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5298A -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5298A
KR20130065298A KR1020110132100A KR20110132100A KR20130065298A KR 20130065298 A KR20130065298 A KR 20130065298A KR 1020110132100 A KR1020110132100 A KR 1020110132100A KR 20110132100 A KR20110132100 A KR 20110132100A KR 20130065298 A KR20130065298 A KR 20130065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culture
concentrated
treatmen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엔텍
Priority to KR1020110132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5298A/ko
Publication of KR20130065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346Controlling the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 및 유기성 폐수(축산 폐수, 분뇨), 즉 하수슬러지계통 및 분뇨. 축산처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고농도의 악취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하수처리장 등에서 발생되는 폐슬러지(잉여슬러지)를 이용하여 악취제거에 우수한 미생물을 배양함에 있어 농축기에 의하여 슬러지의 부피를 감소시켜 배양조로 공급함으로써 배양조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이로부터 배양조 이후의 각 처리설비의 부하는 물론 처리설비의 전체의 용량을 감소 시킬수 있으며, 농축배양 슬러지 자체가 단순한 잉여슬러지나 농축슬러지에 비하여 미생물 개체수 및 악취를 분해하는 미생물이 증가되므로 농축배양된 슬러지를 하수처리장 내 악취발생이 심한 생슬러지, 농축 및 소화 슬러지지를 비롯하여, 분뇨 또는 축산 연계처리시설 등의 고농도 악취 발생지점에 해당 미생물을 공급하여 악취를 근원적으로 저감하여 무악취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은전처리수단,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 후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은 생물반응조와, 제1 농축기와, 배양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농축기에 의하여 생성된 농축슬러지는 상기 배양조에서 배양되어 농축배양 슬러지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ODORLESS TREATMENT SYSTEM FOR SEWAGE USING CONCENTRATED AND CULTURED SLUDGE}
본 발명은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 및 유기성 폐수(축산 폐수, 분뇨), 즉 하수슬러지계통 및 분뇨 축산처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고농도의 악취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하수처리장 등에서 발생되는 폐슬러지(잉여슬러지)를 이용하여 악취제거에 우수한 미생물을 배양함에 있어
농축기에 의하여 슬러지의 부피를 감소시켜 배양조로 공급함으로써 배양조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이로부터 배양조 이후의 각 처리설비의 부하는 물론 처리설비의 전체의 용량을 감소 시킬수 있으며,
농축배양 슬러지 자체가 단순한 잉여슬러지나 농축슬러지에 비하여 미생물 개체수 및 악취를 분해하는 미생물이 증가되므로 농축배양된 슬러지를 하수처리장 내 악취발생이 심한 생슬러지, 농축 및 소화 슬러지지를 비롯하여, 분뇨 또는 축산 연계처리시설 등의 고농도 악취 발생지점에 해당 미생물을 공급하여 악취를 근원적으로 저감하여 무악취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하수 및 유기성 폐수(축산폐수, 분뇨 등) 처리물(슬러지, 탈수 케이크 등)의 약 68% 정도는 해양에 투기하고 있다.
그러나 런던협약의 '96의정서 발효(2006.03.24)에 대비하여 해양수산부에서는 해양배출기준을 대폭 강화하고 있으며, 2011년 2월부터는 실질적으로 해양투기가 금지된다.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신설 및 증설 등으로 2011년말(460 개소)에는 하수 슬러지 1일 발생량이 약 10,259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토양개량제나 시멘트 원료로 재활용하는 방안이나, 고화처리 또는 소각처리하는 경우에도 악취가 발생하여 큰 문제가 되고 처리에도 제약이 심하므로 하수 및 유기성 폐수 처리 과정에서 슬러지 케이크를 제조함에 있어 악취를 완전히 제거하는 방안이 시급하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10-1045028호(등록일자 2011년06월22일) [악취가 나지 않는 하폐수 슬러지 케이크의 제조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등록 특허는 슬러지 케이크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하폐수 처리시설에서 발생되는 생슬러지, 소화슬러지, 잉여슬러지, 폐슬러지 등의 각종 슬러지를 완벽하게 소화 처리하여 자연 흙의 상태로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슬러지케이크를 매립지 인근지역에서는 고화처리하여 복토재로 활용함은 물론 농촌지역에서의 퇴비화 처리, 생활폐기물소각장에 여유가 있는 지자체에서는 혼합소각처리, 시멘트 원료화 처리를 하는 등 완벽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는 하수처리장 탈수 케이크의 악취도를 조사하여 매립지 등으로 반입되는 하수슬러지 및 유기성 폐수 슬리지 케이크의 악취도에 따란 반입기준을 제시하여 슬러지 케이크의 악취 저감을 유도하고 이에 따른 주변 시설환경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하수처리장에서 탈수 케이크의 냄새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소요 시설 면적 축소나 단위 미생물 수 증가를 통한 처리효율 개선 등과 관련하여 개선의 여지가 더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축산 폐수, 분뇨), 즉 하수슬러지계통 및 분뇨. 축산처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고농도의 악취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하수처리장 등에서 발생되는 폐슬러지(잉여슬러지)를 이용하여 악취제거에 우수한 미생물을 배양함에 있어
농축기에 의하여 슬러지의 부피를 감소시켜 배양조로 공급함으로써 배양조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이로부터 배양조 이후의 각 처리설비의 부하는 물론 처리설비의 전체의 용량을 감소 시킬수 있으며,
농축배양 슬러지 자체가 단순한 잉여슬러지나 농축슬러지에 비하여 미생물 개체수 및 악취를 분해하는 미생물이 증가되므로 농축배양된 슬러지를 하수처리장 내 악취발생이 심한 생슬러지, 농축 및 소화 슬러지지를 비롯하여, 분뇨 또는 축산 연계처리시설 등의 고농도 악취 발생지점에 해당 미생물을 공급하여 악취를 근원적으로 저감하여 무악취화를 달성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농축배양 슬러지를 탈수작용을 통하여 케이크 형태로 제작하여 안정화시키고, 농축배양 슬러지의 부식화를 통하여 농축배양 슬러지의 이송, 운반 시 저장 과정에서 악취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어 농축배양 슬러지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에 슬러지의 처리, 즉 건조, 소각 또는 매립하거나, 또는 복토제 등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관련 규정에 의한 슬러지의 해양배출금지와, 매립지의 환경이나, 매립지 주민들의 반대 등에 따라 슬러지의 처리가 문제되었으나,
본 발명의 농축배양 슬러지 케이크는 냄새나, 이로 인한 악취 발생의 염려가 없어 슬러지의 처리 시 다양한 처리방법이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은 전처리수단,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 후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은 생물반응조와, 제1 농축기와, 배양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농축기에 의하여 생성된 농축슬러지는 상기 배양조에서 배양되어 농축배양 슬러지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에서 농축배양 슬러지는 생물반응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처리수단은 1차침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에서 농축배양 슬러지는 상기 1차침전지에서 배출되는 슬러지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처리수단에는 탈수케이크 생성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은 하수 및 유기성 폐수(축산 폐수, 분뇨), 즉 하수슬러지계통 및 분뇨. 축산처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고농도의 악취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하수처리장 등에서 발생되는 폐슬러지(잉여슬러지)를 이용하여 악취제거에 우수한 미생물을 배양함에 있어, 농축기에 의하여 슬러지의 부피를 감소시켜 배양조로 공급함으로써 배양조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이로부터 배양조 이후의 각 처리설비의 부하는 물론 처리설비의 전체의 용량을 감소 시킬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농축배양 슬러지 자체가 단순한 잉여슬러지나 농축슬러지에 비하여 미생물 개체수 및 악취를 분해하는 미생물이 증가되므로 농축배양된 슬러지를 하수처리장 내 악취발생이 심한 생슬러지, 농축 및 소화 슬러지지를 비롯하여, 분뇨 또는 축산 연계처리시설 등의 고농도 악취 발생지점에 해당 미생물을 공급하여 악취를 근원적으로 저감하여 무악취화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농축배양 슬러지를 탈수작용을 통하여 케이크 형태로 제작하여 안정화시키고, 농축배양 슬러지의 부식화를 통하여 농축배양 슬러지의 이송, 운반 시 저장 과정에서 악취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어 농축배양 슬러지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 슬러지의 처리, 즉 건조, 소각 또는 매립하거나, 또는 복토제 등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관련 규정에 의한 슬러지의 해양배출금지와, 매립지의 환경이나, 매립지 주민들의 반대 등에 따라 슬러지의 처리가 문제되었으나,
본 발명의 농축배양 슬러지 케이크는 냄새나, 이로 인한 악취 발생의 염려가 없어 슬러지의 처리 시 다양한 처리방법이나 활용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안정화시스템에 의하여 농축배양 슬러지 케이크의 제조 과정과,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을 나타내는 개통도,
도 5는 표 3에 의한 실험결과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처리수단의 각 처리조에 구비된 개폐도어를 위한 개폐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작동상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확대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은
전처리수단,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 후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은 생물반응조②와, 제1 농축기⑥와, 배양조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농축기⑥에 의하여 생성된 농축슬러지는 상기 배양조⑤에서 배양되어 농축배양 슬러지가 생성되며,
상기 제1 농축기⑥에 의하여 생성된 농축슬러지는 상기 배양조⑤에서 배양되어 농축배양 슬러지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의 다양한 구현례들이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서는 각 구현례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 제1 구현례로서
상기 전처리수단은 협잡물처리기⑪와 1차침전지①를 포함하고,
상기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은 농축배양 슬러지를 생성하기 위해 생물반응조②, 제1 농축기⑥, 배양조⑤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후처리수단은 상기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에 의하여 생슬러지가 침전되고, 하수를 처리하기 위한 여과기⑨와 소독기⑩가 구비된다.
즉 각종 하폐수 처리장에서 최초 유입되는 하수와, 유기성 폐수(축산폐수, 분뇨 등)가 차례로 협잡물처리기⑪, 1차침전지①, 생물반응조②, 2차침진지③, 제1 농축기⑥ 및 배양조⑤를 거쳐 농축배양 슬러지가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양조⑤에서 생성되는 농축배양 슬러지는 상기 1차침전지①에서 배출되는 슬러지가 슬러지혼합조⑭에서 혼합되고,
아울러 상기 후처리수단으로는 상기 슬러지혼합조⑭에서 혼합된 농축배양 슬러지를 탈수케이크 형태로 제작하기 위한 탈수케이크 생성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탈수케이크 생성수단으로는 탈수기⑦나, 여과 형태로 탈수작용을 유도하는 탈수여과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도입하여
상기 슬러지혼합조⑭로부터 공급되는 농측배양 슬러지를 탈수작용을 통하여 악취가 없고 안정화된 탈수케이크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2차침전지③에서 첨전된 슬러지 이외의 하수는 여과기⑨와 소독기⑩를 통하여 정화되고, 소독 처리되어 방류된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의 제2 구현례로,
도 1의 제1 구현례에서 생슬러지 이송라인에서 1차침전지①와 슬러지혼합조⑭ 사이에 제2 농축기⑥를 도입하여 생슬러지를 농축하고, 이렇게 농축된 생슬러지와 상기 배양조⑤를 거친 농축배양 슬러지가 슬러지혼합조⑭에서 혼합된다.
아울러 도 2의 제2 구현례에서는 도 1의 제1 구현례와 달리 상기 후처리수단으로 상기 슬러지혼합조⑭ 다음에 소화조④를 도입하고, 상기 소화조④를 거친 소화슬러지가 탈수기⑦로 이송되어 농축배양 슬러지 탈수케이크가 생산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제1 및 제2 농축기⑥는 각각 상기 배양조⑤, 또는 상기 슬러지혼합조⑭나, 또는 그 다음 처리공정인 소화조④, 탈수기⑦에 미치는 부화를 줄이기 위해 도입된 것이고,
상기 소화조④는 농축배양 슬러지에서 유기물의 함량을 줄이기 위해 혐기성 유기물을 소화작용을 통하여 분해하고, 악취를 제거하여 안정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농축기⑥와, 소화조④의 도입은 하수 및 유기성 폐수(축산폐수, 분뇨 등) 등의 유입량이나 오염원의 종류 등에 따라 선택되어 악취제거효율을 높여 보다 안정화된 탈수케이크가 생산하기 위함이다.
이상 도 1 및 도 2에서 제1 및 제2 구현례에서
상기 생물반응조② 및 배양조⑤는 특허 제0487582호(2005년04월26일) [하수 또는 유기성 폐수의 슬러지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을 비롯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다양한 특허의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에 기반한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물반응조②, 배양조⑤, 슬러지혼합조⑭ 및 소화조④에는 호기성 조건 및 교반 등을 위하여 다양한 공지의 산기관이 블로어(B)와 연결되어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처리수단은 방류 처리수, 각종 상징수, 탈수여액과 같은 액체, 즉 도 1 내지 도 4에서의 이차침전지③에서의 방류 처리수, 혐기성 소화조④에서의 소화상징수, 농축기⑥에서의 농축상징수, 탈수기⑦에서의 탈수여액, 여과기⑨ 및 소독기⑩에서의 여과여액이나 이나 생물반응조②나 배양조⑤ 등에서 포집된 기체를 무취화 처리하여 보다 쾌적하고 위생적인 하폐수 처리시설 환경 구현 및 혐오시설 인식 불식을 위해 자외선처리수단(자외선램프)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양조⑤에는 지상형 또는 수정형 배양기가 설치되어 토양미생물이 배양ㆍ증식에 필요한 최적의 토양에서와 같은 환경조건을 만들어 주어 슬러지에서 발생되는 악취 물질을 제거하고 슬러지를 안정화, 안전화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배양조⑤에 구비된 배양기에는 충진물이 내부에 충진되는데,
이 충진물은 토양, 부식토, 토양성 미생물작용에 의해 처리된 슬러지 결정체로 구성되어 부정형의 괴상, 원통형, 구형 등으로 압축된 펠렛(pellet)과 규산질의 경석, 제올라이트 또는 맥반석 계통의 쇄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양기 내 충진물은 토양미생물이 자연상태의 토양과 같은 환경조건을 만들어 주는 기능을 하고,
이 과정에서 배양ㆍ증식된 토양미생물은 바실러스(Bacillus), 티오바실러스(Thiobacillus), 슈도모나스(Pseudomonas), 마이크로코쿠스(Micrococcus),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애로모나스(Aeromonas) 등이 우점화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된 슬러지는 물과의 분리성이 좋아 탈수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탈수시 응집제 첨가량은 종래 기술보다 상당량 감소되거나 첨가하지 아니하여도 탈수성능이 좋다.
특히 유기물(유기수용액 및 함수성 유기혼합물)은 페놀(phenol) 및 페놀(phenol)노출기가 있는 화합물을 포함한 미생물 대사산물을 첨가하는 것에 의하여 급속히 결합, 입자화, 응집, 축합, 중합하고, 거대분자화, 괴상산물화 한다.
여기에 활성화된 규산분을 다량으로 가진 물질이 적당량 첨가되면 부식화를 위한 중축합반응을 일으키게 되므로 침강성이 상당히 뛰어나 처리효율이 매우 높게 된다.
일반적인 처리장의 농축조에서 농축될 경우에는 함수율이 99.2%에서 97%로 떨어지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99.2%에서 95%으로 침강성이 상당히 양호하고, 생성오니는 산화, 이화, 동화 및 분해공정이 아닌 축중합 및 고분자화되어 부식토화 되기 때문에 부패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탈수오니는 인, 질소의 함량이 증가되어 있으므로 건조하면 토양개량제로 사용이 가능하여 토양의 지력증강과 토양미생물의 먹이 목적 등으로 토양환원이 가능하고,
소각할 경우에도 함수비 차이만큼의 연료비가 절감되어 유기 고분자 응집제로 인한 소각효율 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양조⑤에서의 용존산소농도는 0.3 내지 0.5㎎/ℓ의 통성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미생물농도는 4,000 내지 8,000㎎/ℓ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양조⑤ 내에서 상기한 통성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통상의 송풍기로 대기 중 공기를 배양조 내로 불어 넣어주며, 송풍기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통상의 산기기가 배양조 내에 설치된다.
또한 유입되는 슬러지의 산소 소모율이 낮아질 경우에는 용존산소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의 통성 상태 유지를 위하여 송풍기의 가동정지가 불가피해지는데,
배양조 내에 슬러지 침강에 의한 고액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양조 내부를 교반시켜주는 교반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양조⑤ 내의 pH는 통상의 생물학적 처리 조건인 pH 6∼8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배양조 내에서 슬러지가 체류하는 시간은 1.5 내지 2일이며,
본래 미생물은 자기 이외의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특히, 항균성 미생물 대사산물의 배설물을 통하여 그 종족 이외의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성을 갖고 토양성세균군 이외의 미생물에 대해서의 항균성은 가장 현저하게 활동한다.
Penicillin, Streptomycin, Loygomycin 등의 항생물질은 단일의 항균성을 그 미생물을 사용하여 배양강화시킨 것으로서
지구상의 인류 등 토양균군과 공서(共棲)하는 미생물 총체로서의 항균성은 폭 넓게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토양성세균군이 갖고 있는 항균성은 대단히 폭이 넓고, 모든 고등동물이 항균성을 갖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하겠으며,
이러한 항균성 때문에 소독약품의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토양성 미생물균군을 배양시키는 것이므로, 종균제를 전혀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여기에서 상당량의 약품량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배양 슬러지 케이크를 이용한 하폐수 악취처리장치를 거쳐 생성되는 농축배양 슬러지 탈수케이크는 부식(부식은 동식물 사체 등의 유기물질이 토양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분해, 합성을 반복하여 중축합으로 인해 생기는 갈색 또는 흑갈색의 무정형 고분자 물질)화되어 통상의 흙과 같은 냄새만 나고 악취 원인 물질은 제거된다.
한편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의 제3 구현례로서 하수의 잉여슬러지와, 유기성 폐수(죽산폐수, 분뇨 등)가 유입되는 경우이며,
상기 전처리수단으로 잉여슬러지를 농축시키기 위한 제2 농축기⑥와, 유기성 폐수가 유입되는 협잡물처리기⑪가 구비되며,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으로는 제2 농축기⑥에 의하여 농축된 잉여슬러지가 이송되는 배양조⑤와,
상기 협잡물처리기⑪를 거친 유기성 폐수가 차례로 제1 저류조⑫, 미세스크린⑧, 제2 저류조⑬, 생물반응조② 및 2차침전지③를 거치게 된다.
아울러 후처리수단으로는 2차침전지③의 침전지의 하수는 하수연계 및 방류시키고,
상기 2차침전지③에서 침전된 활성잉여슬러지의 일부는 배출되며, 일부는 상기 제2 저류조⑬나, 또는 생물반응조②로 반송슬러지 이송라인을 통하여 반송된다.
한편 상기 배양조⑤에서 배양된 잉여슬러지 중 일부는 상기 제1 저류조⑫ 또는 제2 저류조⑬로 이송되고, 일부는 상기 협잡물처리기⑪로 이송되어 처리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의 제4 구현례로서,
도 3의 제3 구현례에서 하수 잉여슬러지의 공급이 없는 경우로서 각종 하폐수 처리장에서 최초 유입되는 하수와, 유기성 폐수(축산폐수, 분뇨 등)가 차례로 협잡물처리기⑪, 제1 저류조⑫, 미세스크린⑧, 제2 저류조⑬, 생물반응조② 및 2차침전지③를 거쳐 처리되는 과정이다.
이 경우 2차침전지③의 하수는 하수연계 및 방류되고, 상기 2차침전지③에서 침전된 활성잉여슬러지의 일부는 배출되며, 일부는 반송슬러지 이송라인을 통하여 생물반응조②로 반송되는데,
이때 상기 반송슬러지 이송라인을 통하여 이송되는 침전된 슬러지는 제1 농축기⑥와, 배양조⑤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양조에⑤서 배양된 배양슬러지는 상기 제1 저류조⑫나, 제2 저류조⑬로 이송되거나, 또는 상기 협잡물처리기⑪로 이송된다.
즉 상기 도 3의 제3 구현례는 잉여슬러지를 농축시켜 배양조⑤로 별도로 공급하는 경우이고,
도 4의 제4 구현례는 2차침전지③에서 침전된 잉여슬러지를 반송슬러지 이송라인을 통하여 농축시켜 배양조⑤로 공급하는 경우로서
이러한 차이는 하수 및 유기성 폐수(축산폐수, 분뇨 등) 등의 유입량이나 오염원의 종류 등에 따라 선택되어 악취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양조⑤, 각 저류조⑫⑬, 생물반응조②에는 호기성 조건 및 교반 등을 위하여 다양한 공지의 산기관이 블로어(B)와 연결되어 배열되는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미세스크린⑧은 제1 저류조⑫를 거친 일정 이상의 부피를 갖는 협잡물을 여과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처리과정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의 제1 구현례 내지 제4 구현례에서 상기 협잡물처리기⑪, 1차침전지①, 제1 저류조⑫ 등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기성가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각 구현례에는 바이오필터⑮가 구비되어 유해가스를 정화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배양 슬러지 케이크 이용한 하폐수 악취처리시스템에 의하여 생성된 농축배양 슬러지에 의한 악취저감율과 미생물 개체수를 측정하기 위해 악취가 발생하는 분뇨에 일반 배양슬러지와, 본 발명에 따른 농축배양 슬러지를 일정량 혼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표 1은 배양슬러지는 3개의 실험조(Lab)에서의 혼합한 조건을 나타내고, 표 2는 배양실험 조건을 나타내고 있다.
구분 배양슬러지 농축배양 슬러지 분뇨슬러지 비고
Lab. 1 ~ 0.3Q 1Q
Lab. 2 ~ 0.4Q 1Q
Lab. 3 1Q ~ 1Q
구분 온도(℃) MLSS(mg/L) DO(mg/L) 비고
분뇨 22.6 ~ 0.89
농축배양 슬러지 23.1 27,000 2.84
배양슬러지 22.8 8,500 2.95
표 3은 각 실험조에서의 악취분석 결과를 나타내고, 도 5는 악취분석 결과를 정량적으로 표시한 그래프이다.
구분 암모니아(mg/L) 황화수소(mg/L) 복합악취 비고
배출기준 1.0 0.02 500
분뇨 9.77 15.38 669
Lab. 1 농축배양 슬러지(0.3Q) 0.15 N.D 10
Lab. 2 농축배양 슬러지(0.4Q) 0.16 0.01 14
Lab. 3 일반배양슬러지(1.0Q) 0.20 N.D 14
표 4는 잉여슬러지, 농축슬러지, 농축배양 슬러지의 미생물 개체수를 측정하기 위해 도말희석법에 의하여 균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미생물 개체수 비고
잉여슬러지 3.03×106 CFU/ml
농축슬러지 1.42×107 CFU/ml
농축배양 슬러지 2.02×107 CFU/ml
결론적으로 분뇨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배양슬러지와 반응시킨 결과 농축배양 슬러지 0.3Q(m3/day)를 주입시킨 경우 암모니아 98.5%, 황화수소 100%, 복합악취 98.5%을 제거율을 보였고, 0.4Q를 주입시킨 경우 암모니아 97.7%, 황화수소 99.9%, 복합악취 98.0%의 제거율을 보였다.
반면 일반 배양슬러지 1Q를 주입시킨 경우 암모니아 98.0%, 황화수소 100%, 복합악취 98.5%의 제거율을 보였다.
또한 악취를 제거하는 토양미생물의 증식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공정별 미생물의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잉여슬러지의 생균수는 3.03×106 CFU/ml, 농축슬러지의 생균수는 1.42×107 CFU/ml, 농축배양 슬러지의 생균수는 2.04×107 CFU/ml로 잉여슬러지에서 농축된 생균수는 4.68배 증가하였으며, 농축슬리지를 배양한 농축배양 슬러지의 양은 농축슬러지보다 1.4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 농축배양 슬러지와 일반 배양슬러지 모두 배출기준 이하의 악취를 제거시켰으며, 생균수의 측정결과 농축배양 슬러지에서 배양된 토양미생물들이 개체수 증식 후 활성화되어 악취를 제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악취가 발생하는 분뇨에 농축된 배양슬러지를 일정량 혼합하는 공정은 악취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실험결과는 HRT, 농축농도 등 여러 조건에 따라 실험을 통한 최적의 악취제거 공정을 도출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악취처리시스템에서 각 처리수단에는 슬러지를 생물학적 반응, 배양, 저류, 소화, 농축, 탈수, 여과 등의 공정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조 또는 하우징(이하 '처리조'라 함.)이 구비되고,
이를 위한 각 처리조(10)에는 배양조, 생물반응조, 저류조, 소화조, 농축기, 탈수기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처리조(10)에는 개폐도어(20)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도어(20)의 주변에는 테두리부(30)가 형성되되,
상기 개폐도어(20)와 테두리부(30)에는 상기 개폐도어(20)를 여닫기 위한 개폐수단(40)이 더 구비된다.
우선 상기 개폐도어(20)에는 손잡이(21)가 구비되어 각 처리조(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어 있고,
또한 상기 테두리부(30) 내측부를 따라 안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장착부에는 밀폐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개폐도어(20)가 닫히는 경우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수단(40)은 상기 개폐도어(2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단부에 걸림편(41b)이 형성된 선회부재(74)와, 상기 선회부재(41)가 삽입되는 관통공(43a)(하기 이탈방지편(44)에 연장되어 형성됨.)이 형성되고, 양측부에 파지부(43b)가 구비된 가압부재(43)와, 상기 선회부재(41)를 감싸고, 상기 걸림편(41b)과 상기 가압부재(43) 사이에 배열된 탄성부재(45)와, 상기 테두리부(30)에 연결되고, 상기 선회부재(41)가 삽입되는 안내홈(47a)을 갖는 지지부재(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선회부재(41)는 상기 개폐수단(40)이 잠긴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선회부재(41)의 우측단부에는 힌지결합부(71a)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도어(20)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선회부재(41)의 좌측단부에는 상기 걸림편(41b)이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재(47)는 상기 테두리부(30)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선회부재(41)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즉 상기 개폐수단(40)은 작업자가 상기 가압부재(43)의 파지부(43b)를 잡아당기면서 상기 선회부재(41)를 좌측방향(도 7의 'L'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선회부재(41)가 상기 안내홈(47a)을 삽입한 후,
상기 가압부재(43)에서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45)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재(43)가 우측방향(도 7의 'R'방향)으로 밀려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재(47)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도어(20)가 잠기게 된다.
반대로 상기 개폐도어(20)가 잠긴상태에서 상기 개폐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해선 작업자가 상기 가압부재(43)의 파지부(43b)를 잡아 당기면서 상기 선회부재(41)를 우측방향(R)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선회부재(41)가 상기 안내홈(47a)으로부터 배출되어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개폐도어(20)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각 처리조(10)의 가동 또는 운전 중에 흔들림이나 진동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개폐도어(20)가 상기 개폐수단(40)에 의하여 잠긴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43)의 가압에도 불구하고,
상기 선회부재(41)가 상기 안내홈(47a)으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47)와, 상기 가압부재(43)에 상호 대응하도록 이탈방지공(48)과, 이탈방지편(44)을 도입하기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공(48)은 상기 지지부재(47)에서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47a)과 어이져 공간이 확장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편(44)은 상기 가압부재(43)의 일측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도어(20)를 잠그기 위해 상기 선회부재(41)를 좌측방향(L)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가압부재(43)에서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재(43)가 탄성부재(45)에 의하여 우측방향(R)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이탈방지편(44)이 상기 이탈방지공(48)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공(48)의 내경(ID)과, 상기 이탈방지편(44)의 외경(OD)은 각각 상기 안내홈(47a)의 폭(W)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탈방지편(44)이 이탈방지공(48)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가압부재(43)를 좌측방향(L)으로 당겨 이탈방지편(44)을 이탈방지공(48)에서 배출시키기 않는 한,
상기 선회부재(41)가 처리조(10)의 가동이나 운전 중에 발생하는 흔들림이나 진동에 의하여 스스로 상기 안내홈(47a)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는 상기 이탈방지편(44)이 높이를 일정 이상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선회부재(41)가 안내홈(47a)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이탈방지편의 형상은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상기 이탈방지편이 상기 이탈방지공에 삽입 된 후, 유격이 발생하여 이탈방지편이 유동하거나, 또는 이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이탈방지편의 하부 부분의 외경은 상기 이탈방지공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이탈방지편이 이탈방지공에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반면에 상기 이탈방지편의 상단 부분의 외경은 상기 이탈방지공의 내경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이탈방지편이 이탈방지공에 삽입된 후,
상기 이탈방지편의 상단 부분이 상기 이탈방지공에 억지끼워져 유격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탈방지편의 유동과, 이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물반응조 또는 배양조에는 지상형 또는 수중형 반응기 또는 배양기가 구비되는데,
특히 상기 수중형 반응기 또는 배양기(이하 '반응기'라 함.)는 물이 담긴 처리조 내부에 배열되고, 이 경우 상기 반응기는 각 처리조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 장착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반응조를 처리조 내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 고정시키고, 또한 반응기의 유지보수 시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도입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장치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는
일측 또는 양측이 개방되고, 내측에 장착부(111)가 구비된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장착부(111)에 배열되는 여과카트리지(120); 상기 본체(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131)과, 상기 프레임(131)과 연결되고, 비(非)돌출형 망체(133)를 포함하는 서비스도어(130); 상기 본체(110)와 상기 서비스도어(130)의 프레임(131)에 형성된 잠금수단(140); 및 상기 잠금수단(140)과 상기 처리조 벽면(TW)에 상기 서비스도어(130)의 개방 시, 서비스도어(1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에서, 상기 본체(110)는
여과카트리지(120), 서비스도어(130), 잠금수단(140) 및 고정수단(150)이 장착되고, 처리조 벽면(TW)에 고정된다.
상기 본체(110)는 장방형 형태의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측면부는 개방된 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제외한 각 면은 메쉬 형태의 망체로 구성되어 슬러지나 하수가 소통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장착부(111)가 구비되어 여과카트리지(120)가 장착되며,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테두리부(113)가 형성되어 완충수단(160)의 대응삽입부(165)가 형성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에서, 상기 여과카트리지(12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배열되어 유입되는 슬러지나, 하수에서 악취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여과카트리지(120)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 또는 활성 알루미나 등을 이용하여 카트리지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110)의 장착부(111)에 장착 고정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보다 높은 처리효율을 위하여 슬러지 성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여과제가 구비된 복수의 여과카트리지가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에서, 상기 서비스도어(130)는
상기 본체(110)의 양측면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본체(110)에 내장된 여과카트리지(120)의 교체나, 여과제의 보충 등과 같은 유지관리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도어(130)는 상기 본체(110)와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131)과, 상기 프레임(131)에 장착되는 메쉬 형태의 망체(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프레임(110)은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지고, 단면 형상이 'ㄴ'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도어(130)의 프레임(131) 후방 외측면과 상기 본체(110)의 후면 외측면은 복수의 경첩(H)이나, 이와 유사한 형태의 힌지 결합구에 의하여 연결되어 서비스도어의 개폐를 위한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망체(133)는 상기 프레임(131)의 내측면에 전면의 가장자리 부분이 맞대어지고, 상기 망체(133)와 상기 프레임(131)의 맞대어진 부분에 쫄대(135)를 덧댄 후,
상기 프레임(131), 망체(133) 및 쫄대(135)를 결합핀(137)이나 리벳팅을 하여 상기 프레임(131)에 망체(133)를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비스도어(130)의 프레임(131)과,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테두리부(113)에는 완충수단(16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완충수단(160)은 상기 서비스도어(130)를 닫는 경우 상기 서비스도어(130)의 프레임(131)과 상기 본체(110)의 테두리부(113)가 충돌하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으로 인한 파손이나 손상, 소음 등의 발생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완충수단(160)은 상기 프레임(131)에 내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탄성부재(161)와, 상기 탄성부재(161)의 내측 또는 외측, 또는 이들 모두의 둘레면에 형성된 삽입부(163)와, 상기 본체(110)의 테두리부(113)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63)에 상응하는 대응삽입부(1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61)는 고무, 엘라스토머 또는 이와 유사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163)는 상기 탄성부재(161)의 내외측 둘레면에 삽입홈(163a)으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홈(163a)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수용돌출부(163b)가 배열되고,
상기 대응삽입부(165)는 상기 테두리부(113)에 'ㄴ' 형태로 절곡된 삽입돌기(165a)와, 상기 삽입돌기(165a)의 후면부와 상기 테두리부(113)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홈(165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도어(130)를 닫는 경우 전방에 위치하는 수용돌출부(163b)가 상기 삽입돌기(165a)를 타고 넘게 되면, 상기 삽입홈(163a)에는 삽입돌기(165a)가 안치됨과 동시에, 상기 수용돌출부(163b)는 상기 수용홈(165b)에 안치됨으로써
상기 완충수단은 충격 흡수 뿐만 아니라, 서비스도어가 닫히는 경우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에서, 상기 잠금수단(140)은
상기 본체(110)와 서비스도어(130)를 잠그거나, 또는 잠금을 해제하여 서비스도어(130)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잠금수단(140)은 상기 서비스도어(130)의 프레임(131) 전방부에 연결되고, 선회 가능한 지지체(141)와, 상기 지지체(141)에 힌지 결합된 제1 걸쇠(143)와, 상기 본체(11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걸쇠(143)에 대응하는 제2 걸쇠(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잠금수단(140)은 서비스도어(13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141)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걸쇠(143)와 상기 제2 걸쇠(145)를 상호 맞물리게 하여 상기 지지체(141)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 걸쇠(143)가 상기 제2 걸쇠(145)를 당기게 되고,
이때 상기 지지체(141)가 완전히 접혀지면서 상기 서비스도어(130)가 잠기게 된다.
반대로 상기 서비스도어(13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완전히 접혀진 지지체(141)를 다시 반대 쪽으로 접히게 되면 상기 제1 걸쇠(143)와 제2 걸쇠(145)가 분리되어 잠금 상태가 해제 된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도어(130)는 상기 잠금수단(140)에 의하여 원터치로 쉽고 간편하게 열리면서도, 또한 잠금 상태에서 일정한 압력을 가압하여 상기 탄성부재(161)와 테두리부(113)의 밀착성을 배가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에서, 상기 고정수단(150)은
반응기의 유지 및 관리 등을 위한 작업을 위하여 서비스도어(130)가 개방된 경우 서비스도어(130)가 고정되지 않고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처리조의 벽면(TW)에 연결되고, 상기 잠금수단(14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되는 유동방지부재(151)와, 상기 유동방지부재(151)의 단부에 연결된 걸고리(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걸고리(153)는 상기 잠금수단(140)에서 상기 서비스도어(130)의 프레임(131)에 구비된 제1 걸쇠(143)의 후크 부분에 걸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첨부된 도면에는 상기 걸고리(153)가 상기 제1 걸쇠(143)에 걸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잠금수단의 지지체나, 또는 상기 제1 걸쇠에 일정한 탄성을 갖는 부재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유동방지부재가 일정한 탄성을 갖는 부재를 도입하여
상기 서비스도어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후에 탄성과, 유격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서비스도어(130)를 개방한 상태에서 반응기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한 보수 작업을 하는 경우 상기 걸고리(153)를 상기 제1 걸쇠(143)에 걸어 상기 서비스도어(13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지 및 관리를 위한 보수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이에 의하여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본체(110)와 상기 처리조의 벽면(TW)에는 본체(110)를 처리조 벽면(TW)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재(170)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결합부재(170)는 상기 본체(110)의 위치를 처리조 벽면(TW)의 형상에 따라 조절가능하게 하는 위치조절수단(PM)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결합부재(170)는 상기 본체(110)의 후면 외측면에 연결되는 제1 결합부재(171)와, 상기 처리조의 벽면(TW)에 연결되는 제2 결합부재(173)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171)(173)를 연결하는 매개부재(17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171)(173)와, 상기 매개부재(175)는 모두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매개부재(175)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171)(173)가 상호간에 삽입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매개부재(175)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171)(173)가 됨으로써 상기 처리조의 벽면(TW)에 상기 본체(11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171)(173)와, 상기 매개부재(175)에는 상호간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위치조절공(177)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171)(173)와 상기 매개부재(175)는 핀이나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179)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조절공(177)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171)(173)와 상기 매개부재(175)를 결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위치조절수단(PM)이 도입된 이유는 일반적으로 처리조의 벽면(TW)은 수직면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일정한 곡선을 갖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처리조의 벽면(TW)의 대응하여 반응기를 보다 유연하게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일정한 사이즈를 갖는 반응기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본체(110)는 처리조의 벽면(TW)의 상부 부분에 고정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상기 위치조절수단(PM)은 상기 처리조의 벽면(TW)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171)(173)와, 매개부재(175)를 이용하여 본체(110)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반응기의 설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매개부재(175)와 상기 제1 결합부재(171) 또는 제2 결합부재(173)간의 결합길이를 조절하여 본체(11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조절된 위치에서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된 위치조절공(177)에 체결부재(179)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함으로써 본체(110)의 위치조절과, 고정을 위한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171)(173)와, 상기 매개부재(175)간의 각 인접 단부에는 라운딩부(R)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라운딩부(R)는 처리조의 벽면(TW)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부재(171) 또는 제2 결합부재(173), 또는 이들 모두와 매개부재(175)간의 연결 부위를 일정한 각도로 절곡하여야 하는 경우 각 절곡 부위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110)와 상기 처리조의 하면부(TB)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기 위해 상기 본체(110)를 지탱하기 위한 지지수단(19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지지수단(190)은 상기 본체(110)의 하부 부분에 형성된 제1 지지부재(191)와,
처리조의 하면부(TB)에 구비되는 제2 지지부재(1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1 지지부재(191)는 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193)는 볼트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에 볼트를 일정 부분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의 헤드부를 처리조의 하면부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볼트의 헤드부의 면적을 넓혀 처리조의 하면부에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부재(170)에는 상기 본체(110) 또는 상기 처리조의 벽면(TW)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는 보강부재(18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보강부재(180)는 상기 결합부재, 특히 상기 제1 결합부재(171)는 상기 본체(110)의 후면부 외측면에 연결되는데,
이 경우 반응기는 일정 이상을 무게를 갖기 때문에 상기 제1 결합부재(171)와 본체(110)의 결합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와 상기 제1 결합부재(171)의 사이에 강판이나 이와 유사한 정도의 강성을 갖는 부강부재(180)를 덧댄 상태에서 본체(110)와 제1 결합부재(171)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본체(110)와 결합부재(170)와의 결합 부위에서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재와 상기 터넉 벽면 사이에 덧대어 상기 제2 결합부재와 처리조 벽면간의 결합 부위에서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물반응조, 배양조, 슬러지혼합조 등과 같은 처리조에는 배관이 연결되어, 폐수와 슬러지, 또는 처리된 슬러지가 이송되고,
상기 배관상에는 펌프가 연결되어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펌프에는 무선 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펌프를 on/off시켜 작동을 개폐하게 되는데,
상기 무선 스위치는 영구자석, 자로를 형성하는 자성체 패널, 상기 자성체 패널에 구비된 유도코일, 상기 영구자석과 상기 자성체패널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를 움직여 전기를 생성시켜 조명램프 또는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 on/off 신호를 발하는 상기 대체작동부를 작동시키도록 시소운동을 하는 작동패널을 포함하는 자가발전기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 스위치는 도 10 내지 도 13에서 그 구체 구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핵심은 전력 작동 구성요소의 보다 완벽한 무선 제어를 위한 자가발전기와 관련된 도면이다.
이러한 자가발전기(100)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0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좌우를 나눈다.
전원 요소의 on/off 제어를 무선 자가전원 방식으로 하기 위한 스위치의 개발은 오래전부터 제안되어 왔으며, 영구자석과 유도코일을 이용한 소형 자가발전기는 그 보다 훨씬 오래된 기술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특허공개 제2004-0031713호(2004년04월13일) [자력발전 스위치 구동시스템], 특허공개 제2004-0036734호(2004년04월30일) [스위치 자기장치], 특허 제0862175호(2008년10월01일) [완화된 영구 자석 정렬 조건을 가지는 마이크로-마그네틱래칭 스위치], 특허공개 제2009-0113941호(2009년11월03일) [전등기구 점ㆍ소등 원격조정장치] 등이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이유로 시장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활발하게 일상생활에까지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에 도입할 수 있도록 스위치에 적용할 수 있는 자가발전기를 현실성 있게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위치에 적용되는 자가발전기는 이송펌프나 조명램프 등의 전기 작동 구성요소의 on/off 제어를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10에서, 스위치(60)의 케이스(61)에 통상의 램프점멸패널과 같은 시소운동을 하는 액추에이터 타입의 작동패널(170)을 도입하고, 케이스(61)의 장착요홈(65)에는 자가발전기의 요부가 특히 억지끼움 방식으로 수용된다.
상기 케이스(61)는 하나의 작동패널(170)만을 위한 구조 및 크기를 갖지만,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작동패널을 위한 구조 및 크기를 갖도록 변형하는 것은 당업자가 본 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변형 적용할 수 있는 사항에 해당한다.
또 케이스(61)의 둘레에는 작동패널(170)의 동작에 따라 무선 제어신호를 발하는 와이어 타입 안테나(183)를 위한 결합홈(67)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0([A]는 결합사시도, [B]는 분해사시도) 및 도 11을 살펴 보면, 스위치(60) 케이스(61)의 장착요홈(65)에 안치되는 자가발전기(100)는
하우징(100A)에 내장되어 있는데, 상기 하우징(100A)은 바디(101)와 커버(10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01)에는 [영구자석(110)-자성체패널(120)-유도코일(130)-구동부재(140)-중계부재(150)-PCB(180)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안착부(101B)가 구비되어 있고,
작동패널(170)의 시소 동작을 구동부재(140)로 전달하는 중계부재(150)의 스윙축(151)이 결합되는 축장착부(10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바디(101)의 안착부(101B) 저면에는 보빈(133) 하부에 돌출된 고정돌기(133a)가 결합되는 고정공(101C)이 2개 형성되어 있어, [자성체패널(120)-유도코일(130)-구동부재(140)-PCB(180) 어셈블리]의 안착고정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103)에는 연결편(103a)으로부터 복귀 탄성을 제공받는 가압편(103A)이 구비되어 있어,
시소 스윙동작을 하는 작동패널(170)의 압력이 가압돌기(171)를 통하여 가압편(103A)으로 전달되고, 이어 엘라스토머 소재의 완충패드(105)의 가압점(105A)이 연동하여 PCB(180)에 실장된 센서(181)로 전달되고 유도코일(130)의 단부(131)에서 전달되는 전력에 의하여 외부로 제어신호(이송펌프(20)나 조명램프 등의 on/off)를 발할 수 있다.
또 상기 작동패널(170)은 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는데,
그 방식은 커버(103)의 양 끼움공(103B) 중앙에 구비된 끼움축(103b)에 작동패널(170) 하부의 축돌기(173)가 축홈(173c)을 통하여 결합됨으로 가능하다.
각종 소자가 실장된 PCB(180)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에 작동패널(170)이 시소운동을 함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과 가압위치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발하기 위한 센서(18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PCB(180)의 상부에는 커버(103)의 가압편(103A)을 통하여 전달되는 작동패널(170)의 압력을 완충하여 센서에 전달하여 센서를 보호하고 정확한 센서(181)의 가압이 가능하도록 해당 위치에 가압점(105A)을 갖는 완충패드(105)가 덮인다.
또 상기 PCB(180)의 하부에는 보빈(133) 상부로 연장 돌출된 유도코일(130)의 단부(131)를 통하여 솔더링 결합된 [자성체패널(120)-유도코일(130)-보빈(133)-구동부재(140) 어셈블리]가 마운트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A)의 바디(101) 안착부(101B)에 고정된 영구자석(110), 특히 상하 보조패널(113) 사이에는 자성체패널(120)(통상 자가발전기에서는 자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전통적인 소재 특성으로 부터 '철심'으로 지칭하기도 한다)의 양단 접촉부(121)가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영구자석(110)과 상기 자성체패널(120)의 상대적인 위치 변동에 따라 전력은 유도코일(130)로 전달되는데,
도 11 및 도 12에서는 자성체패널(120)을 움직이는 방식을 취하고 있고, 도 9에서는 영구자석(110)을 움직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도 12에서, 'ㄷ'자 유사 형상의 자성체패널(120)은 보빈(133)의 유동공(133A)(도 12의 우측 중앙 일점 쇄선 원내 정면도에서 투시개념으로 은선으로 표시함)에 끼워져 움직이는데, 상기 자성체패널(120) 일측(도 12에서는 좌측)에 리벳핀(141)을 통하여 체결된 구동부재(140)가 구비된다(상기 구동부재는 자로 기능의 강화와 강도보장 등을 위하여 베릴륨동(BeCu) 패널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재(140)의 단부는 또 상기 작동패널(170)의 가압력이 균일하게 상기 구동부재(140)로 전달되도록 하는 중계부재(150)의 연동부(153)와 접촉되고,
상기 두 중계부재(150) 각각의 두 스윙축(151)은 상기 하우징(100A)의 바디(101) 양측벽의 축장착부(101A)에 각각 결합되며,
각 중계부재(150)의 좌우 외측이 피가압부(155)를 이루어 작동패널(170)의 양단 하면에 의하여 가압되므로 중계부재(150)가 스윙축(151)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을 하고,
두 중계부재(150) 내측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연동부(153)를 형성하고, 이 연동부에 상기 구동부재(140)의 단부가 배열된다.
특히 두 중계부재(150) 연동부(153) 단부가 동일하게 승하강 하지 않으므로,
하나의 중계부재(150) 연동부(153)에만 구동부재(140)의 단부가 끼워지는 슬릿(153A)이 형성되어 있다(도 11 [A]의 좌하부 일점 쇄선 원 내 측면도 참조).
이 중계부재(150)의 다른 연동부(153)는 도 11 [A]의 우하부 일점 쇄선 원내 측면도와 같은 형상을 갖고,
다른 중계부재(150)의 두 연동부(153)는 모두 도 11 [A]의 우하부 일점 쇄선 원내 측면도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또 상기 중계부재의 복귀를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을 도입하여 반복된 작동패널(170)의 누름 동작만으로도 이송펌프(20)나 조명램프 등의 on/off를 위한 무선 제어신호를 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귀수단(160)은 도 1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A)의 커버(103)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03C)에 안착된 코일스프링(161)과 코일스프링 하단부에 결합되는 캡(163)으로 이루어진다.
이 코일스프링(161) 하단부에 결합된 캡(163)은 동일한 형상(슬릿(153A)이 형성되지 않은 쪽)을 갖고 마주보는 두 중계부재(150)의 연동부(153)를 가압하므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면 항상 중계부재(150)가 최초 가압 전 상태로 복귀하므로
일 중계부재(150)의 연동부(153) 슬릿(153A)에 결합된 구동부재(140)와 연결된 자성체패널(120) 역시 영구자석(110)의 N극 또는 S극의 자력과 무관하게 일정 위치에 머물게 된다.
도 11 및 도 12면에서, 상기 자성체패널(120)의 접촉부(121)는 가압 방향에 따라 영구자석(110)의 N극 또는 S극에 부착(정확하게는 자석본체(111) 상하면에 구비된 상부 또는 하부 보조패널(113)에 부착)되는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복귀수단(160)에 의하여 상기 자성체패널(120)의 접촉부(121)는 상하 보조패널(113)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영구자석(110)은 제조용이성, 조립성과 함께 자력 세기, 자성체패널(120)과의 상대적인 변위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원기둥형 자석본체(111)와, 이 자석본체(111) 상하면에 결합된 보조패널(113)으로 이루어지며,
도 12의 하부 일점 쇄선 원 내 분해사시도에서 와 같이, 자석본체(111) 중공에 끼워진 합성수지 돌기(111a)를 상하 보조패널(113)의 각 구멍(113a)에 끼우고 열을 가하여 돌기(111a) 단부를 병형시켜 상호 결합을 확고하게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성체패널(120)의 시소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크기를 갖는 유동공(133A)이 형성된 보빈(133)에 권취된 유도코일(130)의 양단부(131)는 보빈 상단(도 12 참조)으로 돌출되어 있고, PCB(180)에의 실장을 위한 핀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13에는 도 12와는 다른 [영구자석(110)-자성체패널(120A,120B)-유도코일(130)-구동부재(140)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는데,
구체적인 차이점은 구조 외에 도 13의 모델에서는 영구자석과 자성체패널의 상대적인 변위 방식이 자성체패널은 고정되어 있고, 영구자석이 승하강한다는 점과,
보다 강한 전력 획득을 위하여 유도코일이 권취된 보빈이 두 자성체 패널 각각에 구비되어 있다는 점이다.
도 13의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에 해당한다.
일종의 하우징 역하을 하는 베이스패널(100B)의 좌측에는 자성체패널(120A)이 결합되어 있는데,
이 자성체패널(120A)은 영구자석(110) 상부에 접촉부가 위치하도록 상부가 절곡 상승되어 있고, 하부에 유도코일(130)이 권취된 보빈(133)이 끼워지는 돌출형 코일결합부(123)가 형성되어 있다(도 13 [B] 좌측 일점쇄선 원 내 참조).
또 상기 베이스패널(100B) 우측에는 다른 자성체패널(120B)이 결합되어 있고, 이 자성체패널(120B)은 영구자석(110) 하부에 접촉부가 위치하도록 평판형상을 이루며,
역히 유도코일(130)이 권취된 보빈(133)이 끼워지는 돌출형 코일결합부(123)가 형성되어 있다(도 13 [B] 우측 일점쇄선 원 내 참조).
각 자성체패널(120A)(120B)의 상하 접촉부 사이에 위치하는 원반형 영구자석(110)은 베릴륨동 소재의 구동부재(140)가 연결되며,
이 구동부재(140)는 베이스패널(100B)에 결합되는 축핀(165)에 관통 고정되며, 다시 축핀(165) 외주면에 배열되어 복귀수단(160)을 이루는 코일스프링(161)에 의하여 지지되어 수평을 유지한다.
이러한 [영구자석(110)-자성체패널(120A,120B)-유도코일(130)-구동부재(140) 어셈블리]는 유사하게 도 11에 도시된 바디(101)에 안착되고,
작동패널(170)의 가압력이 중계부재(150)의 피가압부(155)로 전달되면, 연동부(153)의 슬릿(153A)에 끼워진 구동부재(140)의 연동이 가능해 진다.
또 각 유도코일(130)의 단부(4개)는 유사한 방식으로 PCB에 실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① : 1차침전지 ② : 생물반응조
③ : 2차침전지 ④ : 소화조
⑤ : 배양조 ⑥ : 제1 및 제2 농축기
⑦ : 탈수기 ⑧ : 미세스크린
⑨ : 여과기 ⑩ : 소독기
⑪ : 협잡물처리기 ⑫ : 제1 저류조
⑬ : 제2 저류조 ⑭ : 슬러지혼합조
⑮ : 바이오필터 B : 블로어
10 : 처리조 20 : 개폐도어
30 : 테두리부
40 : 개폐수단 41 : 선회부재
41a : 힌지결합부 41b : 걸림편
43 : 가압부재 43a : 관통공
43b : 파지부 44 : 이탈방지편
45 : 탄성부재 47 : 지지부재
47a : 안내홈 48 : 이탈방지공
60 : 무선 스위치
110 : 본체 111 : 장착부
113 : 테두리부
120 : 여과카트리지
130 : 서비스도어 131 : 프레임
133 : 광투과성부재 135 : 쫄대
137 : 결합핀
140 : 잠금수단 141 : 지지체
143 : 제1 결쇠 145 : 제2 걸쇠
150 : 고정수단 151 : 유동방지부재
153 : 걸고리
160 : 완충수단 161 : 탄성부재
163 : 삽입부 163a : 삽입홈
163b : 수용돌출부 165 : 대응삽입부
165a : 삽입돌기 165b : 수용홈
170 : 결합부재 171 : 제1 결합부재
173 : 제2 결합부재 175 : 매개부재
177 : 위치조절공 179 : 체결부재
180 : 보강부재
190 : 지지수단 191 : 제1 지지부재
193 : 제2 지지부재
TW : 처리조의 벽면 TB : 처리조의 하면부
ID : 이탈방지공의 내경 OD : 이탈방지편의 외경
W : 안내홈의 폭

Claims (4)

  1. 전처리수단,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 후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은 생물반응조와, 제1 농축기와, 배양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농축기에 의하여 생성된 농축슬러지는 상기 배양조에서 배양되어 농축배양 슬러지 형태로 공급되고,

    상기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에서 농축배양 슬러지는 생물반응조로 공급되며,

    상기 전처리수단은 1차침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에서 공급되는 농축배양 슬러지와, 상기 1차침전지에서 배출되는 생슬러지를 혼합하는 슬러지혼합조가 더 구비되고,

    상기 후처리수단에는 상기 슬러지혼합조에서 혼합된 농축배양 슬러지를 탈수케이크 형태로 제작하는 탈수케이크 생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1차침전지에 공급되는 생슬러지를 농축하기 위한 제2 농축기가 구비되되,
    상기 제2 농축기에 의하여 농축된 생슬러지는 상기 슬러지혼합조에서 상기 배양조를 거친 농축배양 슬러지와 혼합되며,

    상기 생물반응조 또는 배양조, 또는 이들 모두에는 지상형 또는 수중형 반응기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반응기는 일측 또는 양측이 개방되고, 내측에 장착부(111)가 구비된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장착부(111)에 배열되는 여과카트리지(120); 상기 본체(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131)과, 상기 프레임(131)과 연결되고, 비(非)돌출형 망체(133)를 포함하는 서비스도어(130); 상기 본체(110)와 상기 서비스도어(130)에 형성된 잠금수단(140); 및 상기 잠금수단(140)과 처리조 벽면(TW)에 구비되고, 상기 서비스도어(130)의 개방 시, 서비스도어(1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반응기에는 상기 서비서도어(130)에 구비된 프레임(131)과, 상기 본체(110)에 구비된 테두리부(113)에는 완충수단(16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완충수단(160)은 상기 서비스도어의 프레임(131)에 내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탄성부재(161)와, 상기 탄성부재(161)의 내측 또는 외측, 또는 이들 모두의 둘레면에 형성된 삽입부(163)와, 상기 본체(110)의 테두리부(113)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63)에 상응하는 대응삽입부(1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10)와 상기 처리조 벽면(TW)에는 본체(110)를 처리조 벽면(TW)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재(170)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에(170)는 상기 처리조 벽면(TW)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110)의 위치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위치조절수단(PM)이 더 구비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PM)은 상기 본체(110)의 후면 외측면에 연결되는 제1 결합부재(171)와, 상기 처리조 벽면(TW)에 연결되는 제2 결합부재(173)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171)(173)를 연결하는 매개부재(1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171)(173)와, 상기 매개부재(175)에는 상호 대응하도록 다수의 위치조절공(177)이 형성되고,
    상기 각 위치결정공(177)는 체결부재(179)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171)(173)와 상기 매개부재(175)를 결합 고정시키며,

    상기 생물반응조, 배양조, 슬러지혼합조에 연결된 배관과, 상기 배관상에 구비된 펌프와,
    상기 펌프를 on/off시키기 위한 무선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스위치는
    영구자석, 자로를 형성하는 자성체 패널, 상기 자성체 패널에 구비된 유도코일, 상기 영구자석과 상기 자성체패널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를 움직여 전기를 생성시켜 조명램프 또는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 on/off 신호를 발하는 상기 대체작동부를 작동시키도록 시소운동을 하는 작동패널을 포함하는 자가발전기가 더 구비되어 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처리조 벽면(TW)에 연결되고, 상기 잠금수단(14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되는 유동방지부재(151)와, 상기 유동방지부재(151)의 단부에 연결된 걸고리(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걸고리(153)는 상기 서비스도어(130)의 프레임(131)에 구비된 제1 걸쇠(143)의 후크 부분에 걸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에서
    상기 삽입부(163)는 상기 탄성부재(161)의 내외측 둘레면에 삽입홈(163a)으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홈(163a)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수용돌출부(163b)가 배열되고,
    상기 대응삽입부(165)는 상기 테두리부(113)에 'ㄴ' 형태로 절곡된 삽입돌기(165a)와, 상기 삽입돌기(165a)의 후면부와 상기 테두리부(113)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홈(165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발전기는
    축장착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축장착부에 결합되는 스윙축, 상기 구동부재와 결합되는 연동부, 상기 작동패널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가압부를 갖는 중계부재; 그리고
    상기 중계부재의 복귀를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
KR1020110132100A 2011-12-09 2011-12-09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 KR20130065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100A KR20130065298A (ko) 2011-12-09 2011-12-09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100A KR20130065298A (ko) 2011-12-09 2011-12-09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298A true KR20130065298A (ko) 2013-06-19

Family

ID=4886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100A KR20130065298A (ko) 2011-12-09 2011-12-09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52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26856A1 (de) 2013-06-07 2014-12-11 Hyundai Autron Co., Ltd. Elektronische Steuer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26856A1 (de) 2013-06-07 2014-12-11 Hyundai Autron Co., Ltd. Elektronische Steuer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mer Biological and chemic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Kotsopoulos et al. The impact of different natural zeolite concentrations on the methane production in thermophilic anaerobic digestion of pig waste
Nabi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 use of conductive materials to improve anaerobic digestion: Focusing on landfill leachate treatment
KR102042928B1 (ko) 축산분뇨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30065891A (ko)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KR20130065053A (ko) 체류시간 최적화를 위한 활성슬러지 모델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속식 생물학적 수처리 시스템
Arvanitoyannis et al. Food waste treatment methodologies
Zhao et al. Use of an aged-refuse biofilter for the treatment of feedlot wastewaters
KR20130030868A (ko) 환경친화적 폐수처리장치를 연계한 에너지 절약형 축산분뇨 처리 및 자원화 장치
CN114315012A (zh) 一种应用于景区的粪污废水处理系统及方法
KR20130065298A (ko)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
KR102012722B1 (ko) 체류시간 최적화를 위한 수질자동측정기를 이용한 연속식 생물학적 수처리 시스템
KR101117479B1 (ko)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
KR20130123799A (ko)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
CN113698039B (zh) 尿液无害化处理方法、系统及基于其的智能厕所
CN102515438B (zh) 一种垃圾渗滤液处理工艺
US20230212049A1 (en) Home toilet waste treatment system comprising bio-treatment device and combustio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toilet waste by using same
KR100850677B1 (ko) 하수 또는 유기성 폐수의 슬러지 처리방법
KR100445642B1 (ko) 활성화된 부식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Sung et al. Performance of temperature-phased anaerobic digestion (TPAD) system treating dairy cattle wastes
CN208234712U (zh) 一种利用微生物处理黑臭水体的装置
CN209835886U (zh) 一种农村厕所粪水和生活废水达标处理的改型化粪池
CN1318328C (zh) 三段法有机污水处理方法及其装置
KR100991403B1 (ko) 악취 저감 오폐수 처리 시설 및 그 방법
KR101323711B1 (ko) pH 조절용 알칼리수를 이용한 폐수의 탈질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