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3633A -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기를 구비한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기를 구비한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3633A
KR20130063633A KR1020110130083A KR20110130083A KR20130063633A KR 20130063633 A KR20130063633 A KR 20130063633A KR 1020110130083 A KR1020110130083 A KR 1020110130083A KR 20110130083 A KR20110130083 A KR 20110130083A KR 20130063633 A KR20130063633 A KR 20130063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mitter
receiver
transmiss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렬
양미정
박애순
정민영
배성재
구자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0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3633A/ko
Publication of KR20130063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기를 구비한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단말 장치는 송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송신 방식에 따라 DFT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스위칭부와 송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송신 방식에 따라 주파수 평면상 P/S 또는 시간 평면상 P/S를 택일적으로 적용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한 송신기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송신 방식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기존의 기지국과의 통신과 단말 상호간의 통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기를 구비한 단말 장치{METHOD OF TRANCEIVING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TERMINAL APPARATUS HAVING TRANCEIVER FOR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간 직접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효율적인 송수신 장치의 구조 및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스마트 단말들의 보급에 따라 증가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부하는 여전히 큰 문제로 고려되고 있다.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3GPP LTE(-Advanced)와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 사이의 직접 통신, 즉 D2D(Device-to-Device) 통신을 고려하고 있다.
단말간 직접 통신(이하, D2D 통신과 혼용; Device to Device 통신)은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인접한 두 단말 사이에 직접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즉, 두 단말이 각각 데이터의 소스(source)와 목적(destination)이 되면서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D2D 통신 기술은 향후 사물통신 또는 센서 네트워크의 기반 기술이 될 전망이다. 상호간 통신을 원하는 이동통신 단말들이 지리적으로 인접함에도 불구하고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해야 했던 종래 기술들과는 달리, D2D 통신에서는 단말 간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인접 단말들 사이의 전송지연 감소 및 데이터 전송률 개선, 이동통신 시스템의 부하 분산 등의 장점을 가진다.
종래의 셀룰러 통신 방식에서는 기지국이 생성한 셀에 속한 단말들이 기지국을 통한 통상적인 접속 링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되지만, D2D 통신 방식에서는 단말들이 상호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때,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은 기지국의 통제하에 상호간의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의 통제를 받지 않고 단말 간의 상호 작용만으로도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셀룰러 망과는 별개로 기지국이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는 디바이스간의 직접 통신도 가능하며, 서로 다른 셀을 서빙 셀로 가지는 디바이스들간에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간 직접 연결 통신에는 중앙(centralized)제어 방식의 D2D 통신 방식과 분산(distributed)제어 방식의 D2D 통신 방식이 존재한다.
중앙제어 방식의 D2D 통신 방식은, 다른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원하는 디바이스가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 노드(셀룰러망에서는 기지국)에 링크 설정을 요청하고, 중앙 노드는 상대 디바이스가 그 디바이스의 주변에 있는 경우 두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자원을 할당하여 디바이스간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 디바이스의 거의 모든 동작은 중앙 노드에 의해 관리되며, D2D 통신을 위해 셀룰러 링크 또는 다른 D2D 링크를 위해 할당된 무선자원이 재사용(reuse)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D2D 방식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송수신기 구조 및 단말의 송수신 방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이동 통신 시스템 중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상향링크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단말이 수신하는 하향링크의 송신 방식이 상이하게 구성되는 시스템이 존재한다. 예컨대, 3GPP LTE 시스템의 경우는 상향링크 송신 방식은 SC-FDMA 로 구성되나 하향링크 송신 방식은 OFDMA를 채택하고 있어, 3GPP LTE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의 경우는 SC-FDMA 수신기와 OFDMA 송신기를 구비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단말간 직접 통신이 상술된 바와 같이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송신 방식이 다르게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구현되려면, 단말은 상이한 전송방식들을 모두 지원하는 송수신기 구성을 갖추어야만 한다. 이는 단말의 복잡도와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송신 방식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단말간 직접 통신을 지원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송수신기 구성을 가진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송신 방식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단말간 직접 통신을 지원할 수 있도록 단말의 효율적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말 장치는, 송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송신 방식에 따라 DFT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송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송신 방식에 따라 주파수 평면상 P/S 또는 시간 평면상 P/S를 택일적으로 적용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한 송신기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송신기는 변조 심볼 매핑부, DFT부, 부반송파 매핑부, IFFT부, CP추가부, 주파수 평면 P/S부, 시간 평면상 P/S부, DAC부 및 RF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위칭부는 변조 심볼 매핑부에서 출력된 변조 심볼에 대해 상기 DFT부를 통한 DFT 적용여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CP추가부의 출력에 상기 주파수 평면상 P/S부 또는 상기 시간 평면상 P/S부를 택일적으로 적용하여 P/S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3GPP LTE 시스템하에서 동작하며, 상기 송신 방식은 OFDMA 송신 방식과 SC-FDMA 송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송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스케쥴링 정보,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미리 정의된 스케쥴링 정보를 통해서 얻어진 정보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 장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로서, 수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수신 방식에 따라 주파수 평면상 S/P 또는 시간 평면상 S/P를 택일적으로 적용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수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수신 방식에 따라 IDFT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한 수신기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신기는 RF 수신부, ADC부, 시간 평면상 P/S부, 주파수 평면상 P/S부, CP 제거부, FFT부, 부반송파 역매핑부, IDFT부 및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ADC부의 출력에 상기 주파수 평면상 P/S부 또는 상기 시간 평면상 P/S부를 택일적으로 적용하여 P/S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부반송파 역 매핑부의 출력에 대해서 상기 IDFT부를 통한 IDFT 적용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3GPP LTE 시스템하에서 동작하며, 상기 수신 방식은 OFDMA 수신 방식과 SC-FDMA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스케쥴링 정보,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미리 정의된 스케쥴링 정보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송수신 방법은, 단말의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으로서, 송신 방식 또는 수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에 의해 송신기 또는 수신기를 재구성하는 단계 및 재구성된 송신기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재구성된 수신기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선택에 의해 송신기 또는 수신기를 재구성하는 단계는, 선택 가능한 송신 방식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송신기 구성요소를 제외한 일부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적용하거나 일부 구성요소를 택일적으로 적용하여 송신기를 재구성하거나, 선택 가능한 수신 방식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송신기 구성요소를 제외한 일부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적용하거나 일부 구성요소를 택일적으로 적용하여 수신기를 재구성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송신기를 재구성하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일부 구성요소는 DFT부이며, 택일적으로 적용되는 일부 구성요소는 시간 평면상 P/S부 또는 주파수 평면상 P/S부일 수 있으며, 상기 수신기를 재구성하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일부 구성요소는 IDFT부이며, 택일적으로 적용되는 일부 구성요소는 시간 평면상 S/P부 또는 주파수 평면상 S/P부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송신 방식 또는 수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스케쥴링 정보,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미리 정의된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단말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구조 및 동작방식을 따를 경우,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송신 방식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예컨대, LTE(-Advanced) 기반 이동통신 단말들)이 기존의 기지국과의 통신을 정상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SC-FDMA 또는 OFDMA를 통하여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해당 단말의 송신기 및 수신기에서는 D2D 신호 판별기를 이용하여 SC-FDMA와 OFDMA 각각에 대한 송수신기 기능 요소들 중 일부를 공통적으로 재사용함으로써, 단말의 송신기 및 수신기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적은 비용으로 해당 송신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송신기 및 수신기 구조의 도입은 LTE(-Advanced)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활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3GPP LTE 시스템의 상향 및 하향링크 통신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와 도 3은 SC-FDMA 송신기와 OFDMA 송신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단말 장치의 송신기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5와 도 6은 SC-FDMA 수신기와 OFDMA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단말 장치의 수신기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의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단말"은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송수신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되거나 이동하는 지점을 말하며,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노드-B(Node-B), e노드-B(e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relay) 및 펨토셀(femto-cell) 등을 통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단말과 기지국간 상향링크(uplink) 및 하향링크(downlink)의 송신 방식이 상이하게 구성되어 있는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의 구조를 크게 변경시키지 아니하고 단말간 직접 통신이 가능케하는 단말의 송수신기 구조 및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로서 3GPP LTE 및 LTE-Advanced 시스템이 포함될 수 있다.
LTE(-Advanced)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표준화하고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규격이다. LTE(-Advanced)에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등과 같은 기술들을 적용하여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각각에 대해 최소 100 Mbps 및 50 Mbps의 순간 전송률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LTE(-Advanced)는 1.4 MHz부터 20 MHz 사이의 시스템 대역폭뿐만 아니라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기술을 통해 20 MHz 이상의 시스템 대역폭을 수용 가능하며,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및 TDD(Time Division Duplexing) 모두를 지원하여 높은 호환성을 가진다.
도 1은 3GPP LTE 시스템의 상향 및 하향링크 통신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GPP LTE(-Advanced)에서는 기지국(eNodeB; 110)으로부터 단말1(120)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전송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 단말2(130)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으로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SC-FDMA) 통신방식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향링크 전송은 기지국에서 단말1로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고, 상향링크 전송은 단말2에서 기지국으로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단말1의 상향링크 전송 및 단말2에 대한 하향링크 전송 또한 가능함은 당연하다.
OFDMA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 방식을 바탕으로 다중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시간 및 주파수 무선자원들을 할당하는 방식으로서, 기존 방식들에 비해 다중경로손실과 같은 채널 손실에 매우 강하고 높은 주파수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반면 OFDMA에서는 매 시간 영역의 OFDM 심볼 구간마다 직교 주파수를 가지는 다수의 OFDMA 심볼들을 모두 더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만약 동일 위상을 가지는 OFDM 심볼들이 동일한 시간에 전송되는 경우 높은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를 가질 수 있다. PAPR이 높을 경우 선형 증폭기(linear amplifier)의 설계가 어렵고 높은 송신전력을 필요로 하여 전력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를 가진다. 반면 OFDM의 변형인 SC-FDMA에서는 OFDM 변조 전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를 통해 동일한 시간 구간에 대해 서로 다른 직교 주파수를 가지는 데이터 심볼들을 단일 반송파를 가지는 신호로 변환시킨다. SC-FDMA에서는 단일 반송파를 이용하여 OFDMA에 비해 다중 경로 페이딩 채널 등에서의 전송 효율이 다소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낮은 PAPR을 유지할 수 있어 송신전력의 효율이 보다 높다는 장점을 가진다.
3GPP LTE(-Advanced)에서는 SC-FDMA 및 OFDMA를 각각 상향 및 하향링크 통신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단말은 SC-FDMA 송신기(transmitter)와 OFDMA 수신기(receiver)를 탑재한다. D2D 통신은 임의의 두 이동통신 단말들 사이에 수행 가능하여야 하며 D2D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들은 수평적인 관계이어야 하기 때문에, 해당 단말들은 동일한 통신방식을 통해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LTE(-Advanced)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들 간 D2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단말은 SC-FDMA 수신기 또는 OFDMA 송신기를 추가로 탑재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OFDMA는 전송 신호가 다중 경로 페이딩 등과 같은 채널 영향에 더 강인한 특성을 가져 SC-FDM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수율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평면에서 단말 별로 연속적(contiguous)으로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여야 하는 SC-FDMA와는 달리, OFDMA에서는 비연속적(non-contiguous)으로 무선 자원들을 할당할 수 있어 자원 할당의 유연성이 더 높다는 장점을 가진다.
기존 LTE(-Advanced) 시스템에서 단말은 OFDMA 수신기와 SC-FDMA 송신기를 탑재하고 있다. 현재, LTE(-Advanced) 시스템에 있어 이동통신 단말들 간의 직접통신(D2D 통신)을 위해 OFDMA 통신방식을 이용할 것인지 SC-FDMA를 적용할 것인지가 결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OFDMA 통신 방식을 이용할 경우에는 단말의 송신기가 OFDMA 송신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하며, SC-FDMA 통신 방식을 이용할 경우에는 단말의 수신기가 SC-FDMA 수신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송신기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SC-FDMA 송신기와 OFDMA 송신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SC-FDMA 송신기(도 2 예시)와 OFDMA 송신기(도 3 예시)는 변조 심볼매핑부(210), 부반송파 매핑부(220), FFT부(Fast Fourier Transform; 230), CP(Cyclic Prefix) 추가부(240), DAC부(Digital-to-Analog Converter), RF 송신부 등의 공통적 구성요소들을 가진다.
도 2와 도 3을 비교하면, SC-FDMA 송신기는 OFDMA 송신기에 비하여 DFT부(Discrete Fourier Tranform; 211)를 변조 심벌 매핑부(210)과 부반송파 매핑부(22) 사이에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SC-FDMA 송신기의 경우는 P/S(Parallel-to-Serial)부로서 주파수 평면상 P/S부(251)를 구비하고 있으나 OFDMA 송신기는 P/S부로서 시간 평면상 P/S부(252)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술된 도 2와 도 3은 일반적인 SC-FDMA 및 OFDMA 송신기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 보편적인 구성을 예시한 것이며 실제 세부적인 구성은 구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실에 기인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2와 도3의 송신기 구성요소들을 재사용 하는 것을 기초로, 송신되는 신호의 목적지가 타 단말 또는 기지국인지에 따라 적합한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및 P/S부(Parallel-to-Serial)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송신기 구조를 정의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단말 장치의 송신기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단말 장치는 그 송신기 구성으로서, 변조 심볼 매핑부(210), DFT부(211), 부반송파 매핑부(220), IFFT부(230), CP추가부(240), 주파수 평면상 P/S부(251), 시간 평면상 P/S부(252), DAC부(260) 및 RF 송신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DFT부(211), 주파수 평면상 P/S부(251) 및 시간 평면상 P/S부(252)를 제외한 구성요소들은 SC-FDMA 송신 및 OFDMA 송신에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요소들이다. 반면, DFT부(211)는 SC-FDMA 송신에는 적용되지만 OFDMA 송신에는 적용되지 않는 구성요소이며, 주파수 평면상 P/S부(251)와 시간 평면상 P/S부(252)는 SC-FDMA 또는 OFDMA 송신 방식에 따라 택일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그 송신기 구성으로, 송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송신 방식에 따라 DFT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스위칭부(410) 및 송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송신 방식에 따라 주파수 평면상 P/S 또는 시간 평면상 P/S를 택일적으로 적용하는 제2 스위칭부(42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스위칭부(410)는 변조 심볼에 대한 매핑을 거친 송신 데이터가 타 단말에게 전송되는 D2D 신호라면 해당 신호를 DFT부(211)를 통해 DFT를 적용한 후 부반송파에 매핑하며, 일반 상향링크 신호라면 DFT부(211)를 우회하여 바로 부반송파에 매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반송파 매핑부(220)에서 매핑된 신호는 IFFT부(230)에서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를 거치고 CP 추가부(240)에서 CP가 추가된다. 제2 스위칭부(420)에서 CP 추가부(240)에서 출력된 일반 상향링크 신호이면 주파수 평면상 P/S부(251)에서 주파수 평면에 대한 P/S 변환을 거치도록 하며, 타 단말에게 전송되는 D2D 신호라면 시간 평면상 P/S부(252)에서 시간 평면에 대한 P/S 변환을 거치도록 분기(branching)를 수행한다. 이후 신호는 DAC부(260)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RF 송신부(270)를 통해 안테나로 송신된다.
상기와 같은 단말 송신기 구조를 이용하면 이동통신 단말들이 OFDMA 또는 SC-FDMA의 어떠한 방식을 이용하여야 하는지에 무관하게 상호간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LTE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말기는 OFDMA 수신기는 구비하고 있으나 OFDMA 송신기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술된 송신기의 구성은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전송방식으로 OFDMA가 채택되는 경우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OFDMA는 변조 특성상 같은 위상을 가지는 여러 심볼들이 동일한 OFDMA 심볼에 탑재되어 전송되는 경우 높은 PAPR을 가지기 때문에 전력 효율이 저하되거나 OFDMA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선형 증폭기(linear amplifier)가 요구될 수 있다는 문제를 가진다. 반면 SC-FDMA를 D2D 통신방식으로 적용하는 경우 비록 OFDMA를 적용하였을 때에 비해 전송 수율과 자원 할당의 유연성은 저하되지만 단말의 제조비용 및 전력 효율 측면에서 보다 적용이 용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LTE(-Advanced) 시스템에 있어 D2D 통신을 위해 SC-FDMA 통신방식을 채택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수신기 구성을 설명한다.
도 5와 도 6은 SC-FDMA 수신기와 OFDMA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OFDMA 수신기(도 5 예시)와 SC-FDMA 수신기(도 6 예시)는 RF 수신부(510), ADC부(Analog-to-Digital Converter; 520), CP(Cyclic Prefix) 제거부(530), FFT부(Fast Fourier Transform; 540), 부반송파 역매핑(demapping)부(550) 및 검출부(560) 등의 공통적 구성요소를 가진다.
도 5와 도 6을 비교하면, SC-FDMA 수신기는 OFDMA 송신기에 비하여 IDFT부(Discrete Fourier Tranform; 551)를 부반송파 역매핑부(550)과 검출부(560) 사이에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OFDMA 수신기의 경우는 S/P(Serial-to-Parallel)부로서 시간 평면상 S/P부(521)를 구비하고 있으나 SC-FDMA 수신기는 S/P부로서 주파수 평면상 S/P부(522)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술된 도 5와 도 6은 일반적인 SC-FDMA 및 OFDMA 수신기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 보편적인 구성을 예시한 것이며 실제 세부적인 구성은 구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실에 기인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5와 도 6의 수신기 구성요소들을 재사용 하는 것을 기초로, 수신되는 신호의 발신자가 타 단말 또는 기지국인지에 따라 I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부 및 S/P부(Serial-to-Parallel)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수신기 구조를 정의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단말 장치의 수신기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단말 장치는 그 수신기 구성으로서, RF 수신부(510), ADC부(520), 시간 평면상 S/P부(521), 주파수 평면상 S/P부(522), CP 제거부(530), FFT부(540), 부반송파 역매핑부(550), IDFT부(551) 및 검출부(5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IDFT부(551), 시간 평면상 S/P부(521) 및 주파수 평면상 S/P부(522)를 제외한 구성요소들은 SC-FDMA 수신 및 OFDMA 수신에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요소들이다. 반면, IDFT부(551)는 SC-FDMA 수신에는 적용되지만 OFDMA 수신에는 적용되지 않는 구성요소이며, 시간 평면상 S/P부(521) 및 주파수 평면상 S/P부(522)는 SC-FDMA 또는 OFDMA 수신 방식에 따라 택일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그 수신기 구성으로, 수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수신 방식에 따라 주파수 평면상 S/P 또는 시간 평면상 S/P를 택일적으로 적용하는 제1 스위칭부(710) 및 수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수신 방식에 따라 IDFT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스위칭부(72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기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ADC부(520)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제1 스위칭부(710)에서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일반 하향링크 신호(OFDMA)로 판별한 경우 해당 신호를 시간 평면에 대하여 병렬인 신호로 변환하고, D2D 신호(SC-FDMA)로 판별한 경우 주파수 평면에 대해 병렬인 신호로 변환하도록 시간 평면상 S/P부(521)와 주파수 평면상 S/P부(522)를 택일적으로 적용한다.
변환된 신호는 CP 제거부(530)에서 CP가 제거된 후 FFT부(540)에서 고속 푸리에 변환(FFT)되며, 이후 부반송파 역매핑부(550)에서 부반송파 역매핑(demapping)을 거친 다음에 다시 제2 스위칭부(720)에 의해 일반 하향링크 신호인지 D2D 신호인지가 판별된다. 제2 스위칭부(720)는 만약 해당 신호가 일반 하향링크 신호라면 검출부(560)에서 바로 검출(detection)을 수행하며, D2D 신호라면 IDFT부(551)에서 역 이산 푸리에 변환(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를 거친 후 검출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송신기 및 수신기에서 송신 또는 수신하려는 신호가 D2D 신호인지 일반 신호인지를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판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2D 통신을 수행하려는 송수신 단말들이 어느 시점에 어느 무선 자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기지국이 결정하여 제어 채널을 통해 단말들에게 통보하거나 해당 단말들 상호간의 합의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는 전송(수신)하려는 신호(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가 차지하는 무선자원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토대로 현재 전송될 신호가 D2D 신호인지 일반 신호인지를 판별하고, 이에 따라 송신 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는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려는 신호가 D2D 신호인지 일반 신호인지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단말들간 또는 단말들과 기지국간에 미리 정의된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려는 신호가 D2D 신호인지 일반 신호인지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송신기와 수신기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로서 D2D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술된 설명들에 있어서는,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가 직접적으로 전송(수신)하려는 신호(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가 차지하는 무선자원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토대로 현재 전송될 신호가 D2D 신호인지 일반 신호인지를 판별하고, 이에 따른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송신기와 수신기는 전송(수신)하려는 신호(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가 차지하는 무선자원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토대로 현재 전송될 신호가 D2D 신호인지 일반 신호인지를 판별하는 D2D 제어부를 구비하고, D2D 제어부가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들(810, 820)는 제1 및 제2 스위칭부(812, 813, 822, 823)외의 추가적인 구성요소로서 D2D 통신 제어부(811, 821)를 구비할 수 있다.
D2D 통신제어부(811, 821)는 중앙 집중 제어식 D2D 통신을 수행할 경우는 기지국(840)으로부터, 분산 제어식 D2D 통신을 수행할 경우는 각각의 상대 단말장치로부터, 송수신 단말들이 어느 시점에 어느 무선 자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831, 832)를 수신하여 현재 송신 또는 수신하려는 신호가 D2D 신호인지 일반 신호(기지국에 대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셀룰러 신호)인지를 판별하도록 구성된다.
판별의 결과에 따라서 D2D 통신제어부(811, 821)는 스위칭부들(812, 813, 822, 823)을 제어하여 D2D 신호 송신(수신) 또는 일반 신호 송신(수신)에 적절하도록 송수신기의 구성을 스위칭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수신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의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의 송수신 방법은 송신 방식 또는 수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S910), 상기 선택에 의해 송신기 또는 수신기를 재구성하는 단계(S920) 및 재구성된 송신기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재구성된 수신기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9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방법은 단말과 기지국간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송신 방식이 상이하게 구성되어 있는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단말과 기지국간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송신 방식이 상이하게 구성되어 있는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예로는 3GPP LTE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예컨대, 3GPP LTE 시스템의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송신방식은 OFDMA 송신 방식과 SC-FDMA 송신 방식으로 상이하게 구성되어 있다.
송신 방식 또는 수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S910)는 단말 장치가 송신(수신)하려는 신호가 D2D 신호인지 일반 신호인지를 판별하여 이에 따른 송신(수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단말 장치가 어느 시점에서 송신(수신)하려는 신호가 D2D 신호인지 일반 신호인지는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채널을 통하여 수신한 스케쥴링 정보, 단말간의 협의를 거쳐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단말들간 또는 단말들과 기지국간에 미리 정의된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판별될 수 있을 것이다.
즉, D2D 통신을 수행하려는 송수신 단말들이 어느 시점에 어느 무선 자원을 통해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기지국이 결정하여 제어 채널을 통해 단말들에게 통보하거나 해당 단말들 상호간의 합의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들간 또는 단말들과 기지국간에 미리 정의된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려는 신호가 D2D 신호인지 일반 신호인지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선택에 의해 송신기 구성 또는 수신기 구성을 재구성하는 단계(S920)는 선택 가능한 송신 방식 또는 수신 방식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송신기(수신기) 구성요소를 제외한, 일부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적용하거나 일부 구성요소를 택일적으로 적용하여 송신기(수신기)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및 도 3을 재참조하면, SC-FDMA 송신 방식과 OFDMA 송신 방식에 적용되는 송신기 구성요소들은 양 방식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요소(변조 심볼 매핑부, 부반송파 매핑부, IFFT부, CP 추가부, DAC부 및 RF 송신부), 한가지 송신 방식에만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요소(DFT부) 및 택일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요소(시간 평면상 P/S부 및 주파수 평면상 P/S부)로 분류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재참조하면, SC-FDMA 수신 방식과 OFDMA 수신 방식에 적용되는 수신기 구성요소들은 양 방식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요소(RF 수신부, ADC부, CP 제거부, FFT부, 부반송파 역매핑부, 검출부), 한가지 수신 방식에만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요소(IDFT부) 및 택일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요소(시간 평면상 S/P부 및 주파수 평면상 S/P부)로 분류된다.
따라서, 상기 선택에 의해 송신기 구성 또는 수신기 구성을 재구성하는 단계(S920)는 선택된 방식과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요소를 제외하고 선택된 방식에 따라서 선택된 방식에만 적용되는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적용하거나 일부 구성요소를 선택된 방식에 따라 택일적으로 적용하도록 구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선택된 송신(수신) 방식이 SC-FDMA일 경우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요소는 DFT부(IDFT부)일 수 있으며, 택일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요소는 선택된 송신(수신) 방식에 따라서 선택되는 시간 평면상 P/S부(S/P부) 또는 주파수 평면상 P/S부(S/P부)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재구성된 송신기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재구성된 수신기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930)가 수행된다. 예컨대, 재구성된 송신기의 송신 방식이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위한 송신 방식인 경우 기지국에 대한 전송이 이루어질 것지만, 재구성된 송신기의 송신 방식이 다른 단말로의 송신을 위한 송신 방식인 경우 단계(S930)에서는 다른 단말에 대한 전송이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재구성된 수신기의 수신 방식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을 위한 수신 방식인 경우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이 이루어질 것지만, 재구성된 수신기의 수신 방식이 다른 단말로부터의 수신을 위한 수신 방식인 경우 단계(S930)에서는 다른 단말로부터의 수신이 이루어질 것이다.
한편, 여기에서 "재구성"의 의미는 일부 구성요소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우회 동작이나 일부 구성요소들에 대한 택일적인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칭 동작을 의미할 수 있을 것이다. 실질적으로 단계(S920)와 단계(S930)는 송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S910)의 결정에 기초하여 동시에 수행되는 절차이므로 단계(S920)의 재구성 동작은 실시간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10: 변조 심볼 매핑부 211: DFT부
220: 부반송파 매핑부 230: IFFT부
240: CP 추가부 251: 주파수 평면상 P/S부
252: 시간 평면상 P/S부 260: DAC부
270: RF 송신부 510: RF 수신부
520: ADC부 521: 시간 평면상 S/P부
522: 주파수 평면상 S/P부 530: CP 제거부
540: FFT부 550: 부반송파 역매핑부
560: 검출부 410, 710: 제1 스위칭부
420, 720: 제2 스위칭부 811, 821: D2D 통신제어부

Claims (16)

  1. 단말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로서,
    송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송신 방식에 따라 DFT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송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송신 방식에 따라 주파수 평면상 P/S 또는 시간 평면상 P/S를 택일적으로 적용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한 송신기를 구비한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변조 심볼 매핑부, DFT부, 부반송파 매핑부, IFFT부, CP추가부, 주파수 평면 P/S부, 시간 평명 P/S부, DAC부 및 RF 송신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는 변조 심볼 매핑부에서 출력된 변조 심볼에 대해 상기 DFT부를 통한 DFT 적용여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CP추가부의 출력에 상기 주파수 평면상 P/S부 또는 상기 시간 평면상 P/S부를 택일적으로 적용하여 P/S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3GPP LTE 시스템하에서 동작하며, 상기 송신 방식은 OFDMA 송신 방식과 SC-FDMA 송신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스케쥴링 정보,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미리 정의된 스케쥴링 정보를 통해서 얻어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를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송신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D2D 통신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단말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로서,
    수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수신 방식에 따라 주파수 평면상 S/P 또는 시간 평면상 S/P를 택일적으로 적용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수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수신 방식에 따라 IDFT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한 수신기를 구비한 단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RF 수신부, ADC부, 시간 평면상 P/S부, 주파수 평면상 P/S부, CP 제거부, FFT부, 부반송파 역매핑부, IDFT부 및 검출부를 포함한 단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ADC부의 출력에 상기 주파수 평면상 P/S부 또는 상기 시간 평면상 P/S부를 택일적으로 적용하여 P/S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부반송파 역 매핑부의 출력에 대해서 상기 IDFT부를 통한 IDFT 적용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3GPP LTE 시스템하에서 동작하며, 상기 수신 방식은 OFDMA 수신 방식과 SC-FDMA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스케쥴링 정보,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미리 정의된 스케쥴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를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수신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D2D 통신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3. 단말의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 방식 또는 수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에 의해 송신기 또는 수신기를 재구성하는 단계; 및
    재구성된 송신기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재구성된 수신기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에 의해 송신기 또는 수신기를 재구성하는 단계는,
    선택 가능한 송신 방식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송신기 구성요소를 제외한 일부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적용하거나 일부 구성요소를 택일적으로 적용하여 송신기를 재구성하거나,
    선택 가능한 수신 방식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송신기 구성요소를 제외한 일부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적용하거나 일부 구성요소를 택일적으로 적용하여 수신기를 재구성하는 것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를 재구성하기 위해서 상기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일부 구성요소는 DFT부이며, 상기 택일적으로 적용되는 일부 구성요소는 시간 평면상 P/S부 또는 주파수 평면상 P/S부이고,
    상기 수신기를 재구성하기 위해서 상기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일부 구성요소는 IDFT부이며, 상기 택일적으로 적용되는 일부 구성요소는 시간 평면상 S/P부 또는 주파수 평면상 S/P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방식 또는 수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스케쥴링 정보,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미리 정의된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인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KR1020110130083A 2011-12-07 2011-12-07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기를 구비한 단말 장치 KR20130063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083A KR20130063633A (ko) 2011-12-07 2011-12-07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기를 구비한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083A KR20130063633A (ko) 2011-12-07 2011-12-07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기를 구비한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633A true KR20130063633A (ko) 2013-06-17

Family

ID=4886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083A KR20130063633A (ko) 2011-12-07 2011-12-07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기를 구비한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36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621A (ko) * 2018-10-01 2020-04-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동시 정보 및 전력 전송을 위한 주파수 선택적 시스템 모델 설계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621A (ko) * 2018-10-01 2020-04-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동시 정보 및 전력 전송을 위한 주파수 선택적 시스템 모델 설계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41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부분에 할당되는 자원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4740365B2 (j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プロセッサ
JP5094896B2 (j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集積回路
JP5406916B2 (ja) 装置
WO2017101821A1 (zh) 一种数据符号传输方法及无线网络设备
US10985856B2 (en) Multiple numerologi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20130209A (ko) 컴포넌트 캐리어들의 할당
WO2018029493A1 (en) Lte+nr dual connectivity with single/common uplink
CN111418178B (zh) 用于在集成接入和回程及非地面网络中进行改进以及与集成接入和回程及非地面网络相关的方法和装置
JP2020182253A (ja) 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7165249B2 (ja) 基地局、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9698898B2 (e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a receiver and a transmitter of a wireless system for improved wireless communication
JP6718523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20236325A1 (en) Resource allocation constraint mitigation
WO2021009918A1 (ja) 端末
US202301018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uplex mode during random access
KR20130063633A (ko)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기를 구비한 단말 장치
WO2021009919A1 (ja) 端末
KR10148614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부반송파간 간섭 제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WO2014050646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1024500A1 (ja) 端末
CN117880974A (zh) 传输信号的频谱扩展
JP5623595B2 (ja) 移動局装置、プロセッサ、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基地局装置
CN113940040A (zh)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