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429A -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429A
KR20130062429A KR1020110120843A KR20110120843A KR20130062429A KR 20130062429 A KR20130062429 A KR 20130062429A KR 1020110120843 A KR1020110120843 A KR 1020110120843A KR 20110120843 A KR20110120843 A KR 20110120843A KR 20130062429 A KR20130062429 A KR 20130062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window
real
social network
still image
tim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3440B1 (ko
Inventor
강장묵
차재상
이선희
최성진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20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440B1/ko
Publication of KR20130062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디지털 창문이 인터넷을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능이 없어, 나와 친구관계, 친구와 친구관계, 또는 나와 협력관계에 있는 외부 영상촬영수단(스마트폰, CCTV)과의 소셜네트워크망 연결이 어려워 다양한 정보공유가 어렵고, 원격지에서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디지털 창문으로의 실시간 전송이 어려운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100),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200),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서버(300), 영상촬영공급수단(400)으로 구성됨으로서, 두루마기로 말아지거나 휘어진 상태에서 투명유리 윈도우(창문)의 외부 또는 내부에 부착시킬 수 있어,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아 설치가 간편하며,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을 통해 나와 친구관계, 또는 나와 협력관계에 있는 영상촬영공급수단과 연결되어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에 관한 콘텐츠 기반 소셜 네트워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콘텐츠에 태그를 설정하여 정보검색 및 탐색을 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영상촬영공급수단으로부터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스마트윈도우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OF SMART WINDOW TO COMMUNICATE A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은 윈도우(창문) 삽입형 복합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두루마기로 말아지거나 휘어진 상태에서 투명유리 윈도우의 외부 또는 내부에 부착시, 서버(마이컴부)의 제어하에 실내환경에 따른 1:1 맞춤형 실시간 동영상, 정지영상 이미지, 사운드, 지오태깅 등이 포함된 복합정보 등을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시키는 스마트 윈도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창문은 건물이나 주택에서 외부와 감성적으로 연결하는 통로로서, 일부 감시 및 프라이버시 침해 등 악용되는 부정적인 면도 없지는 않으나 창문은 건축물에서 매우 중요하고 필수적인 요소이다.
창문의 주요 기능은 환기, 채광, 건물 밖의 전경을 보는 장소 등 다양한 기능으로 구분되는데, 오늘날과 같이 밀집된 고층의 아파트가 대중적인 상황에서 창문은 그 기능의 일부를 주변 건축물 외 여러 원인으로 상실하고 있다.
즉, 밀집된 공간에서는 창문을 통해 사생활이 침해받을 수 있기 때문에 건물 외부 공간과 건물 내부의 환경 차이, 또는 안전을 목적으로 특수한 상황(예컨대, 환기나 채광)을 제외하고 거의 폐쇄되어 창문 고유의 기능(즉, 외부와의 교감)이 퇴색되어 가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이는 창문에 의해 벽이라는 폐쇄된 환경에서 오는 심적 부담감을 해소하고 외부의 정보를 얻던 기능이 상실된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폐쇄되거나 구조상 전망이 나쁜 창문은 창밖의 기상변화나 전경을 전혀 볼 수 없어 실내 환경을 황폐화시킬 뿐만 아니라, 거주자에게 정신의학적으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실내 생활이 대부분인 현대인에게 창문의 고전적인 기능만을 제공한다는 것은 홈 네트워크 센서(sensor), 유비쿼터스(Ubiquitous) 기술이 보급되고 있는 현 상황에 미루어 매우 시대에 역행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670608호(2007년01월17일 공고)에서는 영상 정보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지털 창문으로서, 주거 공간 내부로 향하도록 상기 창문의 틀에 설치되며 임의의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임의의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디지털 창문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디지털 창문의 이동을 감지하는 위치센서로 이루어진 디지털 창문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TFT-LCD, 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소자로 이루어져 창문에 설치 시, 창문사이즈별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주문제작되어야 하므로 설치시간이 오래 걸리고, 디스플레이 수단 자체가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별도의 지지수단을 구비해야 되므로,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디지털 창문에는 인터넷을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능이 없어, 나와 친구관계, 친구와 친구관계, 또는 나와 협력관계에 있는 외부 영상촬영수단(스마트폰, CCTV)과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의 연결이 어려워 다양한 정보공유가 제한되고, 무엇보다 원격지에서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디지털 창문으로의 실시간 전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670608호(2007년01월17일 공고)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두루마기로 말아지거나 휘어진 상태에서 투명유리 윈도우(창문)의 외부 또는 내부에 부착시킬 수 있어,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아 설치가 간편하며,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을 통해 나와 친구관계, 또는 나와 협력관계에 있는 영상촬영공급수단과 연결되어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에 관한 콘텐츠 기반 소셜 네트워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콘텐츠에 태그를 설정하여 정보검색 및 탐색을 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영상촬영공급수단으로부터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스마트윈도우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두루말이형 디스플레이라함은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장치뿐만 아니라, 두께가 5cm 미만의 얇은 디스플레이로서 이처럼 얇은 장치는 윈도우 사이에 삽입하여 윈도우 자체를 스마트 윈도우 또는 자체 발광 윈도우 또는 통신이 가능한 자체 발광 윈도우로 진화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장치는
투명유리 윈도우(창문)의 외부 또는 내부삽입되어 형성된 후,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 탐색명령을 보내고,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을 통해 나와 친구관계, 또는 나와 협력관계에 있는 영상촬영공급수단과 소셜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어 영상촬영공급수단으로부터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100)와,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 일측에 연결되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서버를 통해 소셜네트워크망을 형성시킨 후,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 탐색명령을 수행하고, 소셜네트워크망에 위치한 특정 영상촬영공급수단에서 스마트윈도우로 접근시, 인증 후 특정 영상촬영공급수단에서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수신받아 스마트윈도우로 전송시키는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200)과,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와 친구관계, 또는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와 협력관계에 있는 N개의 영상촬영공급수단과 소셜네트워크망을 형성시키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서버(300)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서버(300)와 소셜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고,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로 전송시키는 영상촬영공급수단(400)으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두루마기로 말아지거나 휘어진 상태에서 투명유리 윈도우(창문)의 외부 또는 내부(삽입 등)에 손쉽게 부착시킬 수 있어, 설치가 간편하고,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을 통해 나와 친구관계, 또는 나와 협력관계에 있는 영상촬영공급수단과 연결되어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에 관한 콘텐츠 기반 소셜 네트워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스마트 윈도우 상에서 바로 정보검색 및 탐색을 할 수가 있고, 무엇보다 원격지에서 촬영한 영상 이미지를 스마트윈도우 상에서 실시간으로 표출시킬 수 있고, 친구나 가족의 사진 및 동영상을 공유하여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어, 실내 환경을 쾌적하고, 스마트하게 조성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특히 이 디스플레이는 향후 광고 및 홍보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집 앞 베란다에 따로 현수막 등으로 두고 광고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1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부(123)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실시간 동영상은 특정대상물이나 특정지역의 영상을 시간별, 또는 계절별로 촬영한 동영상을 말한다.
일예로, 금강산의 4계절 풍경 동영상, 원격지에서 촬영한 제주도 바다의 동영상, 인천대교를 지나는 차량 동영상, 아파트의 놀이터에 놀고 있는 아이들의 동영상을 실시간 동영상으로 설정한다. 이들 영상은 모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에 연결된 친구들로서 유튜브의 동영상과 같이 아마츄어 또는 준 전문가 수준에서 작성되어 공유와 배포를 허락한 영상에 한해 디스플레이됨으로 기존의 저작권리를 훼손하지 않는다. 특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영상은 단순한 우수한 전문가의 현란한 영상은 아니지만, 나의 친구 또는 이웃 또는 가족이 방문한 관광지 등에 대한 영상물을 보여주는 관계로 친밀감, 동질감 그리고 만족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정지영상 이미지는 특정대상물이나 특정지역의 영상 또는 인물의 모습을 정지상태로 촬영하거나 캡쳐한 영상을 말한다. 이들 영상은 스마트폰의 GPS 등으로 위도와 경도의 위치를 측위가 가능하여 위치태그를 삽입한 동영상을 말한다.
일예로, 가족사진, 친구사진, 풍경사진을 정지영상 이미지로 설정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스마트 윈도우는 스마트 창문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100),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200),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서버(300), 영상촬영공급수단(4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100)는 투명유리 윈도우(창문)의 외부 또는 내부에 형성된 후,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 탐색명령을 보내고,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을 통해 나와 친구관계, 또는 나와 협력관계에 있는 영상촬영공급수단과 소셜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어 영상촬영공급수단으로부터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 마이컴부(120), 데이터저장부(13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는 두루마기로 말아지거나 휘어진 상태에서 투명유리 윈도우(창문)의 외부 또는 내부에 부착되어 형성된 후,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로부터 수신받은 나와 친구관계, 또는 나와 협력관계에 있는 영상촬영공급수단의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플렉서블 터치 감지 표면(flexible touch sensitive surface)(111), 플렉서블 스크린(112), 플렉서블 배터리(113), 플렉서블 칩(chip)(114)로 구성된다.
상기 플렉서블 터치 감지 표면(flexible touch sensitive surface)(111)은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112)은 상기 플렉서블 터치 감지 표면에 결합되어,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로부터 수신받은 나와 친구관계, 또는 나와 협력관계에 있는 영상촬영공급수단의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13)는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렉서블 칩(chip)(114)은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마이컴부로부터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수신받아 플렉서블 스크린의 화면창 사이즈 맞게 영상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부(1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마이컴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 탐색명령을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로 출력시키도록 제어하고,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로부터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수신받아 저장한 후,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스마트윈도우의 사이즈에 맞게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PIC16C711 원칩마이컴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부(120)는 스마트폰(310)과 외부 CCTV카메라(320)로 이루어진 영상촬영공급수단과 연계시, 스마트폰(310)과 외부 CCTV카메라(320)의 MAC 어드레스를 확인하고, 식별 ID와 인증절차를 거쳐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수신받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부(120)는 일측에 지그비 통신모듈(121)이 형성되고, 타측에 WiFi 통신모듈(122)이 형성된 하이브리드 통신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그비(ZigBee) 통신모듈(121)은 저전력, 저가격, 사용의 용이성을 가진 근거리 무선 센서네트워크의 대표적 기술 중의 하나로, IEEE 802.15.4 표준의 PHY층과 MAC 층을 기반으로 상위 프로토콜(PROTOCOL)과 응용(APPLICATION)을 규격화한 특성을 가진다.
상기 WiFi 통신모듈(122)은 무선접속장치(AP)가 설치된 곳의 일정 거리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망(LAN)으로서, 전파나 적외선 전송방식을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부(120)는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플렉서블 스크린 상에 실시간으로 재생시키는 스트리밍부(12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스트리밍부가 구성되는 이유는 영상촬영공급수단(300)으로부터 전송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가 끊김없이 실시간으로 연속해서 재생시켜서 퀄리티 레벨이 높은 양질의 영상 이미지를 플렉서블 스크린상에 출력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트리밍부(123)는 스트리밍 서버(123a), 스트리밍 게이트웨이(123b), 스트리밍 에이전트(123c)로 구성된다.
상기 스트리밍 서버(123a)는 하나의 콘텐츠에 대하여 2개의 H.264 SVC(Scalable video Coding) 파일로 저장시킨 후, 클라이언트의 요청이나 게이트웨이의 요청에 의해 스트리밍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H.264 SVC(Scalable video Coding) 파일은 하나의 베이스 레이어(Base Layer)와 2개의 인핸스드 레이어(Enhanced Layer)로 이루어진다.
즉, 하나의 콘텐츠에 대하여 총 6개의 레이어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서버에서 2개의 H.264 SVC(Scalable video Coding) 파일로 구성하는 이유는 두개의 파일 중 하나는 낮은 해상도에 적용하고, 다른 하나는 높은 해상도에 적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하나의 파일은 모바일 환경에 적합하도록 H.264 SVC 표준에서 시간 확장성용 스케일러블 베이스라인 프로파일(Scalable Baseline Profile)을 사용하여 인코딩된 것이며, 다른 하나의 파일은 WLAN의 802.11n등 보다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나 유선 네트워크에 적합하도록 공간 확장성용 스케일러블 하이 프로파일(Scalable High Profile)을 적용하여 인코딩된 파일을 사용한다.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스트리밍 게이트웨이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맞는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중간에 요구사항이 변경되면 적당한 프로파일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그리고, RTP 패킷의 포맷은 서버의 정책에 따라 해당 프로파일 안의 각 레이어를 3개의 RTP 포트로 보내던지 요청한 퀄리티 레벨에 맞는 필요한 개수만큼의 RTP를 보낼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트리밍 게이트웨이(123b)는 사용자가 요청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에 대해 스트리밍 서버에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액세스(Access)망과 IP 백본(Backbone)망 사이에 위치하며, MANE(Media Aware Network Element)를 지원하여 액세스망의 최대 대역폭에 따라 H.264 SVC 스트림을 조작하여 필요한 레이어만 전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스트리밍 서버에 원하는 프로파일을 요청하며, 해당 프로파일 내에서 필요한 레이어까지 요청하여 IP 백본망의 트래픽에 부하를 줄일 수가 있다.
상기 스트리밍 게이트웨이는 싱글 RTP와 멀티플 RTP를 모두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트리밍 에이전트(123c)는 스트리밍 게이트웨이를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플렉서블 스크린의 상태변화와 단말기 변화에 따라 퀄리티 레벨(Quality Level)를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현재 접속한 망 정보, 각 망별 요금정보, 각 망별 쓰로우푸트(Throughput) 데이타, 현재 각 망의 SNR 값, 현재의 쓰로우푸트(Throughput), 현재의 패킷 에러율, 지원하는 플렉서블 스크린 해상도 리스트, 지원하는 코덱 리스트, 현재 전원상태, 현재 CPU파워상태, 사용자가 선호하는 프로파일과 퀄리티 레벨정보를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트리밍 에이전트는 접속초기에 자신의 UA 프로파일을 스트리밍 게이트웨이에 전달하고, 협상을 통해 가능한 스트림 중 자신의 상황에 맞는 스트림을 선택한다.
이때, 스트리밍 게이트웨이는 이를 바탕으로 스트리밍 서버와 협상한다.
이어서, 스트리밍 서버에서 스트리밍 게이트웨이로 전송할 스트림을 선정한다.
즉, 수평/수직 핸드오버(Handover)시 에이전트는 프로파일과 퀄리티 레벨을 변경시켜서 스트리밍 게이트웨이에 퀄리티 레벨에 해당하는 스트림을 요청한다.
이때, 핸드오버(Handover)시는 퀄리티 레벨을 낮추어 선택 스트리밍(Adaptation Streaming)을 구현한다.
망의 상태가 좋아지거나 지그비통신망을 통한 데이터통신에서 WiFi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으로 이동할 경우에 핸드오버(Handover) 구간에서 잠깐 퀄리티 레벨을 낮춘 후 완료될 시, 퀄리티 레벨을 높여서 플렉서블 스크린상에 끊김없이 실시간으로 재생되는 스트리밍을 제공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저장부(1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데이터저장부(130)는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로부터 나와 친구관계, 또는 나와 협력관계에 있는 영상촬영공급수단의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200)은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 일측에 연결되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서버를 통해 소셜네트워크망을 형성시킨 후,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 탐색명령을 수행하고, 소셜네트워크망에 위치한 특정 영상촬영공급수단에서 스마트윈도우로 접근시, 인증 후 특정 영상촬영공급수단에서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수신받아 스마트윈도우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태깅부(Tagging)(210), CDM(Contents Description Model)부(220), 콘텐츠 전송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태깅부(Tagging)(210)는 검색이나 탐색을 하도록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에 관한 콘텐츠에 태그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CDM(Contents Description Model)부(220)는 시맨틱웹 또는 모바일 웹 또는 웹 2.0 기반에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에 관한 콘텐츠들을 서로 연결시키고, 복수개의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에 관한 콘텐츠들을 오픈 API(Open 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를 통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에서 가져와서 저장시키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콘텐츠 전송부(230)는 CCDM(Contents Description Model)부에 저장된 복수개의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에 관한 콘텐츠들을 소셜네트워크망을 통해 요청한 또 다른 스마트윈도우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에 관한 콘텐츠들을 전송시키고, 영상촬영공급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에 관한 콘텐츠들을 스마트 윈도우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서버(300)와 WiFi망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서버(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서버(300)는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와 친구관계, 또는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와 협력관계에 있는 N개의 영상촬영공급수단과 소셜네트워크망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WiFi망을 통해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과 협력관계에 있는 N개의 또 다른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 및 N개의 영상촬영공급수단과 소셜네트워크망을 형성시킨다.
상기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는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포스퀘어, 고왈라, 싸이월드, 아임인, 플락소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서버(300)는 접속시 ID와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인증절차를 거친 후,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되도록 구성된다.
즉,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에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 탐색명령이 입력되면, 소셜네트워크망에 연결된 N개의 영상촬영공급수단을 탐색한 후, 그 결과데이터를 요청한 스마트윈도우로 다시 전송시킨다.
그리고,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에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 전송명령이 입력되면, 협력관계에 있는 또 다른 N개의 스마트윈도우와 1:1로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공급수단(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영상촬영공급수단(400)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서버(300)와 소셜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고,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스마트폰(410)과 외부 CCTV카메라(420)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410)은 실내에서는 마이컴부와 지그비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실외에서는 마이컴부와 WiFi망으로 연결되어, 캠카메라로 촬영된 실시간 동영상과 디지털카메라로 촬영된 정지영상 이미지를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스마트 윈도우와 호환되도록 스마트윈도우 호환어플리케이션을 미리 다운로드받은 후, 식별 ID를 부여받고 인증절차를 거친 후, 스마트 윈도우와 연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 CCTV 카메라(420)는 실외에 설치되어, 마이컴부와 WiFi망으로 연결되고, 촬영된 실시간 동영상 이미지를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식별 ID가 설정되고, 스마트 윈도우와 네트워크망을 형성하며 구성된다.
상기 외부 CCTV 카메라는 유명관광지에 설치되어, 아름다운 풍경의 모습을 실시간 동영상으로 스마트 윈도우상에 표출시키거나, 또는 놀이터나 주차장에 설치되어, 놀이터에서 놀고 있는 애들의 모습을 실시간 동영상으로 스마트 윈도우상에서 표출시킬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100)에서 영상촬영공급수단으로부터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
다음으로,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에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어 친구관계, 또는 협력관계에 있는 또 다른 N개의 스마트윈도우 및 N개의 영상촬영공급수단과 소셜네트워크망을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영상촬영공급수단(400)에서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로 전송시킨다.
다음으로,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에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서버를 통해 소셜네트워크망을 형성시킨 후,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 탐색명령을 수행한다.
끝으로,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200)에서 소셜네트워크망에 위치한 특정 영상촬영공급수단에서 스마트윈도우로 접근시, 인증 후 특정 영상촬영공급수단에서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수신받아 스마트윈도우로 전송시킨다.
100 :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 110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120 : 마이컴부 130 : 데이터저장부
200 :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
300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서버
400 : 영상촬영공급수단

Claims (4)

  1. 투명유리 윈도우(창문)의 외부 또는 내부삽입되어 형성된 후,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 탐색명령을 보내고,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을 통해 나와 친구관계, 또는 나와 협력관계에 있는 영상촬영공급수단과 소셜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어 영상촬영공급수단으로부터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100)와,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 일측에 연결되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서버를 통해 소셜네트워크망을 형성시킨 후,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 탐색명령을 수행하고, 소셜네트워크망에 위치한 특정 영상촬영공급수단에서 스마트윈도우로 접근시, 인증 후 특정 영상촬영공급수단에서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수신받아 스마트윈도우로 전송시키는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200)과,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와 친구관계, 또는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와 협력관계에 있는 N개의 영상촬영공급수단과 소셜네트워크망을 형성시키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서버(300)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서버(300)와 소셜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고,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로 전송시키는 영상촬영공급수단(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100)는
    두루마기로 말아지거나 휘어진 상태에서 투명유리 윈도우(창문)의 외부 또는 내부에 부착되어 형성된 후,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로부터 수신받은 나와 친구관계, 또는 나와 협력관계에 있는 영상촬영공급수단의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 탐색명령을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로 출력시키도록 제어하고,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로부터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수신받아 저장한 후,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스마트윈도우의 사이즈에 맞게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컴부(120)와,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로부터 나와 친구관계, 또는 나와 협력관계에 있는 영상촬영공급수단의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200)은
    검색이나 탐색을 하도록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에 관한 콘텐츠에 태그를 설정하는 태깅부(Tagging)(210)와,
    시맨틱웹 또는 모바일 웹 또는 웹 2.0 기반에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에 관한 콘텐츠들을 서로 연결시키고, 복수개의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에 관한 콘텐츠들을 오픈 API(Open 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를 통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에서 가져와서 저장시키고 관리하는 CDM(Contents Description Model)부(220)와,
    CDM(Contents Description Model)부에 저장된 복수개의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에 관한 콘텐츠들을 소셜네트워크망을 통해 요청한 또 다른 스마트윈도우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에 관한 콘텐츠들을 전송시키고, 영상촬영공급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에 관한 콘텐츠들을 스마트 윈도우로 전송시키는 콘텐츠 전송부(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장치.
  4.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100)에서 영상촬영공급수단으로부터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S100)와,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에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어 친구관계, 또는 협력관계에 있는 또 다른 N개의 스마트윈도우 및 N개의 영상촬영공급수단과 소셜네트워크망을 형성시키는 단계(S200)와,
    영상촬영공급수단(400)에서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로 전송시키는 단계(S300)와,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에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서버를 통해 소셜네트워크망을 형성시킨 후,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 탐색명령을 수행하는 단계(S400)와,
    스마트윈도우형 SNS접속모듈(200)에서 소셜네트워크망에 위치한 특정 영상촬영공급수단에서 스마트윈도우로 접근시, 인증 후 특정 영상촬영공급수단에서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이미지를 수신받아 스마트윈도우로 전송시키는 단계(S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120843A 2011-11-18 2011-11-18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343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843A KR101343440B1 (ko) 2011-11-18 2011-11-18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843A KR101343440B1 (ko) 2011-11-18 2011-11-18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429A true KR20130062429A (ko) 2013-06-13
KR101343440B1 KR101343440B1 (ko) 2013-12-19

Family

ID=4886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843A KR101343440B1 (ko) 2011-11-18 2011-11-18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4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0186A1 (ko) * 2014-07-16 2016-01-21 주식회사 비츠웰 스마트 윈도우 시스템
KR101666475B1 (ko) * 2015-04-28 2016-10-17 김남균 디스플레이 공간 제공 시스템
KR102381464B1 (ko) * 2021-12-24 2022-04-01 주식회사 부시밥 건물의 유리를 이용한 영상 출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7968A (ja) 2007-02-14 2008-08-28 Hitachi Software Eng Co Ltd イベント画像公開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0186A1 (ko) * 2014-07-16 2016-01-21 주식회사 비츠웰 스마트 윈도우 시스템
KR101666475B1 (ko) * 2015-04-28 2016-10-17 김남균 디스플레이 공간 제공 시스템
KR102381464B1 (ko) * 2021-12-24 2022-04-01 주식회사 부시밥 건물의 유리를 이용한 영상 출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440B1 (ko)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36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camera network
AU2018201741B2 (en) Portable platform for networked computing
US98518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experience translation of media content
US111292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experience metadata translation of media content with metadata
CN103797508B (zh) 经由社交联网的内容共享
US2017035392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8395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experience adaptation of media content
US201600948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experience translation of media content with sensor sharing
US20190080514A1 (en) Interactive vehicle window system including augmented reality overlays
KR101343440B1 (ko) 스마트 윈도우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20053148A1 (en) System for infinite windows with optical disparity and depth resolution
KR101210261B1 (ko) 실내환경에 따른 1:1 맞춤형 영상 출력용 스마트 윈도우 장치 및 방법
KR20120004615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동되는 모바일용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395529B1 (ko) 사용자 위치 기반의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20391619A1 (en)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displays
KR20170102832A (ko) 웨딩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03199A (ko) 가상 통합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n-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