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5671A -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5671A
KR20130065671A KR1020130047728A KR20130047728A KR20130065671A KR 20130065671 A KR20130065671 A KR 20130065671A KR 1020130047728 A KR1020130047728 A KR 1020130047728A KR 20130047728 A KR20130047728 A KR 20130047728A KR 20130065671 A KR20130065671 A KR 20130065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card
information
payment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30047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5671A/ko
Publication of KR2013006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9Onlin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에서 실행되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근거리에 존재하는 가맹점의 장치로부터 제공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수신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고,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쿠폰 또는 포인트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Method for Operating Coupon or Point by using One Time Code}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에서 실행되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근거리에 존재하는 가맹점의 장치로부터 제공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수신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고,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쿠폰 또는 포인트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드 인프라의 비약적인 발전과 전자상거래 등의 새로운 형태의 거래 유형이 등장하면서, 신용카드는 현금이나 수표 등의 실물 대체를 요구하는 타 결제 수단에 비해 비교적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카드 사용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실물 카드의 제시와 더불어 카드를 소지한 고객의 서명을 필요로 한다. 온라인의 경우, 이러한 카드 소지 고객의 본인확인 등에 대한 인증 방법들이 비교적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오프라인의 경우 가맹점이 카드 소지 고객과 직접 대면하므로, 오히려 본인 여부 확인에 대해 상기 온라인의 비해 확실할 수 있으나, 카드 사용에 따른 고객 서명 등의 본인 확인 절차에는 올바르게 지켜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일례로, 카드 뒷면에는 카드 소지 고객이 해당 카드의 수령과 동시에 본인의 서명을 기입해야 하고, 가맹점은 상기 고객의 카드 사용 시에 상기 고객이 카드 승인 전표에 날인한 서명과 상기 카드 뒷면의 서명을 대조하여 본인 여부 확인을 하도록 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상기 서명 인증 절차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고객이 카드를 분실하게 되었을 경우, 상기 고객이 카드 분실을 인지하고, 해당 카드 발급사에 분실 신고를 하기 전에, 상기 카드를 획득한 타인이 카드를 사용하게 되었을 경우, 카드 분실 고객이나 해당 카드 발급사는 만만치 않은 손해를 보기가 십상이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여러 카드 발급사들은 해당 카드의 승인 시에, 기 등록된 고객의 이동통신번호로 단문메시지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로 결제 내역 등을 전송하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으나, 실제 결제가 이루어지게 되는 가맹점에서는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에서 실행되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근거리에 존재하는 가맹점의 장치로부터 제공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수신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쿠폰 또는 포인트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에서 실행되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근거리에 존재하는 가맹점의 장치로부터 제공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수신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쿠폰 또는 포인트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쿠폰 또는 포인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쿠폰 또는 포인트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가맹점의 장치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의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칩 카드의 저장영역에 상기 클라이언트가 소지한 무선 단말기의 이동통신번호 데이터를 탑재하여, 상기 칩 카드를 이용한 결제 시에, 결제 단말장치에서 상기 칩 카드에 탑재된 이동통신번호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이동통신번호로 호접속을 시도하여, 발신자 정보(결제 단말장치 통신번호 등)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제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무선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발신자 정보의 확인을 통해, 상기 결제 요청 클라이언트에 대한 본인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및 카드 발급사는 카드 분실에 따른 잘못된 카드 사용에 대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맹점은 카드 발급사와 연계 또는 카드 발급사를 대행하여 클라이언트 인증 서비스를 실시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비용에 대한 큰 부담이 없이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개념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라 결제 단말기와 연동하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카드 내 메모리 구조에 대한 간단한 일 실시예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1은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클라이언트(100)는 본인의 이동통신번호 데이터가 탑재된 칩 카드를 소지하며, 상기 칩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요청하고, 또한, 상기 이동통신번호에 대응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칩 카드는 본 발명에 따라, 클라이언트(100)의 무선 단말기 이동통신번호 데이터가 탑재 가능한 소정의 저장영역을 구비한 IC 카드(또는 스마트 카드) 및 IC칩이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결제 단말장치(105)는 VAN 망을 통해 카드사와 연결되어 있으며, 카드 조회 기능을 구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00) 카드에 대한 결제 승인 요청을 하며, 본 발명에 따라, 클라이언트(100) 칩 카드에 탑재된 이동통신번호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로 호접속을 시도함으로써, 결제 단말장치(105)의 발신자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발신자 정보란, CID(Caller ID) 서비스에 의해 클라이언트(100) 무선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발신 클라이언트(100)의 이동통신번호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100)는 결제 단말장치(105)와의 음성 통화 등은 필요치 않으므로, 통화 연결시에 적용되는 통화 비용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결제 단말장치(105)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개의 이동통신번호를 구비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상기 결제 단말장치(105)는 상기 클라이언트(100)의 칩 카드가 IC칩이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무선 단말기인 경우에, 상기 단말장치(105)와 상기 무선 단말기간에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및/또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및/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및/또는, 무선랜(Wireless LAN), 및/또는, 와이파이(WiFi)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한다.
도면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100)의 본인여부 확인은 클라이언트(100)가 소지한 무선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의 이동통신번호 데이터를 탑재한 칩 카드를 통해 이루어지며, 결제 단말장치(105)가 상기 클라이언트(100)의 카드 결제 시에, 상기 카드에 탑재된 이동통신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번호로 전화연결(호접속)을 시도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발신자 정보의 확인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과정을 통한 클라이언트(100) 본인여부 확인은 결제 단말장치(105)와 카드사 서버(110)간의 결제 승인 처리 과정과 동시에 진행이 됨이 본 발명에 적절함을 밝힌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제 단말장치(105)는 클라이언트(100)의 칩 카드를 인식하는 칩 카드 리더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칩 카드로부터 클라이언트(100) 무선 단말기의 이동통신번호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동통신번호를 확인하는 기능의 추출모듈과, 추출된 이동통신번호를 이용하여 호접속 연결을 자동으로 시도하는 콜(Call)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을 구현한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클라이언트(100) 칩 카드로부터 이동통신번호 데이터를 추출한 결제 단말장치(105)가 호접속 시도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클라이언트(100) 무선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주로 도시하였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자 수준에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밝힌다.
일례로, 클라이언트(100) 칩 카드로부터 이동통신번호 데이터를 추출한 결제 단말장치(105)가 상기 호접속 시도가 아닌, 단문문자메시지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100) 무선 단말기로 일회용 인증 코드(또는 패스워드 등)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이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결제 단말장치(105)는 일회용 인증 코드(또는 패스워드 등) 생성에 필요한 인증 코드 생성모듈 및 SMS 전송 모듈 등을 더 구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단말장치(105)는 상기 추출모듈이 추출한 상기 클라이언트의 무선 단말기의 이동통신번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로 소정의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모듈과,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제공하고자 하는 소정의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 정보를 상기 추출모듈이 추출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의 이동통신번호 정보와 함께 유·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구매한 상품 또는 서비스와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제 단말 장치는 상기 무선 단말기 번호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 사용 내역을 통보하는 내역 통보 모듈과, 상기 거래 내역의 통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을 제공하는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는 신용 카드사 서버, 및/또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는 내역 통보 대상 카드 사용 금액 정보, 내역 통보 대상 카드 사용 횟수 정보, 내역 통보 대상 카드 사용 지역 또는 가맹점 정보, 내역 통보 대상 카드 사용 일자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100)는 본인의 칩 카드에 이동통신번호(데이터)를 제공받아 탑재하고(300), 상기 클라이언트(100)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번호 데이터가 탑재된 칩 카드를 이용한 결제를 실시한다(305).
결제 단말장치(105)는 상기 클라이언트(100)의 칩 카드로 결제 정보(카드 정보 등) 및 상기 탑재된 클라이언트(100) 무선 단말기의 이동통신번호 데이터를 추출 요청하고, 이 때 상기 칩 카드에 이동통신번호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도록 한다(310).
만약, 클라이언트(100) 칩 카드에 이동통신번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프로세스는 종료된다(315). 그러나, 이동통신번호 데이터 존재한다면(320), 상기 결제 단말장치(105)는 상기 칩 카드로부터 결제 정보 및 이동통신번호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결제 정보를 VAN망을 통해 카드사로 전송하여 결제 승인 요청을 한다(325).
또한, 상기 결제 단말장치(105)는 상기 과정을 통해 확인된 클라이언트(100)의 이동통신번호로 호접속 시도하여 발신자(단말장치(105)) 정보를 클라이언트(100) 무선 단말기로 제공한다(330).
상기 결제 단말장치(105)의 호접속 시도에 따라 클라이언트(100)의 무선 단말기에 발신자 정보 디스플레이되며(335), 상기 무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발신자 정보의 확인을 통해 클라이언트(100) 본인여부 확인을 하도록 한다(340).
만약, 본인여부 확인이 되지 않는다면(345), 결제 단말장치(105)는 거래 취소 절차를 진행하거나, 또는 카드 분실이나 도난 등의 신고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350).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본인여부의 확인은, 칩 카드를 소지하고 결제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100)가 상기 칩 카드에 탑재된 이동통신번호에 해당하는 무선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어야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클라이언트(100)의 무선 단말기에 결제 단말장치(105)로부터 발신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클라이언트(100) 및 가맹점은 클라이언트(100) 인증 또는 카드 인증을 쌍방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본인여부 확인이 완료되면(355), 결제 단말장치(105)는 거래 승인 절차 진행하도록 하며, 프로세스는 종료된다(360).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결제 단말장치(105)가 상기 클라이언트의 결제 시에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결제 정보(결제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 등)를 근거로 상기 결제 정보와 연계되는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상기 결제 단말장치(105)가 제공하는 방법과, 또한, 상기 결제 단말장치(105)가 상기 클라이언트의 결제 시에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결제 정보(결제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 등)를 근거로 상기 결제 정보와 연계되는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 관련 쿠폰 및/마일리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방법과, 또한, 상기 결제 단말장치(105)가 상기 클라이언트의 결제 시에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 번호 및 결제 정보 등을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 관련 쿠폰 및/마일리지를 소정의 저장매체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는 하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정보와 결제 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제 단말장치(105)를 통해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제공하도록 한다.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저장영역(IC칩 또는 메모리 영역)에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의 단말기번호 데이터를 탑재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결제 시, 결제 단말기(105)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 탑재된 단말기번호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단말기번호로 상기 클라이언트가 결제를 통해 구매한 상품 또는 서비스 관련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된 단말기번호로 상기 클라이언트가 결제를 통해 구매한 상품 또는 서비스 관련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단말기번호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인증 코드(또는 패스워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제공된 상기 인증 코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 코드(또는 패스워드)는 일회용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된 단말기번호로 상기 클라이언트가 결제를 통해 구매한 상품 또는 서비스 관련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번호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 사용 내역을 통보하는 내역 통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저장영역에 거래 내역의 통보에 대한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저장영역(IC칩 또는 메모리 영역)에 거래 내역의 통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을 제공하는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결제 시, 결제 단말기(105)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 탑재된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기번호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 사용 내역을 통보하는 경우, 상기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 내역을 제한적으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는, 내역 통보 대상 카드 사용 금액 정보, 내역 통보 대상 카드 사용 횟수 정보, 내역 통보 대상 카드 사용 지역 또는 가맹점 정보, 내역 통보 대상 카드 사용 일자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번호 정보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이동전화 번호 및/또는 개인 단말기 코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는 하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결제 단말장치(105)가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정보 및 결제 정보와 연계된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결제 단말장치(105)로부터 제공된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현 과정은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저장영역(IC칩 또는 메모리 영역)에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의 단말기번호 데이터를 탑재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결제 시, 결제 단말기(105)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 탑재된 단말기번호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단말기(105)가 상기 클라이언트가 결제를 통해 구매한 상품 또는 서비스 관련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소정의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 저장매체로부터 추출 또는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단말기(105)가 상기 추출된 단말기번호와 상기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결제단말기(105)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번호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 관련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결제 단말기(105)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번호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 관련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단말기(105)로부터 제공받은 무선 단말기번호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인증 코드(또는 패스워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제공된 상기 인증 코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결제단말기(105)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번호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 관련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단말기(105)로부터 제공받은 무선 단말기번호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 사용 내역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가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구현 과정은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저장영역(IC칩 또는 메모리 영역)에 거래 내역의 통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을 제공하는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결제 시, 결제 단말기(105)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 탑재된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단말기(105)에서 상기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번호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 사용 내역을 통보하는 경우, 상기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 내역을 제한적으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는, 내역 통보 대상 카드 사용 금액 정보, 내역 통보 대상 카드 사용 횟수 정보, 내역 통보 대상 카드 사용 지역 또는 가맹점 정보, 내역 통보 대상 카드 사용 일자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말기번호 정보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이동전화 번호 및/또는 개인 단말기 코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간단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는 하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결제 단말장치(105)가 추출된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정보와 결제 정보 등을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서버가 소정의 저장매체(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상기 결제 정보 관련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추출(또는 생성)하여 상기 결제 단말장치(105)로부터 제공된 무선 단말기 정보를 근거로 상기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구현 방법은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저장영역(IC칩 또는 메모리 영역)에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의 단말기번호 데이터를 탑재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결제 시, 결제 단말기(105)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 탑재된 단말기번호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단말기가 상기 추출된 단말기번호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결제를 통해 구매한 상품 또는 서비스 관련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소정의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 저장매체로부터 추출 또는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결제 단말기(105)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번호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 관련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결제 단말기(105)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번호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 관련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단말기(105)로부터 제공받은 무선 단말기번호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인증 코드(또는 패스워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제공된 상기 인증 코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결제 단말기(105)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번호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 관련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단말기(105)로부터 제공받은 무선 단말기번호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 사용 내역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저장영역(IC칩 또는 메모리 영역)에 탑재된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를 적용하는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저장영역(IC칩 또는 메모리 영역)에 거래 내역의 통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을 제공하는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결제 시, 결제 단말기(105)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 탑재된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단말기(105)에서 상기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번호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 사용 내역을 통보하는 경우, 상기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 내역을 제한적으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거래정보 통보 정책 정보는, 내역 통보 대상 카드 사용 금액 정보, 내역 통보 대상 카드 사용 횟수 정보, 내역 통보 대상 카드 사용 지역 또는 가맹점 정보, 내역 통보 대상 카드 사용 일자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번호 정보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이동전화 번호 및/또는 개인 단말기 코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에서 무선 단말기 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 단말기로 카드 사용 내역을 통보하는 수단은 SMS(Short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전자메일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에서 무선 단말기 정보를 근거로 상기 개인 단말기로 제공하는 카드 사용 내역은 카드 사용 가맹점 정보, 카드 사용 금액, 카드 사용 일시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본 실시예 따르면, 상기 서버는 확인 모듈 및 전송 모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서버 내의 확인 모듈은 결제 단말기(105)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또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추출된 무선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카드 거래 내역과 상기 저장매체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결제 정보(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 등)와 연계되는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 등을 확인(또는 추출)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 정보를 전송부로 제공하고, 상기 전송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정보를 근거로 상기 카드 거래 내역 및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전송 모듈은 상기 확인 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카드 거래 내역 및 쿠폰 및/또는 마일리지 등을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7은 본 발명에 따라 결제 단말기와 연동하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카드 내 메모리 구조에 대한 간단한 일 실시예도이다.
*본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단말기 정보와 거래 내역 통보 정책 정보가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형태로 클라이언트 카드 내 ICC(Integrated Circuit Chip)에 탑재되어 있는 카드 내 파일 구조에 대한 실시예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는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포함하는 ICC(Integrated Circuit Chip) 규격에 따르며, 상기 ICC(Integrated Circuit Chip)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산 처리 소자(예컨대, CPU(Central Process Unit), MPU(Micro Process Unit), 코프로세서(Coprocessor))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및 상기 연산 소자와 메모리 소자를 연결하는 버스(BUS)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카드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접촉식 및/또는 비접촉식 접점을 포함한다.
본 도면에 따르면 스마트 카드 응용 영역에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단말기 정보가 스마트 카드 저장 정보의 형태로 탑재되는 ICC(Integrated Circuit Chip) 메모리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ICC(Integrated Circuit Chip) 메모리 구조 내에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의 메모리에 상기 개인 단말기 정보가 탑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는 COS(Chip Operating System) 등의 운영체제 등을 탑재하고 있는 ROM(Read Only Memory)과 임시 데이터의 저장용으로 사용되거나, 스마트 카드 명령(Command)을 위해 카드 단말기로 전달되는 데이터 및 카드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위한 버퍼(Buffers)를 사용하기 위한 영역인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개인 단말기 정보가 탑재된 메모리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상기 COS(Chip Operating System),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은 별도 도시하지 않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개인 단말기 정보 및 거래 내역 통보 정책 정보가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형태로 상기 메모리에 탑재됨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기 정보는 스마트 카드 탑재 정보의 일반적인 계층적 구조(Tree Structure)에 따라 탑재된다.
그러나, 상기 개인 단말기 정보는 ROM 등에 포함되는 COS(Chip Operating System) 내부에 포함되는 시스템 명령어 및/또는 시스템 정보나, 또는 개방형 플랫폼의 카드 관리 프로그램(Card Manager)에 포함되는 카드 관리 명령어 및/또는 카드 관리 정보 등의 형태로도 탑재가 가능함을 밝힌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EEPROM 등)에 탑재되는 클라이언트의 카드 사용에 대한 거래 내역의 통보를 위한 근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정보 및 거래 내역 통보 정책 정보가 저장되는 스마트 카드 파일 구조는, 루트 파일(Root File)에 해당하는 하나의 마스터 파일(Master File; MF)과, 스마트 카드 서비스 및 응용에 따라 분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용 파일(Dedicate File; DF)과, 그리고 스마트 카드 서비스를 위한 자료 및/또는 정보 등이 저장되는 요소 파일(Element File; EF) 등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스마트 카드 파일 구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기 정보 및 거래 내역 통보 정책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용 파일(DF)(예컨대, 사용자 카드사용 용도 정의 정보 전용 파일 등) 및 상기 전용파일(DF)의 하부 디렉토리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파일(EF) 등의 기능적인 그룹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인 단말기 정보(EF)는 단말기를 통해 추출되어 상기 서버로 제공되며,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개인 단말기 정보를 근거로 카드 사용 가맹점 정보, 카드 사용 금액, 카드 사용 일시 등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 사용 내역을 상기 개인 단말기로 전달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통보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개인 단말기 정보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를 통해 추출되어 거래 트랜잭션 데이터(가맹점 정보, 상품 정보, 금액 정보, 거래 일시 정보 등)와 함께 상기 서버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거래 내역 통보 정책 정보(EF)는 상기 거래 내역을 상기 개인 단말기 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통보함에 있어서, 일종의 통보 옵션을 제공하는 기능을 함으로 상기 단말기를 통해 실행되거나 및/또는 상기 서버로 제공되어 실행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상기 거래 내역 통보 정책 정보(EF)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지정하는 거래 내역 통보에 대한 다양한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클라이언트가 특정 시간(24:00~06:00)에만 거래 내역을 통보하도록 상기 정책을 설정할 수 있고, 또는 특정 금액(500,000원) 이상의 카드 사용 결제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경우에 거래 내역을 통보하도록 상기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100 : 클라이언트 105 : 결제 단말장치
110 : 카드사 115 : VAN망
120 : 전화망

Claims (3)

  1.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에서 실행되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근거리에 존재하는 가맹점의 장치로부터 제공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수신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쿠폰 또는 포인트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쿠폰 또는 포인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 또는 포인트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가맹점의 장치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의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
KR1020130047728A 2013-04-29 2013-04-29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 KR20130065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728A KR20130065671A (ko) 2013-04-29 2013-04-29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728A KR20130065671A (ko) 2013-04-29 2013-04-29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984A Division KR20110100172A (ko) 2011-07-28 2011-07-28 쿠폰 또는 포인트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671A true KR20130065671A (ko) 2013-06-19

Family

ID=4886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728A KR20130065671A (ko) 2013-04-29 2013-04-29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56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3284A1 (en) * 2014-02-14 2015-08-20 Retailmenot, Inc. Event-based offers for a geofenced geographic are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3284A1 (en) * 2014-02-14 2015-08-20 Retailmenot, Inc. Event-based offers for a geofenced geographic are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03919A1 (en) Digital wallet system and method
US10922675B2 (en) Remote transaction system, method and point of sale terminal
US20180114221A1 (en) Secure payment
US9160416B2 (en) Contactless disablement
US20160057248A1 (en) State Management For Mobile Device Authentication
EP29451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temporary payment authorization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08886522B (zh) 为数据安全将多样化位置数据相关联的系统和方法
CN111886618B (zh) 数字访问代码
US102576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 activation
US11488163B2 (en) Dynamic application selection based on contextual data
KR20110100172A (ko) 쿠폰 또는 포인트 제공 방법
EP4020360A1 (en) Secure contactless credential exchange
KR20130065671A (ko) 일회용 인증코드를 이용한 쿠폰 또는 포인트 운영 방법
KR20120007563A (ko) 결제내역 제공 방법
KR20040083329A (ko) 결제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드 사용 고객 인증 방법
KR20080072811A (ko) 쿠폰(또는 포인트) 제공 방법
KR20130009727A (ko) 결제 내역 제공 방법
KR20120087815A (ko) 인증코드 제공 방법
KR20100046127A (ko) 모바일 쿠폰(또는 포인트) 중계서버
KR20080080468A (ko) 고객 인증 방법
KR20150124437A (ko) 호 연결을 이용한 본인 인증 시스템
US120039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rrelating diverse location data for data security
KR100852842B1 (ko) 스마트 카드 자동 갱신 방법 및 시스템
WO2018141488A1 (en) User authorization for cards and contactless payment devices
KR100629784B1 (ko) 스마트 카드 자동 갱신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