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972A - Gain enhancement and size reduction for lpda antennas - Google Patents

Gain enhancement and size reduction for lpda antenna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972A
KR20130064972A KR1020110131623A KR20110131623A KR20130064972A KR 20130064972 A KR20130064972 A KR 20130064972A KR 1020110131623 A KR1020110131623 A KR 1020110131623A KR 20110131623 A KR20110131623 A KR 20110131623A KR 20130064972 A KR20130064972 A KR 20130064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lpda
gain
dipole
lpda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6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98282B1 (en
Inventor
이병제
이우경
김병관
위현호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31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282B1/en
Publication of KR20130064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9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2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with folded element or elements,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44Resonant antennas with a plurality of divergent straight elements, e.g. V-dipole, X-antenna; with a plurality of elements having mutually inclined substantially straight portions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PURPOSE: An LPDA antenna with reduced size and improved gain is provided to maintain a frequency bandwidth of a prior LPDA antenna and to improve gain by widening an active area, by using a compact wideband single device. CONSTITUTION: One end of a compact wideband single device has a polygonal shape so that the flow of a current has multiple paths. The polygonal shape of the single device shape is constituted with a shape where current flow has multiple paths.

Description

사이즈 축소와 이득이 향상된 엘피디에이 안테나{Gain enhancement and size reduction for LPDA antennas}Gain enhancement and size reduction for LPDA antennas

본 발명은 사이즈 축소와 이득이 향상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meander 기법을 적용하여 기존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에 비해 약 25 % 크기를 축소시켰고, 또한 기존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폭을 만족하고, 이득의 저감을 최소한 하기 위하여 활성화 영역을 넓히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는 추가적인 branch line을 적용하여 각 단일소자의 주파수 대역폭을 늘림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킨 사이즈 축소와 이득이 향상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PDA antenna with improved size reduction and gain, and more specifically, a meander technique is applied to reduce the size by about 25%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PDA antenna. In order to satisfy the same frequency bandwidth as the LPDA antenna and to minimize the gain reduction, a method of widening the active area is proposed, and the size is improved by increasing the frequency bandwidth of each single device by applying an additional branch li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PDA antenna with reduced and improved gain.

일반적으로 대수주기 다이폴 어레이(LPDA) 안테나는 광대역 특성과 높은 지향성으로 인하여 광대역과 지향성을 필요로 하는 방향탐지용 레이더, 방송통신, EMI/EMC test등 많은 application에 사용되고 있다.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는 Isbell이 제안한 형태로서, 평행도선을 사용하여 정점의 급전점에서 소자의 길이가 대수주기비(τ)에 의하여 길어지는 다이폴들의 직렬급전배열이다.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는 주파수 대역, 대수주기비(scaling factor) τ와 간격정수(spacing constant) σ에 따라 다이폴 소자의 길이, 간격, 급전간격이 결정된다.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는 1960년 처음으로 Carrel에 의해 해석되었다. Carrel에 의한 해석 방법은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를 회로망 모델로 등가화 하여 다이폴 소자와 급전선로를 각각 임피던스 행렬과 어드미턴스 행렬을 사용하여 나타냈으며, 다이폴 소자 사이의 상호 임피던스는 기전력법을 사용하였다.In general, a logarithmic dipole array (LPDA) antenna is used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direction detection radar, broadcast communication, and EMI / EMC test, which require broadband and directivity due to its wideband characteristics and high directivity. The LPDA antenna is a form proposed by Isbell, which is a series feed array of dipoles whose length is increased by the logarithmic period ratio (τ) at the feed point of the vertex using parallel lines. The length, spacing, and feeding interval of the dipole element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 the scaling factor τ and the spacing constant σ. The LPDA antenna was first interpreted by Carrel in 1960. In Carrel's analysis, the LPDA antenna is equivalent to the network model, and the dipole and feeder lines are represented using the impedance matrix and the admittance matrix, respectively. The mutual impedance between the dipole components is the electromotive force method.

이 후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특성 개선을 위한 안테나 구조나 소자의 모양변화도 연구되면서 구조에 따른 특성과 설계 방법에 관하여 잘 알려져 있다.Since then, the structure of the antenna and the shape change of the device for impro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PDA antenna is also studie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design methods according to the structure are well known.

도1은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 구조로서, 대수주기형 다이폴 어레이 안테나 (LPDA : Log-Periodic Dipole Array)의 구조를 나타낸다. FIG. 1 shows an LPDA antenna structure, which shows a log-periodic dipole array (LPDA).

소자 및 간격들의 관계는 설계 파라미터인 대수주기비(scaling constant) τ 와 간격정수(spacing constant) σ 에 의해 결정된다. 대수주기비 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intervals is determined by the design parameters, the scaling constant τ and the spacing constant σ. The logarithmic cycle ratio τ is defined a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Vertual Apex로부터 k 번째 소자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03
는 k 번째 소자의 길이,
Figure pat00004
는 k 번째 소자의 반경,
Figure pat00005
는 소자 사이의 간격으로
Figure pat00006
이다.here,
Figure pat00002
Is the distance from the Vertual Apex of the LPDA antenna to the kth element,
Figure pat00003
Is the length of the k th element,
Figure pat00004
Is the radius of the kth element,
Figure pat00005
Is the spacing between
Figure pat00006
to be.

k 번째 소자의 공진 주파수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인 관계를 가지므로resonant frequency of the kth element
Figure pat00007
The
Figure pat00008
As we have relationship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이다. to be.

이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에서 복사는 특정한 신호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각각의 반파장 다이폴 소자 즉, 활성화 영역(active region)에서 일어난다.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반각(Half apex angle) α와 간격정수(spacing constant) σ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Radiation in this LPDA antenna occurs in each half-wave dipole element, or active region, resonating at a particular signal frequency. The half apex angle α and the spacing constant σ of the LPDA antenna are given as follows.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최저동작주파수를

Figure pat00011
, 최고동작주파수를
Figure pat00012
라고 할 때 그림 3-4 의 가장 긴 다이폴
Figure pat00013
과 가장 짧은 다이폴
Figure pat00014
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The lowest operating frequency of the LPDA antenna
Figure pat00011
, The highest operating frequency
Figure pat00012
Is the longest dipole in Figure 3-4
Figure pat00013
And the shortest dipole
Figure pat00014
Can be written as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5

여기서,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는 각각
Figure pat00019
에 대응되는 동작파장이며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는 다음과 같은 실험적으로 주어진다.here,
Figure pat00016
and
Figure pat00017
Respectively and
Figure pat00019
The operating wavelength corresponding to
Figure pat00020
and
Figure pat00021
Is given experimentally as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2

이때, 일반적으로

Figure pat00023
> 0.5 이고
Figure pat00024
<0.5 이다.In this case, generally
Figure pat00023
> 0.5
Figure pat00024
<0.5.

주어진 주파수대역 내에서 소자의 개수 N은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다.The number N of devices in a given frequency band can be obtain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5

또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에서 안테나의 축 길이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In addition, the axial length of the antenna in the LPDA antenna is given as follows.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6

이상으로부터 사용주파수대역

Figure pat00027
,
Figure pat00028
와 간격정수 σ 및 대수주기비 τ가가 주어지면 안테나의 구조가 결정된다.Frequency band used from above
Figure pat00027
,
Figure pat00028
Given the interval constant σ and the logarithmic period ratio τ, the structure of the antenna is determined.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는 양호한 정재파 특성과 높은 이득을 갖기 위해서 대수주기비(τ)와 간격정수(σ)를 큰 값을 선택함에 따라 안테나 소자의 개수와 크기가 커지게 된다. 안테나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레이더 및 내장되는 application에 제한된 공간으로 인하여 크기를 축소시키기 위한 안테나의 소형화의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안테나의 크기를 축소함에 따라 안테나의 전체 면적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안테나 성능이 저하되게 되며 기존의 많은 연구들에서도 안테나의 크기를 축소함에 따라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order to have good standing wave characteristics and high gain, the LPDA antenna increases the number and size of antenna elements by selecting a large value of the logarithmic period ratio τ and the interval constant σ. As the size of the antenna increases, many researches have been made on the miniaturization of the antenna to reduce the size due to the limited space in the radar and the embedded application. However, as the size of the antenna is reduced, the total area of the antenna is reduced, and accordingly,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is deteriorated. As a result, many existing studies show that the performance is reduced by reducing the size of the antenna.

또한 대부분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는 Optimum σ의 값으로 설계하지만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는 저주파에서 많이 사용하는 안테나로 안테나의 크기가 최대 λfmin/2의 크기를 가지고 있어 안테나의 크기가 상당히 크게 되므로, 소형화 추세에 따라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In addition, most LPDA antennas are designed with Optimum σ, but LPDA antennas are used at low frequency and have a maximum antenna size of λ fmin / 2. As it becomes larger,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reduce the size according to the miniaturization trend.

따라서 활성화 영역을 넓혀 이득저감을 줄이고, 기존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비교하여 이득저감이 최소화되는 안테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gain reduction by widening the activation area, and to develop an antenna in which the gain reduction is minimiz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PDA antenna.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형(다이폴 소자 길이대비 30 % 축소) 광대역 단일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기존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폭을 유지하고 활성화 영역을 넓혀 이득(gain)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이용한 사이즈 축소와 이득이 향상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frequency bandwidth and widens the active area of an existing LPDA antenna by improving the gain by using a small (30% reduction in length of dipole) wideband single devi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LPDA antenna with reduced size and improved gain.

또한 본 발명은 τ=0.86, σ=0.16 값으로 설계하였으며, 입력임피던스는 100 Ω으로 설계하였고, 기존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비교하여 단일소자의 길이는 30 %, 전체 크기는 25 % 정도 축소시키면서도 동일한 주파수 대역폭을 유지하고, 이득은 8 dBi로 비슷하였으며, 주파수에 따른 방사패턴에 변화의 차이가 없는 사이즈 축소와 이득이 향상된 엘피디에이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with τ = 0.86, σ = 0.16, input impedance is 100 Ω,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PDA antenna, the length of a single device is 30%, the overall size is about 25%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LDP antenna with reduced size and improved gain, while maintaining the same frequency bandwidth while maintaining the same frequency bandwidth, and having a similar gain of 8 dBi.

본 발명은 전체 크기가 축소된(면적대비 25 % ~ 30 % 축소)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로서 소형(다이폴 소자 길이대비 30 % 축소) 광대역 단일소자를 이용하여 기존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폭을 유지하고 활성화 영역을 넓혀 이득(gain)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이용하고, 상기 소형 광대역 단일소자는 일단이 다각형 형상으로 전류의 흐름이 다중경로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LPDA antenna having a reduced overall size (25% to 30% of the area), and the frequency of an existing LPDA antenna using a small (30% of the length of a dipole device) broadband single device. In order to maintain the bandwidth and widen the active area to improve the gain, the small broadband single device has a multipath in which the current flows in a polygonal shape at one end.

상기 단일 소자 형상 중 다각형 형상은 "

Figure pat00029
"또는 "
Figure pat00030
"로 전류 흐름이 다중경로가 발생할 수 있는 형상이다.The polygonal shape of the single element shape is "
Figure pat00029
"or "
Figure pat00030
Furnace current flow is a shape where multipath can occur.

상기 사이즈 축소와 이득이 향상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는 상기 단일 소자의 사이즈 축소(다이폴 소자 길이대비 30 % 축소)를 함에 불구하고 더 넓은 대역폭을 갖는 단일 소자로 구성된다.The LPDA antenna with improved size reduction and gain is composed of a single device having a wider bandwidth despite the size reduction (30% of the dipole device length) of the single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같은 크기로 감소한 기존에 연구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에 비하여 이득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존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이득과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gain is improved compared to the LPDA antenna researched in the same size, and the gain similar to that of the existing LPDA antenna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따르면 τ=0.86, σ=0.16 값으로 설계하였으며, 입력임피던스는 100 Ω으로 설계하였고, 기존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비교하여 단일소자의 길이는 30 %, 전체 크기는 25 % 정도 축소시키면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폭을 유지하고도, 이득은 8 dBi로 비슷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τ = 0.86 and σ = 0.16 are designed, and the input impedance is designed to be 100 Ω, and the length of a single device is 30% and the overall size is about 25%, compared to a conventional LPDA antenna. While maintaining the same frequency bandwidth while shrinking, the gain is similar at 8 dBi.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구조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활성화 영역에 해당하는 전류의 위상이 정점으로부터 긴 다이폴 소자 쪽으로 +90ㅀ의 차이를 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σ의 값이 커질수록 지향성이 올라가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대역폭의 τ=0.86 ,σ=0.16으로 설계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τ=0.94,σ=0.16으로 설계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구조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다이폴 소자의 개수를 늘림으로써 나타나는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전류 분포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8개 소자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18개 소자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3D 방사패턴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기존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제안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구조를 비교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에 단일소자의 구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소자의 구조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기존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다이폴 소자대비 H의 길이를 약 30 % 축소시킨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850 MHz, 950 MHz 와 1200 MHz의 단일소자 전류 분포도.
도 13은 대역폭을 향상시킨 다이폴 소자를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에 적용시킨 제안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반사손실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각 주파수 1200MHz에서의 전류분포도와 전압과 전류 분포의 시뮬레이션 값을 보여주는 도면.
도15는 본 발명에 따라 활성화 영역이 넓어지고 이로 인해 지향성이 향상됨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이 기존의 연구방법에 비해 높은 지향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도면.
도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실물 사진.
도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구조.
도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에 단일 소자의 자세한 구조.
도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합회로의 반사손실; (a) 시뮬레이션된 정합회로의 반사손실 (b) 측정된 정합회로의 반사손실
도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의 삽입손실
도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된 기존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제안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반사손실 비교
도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기존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제안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반사손실 비교
도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된 기존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제안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이득 비교
도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기존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제안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이득 비교
도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기존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E-plane 방사패턴 (@ 1600MHz)
도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제안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E-plane 방사패턴 (@ 1600MHz)
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LPDA antenna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2 is a graph showing that the phase of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active region can be seen to see a difference of +90 mA from the peak toward the long dipole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directivity increases as the value of σ increa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LPDA antenna designed with τ = 0.86 and σ = 0.16 having the same bandwidth and an LPDA antenna designed with τ = 0.94 and σ = 0.1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dipole el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urrent distribution diagram of the LPDA antenna of FIG. 5. FIG.
FIG. 7 is a view showing 3D radiation patterns of 8 elements of LPDA antenna and 18 elements of LPDA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diagram compar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LPDA antenna and a proposed LPDA antenna. FIG.
9 is a structure of a single element in the LPDA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ructural change of a sing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that the length of H is reduced by about 30% compared to the dipole device of the conventional LPDA antenna.
12 is a single element current distribution diagram of 850 MHz, 950 MHz and 1200 MHz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3 shows the return loss of a proposed LPDA antenna in which a bandwidth-enhanced dipole device is applied to an LPDA antenna.
FIG. 14 is a diagram showing current distribution and simulation values of voltage and current distribution at each frequency 1200 MHz. FIG.
Figure 15 shows that the activation area is widened and the directivity is impro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shows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er directivity than the existing research method.
17 is a real picture of an LPDA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tructure of an LPDA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detailed structure of a single device in an LPDA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return loss of a match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turn loss of simulated matching circuit (b) Return loss of measured matching circuit
Figure 21 is insertion loss of the coaxial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comparison of the return loss between the simulated conventional LPDA antenna and the proposed LPDA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comparison of the measured return loss between the conventional LPDA antenna and the proposed LPDA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 comparison of the gain of the conventional LPDA antenna and the proposed LPDA antenna simul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5 is a comparison of the measured conventional LPDA antenna and the proposed LPDA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s an E-plane radiation pattern (@ 1600 MHz) of a conventional LPDA antenna meas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n E-plane radiation pattern (@ 1600MHz) of the proposed LPDA antenna meas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전체 크기가 축소된(면적대비 25 % ~ 30 % 축소)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로서 소형(다이폴 소자 길이대비 30 % 축소) 광대역 단일소자를 이용하여 기존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폭을 유지하고 활성화 영역을 넓혀 이득(gain)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이용하고, 상기 소형 광대역 단일소자는 일단이 다각형 형상으로 전류의 흐름이 다중경로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LPDA antenna having a reduced overall size (25% to 30% of the area), and the frequency of an existing LPDA antenna using a small (30% of the length of a dipole device) broadband single device. In order to maintain the bandwidth and widen the active area to improve the gain, the small broadband single device has a multipath in which the current flows in a polygonal shape at one end.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소형(다이폴 소자 길이대비 30 % 축소) 광대역 단일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기존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폭을 유지하고 활성화 영역을 넓혀 이득(gain)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이용하고, 상기 광대역 단일 소자는 일단이 구(口) 형상화되어 구성된다.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technique that maintains the frequency bandwidth and widens the active area of an existing LPDA antenna by using a small (30% reduction in dipole device length) wideband single device to improve gain. In addition, one end of the wideband single element is formed into a sphere.

본 발명에 따른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방사 메커니즘은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길이의 다이폴 소자와 전후에 있는 길이가 비슷한 다이폴 소자들의 방사이고, 그 영역을 활성화 영역이라 부른다. The radiation mechanism of the LPDA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adiation of dipole elements of similar length to the front and rear of a dipole elemen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each frequency, and the region is called an active region.

즉 본 발명은 소형(다이폴 소자 길이대비 30 % 축소) 광대역 단일소자를 이용함으로써 기존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폭을 유지하고 활성화 영역을 넓혀 이득(gain)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이용하고, 상기 소형 광대역 단일소자는 일단이 회(回) 형상화되어 구성된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echnique for maintaining the frequency bandwidth and widening the active area of the existing LPDA antenna by using a small (30% reduction in the length of the dipole device) wideband single device to improve the gain. The small broadband single element is formed by rotating one end.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단일 소자 형상 중 다각형 형상은 "

Figure pat00031
"또는 "
Figure pat00032
"로 전류 흐름이 다중경로가 발생할 수 있는 형상이다.Specifically, the polygonal shape of the single element shape is "
Figure pat00031
"or "
Figure pat00032
Furnace current flow is a shape where multipath can occur.

또한 상기 사이즈 축소와 이득이 향상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는 상기 단일 소자의 사이즈 축소(다이폴 소자 길이대비 30 % 축소)를 함에 불구하고 더 넓은 대역폭을 갖는 단일 소자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PDA antenna having improved size reduction and gain is composed of a single device having a wider bandwidth despite the size reduction of the single device (30% of the dipole device length).

예를 들어 살펴보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활성화 영역에 해당하는 전류의 위상이 정점으로부터 긴 다이폴 소자 쪽으로 +90ㅀ의 차이를 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phase of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active region has a difference of +90 mA from the peak toward the long dipole element.

또한 활성화 영역에서 전압이 급격이 감쇠되고 전류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는 데, 이는 활성화 영역에서의 방사를 의미한다.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voltage abruptly attenuates and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increases in the activation region, which means radiation in the activation region.

상기 활성화 영역의 형태를 보면 마치 +90ㅀ의 위상차를 갖는 N개 소자의 다이폴 Linear array 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Linear array의 경우 소자 사이의 간격이 중요한 요소가 되게 되는데,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경우 간격정수 σ에 의해 간격이 정해지게 된다.The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y be regarded as a dipole linear array of N elements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90 dB. However, in the case of linear arrays, the spacing between elements become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ase of LPDA antennas, the spacing is determined by the spacing constant σ.

그리하여 도 3의 그래프에서 보듯이 σ의 값이 커질수록 지향성이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optimum σ의 지점 위로는 지향성은 다시 떨어지게 되고, 그 이유는 간격이 커짐에 의해 위상에 의한 방사장의 상쇄를 일으키기 때문이다.Thus,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3, the directivity increases as the value of σ increases. However, above the point of optimum σ, the directivity falls again, because the larger spacing causes the offset of the radiation field due to the phase.

도 4는 동일한 대역폭의 τ=0.86 ,σ=0.16으로 설계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τ=0.94,σ=0.16으로 설계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구조도이다. 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LPDA antenna designed with τ = 0.86 and σ = 0.16 having the same bandwidth and an LPDA antenna designed with τ = 0.94 and σ = 0.16.

도 4(b) 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는 도 4(a) 와 같이 동일한 대역폭을 만족하기 위하여 (a)의 경우 8개의 다이폴 소자를 가지고 있고, (b)의 경우 18개의 다이폴 소자를 가지고 있다. The LPDA antenna of FIG. 4 (b) has eight dipole elements in case of (a) and eighteen dipole elements in case of (b) to satisfy the same bandwidth as shown in FIG. 4 (a). have.

도 5 에서 다이폴 소자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매칭이 더 좋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다이폴 소자의 개수를 늘림으로써 각 다이폴 소자가 포함하는 영역이 더 많이 합쳐졌기 때문이다.5, it can be seen that matching is better as the number of dipole elements increases. This is becaus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dipole elements, the regions included in each dipole element are more combined.

도 6은 도 5에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전류 분포도로서 τ의 값에 따른 활성화 영역의 차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urrent distribution diagram of an LPDA antenna in FIG. 5 and showing a difference between activation regions according to a value of τ. FIG.

따라서 활성화 영역을 늘리는 위해서는 도 4(b) 와 같이 τ값을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설정하여 다이폴의 크기를 서서히 줄어들게 하여야한다.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activation area, as shown in FIG. 4 (b), the value of τ should be set to a relatively large value to gradually reduce the size of the dipole.

도 6에서 보듯이 다이폴 소자의 전류 분포 영역이 도 6(a) 보다 (b)가 더 넓은 것을 볼 수 있다. 그리하여 도 7의 지향성을 보게 되면 활성화 영역이 더 넓은 (b)의 지향성이 더 세다. 하지만 활성화 영역을 넓힘으로 지향성의 향상은 가져 왔으나, 그에 따른 안테나의 크기가 많이 커지게 된다. 도 4에서의 안테나의 경우 약 2.3배에 해당하는 크기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As shown in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current distribution region of the dipole device is wider than that of FIG. 6 (a). Thus, when looking at the directivity of Fig. 7, the directivity of the wider active area (b) is stronger. However, the directivity is improved by widening the active area, but the antenna size is increased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antenna in Figure 4 shows a difference in size corresponding to about 2.3 times.

도 11의 모든 다이폴 소자는 113mm의 높이를 가지고 있으며 기존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다이폴 소자대비 H의 길이를 약 30 % 축소시킨 것이다. All dipole elements of FIG. 11 have a height of 113 mm, and the length of H is reduced by about 30% compared to the dipole elements of the conventional LPDA antenna.

Case 1에서 Case 4로 갈수록 주파수가 낮아지고 대역폭이 넓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you go from Case 1 to Case 4, you can see that the frequency decreases and the bandwidth widens.

Case 1에서 Case 2로 추가적인 구조체를 삽입함으로써 단일 공진을 이중 공진으로 만들어 대역폭을 넓혔고, 또한 낮은 주파수에 공진을 시킬 수 있었다. By inserting additional structures from Case 1 into Case 2, a single resonance can be made double resonant to increase the bandwidth and to resonate at lower frequencies.

Case 2에서 Case 3로 또 다른 추가적인 구조체를 삽입하여 3중 공진을 만들어 대역폭을 넓혔고, 주파수를 낮출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공진 주파수를 기존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맞추기 위하여 기역자 구조를 삽입하였다. Another additional structure was inserted from Case 2 to Case 3 to create triple resonances to increase bandwidth and lower frequencies. Finally, a translator structure is inserted to match the resonant frequency with the existing LPDA antenna.

도 11에서의 반사손실에서는 다이폴 소자들이 근접하여 있어서 3중 공진의 지점이 보이지 않으나, 고차공진 확인 시 3중 공진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return loss of FIG. 11, the dipole elements are close to each other, so the point of triple resonance is not seen, but the triple resonance can be confirmed when the higher-order resonance is confirmed.

도 12은 850 MHz, 950 MHz 와 1200 MHz의 전류 분포도이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다이폴 소자들이 근접하여 있어서 3중 공진에 대한 전류 분포가 잘 보이지 않으나, 이 또한 고차공진 지점에서 확인 할 수 있다.12 is a current distribution diagram of 850 MHz, 950 MHz, and 1200 MHz. As mentioned above, the dipole elements are in close proximity, so the current distribution for triple resonance is hardly seen, but this can also be confirmed at the higher resonance point.

도 13는 대역폭을 향상시킨 소형 광대역 단일소자를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에 적용시킨 제안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반사손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3 shows a return loss of a proposed LPDA antenna in which a small bandwidth wideband single device having an improved bandwidth is applied to an LPDA antenna.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축소와 이득이 향상된 엘피디에이 안테나는 다이폴 소자의 길이 H를 30 % 축소시킴에 불구하고 Meander 기법을 적용하여 전기적 길이를 만족시켜 대역폭을 동일하게 하였다. Although the size reduction and gain improvement of the LDP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 the length H of the dipole element by 30%, the Meander technique is applied to satisfy the electrical length to equalize the bandwidth.

여기서 제안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는 넓은 대역폭을 가지는 다이폴 소자로 인하여 활성화 영역이 넓어지며, 전류 분포도를 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The proposed LPDA antenna has an active area widened by a dipole device having a wide bandwidth and can be confirmed by a current distribution diagram.

도 14은 주파수 1200MHz에서의 전류분포도와 전압과 전류 분포의 시뮬레이션 값을 보여주고 있다. Fig. 14 shows current distributions and simulation values of voltage and current distributions at a frequency of 1200 MHz.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넓은 대역폭을 가지는 다이폴 소자로 인하여 전압과 전류가 흐르는 영역이 더 넓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활성화 영역이 넓어진 것이며 이로 인해 지향성이 향상됨을 도 15에서 보여주고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seen that the region in which voltage and current flow is wider due to the dipole device having a wide bandwidth. This shows that the activation area is widened and the directivity is improved by FIG. 15.

또한 도 16에서 보듯이 기존의 연구방법에 비해 높은 지향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6 it can be confirmed that has a higher directivity than the existing research method.

최적화된 안테나 제안Optimized antenna propos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크기를 축소함에 따르는 이득저감을 줄이는 기법을 제시하고, 기본원리와 설계방법에 대해서 설명 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최적화된 사이즈 축소와 이득이 향상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를 제안한다.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ducing the gain of reducing the size of an LPDA antenna is proposed, and the following optimized size reduction and gain are improved to explain the basic principle and design method. We propose a LPDA antenna.

또한 본 발명은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각 단일 다이폴 소자의 대역폭을 넓힘으로써 활성화 영역을 넓혀 이득저감을 최소한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echnique for minimizing gain reduction by widening the active area by increasing the bandwidth of each single dipole element of the LPDA antenna.

도17 내지 도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EM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τ=0.86, σ=0.16의 값으로 설계한 제안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기존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각 소자의 전류의 크기와 전압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활성화 영역을 확인하였고, 제안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활성화 영역이 더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Figs. 17 to 27, the magnitudes of the currents of the elements of the proposed LPDA antenna and the conventional LPDA antenna designed with values of τ = 0.86 and σ = 0.16 through EM simulation The activation region was confirmed by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nd the activation region of the proposed LPDA antenna was found to be wider.

그에 따라 본 발명은 같은 크기로 감소한 기존에 연구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에 비하여 이득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존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이득과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at the gain is improved compared to the LPDA antenna studied previously, which has been reduced to the same size, and similar to the gain of the LPDA antenna.

실제 제작한 제안된 안테나는 100 Ω으로 설계하였기 때문에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구현하였고, 다이폴 소자로 인한 광대역 발룬(Balun)의 설계가 필요하여 100 Ω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였다.Since the proposed antenna is designed to be 100 Ω, the impedance matching circuit is implemented, and the design of the broadband balun due to the dipole element is required, so the 100 Ω coaxial cable is used.

정합회로와 동축케이블에서 오는 손실을 고려하였을 때 시뮬레이션 결과와 유사한 추이를 보이고, 기존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제안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를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실험적인 오차를 줄일 수 있었다. 측정결과 제안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기존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반사손실과 이득이 서로 비슷한 것을 확인하였다.  Considering the loss from the matching circuit and the coaxial cabl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similar trends, and the experimental error can be reduced by simultaneously measuring the conventional LPDA antenna and the proposed LPDA antenna.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it is confirmed that the return loss and the gain of the LPDA antenna and the LPLP antenna are similar.

즉 본 발명은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사이즈를 축소함에 불구하고 성능을 유지시킴으로써, 크기가 제한된 많은 application에 적용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many applications having a limited size by maintaining performance despite the reduction of the size of the LPDA antenna.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앞에서 설명한 방법을 사용하여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를 제작하고 측정하였다.Specifically, the LPDA antenna was fabricated and measured using the method described above.

도 17은 제안된 안테나의 실제 제작된 단면 실물 사진을 보여주고, 도 18은 제안된 안테나의 전체 구조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19는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에 첫 번째 다이폴 소자의 자세한 구조와 크기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첫 번째 다이폴 소자의 이후 소자의 경우 τ 값에 의하여 줄어들게 되겠다.FIG. 17 shows the actual manufactured cross-sectional real picture of the proposed antenna, and FIG. 18 shows the overall structural diagram of the proposed antenna. 19 shows a detailed structure and size of the first dipole device in the LPDA antenna. After the first dipole device, it will be reduced by the value of τ.

제안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경우 특성임피던스를 100Ω으로 설계하였다. 그리하여 광대역을 포함하기 위한 10단 Binomial 정합회로를 설계하였다. 도 20에서는 시뮬레이션의 정합회로(a)와 실제 제작된 정합회로(b)의 반사 손실 결과이다. 또한 안테나에 급전하기 위하여 동축선로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안테나의 발룬으로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1는 동축선로의 손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등은 정합회로에 기존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제안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를 연결하였을 때의 시뮬레이션 반사손실 결과를 나타내었다.In the case of the proposed LPDA antenna,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is designed as 100Ω. Thus, we designed a 10-stage Binomial matching circuit to include broadband. In FIG. 20, it is a reflection loss result of the matching circuit (a) and the actually manufactured matching circuit (b) of the simulation. In addition, a coaxial line is required to feed the antenna, which serves as a balun of the antenna. 21 is a diagram showing the loss of the coaxial line. FIG. 22 and the like show simulation return loss results when a conventional LPDA antenna and a proposed LPDA antenna are connected to a matching circuit.

도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기존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제안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반사손실 비교한 것이고, 도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된 기존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제안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이득 비교한 것이고, 도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기존의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제안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이득 비교한 것이고, 도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기존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E-plane 방사패턴 (@ 1600MHz)이고, 도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제안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E-plane 방사패턴 (@ 1600MHz)이다.FIG. 23 is a comparison of the measured return loss of the conventional LPDA antenna and the proposed LPDA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4 is simul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ain comparison between a conventional LPDA antenna and a proposed LPDA antenna is shown. FIG. 2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asured conventional LPDA antenna and a proposed LPD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PDA) is a gain comparison of the antenna, Figure 26 is the measured E-plane radiation pattern (@ 1600MHz) of the conventional LPDA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7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ed E-plane radiation pattern of the proposed LPDA antenna (@ 1600MHz) according to

Claims (3)

전체 크기가 축소된(면적대비 25 % ~ 30 % 축소)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로서 소형(다이폴 소자 길이대비 30 % 축소) 광대역 단일소자를 이용하여 기존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폭을 유지하고 활성화 영역을 넓혀 이득(gain)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이용하고, 상기 소형 광대역 단일소자는 일단이 다각형 형상으로 전류의 흐름이 다중경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즈 축소와 이득이 향상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LPDA antenna with reduced overall size (25% to 30% of its area), maintaining the frequency bandwidth of existing LPDA antennas using a small (30% of dipole element length) wideband single device And a technique for improving gain by widening an active region, and the small broadband single device has a polygonal shape at one end of which a multi-path flow of current has a size reduction and gain enhanced LPDA (LPDA). ) antenn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소자 형상 중 다각형 형상은,
"
Figure pat00033
"또는 "
Figure pat00034
"로 전류 흐름이 다중경로가 발생할 수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즈 축소와 이득이 향상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
Polygonal shape of the single element shape,
"
Figure pat00033
"or "
Figure pat00034
"LPDA antennas with improved size reduction and g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furnace current flow is shaped to multi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 축소와 이득이 향상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는,
상기 단일 소자의 사이즈 축소(다이폴 소자 길이대비 30 % 축소)를 함에 불구하고 더 넓은 대역폭을 갖는 단일 소자로 구성되며, 기존의 다이폴 소자로 구성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폭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즈 축소와 이득이 향상된 엘피디에이(LPDA)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
The LPDA antenna with improved size reduction and gain,
Despite the size reduction of the single device (30% of the length of the dipole device), it is composed of a single device having a wider bandwidth, and satisfies the same frequency bandwidth as the LPDA antenna of the conventional dipole device. LPD antenna with improved size reduction and gain.
KR1020110131623A 2011-12-09 2011-12-09 Gain enhancement and size reduction for LPDA antennas KR1012982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623A KR101298282B1 (en) 2011-12-09 2011-12-09 Gain enhancement and size reduction for LPDA antenn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623A KR101298282B1 (en) 2011-12-09 2011-12-09 Gain enhancement and size reduction for LPDA antenna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972A true KR20130064972A (en) 2013-06-19
KR101298282B1 KR101298282B1 (en) 2013-08-20

Family

ID=4886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623A KR101298282B1 (en) 2011-12-09 2011-12-09 Gain enhancement and size reduction for LPDA antenna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2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972B1 (en) * 2021-07-13 2022-10-26 국방과학연구소 High power dual polarized t-loaded log-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018B1 (en) * 2016-06-30 2018-01-1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act, wideband log-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KR101859179B1 (en) * 2017-12-27 2018-05-1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act, wideband log-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265B1 (en) * 2009-12-21 2013-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Log periodic antenn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972B1 (en) * 2021-07-13 2022-10-26 국방과학연구소 High power dual polarized t-loaded log-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8282B1 (en)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ng et al. A novel wideband antenna with reconfigurable broadside and endfire patterns
Ghosh et al. Miniaturization of slot antennas using slit and strip loading
Wu et al. A broadband unidirectional antenna based on closely spaced loading method
Bayderkhani et al. Wideband and low sidelobe slot antenna fed by series-fed printed array
Majeed et al. Aperture-coupled asymmetric dielectric resonators antenna for wideband applications
US9431712B2 (en) Electrically-small, low-profile, ultra-wideband antenna
KR101289265B1 (en) Log periodic antenna
WO2011030703A1 (en) Inverse-l shaped antenna
Li et al. Koch-like sided Sierpinski gasket multifractal dipole antenna
Zhao et al. Wideband planar sleeve dipole antenna with back cavity
KR101298282B1 (en) Gain enhancement and size reduction for LPDA antennas
Majeed et al. Balanced dual‐segment cylindrical 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for ultra‐wideband applications
Yasin et al. Measurements and analysis of a probe-fed circularly polarized loop antenna printed on a layered dielectric sphere
Marzudi et al. Minimization of mutual coupling using neutralization line technique for 2.4 GHz wireless applications
Zheng et al. A broad band printed bow-tie antenna with a simplified feed
Mao et al. A wideband Quasi-Yagi antenna with arrow-shaped dipoles for digital TV band applications
Zhou et al. Design and optimisation of compact hybrid quadrifilar helical-spiral antenna in GPS applications using genetic algorithm
Chi et al. Planar quasi-Yagi antenna for future 5G and WiGig applications
Koutinos et al. A novel quadruple-fed rectangular patch antenna with improved bandwidth performance
Tang et al. Printed dipole antenna with back to back asymmetric dual-C-shape uniform strips for DTV applications
Le et al. A novel compact ultra-wideband dipole antenna
Huang et al. Design of an improved high-gain omnidirectional printed dipole antenna
Zeain et al. Investigation of Printed Helical Antenna Using Varied Materials for Ultra-wide band Frequency
Li et al. A method for matching parasitic unidirectional electrically small array
Zhang et al. Research on arrays of microstrip magnetic dipole Yagi antenn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