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146A -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통신망 운영 서버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통신망 운영 서버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66146A KR20130066146A KR1020110132857A KR20110132857A KR20130066146A KR 20130066146 A KR20130066146 A KR 20130066146A KR 1020110132857 A KR1020110132857 A KR 1020110132857A KR 20110132857 A KR20110132857 A KR 20110132857A KR 20130066146 A KR20130066146 A KR 201300661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ll
- terminal
- voice
- video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148 unit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통화 방법에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통신망 운영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운영 서버의 처리방법은, 복수 개의 단말기 간에 호 연결을 처리하는 단계와; 호 연결 단위로 과금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한 요청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를 해당하는 통화 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호 연결 단위로 생성된 과금 테이블에 상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에 따른 과금 요율 변경 정보를 추가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화 모드를 변경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통신망 운영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들에는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에는 카메라 모듈이 내장되어 있어서 사용자들은 상대방과 서로 얼굴을 확인하며 영상 통화를 즐길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처럼 영상 통화의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영상 신호가 상대 단말기로 전송된다는 점 이외에도 음성 신호의 출력에 있어서도 음성 통화의 경우와 그 기능상 차이가 있다.
즉, 음성 통화의 경우에는 사용자들이 통신 단말기를 귀에 갖다 댄 채로 통화를 하기 때문에 내장된 소형 스피커(리시버)로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면 되지만, 영상 통화의 경우에는 사용자들은 통신 단말기를 귀에 갖다 대지 않고 오히려 멀리 떨어뜨려서 자신의 얼굴이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도록 하므로 음성 통화 시와 동일한 소형 스피커(즉, 귀에 가까이 갖다 대어서야 들을 수 있는 리시버)로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면 사용자는 상대방의 말을 들을 수가 없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는 상술한 리시버와는 구별되는 별도의 스피커를 추가로 구비하고 영상 통화시에는 별도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 통화 중에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영상 통화의 경우와 음성 통화의 경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에 대한 처리가 달라진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영상 통화의 경우에는 음성 통화의 경우 보다는 통신 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므로 마이크 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게인 값을 올리고 주변 소음에 대한 처리가 달라지는 것이다.
그런데 이처럼 영상 통화 중에는 음성 통화 중 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소리가 출력되기 때문에 갑자기 조용히 통화하고 싶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를 귀에 갖다 대기 전에 볼륨을 줄이고 마이크 감도를 조정하여야만 한다.
예를 들어 혼자 있는 엘리베이터(또는 지하철) 안에서 영상통화를 하다가 다른 사람들이 들어오면 스피커 볼륨을 줄이거나 마이크 설정 변경하여 통화를 해야 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직접 이러한 변경 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또한, 영상 통화 중에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성 통화와 같은 환경(즉, 통신 단말기를 귀에 갖다 대는 환경)에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영상 신호를 해당 통신 단말기에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에 대한 혜택(즉, 영상 통신 채널의 트래픽 절감에 따른 혜택)을 줄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혜택을 제공해주는 기술이 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단말기 이용 태양에 따라 통화의 전환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운영 서버의 처리방법은, 복수 개의 단말기 간에 호 연결을 처리하는 단계와; 호 연결 단위로 과금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한 요청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를 해당하는 통화 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호 연결 단위로 생성된 과금 테이블에 상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에 따른 과금 요율 변경 정보를 추가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운영 서버는 복수 개의 단말기 간에 호 연결을 처리하는 호 연결 처리부와; 상기 복수 개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와; 상기 복수 개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요청 수신부에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한 요청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를 해당하는 통화 모드로 전환시키는 통화 모드 전환부와; 호 연결 단위로 과금 테이블을 생성하여 과금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호 연결 단위로 생성된 과금 테이블에 상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에 따른 과금 요율 변경 정보를 추가 저장하는 과금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마이크와,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를 구비한 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은, 통신망 운영 서버와 영상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 제1 출력부로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기 설정된 값 이하의 근접 상태를 감지하는 경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망 운영 서버에 전송하고 동작모드를 전환하여 상기 영상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 제2 출력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와; 통신망 운영 서버와 영상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채널 형성부와; 사용자의 근접 상태를 감지하는 근접 감지부와; 상기 영상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가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 제1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근접 감지부에서 사용자의 기 설정된 값 이하의 근접 상태를 감지하는 경우 동작모드를 전환하여 상기 영상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가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 제2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동작모드 전환에 따라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망 운영 서버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영상 통화 채널이 유지되는 상태에서도 근접 센서의 동작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사운드 출력 전환(즉, 제1 출력부에서 제2 출력부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불필요한 영상 통화의 전송을 억제하여 통신망 부하 경감을 이룰 수 있고, 이에 대한 과금 처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통신망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통신망 운영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통신망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체 통신망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통신망 운영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통신망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체 통신망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200) 및 통신망 운영 서버(4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통신 단말기(100,200)는 사용자간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피쳐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통신 단말기(100,200)의 기능 블록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100,200)는 카메라 모듈(110), 마이크(120),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131,132), 통신 채널 형성부(140), 근접 감지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100,200) 사용자는 카메라 모듈(110)의 동작에 의해 영상 통화 중에 자신의 모습을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마이크(120)는 통신 단말기(100,200) 사용자의 대화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131,132)는 제1 출력부(131)와 제2 출력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출력부(131)는 영상 통화시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100,200)를 귀에 가까이 대지 않더라도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사운드 출력 크기가 큰 스피커에 해당하고, 제2 출력부(132)는 음성 통화와 같이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100,200)를 귀에 가까이 댄 상태에서 상대방의 음성이 들리도록 하는 작은 스피커(리시버)에 해당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110)과 마이크(120), 및 사운드 출력부(130)는 상대방과 영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채널 형성부(140)는 통신망 운영 서버(400)와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데, 여기서 통화 채널은 음성 통화 채널과 영상 통화 채널을 모두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 통화 채널을 위주로 설명한다.
근접 감지부(150)는 사용자의 근접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근접 감지부(150)는 초음파, 적외선, 열 감지 센서, 접촉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근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근접 감지부(150)는 사용자가 음성 통화 방식으로 통화를 하는지, 영상 통화 방식으로 통화를 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100,200)를 귀 또는 뺨에 가까이 대고 있는지 또는 카메라 모듈(110)을 통한 자신의 모습 촬영을 위해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키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영상 통화를 할 때와 같이 통신 단말기(100,200)를 소정 거리만큼 떨어뜨려 사용하는 상태를 '제1 상태'라 하고, 사용자가 음성 통화를 할 때와 같이 통신 단말기(100,200)를 귀에 가까이 가져가서 사용하는 상태를 '제2 상태'라 한다.
제어부(160)는 통신 채널 형성부(140)가 통신망 운영 서버(400)와 영상통화 채널을 형성한 경우에는 상대 단말기로부터 통신망 운영 서버(400)를 경유하여 수신되는 음성 신호가 기본적으로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131,132) 중 제1 출력부(131)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는 일반적인 영상통화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100,200)를 멀리 떨어뜨려 사용하는 상태 즉, '제1 상태'를 전제로 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60)는 이처럼 제1 출력부(131)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 상태에서 근접 감지부(150)에서 사용자의 기 설정된 값 이하의 근접 상태를 감지하는 경우(즉,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100,200)를 귀에 가까이 대는 '제2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동작모드를 전환하여 영상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가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131,132) 중 제2 출력부(132)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60)는 통신 단말기(100,200)의 이용 형태(근접 이용 여부)에 따라 영상 통화 채널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그 음성 등의 사운드 출력 경로를 제1 출력부(131)에서 제2 출력부(132)로 변경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60)는 동작모드 전환에 따라 마이크(120)의 입력 사운드에 대한 감도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제1 상태'에서는 입력되는 사운드에 대한 감도를 높임으로써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대화하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가 너무 작게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제2 상태'에서는 입력되는 사운드에 대한 감도를 낮춤으로써 바로 가까이에서 대화하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가 너무 크게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송부(170)는 제어부(160)의 동작모드 전환에 따라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통신망 운영 서버(4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는 과금 처리에 영향을 주는 신호로써,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전송부(170)는 또한 제어부(160)에 의한 동작모드 전환 전(즉, '제1 상태'의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마이크(1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모두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제어부(160)에 의해 동작모드가 전환된 후(즉, '제2 상태'의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마이크(1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 중 음성 신호만을 추출하여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른 예로써 전송부(170)는 제어부(160)에 의해 동작모드가 전환된 후(즉, '제2 상태'의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110)의 기능 자체를 비활성화 시키고 마이크(1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만을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망 운영 서버(400)는 복수 개의 단말기 간에 호 연결을 처리하는 것으로서, 단말기 상호 간 호 접속 및 유지 상호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망 운영 서버(400)는 단말기 간의 통신에 따른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통신망 운영 서버(400)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독립된 하나의 서버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개의 물리적인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호 연결 및 유지와 과금 처리는 각각 구별되는 물리적 서버에서 담당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하 설명하는 통신망 운영 서버(400)의 각 기능 블록은 서로 구별되는 물리적 서버에 나눠 구비될 수 있다.
통신망 운영 서버(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연결 처리부(410), 통화 모드 전환부(430), 과금 처리부(440), 요청 수신부(420), 알림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호 연결 처리부(410)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100,200) 간에 호 연결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호 연결 처리부(410)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100,200) 중 어느 하나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 상호간에 영상 통화 모드로 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할 수 있다.
요청 수신부(420)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100,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100,200)를 '요청 단말기'라 부르기로 한다.
통화 모드 전환부(430)는 요청 수신부(420)에 요청 단말기의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요청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를 해당하는 통화 모드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화 모드 전환부(430)는 요청 수신부(420)에 음성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요청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를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시키고, 요청 수신부(420)에 영상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요청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를 영상 통화 모드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통화 모드 전환에 따라 앞서 설명한 호 연결 처리부(410)의 기능이 달라지게 되는데, 예를 들어 요청 단말기와 상대 단말기(요청 단말기와 통신하는 상대 단말기) 간에 영상 통화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통화 모드 전환부(430)에 의해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되면, 호 연결 처리부(410)는 요청 단말기와 상대 단말기 간의 영상 통화 채널은 계속 유지되도록 하면서 요청 단말기에는 상대 단말기의 음성 신호를 전송하고, 상대 단말기에는 요청 단말기의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모두 전송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즉, 호 연결 처리부(410)는 영상 통화 채널은 계속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요청 단말기에는 상대 단말기의 음성 신호만이(즉, 영상 신호 제외)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통신망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호 연결 처리부(410)는 상대 단말기로부터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음성 신호만 추출하여 요청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대 단말기로부터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신호만(영상 신호 제외)이 수신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알림부(450)는 상대 단말기에게 요청 단말기에 대한 음성 통화 모드로의 전환 상태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통신망 운영 서버(400)가 요청 단말기에 대해서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처리하고 있음을 상대 단말기는 알게 되어 불필요하게 영상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오직 음성 신호만을 통신망 운영 서버(400)에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요청 단말기와 상대 단말기 간에 영상 통화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통화 모드 전환부(430)에 의해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되면, 호 연결 처리부(410)는 요청 단말기와 상대 단말기 간의 영상 통화 채널은 계속 유지되도록 하면서 요청 단말기에 상대 단말기의 음성 신호를 전송하고, 상대 단말기에도 요청 단말기의 음성 신호만 전송할 수도 있다.
과금 처리부(440)는 호 연결 단위로 하나의 과금 테이블을 생성하여 과금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과금 정보에는 통화 시작 및 종료 시간이나 통화 요율, 통화 발신자 및 통화 착신자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과금 처리부(440)는 호 연결 단위로 생성된 과금 테이블에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에 따른 과금 요율 변경 정보를 추가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신 단말기(100,200)로부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과금 처리부(440)는 그때마다 과금 요율 변경 정보를 과금 테이블에 추가하여 추후 통화 모드 전환에 따른 과금 정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단말기(100,200) 간에 영상 통화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요청 단말기로부터 음성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요청 단말기에는 상대 단말기의 영상 신호를 제외한 음성 신호만이 전송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과금 처리부(440)는 영상 통화가 아닌 음성 통화에 준하는 과금처리가 되도록 과금 요율 변경 정보를 과금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금 요율 변경 정보에는 변경되는 과금 요율(단위 시간당 통신 요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변경되는 과금 요율은 양쪽 단말기가 모두 영상 통화를 하는 경우(즉, 모두 영상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보다는 저렴하고 양쪽 단말기 모두가 음성 통화를 하는 경우(즉, 모두 음성 신호만을 송수신하는 경우)보다는 비싸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통신 시스템의 신호 흐름 및 제어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는 통신망 운영 서버(400)를 경유하여 영상 통화 채널을 형성하고 상호간 영상 통화를 하고 있음을 전제로 한다(단계 S1). 이때 통신망 운영 서버(400)는 해당 호 연결에 따른 과금 테이블을 생성하고 과금 정보(예를 들어 영상 통화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와 통화 시작 시간 등)를 저장한다(단계 S3).
이 상태에서 제 1 단말기는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획득한 영상 신호와 마이크(120)를 통해 획득한 음성 신호를 모두 기 형성된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통신망 운영 서버(400)에 전송하고(단계 S5), 통신망 운영 서버(4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한다(단계 S7).
마찬가지로 제2 단말기(200)는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획득한 영상 신호와 마이크(120)를 통해 획득한 음성 신호를 모두 기 형성된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통신망 운영 서버(400)에 전송하고(단계 S9), 통신망 운영 서버(40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제1 단말기(100)에 전송한다(단계 S11).
제1 단말기(100)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제1 출력부(131)로 출력하는데(단계 S12) 여기서 제1 출력부(13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 통화에 적합하도록 구비된 출력이 큰 스피커에 해당할 수 있다. 물론 제1 단말기(100)는 수신된 영상 신호를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미 도시함)에 표시할 수도 있다.
제2 단말기(200)도 제1 단말기(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단말기(10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근접 사용 상태(즉, '제2 상태')를 감지하는 경우(단계 S13) 통신망 운영 서버(400)에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단계 S15), 또한 자신도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단계 S17). 동작 모드 전환에 따라 변화되는 기능에 대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한편, 제1 단말기(100)로부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수신한 통신망 운영 서버(400)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해 음성 통화 모드를 설정하고(단계 S19), 과금 요율 변경 정보를 과금 테이블에 추가 저장한다(단계 S21). 여기서 과금 테이블에 추가 저장되는 과금 요율 변경 정보에는 영상 통화 채널의 일부 구간에서 음성 신호만이 전송됨을 나타내는 정보와 그에 따라 할인 되는 통화 요율,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기(100)에 대해 음성 통화 모드를 설정하는 일 예로써 제1 단말기(100)에는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영상 신호 없이 음성 신호만이 전송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통신망 운영 서버(4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음성 신호(단계 S23)는 그대로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하고(단계 S25),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음성 신호(단계 S27)에서는 음성 신호만을 추출하고(단계 S29) 그 추출한 음성 신호를 제1 단말기(100)에 전송한다(단계 S31).
이는 현재 제1 단말기(100) 사용자가 음성 통화 방식(즉, 앞에서 언급한 '제1 상태')으로 통화를 하고 있으므로 제2 단말기(200)의 영상 신호를 통신 트래픽을 점유하면서까지 제1 단말기(100)에 전송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제1 단말기(100)는 통신망 운영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제2 출력부(132)로 출력시킨다(단계 S33). 여기서 제2 출력부(132)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귀에 가까이 대고서야 들을 수 있을 정도로 출력이 약한 소형 스피커(리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단말기(100) 사용자는 영상 통화를 하던 중에 예를 들어 갑자기 비밀스러운 얘기를 하고자 하는 경우 볼륨 조절 스위치를 찾아 단계적으로 볼륨을 줄일 필요 없이 제1 단말기(100)를 귀에 가져가기만 하면 제1 출력부(131)를 통해 출력되던 사운드가 제2 출력부(132)를 통해 출력됨으로서 비밀이 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망 운영 서버(400)는 제2 단말기(200)의 영상 신호가 제1 단말기(100)에 전송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통신망 트래픽을 경감시킬 수 있고 과금 처리를 통해 이에 따른 혜택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운드 출력부를 위주로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단말기 이용 형태에 따라 마이크에 대한 감도도 함께 변경시킬 수 있음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체 통신망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것인데, 도 4와 다른 점은 통신망 운영 서버(400)가 제2 단말기(200)에 제1 단말기(100)의 음성 모드 전환 상태를 알려준다(단계 S63)는 점이다.
이에 따라 제2 단말기(200)는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영상 신호가 생성되더라도 음성 신호만을 통신망 운영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고(단계 S69), 통신망 운영 서버(40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그대로 제1 단말기(100)에 전송한다(단계 S71).
여기서 제2 단말기(200)는 통신망 운영 서버(400)로부터 제1 단말기(100)의 음성 모드 전환 상태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아예 카메라 모듈(110)을 임시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의 근접 상태를 감지한 제1 단말기(100)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영상 통화 채널이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태양(방식)에 따라 특정 구간에서는 음성 신호만(영상 신호 제외)이 전달되도록 하여 통신망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손쉬운 방법(단말기를 귀에 가져감)으로 신속하게 사운드 출력 크기를 줄이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또한 통신망 부하 경감에 따른 혜택을 과금 처리를 통해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통신 단말기(제1 단말기) 200 : 통신 단말기(제2 단말기)
310,320 : 기지국 400 : 통신망 운영 서버
110 : 카메라 모듈 120 : 마이크
130 : 사운드 출력부 140 : 통신 채널 형성부
150 : 근접 감지부 160 : 제어부
170 : 전송부 131 : 제1 출력부
132 : 제2 출력부 410 : 호 연결 처리부
420 : 요청 수신부 430 : 통화 모드 전환부
440 : 과금 처리부 450 : 알림부
310,320 : 기지국 400 : 통신망 운영 서버
110 : 카메라 모듈 120 : 마이크
130 : 사운드 출력부 140 : 통신 채널 형성부
150 : 근접 감지부 160 : 제어부
170 : 전송부 131 : 제1 출력부
132 : 제2 출력부 410 : 호 연결 처리부
420 : 요청 수신부 430 : 통화 모드 전환부
440 : 과금 처리부 450 : 알림부
Claims (20)
- (a) 복수 개의 단말기 간에 호 연결을 처리하는 단계와;
(b) 호 연결 단위로 과금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복수 개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한 요청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를 해당하는 통화 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호 연결 단위로 생성된 과금 테이블에 상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에 따른 과금 요율 변경 정보를 추가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운영 서버의 처리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요청에 따라 상호간 영상 통화 모드로 호 연결을 처리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요청 단말기로부터 음성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요청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를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운영 서버의 처리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음성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한 요청 단말기의 상대 단말기에 상기 요청 단말기의 음성 통화 모드로의 전환 상태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운영 서버의 처리방법.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는, 상기 요청 단말기와 상기 상대 단말기 간에 영상 통화 채널이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요청 단말기에는 상기 상대 단말기의 음성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에는 상기 요청 단말기의 영상 신호 및 음성신호를 모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운영 서버의 처리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는, 상기 영상 통화 채널이 형성된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음성 신호만을 추출하여 상기 요청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운영 서버의 처리방법.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는, 상기 요청 단말기와 상기 상대 단말기 간에 영상 통화 채널이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음성신호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운영 서버의 처리방법. - 복수 개의 단말기 간에 호 연결을 처리하는 호 연결 처리부와;
상기 복수 개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와;
상기 복수 개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요청 수신부에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한 요청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를 해당하는 통화 모드로 전환시키는 통화 모드 전환부와;
호 연결 단위로 과금 테이블을 생성하여 과금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호 연결 단위로 생성된 과금 테이블에 상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에 따른 과금 요율 변경 정보를 추가 저장하는 과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운영 서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 처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요청에 따라 상호간 영상 통화 모드로 호 연결을 처리하고,
상기 통화 모드 전환부는 상기 요청 단말기로부터 음성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요청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가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호 연결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운영 서버.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한 요청 단말기의 상대 단말기에 상기 요청 단말기에 대한 음성 통화 모드로의 전환 상태를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운영 서버.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 처리부는 상기 음성 통화 모드 전환에 따라 상기 요청 단말기와 상기 상대 단말기 간에 영상 통화 채널이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요청 단말기에는 상대 단말기의 음성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에는 상기 요청 단말기의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모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운영 서버.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 처리부는 상기 음성 통화 모드 전환에 따라 상기 영상 통화 채널이 형성된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음성 신호만을 추출하여 상기 요청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운영 서버.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 처리부는 상기 음성 통화 모드 전환에 따라 상기 요청 단말기와 상기 상대 단말기 간에 영상 통화 채널이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음성신호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운영 서버. - 카메라 모듈, 마이크와,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를 구비한 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a) 통신망 운영 서버와 영상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영상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 제1 출력부로 출력하는 단계와;
(c) 사용자의 기 설정된 값 이하의 근접 상태를 감지하는 경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망 운영 서버에 전송하고 동작모드를 전환하여 상기 영상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 제2 출력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전환에 따라 상기 마이크의 입력 사운드에 대한 감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가 전환된 후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 중 상기 음성 신호만을 상기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가 전환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와;
통신망 운영 서버와 영상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채널 형성부와;
사용자의 근접 상태를 감지하는 근접 감지부와;
상기 영상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가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 제1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근접 감지부에서 사용자의 기 설정된 값 이하의 근접 상태를 감지하는 경우 동작모드를 전환하여 상기 영상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가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 제2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동작모드 전환에 따라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망 운영 서버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 제17항에 있어서,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동작모드 전환에 따라 상기 마이크의 입력 사운드에 대한 감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동작모드 전환 전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모두 상기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모드가 전환된 후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 중 상기 음성 신호만을 상기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작모드를 전환한 후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2857A KR20130066146A (ko) | 2011-12-12 | 2011-12-12 |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통신망 운영 서버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2857A KR20130066146A (ko) | 2011-12-12 | 2011-12-12 |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통신망 운영 서버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6146A true KR20130066146A (ko) | 2013-06-20 |
Family
ID=48862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2857A KR20130066146A (ko) | 2011-12-12 | 2011-12-12 |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통신망 운영 서버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6614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26017A (ko) | 2013-08-30 | 2015-03-11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그룹 영상통화의 과금 방법 및 장치 |
-
2011
- 2011-12-12 KR KR1020110132857A patent/KR20130066146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26017A (ko) | 2013-08-30 | 2015-03-11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그룹 영상통화의 과금 방법 및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429174B1 (en) | Automatic routing of call audio at incoming call | |
US9917943B2 (en) | Automatic prompt at call-end | |
US10782745B2 (en) | Call receiving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system | |
US10630826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US1082745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 notification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udio output device | |
US20120045990A1 (en) | Intelligent Audio Routing for Incoming Calls | |
CN102843464A (zh) | 一种通过距离感应器调整通话音频输出方式的系统及方法 | |
EP3217638B1 (en) | Transferring information from a sender to a recipient during a telephone call under noisy environment | |
TW201448556A (zh) | 音量調節系統及方法 | |
CN108566221B (zh) | 通话控制方法及相关设备 | |
US20070082717A1 (en) | Dual prompting device and method for mobile phone | |
CN112882622A (zh) | 数据处理方法及装置、终端、存储介质 | |
JP5376688B2 (ja) | 電話装置、および通話転送方法 | |
CN116033304B (zh) | 一种音频输出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 |
KR20130066146A (ko) |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통신망 운영 서버 및 그 제어방법 | |
WO2018058875A1 (zh) | 一种终端的通话切换方法、系统及终端、计算机存储介质 | |
CN109618062B (zh) | 语音交互方法、装置、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CN112822591A (zh) | 通话数据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 |
JP2000295318A (ja) | 携帯電話装置 | |
KR102228356B1 (ko) |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호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 |
KR20140036899A (ko) | 핸즈프리 장치, 그리고 이의 음성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
KR101955389B1 (ko) |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JP2000183962A (ja) | 音声会話装置及び方法 | |
CN114666770A (zh) | 扬声电话听觉设备一体机 | |
CN116033599A (zh) | 一种无线通话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218 Effective date: 201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