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970A - Multi-level i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ulti-level i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970A
KR20130062970A KR1020130059199A KR20130059199A KR20130062970A KR 20130062970 A KR20130062970 A KR 20130062970A KR 1020130059199 A KR1020130059199 A KR 1020130059199A KR 20130059199 A KR20130059199 A KR 20130059199A KR 20130062970 A KR20130062970 A KR 20130062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multilevel
switching
inverter
switching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1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12589B1 (en
Inventor
김흥근
선호동
차헌녕
전태원
노의철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59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589B1/en
Publication of KR2013006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9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5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3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multi-level inverter with a DC link switch and an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are provided to show multi-level output voltage based on a cell by reducing the number of devices. CONSTITUTION: A multi-level inverter comprises a voltage link part(200) comprising several sub voltage link parts which are connected to several voltage sources to separate the certain voltage source into several voltages, a switching part(210) which generates multi-level voltage based on a switching elemen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 switching part, comprises the sub switching part consisting of several switching elements which are connected to center node, and an inverter part(220) which generates and changes the polarity of multi-level voltage when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are operated. The inverter group comprises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groups which are connected to the both output ends of the switching part. The center node separates the output ends of the sub voltage link and voltage. [Reference numerals] (230) Control part

Description

멀티레벨 인버터 및 그 인버터의 구동 방법{Multi-level I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Multi-level I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멀티레벨 인버터 및 그 인버터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역률 제어가 가능한 DC 링크 스위치를 갖는 멀티레벨 인버터 및 그 인버터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evel inverter and a method of driving the inver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level inverter having a DC link switch capable of power factor control and a method of driving the inverter.

최근 산업 설비의 고압화에 따라 고압 인버터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신재생 에너지가 각광받기 시작하면서 태양광,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직류 링크단 전압과 교류 출력단 위상 둘 다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 때문에 계통연계형 PWM 인버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에도 멀티레벨 인버터의 토폴로지와 계통 연계형 인버터의 토폴로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high pressure of industrial equipment, the demand for high voltage inverter system is increasing and renewable energy is getting into the spotlight, so it is possible to control both DC link voltage and AC output phase in solar and fuel cell system. Linked PWM inverters are widely used. At present, much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he topology of multilevel inverters and the topology of grid-connected inverters.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경우에는 정현적인 출력전압, 주파수, 역률과 함께 전력회사의 고조파 전류 기준에 부합되는 출력전류 등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멀티레벨 인버터가 제안되었다.In the case of grid-connected inverters, it is necessary to meet the requirements such as sine output voltage, frequency and power factor, as well as the output current meeting the utility's harmonic current standards. Multi-level inverters have been proposed as an effective way to meet these requirements.

이러한 멀티레벨 인버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출력전압 레벨이 증가할수록 스위칭 시 발생하는 dv/dt와 서지전압의 크기가 감소하여 교류전동기 구동에 적용할 경우 전동기 고정자 권선의 절연파괴 및 전동기 베어링 파손 등으로 인한 고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공통모드 전류의 억제 효과도 제공한다. 둘째, 2-레벨 인버터에 비하여 보다 낮은 스위칭 주파수로 동일한 출력 고조파 특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스위칭 손실이 감소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스위치에 인가되는 전압이 직류 링크단 전압으로 제한되므로 레벨 수를 조절하여 전력반도체 스위치의 정격전압 레벨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Such a multilevel inverter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as the output voltage level increases, the magnitude of dv / dt and surge voltage generated during switching decreases, and when applied to AC motor driving, the failure due to insulation breakdown of the motor stator winding and damage to the bearing of the moto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 It also provides the suppression of the common mode current. Second, since the same output harmonic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at a lower switching frequency than a two-level inverter, switching losses can be reduced to increase efficiency. Third, since the voltage applied to the switch is limited to the DC link terminal voltage,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set the rated voltage level of the power semiconductor switch by adjusting the number of levels.

도 1은 5 레벨 출력전압을 얻기 위한 일반적인 다이오드 클램핑 방식의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level inverter of the general diode clamping method for obtaining a five-level output voltag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다이오드 클램핑 방식의 멀티레벨 인버터는 고전압의 단일 직류 링크에 직렬 연결된 다수의 커패시터로부터 얻어지는 여러 단의 탭에 순차적으로 스위칭하는 방식으로 백투백(Back-to-Back) 연결이 가능하다. 이는 현재 고압 대용량 인버터 시스템의 구성에 일부 실용화되어 적용되고 있다.As shown in FIG. 1, a typical diode clamping multilevel inverter is connected back-to-back by sequentially switching to multiple stage taps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capacitors connected in series to a single high voltage DC link. This is possible. This is applied to some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high-voltage high-capacity inverter system.

그런데 이러한 다이오드 클램핑 방식의 멀티레벨 인버터는 직류 링크전압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어 기법이 별도로 필요할 뿐 아니라, 레벨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 구현이 현실적으로 어렵고, 클램핑 다이오드에는 불균형적인 전압이 인가되며, 주 스위칭소자들의 전류가 불균등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diode-clamping multilevel inverter requires not only a separate control technique to solve the DC link voltage imbalance problem, but it is also difficult to realize a system as the number of levels increases, and an imbalance voltage is applied to the clamping diode. There are problems such as uneven current of the switching elements.

또한 멀티레벨 인버터는 근본적으로 2-레벨 인버터에 비해 스위칭소자의 개수가 다소 소요된다. 이와 같이 시스템의 부품 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시스템의 신뢰도와 효율이 저하되며 아울러 비용 상승도 초래된다.In addition, multilevel inverters inherently require more switching elements than two-level inverters. As the number of parts in the system increases,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system decreases and the cost increas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자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간단하게 기본 셀을 기반으로 멀티레벨 출력전압을 구현할 수 있고, 출력전압 레벨의 확장이 매우 용이한 멀티레벨 인버터 및 그 인버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level inverter and a method of driving the inverter that can implement a multi-level output voltage based on the basic cell simply by minimizing the number of devices, and the output voltage level is very easy to expand. There is this.

또한 인버터를 구성하는 브리지 형태의 스위칭소자들을 별도의 PWM 제어 없이 교류출력을 위한 극성변환의 기능만 수행하도록 하여 스위칭 손실이 최소화되는 멀티레벨 인버터 및 그 인버터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level inverter and a method of driving the inverter, in which the switching loss is minimized by performing only the function of polarity conversion for AC output without the PWM control of the bridge-type switching elements constituting the inverter.

나아가 단상뿐만 아니라 3상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성도 가능하여 각 상에 해당되는 모듈을 통해 레벨 수를 증가시켜 임의의 n-레벨 3상 출력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레벨 인버터 및 그 인버터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not only single-phase but also three-phase multilevel inverters, and a multilevel inverter capable of providing an arbitrary n-level three-phase output by increasing the number of levels through a module corresponding to each phas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There is another purpose in provid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는 입력된 전압을 적어도 2개의 전압으로 분할하는 전압 링크부; 상기 전압 링크부의 출력 양단과 상기 전압을 분할하는 중간 노드(Node)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구동에 따라 멀티레벨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양단에 연결된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룹의 스위칭소자 또는 상기 제2 그룹의 스위칭소자의 상보적 동작시 주기적으로 상기 멀티레벨 전압의 극성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ltage link unit for dividing an input voltage into at least two voltages; A switch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connected to both ends of an output of the voltage link unit and an intermediate node dividing the voltage, and outputting a multilevel voltage according to driving of the switching elements; And switching elements of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witching unit, wherein the complementary op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first group or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second group periodically controls the polarity of the multilevel voltag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verter unit for changing and outputting.

여기서 상기 스위칭부의 상기 스위칭소자들 중 서로 인접하는 스위칭소자가 서로 연결되어 직렬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in, switching element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switching elements of the switching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eries.

상기 스위칭부의 상기 스위칭소자들은 동일 특성의 전력용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witching elements of the switching unit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element of the same characteristics.

상기 멀티레벨 인버터는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인버터부의 스위칭소자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정현파 신호와 삼각파 신호를 이용해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스위칭소자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ultilevel inverter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and the switching elements of the inverter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using a sine wave signal and a triangular wave signal, and generates the switching elements through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는 복수의 전압원에 각각 연결되어 해당 전압원을 복수의 전압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서브 전압 링크부를 포함하는 전압 링크부; 상기 서브 전압 링크부의 각 출력 양단과 상기 전압을 분할하는 중간 노드(Node)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들로 이루어진 서브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서브 스위칭부 간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구동에 따라 멀티레벨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 양단에 연결된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룹의 스위칭소자 또는 상기 제2 그룹의 스위칭소자의 상보적 동작시 주기적으로 상기 멀티레벨 전압의 극성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ltage link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ub-voltage link unit connec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voltage sources to divide the volt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voltages; A sub-switching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each output of the sub-voltage link unit and an intermediate node dividing the voltag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sub-switching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A switching unit for outputting a multilevel voltag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witching elements; A first group and a second group of switching element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output of the switching unit, and periodically complementary to the polarity of the multilevel voltage during complementary operation of the first group of switching elements or the second group of switching element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verter unit for changing and outputting.

여기서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 양단에 연결된 복수의 스위칭소자들은 인접하는 스위칭소자가 서로 연결되어 직렬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connected to the output ends of the switch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acent switching elem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eries.

상기 전압 링크부는 상기 해당 전압을 2개의 전압으로 분할하는 2개의 서브 전압 링크부를 갖는 경우, 상기 인버터부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9 레벨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voltage link unit has two sub voltage link units that divide the corresponding voltage into two voltages, the inverter unit outputs a 9 level voltage having different polaritie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는 제1 전압원을 제공받아 제1 멀티레벨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멀티레벨 인버터; 및 상기 제1 전압원 또는 상기 제1 전압원과 독립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압원을 제공받아 제2 멀티레벨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 멀티레벨 전압을 상기 제1 멀티레벨 전압과 위상이 서로 다르게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레벨 인버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멀티레벨 인버터 및 상기 제2 멀티레벨 인버터는, 입력된 전압을 적어도 2개의 전압으로 분할하는 전압 링크부; 상기 전압 링크부의 출력 양단과 상기 전압을 분할하는 중간 노드(Node)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구동에 따라 멀티레벨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양단에 연결된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룹의 스위칭소자 또는 상기 제2 그룹의 스위칭소자의 상보적 동작시 주기적으로 상기 멀티레벨 전압의 극성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ulti-level inverter receiving a first voltage source to convert the first multi-level voltage and outputs; And receive the first voltage source or at least one second voltage source independent of the first voltage source, convert the second multilevel voltage into a second multilevel voltage, and output the second multilevel voltage different from the first multilevel voltage. And a second multilevel inverter for outputting, wherein the first multilevel inverter and the second multilevel inverter include: a voltage link unit for dividing an input voltage into at least two voltages; A switch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connected to both ends of an output of the voltage link unit and an intermediate node dividing the voltage, and outputting a multilevel voltage according to driving of the switching elements; And switching elements of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witching unit, wherein the complementary op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first group or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second group periodically controls the polarity of the multilevel voltag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verter unit for changing and outputting.

여기서 상기 제1 멀티레벨 인버터 및 상기 제2 멀티레벨 인버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인버터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위상이 다른 멀티레벨 전압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t least one of the first multilevel inverter and the second multilevel inverter may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a multilevel voltage having a different phase according to control of at least one of the switching unit and the inverter unit.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동 방법은 전압원에 연결되는 전압 링크부가 입력된 전압을 적어도 2개의 전압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전압 링크부의 출력 양단과 상기 전압을 분할하는 중간 노드(Node)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들을 구동시켜 멀티레벨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칭부의 양단에 연결된 제1 그룹의 스위칭소자 또는 제2 그룹의 스위칭소자의 상보적 동작시 주기적으로 상기 멀티레벨 전압의 극성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riving a multilevel inverter, the method comprising: dividing a voltage inputted by a voltage link unit connected to a voltage source into at least two voltages; Outputting a multilevel voltage by driving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an output of the voltage link unit and an intermediate node dividing the voltage; And periodically changing polarities of the multilevel voltages during complementary operations of the first group of switching elements or the second group of switching element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witch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전압원에 각각 연결되어 해당 전압원을 복수의 전압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서브 전압 링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서브 전압 링크부의 각 출력 양단과 상기 전압을 분할하는 중간 노드(Node)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들로 이루어지는 서브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상기 서브 스위칭부 간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칭부가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구동에 따라 멀티레벨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부의 양단에 연결된 제1 그룹의 스위칭소자 또는 제2 그룹의 스위칭소자의 상보적 동작시 주기적으로 상기 멀티레벨 전압의 극성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of driving a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riv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sub-voltage link unit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voltage sources, respectively, to divide the volt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voltages; A sub-switching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each output of the sub-voltage link unit and an intermediate node dividing the voltage, and a switch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adjacent sub-switching units. Outputting a multilevel voltag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witching elements; And periodically changing the polarity of the multilevel voltage during complementary operation of the first group of switching elements or the second group of switching element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witching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동 방법은 제1 멀티레벨 인버터가 제1 전압원을 제공받아 제1 멀티레벨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레벨 인버터가 상기 제1 전압원 또는 상기 제1 전압원과 독립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압원을 제공받아 제2 멀티레벨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2 멀티레벨 전압을 상기 제1 멀티레벨 전압과 위상이 서로 다르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멀티레벨 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멀티레벨 전압을 상기 제1 멀티레벨 전압과 위상이 서로 다르게 출력하는 단계는, 전압원에 연결되는 전압 링크부가 입력된 전압을 적어도 2개의 전압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전압 링크부의 출력 양단과 상기 전압을 분할하는 중간 노드(Node)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들을 구동시켜 멀티레벨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칭부의 양단에 연결된 제1 그룹의 스위칭소자 또는 제2 그룹의 스위칭소자의 상보적 동작시 주기적으로 상기 멀티레벨 전압의 극성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riving a multilevel inverter,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first voltage source, converting the first multilevel voltage into a first multilevel voltage, and outputting the first multilevel voltage; At least one second multilevel inverter receives the first voltage source or at least one second voltage source independent of the first voltage source, converts the output into a second multilevel voltage, and outputs the second multilevel voltage. The method may include outputting a multilevel voltage and a phas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rein converting the multilevel voltage and the phase to the first multilevel voltage and outputting the second multilevel voltage to the first multilevel voltage and the phas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ividing the input voltage into at least two voltages; Outputting a multilevel voltage by driving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an output of the voltage link unit and an intermediate node dividing the voltage; And periodically changing polarities of the multilevel voltages during complementary operations of the first group of switching elements or the second group of switching element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witching unit.

여기서 상기 제2 멀티레벨 전압을 상기 제1 멀티레벨 전압과 위상이 서로 다르게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제어와 상기 제1 그룹의 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 그룹의 스위칭소자의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putting of the second multilevel voltage and the phase different from the first multilevel voltage may include controlling the switching elements constituting the switching unit,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first group, and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second group.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control of the contro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전압 레벨의 수의 증가할수록 스위칭소자의 개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소자의 수를 줄임으로써 그만큼 시스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비용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number of output voltage levels increases, the number of switching elemen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by reducing the number of elements,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can be improved accordingly,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ere will be.

또한 가령 H 브리지 인버터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는 출력전압의 기본파 주파수에 동기되어 스위칭 손실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element constituting the H bridge inverter, for example, can reduce the switching los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undamental wave frequency of the output voltage.

나아가 하나의 반송신호만 사용하여 멀티레벨 인버터의 기본 셀을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들에 대한 제어신호를 모두 발생시킬 수 있어 제어회로의 구성도 매우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역률이 아닌 경우, 즉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시스템의 동작이 가능하다.Furthermore, since only one carrier signal can be used to generate all the control signals for the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constituting the basic cell of the multilevel inver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circuit becomes very easy.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can be operated even when the unit power factor is not different, that is, when the phases of voltage and curren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1은 5 레벨 출력전압을 얻기 위한 일반적인 다이오드 클램핑 방식의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스위칭부 및 인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멀티레벨 인버터의 VDC/2 인가 방법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2의 멀티레벨 인버터의 VDC/2 인가 방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2의 멀티레벨 인버터의 VDC 인가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2의 멀티레벨 인버터의 0 전압 인가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2의 멀티레벨 인버터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8의 멀티레벨 인버터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level inverter of the general diode clamping method for obtaining a five-level output voltage,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and the inverter unit of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 DC / 2 application method of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applying V DC / 2 of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2;
6 is a view showing a V DC application method of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zero voltage applying method of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2;
8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mulation result of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2;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mulation result of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8;
1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스위칭부 및 인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PWM 신호의 생성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WM signal gene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and the inverter unit of FIG. 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는 전원부(미표기), 전압 링크부(200), 스위칭부(210) 및 인버터부(2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나아가 스위칭부(210) 및 인버터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 voltage link unit 200, a switching unit 210, and some or all of the inverter unit 22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30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switching unit 210 and the inverter unit 220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전원부는 태양전지와 같은 DC 전압원이거나 풍력발전과 같이 교류의 상용전원을 제공받아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이를 간략하게 전압원 VDC로 표시하였다. DC 전압을 출력하기 위하여 전원부는 입력된 교류 전원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 및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평활하는 평활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power supply may be converted into a DC voltage source such as a solar cell or a commercial power source of AC, such as wind power, to be converted into a DC voltage and output. In FIG. 2, this is briefly represented as voltage source V DC . 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rectifying unit for rectifying the input AC power and a smoothing circuit unit for smooth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rectifying unit to output the DC voltage.

전압 링크부(200)는 서로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로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커패시터의 일측과 타측은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원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링크부(200)가 도 2에서와 같이 커패시터 C1 및 C2로 구성된다고 가정할 때, 커패시터 C1 및 C2는 서로 직렬 연결되고, 커패시터 C1의 일측, 가령 양극성부와 커패시터 C2의 타측, 가령 음극성부는 DC 전압원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압 링크부(200)를 구성하는 커패시터 C1 및 C2의 양단에는 각각 VDC/2의 전압이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커패시터는 분압 저항으로 대체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압을 분할할 수 있다면 어떠한 소자이어도 무관할 것이다.The voltage link unit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pacitors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capacitors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voltage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voltage link unit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capacitors C 1 and C 2 as shown in FIG. 2, capacitors C 1 and C 2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capacitor C 1 One side of, for example, the positive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capacitor C 2 , for example the negative portion,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DC voltage source, respectively. The capacitor C 1 constituting the voltage link unit 200 through this A voltage of V DC / 2 is applied to both ends of C and C 2 , respectively. Since such a capacitor may be replaced by a divider resisto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device may be used as long as the voltage can be divided.

스위칭부(210)는 전기적으로 서로 직렬 연결되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와 같은 복수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서로 직렬 연결되는 스위칭소자들 중 최 외곽에 위치하는 각각의 스위칭소자는 서로 직렬 연결된 커패시터(C1, C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스위칭소자들이 전기적으로 서로 직렬 연결된다는 것은 가령 제1 스위칭소자의 소스 단자와 제2 스위칭소자의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부(210)는 서로 직렬 연결된 스위칭소자 Q1 및 Q2의 중간점(혹은 제2 노드: N2)을 서로 직렬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들의 중성점(혹은 노드 1: N1)에 연결하게 된다.The switching unit 210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such as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Each of the switching elements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switching elements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apacitors C 1 and C 2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Here, the switching element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may mean that the source terminal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the drain terminal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re connected. In addition, the switching unit 210 connects the intermediate point (or second node: N 2 ) of the switching elements Q 1 and Q 2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to the neutral point (or node 1: N 1 ) of the capacitors connected in series.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21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소자 T1, T2, Q1 및 Q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칭소자 T1의 컬렉터(혹은 드레인) 단자는 커패시터 C1의 일측에 연결되고 스위칭소자 T2의 컬렉터 단자는 커패시터 C2의 타측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스위칭소자 T1의 이미터(혹은 소스) 단자는 스위칭소자 Q1의 컬렉터 단자에, 스위칭소자 Q1의 이미터 단자는 스위칭소자 Q2의 컬렉터 단자에, 그리고 스위칭소자 Q2의 이미터 단자는 스위칭소자 T2의 컬렉터 단자에 연결됨으로써 스위칭소자 T1, T2, Q1 및 Q2는 전기적으로 서로 직렬 연결되게 된다. 또한 스위칭소자 Q1과 Q2가 서로 직렬 연결되는 연결점(N2)은 커패시터 C1과 C2가 서로 직렬 연결된 연결점(N1)에 서로 연결되게 된다.The switching unit 2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or example, switching elements T 1 , T 2 , Q 1, and Q 2 as shown in FIG. 2 . At this time, the collector (or drain)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T 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pacitor C 1 and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T 2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apacitor C 2 , respectively. And switching elements emitter of T 1 (or source) terminal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Q 1,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Q 1 is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Q 2, and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Q 2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T 2 so that the switching elements T 1 , T 2 , Q 1 and Q 2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In addition, the switching elements Q 1 and Q 2 is a connection point that is series-connected to each other (N 2) i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capacitor C 1 and C 2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 connection point (N 1).

상기의 구성에 따라 전압 링크부(200)로부터 스위칭부(210)를 이루는 스위칭소자 Q1 및 Q2에 인가되는 최대전압은 VDC/2가 되며, 스위칭소자 T1 및 T2는 삼각파 신호의 2주기에 한 번 턴-온되므로 스위칭 주파수는 삼각파 신호의 주파수의 1/2배가 된다. 예컨대 스위칭소자 Q1 및 Q2에 최대전압이 각각 인가되도록 하기 위하여 스위칭부(21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소자 T1 및 T2는 턴-온시키고 스위칭소자 Q1 및 Q2는 턴-오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의 경우 스위칭부(210)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될 수 있는 최대전압은 VDC가 될 것이다. 구체적인 동작과 관련해서는 이후에 다시 다루기로 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aximum voltage applied to the switching elements Q 1 and Q 2 constituting the switching unit 210 from the voltage link unit 200 is V DC / 2, and the switching elements T 1 and T 2 are the triangle wave signals. Because it is turned on every two cycles, the switching frequency is half the frequency of the triangle wave signal. For example, in order for the maximum voltage to be applied to the switching elements Q 1 and Q 2 , the switching unit 210 turns on the switching elements T 1 and T 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and the switching elements Q 1 and Q 2. Will be able to turn off. In this case, the maximum voltage that can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ing unit 210 will be V DC . The detaile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인버터부(220)는 스위칭부(210)의 출력 양단에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토폴리지(topology) 형태를 이루는 IGBT와 같은 복수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한다. 이때 하나의 토폴리지는 2개의 스위칭소자가 직렬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스위칭소자들은 전류 인입단과 전류 인출단 사이에 연결되는 정류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버터부(220)는 스위칭소자들이 하프(half) 브리지 형태를 이루거나 도 2에서와 같이 풀(full) 브리지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단상이 아닌 3상 전압을 얻기 위하여 3개의 토폴리지 형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하프 브리지, 풀 브리지 및 3상 토폴리지 형태를 이루는 스위칭소자들은 전류 인입단과 전류 인출단 사이에 연결되는 정류소자를 더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H-브리지라 통칭될 수 있다.The inverter unit 220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such as an IGBT,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output of the switching unit 210 to form at least one topology. In this case, one topology is preferably formed by connecting two switching elements in series, and each switching element may further include a rectifying element connected between the current inlet and the current outlet. In the inverter unit 2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elements may form a half bridge form or a full bridge form as shown in FIG. 2, and to obtain a three-phase voltage instead of a single phase. Three topological forms could be achieved. In this case, the switching devices forming the half bridge, the full bridge, and the three-phase topology may further be referred to as H-bridge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urther including a rectifier connected between the current inlet and the current outlet.

도 2는 풀 브리지 형태를 이루는 H-브리지를 나타낸다. 좀더 살펴보면, 스위칭소자 S1과 S2는 서로 직렬 연결되어 하나의 토폴리지를 이루고 있다. 스위칭소자 S1의 컬렉터 단자는 스위칭부(210)의 출력단 일측, 즉 스위칭소자 Q1의 컬렉터 단자 및 스위칭소자 T1의 이미터 단자에 연결되고, 스위칭소자 S2의 이미터 단자는 스위칭부(210)의 출력단 타측, 즉 스위칭소자 Q2의 이미터 단자 및 스위칭소자 T2의 컬렉터 단자에 연결되며, 스위칭소자 S1의 이미터 단자는 스위칭소자 S2의 컬렉터 단자에 연결된다. 또한 스위칭소자 S3와 S4는 또 하나의 토폴리지를 형성하고 있다. 스위칭소자 S3의 컬렉터 단자는 스위칭부(210)의 출력단 일측에 연결되고, 스위칭소자 S4의 이미터 단자는 스위칭부(210)의 출력단 타측에 연결되며, 스위칭소자 S3의 이미터 단자와 스위칭소자 S4의 컬렉터 단자는 서로 연결된다. 이때 하나의 토폴리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되는 스위칭소자 S1과 S2의 연결점(N3)과 또 하나의 토폴리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되는 스위칭소자 S3와 S4의 연결점(N4)을 통해서는 멀티레벨의 전압이 출력되며, 이때 2개의 연결점(N3, N4)에는 변압기 등의 부하가 추가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2 shows an H-bridge in the form of a full bridge. In more detail, the switching elements S 1 and S 2 are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to form a topology.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S 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ing unit 210, that is,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Q 1 and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T 1 , and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S 2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 The other end of the output terminal 210 is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Q 2 and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T 2, and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S 1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S 2 . In addition, the switching elements S 3 and S 4 form another topology.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witching device S 3 is connected to on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ing unit 210, an emitter terminal of the switching device S 4 is connected to the output end the other side of the switching unit 210,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S 3, and The collector terminals of the switching element S 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ontact point of one of the topology the switching elem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if S 1 and S 2 of the connection point (N 3) and the switching element S 3 and S 4 also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if a topology (N 4 ), The multilevel voltage is output, and two load points (N 3 and N 4 )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a load such as a transformer.

위의 구성에 따라 H-브리지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의 최대인가 전압은 앞서 언급한 대로 VDC가 되며, 스위칭부(210)의 스위칭소자들과 인버터부(220)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들의 온/오프 구동에 따라 인버터부(220)의 출력단(Vo)을 통해서는 VDC, VDC/2, 0, -VDC, -VDC/2의 5 단계의 레벨을 갖는 전압이 출력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는 상보적으로 동작하는 4쌍의 스위칭소자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에서 볼 때 각각의 스위칭 쌍은 스위칭소자 (S1, S2), (S3, S4), (T1, Q1) 및 (T2, Q2)로 구성될 수 있는데, 각 전압레벨에 따라 스위칭 조합이 얼마든지 다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조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인버터부(220)의 스위칭소자 S1와 S4는 S2 및 S3와 상보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S1과 S4가 턴-온되면 S2와 S3는 턴-오프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가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aximum applied voltage of the switching element constituting the H-bridge becomes V DC as mentioned above, and the switching elements of the switching unit 210 and the switching elements constituting the inverter unit 220 ar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off driving, a voltage having five levels of V DC , V DC / 2, 0, -V DC , and -V DC / 2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Vo of the inverter unit 220. To this end, the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four pairs of switching elements that operate complementarily. In other words, in FIG. 2, each switching pair may be composed of switching elements S 1 , S 2 , S 3 , S 4 , T 1 , Q 1 , and T 2 , Q 2 . However, the switching combination may vary according to each voltage level, and thu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such a combination.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tching elements S 1 and S 4 of the inverter unit 220 operate complementarily with S 2 and S 3 . In other words, when S 1 and S 4 are turned on, S 2 and S 3 are turned off, and vice versa.

예를 들어 5-레벨 PWM 인버터에서 각 전압 레벨에 따른 동작 모드의 범위를 정하기 위하여 기준파(Vref)의 순시 크기와 삼각파 진폭을 이용하여 순시전압 변조 지수(ma)를 구할 수 있는데, 이는 <수학식 1>에서와 같이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n the 5-level PWM inverter, the instantaneous voltage modulation index (m a )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instantaneous magnitude of the reference wave (Vref) and the triangular wave amplitude to determine the range of operation modes according to each voltage level. It may be defined as in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Vref는 기준전압의 순시값이고, Vc는 반송파의 피크-피크 크기이다.Where Vref is the instantaneous value of the reference voltage and Vc is the peak-peak size of the carrier.

ma를 이용하여 제안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의 동작은 4가지의 전압레벨 동작 모드로 구분될 수 있는데, 각 모드는 2가지의 전압레벨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각 모드의 범위와 인버터부(220)의 출력 전압은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5>에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using m a can be divided into four voltage level operation modes, each of which outputs two voltage levels. The range of each mode as described above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inverter unit 220 may be expressed as in Equations 2 to 5.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스위칭부(210)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들(T1, T2, Q1 및 Q2)과 인버터부(220)의 스위칭소자들(S1 ~ S4)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3에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Generating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elements T 1 , T 2 , Q 1 and Q 2 constituting the switching unit 210 and the switching elements S 1 to S 4 of the inverter unit 220. The method can be represented as in FIG.

도 3은 하나의 삼각파로 위상반전 배열법과 동일한 특성을 갖도록 구현한 PWM 기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가령 기준파(혹은 기준전압)(Vref)가 0보다 크면, 스위칭소자 S1과 S4가 턴온되고, 기준파가 0보다 작으면, 스위칭소자 S2와 S3가 턴온되도록 한다.3 illustrates a PWM technique implemented with one triangle wave to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phase inversion arrangement method. 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wave (or reference voltage) Vref is greater than zero, the switching elements S 1 and S 4 are turned on. If the reference wave is less than zero, the switching elements S 2 and S 3 are turned on.

이때 스위칭부(210)의 스위칭소자들에 대한 PWM 신호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만약 기준파가 O과 Vc 사이에 있고(Mode 2), 삼각파와 직접 비교하여 Vref 〉Vcarrier일 때는 T1 또는 T2를 교대로 턴온시키고, Vref 〈 Vcarrier일 때는 T1 및 T2를 턴오프시킨다. 만약 기준파가 Vc보다 크다면(Mode 1), 기준파에 Vc만큼 빼주어 삼각파와 비교한다. Vref - Vc 〉Vcarrier일 때는 T1 및 T2를 동시에 턴온시키고, Vref - Vc 〈 Vcarrier일 때는 T1 또는 T2를 교대로 턴오프시킨다. 기준파가 0보다 작은 경우에는 PWM 신호를 만들어 내기 위하여 위상을 180도 반전시킨 -Vref가 사용된다. -Vref가 Vc보다 작을 때(Mode 3), -Vref는 삼각파와 직접 비교하고, -Vref가 Vc보다 클 때(Mode 4), -Vref에 Vc만큼 빼주어 삼각파와 비교한다. 기준파가 O보다 작은 경우에는 0보다 클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PWM 신호를 발생시킨다. 스위칭소자 Q1과 Q2는 T1과 T2와 상보적으로 동작한다.At this time, a method of making a PWM signal for the switching elements of the switching unit 210 is as follows. If the reference wave is between O and Vc (Mode 2) and directly compares to a triangular wave, turn on T 1 or T 2 alternately when Vref> Vcarrier and turn off T 1 and T 2 when Vref <Vcarrier. . If the reference wave is larger than Vc (Mode 1), the reference wave is subtracted by Vc and compared with the triangular wave. When Vref-Vc &gt; Vcarrier, T 1 and T 2 are turned on simultaneously, and when Vref-Vc &lt; Vcarrier, T 1 or T 2 are alternately turned off. If the reference wave is less than zero, -Vref is used to invert the phase by 180 degrees to produce a PWM signal. When -Vref is less than Vc (Mode 3), -Vref is directly compared to the triangular wave, and when -Vref is greater than Vc (Mode 4), subtract Vc to -Vref to compare with the triangular wave. If the reference wave is smaller than O, the PWM signal is generated in the same way as when it is larger than zero. Switching elements Q 1 and Q 2 operate complementarily to T 1 and T 2 .

상기와 같은 스위칭부(210)와 인버터부(220)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들의 동작은 실질적으로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기준파와 삼각파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결정한 모드에 따라 스위칭소자들을 동작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근거해 볼 때, 제어부(230)는 기준파와 삼각파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및 비교 결과에 따라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어부(23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준파 및 삼각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준파 발생기 및 삼각파 발생기를 포함하거나 이에 연동할 수 있을 것이다.Op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s constituting the switching unit 210 and the inverter unit 220 as described above will be substantially opera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Therefore,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are the reference wave and the triangular wave to determine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operate the switching element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ode. Based on this, the controller 230 may include 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reference wave and the triangular wave, a mode selector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the controller 230 is furthe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lthough not illustrated, a reference wave generator and a triangular wave generator for generating a reference wave and a triangular wave may be included or may be link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멀티레벨 인버터의 설계시 중요한 이슈 중 하나는 전압 링크부(200)를 구성하는 커패시터들의 전압 균형을 맞추는 문제이다. 다시 말해 커패시터 C1과 C2의 전압은 VDC/2로 동일하게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연결점(N1)의 이동이 없는 이상적인 상태에서는 커패시터 C1과 C2의 전압은 물론 VDC/2를 갖는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C1과 C2의 충전과 방전에 의해 중성점(N1)의 전압이 계속해서 변하게 된다. 커패시터의 전압 균형이 되지 않으면, 출력 전압은 대칭적이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출력 전류의 고조파 성분이 높아지게 된다.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the design of a multilevel inverter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roblem of balancing the voltages of the capacitors constituting the voltage link unit 200. In other words, the voltage across capacitors C 1 and C 2 must be equally balanced by V DC / 2. In an ideal state with no movement of the connection point N 1 , the voltages of the capacitors C 1 and C 2 as well as V DC / 2. However, substantially, the voltage at the neutral point N 1 continues to change due to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C 1 and C 2 . If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is not balanced, the output voltage is not symmetrical, resulting in a higher harmonic component of the output current.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는 스위칭 상태를 적절히 선택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Mode 1에서는 도 4 내지 6과 같은 3가지 스위칭 상태를 갖도록 동작시키거나 Mode 2에서는 도 4 및 도 5, 그리고 도 7과 같은 3가지의 스위칭 상태를 갖도록 동작시킨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오직 한 개의 DC 링크 스위칭소자만 턴온일 때 출력 전압은 모두 VDC/2가 되지만, 이때 사용되는 커패시터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전압 링크부(200)를 구성하는 가령 DC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 균형을 위해 도 4 및 도 5의 상태를 번갈아 가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ode 2에서는 DC 링크 스위치, 즉 스위칭부(210)의 스위칭소자(T1, T2)를 교대로 턴온시키고 Mode 1에서는 교대로 턴오프시키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s to appropriately select a switching state. For example, Mode 1 operates to have three switching states as shown in FIGS. 4 to 6, or Mode 2 operates to have three switching states as shown in FIGS. 4, 5, and 7. 4 and 5, when only one DC link switching device is turned on, the output voltages are all V DC / 2, but the capacitors used may be different. Therefore, in order to balance the voltage of the DC link capacitor constituting the voltage link unit 200, for example, the state of FIGS. 4 and 5 may be alternately used. For example, in Mode 2, the DC link switch, that is, the switching elements T 1 and T 2 of the switching unit 210 are alternately turned on, and in Mode 1, they are alternately turned off.

그러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동 방법의 다양한 예들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4 to 7, various examples of a driving method of a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도 2의 멀티레벨 인버터의 VDC/2 인가 방법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멀티레벨 인버터의 VDC/2 인가 방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applying V DC / 2 to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2,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applying V DC / 2 to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2.

먼저, 도 4를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는 VDC/2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해 도 4의 (a) 및 (b)에서와 같이 스위칭부(210)의 스위칭소자 Q1 및 T2를 턴온시킴과 동시에 인버터부(220)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 S1 및 S4를 턴온시킨다. 물론 이의 경우 나머지 스위칭소자들(T1, Q2, S2, S3)은 턴오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전압 링크부(200)를 구성하는 커패시터 C2와 인버터부(220)의 출력단 사이에 전류 패스(path)가 형성됨으로써 커패시터 C2에 차징된 VDC/2의 전압은 인버터부(220)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된다.First, referring to FIG. 4 together with FIG. 2, the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and (b) of FIG. 4, to output a voltage of V DC / 2. At the same time, the switching elements Q 1 and T 2 are turned on and the switching elements S 1 and S 4 constituting the inverter unit 220 are turned on. Of course, in this case, the remaining switching elements (T 1 , Q 2 , S 2 , S 3 ) are turned off. Accordingly, a current path is formed between the capacitor C 2 constituting the voltage link unit 200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unit 220, so that the voltage of V DC / 2 charged in the capacitor C 2 is converted to the inverter unit 220. It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f.

만약 전압 링크부(200)를 구성하는 커패시터 C1에 차징된 VDC/2의 전압을 출력시키고자 한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는 도 5의 (a) 및 (b)에서와 같이 스위칭부(210)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 T1 및 Q2를 턴온시킴과 동시에 인버터부(220)의 스위칭소자 S1 및 S4를 턴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스위칭소자들은 턴오프시킨다. 그 결과 전압 링크부(200)를 구성하는 커패시터 C1과 인버터부(220)의 출력단 사이에 전류 패스가 형성됨으로써 커패시터 C1에 차징된 VDC/2의 전압이 인버터부(220)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된다.If you want to output a voltage of V DC / 2 charged to the capacitor C 1 constituting the voltage link unit 200 is a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and (b) of FIG.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ing elements T 1 and Q 2 constituting the switching unit 210 may be turned on and the switching elements S 1 and S 4 of the inverter unit 220 may be turned on. The remaining switching elements are turned off. As a result, a current path is formed between the capacitor C 1 constituting the voltage link unit 200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unit 220, so that the voltage of V DC / 2 charged in the capacitor C 1 is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unit 220. Is output via

물론 도 4 및 도 5에서는 VDC/2의 전압을 출력시키기 위하여 인버터부(220)의 스위칭소자 S1 및 S4가 동작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후의 <표 1>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VDC/2의 전압을 출력시키기 위하여는 인버터부(220)의 스위칭소자 S2 및 S3가 동작하도록 하거나, 매 단계마다 스위칭소자 S1 및 S4와 상보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는데, 이는 어디까지나 시스템 설계자의 설계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Of course, in FIGS. 4 and 5, the switching elements S 1 and S 4 of the inverter unit 220 are operated to output a voltage of V DC / 2. 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1 below. In order to output a voltage of -V DC / 2, the switching elements S 2 and S 3 of the inverter unit 220 may be operated or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complementarily with the switching elements S 1 and S 4 at every step. However, since this is a matter that can be changed as much according to the design intention of the system designer to the las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limited thereto.

도 6은 도 2의 멀티레벨 인버터의 VDC 인가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V DC application method of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2.

도 6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는 VDC의 전압을 부하로 인가하기 위하여 스위칭부(210)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 T1 및 T2를 턴온시킴과 동시에 인버터부(220)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 S1 및 S4를 턴온시킨다. 그리고 나머지 스위칭소자 Q1 및 Q2, 그리고 S2 및 S3는 턴오프시킨다. 그 결과 전압 링크부(200)의 커패시터 C1 및 C2와 인버터부(220)의 출력단 사이에 전류 패스가 형성됨으로써 커패시터 C1 및 C2에 각각 차징된 VDC/2 전압의 합에 의한 VDC 전압이 인버터부(220)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된다.Referring to FIG. 6 together with FIG. 2, the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urns on the switching elements T 1 and T 2 constituting the switching unit 210 to apply a voltage of V DC to the load. At the same time, the switching elements S 1 and S 4 constituting the inverter unit 220 are turned on. The remaining switching elements Q 1 and Q 2 , and S 2 and S 3 are turned off. As a result, a current path is formed between the capacitors C 1 and C 2 of the voltage link unit 200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unit 220, and V by the sum of the V DC / 2 voltages charged to the capacitors C 1 and C 2 , respectively. The DC voltage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unit 220.

물론 이의 경우에도 -VDC 전압을 인버터(220)를 통해 출력하기 위하여 이후의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인버터부(220)의 스위칭소자 S2 및 S3를 턴온시키고 S1 및 S4를 턴오프시킬 수 있으며, 매 단계마다 스위칭소자 S2 및 S3를 S1 및 S4와 상보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부를 통해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even in this case, in order to output the -V DC voltage through the inverter 220,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 switching elements S 2 and S 3 of the inverter unit 220 are turned on and S 1 and S 4 are turned on. It may be turned off and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o operate the switching elements S 2 and S 3 complementary to S 1 and S 4 in every step.

도 7은 도 2의 멀티레벨 인버터의 0 전압 인가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zero voltage applying method of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2.

도 7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는 스위칭부(210)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 Q1 및 Q2는 턴온시킴과 동시에 인버터부(220)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 S1 및 S4를 턴온시킨다. 이때 나머지 스위칭소자 T1 및 T2, 그리고 S2 및 S3는 턴오프시킨다. 그 결과 전압 링크부(200)의 커패시터 C1 및 C2와 인버터부(220)의 출력단 사이에 전류 패스가 차단됨으로써 출력단을 통해서는 커패시터 C1 및 C2에 차징된 어떠한 전압도 출력되지 않게 된다.Referring to FIG. 7 together with FIG. 2, in the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elements Q 1 and Q 2 constituting the switching unit 210 are turned on and the inverter constituting the inverter 220 is switched on. Turn on elements S 1 and S 4 . At this time, the remaining switching elements T 1 and T 2 , and S 2 and S 3 are turned off. As a result, the current path is interrupted between the capacitors C 1 and C 2 of the voltage link unit 200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unit 220 so that no voltage charged to the capacitors C 1 and C 2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

물론 인버터부(220)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 S2 및 S3를 턴온시킨다 하더라도 인버터부(220)의 출력단을 통해서는 여전히 0 전압이 출력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0 전압을 출력시키기 위하여 스위칭소자 S1 및 S4를 함께 턴온시키거나 스위칭소자 S2 및 S3를 턴온시켜도 무관하다. 그러나 0 전압이라 하더라도 스위칭소자의 열화 등에 관계된다면 매 단계마다 스위칭소자 S1 및 S4를 스위칭소자 S2 및 S3와 상보적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even if the switching elements S 2 and S 3 constituting the inverter unit 220 is turned on, since the zero voltage is still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unit 22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element to output the zero voltage. It is also possible to turn on S 1 and S 4 together or to turn on the switching elements S 2 and S 3 . However, even if the voltage is 0, the switching elements S 1 and S 4 may be complementary to the switching elements S 2 and S 3 at every stage if the switching elements are deteriorated.

지금까지의 다양한 구동 방법을 도표로 간략하게 정리하면 <표 1>에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의 스위칭 상태에 따른 출력 전압의 레벨을 보여준다.The various driving methods so far can be summarized as shown in <Table 1>. Table 1 shows the levels of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switching state of the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는 9-레벨 인버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압 링크부(800), 스위칭부(810) 및 인버터부(8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presents a 9-level inverter, and as in FIG. 2, the voltage link unit 800, the switching unit 810, and the inverter unit ( It may include part or all of the 820,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여기서, 도 8의 멀티레벨 인버터를 구성하는 전압 링크부(800)는 복수의 전압 서브-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서브-링크부는 전압원 1(V1)의 양단에서 서로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제1 그룹의 커패시터 C11 및 C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서브-링크부는 전압원 2(V2)의 양단에서 서로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제2 그룹의 커패시터 C21 및 C22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voltage link unit 800 constituting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8 may include a plurality of voltage sub-link units. For example, the first sub-link unit may be in series with each other at the voltage source 1 (V 1 ). And a first group of capacitors C 11 and C 12 which are connected, and the second sub-link portion includes a second group of capacitors C 21 and C 22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t voltage source 2 (V 2 ). It may include.

그리고 스위칭부(810)는 제1 및 제2 서브-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스위칭부는 제1 그룹을 이루는 커패시터 C11 및 C12의 양단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소자 T11, Q11, Q12 및 T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커패시터 C11 및 C12의 중성점과 스위칭소자 Q11 및 Q12의 중간점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제2 서브-스위칭부는 제2 그룹을 이루는 커패시터 C21 및 C22의 양단에서 전기적으로 서로 직렬 연결되는 스위칭소자 T21, Q21, Q22 및 T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커패시터 C21 및 C22의 중성점과 스위칭소자 Q21 및 Q22의 중간점은 서로 연결된다. 나아가 제1 및 제2 서브-스위칭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가령 도 2에서와 같이 스위칭소자 Q12의 이미터 단자와 Q21의 컬렉터 단자를 서로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witching unit 81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ub-switching units. The first sub-switching part may include switching elements T 11 , Q 11 , Q 12, and T 12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capacitors C 11 and C 12 constituting the first group, wherein capacitor C 11 And the neutral point of C 12 and the intermediate point of switching elements Q 11 and Q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sub-switching part may also include switching elements T 21 , Q 21 , Q 22 and T 22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t capacitors C 21 and C 22 constituting the second group, wherein capacitor C 21 And the neutral point of C 22 and the intermediate point of switching elements Q 21 and Q 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urthermore, the first and second sub-switching part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emitte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Q 12 and the collector terminal of Q 2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H 브리지 형태의 인버터부(820)는 도 2에서의 인버터부(220)와 마찬가지로 4개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2개의 스위칭소자들이 서로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토폴리지의 양단은 스위칭부(21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다. 예를 들어 스위칭부(810)의 출력 양단을 이루는 스위칭소자 Q11의 컬렉터 단자 및 Q22의 이미터 단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bridge type inverter unit 820 may include four switching elements similar to the inverter unit 220 of FIG. 2.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topologies in which two switching elements are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witching unit 210, respectively. For example, it may be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witching element Q 11 and the emitter terminal of Q 22 which form both ends of the output of the switching unit 810, respectively.

이와 같은 점을 제외한 도 8에서의 기타 개별 소자들의 구체적인 연결 구조는 도 2를 참조한 멀티레벨 인버터에서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Except for this, the specific connection structure of other individual elements in FIG. 8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multilevel inverter with reference to FIG.

상기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는 스위칭부(810)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들의 다양한 온/오프 동작에 따라 다양한 레벨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도 2의 멀티레벨 인버터와 비교해 볼 때, 도 8의 멀티레벨 인버터는 제1 그룹을 이루는 커패시터 C11 및 C12와 제2 그룹을 이루는 커패시터 C21 및 C22에 각각 차징되어 있는 전압을 적절히 합함으로써 ±3/2VDC의 전압과 ±2VDC의 전압을 더 출력할 수 있다.Briefly looking at the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various levels of voltage according to various on / off op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s constituting the switching unit 810 Could be. In other words, when compared to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2,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8 is a voltage charged on the capacitors C 11 and C 12 constituting the first group and the capacitors C 21 and C 22 constituting the second group, respectively. By properly adding, the voltage of ± 3 / 2V DC and the voltage of ± 2V DC can be output more.

예를 들어, ±2VDC의 전압을 인버터부(820)의 출력단을 통해 부하로 인가하기 위하여 스위칭부(810)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 T11, T12, T21 및 T22는 턴온시킴과 동시에 Q11, Q12, Q21 및 Q22는 턴오프시키게 된다. 이때 인버터부(820)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 S11과 S14는 턴온시킴과 동시에 스위칭소자 S12 및 S13는 턴오프시킴으로써 2VDC 전압이 인버터부(820)의 출력단을 통해 부하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스위칭소자 S12 및 S13을 턴온시킴과 동시에 스위칭소자 S11과 S14는 턴오프시킴으로써 -2VDC의 전압을 부하로 인가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동작은 제어부의 제어하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n order to apply a voltage of ± 2V DC to the loa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unit 820, the switching elements T 11 , T 12 , T 21 and T 22 constituting the switching unit 810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Q 11 , Q 12 , Q 21 and Q 22 will be turned off. At this time, the switching elements S 11 and S 14 constituting the inverter unit 820 are turned on and the switching elements S 12 and S 13 are turned off, so that a 2V DC voltage can be output to the loa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unit 820. By turning on the switching elements S 12 and S 13 and simultaneously switching off the switching elements S 11 and S 14 , a voltage of −2 V DC can be applied to the load. Of course, such an operation is preferably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기타 다양한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하여 스위칭부(810)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들의 구동 및 인버터부(820)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들의 동작과 관련해서는 지금까지 도 2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들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s constituting the switching unit 810 and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s constituting the inverter unit 820 to output various levels of voltages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8. As it can be fully understood from the above description,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9는 도 2의 멀티레벨 인버터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9의 (a)는 출력전압의 파형을 나타내고, 도 9의 (b)는 전류지령, 출력전류 및 계통전압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은 도 8의 멀티레벨 인버터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0의 (a)는 출력전압의 파형을 나타내고, 도 10의 (b)는 전류지령, 출력전류 및 계통전압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mulation result of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2. FIG. 9A illustrates a waveform of an output voltage, and FIG. 9B illustrates a waveform of a current command, an output current, and a grid voltage.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mulation result of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8, and FIG. 10A illustrates a waveform of an output voltage, and FIG. 10B illustrates a waveform of a current command, an output current, and a grid voltage. have.

본 시뮬레이션에서는 멀티레벨 인버터의 동작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SIM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표 2>는 시뮬레이션에 사용한 인버터의 시스템의 사양이며 PI 전류제어기를 사용하였다.In this simulation, the PSIM simulation program is used to verify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multilevel inverter. <Table 2> is specification of inverter system used for simulation and PI current controller is used.


정격출력

Rated output

3 kVA

3 kVA

직류링크전압

DC link voltage

400 V

400 V

계통전압

Grid voltage

220 Vrms

220 Vrms

선전류

Line current

13.6 Arms

13.6 Arms

DC 링크 커패시터

DC link capacitor

1000 ㎌

1000 ㎌

필터 인덕터

Filter inductor

1 mH

1 mH

스위칭주파수

Switching frequency

5 ㎑

5 ㎑

계통주파수

Grid frequency

60 ㎐

60 ㎐

도 9는 역률이 0.707일 때, 출력전압과 출력전류, 계통전압을 나타내고 있으며, 계통전압과 출력전류의 위상차를 보기 위하여 출력전류를 10배 확대하였다.9 illustrates the output voltage, the output current, and the grid voltage when the power factor is 0.707, and the output current is enlarged 10 times to see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grid voltage and the output current.

도 10에 나타낸 9 레벨 인버터의 커패시터 전압과 출력전압, 그리고 전류 파형을 도 9의 5 레벨 인버터의 출력 전류와 비교해 보았을 때, 도 10의 전류 파형이 더욱 정현파에 가까운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capacitor voltage, the output voltage, and the current waveform of the 9 level inverter shown in FIG. 10 are compared with the output current of the 5 level inverter of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current waveform of FIG. 10 is closer to the sine wave.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는 도 8을 참조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도 11의 멀티레벨 인버터는 도 8의 멀티레벨 인버터보다 출력전압 레벨을 더 확장할 수 있는 방식이다.As shown in FIG. 11, the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8. However,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11 is a method capable of further extending the output voltage level than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8.

다시 말해, 도 11의 멀티레벨 인버터는 전압원 n(Vn)에 대응되어 제n 그룹을 이루는 커패시터들을 포함하는 전압 링크부(1100), 제n 그룹을 이루는 커패시터들과 서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제n 서브-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스위칭부(1110)를 포함하게 된다. 물론 이의 경우에는 인버터부(1120)의 스위칭소자들은 4개로 동일하다.In other words, the multi-level inverter of FIG. 11 includes a voltage link unit 1100 including capacitors constituting the n-th group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source n (Vn), and an n-th sub-coupled with the capacitors constituting the n-th group. And a switching unit 1110 including a switching unit. Of course, in this case, four switching elements of the inverter unit 1120 are the same.

이와 같은 점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는 도 2를 참조한 멀티레벨 인버터 및 도 8을 참조한 멀티레벨 인버터와 그 연결 구조 및 동작 방법이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Except for this, the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multilevel inverter referring to FIG. 2 and the multilevel inverter referring to FIG. I would like to.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토폴리지를 3개 사용하여 3상의 각 상에 설치하여 구성한 3상 5 레벨 인버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2에 나타낸 멀티레벨 인버터의 확장된 형태다.FIG. 12 shows a three-phase five-level inverter formed by installing three topologies on each of three phases, which is an expanded form of the multilevel inverter shown in FIG. 2.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는 도 2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독립적인 복수의 멀티레벨 인버터(1200_1, 1200_2, 1200_3), 각각의 멀티레벨 인버터(1200_1, 1200_2, 1200_3)의 출력단에 부하로서 각각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변압기(1210_1, 1210_2, 1210_3)를 포함한다. 이때 변압기(1210_1, 1210_2, 1210_3)에서 2차 측의 일측 탭은 각각의 전압 출력단(Va, Vb, Vc)이 되며, 타측 탭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other words, the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dependent multilevel inverters 1200_1, 1200_2, and 1200_3, and respective multilevel inverters 1200_1, 1200_2, and 1200_3, as shown in FIG. It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formers (1210_1, 1210_2, 1210_3) are respectively connected as a load to the output terminal of. At this time, one side tap of the secondary side in the transformer 1210_1, 1210_2, 1210_3 becomes a respective voltage output terminal (Va, Vb, Vc), the other side tap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인버터는 각각의 멀티레벨 인버터((1200_1, 1200_2, 1200_3)를 통해 다양한 레벨을 가지면서 각 멀티레벨 인버터((1200_1, 1200_2, 1200_3)간 위상차 있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각의 변압기(1210_1, 1210_2, 1210_3)를 통해서는 전압을 승압시켜 출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ultilevel invert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levels through the respective multilevel inverters 1200_1, 1200_2, and 1200_3, and each multilevel inverter (1200_1, 1200_2, 1200_3). In addition to outputting a voltage having a phase difference therebetween, each of the transformers 1210_1, 1210_2, and 1210_3 may boost and output the voltage.

이와 같은 제외한 기타 개별 소자들의 연결 구조 및 구동 방법과 관련해서는 앞서 도 2를 참조한 멀티레벨 인버터를 통해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며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connection structure and the driving method of the other individual elements except the above have been described sufficiently through the multi-level inverter with reference to FIG. 2,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위칭소자들은 MOS FET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접합형 FET,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ied Gate Bipolar Transistor), JFET(Junction gate FET),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FET 계열 소자의 게이트 또는 BJT, IGBT 계열 소자의 베이스는 스위칭소자의 구동단으로 통칭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FET 계열 소자의 드레인 또는 BJT, IGBT 계열 소자의 컬렉터는 스위칭소자의 전류 인입단이라 지칭될 수 있으며, FET 계열 소자의 소스 및 BJT, IGBT 계열 소자의 이미터는 전류 인출단이라 지칭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 MOS FET, but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 junction type FET,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a junction gate FET (JFET), and a diode. have. Therefore, the gate of the FET series element or the base of the BJT or IGBT series element may be collectively used as the driving stage of the switching element. In addition, the drain of the FET series device or the collector of the BJT, IGBT series device may be referred to as the current inlet of the switching element, the source of the FET series device and the emitter of the BJT, IGBT series device may be referred to as the current outlet. .

200, 800, 1100: 전압 링크부 210, 810, 1110: 스위칭부
220, 820, 1120: 인버터부 1200_1~1200_3: 멀티레벨 인버터
1210_1~1210_3: 변압기
200, 800, 1100: voltage link unit 210, 810, 1110: switching unit
220, 820, 1120: inverter unit 1200_1 to 1200_3: multi-level inverter
1210_1-1210_3: Transformer

Claims (8)

복수의 전압원에 각각 연결되어 해당 전압원을 복수의 전압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서브 전압 링크부를 포함하는 전압 링크부;
상기 서브 전압 링크부의 각 출력 양단과 상기 전압을 분할하는 중간 노드(Node)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들로 이루어진 서브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상기 서브 스위칭부 간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구동에 따라 멀티레벨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 양단에 연결된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룹의 스위칭소자 또는 상기 제2 그룹의 스위칭소자의 상보적 동작시 주기적으로 상기 멀티레벨 전압의 극성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벨 인버터.
A voltage link unit connected to a plurality of voltage sources, the voltage link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ub voltage link units for dividing the volt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voltages;
A sub-switching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each output of the sub-voltage link unit and an intermediate node dividing the voltage, and the adjacent sub-switching uni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switching unit for outputting a multilevel voltag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witching elements;
A first group and a second group of switching element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output of the switching unit, and periodically complementary to the polarity of the multilevel voltage during complementary operation of the first group of switching elements or the second group of switching elements. Inverter unit to change and output
Multi-level invert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 양단에 연결된 복수의 스위칭소자들은 인접하는 스위칭소자가 서로 연결되어 직렬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벨 인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ing unit is a multi-level inver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acent switching elem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링크부는 상기 해당 전압원을 2개의 전압으로 분할하는 2개의 서브 전압 링크부를 갖는 경우, 상기 인버터부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9 레벨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벨 인버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voltage link unit outputs a 9 level voltage having different polarities when the voltage link unit has two sub voltage link units that divide the corresponding voltage source into two voltages.
제1 전압원을 제공받아 제1 멀티레벨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멀티레벨 인버터; 및
상기 제1 전압원 또는 상기 제1 전압원과 독립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압원을 제공받아 제2 멀티레벨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 멀티레벨 전압을 상기 제1 멀티레벨 전압과 위상이 서로 다르게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레벨 인버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멀티레벨 인버터 및 상기 제2 멀티레벨 인버터는,
입력된 전압을 적어도 2개의 전압으로 분할하는 전압 링크부;
상기 전압 링크부의 출력 양단과 상기 전압을 분할하는 중간 노드(Node)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구동에 따라 멀티레벨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양단에 연결된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룹의 스위칭소자 또는 상기 제2 그룹의 스위칭소자의 상보적 동작시 주기적으로 상기 멀티레벨 전압의 극성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벨 인버터.
A first multilevel inverter receiving a first voltage source and converting the first voltage source into a first multilevel voltage; And
Receives the first voltage source or at least one second voltage source independent of the first voltage source, converts the second voltage into a second multilevel voltage, and outputs the second multilevel voltage differently from the first multilevel voltage; At least one second multilevel inverter,
The first multilevel inverter and the second multilevel inverter,
A voltage link unit dividing an input voltage into at least two voltages;
A switch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connected to both ends of an output of the voltage link unit and an intermediate node dividing the voltage, and outputting a multilevel voltage according to driving of the switching elements; And
And switching devices of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witching unit, and periodically changing the polarity of the multilevel voltage during complementary oper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of the first group or the switching device of the second group. Inverter output
Multi-level invert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레벨 인버터 및 상기 제2 멀티레벨 인버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인버터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위상이 다른 멀티레벨 전압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벨 인버터.
5. The method of claim 4,
At least one of the first multilevel inverter and the second multilevel inverter may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a multilevel voltage having a different phase according to control of at least one of the switching unit and the inverter unit. Multilevel Inverter.
복수의 전압원에 각각 연결되어 해당 전압원을 복수의 전압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서브 전압 링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서브 전압 링크부의 각 출력 양단과 상기 전압을 분할하는 중간 노드(Node)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들로 이루어진 서브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상기 서브 스위칭부 간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칭부가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구동에 따라 멀티레벨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부의 양단에 연결된 제1 그룹의 스위칭소자 또는 제2 그룹의 스위칭소자의 상보적 동작시 주기적으로 상기 멀티레벨 전압의 극성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동 방법.
Driv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sub voltage link unit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voltage sources, respectively, to divide the volt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voltages;
And a sub switch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each output of the sub voltage link unit and an intermediate node dividing the voltage, and a switch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adjacent sub switching units. Outputting a multilevel voltag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witching elements;
Periodically changing the polarity of the multilevel voltage during the complementary operation of the first group of switching elements or the second group of switching element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witching unit
A method of driving a multilevel inver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 멀티레벨 인버터가 제1 전압원을 제공받아 제1 멀티레벨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2 멀티레벨 인버터가 상기 제1 전압원 또는 상기 제1 전압원과 독립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압원을 제공받아 제2 멀티레벨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2 멀티레벨 전압을 상기 제1 멀티레벨 전압과 위상이 서로 다르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멀티레벨 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멀티레벨 전압을 상기 제1 멀티레벨 전압과 위상이 서로 다르게 출력하는 단계는,
전압원에 연결되는 전압 링크부가 입력된 전압을 적어도 2개의 전압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전압 링크부의 출력 양단과 상기 전압을 분할하는 중간 노드(Node)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들을 구동시켜 멀티레벨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하는 스위칭부의 양단에 연결된 제1 그룹의 스위칭소자 또는 제2 그룹의 스위칭소자의 상보적 동작시 주기적으로 상기 멀티레벨 전압의 극성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동 방법.
Receiving, by the first multilevel inverter, a first voltage source and converting the first multilevel voltage into a first multilevel voltage;
At least one second multilevel inverter receives the first voltage source or at least one second voltage source independent of the first voltage source, converts the output into a second multilevel voltage, and outputs the second multilevel voltage. Outputting different levels of multilevel voltage and phase,
The converting into the first multilevel voltage and outputting the second multilevel voltage out of phase with the first multilevel voltage may include:
Dividing a voltage inputted by a voltage link unit connected to a voltage source into at least two voltages;
Outputting a multilevel voltage by driving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an output of the voltage link unit and an intermediate node dividing the voltage; And
Periodically changing the polarity of the multilevel voltage during the complementary oper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of the first group or the switching device of the second group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witching unit including the plurality of switching devices.
A method of driving a multilevel inver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멀티레벨 전압을 상기 제1 멀티레벨 전압과 위상이 서로 다르게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제어와 상기 제1 그룹의 스위칭소자와 상기 제2 그룹의 스위칭소자의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벨 인버터의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second multilevel voltage different from the phase of the first multilevel voltage may include controlling the switching elements constituting the switching unit, switching the first group of switching elements, and the second group of switching elements. A method of driving a multilevel invert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at least one of the control.
KR1020130059199A 2013-05-24 2013-05-24 Multi-level I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3125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199A KR101312589B1 (en) 2013-05-24 2013-05-24 Multi-level I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199A KR101312589B1 (en) 2013-05-24 2013-05-24 Multi-level I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369A Division KR101287444B1 (en) 2011-11-30 2011-11-30 Multi-level I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970A true KR20130062970A (en) 2013-06-13
KR101312589B1 KR101312589B1 (en) 2013-09-30

Family

ID=48860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199A KR101312589B1 (en) 2013-05-24 2013-05-24 Multi-level I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58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1345B (en) * 2013-12-30 2016-05-25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A kind of five-electrical level inverter
KR101718303B1 (en) 2015-03-10 2017-03-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level inverter using a single input source and series-parallel combination of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4005B2 (en) 2003-10-28 2009-03-25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Multi-level output power converter
KR100928549B1 (en) 2007-11-30 2009-11-24 한국전기연구원 Switch clamp multi-level inve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2589B1 (en) 201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mizadeh et al. A new topology of switched-capacitor multilevel inverter with eliminating leakage current
US9800167B2 (en) Multi-phase AC/AC step-down converter for distribution systems
Adam et al. Modular multilevel inverter: Pulse width modulation and capacitor balancing technique
US9325252B2 (en) Multilevel converter systems and sinusoidal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s
KR101769176B1 (en) Multi-level inverter system
US20090244936A1 (en) Three-phase inverter
US10396681B1 (en) Multilevel inverters with increased number of output steps
Khoshkbar-Sadigh et al. Thermal and performance comparison of active neutral-point-clamped (anpc) and dual flyingcapacitor anpc (dfc-anpc) inverters
Sandeep et al. Seven-level active-neutral-point-clamped inverter topology with voltage boosting capability
Ladoux et al. Comparative study of variant topologies for MMC
US20180241321A1 (en) Voltage source converter and control thereof
KR101297320B1 (en) Single phase full-bridge inverter for providing enhanced power quality
Zhao et al. Low-voltage stress seven-level inverter based on symmetrical capacitors
Tayyab et al. Submodule capacitor voltage balancing of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KR101730018B1 (en) Multi-level Inverter Apparatus
Beik et al. A new modular neutral point clamped converter with space vector modulation control
KR101312589B1 (en) Multi-level I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287444B1 (en) Multi-level I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Tran et al. A three-phase cascaded H-bridge quasi switched boost inverter for renewable energy
Mu et al. A semi-two-stage DC-AC power conversion system with improved efficiency based on a dual-input inverter
Islam et al. Power converter topologies for grid-integrated medium-voltage applications
Salari et al. A novel nine-level boost inverter with reduced structure and simple DC link capacitor control
KR101224589B1 (en) Multilevel inverter
Itoh et al.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a multi-level inverter with H-bridge clamp circuit for single-phase three-wire grid connection
Sarkar et al. Performance Improved Multi-Level OEIM Drive With Voltage Boost Through Unequal Lev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