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446A -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446A
KR20130062446A KR1020110123104A KR20110123104A KR20130062446A KR 20130062446 A KR20130062446 A KR 20130062446A KR 1020110123104 A KR1020110123104 A KR 1020110123104A KR 20110123104 A KR20110123104 A KR 20110123104A KR 20130062446 A KR20130062446 A KR 20130062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ser
module
medical
medic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346B1 (ko
Inventor
이한구
윤효근
김명진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23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346B1/ko
Priority to US13/329,424 priority patent/US8838738B2/en
Publication of KR20130062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wherein the security policies are location-dependent, e.g. entities privileges depend on current location or allowing specific operations only from locally connecte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여 관리하여 사용자에 최적화된 의료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와, 사용자가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단말기 내부에 앱으로 구성되어 의료정보처리를 담당하는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로 접속을 유도하는 서비스 브라우저부로 구성되며, 상기 서비스 브라우저부는 모바일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접속 아이디를 통해 사용자에게 아이콘 형태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모듈과,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구성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각 영역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구성을 위한 모듈 추출을 위한 이벤트 정보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모듈과, 사용자의 네트워크 환경을 관리하고,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접속 상황을 유지하는 세션모듈과, 상기 정보를 지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암호화 및 압축 코드로 변환하는 변환모듈과, 사용자의 접속정보와 함께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가상화를 안전하게 구성하기 위해, 상기 변환모듈에 의해 구성된 사용자의 정보를 코드 암화화하는 보안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에 전달하고, 네트워크 상태를 감시하는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며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터치동작을 감지하고 서비스 동작을 감시하는 서비스 핸들러로 구성되어, 상기 의료정보 처리 서비스에 접속된 사용자는 접속자의 상황을 파악하는 상황정보를 스마트 폰에서 구성하여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발생된 사용자의 상황정보와 이벤트 모듈에서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통합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에 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A building system and method of cloud computing for parallel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본 발명은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여 관리하여 사용자에 최적화된 의료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국내의 의료정보 처리 기술은 HL7의 표준에 따라 구성된 영상정보, 처방전달, 전자의무기록(EMR) 등으로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다. 의료정보 처리는 병원마다 독자적인 형태로 관리되고 있으며, 특히, EMR의 경우에는 개인의 평생전자 건강 기록인 EHR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하지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EHR은 개인의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위해 표준화에 맞는 통합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통합을 위한 시스템 기술이 요구되며, 해결방법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과 모바일 브라우저를 기술의 적용이다.
또한 접근성과 의료정보 통합 서비스를 구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분산된 접근 방법, 의료 정보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증 및 포터블 의료 정보,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 제한, 접근 통제 기술 및 프라이버시 보호, 외부 침입에 대한 보안 기술 등이 적용된다.
의료정보 기술은 HL7을 중심으로 의료 용어, 참조 모델, 진료 기록의 형식 및 서식, 메시징 방법 및 의료 정보 보안과 같은 기술과 인터페이스가 기술 표준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이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메시지 기반의 XML, ebXML이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적합성 및 상호운영성 증대, 지적재산권, 표준화에 조화문제, 표준화 기구간의 협력 등을 위한 대용량 시스템으로 통합과 운영 모델이 요구된다. 이러한 환경적 요인으로 클라우드 시스템이 적합하다.
또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의료 정보서비스 의 이용 환경이 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하는 서비스 이용 환경 구축도 요구된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차세대 컴퓨팅 기술로, 웹 2.0 서비스로의 소프트웨어 서비스(Software as a Service:SaaS), 유틸리티 컴퓨팅(Utility Computing)의 개념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컴퓨팅 기술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서비스 구조는 IT환경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 스토리지, SW인프라를 서비스하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해주는 PaaS(Platform as a Service), 컴퓨팅 사업자가 인터넷을 통해 ERP, CRM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활용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로 구성된다.
모바일 브라우저 기술은 스마트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개발된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앱 구조의 소프트웨어 제작 기술이다. 모바일 브라우저는 NDK를 이용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하이브리드 웹의 구조를 가지고 개발되기 때문에 디바이스 컨트롤하는 기능까지 포함되고 있다.
그리고 웹 서버와의 연결된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하는 Node.js를 이용하여 개발하고 있다. Node.js는 싱글쓰레드 모델의 Non-blocking I/O를 API로, Javascript의 장점을 가진 프레임워크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최적화된 구조를 위해 응용프로그램서버, 캐시서버, 디비서버로 구분되어 설계된다.
그렇기 때문에 모바일에서 서버 시스템의 접근을 병렬로 처리할 수 있는 구조에서 서비스 요청과 작업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싱, 로우레벨 네트워킹, 파일 시스템 엑세스, 바이너리 데이터 프로세싱을 포함한 시너지 효과를 가지고 있다.
관련 선행특허로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40013491호는 '온라인 의료 서비스 방법 ' 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을 통해 의료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이동 통신 가입자 번호와 의료기관 선택 정보가 포함된 진료 예약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웹페이지를 통하여 입력된 진료 예약 정보를 진료 예약 신청 메시지로 가공한 후 해당 의료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의료기관으로부터 진료 예약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진료 예약 정보에 의거하여 의료기관과 기 협약된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의료기관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된 인증코드로부터 진료 예약 정보를 추출하여 진료 접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생성된 인증코드를 이동 통신 가입자 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에게 인증코드를 제공한 후에 의료기관에서는 사용자 인증코드를 활용하여 접수 절차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행정 절차가 최소화되어 사용자와 의료기관 모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다른 관련 선행특허로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10074303호는 '통신망을 이용한 의료보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에 관한 것으로,의료보험 수혜자의 개인신상정보와 의료보험 관련정보 및 온라인의 정보접속정보가 저장된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의료보험카드로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스마트미디어 의료보험카드를 이용한 온라인의 정보접속에 의해 해당 의료보험 수혜자의 진료이력을 조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진료의 결과로 발생되는 의료보험료 및 진료비(환자부담금)를 온라인으로 즉각 청구하고 이를 지불인증하도록 되어 있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별로 구분된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의료정보처리 통합서비스 기술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과 헬스케어 서비스를 하나로 통합하여 개인화된 의료정보처리 서비스와 사용자별로 구분되어 실시간 구조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의료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통합된 의료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와, 사용자가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단말기 내부에 앱으로 구성되어 의료정보처리를 담당하는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로 접속을 유도하는 서비스 브라우저부로 구성되며, 상기 서비스 브라우저부는 모바일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접속 아이디를 통해 사용자에게 아이콘 형태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모듈과,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구성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각 영역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구성을 위한 모듈 추출을 위한 이벤트 정보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모듈과, 사용자의 네트워크 환경을 관리하고,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접속 상황을 유지하는 세션모듈과, 상기 정보를 지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암호화 및 압축 코드로 변환하는 변환모듈과, 사용자의 접속정보와 함께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가상화를 안전하게 구성하기 위해, 상기 변환모듈에 의해 구성된 사용자의 정보를 코드 암화화하는 보안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에 전달하고, 네트워크 상태를 감시하는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며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터치동작을 감지하고 서비스 동작을 감시하는 서비스 핸들러로 구성되어, 상기 의료정보 처리 서비스에 접속된 사용자는 접속자의 상황을 파악하는 상황정보를 스마트 폰에서 구성하여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발생된 사용자의 상황정보와 이벤트 모듈에서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통합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에 제출한다.
상기 의료정보처리 소프트웨어 모듈은, 상기 서비스 이용자별로 구분된 의료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조정 모듈과, 상기 서비스에 따른 스케줄을 조정하는 스케줄러 모듈과, 상기 데이터를 종류별로 구분하고, 이를 클러스터링하는 분산 데이터 모듈과 자원을 관리하는 플랫폼들의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 연결 모듈로 구성되어, 스마트 폰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의료 정보를 처리한다.
상기 서비스 브라우저부는 스마트 폰에서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의 기능과 터치 동작으로 발생되는 이벤트를 처리하고 사용자별 사용할 수 있는 아이콘으로 표현된 서비스 소프트웨어와 사용자의 터치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 출력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스케줄러 모듈은 모바일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이벤트를 처리하고 서비스 정보를 분석하는 의료정보 스케줄링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정보로부터 서비스 상태값을 확인하고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사용권한과 소프트웨어 자원,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하는 서비스 자원 스케줄링 모듈과, 상기 서비스 자원 스케줄링 모듈의 서비스 자원에 대한 권한 전달과 의료정보 및 서비스 스케줄링을 관리하고 분배하는 서비스 분배 스케줄링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분산 데이터 모듈은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데이터를 종류별로 구분하고, 이를 클러스터링하여 데이터의 위치, 성격, 등급을 메타데이터 DB에 저장하고 성격별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플랫폼 연결 모듈은 의료정보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시스템을 관리하고 정보 자원을 관리하는 플랫폼들의 연결 기능을 제공하고 서비스 처리에 필요한 자원을 가상화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 단말기에서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접속한다.
상기 의료정보 스케줄링 모듈은 사용자의 등급에 맞게 조정된 의료정보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서 조작한 동작을 이벤트로 전달받은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서비스에 필요한 의료정보를 분석하고 관계성을 확보하여 의료서비스에 필요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자원 스케줄링 모듈은 스마트 폰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발생시킨 서비스 이벤트의 동작에 따라 상태값을 확인하고,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브라우져로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과 접근 권한을 확보하고, 상기 서비스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자원들과 하드웨어 자원들을 수집하여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모든 자원을 관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분배 스케줄링 모듈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를 이용정도에 따라 저장 공간 및 서비스 자원을 분배하고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패킷 분배와 자원의 문제점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을 통한 서비스 이용자별로 구분된 의료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조정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조정 모듈은 의료정보 처리를 위한 사용자 등급 조정과 정보 접근 제한을 관리하는 사용자접근 조정모듈과, 의료정보 통합처리를 지원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조정하여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조정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브라우저부를 통해 사용자가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단말기 내부에 앱으로 구성되어 의료정보처리를 담당하는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로 접속을 유도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하여 모바일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접속 아이디를 통해 사용자에게 아이콘 형태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와, 이벤트 모듈을 통하여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구성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각 영역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구성을 위한 모듈 추출을 위한 이벤트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세션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네트워크 환경을 관리하고,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접속 상황을 유지하는 단계와, 변환모듈을 통해 상기 정보를 지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암호화 및 압축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와, 보안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의 접속정보와 함께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가상화를 안전하게 구성하기 위해, 상기 변환모듈에 의해 구성된 사용자의 정보를 코드 암화화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에 전달하고, 네트워크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와, 서비스 핸들러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며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터치동작을 감지하고 서비스 동작을 감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여 관리하고,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등급별로 구분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 폰 단말기의 브라우저에서 제한된 접근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최적화된 의료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위치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응급환자의 처리를 위한 진단 및 실시간 진료, 진단 서비스를 제공받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단말기뿐만 아니라 네트워크가 연결된 임베디드 기능을 적용한 장치에서 브라우저를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폰에서 통합된 의료정보를 개인별로 구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을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폰 단말기에서 개인별로 의료정보 처리서비스를 상호처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구조에 대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료정보처리를 위한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플랫폼에 대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정보처리를 위한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정보처리를 위한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응용 서비스에 대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의료정보처리를 위한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가상화 서비스를 구성하는 상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과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은 스마트 폰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정보처리 도구를 이용하여 의료 정보처리 서비스를 통합한 모바일 의료 정보처리 클라우드 시스템에 접근하고, 사용자에 따라 배정된 접근권한을 부여받아 자신에게 맞는 의료 정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이용하는 의료 정보처리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은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800)와, 사용자가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단말기 내부에 앱으로 구성되어 의료정보처리를 담당하는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로 접속을 유도하는 서비스 브라우저부(10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 브라우저부(100)는 모바일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접속 아이디를 통해 사용자에게 아이콘 형태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모듈(130)과, 상기 위치 정보는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구성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각 영역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구성을 위한 모듈 추출을 위한 이벤트 정보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모듈(140)과, 사용자의 네트워크 환경을 관리하고,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접속 상황을 유지하는 세션모듈(150)과, 상기 정보를 지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암호화 및 압축 코드로 변환하는 변환모듈(160)과, 사용자의 접속정보와 함께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가상화를 안전하게 구성하기 위해, 상기 변환모듈에 의해 구성된 사용자의 정보를 코드 암화화하는 보안모듈(170)과,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800)에 전달하고, 네트워크 상태를 감시하는 네트워크 모듈(110)과,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8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며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터치동작을 감지하고 서비스 동작을 감시하는 서비스 핸들러(12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의료정보 처리 서비스에 접속된 사용자는 접속자의 상황을 파악하는 상황정보를 스마트 폰에서 구성하여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800)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에서 발생된 사용자의 상황정보와 이벤트 모듈에서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통합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800)에 제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시스템을 포함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800)는 서비스 플랫폼을 구성하기 위한 플랫폼 연결부(400)와 개방형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사용자별로 애플리케이션의 기본을 구성하는 의료정보처리 관리 소프트웨어부(500)와 사용자의 상화에 따라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루어진 애플리케이션부(600)와 각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모바일 서비스 가상화부(700) 등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800)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구조로 구성된다.
각 서비스 영역별 중에서 인프라 서비스 영역은 일반적인 하드웨어 장비로 구성된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영역은 개방형 구조를 가지고 있는 플랫폼으로 서비스를 구성하여 표준화에 맞는 서비스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서비스 영역도 마찬가지로 개방형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며, 의료정보처리 서비스에 필요한 서비스 소프트웨어는 개방형 API로 구성하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조직하도록 한다.
애플리케이션 영역은 의료정보처리 서비스에 필요한 서비스들로 구성된다. 사용자의 의료서비스를 확인하는 개인의료정보 관리 서비스, 예약서비스, 개인진료기록 서비스, 자가진단서비스를 기본으로 추가적인 서비스를 구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의료기관의 사용자를 위한 환자관리서비스, 의료보험 관리서비스, 기관관리 서비스 등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정부관리자 서비스를 위해 의료기관 관리서비스, 의료보험 관리서비스 등으로 구성하고,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 관리자를 위한 매뉴얼로 구성된다. 각 서비스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에 아이콘 구조로 제공되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장치에 따라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구성이 달라지는 개인화 인터페이스 구조를 가진다.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을 구성하는 플랫폼 연결모듈(400)은 서비스의 구성과 인프라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플랫폼들로 구성된다.
먼저 서비스 플랫폼(410)은 사용자의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구성하고 인프라 자원을 사용자의 환경에 맞게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의 접속정보로 서비스 이용도구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서비스 자원과 플랫폼의 동작,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구성하도록 한다.
데이터 플랫폼(420)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저장 공간과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접속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에 맞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서비스 정보에 접근성을 보장한다.
네트워크 플랫폼(430)은 사용자의 접속상태를 확인하고 세션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인트라넷,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고 서비스 유지를 위한 네트워크의 통신속도를 관리한다.
보안 플랫폼(440)은 사용자별로 접속형태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별, 서비스별로 구분된 서비스 보안을 설정한다.
기본적으로 방화벽의 역할과 암호화와 데이터 압축을 통해 데이터의 보호를 확인한다. 장치제어플랫폼(450)은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버의 물리적 자원을 관리하고 가상화에 필요한 자원을 분배하는 기능을 가진다. 각 물리적 장치는 사용자의 접근 상태를 파악하고, 서비스 자원을 분배하는 분산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접근성을 보장하고, 서비스에 대한 자원의 이용효율성을 제시한다.
코어플랫폼(460)은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가 가지고 있는 각 서비스를 위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코어를 관리하고, 각 코어에 따라 동작되는 개방형 API 분배와 서비스 가상화에 필요한 자원의 가상화 코어를 관리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의료정보처리 관리 소프트웨어부(50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직접적으로 구성하는 부분이다.
즉 의료정보처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는 플랫폼 연결부에서 사용자의 서비스 구성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선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자원관리모듈(510)은 사용자의 정보를 가지고 데이터를 구분하는 데이터 구분 모듈이 내장되어 사용자의 상황정보와 서비스에 필요한 서비스 자원을 선별한다.
선별된 자원을 사용자의 유형별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구성하고 서비스 아이콘과 데이터의 접근을 허락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유롭게 자신의 데이터를 접근한다.
로직구성모듈(520)은 자원관리 모듈에 의해서 선택된 소프트웨어 자원과 플랫폼 자원, 물리적자원에 대한 연결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상태와 서비스 이용 조건에 맞는 서비스로직을 구성한다.
표현모듈(530)은 사용자의 서비스 로직에 따라 아이콘으로 표현되는 서비스 자원과 데이터의 표현 구조를 정의한다. 상기 데이터 표현구조는 HL7 표준에 의해 엑스엠엘(XML) 스키마로 표현한다. 또한 각 데이터의 안전한 검색과 표현을 위해 데이터 링크를 표현한다.
제어모듈(540)은 서비스 소프트웨어의 제어와 각 기관별로 서비스 자원에 대한 제어와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모듈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의 서비스 소프트웨어와 의료기관의 데이터 및 자원 관리, 정부기관의 데이터 관리에 필요한 관리자들에게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모듈이다.
이 과정을 거친 소프트웨어 서비스들은 개방형 소프트웨어와 API로 구성되며, 각 소프트웨어의 연결성을 보장하는 클래스를 모듈별로 구성하여 소프트웨어 연결성을 보장한다.
이렇게 추출된 의료정보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서비스는 통합모듈(550)에 의해 하나로 통합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애플리케이션에 맞게 통합된다.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애플리케이션부(600)는 플랫폼과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인스턴스 모듈(610)은 사용자별로 상황에 맞는 서비스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위해 이전단계에서 구성된 플랫폼과 소프트웨어의 인스턴스를 호출한다. 이렇게 호출된 인스턴스를 조합하는 기능을 갖는 서비스딜리버리모듈(620)은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에 맞는 서비스를 구성한다. 각 서비스 자원에 대한 아이콘 연결을 담당하며 사용자의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최적화모듈(630)은 서비스딜리버리모듈에서 구성된 사용자의 서비스 상황을 이용장치에 맞게 사용자 상황을 고려한 서비스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화 과정을 거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장치에서 이용하는 서비스 접근시간과 데이터 처리시간을 절약하고 최상의 서비스 상태를 유지시킨다.
세션모듈(640)은 사용자의 접속신호를 확인하고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에 사용자의 세션을 등록하고 접속이 중단되는 상태를 관리하여 강제로 접속이 중단되었을 때의 상태를 확인하여 서비스와 데이터를 보전하는 기능을 가진다. 에이전트모듈(650)은 사용자의 서비스 상태를 관리하고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자원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서비스 상황을 고려한 자동화된 서비스 구성을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접속으로 서비스를 구성하는 사용자보드모듈(660)은 사용자의 서비스 규격에 맞게 사용자의 서비스 브라우저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조합한다. 또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상태를 확인하여 서비스 상황에 따라 이용하는 서비스 자원에 대한 자료를 로그로 기록하여 관리한다.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모바일 서비스 가상화부(700)는 사용자에게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서비스 보안을 강화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인스턴스호출모듈(710)은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인프라 자원과 플랫폼, 소프트웨어에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를 호출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맞게 재구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기능은 사용자의 접속 상황 정보에서 제출된 사용자의 서비스 인스턴스 호출정보(100)와 이용정보,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분석된 정보에 따라 서비스를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러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인스턴스통합모듈(720)은 호출된 각각의 인스턴스를 통합하여 가상화를 조정한다. 이 모듈은 사용자의 서비스 메뉴를 구성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인 모바일 서비스 브라우저를 구성하는 아이콘을 호출한다.
가상화계산모듈(725)은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가 가지고 있는 서비스 자원으로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가상화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자원을 계산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장치와 기능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백업기능을 확보한다.
가상화분배모듈(730)은 사용자들의 접속자 수에 따라 기본적으로 구성되는 의료정보처리 서비스의 가상화 이미지를 분배한다. 이것은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유휴 상태에 따라 추가적인 서버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주변의 장치를 수집하여 서비스에 활용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럼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고 최소한의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가상화딜리버리모듈(740)은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서비스 브라우저에 직접적으로 제공되는 가상화이미지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화이미지는 이전단계들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서비스 상황과 의료정보처리에 필요한 서비스 자원들로 구성된 가상화 서비스를 이미지로 구성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별로 구성된 특화된 서비스 항목을 제공받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서비스 브라우저부를 통해 사용자가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단말기 내부에 앱으로 구성되어 의료정보처리를 담당하는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로 접속을 유도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하여 모바일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접속 아이디를 통해 사용자에게 아이콘 형태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계속하여 이벤트 모듈을 통하여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구성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각 영역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구성을 위한 모듈 추출을 위한 이벤트 정보를 발생시킨다.
또한 세션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네트워크 환경을 관리하고,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접속 상황을 유지한다.
그리고 변환모듈을 통해 상기 정보를 지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암호화 및 압축 코드로 변환한다.
계속하여 보안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의 접속정보와 함께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가상화를 안전하게 구성하기 위해, 상기 변환모듈에 의해 구성된 사용자의 정보를 코드 암화화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에 전달하고, 네트워크 상태를 감시하고, 서비스 핸들러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며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터치동작을 감지하고 서비스 동작을 감시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 폰 단말기의 브라우저에서 제한된 접근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최적화된 의료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정 모듈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자별로 구분된 의료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에 따른 스케줄을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를 종류별로 구분하고, 이를 클러스터링하며, 자원을 관리하는 플랫폼들의 연결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스마트 폰에서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의 기능과 터치 동작으로 발생되는 이벤트를 처리하고 사용자별 사용할 수 있는 아이콘으로 표현된 서비스 소프트웨어와 사용자의 터치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출력하고, 관리한다.
또한 모바일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이벤트를 처리하고 서비스 정보를 분석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정보로부터 서비스 상태값을 확인하고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사용권한과 소프트웨어 자원,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하며, 상기 서비스 자원 스케줄링 모듈의 서비스 자원에 대한 권한 전달과 의료정보 및 서비스 스케줄링을 관리하고 분배한다.
계속하여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데이터를 종류별로 구분하고, 이를 클러스터링하여 데이터의 위치, 성격, 등급을 메타데이터 DB에 저장하고 성격별로 검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의료정보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시스템을 관리하고 정보 자원을 관리하는 플랫폼들의 연결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등급에 맞게 조정된 의료정보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서 조작한 동작을 이벤트로 전달받은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서비스에 필요한 의료정보를 분석하고 관계성을 확보하여 의료서비스에 필요한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또한 스마트 폰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발생시킨 서비스 이벤트의 동작에 따라 상태값을 확인하고,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브라우져로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과 접근 권한을 확보하고, 상기 서비스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자원들과 하드웨어 자원들을 수집하여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모든 자원을 관리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를 이용정도에 따라 저장 공간 및 서비스 자원을 분배하고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패킷 분배와 자원의 문제점을 화면으로 출력한다.
상기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을 통한 서비스 이용자별로 구분된 의료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료정보 처리를 위한 사용자 등급 조정과 정보 접근 제한을 관리하고, 의료정보 통합처리를 지원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조정하여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의 서비스 구축 방법과 정보 처리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 폰 단말기를 통해 가공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술로, 이를 활용한 클라우드 시스템의 정보서비스 개발 분야, 기업의 스마트 업무환경 구축, 이동형 의료 정보통합 시스템, 이동형 헬스케어 서비스, 홈관리 서비스, 개인화된 서비스 산업 분야 등에 활용될 수 있다.
100 : 서비스 브라우저부 110 : 네트워크 모듈
120 : 서비스 핸들러 130 : 인터페이스 모듈
140 : 이벤트 모듈 150 : 세션모듈
160 : 변환모듈 170 : 보안모듈
400 : 플랫폼 연결부 410 : 서비스 플랫폼
420 : 데이터 플랫폼 430 : 네트워크 플랫폼
440 : 보안 플랫폼 450 : 장치제어플랫폼
460 : 코어플랫폼
500 :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의료정보처리 관리 소프트웨어부
510 : 자원관리모듈 520 : 로직구성모듈
530 : 표현모듈 540 : 제어모듈
600 :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애플리케이션부
610 : 인스턴스 모듈 620 : 서비스딜리버리모듈
630 : 최적화모듈 640 : 세션모듈
650 : 에이전트모듈 660 : 사용자보드모듈
700 : 모바일 서비스 가상화부 710 : 인스턴스호출모듈
720 : 인스턴스통합모듈 725 : 가상화계산모듈
730 : 가상화분배모듈 740 : 가상화딜리버리모듈
800 :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

Claims (11)

  1.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와;
    사용자가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단말기 내부에 앱으로 구성되어 의료정보처리를 담당하는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로 접속을 유도하는 서비스 브라우저부;
    로 구성되며,
    상기 서비스 브라우저부는,
    모바일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접속 아이디를 통해 사용자에게 아이콘 형태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모듈과;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구성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각 영역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구성을 위한 모듈 추출을 위한 이벤트 정보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모듈과;
    사용자의 네트워크 환경을 관리하고,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접속 상황을 유지하는 세션모듈과;
    상기 정보를 지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암호화 및 압축 코드로 변환하는 변환모듈과;
    사용자의 접속정보와 함께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가상화를 안전하게 구성하기 위해, 상기 변환모듈에 의해 구성된 사용자의 정보를 코드 암화화하는 보안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에 전달하고, 네트워크 상태를 감시하는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며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터치동작을 감지하고 서비스 동작을 감시하는 서비스 핸들러로 구성되어,
    상기 의료정보 처리 서비스에 접속된 사용자는 접속자의 상황을 파악하는 상황정보를 스마트 폰에서 구성하여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발생된 사용자의 상황정보와 이벤트 모듈에서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통합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에 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처리 소프트웨어 모듈은,
    상기 서비스 이용자별로 구분된 의료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조정 모듈과;
    상기 서비스에 따른 스케줄을 조정하는 스케줄러 모듈과;
    상기 데이터를 종류별로 구분하고, 이를 클러스터링하는 분산 데이터 모듈과;
    자원을 관리하는 플랫폼들의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 연결 모듈과;
    로 구성되어, 스마트 폰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의료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브라우저부는,
    스마트 폰에서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의 기능과 터치 동작으로 발생되는 이벤트를 처리하고 사용자별 사용할 수 있는 아이콘으로 표현된 서비스 소프트웨어와 사용자의 터치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 출력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 모듈은,
    모바일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이벤트를 처리하고 서비스 정보를 분석하는 의료정보 스케줄링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정보로부터 서비스 상태값을 확인하고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사용권한과 소프트웨어 자원,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하는 서비스 자원 스케줄링 모듈과;
    상기 서비스 자원 스케줄링 모듈의 서비스 자원에 대한 권한 전달과 의료정보 및 서비스 스케줄링을 관리하고 분배하는 서비스 분배 스케줄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데이터 모듈은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데이터를 종류별로 구분하고, 이를 클러스터링하여 데이터의 위치, 성격, 등급을 메타데이터 DB에 저장하고 성격별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연결 모듈은,
    의료정보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시스템을 관리하고 정보 자원을 관리하는 플랫폼들의 연결 기능을 제공하고 서비스 처리에 필요한 자원을 가상화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 단말기에서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 스케줄링 모듈은,
    사용자의 등급에 맞게 조정된 의료정보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서 조작한 동작을 이벤트로 전달받은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서비스에 필요한 의료정보를 분석하고 관계성을 확보하여 의료서비스에 필요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자원 스케줄링 모듈은,
    스마트 폰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발생시킨 서비스 이벤트의 동작에 따라 상태값을 확인하고,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브라우져로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과 접근 권한을 확보하고, 상기 서비스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자원들과 하드웨어 자원들을 수집하여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모든 자원을 관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분배 스케줄링 모듈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를 이용정도에 따라 저장 공간 및 서비스 자원을 분배하고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패킷 분배와 자원의 문제점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을 통한 서비스 이용자별로 구분된 의료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조정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조정 모듈은 의료정보 처리를 위한 사용자 등급 조정과 정보 접근 제한을 관리하는 사용자접근 조정모듈과;
    의료정보 통합처리를 지원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조정하여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11.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브라우저부를 통해 사용자가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단말기 내부에 앱으로 구성되어 의료정보처리를 담당하는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로 접속을 유도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하여 모바일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접속 아이디를 통해 사용자에게 아이콘 형태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와;
    이벤트 모듈을 통하여 의료정보처리 서비스를 구성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각 영역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구성을 위한 모듈 추출을 위한 이벤트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세션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네트워크 환경을 관리하고,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접속 상황을 유지하는 단계와;
    변환모듈을 통해 상기 정보를 지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암호화 및 압축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와;
    보안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의 접속정보와 함께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의 가상화를 안전하게 구성하기 위해, 상기 변환모듈에 의해 구성된 사용자의 정보를 코드 암화화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에 전달하고, 네트워크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와;
    서비스 핸들러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부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며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터치동작을 감지하고 서비스 동작을 감시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방법.
KR1020110123104A 2011-11-23 2011-11-23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29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04A KR101329346B1 (ko) 2011-11-23 2011-11-23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3/329,424 US8838738B2 (en) 2011-11-23 2011-12-19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dical information through medical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04A KR101329346B1 (ko) 2011-11-23 2011-11-23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446A true KR20130062446A (ko) 2013-06-13
KR101329346B1 KR101329346B1 (ko) 2013-12-19

Family

ID=4842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104A KR101329346B1 (ko) 2011-11-23 2011-11-23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38738B2 (ko)
KR (1) KR1013293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900A (ko) * 2014-03-10 2015-09-18 (주)아이알엠 대상체의 의료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010240A (zh) * 2019-04-01 2019-07-12 安徽九翔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医疗机构信息云计算服务平台
KR102038016B1 (ko) * 2017-04-25 2019-10-29 김현민 스마트 휴대 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와 로봇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102141760B1 (ko) * 2019-06-27 2020-08-05 주식회사 메디블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21811T3 (es) 2012-06-25 2021-04-27 Gecko Health Innovations Inc Dispositivos, sistemas y métodos para la monitorización del cumplimiento terapéutico e interacción del paciente
PL3038687T3 (pl) 2013-08-28 2019-08-30 Gecko Health Innovations, Inc. Urządzenia do monitorowania przestrzegania zaleceń i urządzenia do monitorowania korzystania z dozowników produktów konsumpcyjnych
CN104954403B (zh) * 2014-03-28 2019-12-10 苏州美房云客软件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云计算的智能家居配备方法及系统
CN105701752A (zh) * 2016-04-22 2016-06-22 东华大学 一种用于精神病患者的室内外无缝定位与监控系统
CN105847400A (zh) * 2016-04-25 2016-08-10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基于代理服务器的业务变更方法和系统
CN106357424A (zh) * 2016-08-25 2017-01-25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云平台手机端协同工作系统
CN106131088A (zh) * 2016-08-31 2016-11-16 成都秦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信息私密通道的信息传送方法、装置及系统
CN106161469A (zh) * 2016-08-31 2016-11-23 成都秦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信息私密传送方法、装置及系统
CN106131087A (zh) * 2016-08-31 2016-11-16 成都秦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信息私密通道的信息分送方法和装置
CN110855743B (zh) * 2019-09-30 2021-11-05 上海大学 基于数据云平台的智慧楼宇远程运维系统
US20210136059A1 (en) * 2019-11-05 2021-05-06 Salesforce.Com, Inc. Monitoring resource utilization of an online system based on browser attributes collected for a sess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3107B1 (en) * 1998-10-09 2007-11-06 Netmotion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and other intermittent connectivity in a computing environment
US7644171B2 (en) * 2001-09-12 2010-01-05 Netmotion Wireless, Inc. Mobile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using IPv4 and IPv6
US20110191122A1 (en) * 2008-09-15 2011-08-04 ZocDo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hysician referrals
US8868724B2 (en) * 2009-05-01 2014-10-21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virtual appliance in an application delivery fabric
JP5681706B2 (ja) * 2009-05-28 2015-03-11 ケイジャヤ、エルエルシー 専用ウェブポータルを用いた医療用スキャンの高度可視化高速アクセ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GB201004449D0 (en) * 2010-02-22 2010-05-05 Corbett Sean Data accelerator
US20110213687A1 (en) * 2010-02-26 2011-09-01 James Michael Ferris Systems and methods for or a usage manager for cross-cloud appliances
US8364819B2 (en) * 2010-05-28 2013-01-29 Red Ha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ross-vendor mapping service in cloud networks
US20120158947A1 (en) * 2010-12-17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supporting cost aware applications
US8578460B2 (en) * 2011-05-23 2013-11-05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ng cloud service reconnections
US9451383B2 (en) * 2011-10-21 2016-09-2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one or more communication session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900A (ko) * 2014-03-10 2015-09-18 (주)아이알엠 대상체의 의료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38016B1 (ko) * 2017-04-25 2019-10-29 김현민 스마트 휴대 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와 로봇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3706A (ko) * 2017-04-25 2019-11-01 김현민 스마트 휴대 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와 로봇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WO2020213799A1 (ko) * 2017-04-25 2020-10-22 김현민 스마트 휴대 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와 로봇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CN110010240A (zh) * 2019-04-01 2019-07-12 安徽九翔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医疗机构信息云计算服务平台
KR102141760B1 (ko) * 2019-06-27 2020-08-05 주식회사 메디블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32511A1 (en) 2013-05-23
US8838738B2 (en) 2014-09-16
KR101329346B1 (ko)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346B1 (ko) 의료용 단말기를 통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380428B2 (en) Location-based anticipatory resource provisioning
Ahuja et al. A survey of the state of cloud computing in healthcare
CN105024865B (zh) 云联合即服务
CN104246738B (zh) 本地迁移
CN105095786B (zh) 使用动态呈现和数据配置建立安全移动协同应用的平台
US116149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odular applications with dynamically generated user experience and automatic authentication
US11640324B2 (en) Intelligent cloud management based on profile
CN103886529A (zh) 一种健康档案信息管理服务系统及方法
CN105493117A (zh) 用于处理关于移动通信设备的请求的系统、方法以及计算机程序产品
CN103607435A (zh) 一种基于云计算的医学图像存储系统及方法
Masrom et al. A review of cloud computing technology solution for healthcare system
CN103793656A (zh) 通过元数据协调器实现的安全
CN102314551A (zh) 用于传递远程上下文的系统和方法
Ahmad et al. IoT-fog-based healthcare 4.0 system using blockchain technology
Goel et al. Efficient Blood Availability for Targeted Individuals Through Cloud Computing Web Application
US113346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a user experience based on patient context, user roles, current workflow, and display proximity
CN113779609A (zh) 数据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Banerjee et al. Design of a cloud based emergency healthcare service model
Håkansson Ipsum–an approach to smart volatile ICT-infrastructures for smart cities and communities
Poulymenopoulou et al. E-EPR: a workflow-based electronic emergency patient record
KR20210029911A (ko) 클라우드 모델과 브라우져기술을 적용한 의료정보시스템 및 그 방법
US10748646B2 (en) Chunk-wise transmission of time-series data to mobile devices
US10447769B2 (en) Enhanced time-series data streams for transmission to mobile devices
Korostelev et al. M 2-pass: Sms-based mobile patient support and responding to challenges of transitional 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