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843A - Block for stacking boxes at various angles - Google Patents

Block for stacking boxes at various ang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843A
KR20130064843A KR1020110131414A KR20110131414A KR20130064843A KR 20130064843 A KR20130064843 A KR 20130064843A KR 1020110131414 A KR1020110131414 A KR 1020110131414A KR 20110131414 A KR20110131414 A KR 20110131414A KR 20130064843 A KR20130064843 A KR 20130064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box
box
seating
block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4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08617B1 (en
Inventor
홍승배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1013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617B1/en
Publication of KR20130064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8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6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6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movable or removable shelve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4Display trays 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4Nestable or stackable container parts forming a receptacle when one part is inverted upon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PURPOSE: A block for slantly arranging vertically stackable boxes is provided to adjust the slanting angle of boxes by forming loading units on the boxes. CONSTITUTION: A block is arranged between a first carrying box and a second carrying box. The second carrying box is slantly stacked on the first carrying box. The block is composed of a first supporting unit(100), a second supporting unit(200), a connecting unit(300), a fixing groove, and a loading unit. The first supporting unit is arranged on the inner sidewall of the first carrying box. The second supporting unit is arranged on the outer sidewall of the first carrying box. The connecting unit connects the supporting units. The fixing groove is arranged between the supporting units and is inserted into the sidewall of the first carrying box. The loading unit supports one lower part of the second carrying box.

Description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 BLOCK FOR STACKING BOXES AT VARIOUS ANGLES }BLOCK FOR STACKING BOXES AT VARIOUS ANGLES}

본 발명은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부에 배치되는 운반상자를 하부에 배치되는 운반상자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하여 상기 상부에 배치되는 운반상자 내부에 담겨있는 상품을 소비자가 보기 쉽게 진열 또는 전시할 수 있는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for obliquely arranging the vertically stacked transport boxes, in particular, the goods transported in the transport box disposed on the upper part by stacking the transport box disposed on the top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box disposed on the lower pa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for obliquely arranging vertically stacked transport boxes that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by a consumer.

일반적으로 운반상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상하로 적층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general, the transport box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is to be stacked up and down.

이러한 운반상자는 행사장, 할인매장 등에서 상품을 옮기거나 쌓아놓기 편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Such transport boxes are used a lot because they are easy to move or stack goods at events, discount stores, and the like.

특히 야채 등과 같은 것들은 현지에서 바로 운반상자에 담겨 오기 때문에 운반상자에 담겨 있는 상품을 판매시 운반상자 자체를 진열대 위에 올려놓고 소비자에게 판매를 하였다.In particular, vegetables, etc. are directly put in the transport box in the field, so when the goods in the transport box were put on the shelves, they were sold to consumers.

그러나 이렇게 운반상자에 상품을 담아서 판매할 경우에는 운반상자의 측벽에 의해 내부가 잘 보이지 않아 소비자가 상품을 보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selling a product in a carrying box,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see the product because the inside was not easily seen by the side wall of the carrying box.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02607호에 게재된 진열대가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was a display rack publish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02607.

도 1은 종래의 진열대의 모습을 보인 측 단면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isplay stan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열대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의 본체(2)와; 앞부분이 상기 본체(2)의 전면 상단에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뒷부분이 상기 본체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된 제 1 진열판(4)과; 상기 제 1 진열판의 후단에 인접한 상태에서 경첩(1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본체(2)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되는 제 2 진열판(6)과; 일단이 상기 제 1 진열판(4)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지지대(8)와; 일단이 상기 제 2 진열판(6)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지지대(9)와; 상기 진열판이 들어 올려진 후, 상기 지지대(8,9)를 회전 조정하여 선택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제 1, 2 진열판(4,6)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설치 고정되며,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홈(16,18,20)이 형성되는 고정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display rack includes: a box-shaped main body 2 having an open top surface; A first display plate (4) whose fron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ront upper end of the main body (2) by a hinge so that the rear portion can be lifted from the main body; A second display plate (6) connected by a hinge (12) in a state adjacent to a rear end of the first display plate to be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2); A first support (8)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display panel (4); A second support (9)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display plate (6); After the display plate is lifted, from front to rear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lates 4 and 6 can be fixed by rotating and selectively fixing the supports 8 and 9. It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and comprises a fixing base 10 is formed in the groove 16, 18, 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렇게 경사진 진열대에 상기 운반상자를 올려서 진열함으로써, 일측방향으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하여 내부에 담겨 있는 상품을 소비자가 보기 쉽도록 하였다.By displaying the transport box on the inclined display stand in this way, the transport box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so that consumers can easily see the goods contained therein.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법은 별도로 경사진 진열대를 제작하여야 하기에 제작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진열대를 이전 설치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 display rack is difficult to be previously installed because the display rack must be separately inclin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 하부로 적층되는 운반상자 사이에 블록을 장착하여 진열대 없이 하부에 배치되는 운반상자에 대해 상부에 적층되는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적층하는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upper and lower stacked transport boxes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transport boxes stack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box disposed on the bottom without the display rack mounted on the transport box stacked up and down The object is to provide a block for arranging the box inclined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은, 하부에 배치되는 제1운반상자와, 상기 제1운반상자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운반상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상기 제2운반상자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lock for vertically arranging a transport box stacked up and dow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a first transport box disposed below and a second transport box stacked above the first transport box. The stacking of the second carrying box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rrying box.

상기 블록은,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 접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 접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홈이 하방향으로 개방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상기 제2지지부 상면에는 상기 제2운반상자의 일측 하부를 지지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 상기 제2운반상자의 일측 하부가 안착되어 상기 제2운반상자가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disposed inside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and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A second support part disposed outside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and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an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wherein a fixing groove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is open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The first support part or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art is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for supporting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arrying box,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second carrying box is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so that the second carrying box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ck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지지부 상면에 형성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지지부 상면에 형성되는 제2안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안착부는 상기 제2안착부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상호간에 단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연결부의 반대반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ating portion, the first seat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 second seating part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art; wherein the first seating part is located below the second seating part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seating part and the second seating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제1안착부의 경사각은 상기 제2안착부의 경사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상기 제2운반상자의 하면에는 걸림턱이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는 상방향으로 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미끄럼방지돌기에 접하여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기 제2운반상자의 하부가 상기 안착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transport box is formed with a locking step protruding downward,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non-slip protrusion protruding upwards, the locking jaw is in contact with the non-slip projections for the first transport box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ransport box disposed to be inclined is prevented from slipping on the seating por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lock for obliquely arranging the transport boxes stack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상기 블록에 의해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2운반상자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시킴으로써, 상기 제2운반상자 내부에 담겨있는 상품을 소비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좋게 진열 또는 전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stacking the second transport box disposed at an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by the block in one direction, the goods contained in the second transport box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so that the consumer can visually check them. It has an effect.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안착부에 상기 제2운반상자의 일측 하부가 안착되어 상기 제2운반상자가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됨으로써, 상기 고정홈에 의해 상기 블록이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 삽입고정되어 흔들리지 않게 되고, 상기 안착부에 의해 상기 제2운반상자가 상기 제1운반상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ixing groov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and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ransport box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so that the second transport box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The block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by the fixing groove so as not to be shaken, and the seating part has the effect of stacking the second transport box inclin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가 상호 단이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운반상자를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시킬 때,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2운반상자를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상품에 따라 경사각을 달리하여 적층시킬 수 있어 상기 제2운반상자 내부의 상품을 소비자에게 더 보기 좋게 전시 또는 진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ince the second seating portions are formed to be mutually short, the second transporting box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when the second transporting box is stack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ing box. Since the inclination angle can be stacked according to the product for the first transport box, the product inside the second transport box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a better view to the consumer.

또한,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가 상기 연결부의 반대반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경사지게 적층된 상기 제2운반상자의 하부 일측이 상기 제1안착부 또는 상기 제2안착부의 표면에 면접촉하여 상기 블록이 상기 제2운반상자를 보다 잘 지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ar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nnecting portion, the lower one side of the second transport box that is inclinedly stack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or the second seating portion. In contac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lock better supports the second carrying box.

높이가 낮은 상기 제1안착부의 경사각이 상기 제2안착부의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면이 상기 안착부(500)와 면접촉되어 보다 잘 지지 해 주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having a low height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ransporting box S2 is lower than the seating portion 500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transporting box S2. It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and has the effect of better support.

상기 제2운반상자에 담긴 상품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이 외측으로 휘어질 때, 상기 걸림턱에 상기 미끄럼방지돌기가 접하면서 상기 제1운반상자의 하부 일측이 상기 안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is bent outward by the weight of the product contained in the second transport box, the lower side of the first transport box is in the seating portion while the non-slip protrusion contacts the locking jaw.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parture.

상기 손잡이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블록 제작시 제료비를 절감하고, 상기 블록을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서 보다 쉽고 간단하게 삽입고정 및 분리할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리브에 의해 상기 블록의 수직방향 지지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By forming the handle gro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terial cost when manufacturing the block, and to insert and block the block from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more easily and simply, the block by the rib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vertical bearing capacity of the.

도 1은 종래의 진열대의 모습을 보인 측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 미끄럼방지돌기의 역할을 보인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에 의해 운반상자가 진열된 모습을 보인 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7에서의 블록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isplay st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lock for obliquely arranging the transport boxes stack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2.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of the block inclinedly arranged transport box stack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ole of the non-slip protrusion of the block to be disposed inclined to the transport box stack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ansport box is displayed by the block disposed to be disposed inclined vertically stacked transport box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ate of use showing another use state of the block to be disposed obliquely stacked transport box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block in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취해서 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 미끄럼방지돌기의 역할을 보인 측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에 의해 운반상자가 진열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lock for arranging the vertically stacked transport box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AA of Figure 2, Figure 4 is stack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of the block for arranging the transport box inclined, Figure 5 serves as a non-slip projection of the block for arranging the transport boxes stack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ined.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ransport box displayed by a block for obliquely arranging transport boxes stack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은, 제1지지부(100), 제2지지부(200), 연결부(30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2 to 6, the block for arranging the transport box stacked up and dow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100, the second support portion 200, the connection portion 300 is made up.

상기 제1지지부(100)와 상기 제2지지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300)에 의해 서로의 상부가 연결된다.The first support part 10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the upper part of each other is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art 300.

상기 제1지지부(100), 상기 연결부(300)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양측으로 관통되어 하방향으로 개방된 빈공간은 고정홈(400)으로 규정된다.The empty space penetrated to both sides formed by the first support part 100, the connection part 30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00 and opened downward is defined as the fixing groove 400.

즉, 본 발명에 따른 블록(B)에서의 상기 고정홈(400)은 제1운반상자(S1)에 끼워져 고정되는 부분이 되는 것이고,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제1지지부(100)가 되는 것이며,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제2지지부(200)가 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xing groove 400 in the block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fitted into the first transport box (S1) to be fixed, the portion located inside the first transport box (S1) The first support part 100 is to be used, and the portion located outside the second support part 200 is to be.

상기 고정홈(400)을 통해 제1운반상자(S1)에 끼워지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B)의 상기 제1지지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운반상자(S1)의 측벽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 내측에 접한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support part 100 of the block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itted to the first transport box S1 through the fixing groove 400, is formed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It is disposed inside the side wall and is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이러한 상기 제1지지부(100)는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운반상자(S2)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제2운반상자(S2)를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시킨다.The first support part 100 supports a lower side of the second transport box S2 stacked on the first transport box S1 to support the second transport box S2 in the first transport box ( Stacked inclin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S1).

또한, 상기 제2지지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 외측에 접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support part 200 is disposed outside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and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이러한 상기 제2지지부(200)는 상기 제1지지부(100)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일방향로 경사지게 적층될 때,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 외측에 접하여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support part 200 may include the first support box S1 when the first support part 100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S1. It serves to support the outer side of the side wall).

이때, 상기 고정홈(400)은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에 삽입고정될 때, 최대한 유동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fixing groove 400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first carrying box (S1),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ize of the degree that does not flow as much as possible.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고정홈(400) 내부에는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에 삽입고정된 후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을 따라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실리콘 등을 부착할 수도 있다.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rubber, silicon, or the like may be attached to the fixing groove 400 so as not to slide along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after being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have.

한편 상기 제1지지부(100) 및 또는 상기 제2지지부(200) 상면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일측 하부에 접하여 지지하는 안착부(500)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10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00,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500 for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as shown in Figure 2 to 4 Is formed.

이러한 상기 안착부(500)는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일방향을 경사지게 적층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들어올려진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 일부분에 접하여 지지한다.The seating portion 500 is the second transport box (2) when the second transport box (S2) is stacked inclined in one direction relative to the first transport box (S1), as shown in Figure 4 the second transport box ( Support by touching the lower part of S2).

상기 안착부(500)에는 도 2,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돌기(530)가 형성된다.The seating part 500 is provided with a non-slip protrusion 530 as shown in Figures 2, 3, 5.

이러한 미끄럼방지돌기(530)는,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면에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Y)에 접하여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되는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가 상기 안착부(500)에서 이탈되지 않게 한다.The non-slip protrusion 530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step (Y) formed protruding downwar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and the second stack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rrying box (S1). The lower portion of the carrying box (S2) is not separated from the seating portion 500.

즉, 상품을 진열하기 위해서는 상기 블록(B)으로 상기 제2운반상자(S2)를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한 후, 상기 제2운반상자(S2) 내부에 상품을 담아 진열 또는 전시하게 되는데, 이때, 상품은 하중에 의해 상기 블록(B)이 고정삽입된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이 외부로 휘어지면서 벌어지게 된다.That is, in order to display the goods, the second transport box S2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S1 in the block B, and then the goods are stored in the second transport box S2. In this case, the goods are opened while the sidewalls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having the block B fixedly inserted by the load are bent to the outside.

이렇게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이 벌어지게 되면 상기 안착부(500)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가 상기 안착부(500)에 미끄러져 떨어지면서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되지 않게 될 수 있다.When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is opened in this manner,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ransport box S2 supported by the seating part 500 slides down to the seating part 500, and thus the first carrier box S1 is opened. The second transport box S2 may not be stack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S1.

이때,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이 벌어지면서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Y)이 상기 미끄럼방지돌기(530)에 접하여 더이상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 일측은 상기 안착부(500)에서 떨어지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is opened while the locking jaw (Y)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ransport box (S2) is in contact with the non-slip projection (530) no longer slip and thereby the first The lower one side of the transport box (S2) is not to fall from the seating portion (500).

이와 같이 상기 미끄럼방지돌기(5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이 상기 제2운반상자(S2)에 담긴 상품의 하중에 의해 외측으로 휘어질 때,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Y)에 접하여 상기 안착부(500)에서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non-slip protrusion 530 is bent when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is bent to the outside by the load of the goods contained in the second transport box (S2),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is prevented from slipping from the seating part 500 in contact with the locking step 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상기 안착부(5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착부(510)와 제2안착부(520)로 이루어진다.The seating part 500 includes a first seating part 510 and a second seating part 520, as shown in FIGS. 2 to 4.

상기 제1안착부(510)는 상기 제1지지부(100) 상면에 형성된다.The first seating portion 51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00.

그리고 상기 제2안착부(520)는 제2지지부(200) 상면에 형성된다.The second seating part 52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art 200.

이러한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이지게 형성된다.The first seating part 510 and the second seating part 520 are formed to be short as shown in FIGS. 2 to 4.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착부(510)가 상기 제2안착부(5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호간에 높이 차이에 따른 단이지게 형성된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to 4, the first seating portion 510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seating portion 520, and thus, the first seating portion 510 is formed to have a height difference.

이렇게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가 단이지게 형성된 것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B)의 상기 제1지지부(100)와 제2지지부(200)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에 삽입고정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되는 경사각을 달리 하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seating portion 510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520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10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00 of the block B are illustrated in FIG. 4. ) Is to chang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transport box (S2)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S1)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즉, 상기 제2안착부(520)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안착부(510)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안착부(51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 일측이 지지되면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되는 경사각을 작게하여 적층할 수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와 가까운 곳에 상기 제2운반상자(S2)를 진열하여 소비자가 그 안에 담겨있는 상품을 쉽게 볼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first seating portion 510 positioned below the second seating portion 520 is located inside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as shown in FIG. The lower one side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is support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510) and can be stacked with a small inclination angle stacked inclined in one direction. By displaying the box (S2), the consumer can easily see the goods contained in it.

그리고 상기 제1안착부(510)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안착부(520)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2안착부(52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 일측이 지지되면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되는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경사각이 상기 제1안착부(510)에 위치할 때 보다 상대적으로 커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 조금 먼 곳에 상기 제2운반상자(S2)를 진열하여도 소비자가 그 안에 담겨있는 상품을 쉽게 볼 수 있게 된다.When the second seating portion 520 positioned above the first seating portion 510 is positioned inside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as shown in FIG. Whe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is supported by the second seating part 520,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stacked inclined in one direction is greater than when the first seating part 510 is located. As shown in FIG. 6, even if the second transport box S2 is displayed at a distance far from the consumer, the consumer can easily see the goods contained therein.

이와 같이 상품을 진열하는 위치 또는 상품에 종류에 따라 상기 제1안착부(510) 또는 상기 제2안착부(520)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한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적층 경사각을 달리할 수 있어 선택적인 진열 또는 전시가 매우 유리하다.As such, by selecting the first seating part 510 or the second seating part 520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the kind of the goods to be displayed, the second transport box for the first transport box S1 ( The stacking inclination angle of S2) can be varied, so selective display or display is very advantageous.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착부(51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안착되었을 때에는 경사각이 작기 때문에 소비자와 가까운 앞줄에 배치하고, 상기 제2안착부(52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안착되었을 때에는 경사각이 크기 때문에 소비자와 거리가 있는 뒷줄에 배치하여 소비자가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내부에 담긴 상품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when the second transport box S2 is seated on the first seat 510, the inclination angle is small, so that the second seat 520 is disposed in the front row close to the consumer. When the second transport box (S2) is seated on the back of the second transport box (S2) because the inclination angle is large, so that the consumer can see the goods contained in the inside of the second transport box (S2).

또한, 이러한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00)의 반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seating portion 510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520 ar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00 as shown in FIGS.

이는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에 지지되는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되는데, 경사지게 적층된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가 상기 안착부(500)에 면접촉하여 보다 잘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second carrying box S2 supported by the first seating part 510 and the second seating part 520 is stack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rrying box S1.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is intended to better support the surface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500).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가 상기 연결부(300)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지 않고 평평할 경우에는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가 상기 안착부(500)의 모서리부에 의해 선접촉한 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접촉력이 떨어지게 된다.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first seating portion 510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520 are flat without being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00,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is The contact force is lowered because it is supported in a line contact state by the edge of the seating part 500.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를 상기 연결부(300) 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되는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 일측이 상기 안착부(500)에 면접촉되게하여 접촉력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eating portion 510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520 ar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00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S1). Lower one side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is preferably in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500 to strengthen the contact force.

이때 상기 제1안착부(510)의 경사각(R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안착부(520)의 경사각(R2)보다 작게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R1 of the first seating part 510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R2 of the second seating part 520 as shown in FIG. 3.

이는 상기 제1안착부(510)가 상기 제2안착부(520)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first seating portion 510 is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second seating portion 520.

즉, 단이지게 형성된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되는데, 이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낮은 상기 제1안착부(51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가 지지될 경우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높은 상기 제2안착부(520)에 제2운반상자(S2)가 지지될 경우에 따라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되는 경사각이 다르기 때문이다.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is stacked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rrying box S1 on the first seating part 510 and the second seating part 520 which are formed to be short. At this time,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is supported by the first seating portion 510 having a low height as shown in Fig. 4 (a) and as shown in Fig. 4 (b) This is because the inclination angle at which the second transport box S2 is inclinedly stack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S1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ase where the second transport box S2 is supported by the high second seating part 520. .

상기 안착부(500)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경사각이 커지게 되는바, 상기 안착부(500)와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면이 면접촉하기 위해서는 상기 안착부(500)의 경사각이 커져야 한다.When the height of the seating part 500 is high,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is increas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art 500 and the second carrying box S2 are in surface contac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ing part 500 should be increased.

따라서, 높이가 낮은 상기 제1안착부(510)의 경사각(R1)이 높이가 높은 상기 제2안착부(520)의 경사각(R2)보다 작아,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면이 상기 안착부(500)와 면접촉되어 보다 잘 지지 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clination angle R1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510 having a low height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R2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520 having a high height, an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500 may be better supported.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에도 미끄럼방지돌기(530)를 형성하여 전술한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상기 제1안착부(510)와 상기 제2안착부(52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eating portion 510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520 are formed on the anti-slip protrusion 530, so that the second carrying box S2 described above is the first seat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o prevent falling from the 510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520.

한편, 상기 제1지지부(100)와 상기 제2지지부(200)에는 도 2 및 도 3에 상기 고정홈(400) 방향으로 오목한 손잡이홈(600)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10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00 is formed in the handle groove 600 concave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groove 400 in Figs.

이러한 상기 손잡이홈(600)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손으로 블록(B)의 양측을 잡아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에 상기 고정홈(400)을 삽입하여 고정 또는 분리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The user's hand is inserted into the handle groove 600 It is for the user to easily hold or hold both sides of the block (B) by inserting the fixing groove 400 in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to be fixed or separated.

또한, 상기 손잡이홈(60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블록(B)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줄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재료비가 상대적으로 적게 들면서 제료비를 절감하게 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handle groove 60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volume of the block (B), thereby reducing the material cost while relatively low material costs.

이때 상기 손잡이홈(600)에는 수직방향으로 리브(610)를 형성하다.At this time, the handle groove 600 is formed with a rib 610 in the vertical direction.

수직방향으로 리브(610)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에 고정된 상기 블록(B)이 상기 제2운반상자(S2)를 지지하면서 상기 손잡이홈(600)에 의해 얇아진 상기 제1지지부(100)와 상기 제2지지부(200)가 상기 고정홈(400) 양측방향으로 휘어지지 않게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The rib 6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thinned by the handle groove 600 while the block B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supports the second transport box S2. The first support part 10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00 are for reinforcing strength so as not to bend in both directions of the fixing groove 400.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 사용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 to use the block to be arranged inclined transport boxes stacked up and dow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in such a configura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의 블록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7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use state of the blocks arranged inclinedly arranged in the transport box stack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block in FIG.

먼저, 블록(B)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400)을 이용하여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에 블록(B)을 고정한다.First, the block B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by using the fixing groove 400 formed in the block B.

이때,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되는 경사각을 작게 하는 것이 유리할 때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안착부(520)보다 높이가 낮은 상기 제1안착부(510)가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되는 경사각을 크게 하는 것이 유리할 때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착부(510)보다 높이가 높은 상기 제2안착부(52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가 위치하도록 삽입고정한다.In this case, when it is advantageous to reduc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transport box S2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S1, as shown in FIG. The first seat 510 having a low height is inserted and fixed to be positioned below the second transport box S2, and the second transport box S2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S1. When it is advantageous to increase the inclination angle to be stacked, as shown in Figure 4 (b)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to the second seating portion 520 that is higher than the first seating portion 510. Insert it so that is located.

일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줄에는 상기 제1안착부(51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가까운 곳은 경사각이 작게 하고, 뒷줄에는 상기 제2안착부(520)에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먼 곳은 경사각을 크게 하여 소비자가 상품을 보기 쉽도록 진열 또는 전시할 수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front row of the second seating box 510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transport box S2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is small, and the rear row of the second row is supported by the first seating part 510.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is supported on the seating part 520 so that the inclined angle is far from the consumer so that the consumer can easily view or display the goods.

이렇게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상기 블록(B)을 고정하고 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에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일측하부가 상기 안착부(500)에 안착되게 하고 타측은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에 위치하게 하여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상기 제2운반상자(S2)를 경사지게 적층한다.After fixing the block (B) to the first transport box (S1) in this way as shown in Figure 4 on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ransport box (S2) to be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500 The other side is positioned on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to stack the second transport box (S2)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S1).

이렇게 경사지게 적층된 상기 제2운반상자(S2)에 상품을 진열 또는 전시하게 되면, 소비자는 경사지게 적층된 상기 제2운반상자(S2)에 담긴 상품을 잘 볼 수 있게 된다.When the goods are displayed or displayed in the second transport box S2 stacked in such a manner, the consumer can see the goods contained in the second transport box S2 stacked inclined well.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안착부(500)에 상기 미끄럼방지돌기(530)가 형성되어 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경사지게 적층된 상기 제2운반상자(S2)에 담긴 상품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이 외측으로 휘어지더라도,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Y)이 상기 미끄럼방지돌기(530)에 걸려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slip protrusion 530 is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500, and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transport box stack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S1. Even when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is bent to the outside by the load of the product contained in (S2), the locking step Y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ransport box S2 is the anti-slip protrusion ( 530 is prevented from slipping off the second carrying box (S2).

한편, 이러한 블록(B)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운반상자(S1)의 측벽에 두 개 이상을 고정하여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상기 제2운반상자(S2)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two or more blocks B are fixed to sidewalls of the first transport box S1 to the second transport box S2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S1. It may be stacked inclined in one direction.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록(B)을 하나만 설치하여 상기 제2운반상자(S2)를 경사지게 적층시키면 상기 제2운반상자(S2)에 담긴 상품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면서 상기 제2운반상자(S2)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전시 및 진열이 불균형하게 되고, 상품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게 되면서 상기 제2운반상자(S2)에 담긴 상품이 소비자에게 잘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As described above, if only one block (B) is installed and the second transport box (S2) is inclinedly stacked, the goods contained in the second transport box (S2) are biased to one side and the second transport box (S2). Is inclined to one side and the display and display is unbalanced, the product is biased to one side to prevent the goods contained in the second transport box (S2) is not visible to the consumer.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방지돌기(530)는 하나의 상기 안착부(500)에 한 개씩만 형성하여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하부의 상기 걸림턱(Y)의 위치에 맞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8, the non-slip protrusion 530 is formed only one in the seating portion 500 by the position of the locking step (Y)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Make sure you don't get in the wrong way.

이는 상기 미끄럼방지돌기(530)가 너무 많게 되면 상기 걸림턱(Y)과 상기 미끄럼방지돌기(530)의 위치가 일치하게 않게 되면서 상기 제2운반상자가(S2)를 상기 제1운반상자(S1)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될 때, 상기 미끄럼방지돌기(530)에 의해 상기 제2운반상자(S2)의 한쪽이 더 높이 적층되어 기울어지게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을 방지하게 된다.When the non-slip protrusion 530 is too large, the position of the locking jaw Y and the non-slip protrusion 530 does not coincide with the second transport box S2 and the first transport box S1. When stacked inclined in one direction relative to the), one side of the second carrying box (S2) may be stacked higher and tilted by the anti-slip protrusion (530) to prevent thi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1운반상자(S1)와 제2운반상자(S2)는 공지된 운반상자로 이해해도 무방하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ansport box (S1) and the second transport box (S2) may be understood as a known transport box.

본 발명인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Blocks for obliquely placing the transport boxes stacked up and down the inventor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can be carried out in a variety of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제1지지부 200: 제2지지부 300: 연결부
400: 고정홈 500: 안착부 510: 제1안착부
520: 제2안착부 530: 미끄럼방지돌기 600: 손잡이홈
610: 리브 B: 블록 S1: 제1운반상장
S2: 제2운반상자 Y: 걸림턱
100: first support portion 200: second support portion 300: connecting portion
400: fixing groove 500: seating portion 510: first seating portion
520: second seating portion 530: non-slip projection 600: handle groove
610: rib B: block S1: first transport listing
S2: 2nd transport box Y: Jamming jaw

Claims (5)

하부에 배치되는 제1운반상자와, 상기 제1운반상자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운반상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상기 제2운반상자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ansport box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and the second transport box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ransport box, characterized in that for stacking the second transport box inclin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Block to arrange the transport boxes stacked up and down to be incli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 접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 접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제1운반상자의 측벽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홈이 하방향으로 개방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상기 제2지지부 상면에는 상기 제2운반상자의 일측 하부를 지지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 상기 제2운반상자의 일측 하부가 안착되어 상기 제2운반상자가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 is,
A first support part disposed inside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and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A second support part disposed outside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and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Consists of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Between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is a fixing groove which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first transport box is formed to open downward,
A seating part supporting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arrying box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or the second support part,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ransport box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so that the second transport box is stacked inclin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inclined to arrange the transport box stacked up and dow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지지부 상면에 형성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지지부 상면에 형성되는 제2안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안착부는 상기 제2안착부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상호간에 단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연결부의 반대반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eat (1)
A first seating part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A second sea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The first seating portion is located below the second seating portion is formed to be mutually connected,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is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inclinedly arranged to block the vertically stacked transport box.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의 경사각은 상기 제2안착부의 경사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seat portion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seat portion, the block for arranging the vertically stacked carrying boxes inclin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운반상자의 하면에는 걸림턱이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는 상방향으로 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미끄럼방지돌기에 접하여 상기 제1운반상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기 제2운반상자의 하부가 상기 안착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적층된 운반상자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locking jaw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arrying box,
The se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non-slip protrusion protruding upwards,
The latching jaw is inclinedly arranged vertically transporting the transport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ransport box which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port box in contact with the anti-slip projections to prevent slipping from the seating portion. Block.
KR1020110131414A 2011-12-09 2011-12-09 Block for stacking boxes at various angles KR1013086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414A KR101308617B1 (en) 2011-12-09 2011-12-09 Block for stacking boxes at various ang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414A KR101308617B1 (en) 2011-12-09 2011-12-09 Block for stacking boxes at various ang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843A true KR20130064843A (en) 2013-06-19
KR101308617B1 KR101308617B1 (en) 2013-09-23

Family

ID=4886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414A KR101308617B1 (en) 2011-12-09 2011-12-09 Block for stacking boxes at various ang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617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921Y1 (en) * 2001-08-01 2001-11-22 내쇼날푸라스틱 주식회사 A handle grip for preventing the movement thereof in a st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617B1 (en)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1078C2 (en) Transportation and demonstration box
US8640871B2 (en) Stackable merchandise trays
RU2645668C1 (en) Box for transportation and display of goods
JP5780873B2 (en) Folding display stand combined with storage box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308617B1 (en) Block for stacking boxes at various angles
CA2526609A1 (en) Expandable display and shipping container
JP6406964B2 (en) Display stand
KR200457536Y1 (en) Packaging Case
KR200441621Y1 (en) commodity case
JP5912284B2 (en) Packaging container with finger hook
KR101284004B1 (en) Tray for adjusting height of box
JP4723065B2 (en) Product display device
EP1832207A2 (en) A device for storing stacked shopping baskets
CN204830666U (en) Goods shelf
JP2001000289A (en) Merchandise display tray and merchandise display implement
KR101825212B1 (en) Partition and stand utilizing the same
CN206155975U (en) Logistics turnover box
JP3136505U (en) Display device
CN210503985U (en) Integrated package is sold in transportation of range upon range of formula egg
JP4886307B2 (en) Container
JP4409222B2 (en) Box display box
JP6513526B2 (en) Storage case
JP3078649U (en) Product display shelves
JP2012210370A (en) Merchandise display fixture
CN202784060U (en) Transplanter cover plate delivery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