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005A -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terminal with thin film type rear section - Google Patents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terminal with thin film type rear s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005A
KR20130066005A KR1020110132654A KR20110132654A KR20130066005A KR 20130066005 A KR20130066005 A KR 20130066005A KR 1020110132654 A KR1020110132654 A KR 1020110132654A KR 20110132654 A KR20110132654 A KR 20110132654A KR 20130066005 A KR20130066005 A KR 20130066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rotective cover
opening
thickness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6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26556B1 (en
Inventor
박민서
Original Assignee
박민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서 filed Critical 박민서
Priority to KR1020110132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556B1/en
Publication of KR2013006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0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5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protection cover for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thin type rear surface unit is provided to protect the portable terminal from external impacts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CONSTITUTION: A side unit (61) of a protection cover(60) includes a predetermined thickness by wrapping a side of a portable terminal(50). A rear unit (62) of the protection cover includes the thickness of the side surface unit by covering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 edge unit (63) of the protection cover is bent to the inside of the side surface unit. The edge unit prevents the portable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on cover in the coupling state of the protection cover and the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박형 후면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용 보호커버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terminal with thin film type rear section}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terminal with thin film type rear section}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나 PMP 플레이어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ve cover used to protect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phone or a tablet PC or a PMP player from external impact and foreign matter.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나 PMP 플레이어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는 주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이러한 단말기는 사용자가 들고다니며 사용하기 위한 용도의 특성상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떨어뜨리는 사고에 노출되어 있다. 이동단말기를 떨어뜨릴 경우 충격에 의해 이동단말기가 파손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이동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이동단말기용 보호커버가 사용된다.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smartphones, tablet PCs, or PMP players are mainly used by users. Such a terminal is exposed to accidents that are inadvertently dropped by the user due to the nature of the user's carrying and using the device. If the mobile terminal is dropped, the mobile terminal may be damaged or breakdown due to the impact.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terminal is used to protect the mobile terminal by absorbing the impact from such an accident.

도 1 및 도 2 는 종래의 보호커버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보호커버(20)는 이동단말기(10)의 외형에 맞도록 제작되어 이동단말기(10)에 씌워지며, 통상적으로 측면부(21)와 후면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측면부(21)는 이동단말기(10)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후면부(22)는 이동단말기(10)의 후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또한, 개방된 상면에는 측면부(21)로부터 내측으로 구부러진 형태의 엣지부(23)가 형성되어 보호커버(20)가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이동단말기(10)와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1 and 2 show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rotective cover. The protective cover 20 is manufactured to fit the outer shape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is covered by the mobile terminal 10, and is typically composed of a side portion 21 and a rear portion 22. Side portion 21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the rear portion 22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rear of the mobile terminal (10). In addition, an open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n edge portion 23 bent inward from the side portion 21 to maintain a state of engagement with the mobile terminal 10 so that the protective cover 20 is not easily peeled off.

이러한 보호커버(20)는 통상적으로 연성 플라스틱이나 고무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즉, 이동단말기(10)를 부주의에 의해 떨어뜨리는 경우 지면과의 접촉이 보호커버(20)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연성의 보호커버(20)가 충격을 흡수하여 이동단말기(10)를 보호한다. 나아가, 보호커버(20)는 이동단말기(10)의 사용 중에 외부 이물질에 의해 이동단말기(10)가 더럽혀지거나 이동단말기(10)에 스크랫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The protective cover 20 is typical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soft plastic, rubber or urethane to absorb external shocks. That is, when the mobile terminal 10 is inadvertently dropped, since the contact with the ground is made by the protective cover 20, the flexible protective cover 20 absorbs the shock to protect the mobile terminal 10. In addition, the protective cover 20 also serves to prevent the mobile terminal 10 from being soiled or scratches on the mobile terminal 10 by foreign matter during use of the mobile terminal 10.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보호커버(20)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두께 증가라는 불편함을 가져오게 되는 단점이 있다. 즉, 이동단말기(10)의 보호커버(20)는 통상적으로 2mm 내외의 두께를 가지는데, 이는 보호커버(20)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충격 흡수에 요구되는 두께를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커버(20)는 그 자체의 두께로 인해 보호커버(20)를 씌운 이동단말기(10)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온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rotective cover 20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brings inconvenience to increase the thicknes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at is, the protective cover 20 of the mobile terminal 10 typically has a thickness of about 2mm,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thickness required for shock absorptio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the protective cover 20. However, such a protective cover 20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10 covering the protective cover 20 due to its thickness.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의 보편화로 인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화상 등의 이용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이동단말기(10)의 크기가 점차 커져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동단말기(10)의 크기가 커지면 휴대하기가 불편해지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이동단말기(10)의 두께는 최대한 얇은 형태로 제작되는 슬림화 경향을 보이고 있다.Recently, the demand for the use of various multimedia images is increasing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smart phones, etc., and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10 is gradually increasing in response to this. As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10 becomes larger, it becomes inconvenient to carry, an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10 has been tended to be slimmer as much as possible.

그런데, 이동단말기(10)의 두께를 줄이는 것은 1mm 정도의 두께만 줄이려고 해도 상당한 수준의 기술력과 설계 능력의 개선이 요구된다.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의 경우 제일 얇은 제품이 8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이는 기존의 9mm 두께로 제작되는 타 모델에 비해 두께라는 요인만으로도 상당한 제품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However,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10 requires a considerable level of improvement in technical and design capabilities even if the thickness of about 1 mm is to be reduced. In the case of recently launched smartphones, the thinnest product has a thickness of about 8mm, which is considered to have a significant product competitiveness only by the thickness factor compared to other models manufactured with a conventional 9mm thickness.

그런데, 이와 같은 두께의 차이를 기술적으로 극복하여 최대한 얇게 이동단말기(10)를 제작하여도 보호커버(20) 자체의 두께가 이러한 기술적 어려움을 극복한 결과를 상쇄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다.However, even when the mobile terminal 10 is made as thin as possible by overcoming such a difference in thickness,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cover 20 itself has a result of offsetting the result of overcoming such technical difficulties.

도 3 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기존의 보호커버(10)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3 의 종래기술에서는, 보호커버(30)가 기본적으로 측면부(31)만을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며, 후면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서 보호커버(30)가 이동단말기(10)에 씌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측면부(3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내측으로 구부러진 상단엣지부(33)와 하단엣지부(35)를 구비한다.3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rotective cover 10 designed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In the prior art of FIG. 3, the protective cover 30 basically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only the side portion 31 is provided, and there is no rear portion. In this configuration, the upper and lower edge portions 35 and the lower edge portions 35 are respectively bent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ide portions 31 so as to keep the protective cover 30 covered with the mobile terminal 10. .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후면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보호커버(30)가 이동단말기(10)의 두께 증가를 유발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슬림한 휴대감을 느끼면서 이동단말기(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도 이동단말기(10)를 떨어뜨리는 경우의 충격 보호라는 기능은 필요한 정도로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즉, 이동단말기(10)를 떨어뜨리는 경우 이동단말기(10)가 지면에 닿는 순간 이동단말기(10)의 전면이나 후면이 지면과 정확하게 면접촉하도록 떨어지는 경우는 극히 드물며 주로 이동단말기(10)의 측면이 지면에 최초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주된 충격 부위는 이동단말기(10)의 측면이 되며 이러한 보호커버(30)는 적어도 측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충격으로부터의 보호라는 가장 중요한 기능은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ior art, since the rear part does not exist, the protective cover 30 does not cause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10. Therefore, the user can use the mobile terminal 10 while feeling a slim portable feeling. In such a prior art, it is evaluated that the function of impact protection in the case of dropping the mobile terminal 10 can be sufficiently obtained to the extent necessary. That is, when the mobile terminal 10 is dropped, it is extremely rare that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 falls down to be exactly in contact with the ground at the moment when the mobile terminal 10 touches the ground. This is the first contact with the ground. Therefore, the main impact portion is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the protective cover 30 can absorb the impact of at least the side, so that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protection from impact can be sufficiently exhibited.

그러나, 보호커버의 기능은 충격 흡수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이물질이나 스크랫치로부터의 이동단말기(10) 보호라는 기능도 매우 중요하다. 즉, 사용 중에 이동단말기(10)의 후면에 스크랫치가 발생하거나 더러운 이물질이 붙을 수 있으며 이는 이동단말기(10)의 외관 품위를 저하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현저하게 떨어뜨린다. 그러나 도 3 과 같은 보호커버(30)의 경우 이동단말기(1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는 않으나 이동단말기(10)의 후면에 대한 스크랫치 또는 이물질로부터의 보호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However, the function of the protective cover is not limited only to shock absorption, and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mobile terminal 10 from external foreign substances or scratches is also very important. That is, during use, scratches may be generated or dirty foreign substances may adhere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 which degrades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 thereby significantly lowering the user's satisfac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otective cover 30 as shown in Figure 3 does not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10, but protection from scratches or foreign matter on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10 is not made at all.

나아가, 도 3 의 보호커버(30)는 하단엣지부(35)가 존재함으로 인하여 하단엣지부(35)와 이동단말기(10)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이 축적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이 틈새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자주 해 주어야 한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cover 30 of FIG. 3 has a phenomenon that a foreign matter accumulates in a gap between the lower edge portion 35 and the mobile terminal 10 due to the existence of the lower edge portion 35. Frequent work should be done to remove debris from the gaps.

더욱이, 도 3 의 보호커버(30)는 이동단말기(10)를 손으로 쥐었을 때 이동단말기(10) 후면의 촉감이 하단엣지부(35)의 돌출로 인해 평탄하고 매끄러운 느낌을 주지 못하고 사용자의 손에 밀착된 느낌을 주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소위 그립감이라고 하는 사용자의 느낌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Furthermore, the protective cover 30 of FIG. 3 does not give a flat and smooth feeling due to the protruding of the lower edge part 35 when the mobile terminal 10 is touched by the hand when the mobile terminal 10 is held by hand. You won't feel close to your hands.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s feeling called grip is impa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단말기의 두께 증가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땅에 떨어뜨리는 등의 경우에 발생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이동단말기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이동단말기의 후면에 대한 스크랫치와 이물질 끼임 현상이 방지되고 사용자의 그립감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 구조의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fficiently protect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external impact generated in the case of dropping to the ground without causing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protective cover of the structure to prevent scratches and foreign matter jamming on the rear of the mobile terminal and does not affect the user's gri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는, 이동단말기의 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측면부; 및 상기 이동단말기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에 비해 작은 두께를 갖는 후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rear portion formed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side portion.

상기 후면부의 두께는 상기 측면부의 두께의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aid rear part is 1/2 or less of the thickness of the said side part.

상기 후면부는 0.1mm 내지 1mm 의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The rear portion may be manufactured to a thickness of 0.1mm to 1mm.

상기 보호커버에는 개폐부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후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절개선에 의해 상기 후면부로부터 구획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후면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단말기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개폐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protective cove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par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formed by partitio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portion from the rear portion by a cut line, thereby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in a state connected with the rear portion.

상기 후면부와 상기 개폐부가 상호 접하는 면들은, 상기 후면부의 외표면 쪽이 상기 개폐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개폐부의 내표면 쪽이 상기 후면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후면부와 상기 개폐부의 상호 접하는 면들이 상기 후면부의 판면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후면부와 상기 개폐부의 상호 접하는 면들이 각각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상호 맞물리도록 단차진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e surfaces of the rear portion and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may be formed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rear portion. To this end, the rear surfaces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of the openings may be configur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late surface direction of the rear portion, or the mutually adjacent surfaces of the rear and the openings and closing portions may be configured to be stepped so as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have.

상기 보호커버는 접착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ective cover is preferably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단말기의 두께 증가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땅에 떨어뜨리는 등의 경우에 발생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이동단말기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이동단말기의 후면에 대한 스크랫치와 이물질 끼임 현상이 방지되고 사용자의 그립감에도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can be sufficiently protected from an external impact generated in the case of dropping to the ground without causing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and furthermore, the phenomenon of scratches and foreign substances caught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This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revented and does not affect the user's grip.

도 1 은 종래의 보호커버가 씌워진 이동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도 1 의 측단면도.
도 3 은 종래의 보호커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가 씌워진 이동단말기의 측단면도.
도 5 는 도 4 에서 이동단말기와 보호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6 은 도 5 의 보호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 7 은 도 6 의 개폐부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은 도 6 의 보호커버의 측단면도.
도 9 는 도 8 의 다른 실시예.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covered with a conventional protective cover.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protective cover.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covered with a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rotective cover in a separated state in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cover of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of FIG. 6;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cover of FIG.
9 is another embodiment of FIG. 8;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가 씌워진 이동단말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5 는 도 4 에서 이동단말기와 보호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 은 도 5 의 보호커버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7 은 도 6 의 개폐부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단말기의 예시로서 스마트폰을 들고 있으나, 이동단말기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covered with a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rotective cover is separated in Figure 4, Figure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cover of Figure 5,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of FIG. 6.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holding a smart phone as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60)는, 이동단말기(5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측면부(61), 이동단말기(50)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후면부(62), 및 측면부(61)의 상단에 내측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된 엣지부(63)를 구비한다.The protective cover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portion 61 form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50, a rear portion 62 formed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50, and a side portion 61. It has an edge portion 63 formed to be bent inward to the top of the.

측면부(61)와 후면부(62) 및 엣지부(63)는 일체로 형성된다. 측면부(61)는 이동단말기(50)의 측면을 감싸서 보호하는 기능을 하고, 후면부(62)는 이동단말기(50)의 후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엣지부(63)는 이동단말기(50)와 보호커버(6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단말기(50)가 보호커버(60)로부터 의도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5 내지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61)는 이동단말기(5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대응되는 부위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측면부(61)는 필요에 따라 이동단말기(50)의 전체 측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일 부분이 개방되도록 이동단말기(50)의 전체 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ide part 61, the back part 62, and the edge part 63 are integrally formed. The side portion 61 serves to protect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50, and the rear portion 62 serves to protect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50, the edge portion 63 is the mobile terminal 50 And the protective cover 60 is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50 serves to prevent the unintentional separation from the protective cover 60. As shown in Figures 5 to 7, the side portion 61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50 is partially open. As such, the side portion 61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50 as necessary, or may be configured to cover a portion of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50 to open a portion.

측면부(61)는 이동단말기(50)를 떨어뜨리는 경우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 주된 기능이므로 충격 흡수에 필요한 정도의 두께를 가져야 하며, 바람직한 두께는 2mm 내외이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의 후면부(62)는 충격 흡수 기능은 요구되지 않고 외부 자극에 의한 이동단말기(50) 후면의 스크랫치를 방지함과 아울러 이동단말기(50) 후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후면부(62)의 두께는 이러한 기능을 하기에 적절한 두께이기만 하면 최대한 얇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에 대해 요구되는 두께는 사실상 0.1mm 이상만 되면 충분하므로 후면부(62)는 얇은 박막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따라서 이동단말기(50)의 두께 증가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The side portion 61 has a thickness necessary for shock absorption because the main function is to absorb shock when the mobile terminal 50 is dropped, the preferred thickness is around 2mm. In contrast, the rear part 62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hock absorbing function, and prevents scratches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50 due to external stimuli and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caught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50. Do it.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rear portion 62 is preferably configured as thin as possible, as long as it is a suitable thickness for this function. Since the thickness required for such a condition is actually 0.1mm or more, it is sufficient, so that the rear part 62 can be manufactured in a thin film form, and thus does not affect the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50 at all.

그런데, 이동단말기(50)의 사용 중에 이물질 제거나 수리 등의 목적으로 보호커버(60) 자체를 이동단말기(5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가 간혹 발생하므로, 후면부(62)를 지나치게 얇게 제작할 경우에는 후면부(62)가 분리 및 결합시의 외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변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후면부(62)의 두께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가벼운 외력에는 쉽게 변형되지 않는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후면부(62)의 두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측면부(61)보다 얇아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측면부(61) 두께의 1/2 이하가 되는 것이 좋고, 최소한의 두께는 유지하는 것이 좋다. 수치상으로는 후면부(62)의 두께가 0.2mm 내지 1mm 범위가 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since the protective cover 60 itself is sometimes detached from the mobile terminal 50 for the purpose of removing or repairing foreign substances during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50, the rear portion when the rear portion 62 is made too thin. There is a fear that the 62 is broken or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t the time of separation and engagement.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thickness of the rear part 62 preferably has a thickness such that it is not easily deformed by a light external force. In view of this, the thickness of the rear portion 62 should be basically thinner than the side portion 61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t should be less than half the thickness of the side portion 61, and at least It is good to keep the thickness. Numer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rear portion 62 is made to be in the range of 0.2 mm to 1 mm.

이러한 두께는 보호커버(60)가 이동단말기(50)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그립감 저하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후면부(62)의 내구성을 보장하나, 후면부(62)의 두께는 반드시 상기 비율이나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커버(60)를 제작하는 재질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This thickness minimizes the deterioration of grip feeling when the protective cover 60 is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50 and at the same time ensures durability of the rear part 62, but the thickness of the rear part 62 must be in the ratio or numerical valu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etermined experimentally in consideration of various aspect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ype of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protective cover 60.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후면부(62)가 평판형으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예컨대 이동단말기(50)에 따라서는 그 후면이 굴곡진 면으로 구성되기도 하며 후면부(62)의 판면은 이와 같은 이동단말기(50)의 후면 형상에 부합되도록 굴곡진 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ar portion 6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lat type,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mobile terminal 50, the rear surface is also composed of a curved surface and the plate surface of the rear portion 62 is such a movement It may be configured with a curved surface to match the back shape of the terminal 50.

보호커버(60)의 재질은 충격보호라는 본연의 기능을 고려할 때 연성 플라스틱이나 고무 또는 우레탄,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커버(60)는 실리콘 접착 수지와 같은 접착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material of the protective cover 6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oft plastic or rubber or urethane, silicone, considering the inherent function of impact protection. Preferably, the protective cover 60 is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such as silicone adhesive resi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61)에는 버튼개구(68)가 형성되어 있고 후면부(62)에는 카메라개구(69)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이동단말기(50)의 측면에는 전원을 온/오프 하거나 통화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58)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동단말기(50)의 후면에는 카메라(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버튼(58)이나 카메라는 보호커버(60)를 이동단말기(50)에 씌운 상태에서도 보호커버(60)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호커버(60)에는 이에 대응하여 버튼개구(68)와 카메라개구(69)가 마련된다.As shown in FIG. 5, a button opening 68 is formed at the side portion 61, and a camera opening 69 is formed at the rear portion 62. Typically,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50 is provided with a button 58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r adjusting the call volume, and the rear of the mobile terminal 50 is provided with a camera (not shown). The button 58 or the camera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protective cover 60 even when the protective cover 60 is covered by the mobile terminal 50. Accordingly, the protective cover 60 is provided with a button opening 68 and a camera opening 69 correspondingly.

한편,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62)에는 절개선(67)이 형성되어 후면부(62)의 일부를 절개하고 있다. 이 절개선(67)은 3면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개폐부(66)를 구성하며, 이에 따라 개폐부(66)는 후면부(62)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단말기(50)의 후면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7 과 같이 이동단말기(50)에 보호커버(60)가 씌워진 상태에서 개폐부(66)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올리면 개폐부(66)의 개방에 의해 이동단말기(50)의 후면이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5 to 7, a cut line 67 is formed at the rear portion 62 to cut a portion of the rear portion 62. The cut line 67 is formed over three surfaces to form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whereb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can open and close the rear of the mobile terminal 50 in a state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62). That is, when the user pulls up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by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cover 60 is covered by the mobile terminal 50 as shown in FIG. 7,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50 is opened to the outside by opening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Exposed.

통상적으로 이동단말기(50)의 후면에는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한 용도 또는 이동단말기(50) 고장시 수리를 하기 위한 용도로 덮개(56)가 마련되어 있는데, 개폐부(66)는 이러한 덮개(56)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개폐부(66)를 도 7 과 같이 들춘 상태에서 사용자는 덮개(56)를 열어 배터리 교체 등을 할 수 있게 되며, 배터리 교체 후에는 덮개(56)를 다시 닫고 개폐부(66)를 도 6 과 같이 원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Typically, a cover 56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50 for the purpose of replacing a battery or for repairing the mobile terminal 50 in a failure stat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has a shape of the cover 56.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is lifted up as shown in FIG. 7, the user can open the cover 56 and replace the battery. After replacing the battery, the cover 56 is closed agai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is closed in FIG. 6. You can restore it back to its original state.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개폐부(66)는 덮개(56)의 전체 영역보다 다소 큰 영역을 점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66)의 위치나 크기는 이동단말기(60)의 모델별로 덮개(56)의 크기와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66)는 후면부(62)의 실질적인 전 영역을 점유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절개선(67)이 후면부(62)와 측면부(61)간의 연결 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view of such a poin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is preferably formed to occupy a somewhat larger area than the entire area of the cover 56. The position or siz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cover 56 for each model of the mobile terminal 60. Thus,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may be formed to occupy substantially the entire area of the rear portion 62. In addition, if necessary, an incision line 67 may be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ear portion 62 and the side portion 61.

한편, 이러한 개폐부(66)의 구성은 종래기술과 같이 후면부가 측면부와 동일한 두께로 제작된 보호커버에서는 후면부의 두꺼운 두께로 인해 채용하는 것이 부적절한 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후면부(62)가 얇은 필름의 두께로 제작되므로 절개선(67)을 형성할 경우 도 7 과 같이 개폐부(66)만을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보호커버(60)를 이동단말기(5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개폐부(66)만을 이용하여 배터리 교체 등의 간단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such a configu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is inappropriate to adopt due to the thick thickness of the rear portion in the protective cover made of the same thickness as the side portion as in the prior art.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ar part 62 is made of a thin film thickness, when the incision line 67 is formed, onl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66 can be opened and closed as shown in FIG. 7. Therefore, a simple operation such as battery replacement can be performed using onl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without removing the protective cover 60 from the mobile terminal 50.

본 발명의 보호커버(60)는 후면부(62)가 얇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호커버(60)를 이동단말기(50)로부터 자주 분리할 경우 후면부(62)의 변형이 올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개폐부(66)에 의해 자주 분리할 필요성이 줄어들게 되므로 보호커버(60)의 내구성이 증대된다.Since the protective cover 6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n rear portion 62, the protective cover 60 may be deformed from the rear portion 62 when the protective cover 60 is frequently sepa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50. By reducing the need for frequent separation by) increases the durability of the protective cover (60).

한편, 도 8 및 도 9 는 도 6 의 보호커버(6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특히 후면부(62)와 개폐부(66)간의 접하는 면들에 대한 세부 구성의 두 실시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Meanwhile, FIGS. 8 and 9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rotective cover 60 of FIG. 6. In particular, FIGS. 8 and 9 are views illustrating two embodiments of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contact surfaces between the rear part 6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66.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62)와 개폐부(66)가 상호 접하는 면들은 후면부(62)의 외표면 쪽(도 8 및 도 9 에서의 상면 쪽)이 개폐부(66)측으로 돌출되고 개폐부(66)의 내표면 쪽(도 8 및 도 9 에서의 하면 쪽)이 후면부(62)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surfaces of the rear portion 62 and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66 contact each other with the outer surface side (the upper surface side in FIGS. 8 and 9) of the rear portion 62 facing the opening portion 66. It protrudes, and the inner surface side (lower surface side in FIG. 8 and FIG. 9) of the opening-closing part 66 is formed so that it may protrude toward the back part 62 side.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 에서는 후면부(62)와 개폐부(66)의 상호 접하는 면들이 후면부(62)의 판면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62a, 66a)으로 구성되며, 도 9 에서는 후면부(62)와 개폐부(66)의 상호 접하는 면들이 각각 부분적으로 돌출된 돌출부(62b, 66b)로 구성되어 상호 맞물리도록 단차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in FIG. 8, the surfaces of the rear portion 62 and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66 are formed to be inclined surfaces 62a and 66a which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late direction of the rear portion 62, and the rear portion 62 in FIG. 9. And the contact surfac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are formed in stepped shapes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by partially protruding protrusions 62b and 66b.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폐부(66)를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개방시켜 배터리 교체 등을 한 후에 다시 도 6 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개폐부(66)를 이동단말기(50) 후면에 밀착시킬 때, 개폐부(66)의 가장자리 면들이 후면부(62) 밑으로 삽입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후면부(62)의 경사면(62a) 또는 돌출부(62b)에 의해 개폐부(66)의 경사면(62b) 또는 돌출부(66b)가 걸리어 개폐부(66)가 후면부(62)에 의해 이동단말기(50)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고정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개폐부(66)가 도 6 과 같은 상태에서 이동단말기(50) 후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이동단말기(50)를 장기간 휴대하고 다녀도 개폐부(66)의 밀착이 유지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mobile terminal 50 to op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in a state as shown in FIG. The edge fac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are inserted below the rear portion 62. Accordingly, the inclined surface 62b or the protrusion 66b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is caught by the inclined surface 62a or the protrusion 62b of the rear portion 62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is moved by the mobile terminal 50 by the rear portion 62. The effect is fix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Accordingl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66 is prevented from being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50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한편, 이러한 개폐부(66)를 구성할 경우에는 도 6 의 상태에서 개폐부(66)가 이동단말기(50)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가 견실하게 유지되는 추가의 방안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보호커버(60)를 접착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요구되는 접착력은 강할 필요는 없으며 개폐부(66)가 이동단말기(50)의 후면에 접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미약한 정도의 접착력만 있으면 되지만, 반복되는 사용시에도 접착력의 저하는 적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예컨대 실리콘 접착 수지와 같은 재질로 보호커버(60)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접착 수지의 경우 필요에 따라 강한 접착력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 이동단말기(50)의 후면과 같이 매끈한 재질의 표면에 부착시 일정한 수준의 접착력을 보이며, 또한 반복적인 접착과 탈착에도 불구하고 오랜 기간동안 접착력이 유지되는 특성이 있다. 즉, 재질 자체에 의해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유지되는 이와 같은 재질로 보호커버(60)를 제작함으로써 도 6 및 7 과 같은 개폐부(66)의 구성시에도 평상시에는 개폐부(66)가 들뜨게 되는 불편함을 겪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config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it is preferable that an additional method is provided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50 in the state of FIG. 6. To this end, the protective cover 60 is preferably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At this time, the required adhesive force does not need to be strong, but only a slight amount of adhesive force is required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is adhe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50, but the decrease in adhesive force should be small even in repeated use.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t is preferable to manufacture the protective cover 60,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silicone adhesive resin. The silicone adhesive resin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trong adhesive force as necessary, but usually shows a certain level of adhesive strength when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mooth material, such as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50, and despite the repeated adhesion and detachment Adhesion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at is, by making the protective cover 60 made of such a material that the adhesive strength is maintained by the material itself, eve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6 as shown in FIGS. You do not suff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후면부(62)가 얇게 구성되어 있어서 이동단말기(50)의 두께 증가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이동단말기(5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ar portion 62 is made thin so that the mobile terminal 50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without causing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50.

50 : 이동단말기 60 : 보호커버
61 : 측면부 62 : 후면부
50: mobile terminal 60: protective cover
61: side part 62: rear part

Claims (8)

이동단말기의 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측면부; 및
상기 이동단말기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에 비해 작은 두께를 갖는 후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커버.
A side portion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a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rear portion formed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side portion;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의 두께는 상기 측면부의 두께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커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rear portion is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1/2 of the thickness of the sid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의 두께는 0.1mm 내지 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커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cover is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0.1mm to 1mm.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절개선에 의해 상기 후면부로부터 구획되어, 상기 후면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단말기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개폐시킬 수 있는 개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portion is partitioned from the rear portion by a cut line, the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a state connected with the rear portion.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와 상기 개폐부가 상호 접하는 면들은, 상기 후면부의 외표면 쪽이 상기 개폐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개폐부의 내표면 쪽이 상기 후면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커버.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ar surface and the surfac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contact each other,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rear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side,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rear sid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와 상기 개폐부의 상호 접하는 면들이 상기 후면부의 판면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커버.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Protective surfaces for mobile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surface and the contact surfac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late surface dir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와 상기 개폐부의 상호 접하는 면들이 각각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상호 맞물리도록 단차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커버.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tepped form so that the mutually facing surfaces of the rear port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mutually protrud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접착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커버.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otective cover is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KR1020110132654A 2011-12-12 2011-12-12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terminal with thin film type rear section KR1015265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654A KR101526556B1 (en) 2011-12-12 2011-12-12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terminal with thin film type rear s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654A KR101526556B1 (en) 2011-12-12 2011-12-12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terminal with thin film type rear s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005A true KR20130066005A (en) 2013-06-20
KR101526556B1 KR101526556B1 (en) 2015-06-16

Family

ID=48862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654A KR101526556B1 (en) 2011-12-12 2011-12-12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terminal with thin film type rear s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55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4112A (en) * 2017-10-25 2018-04-17 东莞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Processing method with volcanic crater hous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626A (en) * 2008-02-27 2009-09-01 용숙 이 External case for handheld terminal having display protection window with enhanced surface hardne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4112A (en) * 2017-10-25 2018-04-17 东莞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Processing method with volcanic crater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556B1 (en) 201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45741A1 (en) Composite protective case for phones, 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other apparatus
US8624111B2 (en) Multilayer portable device case and method therefor
CA2992579C (en)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565910B2 (en) Waterproof protective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025948B2 (en) Camera protection module for portable device case
US8326383B1 (en) Adhesiv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197173B1 (en) Protecting case for Bar-type handheld
US20160254835A1 (en) Integrated screen and perimeter prot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30066005A (en)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terminal with thin film type rear section
KR101295560B1 (en)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opening/closing rear section thereof
KR20130056037A (en) Water proof cover for portable electric apparatus
KR20120104061A (en) The power failure button case which is applied in the portable terminal
KR200455103Y1 (en) Combi case for cell phone
KR20090117466A (en) Cover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KR102343800B1 (en) Phone case
KR102297780B1 (en) silicone waterproof case for mobile device used in delivery agency
TWM593699U (en) Fall protection corner cover for mobile phone
CN214228296U (en) Wrap up in cell-phone protective sheath entirely
CN209517269U (en) A kind of structure improved mobile phone shell
KR200488559Y1 (en) Portable terminal case
KR200390744Y1 (en) Protection Cover for Mobile Phone Keypad
CN207166573U (en) The scratch resistant containment vessel of anticollision antidetonation
CN206807544U (en) Shatter-resistant mobile phone shell
KR20210125852A (en) Phone protection case
KR101604767B1 (en) Smartphone C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826

Effective date: 2014120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