 6의 반응 소자(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를 독립적으로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함으로써, 튜닝가능 반응 소자(404)의 공동 리액턴스가 가변될 수 있다.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 240)의 튜닝가능성은, 제한되지 않지만, 송신기 전력, 송신기 효율, 수신기 감도, 통신 장치의 소비 전력, 에너지의 인체 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 SAR), 주파수 밴드 성능 파라미터 등의 트랜시버(102)의 성능 파라미터를 최적화화는 수단을 제어기(106)에 제공한다. 설계자가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성능 특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신 장치(100)는 도 7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무반향실(anechoic chamber)(70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설계자는, 몇가지만 설명하자면, TRP(total radiated power), TIS(total isotropic sensitivity) 또는 방사 고조파 측정, 수신기 효율, 송신 전력 효율 및 소비 전력 등의 통신 장치(100)의 성능 파라미터의 칼리브레이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멀티주파수 밴드 통신 장치(100)에 대하여 밴드 마다 또는 서브 밴드마다 칼리브레이션 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칼리브레이션 측정은 인체의 조성을 모방한 허상의 바디를 이용하는 통신 장치(100)의 다수의 사용 케이스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립 디자인의 하우징 어셈블리를 갖는 통신 장치(100)에서, 통신 장치(100)는 플립을 열고 일반적인 통화 사용 케이스를 모방할 때 허상의 귀 옆에 배치될 수 있다. 핸즈프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할 때 또는 통신 장치(100)가 대기 모드에 있을 때, 통신 장치(100)는 플립이 닫힌채로 허상의 엉덩이 상에 놓일 수 있다. 칼리브레이션은, 안테나 업 또는 다운, 통신 장치가 허상의 손에 놓이지만 허상의 머리에서 멀리 있는 스피커 폰 특징 "온" 등의 다른 사용 케이스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원한다면, 임의의 수의 사용 케이스가 각각의 주파수 밴드 및 서브 밴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702)는 동축 접속부를 갖는 USB 어댑터로의 블루투스에 의해 무반향실에 배치된 통신 장치(1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컴퓨터(702)는 또한 동축 케이블 접속부에 의해 무반향실에 접속된 (셀룰러 핸드셋으로의 액티브 "폰 콜"을 걸고 수신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분석기(704)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컴퓨터(720)는 통신 시스템 분석기(704) 및 도 2의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의 제어는, 컴퓨터(702)에 도 3 또는 4의 제어 회로(302 또는 402)에 의해 테스트 명령, 제어 DAC 설정 또는 스위치 설정을 전송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SPP(serial port profile)를 따른다. 도시되지 않지만, 도 7의 칼리브레이션 환경은 통신 장치(100)의 소비 전력, SAR, 고조파 또는 다른 유용한 성능 파라미터를 측정할 수 있는 추가의 테스트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장치(100)의 임의의 측정가능한 성능 파라미터는 본 개시물에 의해 고려된다.
도 8은 도 7의 테스트 환경의 일부에서 동작하는 예시적인 방법(800)을 나타낸다. 방법(800)은 컴퓨터(702)에서 통신 장치(100)의 동작 및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의 구성을 지시하여 통신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성능 파라미터(예를 들어, TX 전력, 수신 신호 강도 표시 또는 RSSI를 통한 RX 감도, 소비 전력 등)의 실제 측정을 수행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예를 들어,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는 3개의 DAC를 포함하고, 각각의 DAC는 도 3에 도시된 0 내지 3 볼트의 32개의 구성가능 출력 전압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3개의 DAC는 도 5의 3개의 튜닝가능 커패시터(504 내지 508)에 공급될 수 있는 전압의 32,768 (32*32*32)개의 조합을 제공한다. 트랜시버(102)가 세계 여행을 위해 4개의 밴드를 지원하고 통신 장치100)의 설계자가 밴드당 3개의 사용 케이스를 테스트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조건 하에서, 설계자는 관심있는 각각의 성능 파라미터에 대하여 393,216번의 칼리브레이션 측정을 수행해야 하고, 이는 수백만번의 측정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단계(802)는 DAC(306)의 가능한 튜닝 상태의 서브세트를 수행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702)는 각각의 DAC의 5개의 튜닝 상태에 대하여 칼리브레이션 측정을 수행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이들 제한 하에서, 칼리브레이션은 관심있는 각각의 성능 파라미터에 대하여 125 (5*5*5) 칼리브레이션 측정으로 제한될 수 있다. 한번의 측정이 4개의 밴드 및 3개의 사용 케이스를 포함하면, 총 칼리브레이션 측정은 1500번의 측정에 달할 수 있고, 이는 칼리브레이션 측정의 전체 범위보다 확실히 실질적으로 작다.
설명의 목적으로, 도 3에 도시된 튜닝 매칭 네트워크(202)는 각각 20개의 튜닝가능 레벨이 가능한 2개의 DAC를 갖는 것으로 가정할 것이다. 5개의 튜닝 상태의 서브세트가 단계(802)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로 인하여, 도 9는 RSSI 측정에 기초하여 수신 감도 데이터의 25번의 칼리브레이션 측정의 데이터 세트를 나타낸다. 도 9의 그래프는 1dB 윤곽(contour) 밴드를 나타낸다. 도 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윤곽 밴드(902 내지 914)는 평활하지 않다. 2가지 이유로 뾰족한 밴드가 발생한다. 먼저, 통신 장치(100)가 분수가 아닌(non-fractional) RSSI 데이터만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RSSI 데이터 포인트는 부정확하다. 두번째로, 손실 튜닝 상태는 윤곽 밴드 사이에 추가의 뾰족한 에지를 생성하는 스텝 효과를 생성한다.
단계(804)에서, 컴퓨터(702)는 공통 수학적 피팅 함수(g(v1, v2, ...))를 단계(802)의 서브세트 내에 포함되지 않는 튜닝 상태의 일부에 대한 모델 시스템 성능에 적용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피팅 함수는 RSSI 데이터 내의 부정확도를 저감할 수 있다. 피팅 함수는 단계(802)로부터 도출된 실제 측정 사이를 보간하는 공통 회귀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3차 또는 4차 함수일 수 있다. 설명의 목적으로, 다음은 샘플 3차 피팅 함수이다.
상수(c1 내지 c10)는 반복 프로세스(iterative process)를 통해 3차 피팅 함수를 수행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의해 다른 피팅 함수가 고려된다. 도 10은 도 9의 RSSI 데이터 세트에 피팅 함수를 적용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1 dB 윤곽 밴드(1002 내지 1012)는 실질적으로 평활화되어 실제 RSSI 측정을 좀 더 정확하게 반영하고 단계(802)의 서브세트 내에 포함되지 않는 DAC(1 및 2)의 튜닝 상태에 대하여 측정된 RSSI 측정을 추정한다.
도 11은 단계(802)에서 사용된 튜닝 상태의 서브세트로 수행된 송신 전력 측정에 대한 데이터 세트를 나타낸다. 이 도면의 1dB 윤곽 밴드(1102 내지 1120)는 도 9의 윤곽 밴드(902 내지 914)보다 덜 뾰족한데, 그 이유는 TX 송신 측정이 컴퓨터(702)에 분수의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분석기로부터 도출되기 때문이다. 도 12는 단계(840)에서 상기 피팅 함수의 적용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 세트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피팅 함수는 도 11의 윤곽 밴드(1102 내지 1120)에 비교하면 좀 더 부드러운 윤곽 밴드(1202 내지 1220)를 생성한다.
일단 각 성능 파라미터(예를 들어, RX 감도, TX 전력, 등)에 대한 데이터 세트가 DAC(1 및 2)의 전체 튜닝 상태에 걸쳐 단계(804)에서 피팅되면, 컴퓨터(702)가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적응되어 단계(806)로 진행하고, 이 단계에서, 소망의 FOM(figures of merit)에 대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튜닝 상태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소망의 FOM에 대한 옵션을 통신 장치(100)의 설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FOM은 예를 들어 소망의 전력 송신 효율(배터리 전력 드레인에 대한 TX 전력)을 나타낸다. FOM은 또한 최적의 성능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는 "금지(keep out"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FOM은 또한 수학적으로 성능 파라미터(예를 들어, TX 전력 + RX 전력)을 결합할 수 있다.
일단 설계자가 통신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성능 특성을 FOM의 형태로 정의하면, 단계(808)에서 컴퓨터(702)는 소망의 FOM에 대하여 글로벌 최적 성능을 찾기 위하여 미세 증분으로 공통 수학적 모델을 훑음으로써 소망의 FOM을 달성하는 튜닝 상태의 범위를 찾도록 적응될 수 있다. 단계(810)에서 컴퓨터(702)는 밴드별 및 사용 케이스 별 소망의 FOM을 달성하는 튜닝 상태의 범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계(812)에서 동작시 통신 장치(10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룩업표에 저장되는 튜닝 상태의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3은 밴드 및 사용 케이스에 따라 동작시 도 1의 통신 장치(100)의 제어기(106)에 의해 인덱싱될 수 있는 룩업표를 나타낸다.
소비자에 의한 정상 동작시, 통신 장치(100)는 장치에 대한 많은 가능한 사용 게이스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는 통신 장치(100)에서 동작하는 콜 프로세싱 소프트웨어의 상태에 기초하여 소비자가 전화를 걸거나 받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에서 동작하는 콜 프로세싱 소프트웨어는 액티브 콜에 어떤 밴드 또는 서브밴드가 사용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공통 전자 기계 센서로 플립 하우징 어셈블리가 열려 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또한 통신 세션이 발생하는 동안 블루투스 해드셋부 및 스피커폰부가 디스에이블되는 것을 콜 프로세싱 소프트웨어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또한 안테나가 올라와 있는지 또는 폐쇄된 위치에 있는지를 공통 전자 기계 센서로 검출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또한 장치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근접한지 및 장치가 수평 또는 수직 위치에 있는지를 프록시미티 센서 및/또는 오리엔테이션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계)로 검출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의해 고려되는 무수한 검출가능한 사용 케이스가 존재한다.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검출가능한 상태는 통신 장치(100)에 임의의 수의 사용 케이스의 가능성을 예측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일단 사용자 케이스가 검출되면, 통신 장치(100)는 주파수 밴드(또는 서브밴드) 및 사용 케이스에 따라 도 13의 룩업표를 통해 인덱스하여 통신 장치(100)가 통신 장치(100)의 설계자에 의해 고려되는 바람직한 설계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도 2의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의 바람직한 튜닝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4는 WiFi, PSTN 및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통신 시스템(1400), 및 통신 장치(100)가 동작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를 도시한다. 통신 시스템(1400)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전력선을 통한 이더넷, 블루투스, WiMAX,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등의 다른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술이 본 개시물에 의해 고려된다. 도 15는 방법(800)에 의해 기재된 상술한 실시예에 더하여 또는 그 조합으로 통신 장치(10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방법(1500)을 나타낸다.
방법(1500)은 통신 장치(100)가 통신 시스템(1400)과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1502)에서 시작할 수 있다. 통신 세션은 GSM, CDMA, UMTS, WiFi, 블루투스 또는 그 조합 등의 공통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한 무선 통신 세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00)는 단계(1504)에서 공급된 식별자로부터 통신 시스템(100)을 식별할 수 있다. 통신 식별자는 3GPP 표준에 의해 정의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식별자,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 셀 식별자(3GPP 표준에서의 CELL ID) 또는 셀룰러 기지국 또는 WiFi 액세스 포인트 등의 다른 공통 무선 액세스 포인트 등의 통신 시스템(1400)의 통신 소자를 식별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식별정보일 수 있다.
단계(1506)에서, 통신 장치(100)는 식별자에 따라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파일은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를 제공하는 명령 세트, 룩업표 또는 그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프로파일은 다른 것들 중에서 시각 제공 정보, 통신 장치의 동작 위치와 연관된 제공 정보, 통신 장치의 수신기 부분을 튜닝하는 제공 정보 또는 통신 장치의 송신기 부분을 튜닝하는 제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공 정보의 상기 실시예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통신 장치(100)가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를 제공하도록 지시하여 높고 낮은 네트워크 트래픽 조건 등의 시각 고려사항; 도시 로밍, 교외 로밍 등의 통신 장치(100)의 동작 위치; 수신기 부분 및 송신기 부분에 대한 특정 튜닝 명령에 따라 도 1의 트랜시버(102)의 송신기 부분 및/또는 수신기 부분의 성능 파라미터를 적응시킬 수 있다. 이들 실시예는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적절한 제공 명령이 본 개시물에 의해 고려된다.
프로파일 내에 포함된 제공 정보는 통신 시스템(1400)의 상향링크 및/또는 하향링크 통신 특성으로부터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통신 장치(100)의 성능 파라미터는, 제한 없이, 통신 장치(100)의 소비 전력, 통신 장치의 송신기 부분의 방사 전력, 송신기 부분의 선형성, 통신 장치의 수신기 부분의 수신 감도, 또는 수신기 부분의 채널 선택성 포함할 수 있다.
제공 정보는 트랜시버(102)의 동작 효율, 배터리 수명 또는 다른 바람직한 공통 성능 메트릭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공 정보는 또한 통신 장치의 송신기 부분의 동작 특성을 희생하면서 통신 장치(100)의 수신기 부분의 동작 특성을 개선하는데 사용되거나 그 반대 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는 수신기 또는 송신기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는 튜닝가능 필터 네트워크로서 사용될 수 있다. 프로파일 내에 제공되는 제공 정보는 예를 들어 수신기 부분을 디튜닝(detune)하는 필터를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유용한 결과를 가질 수 있다.
단계(1508 내지 1512)는 프로파일을 이용하는 추가적인 실시예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00)는 통신 시스템(1400)의 통신 소자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여 단계(1510)에서 선택할 수 있는 특정 프로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00)는 단계(1512)에서 통신 소자로부터 프로파일(기존의 프로파일에 대한 보충 또는 그 변형)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1504 내지 1512)의 실시예에 응답하여, 통신 장치(100)는 단계(1514)에서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00)는 통신 시스템(1400)으로부터의 명령없이 및/또는 통신 장치가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1400)와 독립하여 자동 튜닝에 대한 필요성을 결정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단계(1516)에서 이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튜닝 조건은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의 튜닝 상태의 적응에 의해 통신 장치(100)의 성능 파라미터로의 조절을 정당하게 하는 수신기 또는 송신기 동작 특성을 식별할 수 있는 파라미터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 및 송신기에 대한 링크 마진이 높으면, 통신 장치(100)는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의 자동 제공을 독립적으로 선택하여 통신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파일의 형태에 따라 관리되는 통신 장치(100)의 적응된 성능 파라미터는 통신 시스템(1400)의 통신 소자에 의해 사용되어 단계(1520)에서 서빙되는 통신 장치의 인구의 통신 서비스에 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소자는 송신기 선형성을 최적화하는 다수의 통신 장치(100)의 결과로서 증가된 시스템 용량을 제공하여 밴드 간섭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전체 시스템 용량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상이한 통신 오퍼레이터(캐리어)가 서로 다른 자신의 인프라스트럭쳐(기지국 및 안테나 타워 및 안테나 시스템)를 배치하고, 대응하여 일부의 네트워크는 "상향링크 제한"될 수 있고 일부는 "하향링크 제한"될 수 있다. 이것은 일부의 네트워크에서, 핸드셋 송신기 및 기지국 수신기 간의 링크가 기지국 송신기 및 핸드셋 수신기 간의 링크보다 총 손실이 적을 수 있고 그 반대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핸드셋 내의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가 변경되어 이러한 차이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하향링크 제한되는 경우에, 통신 장치(100)의 핸드셋 안테나 튜너가 송신 밴드 내의 매칭을 희생하고 핸드셋의 수신 밴드 내의 안테나에 대한 매칭의 개선을 강조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이것은 그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전체 성능 또는 링크 마진을 개선하는 방법일 수 있다. 역으로, 네트워크가 상향링크 제한되면, 수신 밴드를 희생하고 핸드셋의 송신 밴드 내의 매칭을 개선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이 정보가 공지되면, 상기에서 언급된 튜너 룩업표가 확장되어 상이한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적절히 상이한 튜너 설정을 갖는 네트워크 아이덴티티(예를 들어, PLMN)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PLMN) 내에서도,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자신의 네트워크 내의 소정의 위치 내의 특정한 문제를 알면, 룩업표는 개별 셀 사이트 아이덴티티에 특정될 수 있다.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에 대한 설정을 결정할 때를 고려하는 다른 형태가 존재하고, 이는 단계(1518)에서 핸드셋 내의 실제 송신기 및 수신기 조건에 기초하여 최적의 설정을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셀룰러 핸드셋 송신기는 그들이 통신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시에 출력 전력 레벨의 범위로 조절될 수 있는 전력 파라미터를 공통으로 이용한다. 핸드셋 제어기는 임의의 순간에 송신 전력 설정을 알 수 있고, 임의의 순간에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 강도를 알 수 있다.
이들 송신 및 수신 레벨의 알면, 제어기는 송신 또는 수신 밴드 내의 매칭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테나 매칭이 변경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경로가 마진을 갖는 경우(송신기가 더 낮은 전력 레벨에 있고 수신기가 높은 신호 전력을 알면), 튜닝가능 매칭이 (전류 드레인을 감소하여 배터리 수명을 개선하기 위하여) 송신기 효율을 최적화하는 위치로 또는 (밴드 간섭을 감소시키 전체 시스템 용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송신기 선형성을 최적화하는 위치로 조절될 수 있다.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의 또 다른 잠재적인 사용은 핸드셋의 송신 밴드 내의 (송신 전력, 효율 또는 선형성을 위한) 양호한 매칭을 유지하면서 수신 밴드 내의 매칭의 성능을 의도적으로 디튜닝하거나 저하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수신기가 로컬 간섭 신호에 덜 민감하고 대응하여 덜 예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소망의 강한 수신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핸드셋 제어기가 송신기에 대한 양호한 매칭을 유지하면서 핸드셋 내의 수신기 경로 내의 손실을 증가시키는 상태로 튜너를 자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튜닝가능 필터 네트워크로서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202)를 고려하는 것이다. 대응하여, 수신 밴드 내의 네트워크를 의도적으로 디튜닝하는 것은 필터의 통과대역을 튜닝하여 송신 밴드만을 포함하지만 부분적으로 수신 밴드를 거절하는 것과 동등하다.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핸드셋이 양호한 링크 마진(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을 갖는 상황에 있을 때, 실제 시각에 기초하여 전류 드레인 또는 선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위치로 안테나 매칭을 우선적으로 튜닝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근무시간의 특정한 시간 동안(예를 들어, 러쉬 아워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핸드셋 선형성을 최적화하여 극심한 폰 콜 트래픽의 시간 동안 네트워크 용량을 최적화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이러한 우선적인 네트워크 튜닝은 핸드셋이 제조될 때 룩업표에 로딩될 수 있지만, 오퍼레이터가 무선으로 이 정보를 재프로그래밍하거나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이것은 오퍼레이터에 유연성을 제공하여 시스템이 변경될 때마다 통신 시스템(1400)에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00)의 동작을 향상시키거나 이들 조건에 맞닥뜨렸을 때 핸드셋이 동작하는 방법을 변경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는 전체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스템에서 조건을 찾을 수 있다. 이 제공이 무선 네트워크에서 달성될 수 있는 몇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은 SMS(short message service), WAP PUSH,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다이렉트 데이터 채널 접속, SIM 툭 키트(Took Kit) 메시지, OMA(Open Mobile Alliance)에 의해 지정된 무선 표준, 또는 아이폰 또는 안드로이드 기반 폰에 사용되는 등록 방법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튜닝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구현은 튜닝 애플리케이션을 3GPP SIM 툭 키트 시방서에 포함시키는 것일 수 있다. 튜닝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시스템 내의 해당 튜닝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룩업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룩업표는 핸드셋이 선형성, 디튜닝, 가중 송신, 가중 수신, 가중 배터리 수명 등을 수행해야 하는 방법에 관한 임의의 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튜닝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예를 들어 특정 성능 프로파일이 선택되어야 할 때와 장소에 관한 다른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네트워크 Id(3GPP 표준의 PLMN)
· 셀 식별자(3GPP 표준의 CELL Id)
· 시각
· 요일
· 제조자 ID(핸드셋 시리얼 번호의 일부, 예를 들어, 3GPP IMEI)
적절한 룩업표로, 핸드셋은 이들 파라미터의 모두를 특정한 성능 프로파일에 적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튜닝 애플리케이션은 핸드셋 제조자에 대한 특정한 프로파일을 선택하고 특정한 통신 셀 영역 내의 좀 더 균일한 성능을 얻을 목적으로 특정한 성능 프로파일로 이들 핸드셋을 모델링 및 겨냥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하에서 서명하는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상술한 실시예가 변경, 감소 또는 향상될 수 있음을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도 8 및 15의 방법(800 및 1500)은 와이어라인 트랜시버의 튜닝가능 매칭 네트워크를 칼리브레이팅하고 제공하는데 사용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방법(800 및 1500)은 본 개시물에서 처리되지 않은 사용 케이스, 밴드의 서브세트 및 다른 성능 파라미터의 수많은 조합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개시되지 않은 조합은 본 개시물에 의해 고려된다.
다른 적절한 변형은 본 개시물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독자는 본 개시물의 폭과 범위의 완전한 이해를 위하여 청구범위로 안내된다.
도 16은, 실행될 때, 명령의 세트가 방법론 중의 적어도 하나를 머신이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1600)의 형태의 머신의 예시적인 표시를 나타낸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머신은 독립 장치로서 동작한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머신이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른 머신에 접속될 수 있다. 네트워킹 배치에서, 머신은 서버-클라이언트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 내의 클라이언트 사용자 머신 또는 서버의 용량 내에서 동작하거나 피어-투-피어(또는 분배) 네트워크 환경 내의 피어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머신은 서버 컴퓨터, 클라이언트 사용자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PC), 타블릿 PC, 랩탑 컴퓨터, 데스트탑 컴퓨터,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라우터, 스위치 또는 브리지 또는 그 머신에 의해 취해질 액션을 특정하는 명령의 세트(순차 또는 그외)를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머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장치는 대략 음성, 비디오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단일 머신이 기재되지만, "머신"라는 용어는 여기에 기재된 방법론 중의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명령의 세트(또는 다수의 세트)를 개별적으로 또는 합동해서 실행하는 머신의 임의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600)은 버스(1608)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프로세서(1602)(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그래픽 처리 유닛(GPU 또는 그 둘다), 메인 메모리(1604) 및 스태틱 메모리(1606)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600)은 비디오 디스플레이 유닛(1610)(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랫 패널, 반도체 디스플레이, 또는 C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600)은 입력 장치(1612)(예를 들어, 키보드), 커서 제어 장치(1614)(예를 들어, 마우스),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616), 신호 생성 장치(1618)(예를 들어, 스피커 또는 원격 제어기)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1616)은, 상술한 방법을 포함하는 여기에 기재된 방법론 또는 기능 중의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 세트(예를 들어, 소프트웨어(1624)가 저장된 머신 판독가능 매체(1622)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1624)은 컴퓨터 시스템(1600)에 의한 실행시 메인 메모리(1604), 스태틱 메모리(1606) 및/또는 프로세서(1602) 내에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1604) 및 프로세서(1602)는 또한 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구성할 수 있다.
제한되지 않지만,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 및 다른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용 하드웨어 구현은 여기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의 장치 및 방법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대략 다양한 전자 및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임의의 실시예는 모듈 사이에서 통신하는 관련된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갖는 2 이상의 특정한 상호 접속된 하드웨어 모듈 또는 장치 내의 기능을 구현하거나 또는 ASIC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 구현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여기에 기재된 방법은 컴퓨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의 동작으로 의도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현은, 제한되지 않지만, 분배 프로세싱 또는 컴포넌트/오브젝트 분배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 있고, 병렬 프로세싱 또는 가상 머신 프로세싱은 또한 여기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은 명령(1624)을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고려하거나, 전파된 신호로부터의 명령(1624)을 수신하고 실행하여 네트워크 환경(1616)에 접속된 장치가 음성, 비디오 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명령(1614)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626)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것을 고려한다. 명령(1624)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620)를 통해 네트워크(1626)로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1622)가 단일 매체인 것으로 예시된 실시예에 도시되지만, "머신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명령 세트를 저장하는 단일 매체 또는 다수 매체(예를 들어, 중앙 또는 분배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연관 캐시 및 서버)를 포함해야 한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머신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 세트를 저장, 인코딩 또는 전달할 수 있고 머신이 본 개시물의 방법론 중의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머신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제한되지 않지만, 메모리 카드 또는 하나 이상의 리드 온리(비휘발성)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다른 재기록가능(휘발성) 메모리를 하우징하는 다른 패키지 등의 반도체 메모리; 디스크 또는 테이프 등의 광자기 또는 광 매체; 및/또는 이메일로의 디지털 파일 첨부물을 포함하고, 다른 자기 포함(self-contained) 정보 기록 보관소 또는 기록 보관소의 세트는 유형의 저장 매체와 동등한 분배 매체로 간주된다. 따라서, 개시물은, 여기에 열거되고 소프트웨어 구현이 저장된 기술에 알려진 동등물 및 그 후속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머신 판독가능 매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명세서는 특정한 표준 및 프로토콜을 참조하여 실시예에서 구현되는 컴포넌트 및 기능을 설명하지만, 개시물은 이러한 표준 및 프로토콜에 제한되지 않는다. 인터넷 및 다른 패킷 교환 네트워크 송신(예를 들어, TCP/IP, UDP/IP, HTML, HTTP)에 대한 표준은 기술의 상태의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표준은 필수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좀 더 빠르거나 더 효율적인 동등물로 주기적으로 대체된다. 따라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대체 표준 및 프로토콜은 동등물로 간주된다.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의 설명은 다양한 실시예의 구조의 일반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여기에 기재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의 모든 소자 및 부분의 완전한 설명으로서 제공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많은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를 검토할 때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개시물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조적 논리적 대체물 및 변형이 가능한 다른 실시예가 이용되고 도출될 수 있다. 도면은 또한 단지 구상화된 것이며 일정한 비율로 그려지지 않을 수 있다. 다른 것은 최소화되면서 소정의 부분은 과장될 수 있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며은 제한적인 의미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진보적인 주제의 이러한 실시예는 여기에서 편의를 위하여 "발명"이라는 용어로 개별적으로 및/또는 통합적으로 지칭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이 개시되면, 본 출원의 범위를 임의의 단일 발명 또는 진보적인 개념으로 자발적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정한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되고 기재되지만,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산출된 임의의 배열이 도시된 특정한 실시예를 대체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은 다양한 실시예의 임의의 및 모든 적응 또는 변형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술한 실시예 및 여기에 특별히 기재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의 조합은 상기 설명의 검토시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요약서는 독자가 신속하게 기술적 개시물의 특성을 확인하도록 하는 요약을 필요로 하는 37 C.F.R §1.72(b)에 순응하도록 제공된다. 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는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이 개시물을 간소화할 목적으로 함께 단일 실시예에서 그룹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개시물의 이 방법은 청구된 실시예가 각각의 청구항에서 인용된 더 많은 특징을 필요로 하는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오히려, 다음의 청구범위가 반영됨에 따라, 진보적인 주제는 단일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보다 적다. 다음의 청구범위는 상세한 설명 내에 포함되며, 각각의 청구범위는 개별적으로 청구된 주제에 기초한다.
Claims (35)
-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과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고,
상기 통신 세션으로부터 상기 통신 시스템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통신 시스템에 따라 프로파일을 선택하고,
상기 프로파일 내에 포함된 제공 정보(provisiong information)에 따라 튜닝가능 리액턴스(tunable reactance)를 갖는 매칭 네트워크(matching network)의 하나 이상의 튜닝 상태를 제공하는 컴퓨터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매칭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튜닝 상태는 통신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성능 파라미터에 영향을 주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통신 시스템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시스템 식별자에 따라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컴퓨터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 식별자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의 통신 소자로부터 상기 매칭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매칭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컴퓨터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명령은 집합적으로 상기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소자는 셀룰러 기지국에 대응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포터블 셀룰러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시각 제공 정보, 상기 통신 장치의 동작 위치와 연관된 제공 정보, 상기 통신 장치의 수신기 부분을 튜닝하는 제공 정보 및 상기 통신 장치의 송신기 부분을 튜닝하는 제공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부분 및 송신기 부분을 튜닝하는 제공 정보는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통신 특성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정보는 상기 통신 장치의 동작 효율을 제어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정보는 상기 통신 장치의 송신기 부분의 선형성(linearity)을 제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정보는 상기 통신 장치의 송신기 부분의 동작 특성을 희생하고 상기 통신 장치의 수신기 부분의 동작 특성을 개선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정보는 상기 통신 장치의 수신기 부분의 동작 특성을 희생하고 상기 통신 장치의 송신기 부분의 동작 특성을 개선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성능 파라미터는 상기 통신 장치의 소비 전력, 상기 통신 장치의 송신기 부분의 방사 전력, 상기 송신기 부분의 선형성, 상기 통신 장치의 수신기 부분의 수신 감도, 및 상기 수신기 부분의 선택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네트워크는 상기 통신 장치의 송신기 부분 및 수신기 부분 중의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튜닝가능 필터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1항에 있어서, 무선 매체를 통해 상기 통신 시스템의 통신 소자로부터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컴퓨터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SMS(short message services)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s) 메시지 및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중의 하나에서 수신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통신 장치의 모델 타입과 연관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통신 장치의 배터리 수명을 관리하는 제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통신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성능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룩업표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에 따라 그리고 상기 통신 장치의 수신기 부분 및 송신기 부분 중의 하나의 신호의 샘플링 및 상기 통신 장치의 하나 이상의 검출 사용 케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매칭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튜닝 상태를 제공하는 컴퓨터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매칭 네트워크에 있어서,
통신 장치의 송신기 부분 및 수신기 부분의 하나에 결합된 튜닝가능 리액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튜닝가능 리액턴스 회로는 상기 통신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성능 파라미터에 영향을 주고,
상기 튜닝가능 리액턴스 회로는 상기 통신 장치가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특성을 설명하는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것인 매칭 네트워크.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가능 리액턴스 회로는 하나 이상의 해당 고정 리액턴스 소자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가능 소자 및 하나 이상의 튜닝가능 반응 소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매칭 네트워크.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가능 리액턴스 회로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전자 기계 시스템 스위치(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switches) 및 하나 이상의 반도체 스위치 중의 하나에 의해 제어되는 고정 커패시턴스의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및 튜닝가능 유전 상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매칭 네트워크.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통신 장치의 소비 전력, 상기 통신 장치의 송신기 부분의 방사 전력, 상기 송신기 부분의 선형성, 상기 통신 장치의 수신기 부분의 수신 감도, 및 상기 수신기 부분의 선택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매칭 네트워크.
- 셀룰러 기지국에 있어서,
통신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성능 파라미터에 영향을 주는 튜닝가능 리액턴스 회로를 제공하는 프로파일을 이용하라는 요청을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셀룰러 기지국.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통신 장치를 검출하고,
상기 통신 장치의 모델 타입을 결정하고,
상기 모델 타입에 따라 프로파일을 식별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인 셀룰러 기지국.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프로파일에 따라 튜닝가능 리액턴스 회로를 제공하는 상기 통신 장치에 응답하여 추가의 통신 용량을 다른 통신 장치에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인 셀룰러 기지국.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통신 장치의 소비 전력, 상기 통신 장치의 송신기 부분의 방사 전력, 상기 송신기 부분의 선형성, 상기 통신 장치의 수신기 부분의 수신 감도, 및 상기 수신기 부분의 선택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셀룰러 기지국.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 장치에 상기 셀룰러 기지국과 연관된 식별자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것인 셀룰러 기지국.
- 통신 장치에 있어서,
통신 장치가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설명하는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의 수신기 부분 및 송신기 부분 중의 하나의 하나 이상의 동작 특성을 제어하는 매칭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프로파일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인 통신 장치.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통신 장치의 소비 전력, 상기 통신 장치의 송신기 부분의 방사 전력, 상기 송신기 부분의 선형성, 상기 통신 장치의 수신기 부분의 수신 감도, 및 상기 수신기 부분의 선택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통신 장치.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통신 소자의 식별 정보에 따라 복수의 프로파일로부터 프로파일을 선택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복수의 해당 통신 시스템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는 것인 통신 장치.
- 통신 장치의 송신기 부분의 송신 전력 레벨 및 상기 통신 장치의 수신기 부분의 수신 신호 강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 내의 튜닝가능 리액턴스 회로를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가능 리액턴스 회로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전자 기계 시스템 스위치(MEMS) 및 하나 이상의 반도체 스위치 중의 하나에 의해 제어되는 고정 커패시턴스의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및 튜닝가능 유전 상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US2010/056413 WO2011044592A2 (en) | 2009-10-10 | 2010-11-11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perations of a communication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6558A true KR20130066558A (ko) | 2013-06-20 |
KR101737657B1 KR101737657B1 (ko) | 2017-05-18 |
Family
ID=4620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11811A KR101737657B1 (ko) | 2010-11-11 | 2010-11-11 | 통신 장치의 동작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7657B1 (ko) |
CA (1) | CA2777137C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4666A (ko) * | 2019-01-03 | 2020-07-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을 조절하기 위한 전자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94149A1 (en) * | 2005-09-22 | 2008-04-24 | Sungsung Electronics Co., Ltd. | Power amplifier matching circuit and method using tunable mems devices |
US8199731B2 (en) * | 2006-01-25 | 2012-06-12 | Motorola Mobility,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switched packet data services on multiple networks |
JP2009021789A (ja) * | 2007-07-11 | 2009-01-29 |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 高周波受信装置及びgps受信装置 |
-
2010
- 2010-11-11 CA CA2777137A patent/CA2777137C/en active Active
- 2010-11-11 KR KR1020127011811A patent/KR101737657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4666A (ko) * | 2019-01-03 | 2020-07-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을 조절하기 위한 전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777137A1 (en) | 2011-04-14 |
KR101737657B1 (ko) | 2017-05-18 |
CA2777137C (en) | 2016-09-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5908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perations of a communication device | |
US902044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 |
US1097909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antenna frequency tuning | |
US937411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timing of radio antenna tuning | |
US1070071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timing of radio antenna tuning | |
KR101737657B1 (ko) | 통신 장치의 동작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
EP3985882A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itigating an impact of settling times of components in matching networks | |
EP274729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timing of radio antenna tu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