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418A -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418A
KR20130062418A KR1020110118325A KR20110118325A KR20130062418A KR 20130062418 A KR20130062418 A KR 20130062418A KR 1020110118325 A KR1020110118325 A KR 1020110118325A KR 20110118325 A KR20110118325 A KR 20110118325A KR 20130062418 A KR20130062418 A KR 20130062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s
data
customer
education
relationship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돈
Original Assignee
안상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돈 filed Critical 안상돈
Priority to KR1020110118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2418A/ko
Publication of KR20130062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과 기업이 SNS를 통해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공유되나 정보를 바탕으로 소셜 CRM을 구축함으로써 고객 지향적인 서비스와 제품을 제공하는 토대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SNS 미디어를 통해 유입된 다양한 정보를 참조하여 기업이 최선의 의사결정에 이용할 수 있고, 고객의 다양한 의견을 경영, 및 실무에 반영함으로써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클라우딩 컴퓨터와 접목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를 통해 획득한 고객의 SNS 데이터를 이용하며, SNS 데이터에서 교육관련 데이터, 및 고객관계관리 데이터를 추출하는 SNS 인큐베이터, SNS 인큐베이터에서 추출된 SNS 데이터를 수집하여 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웹 서버, 웹 서버에서 수집된 SNS 데이터를 운영 CRM 영역과 소셜 CRM 영역으로 분류하는 SNS 인큐베이터, 및 SNS 인큐베이터에서 분류된 SNS 데이터에서 교육관련 SNS 데이터를 추출하는 SRM을 포함하며, 소셜 CRM은, SNS 데이터를 참조하여 SNS-MarketingDM Table, SNS-SaleDM Table, SNS-EducationDM Table, 및 SNS-ServiceDM Table로 구분하여 분류한다.

Description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Social Network Service and Cloud Computing Fusion I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and Student Relationship Management of Operate Method}
본 발명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을 통해 학생관계관리(Student Relationship Management)시스템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Web 3.0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가 고객관계관리(CRM)에 활용되어지고 데이터의 저장과 활용을 위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및 학생관계관리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객관계관리(CRM)는 기업이 고객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통합분석한 후 개별고객의 특성에 맞춘 마케팅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경영관리기법이며 흔히 맞춤형 고객관리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분석CRM영역과 운영CRM영역으로 구분한다.
상기와 같이 맞춤형 고객관리를 위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한 고객관리 및 대고객 창구로 활용 하고자 하는 사례는 많다. 그러나 투자 이상의 성과를 내지 못 하는 기업들이 많다. 그 이유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해 고객을 이용 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소셜미디어는 소비자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환경에 적합한 도구다.
SNS미디어를 통해서 좀 더 많은 고객과 접촉하고 고객에게 편리한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고객욕구는 점차 복잡해져 모든 고객의 요구를 정확히 만족시키기는 어렵다.
또한 경쟁력 상실이나 직접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고객이 원하는 대로 고객서비스 채널을 늘리기는 한계가 있다.
또한 특정 소비계층과 타깃마케팅을 포함한 기존의 고객관리에 있어서 SNS를 활용한 비즈니스모델은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
SNS의 시장은 급격하게 커지고 신뢰할 만한 정보의 부재와 소셜커머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SNS를 이용해 CRM을 운영하는 기업들은 고객들로부터 신뢰를 얻지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은 SNS에 기반을 둔 소셜CRM을 운영하면 해결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고객관계 노력에 SNS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하여 협업자와 고객의 역량을 융합하는 새로운 고객관계관리 비즈니스 모델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객관계관리(CRM)시스템은 CRM분석,마케팅서비스,고객지향적인 전략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 모두 CRM의 성공사례로 이어지지 못 했고 CRM시스템을 어떻게 구축할지 고민을 했으나 정작 중요한 고객지향적인 고민에는 소홀했다. 이 때문에 고객이 현재 무엇을 원하는지를 파악하지 못하고 고객의 적극적인 행동을 이끌어 낼 기회를 놓쳤다. 고객들은 맞춤정보와 제품을 요구하며 기업이 여기에 맞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 내지 못 하면 도퇴된다. 맞춤제품과 서비스를 적기에 제공하기 위해서 SNS를 통해 고객의 참여 공유, 그리고 개인화로 고객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 웹3.0의 참여와 개방이 이루어지는 SNS의 접목으로 새로운 마케팅전략과 고객지향적인 영업적략으로 고객의 취향과 까다러워지는 고객니즈에 따라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시예에서 SNS를 통한 고객행동을 기반으로 고객에 대해 풍부한 분석 및 더 깊은 통찰력을 요구하는 전략을 수립 할 수 있다.
차세대 고객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정교한 분석력이 필요하고 SNS의 접목으로 발생한 대용량 SNS데이터의 관리와 활용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이 접목되어서 소셜CRM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고 또한 SNS를 통해 쌍방향 상호작용 광고기법으로 인해 무차별적으로 난무하던 SNS광고시장에 고객맞춤형 타깃광고와 신뢰할 수 있는 소셜커머스 모델을 설계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클라우딩 컴퓨터와 접목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를 통해 획득한 고객의 SNS 데이터를 이용하며, 상기 SNS 데이터에서 교육관련 데이터, 및 고객관계관리 데이터를 추출하는 SNS 인큐베이터, 상기 SNS 인큐베이터에서 추출된 SNS 데이터를 수집하여 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웹 서버, 상기 웹 서버에서 수집된 SNS 데이터를 운영 CRM 영역과 소셜 CRM 영역으로 분류하는 SNS 인큐베이터, 및 상기 SNS 인큐베이터에서 분류된 SNS 데이터에서 교육관련 SNS 데이터를 추출하는 SRM을 포함하며, 상기 소셜 CRM은, 상기 SNS 데이터를 참조하여 SNS-MarketingDM Table과, SNS-SaleDM Table과, SNS-EducationDM Table, SNS-ServiceDM Table로 구분하여 분류하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SNS 미디어, 및 웹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품, 및 서비스 중 하나에 대한 고객의 평가가 반영되는 SNS 데이터를 참조하여 고객의 행동패턴, 및 제품사용패턴에 대한 고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고객정보를 소셜 CRM 영역, 및 SRM 영역으로 구획하고 이를 토대로 기업 경영전략에 요구되는 SNS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SNS 데이터를 토대로 교육관련 SNS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소셜 CRM 영역과 상기 SRM 영역에 대한 중점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점 항목에 따라 상기 CRM 영역과 상기 SRM 영역에 대한 SNS 데이터들이 정렬되어 분석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 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와 고객관계 관리(CRM)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은 본 발명에 접목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운영영역과 분석CRM영역과, 운영CRM영역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인해 운영되는 소셜CRM영역과, 대용량 데이터의 관리와 SNS데이터의 처리기법과 서비스의 제공기법이 다르게 운영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표현하는 고객군에는 SRM(90)의 주체인 학생군도 포함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NS운영영역에서는 SNS미디어(10)를 통해 유입된 정보들은 SNS인큐베이터(20)를 통해서 필터링되어 신뢰 높은 정보들만 정제되어진다.
SNS인큐베이터(20)에서 정제 되어진 정보들은 다시 SNS미디어(10)를 통해 실시간으로 고객에게 전달되어지거나 소셜CRM(70)과 학생관계관리(SRM)(90)의 운영을 위해 웹데이터웨어하우스(Web DataWarehouse)(40)로 보내지게 되어 관리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SNS인큐베이터(20)에서 SNS를 통해 쌍방향 상호작용 광고를 실행하여 맞춤광고와 타깃광고를 할 수 있는 인큐애드(23)의 기능으로 현재의 무분별하고 난무한 SNS광고를 개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셜커머스업체 중 상위 업체의 과도한 광고나 마케팅 경쟁으로 소셜커머스업체들을 부실하게 만드는 대표적인 문제도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NS인큐베이터(20)의 구성 요소 중 SNS-EIS(22) 를 통해 SNS사용자들 중에 교육수요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교육정보와 교육기관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서 교육수요자들에게는 교육과정 선택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맞춤화된 교육과 관련 교육정보가 제공되고, 상기의 데이터가 학생관계관리(SRM)(90) 운영에 원천 데이터로 활용 되어진다.
또한 학생관계관리(SRM)(90)를 통하여 학생별 프로파일링을 수행하여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모든 교육관련 정보를 학생 개인별로 분류하여 각 학생에 대한 통찰력을 구축하여 학생관계강화로 이탈학생의 예방과 잠재학생을 발굴하여, 잠재학생의 교육수요자로서의 관계를 이끌어 내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분석CRM영역(50)에서는 SNS인큐베이터(20)에서 수집된 고객들의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각 운영영역별 세부적인 분류항목인 SNS-MarketingDM(53)과 SNS-SaleDM(54)과, SNS-ServicDM(55),과 SNS-EducationDM(91)으로 데이터가 분류 분석되고 운영CRM영역(60)과 SRM(90)영역에 기초 데이터로 활용 되어지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RM(90)영역에서는 학생과 관계를 유지할 학생집단의 규모를 확보하고자 하는 단계이다.
학생의 활성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슷한 성향을 갖는 잠재학생의 특성을 파악하고 잠재 학생에게 성공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정책을 수립하고 수행 되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운영CRM영역(60)에서는 실질적인 CRM운영이 되는 마케팅자동화시스템(61),영업자동화시스템(62),고객서비스자동화시스템(63) 그리고 기업내부정보시스템의 구축으로 소셜CRM(70)의 전략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예에 따르면 소셜CRM(70)영역에서는 고객지향적인 정보에 의한 소셜마케팅전략과 고객맞춤형 제품과 고객맞춤형 서비스가 제공 된다. 또한 고객이 신뢰할 수 있고 SNS수익형 비즈니스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맞춤형 정보가 제공 된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80)영역에서는 대량의 데이터를 관리 하고 언제어디서나 어느 영역에서든 소셜CRM(70)시스템과 SRM(학생관계관리)(90)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객지향적인 서비스와 고객지향적인 제품을 제공 할 수 있다.
SNS를 통해서 고객을 기업과, 제품과 서비스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제품과 서비스에 공유하고 고객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지식베이스를 바탕으로 소셜CRM(70)을 구현하고 고객지향적인 마케팅과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미디어(10)를 통해 유입되어 축적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기업이 최선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고, 고객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영자 및 실무자의 의사결정에 반영함으로써 경영환경의 안정화를 이루고 차별화된 마케팅전략을 세울 수 있다.
또한 SNS Data로열티(24)와 인큐애드(23)의 기능으로 인해 고객의 다양한 행동패턴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확보할 수 있어서 고객의 다양한 구매패턴과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어서 다양한 맞춤형 타깃마케팅과 오프라인을 포함 시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에 교육을 접목시켜서 SNS속에 새로운 교육전문 SNS를 형성시켜서 교육에 관한 모든 정보와 교육을 제공하는 교육통합시스템으로 인해 일반 사교육기관 뿐만이 아니라 초,중,고의 공교육기관도 SNS-EIS(22)에 참여하여 공교육과 사교육의 통합교류 되는 정보를 활용하여 공교육과 사교육의 차이를 좁히게 되어 공교육의 강화를 이룩 할 수 있어서 사교육의 과열화 상태를 예방하고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깊은 교육정보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올바른 교육선택을 쉽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체적인 소셜CRM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SNS인큐베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SNS운영 영역에서의 데이터의 처리 과정
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분석CRM영역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운영CRM영역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SRM(학생관계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 이며 영역별로 나뉘어져 있다.
SNS운영 영역 도 3,학생관계관리(SRM)(90), 분석CRM영역(50), 운영CRM영역(60), 클라우드 컴퓨팅영역(80), 소셜CRM영역(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SNS의 운영 영역에서 SNS데이터프로세싱과 SNS Data가 소셜CRM(70)의 원천 데이터로 분류 되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10)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고객접점에서 소셜CRM과 학생관계관리(SRM)(90)에 활용될 원천데이터의 수집 단계에 속한다.
고객들과 SNS사용자들은 SNS미디어(10)에서 좋은 경험과 나쁜 경험을 공유한다. 최근 행사나 신제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를 토론한다.
기업은 SNS미디어(10)를 통해 고객들에게서 고객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고, 또한 특별한 이벤트를 알릴 수 있다.
고객 SNS미디어(10)를 통해 제품의 의견과 불만 등의 정보들을 수집하고 기업에 참여하여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공유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불만처리채널, 광고채널, 매장관리 및 방문유도채널, 대고객 서비스채널로 활용하면서 고객만족도를 측정하고 고객의 심리도를 측정한다.
고객과 SNS사용자들이 SNS미디어(10)를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의견을 제시 하거나 평을 하거나 커뮤니티하면 SNS인큐베이터(20)에서 SNS정보가 정제되고
분류되어 SNS의 데이터베이스가 구축이 된다.
또한 SNS미디어(10)를 통해 소셜커머스에 관련한 데이터와 SNS광고를 통한 소비자들의 심리와 반응을 측정하여 소셜CRM(70)실현을 하기 위한 원천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도입 되었다.
SNS미디어(10)는 SNS채널(트위터, 페이스북 등과 같은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모든 도구)를 의미 한다. SNS미디어(10)을 통해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지성과 협업으로 만드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고 제품 및 서비스에 관여하여 기업 운영의 지침이 된다.
또한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SNS를 통해서 모바일환경에서 사용자의 참여를 확산 시키고 이를 통해 정보의 공개 및 공유를 구현하고 문화를 형성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기업과 고객과의 공동문화 공간이 없었던 점을 CRM에 SNS를 접목 하면서 극복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업과 고객간의 유착과 감성까지 공유할 수 있는 CRM환경과 SRM환경 조성이 가능하다.->인큐베이터역할
도 2에 도시된 SNS인큐베이터(20)는 SNS미디어(10)에서 얻어진 SNS를 사용하는 고객들과 일반 SNS사용자들의 정보를 기반으로 SNS미디어를 운영하기 위한 운영적 단계이며, 신뢰하고 진실된 정보들만을 정제하고 분류하는 정보의 분석적 단계이다.
한 SNS를 운영하기 위한 전담인력과 운영시스템의 구축으로 SNS자동화운영시스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과거의 여러기업이 소셜미디어를 통해서 고객과 관계를 맺고 소통하려 시도 했으나 성공적으로 수행되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단순히 소셜미디어를 만드는 것에 만족하고 전담운영 인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기업은 카페나 블로그를 만들어 두고 가끔 홍보글을 올리거나 신상품 소개 이벤트를 공지하는데만 사용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SNS인큐베이터(20)를 발명하여 소셜미디어의 장점인 쌍방향성을 가지고 고객 및 SNS사용자와 실시간으로 소통하여 참여, 공유, 공개, 투명, 진실을 바탕으로 고객으로부터 신뢰를 얻기 위한 기술적인 SNS데이터분석 시스템 단계이다.
또한 SNS에서 광고주와 광고수요자(광고 독자)들 간에 쌍방향으로 타깃 맞춤 광고를 실행하여 SNS사용자의 성향을 감안해 맞춤광고를 할 수가 있어서 현재 무분별하게 제공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소셜CRM(70)을 운영하고자 하는 업체들에게 SNS Data로열티(24)의 기능으로 인해 정보획득과 기업과 고객의 접점인 SNS미디어(10)를 통한 상호간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줌으로서 다양한 형태적 정보를 수집하고 고객의 이탈을 예방 하도록 SNS를 통해 고객 이탈장벽을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SNS속에 또 다른 교육전문 SNS를 형성시켜서 교육에 관한 모든 정보와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SNS-EIS(22)에서 얻어진 데이터들을 근거로하여 학생관계관리(SRM)(90)을 운영할 수 있고 SRM(90)을 운영하여 학생들에게 여러 교육기관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맞춤화 되어진 교육과정을 제공할 수 있고, 학생들과의 관계유지를 위한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 진다.
SNS인큐베이터(20)의 구성은 SNS Data필터링시스템(21), SNS-EIS(22), 인큐애드(23), SNS DataTable(24), SNS Data로열티(25), SNS인큐베이터DB(26), SNS라이브러리(27), SNS파티션pruning(28)으로 구성 되어지고 각각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SNS Data필터링시스템(21)은 SNS미디어(10)에서 유입된 정보들을 유용하고 신뢰성 높은 정보만을 필터링 하여 정제하는 단계이다.
SNS미디어(10)에서 얻어진 정보의 양이 많다는 것이 CRM 및 SRM과 모든 내부시스템 구축시 장애가 될 수 있다. 신변잡기나 정보성 글이 뒤섞여 정보의 무분별함으로 CRM DB구축시 장애가 된다. 또한 SNS가 추구하는 본래의 목적을 상실하고 무분별한 상업주의에 의해 SNS가 변질되어 가는 것이 현재와 미래의 SNS의 문제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SNS Data필터링시스템(21)을 구축 하였다.
SNS인큐베이터(20)의 구성요소 중 SNS Data필터링시스템(21) 구축으로 많은 양의 SNS정보들 중에서 소셜CRM에 필요한 정보들을 정제할 수 있고 고객에게 친밀감과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정보를 갖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고객들에게 실시간 소통시 신뢰 할 수 있고 진실된 정보들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종래에는 SNS평판시스템이 있지만 고객에게 완전한 신뢰를 주지는 못하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S Data필터링시스템(21)은 데이터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고객에게 신뢰 할 수 있는 정보만을 필터링 하여 SNS-EIS(22), 인큐애드(23), SNS DataTable(24), SNS Data로열티(25)로 분류하여 관리 하게 된다.
또한 SNS인큐베이터(20)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데이터들이 SNS Data필터링시스템(21)에서 정제되어 대량의 SNS인큐베이터(20)의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해 SNS인큐베이터DB(26)로 보내지게 되는 단계를 포함된다.
SNS-EIS(SNS-교육통합시스템)(22)는 SNS에 교육시스템을 접목시켜서 SNS속에
새로운 교육전문 SNS를 형성시켜서 교육에 관한 모든 정보와 교육을 제공하는 교육통합 시스템이다.
상기로 인해 교육수요자들은 맞춤형 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교육공급자는 소셜커머스를 활용해 교육을 제공하고, 클라우드 컴퓨팅(80)과 SNS미디어(10)를 통해 SNS-EIS(22)에서 제공 되는 교육(입시, 특기, 예체능, 어학, 자격증, 취미, 취업, 공무원 등)과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미디어(10)로 부터 유입된 정보들은 SNS Data필터링시스템(21)에 의해서 교육에 관한 모든 정보들을 SNS-EIS(22)로 보내게 되고 SNS-EIS(22)에서는 교육과 관련된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특성과 시간에 따른 교육네트워크의 진화를 파악하여 교육그룹구조를 형성하고 사용자가 생산 확산 시키는 교육콘텐츠의 흐름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교육그룹구조와 교육콘텐츠의 흐름을 조합하여 각 개인 또는 그룹의 SNS와 교육시장내 영향력, 교육에 대한 관심사, 사용자들의 성향, 및 동일한 교육관심사를 가진 다른 사람과 관계맺기, 또는 개인과 그룹의 관계맺기를 통해 교육에 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링크를 형성하면서 SNS속에 또 다른 SNS인 교육전용 SNS가 형성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EIS(22)에서는 모든 교육기관들이 서로 공개 공유하고 있어서 SNS-EIS(22)에 참여하는 교육기관들에게는 모든 교육대상자들(사용자들)이 고객이 될 수 있어서 SNS-EIS(22)에서 형성되는 교육SNS는 새로운 교육시장을 만들어 내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EIS(22)에서는 G마켓이나 옥션과 같은 오픈마켓 전자상거래 쇼핑몰의 운영형태와 같은 교육 오픈마켓이 운영된다. 교육기관들이 SNS-EIS(22)에 참여하면 사용자들이 SNS-EIS(22)에서 자유로운 교육체험과 교육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들에게 맞춤화 되어진 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선택하여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상기에서 교육기관의 입장에서는 교육시장의 과열로 인해 분배되어 수익약화 되던 교육기관들은 SNS-EIS(22)를 통해 교육 대상자들을 타깃팅하여 모집 할 수 있고 각 교육기관들의 서로 보완하는 교육기관들의 교육과정 공유를 할 수 있어서 동반성장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SNS-EIS(22)에서 이루어지는 소셜커머스를 통해 결제가 되면 SNS-EIS(22)에 참여한 어떠한 교육기관에서든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단계이다.
또한 SNS-EIS(22)는 해당 교유기관의 결재시스템과 연계되어 소셜커머스등 모든 결재 시스템을 통해 결제할 수 있고 교육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중에 선택하여 받을 수 있으며 지리적 위치상 교육수요자의 위치에서 근거리에 위치한 선택한 모든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고, e-러닝시스템과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SNS-EIS(22)에서 e-러닝을 받을 수 있다.
상기에서 결제가 되면 SNS-EIS(22)에 참여한 어느 교육기관에서든지 선택한 교육과정을 교육받을 수 있으며 교육받을 수 있으며 선택한 교육기관의 매출로 이루어 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EIS(22)에 참여한 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은 SNS-EIS(22)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들이 원하는 과정을 선택하여 교육받을 수 있으며교육기관별 교육의 탄력성이 있어서 사용자들이 원할시 교육기관을 변경하여 교육을 받을 수 있고 교육수요자들 간에 교환교육이 가능 하다.
상기에서 교육기관 변경 에서는 모든 교육기관들이 서로 공유하고 있어서 교육과정 변경시 변경된 교육과정의 교육비는 해당 교육과정 교육비에 적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EIS(22)에서 시시각각 사용자들이 교육에 관한 여러그룹 및 관계에 가입 및 탈퇴하고 새로운 관계맺기 형성 및 탈퇴가 번번히 이루어 진다. 또한 교육에 관련한 개별적인 행동들이 모여서 서로 다른 두 교육커뮤니티가
합쳐지거나 특정 교육에 관련된 커뮤니티가 여러개로 갈라지는 현상이 생겨난다. 또한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팽창하는 것이 있는 반면에 점점 그 세가 작아지고 결국은 사라져 가는 커뮤니티도 있다.
SNS-EIS(22)에서 상기와 같은 현상의 원인으로 교육상품 및 정보에 대한 관심사가 같은 별개의 커뮤니티집단들이 생겨나게 되어 교육전문 SNS가 형성이 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 사교육기관 뿐만이 아니라 초, 중, 고의 공교육기관도 SNS-EIS(22)에 참여하여 공교육과 사교육의 통합 교류되는 정보를 활용하여 공교육과 사교육의 차이를 좁히게 되어 공교육의 강화를 이룩할 수 있어서 사교육의 과열화 상태를 예방하고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깊은 교육정보를 제공하여 교육수요자들의 올바른 교육선택을 할 수 있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NS-EIS(22)에 적용되는 교육통합데이터처리 기법으로 인해서 개인별 교육과정에 따라 자동적으로 관심토픽별 또는 키워드별로 추출하여 교육네트워크를 재구성 하게 되고 특정 교육정보 흐름 네트워크를 구축 할 수 있는 단계.
상기에서 형성된 교육정보 흐름 네트워크에 대해 커뮤니티분석을 하고 해당 커뮤니티내 노드(개인 사용자들과 교육 기관들)의 역할을 분석하게 되면 커뮤니티별로 해당 교육 과정에 영향이 높은 오피니언리더와 교육기관이 자동 추출 되는 방법이다.
상기에서 교육통합데이터처리기법은 IEDP(Integrated Education Data Processing)의 기술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EIS(22)에서 IEDP로 인해 새로운 토픽의 출력, 팽창, 소멸현상 등 교육커뮤니티의 생성과 소멸 되는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데이터의 활성화가 많아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는 교육커뮤니티를 도출 해내는 기능과 , 데이터의 활성화가 적어 데이터의 양이 감소하는 커뮤니티를 도출해 내어, 교육커뮤니티의 자동 생성과 소멸을 자동처리하는 통합데이터처리 기술이 적용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추출된 오피니언리더들과 교육기관들과의 교류는 교육기관이나 교육상품 이미지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되어 SNS-EIS(22)에서 이들 기관과 리더들과의 교류에 반감을 일으킬수 있는 기존의 홍보나 광고매체를 통한 일방적인 정보캐스팅 방식을 제외시키고, 사용자들에 의한 자연적인 교육시장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모든 교육기관의 교육영역에 있어서 서로 교육과정에 대해 대체 보완 할수 있어서 관련 교육영역에 대한 정보와 교육이 제공되어 다른 교육영역의 장,단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스스로 원하는 과정을 보강할 수 있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EIS(22)의 정보는 SRM(90)으로 보내지게 되어 교육학생 각 개개인의 교육관리, 교육정책수립, 교육실행관리, 고정학생으로의 유지를 위한 SRM(90)의 원천데이터로 활용 되어진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80)과 SNS미디어(10)를 통해 교육기관과 학생들에게 피드백되어진다.
SNS-EIS(22)의 모든 정보들은 인큐애드(23)와, SNS DataTable(24), SNS Data로열티(25)로 각 각 보내지게 되어 각 영역의 특징별로 데이터가 활용 되어진다.
SNS-DataTable(23)은 SNS Data필터링시스템(21)에서 얻어진 정보들 중에 제품에 대한 평가와 의견, 그리고 아이디어와 서비스에 대한 평가, 서비스에 대한의견 제품의 종류별, 서비스별, 서비스정책별로 정보가 분류되어지는 단계이다.
고객의 사용경험과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고객들과의 실시간 소통으로 제품에 대한 투명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제품별, 고객들의 생각들을 분류하여 관리하는 단계이다.
또한 서비스별 고객의 체험경험과 서비스에 대해 고객들과의 실시간 소통으로 서비스에 대한 투명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고 서비스별 고객들의 반응과 태도를 파악 할 수 있다.
또한 SNS DataTable(24)는 SNS-EIS(22)로부터 유입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교육수요자들에 대한 교육의 평가, 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등 교육에 대한 투명하고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생들이 교육을 선택함에 있어 객관적인 결정을 할 수가 있고 교육기관의 입장에서는 타 교육기관과의 연계된 상태이기 때문에 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단계 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류된 정보들 중에 SNS사용자들에게 실시간 공유를 해야 하는 경우이면 SNS정보들이 SNS라이브러리(27)로 전달되어 자동응대 기능에 의해 SNS미디어(10)로 자동응대 처리되는 단계이다.
또한 SNS DataTable(24)에서 분류된 데이터들은 SNS파티션pruning(28)로 보내지게 되어 소셜CRM(80)과 SRM(90)에 필요한 원천데이터로 활용되어진다.
또한 SNS DataTable(24)의 데이터중에 인큐애드(23)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제공해 줌 으로서 고객 맞춤형광고를 실현할 수 있고, 광고속에 홍보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과 정보들을 SNS Data필터링시스템(21)에서 정제하고 SNS인큐베이터(20)의 SNS DataTable(24)에서 분류되어서 CRM운영 등 기업 경영에 필요한 정보들을 수집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인큐애드(23)는 광고주와 광고수요자(광고구독자or고객)간에 쌍방향 상호작용으로 타깃 맞춤광고를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미디어(10)에서 광고주와 광고수요자들을 연결해 주는 광고연결 기능이며, 광고주와 광고대행사가 SNS미디어(10)를 통해 SNS인큐베이터(20)에 광고를 등록하면 광고제품이 필요한 광고수요타깃을 자동 추출하여 광고를 전달 한다. 광고공급자와 광고수요자가 모두 SNS미디어(10)를 통해 SNS인큐베이터(20)를 이용하게 되어 고객맞춤형광고를 함으로써 광고속에서 홍보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과 정보들을 SNS Data필터링시스템(21)에서 정제하고 SNS인큐베이터(20)의 각 기능에서 분류되어 CRM운영등 기업경영에 필요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인큐애드(23)는 SNS사용자의 기호, 성향 등을 파악하여 맞춤형 쌍방향 광고를 할 수 있어서 광고공급자의 입장에서는 독자의 반응 및 참여도를 바로 확인 할 수 있어서 광고의 새로운 기법을 발명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시간 쌍방향 상호작용으로 인해 맞춤광고와 타깃광고를 실행 할 수 있는 기법을 특징으로 쌍방향 상호작용으로 인해 광고 수요자의 관심도를 측정 할 수 있다.
또한 SNS에 광고영상과 상호작용을 융합해서 쌍방향 상호작용기능으로 광고수요자의 관심도를 측정 할 수 있다. 광고 시청동안 이나, 광고시청후에 광고제품에 대해 광고주와 실시간 커뮤니티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수요자 관심도 측정방법에는 첫째 광고노출시간 측정으로 인해 고객의 반응을 체크 할 수 있는 방법, 광고수요자에게 노출되는 광고는 수요자의 관심과 흥미가 시간에 비례하기 때문에 노출시간이 길면 관심과 흥미가 높음을 측정 할 수 있다.
둘째 광고수요자가 광고제품의 매뉴얼과 제품의 내용확인 여부를 실시간 체크 할 수 있어서 광고 노출시간동안 제품의 내용과, 광고매뉴얼의 확인 여부에 따라서 어느 제품에 관심이 있는지, 제품의 어떤 부분이 궁금한지를 알 수가 있어서 관심도를 측정 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측정된 관심도에 따라 광고를 자동추출하여 광고수요자에게 공급하는 단계이다.
셋째 상호작용기능을 지원하는 AD뷰를 통하여 광고수요자가 제품이나, 제품에 대해 궁금한 사항이나 의문사항이 있을시 실시간으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제품에 관련한 다른 유익한 정보들을 SNS DataTable(24)에서 추출해 제공 한다.
또한 SNS에서 제품과 서비스광고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도를 필터링시스템에서 추출할수 있고 광고수요자가 광고를 보고 광고나 광고속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의견정도를 SNS인큐베이터(20)에 올리면 광고공급사에 이를 다시 전달하거나 SNS파티션 pruning(28)를 통해 소셜CRM(70)을 운영하는데 원천데이터로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계이다.
또한 인큐애드(23)에서는 SNS-EIS(22)로부터 유입된 데이터들 중에 교육광고에 관한 데이터들이 인큐애드(23)을 통해서 해당 교육수요자들에게 맞춤화 되어진 교육정보와 교육에 관한 광고와 홍보를 할 수 있는 쌍방향 상호작용 타깃맞춤광고를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SNS-EIS(22)로부터 유입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교육수요자들이 원하는 교육의 목적에 맞도록 교육과정을 맞춤화 하여 교육기관을 자동으로 연동시켜주는 Education-스토어 를 실행시키는 방법이다.
상기의 Education-스토어는 인큐애드(23)에서 자동 운영되는 교육전문 앱스토어 이다.
Education-스토어는 교육에 관련된 앱만을 추출해 내는 앱 공급 데이터처리기법이 적용된다.
상기의 Education-스토어는 현제 공급되는 수 많은 교육에 관련된 앱을 SNS미디어(10)와 클라우드 컴퓨팅(80)을 통해 필요한 수요자들을 자동추출하여 공급해 주고 서비스하는 교육제공 전문 앱스토어 이다.
교육에 관한 모든 앱은 Education-스토어를 통하여 각각 필요한 수요자에게 자동제공 되어 자동노출 된다.
상기의 데이터들도 SRM(90)의 원천데이터로 활용되고 Web서버(30)로 보내지게 되어 교육정보 DB를 구축하게 된다.
SNS Data로열티(24)는 소셜CRM(70)에 활용되어질 원천정보 획득과 기업과 고객의 접점에서 상호간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 시켜줌으로서 다양한 형태적 정보를 수집하고 고객의 이탈을 예방 하도록 이탈장벽을 형성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품이나 서비스 사용시 사용후의 평이나 의견과 생각을 SNS미디어(10)을 통해 SNS Data로열티(25)에 참여하면 참여 한 만큼 로열티를 주어서 데이터의 양이 많을 수록 그 만큼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제품명, 서비스 종류, 사용후의 평가, 의견, 아이디어등 사용자의 성별, 연령, 지역등의 기본 매뉴얼을 작성해서 SNS에서 고객 및 사용자들이 참여 하도록 하여 고객과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정보와 데이터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SNS Data필터링시스템(21)에서 정보의 정제작업을 하여 소셜CRM(70)운영에 필요한 원천데이터로 활용 된다.
또한 무분별하고 신뢰성 없는 정보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데이터를 올린 사용자정보의 내용과 그 사용자의 SNS에서 소비패턴, 성향 등, 관심분야를 실시간으로 SNS Data 필터링시스템(21)에서 추출하여 SNS Data로열티(25)에 분류되어진다.
누적된 데이터로열티의 사용방법은 서비스사용 및 제품의 구입시 사용할 수 있고 결재인증제 도입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누적된 데이터로열티는 SNS인큐베이터(20)를 사용하는 소셜CRM(70)운영 업체의 제품과 서비스와 인큐애드(23)에 광고를 진행하는 광고주 및 고객과의 전략적 계약으로 누적된 로열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에 관한 신뢰를 위해 결제서비스 업체와의 연동을 통해 결제 할 수 있다.
또한 소셜커머스 업체와의 연계로 소셜커머스에서 사용할 수 있고, 소셜서비스 사용시 누적된 로열티를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 Data로열티(24)는 고객의 다양한 행동패턴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확보 할 수 있는 중요한 전략적 도구가 된다.
여기에서 얻어지는 SNS고객정보들은 일반적인 구매패턴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또한 여기에서 얻어진 데이터들은 SNS파티션pruning(28)으로 보내지게 되어
소셜CRM(70)운영에 중요한 원천데이터로 활용되는 단계이다.
또한 SNS Data로열티(25)에서는 SRM(90)에 활용되어질 원천정보 획득과, 교육기관과 교육수요자들의 접점에서 상호간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줌 으로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학생들의 이탈을 예방 하도록 이탈장벽을 형성 시키기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얻어진 데이터로열티의 활용은 SNS-EIS(22)에서 교육비의 결재등 SNS-EIS(22)와 연계된 소셜커머스에 활용 할 수 있다.
SNS인큐베이터DB(26)는 SNS인큐베이터(20)에 유입된 대량의 SNS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SNS인큐베이터DB(26)에서는 SNS-EIS(22)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
인큐애드(23)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 SNS DataTable(24)에서 데이터를 추출
하는 과정, SNS Data 로열티(25)에서 추출하는 과정에서, SNS인큐베이터(20)에 유입된 데이터와 SNS사용자들의 데이터가 필요를 할시 SNS인큐베이터DB(26)에서 수시로 제공되어 지고 SNS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단계이다.
SNS라이브러리(27)는 실시간 쌍방향으로 SNS사용자들의 질문에 답할 정보와 데이터를 갖고 SNS미디어(10)를 통해서 고객과 SNS사용자들로부터 접수된 불만을 개선하고 개선한 내용을 지속적으로 공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 DataTable(24)과 SNS Data로열티(25)에서 얻어진 정보들 중에서 실시간 응대를 해야 할 정보들을 자동추출하여 소셜CRM(70)에서 제공 되어진 정보와 SNS Data필터링시스템(21)에서 정제된 정보들을 근거로 하여 신뢰성 높은 정보들만을 SNS사용자들에게 자동응대 처리 되는 단계이다.
SNS파티션prunig(28)은 SNS DataTable(24)과 SNS Data로열티(25)에서 얻어진
데이터들 중 불필요한 정보들을 걸러내고 CRM 및 비즈니스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들만을 웹서버(30)로 보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계이다.
또한 SNS미디어(10)에서 얻어진 정보들을 신뢰성 있는 정보들 만으로 분류 되어 소셜CRM(70)과 SRM(90)에 활용 할 수 있는 원천데이터들의 집합소가 된다.
도 3에 도시된 웹서버(30)는 SNS파티션pruning(28)에서 받은 데이터들을 Web DB(31), SNS DB(32), 소셜커머스DB(33)로 각각 분류하는 기술적인 과정으로 SNS데이터와 웹마이닝으로 분류된 데이터로 구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미디어(10)에서 SNS파티션pruning(28)로부터 얻어진 SNS데이터는 SNS DB(32)와 소셜커머스 DB(33)에 분류되어 저장되고 웹마이닝에서 도출된 데이터들은 분류에 따라 Web DB(31)로 분류된다. 웹마이닝에서 발생한 데이터들은 웹문서에서 유입된 데이터들이다.
Web DB(31)는 웹 사용자의 제품과 서비스의 사용패턴을 분석하고 제품과 서비스의 사용에 대해 행동패턴을 분류하여 소셜CRM(70)과 학생관계관리(SRM)(90) 및
경영전략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Web DBWarehouse(40)로 자동 전달 되어지는 단계이다.
SNS DB(32)는 SNS인큐베이터(20)에서 얻어진 대량의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소셜CRM(70)전략과 SRM(90)운영 및 경영전략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분류하기 위해 초기화 분류 작업을 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 DB(32)의 초기화 분류작업은 소셜CRM(70)과 학생관계관리(SRM)(90)에 사용될 데이터의 가치정도에 따라 상, 중, 하로 분류하는 특징으로 Web DBWarehouse(40)로 자동전달 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소셜CRM(70)전략에 필요한 데이터의 요구사항 즉 데이터의 분류항목을 만들기 위해 분류항목 태그를 설정해서 입력 하면 자동추출 분류되어진다.
분류항목 태그의 예를 들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Marketing, Sale, Service Education의 네가지 분류항목 태그를 설정 하였고, 분류항목 태그는 운영자가 설정하기 나름이고 분류항목 태그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데이터의 분류항목을 만들기 위해 태그를 설정 입력하는 과정에서 소셜CRM(70)운영과 SRM(90)운영에 사용될 가치정도에 따라 상, 중, 하로 구분 되어지고 설정 입력한 태그 항목에 관련된 데이터들의 연관 정도에 따라서 상, 중, 하로 분류되어지고 Web DBWarehouse(40)으로 자동으로 전달되어진다.
또한 SNS DB(32)는 SNS-EIS(22)의 데이터들을 근거로 하여 SNS파티션prunig(28)를 통해 유입되어진 다양한 학생정보와 교육정보를 분류하여 학생별 사례를 관리하고 모든 채널에서 유입된 교육에 관한 정보들을 분류 및 저장하는 단계이다.
또한 Web DBWarehouse(40)으로 송출되어 교육과정과 교육서비스를 개인화 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 되어지는 단계이다.
소셜커머스DB(33)는 SNS인큐베이터(20)에서 얻어진 데이터 중에 SNS에서 상거래가 이루어지는 소셜커머스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가 자동분류되고 저장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셜커머스 고객들과 소셜커머스 업체들의 데이터들을 분류하여 소셜커머스 전략을 위한 수익모델을 위한 소셜커머스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는 단계이다.
또한 소셜커머스DB(33)에서 분류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소셜커머스에 관한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구축 할 수 있는 원천적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서 획일적으로 운영되는 현재의 수익 모델을 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소셜커머스에서 분류 되어진 데이터들은 Web DBWarehouse(40)로 자동 전달되어서 소셜CRM(70)과 SRM(90)의 원천 데이터로 활용 되어진다.
Web DBWarehouse(40)는 Web서버(30)에서 분류되어져 유입된 데이터들을 근거로 하여 데이터들 간의 패턴이나 관련성을 발견하여 소셜CRM(70)과 SRM(90)에 활용
되어질 데이터들을 추출 해내고 변환 하고 분류하는 단계이다.
또한 SNS DataWarehouse(52)에서 데이터가 통합 되었을 때 원활한 데이터의 분석과 분류가 될 수 있도록 SNS데이터들을 관리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셜CRM(70)을 운영하기 위해 설계 되어진 분석 CRM(50)영역의 세가지 플랫폼인 SNS-MarketingDM(53), SNS-SaleDM(54), SNS-ServiceDM(55)에 활용될 세가지 CRM운영 항목으로 추출하고 변환하는 단계이다.
또한 SRM(90)을 운영하기 위해 설계된 플랫폼인 SNS-Education-DM(91)에 활용될 SRM(90)운영 항목으로 추출하고 변환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은 소셜CRM(70)운영과 SRM운영 분류항목으로 분류하기 위해 SNS-MarketingDM Table, SNS-SaleDM Table, SNS-ServiceDM Table, SNS-Education DM Table로 분류하고 각 항목별 Table에 관련성이 깊은 데이터들을 추출하여 분류되어지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MarketingDM Table은 소셜CRM 운영전략에 포함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데이터들을 연관탐사 분석하여 SNS DataWarehouse(52)로 보내지게 되는 과정과 SNS데이터들을 근거로 하여 SWOT분석을 자동분석하여 마케팅에 관련성이 강한 정보들을 조합하여 마케팅전략에 영향을 미칠 SNS-MarketingDM Table를 생성해 낸다.
또한 SNS-SaleDM Table은 웹서버(30)에서 분류되어 유입된 데이터들을 근거로하여 소셜CRM(70)을 운영하는데 속한 영업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데이터들을 연관탐사 분석하여 SNS-ServiceDM Table에 생성하여 SNS DataWarehouse(52)로 자동 보내지게 된다.
또한 SNS Education DataMart Table은 SNS-EIS(22)에서 얻어진 교육커뮤니티내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은 이들 커뮤니티멤버들 간에 조밀하고 강한 연결관계를 맺고 있다.상기와 같은 관계를 맺게 된 원인은 사용자들이 갖고 있는 교육콘턴츠 또는 조밀한 네트워크의 유사성에 기인하기 때문에 교육기관들이 타깃교육 수행시 필요한 데이터들을 얻을 수 있다.
SNS-EducationData Mart Table에서는 상기의 데이터들을 분류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의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SRM(90)의 구성요소인 교육정책 자동화 시스템(92), 교육실행자동화시스템(93), 학생관리자동화시스템(94)에 적용될 데이터들을 초기 분류화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의 데이터 분류기법은 SNS-EducationDM Table에서 SRM(90)에 활용될 항목들은 자동으로 입력설정 되어진 항목을 입력하면 입력한 항목에 따라 자동분류 되어지는 기법이다.
상기와 같이 분류된 Web DBWarehouse(40)의 데이터들은 SNS DataWarehouse(52)로 보내지게 되고 SNS에 근거한 소셜CRM(70)운영과 SRM(90)운영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역중 분석CRM영역(5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석CRM(50)를 설명 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석CRM(50)은 전사운영 데이터베이스(51), SNS DataWarehouse(52)와 분류 항목인 SNS-MarketingDM(53), SNS-SaleDM(54), SNS-ServiceDM(55), OLAP(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석CRM(50)은 기업의 모든 운영 정보시스템과 Web DBWarehouse(40)에서 얻어진 고객들의 정보들을 통합분석하여 전략적인 SNS마케팅과 고객서비스 전략에 필요한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하고 CRM운영과 SRM(90)운영에 필요한 분류항목별로 더욱 구체적이고 세밀한 데이터로 분석하는 영역이다.
전사운영데이터베이스(51)는 기업 내부시스템과 내, 외부의 고객과 제품 그리고 서비스에 관한 모든 운영데이터베이스다. 운영계 데이터는 SNS DataWarehouse(52)로 자동 보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사운영데이터베이스(51)와 Web DB Warehouse(40)에서 받은 데이터는 분석 CRM(50)의 운영 프로세스에 따라서 운영관리 된다.
SNS DataWarehouse(52)는 고객 데이터들을 축적, 관리 분석 하는 과정이며 Web DB Warehouse(40)와 전사운영데이터베이스(51)의 통합된 데이터의 집합영역으로서 고객지향적이고 소셜CRM(70)운영과 SRM(90)운영에 필요한 실질적인 분류항목에 대해 맞춤화 되어진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Web DBWarehouse(40)에서 유입된 데이터와 전사운영데이터베이스(51)에서 유입된 데이터들 간에 데이터의 통합에 있어서 조합이나 분석 과정에서 데이터의 충돌을 없애고 원활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분류 할 수 있는 기능으로 SNS-MarketingDM(53), SNS-SaleDM(54), SNS-ServiceDM(55), SNS-Education DM(91)으로 각각 관련 데이터들을 자동송출 한다.
또한 SNS DataWarehouse(52)는 기업의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서 내부시스템에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정보기반을 제공하고 소셜CRM(70)을 운영하기 위한 하나의
통합된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Web과 전사운영데이터베이스(51)만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추출하고 관리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SNS인큐베이터(20)를 발명하여 SNS사용자들의 모든 데이터들을 근거로한 고객지향적인 데이터들을 추출해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SNS DataWarehouse(52)에서 추출된 데이터들은 분류항목인 SNS-MarketingDM(53), SNS-SaleDM(54), SNS-ServiceDM(55), SNS-Education DM(91)로 송출하게 되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MarketingDM(53)는 SNS미디어(10)에 기반을 둔 마케팅역량 강화를 위해 SNS DataWarehouse(52)로부터 받은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고객지향적인 캠페인분석, 기획, 실행, 평가 등을 데이터분석을 통해 마케팅자동화시스템(61)의 실행을 위해 데이터를 관리하는 단계이다.
Web DBWarehouse(40)의 결과로 인해 고객과 제품의 특성에 따라 대면채널, 비즈니스 파트너, 웹과 SNS를 활용한 멀티채널을 최적화해 대응전략을 세울 수 있는 데이터를 만들어 낸다.
또한 Web DBWarehouse(40)에서 SWOT분석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더욱 우수하고 신속한 마케팅통찰력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와 아이디어를 창출 할 수 있으며, 동시에 브랜드관리 및 전략적인 마케팅계획을 수립 할 수 있는 단계 이다.
종래에는 마케팅전략이 제품 및 브랜드 중심 이였지만, 현재와 미래는 소비자 즉 소비자의 심리, 감성으로 변화하고 이에 기반한 마케팅 예측력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SNS인큐베이터(20)에 의해 고객에 대한 심층적 이해 및 분석을 통한 마케팅 역량강화 즉 SNS를 활용한 제품의 가격분석과 고객분석을 위한 고객데이터의 체계적인 수립으로 고객지향적인 마케팅전략수립을 할수 있고, SNS-MarketingDM(53)의 데이터들은 마케팅자동화시스템(61)으로 보내지게 되어 마케팅전략을 수행하게 된다.
SNS-SaleDM(54)는 SNS DataWarehouse(52)에서 받은 데이터들을 근거로 하여
개인맞춤형 제품과 영업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를 추출하고 관리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에서 추출된 데이터들은 운영CRM영역(60)으로 보내지게 되고 영업자동화시스템(62)의 실행에 영향을 준다.
SNS-ServiceDM(55)는 제품과 서비스제공 이후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 및 고객이 기업지식베이스에 접근하여 개인화된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SNS DataWarehouse(52)에서 데이터들을 추출하고 관리한다. 기업이
고객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비즈니스를 한다는 것은 경영의 기본이다.
브랜드의 힘도 중요하지만 기업과 고객이 얼마나 서로 소통하느냐 하는것과 고객과의 소통에서 얻어지는 경험이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기업경영의 요구사항으로 인해서 SNS-ServiceDM(55)의 기술적인 역할은 고객을 기업의 적극적인 지지자로 만드는 적극적인 계기가 될 수 있는 요인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Service DM(55)는 고객의 사소한 서비스의 감동까지 주기 위해 SNS인큐베이터(20)에서 얻어진 데이터들을 근거로 하여 운영CRM영역에 포함된 고객서비스자동화시스템(63)전략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생성해 낸다.
또한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56) 즉 다 차원 분석은 운영CRM영역(60)의 전략수립을 위해, SNS-MarketingDM(53), SNS-SaleDM(54), SNS-Service DM(55), SNS-EducationDM(91)에서 도출된 데이터의 정렬화와 표준화를 정립함으로서 기업이 촉진 하고자하는 전략적 방향을 추진하고 운영CRM영역(60)에 데이터를 공급하는 공급공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영역중 SRM(학생관계관리시스템)(9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RM(90)영역은 교육기관이 학생과의 관계를 유지하여, 2차교육 유도, 학생의 정보확보, 관리, 학생 이탈예방, 잠재학생의 추출, 교육상품구매학생으로의 전환 등 학생니즈에 의한 세분화를 이루어 교육기관은 꾸준한 교육제공과 학생들에게는 맞춤교육을 받을 수 있어서 지속적인 관계를 이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각 기능별로 SNS-EducationDM(91), 교육정책자동화시스템(92), 교육실행자동화시스템(93), 학생관리자동화시스템(94), SRM Adapter(95)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Student Relationship Management(학생관계관리)(SRM)(90)은 SNS-EIS(22)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Web서버(30), Web DBWarehouse(40)을 거치면서 단계별로 데이터가 분류 되어지고 SNS DataWarehouse(52)에서 유입된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학생관계관리를 실행하는 시스템이다.
SNS-EducationDM(91)는 SNS DataWarehouse(52)에서 유입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교육정책자동화시스템(92), 교육실행자동화시스템(93), 학생관리자동화시스템(94)으로 각각 필요한 데이터들을 분류하여 송출하는 단계로서, SNS-EIS(22)에서 형성되는 교육콘텐츠의 거시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토픽이나 교육트랜드 변화를 추출하기 위해서 SNS-EIS(22)의 네트워크구조에 기반을 둔 데이터의 진화분석을 하고 교육정책자동화시스템(92), 교육실행 자동화시스템(93), 학생관리자동화시스템(94)로 송출하여 실행 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에 적용된 데이터의 진화분석 기법은 SNS사용자와 교육기관들에 관한 일상생활 및 교육관심사에 대한 콘텐츠 및 정보들이 SNS-EIS(22)에서 형성된 데이터들이 Web DBWarehouse(40)에서 교육정보의 흐름을 분석하여 의미 있는 거시적 교육정보를 SRM(90)에 제공하여 모든 학생과 교육기관이 이러한 정보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어서 맞춤화된 교육과정과 교육기관을 선택할 수 있고 교육기관들의 입장에서는 교육기관에 맞는 타깃 학생들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법이다.
교육정책 자동화시스템(92)은 학생에게 보다 나은 교육상품과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여 학생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교육상품 개발로 학생에게 맞춤화 되어진 교육을 제공하여 학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교육정책자동화시스템(92)은 차별화된 교육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교육정책에 해당하는 대상 학생을 선별하고, 적합한 교육상품을 기획 및 수행하며 교육정책의 결과를 수집하여 수행한 교육정책의 효율 및 효과를 자동으로 추적하고 관리하는 일련의 기능들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또한 학생의 상태변화나 반응에 따라 관련 교육정책활동이 자동적으로 수행 될 수 있도록 학생에게 맞는 교육과정을 개설 하고 그 교육과정에 맞는 교육 정책을 실행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교육정책자동화시스템(92)에서 학생들을 중심으로 관계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변화, 발전, 폐기 시킬수 있는 데이터의 자동화 처리분석기법이 적용되어 자동으로 교육과정의 생애기간을 파악할 수 있는 단계이다.
상기의 데이터 자동화분석처리기법은 ESDP(Education Smart Data Processing)가 적용되어 교육과 교육과정에 해당되는 적합한 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하여 잠재학생을 추출하고, 잠재학생에게 맞춤화되어진 교육상품이 자동 생성되는 데이터분석처리 기술이다.
ESDP는 교육기관과 교육과정에 대한 활성데이터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비슷한 성향을 갖는 데이터군을 추적하는 데이터의 분석기법이다.
데이터 활성군을 추적하여 교육기관과 교육과정 데이터에 관련하여 연관성이 다양하고 깊은 잠재학생의 특성을 파악 할 수 있어서 잠재 학생을 추출할 수 있고 잠재 학생에게 성공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분석 기술이다.
또한 상기로 인해서 교육과정의 차별화로 2차교육의 유도와 학생의 가치와 니즈에 따라 교육과정과 교육정책을 차별화 시킬수 있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교육정책자동화시스템(92)에서 수행되는 교육과정(교육정책)의 차별화 대상에는 교육트렌드의 변화, 잠재학생들의 특성, SNS-EIS(22)에서 형성되는 교육그룹의 특성 학생의 대응절차등이 있고 이런 맞춤화의 역량은 학생의 지속적인 재교육 신청으로 유도되는 교육구매가치(가치자산) 영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교차 교육과정과 심화교육과정이 자동 생성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교육정책자동화시스템(92)은 교육정책(교육과정)개발을 위해 학생니즈의 분석과 학생평가 및 세분화를 이룬다.
상기에서 학생니즈에 의한 분석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학생들의 거래 및 행동에 대한 정보들을 축적함으로서 학생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세분화 한다.세분화된 데이터들을 근거로 하여 주로 교육기관의 교육과정 및 교육서비스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정책 수립을 할 수 있어서 맞춤화 교육을 제공 할 수 있는 단계이다.
또한 학생 평가 및 세분화는 학생정보를 바탕으로 학생의 실질적인 수익성을 평가하여 계층화 하고 다양한 변수에 의한 세분화 작업을 수행함으로서 각 학생군에 대한 교육차별화 및 맞춤화 대응전략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교육실행자동화시스템(93)은 SRM(90)중심의 교육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교육에 관련된 다양한 교육기획및 실행에 대해 e-러닝, 온라인교육, 정보기술서비스를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자동화 시킨 교육실행시스템으로서 시스템관점의 SRM(90) 구성요소에 가장 큰 범위를 차지하는 단계이다.
교육실행자동화시스템(93)은 SNS-EducationDM(91)으로부터 유입된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교육상품 및 교육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적절한 잠재학생을 선별하고 이들에 대한 교육제공을 집중함으로서 교육기관은 이익증대와 학생에게는 심화교육 및 맞춤교육을 제공 할 수 있는 단계이다.
또한 교육실행자동화시스템(93)은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으로 SNS-EIS(22)를 통하여 교육실행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단계이다.
단순한 교육매출정보 뿐만 아니라 학생의 대응태도, 궁금증, 불만사항 그리고 교육과정의 이수 과정에서 발견되는 학생행동패턴 등과 같이 학생과 커뮤니티를 수행하면서 파악 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가능한 모든 학생접점 포인트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학생관리자동화시스템(94)은 SNS-EIS(22)에서 도출된 데이터들을 근거로하여 SNS-EducationDM(91)을 통해 획득한 학생데이터들 중에 학생별 프로파일링을 수행
하여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모든 교육관련 정보를 학생 개인별로 분류하여 각 학생에 대한 통찰력을 갖추기 위한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학생별 수익성 분석과, 이수 교육과정분석을 통한 각 학생별 세분화와 다양한 행동패턴 분석을 통한 교차교육,상승(심화) 교육 등급 전환, 학생 이탈 혹은 특정 교육에 관한 교육수강 가능성을 예측 할 수 있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은 유용한 학생 정보의 추출로 인하여 교육기획, 교육실행, 교육서비스 등의 영역에 걸쳐 다양한 SRM(90)을 수행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학생관리자동화시스템(94)는 학생관계강화를 수행하고 학생생애단계를 파악하여 이탈원인을 분석하여 학생관계를 형성하여 학생이탈을 예방하고 교육과정을 관리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학생관계강화 활동은 안정적인 학생과의 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상호 파트너쉽을 형성하기 위해 관계의 폭과 깊이를 더욱 강화 시켜나가는 데이터분석기술인 SDAT(Student Data Analysis Tool)이 적용된다.
학생관계에 있어서 SDAT로 인해서 관계의 폭을 측정하는 학생 데이터의 분석은 관계의 양적분석 측면과 관계의 질적분석 측면으로 구분한다.
상기에서 SDAT의 약적분석측면은 학생이 얼마나 다양한 종류의 관계적 연결고리를 통해 교육기관과 연계되어 있는지를 자동측정 하여 학생관계의 폭을 측정 한다.
또한 SDAT의 질적분석측면은 학생이 받고 있는 교육이수과정의 연결고리에 대해 얼마나 깊이 있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SNS-EIS(22)를 통하여 나타내지는 지표를 자동측정하여 학생관계의 깊이를 측정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에서 학생생애단계를 파악함으로서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대상자 추출의 기본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고 각 교육과정의 생애 단계에 따라 상이 할 수 있는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단계이다.
또한 학생관리자동화시스템(94)은 특정 학생의 과거교육이력에 관한 정보들을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의 교육이력을 근거로하여 학생이탈 예방을 할 수 있는 단계이다.
또한 SDAT로 인해 자동처리 되는 학생 데이터 처리로 적절한 이탈 예측모형을 통해 이탈할 가능성이 높게 평가된 핵심학생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탈 예방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전략이 자동 실행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에서 이탈 학생들을 예측하고 예측결과에 대한 이탈 예방 정책 즉 92로 데이터 전송되어 교육정책의 대상으로 선정되는 잠재이탈 학생들에게는 개별적인 접촉을 시도하여 개인적인 문제해결을 하고 특별한 교육기회의 부여나 교육 이수후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에서 잠재고객과 이탈학생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신규 학생의 확보, 교육상품과 교육서비스의 항목, 교육과정 접촉의 채널, 부가적인 혜택등 많은 요소들의 구성을 차별화 하여 개별학생에게 자동으로 제공하여 잠재학생과, 이탈학생들의 교육구매학생으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단계 이다.
SRM Adapter(95)는 인터페이스의 통합으로 교육정책자동화시스템(92), 교육실행자동화시스템(93), 학생관리자동화시스템(94)으로부터 유입된 데이터들을 SNS미디어(10)와 클라우드 컴퓨팅(80)으로 보내기 위해 데이터 분배 작업을 하여 자동으로 송출하는 단계이다.
또한 SRM Adapter(95)는 데이터공급채널 인터페이스 기반의 통신 어뎁터 역할을 하며 데이터 공급채널의 안정된 연계를 위해 호환성을 확보하여 교육실행자동화시스템(93), 교육정책자동화시스템(92), 학생관리자동화시스템(94)로부터 유입된 데이터들을 데이터 공급채널의 다변화 기능과 확장성을 보장하는 구조와 인터페이스의 연계성을 제공하고 데이터의 순차처리를 보장하는 확장성을 제공한다.
또한 SRM Adapter(95)를 통해 모든 데이터들이 SNS미디어(10)에 전달되어 SNS미디어(10)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피드백되고,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80)에 전달되어 클라우드 컴퓨팅(80)에서는 SRM(90)에서 도출된 교육정보가 저장되고 SRM(90)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클라우드 컴퓨팅(80)을 통해 SRM(90)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고 SNS미디어(10)과 클라우드 컴퓨팅(80)을 통해 자동으로 피드백 되어진다.
도 5 본 발명의 영역중 운영CRM영역(6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영CRM영역(60)은
마케팅자동화시스템(61), 영업자동화시스템(62), 고객서비스자동화시스템(63), ERP(64), SLM(66), SCM(65), BI(67)가 설계되어 있는 구성 이다.
운영CRM영역(60)은 분석CRM영역(50)에서 도출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마케팅, 영업, 고객서비스와 같은 후반위 영역에서 실질적인 CRM업무 프로세스를 통합하고
자동화 하기 위한 단계이다.
또한 SNS사용자들의 정보들을 기반으로 기업의 내부프로세스 기능을 개선하고 경영전략을 구축하기 위해 SNS인큐베이터(20)에서 정제된 데이터들을 근거로 하여 전사적자원관리(ERP), 고객관점의서비스관리(SLM), 공급망관리(SCM), 비즈니스통합(BI)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SNS인큐베이터(20)에서 분류되어진 데이터들을 근거로하여 Web DBWarehouse(40)에서 얻어진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마케팅자동화시스템(61), 영업자동화시스템(62), 고객서비스자동화시스템(63)을 구축하고 실행함으로서 소셜CRM(70)을 실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미래 경영전략에 대한 결정을 지원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정확한 데이터에 기반해서 경영분석과 경영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필요성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단순한 보고용 자료가 아니라 장기적인 기업운영 전략을 수립 할 수 있는 기반 자료로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기업생존에 직결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도 5와 같이 내부시스템을 융합하였고, 소셜CRM(70)을 실행하기 위한 운영적CRM 단계이다.
마케팅자동화시스템(61)은 SNS-MarketingDM(53)에서 추출된 데이터에 의해서 고객과 SNS사용자들의 상태변화나 반응에 따라 관련된 마케팅활동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종래의 마케팅 자동화시스템은 고객을 위해 고 비용을 감수 했고 충분한 경험과 제품지식과 충성도를 갖는 영업사원도 전진 배치 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마케팅 자동화시스템은 제대로 제 기능을 못하고 고객이 요구하는 마케팅 활동을 펼치지 못 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케팅 한계를 극복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SNS인큐베이터(20)을 도입한 마케팅자동화시스템(61)이 구축으로 고객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구축하고 SNS미디어(10)를 통해 고객들이 즉각적으로 반응을 보이고 그 반응에 따라 고객대응전략이 다르게 운영되는 소셜마케팅 시스템이 운영되어진다. 즉 SNS속에 마케팅을 들여오는 형태이다.
현재와 미래의 비즈니스환경은 SNS미디어(10)를 운영 하도록 변하고 있다. SNS미디어(10)속에 마케팅 전략이 수립 될 수 있도록 마케팅자동화시스템(61)을 설계 하였다.
또한 SNS미디어(10)에서 얻어진 정보들은 SNS인큐베이터(20)에서 정제되어 정보의 신뢰도가 높고 고객의 요구에 부합되어진 정보들이며 상기와 같은 정제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마케팅자동화시스템(61)에서는 고객 맞춤화된 제품과 서비스별 마케팅을 실현할 수 있는 단계이다.
또한 캠페인관리, 로열티관리는 소셜CRM(70)을 경험해 본 고객들은 SNS미디어(10)를 통해 커뮤니티 되고 SNS인큐베이터(20)와 Web DBWarehouse(40)에서 SWOT분석 단계를 거치면서 고객요구에 맞는 캠페인과 로열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실적인 고객맞춤 마케팅활동을 할 수 있는 단계이다.
영업자동화시스템(62)은 마케팅자동화시스템(61)의 실행으로 제품 및 서비스를 판매 혹은 제공함에 있어서 적절한 잠재고객을 선별하고 상기에 대한 판매노력을 집중하고 효율성을 높여 영업의 생산성을 증대 시킬수 있도록 영업자동화를 실행 시키는 단계이다.
상기의 시스템이 SNS미디어(10)에 근거한 데이터와 운영방법이기 때문에 SNS미디어(10)을 통해 영업자동화시스템(62)을 운영하고, SNS미디어(10)를 통해 영업생산성을 확산시킬수 있는 소셜커머스를 운영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SNS를 통해 영업자동화시스템(62)을 운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고객들은 스마트폰등 모바일 기기를 통해 고객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SNS정보 분석을 통해 수립된 영업자동화시스템(62)은 모바일서비스 활동을 통해 업무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영업활동의 체질을 개선 할 수 있는 단계이다. 즉 모바일
소셜커머스가 실행이 되는 단계이다.
고객서비스자동화시스템(63)은 고객센터의 영역에 속하면서 SNS의 정보를 비롯해 고객의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SNS-Service DataMart(55)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의 소리(VOC)와 SNS인큐베이터(20)를 통한 브랜드 명성조사와 제품 개발이나 고객의참여로 인한 제품과 서비스의 개선을 하게 되는 단계이다.
SNS미디어(10)와의 시스템적 연동으로 여론조사 서비스와 투표서비스를 이용해 설문조사 및 제품에 관한 고객들의 반응을 알아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얻어진 데이터들을 다시 SNS인큐베이터(20)를 거쳐서 고객지향적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고객들의 반응과 여론을 빠른 시간에 알 수가 있어서 제품의 시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마케팅자동화시스템(61)이나 영업자동화시스템(62)에서 빠른 대응을 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소비자의 선호도와 여론을 알아 낼 수가 있어서 기업의 경쟁력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SNS미디어(10)는 계정이 되어 있어서 실질적인 여론조사가 될수 있고 실제의 시장상황과 소비자의 상황을 잘 파악할 수가 있어서 고객서비스를 구축하기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운영되는 고객서비스자동화시스템(63)은 SNS미디어(10)와 소통하여 즉각적인 서비스공급으로 고객의 참여와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고객서비스자동화가 실행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전자적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ing provider)(64)는 SNS인큐베이터(20)의 도입을 통해 가치경영실현을 위한 내부시스템중 전사운영정보 시스템의 영역에 속한다.
종래의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이 정보기술 관점의 최적화였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소셜CRM(70)과의 연계로 고객과 SNS에 중점을 두고 설계된 시스템이다.
또한 관련 정보들을 최고 경영진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어서 경영진이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 역할을 한다.
또한 ERP(64)에서 모니터링되는 영업 및 매출 정보를 활용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마케팅자동화시스템(61)을 구축 할 수 있고 ERP(64)를 통해 신뢰높은 전사운영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 만큼 이를 기반으로한 의사결정으로 BI(67)구축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포함한다.
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nt)(6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소셜 CRM(70)과의 연계로 고객지향적인 디지털공급망관리로 전환할 수 있는 단계이다.
또한 고객의 실수요 예측과 최적의 공급계획을 수립 할 수 있는 내부 프로세서를 구성하는 단계이다.
서비스단계관리(Service Level Management)(66)는 고객서비스 자동화시스템(63)의 실행에 목적을 두고 고객의 효율화 특성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체계로 구성되는 내부프로세서 영역에 포함된다.
또한 고객서비스자동화시스템(63)과 상호 보완적인 영역이며 고객 기대수준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비즈니스 목적에 부합된 정보기술 서비스를 구축하는 단계이다.
비즈니스 통합(Business Integration)(67)은 기업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의 정책등 운영 방향을 제시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NS인큐베이터(20)를 적용한 소셜CRM(70)을 통해 기업환경에 맞는 BI를 구축 할 수 있다.
또한 소셜CRM(70)의 운영으로 인한 BI(67)는 실시간 기업경쟁력과 업무효율성을 구현 하고자 하는 기업에 정보를 적기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도 1에 있어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셜CRM(70)은 운영CRM(60)에서 도출된 결과와 데이터를 SNS미디어(10)나 고객들에게 전달하는 고객접점 영역이다.
운영CRM(60)의 프로세스 결과가 소셜CRM(70)에서 실행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셜CRM(70)의 실행은 SNS미디어(10)와 고객들에게 소셜CRM(70)의 내용이 전달되어지고 다시 SNS인큐베이터(20)로 피드백 되어 고객의 요구에 수렴하게 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소셜CRM(70)이 운영되어 SNS미디어(10)를 통해 고객들과 모든 SNS사용자들에게 정보순환을 이루게 됨으로서 고객중심 경영을 이루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셜CRM(70)은 SNS미디어(10)를 통해 고객 서로에게 신뢰높은 유용한 정보와 생각을 전달함으로서 고객과 기업의 유착관계를 더욱 밀접하게 하여 고객서비스와 영업전략과 마케팅에 있어서 고객맞춤화된 다양한 방법을 실행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셜CRM(70)을 운영하고자 하는 사용자 및 고객들은 클라우드 컴퓨팅(80)에서 SNS인큐베이터(20)를 통해 소셜CRM(70)을 운영할수 있고 소셜CRM(70)운영을 하기 위해서는 소셜CRM(70)운영 권한을 부여 받으면 된다.
도 1에 있어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80)의 분석CRM영역(50)과 운영CRM영역(60)과, 소셜CRM영역(70)과 SRM(90)영역과 고객 및 일반SNS사용자와 데이터를 교류하여 각 영역별 필요에 따라서 데이터를 활용하고 저장 관리 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컴퓨팅(80)의 접목으로 대용량의 소셜 CRM(70) 데이터와 SRM(90)데이터를 고가의 장비없이 저장 및 운영 할 수 있어 비용절감을 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해 소셜CRM(70)관련 데이터와 SRM(90)의 데이터와 SNS데이터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활용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객이나 SNS사용자들과 SRM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클라우드 컴퓨팅(80)에서 SNS인큐베이터(20)를 사용할 수 있고, 소셜CRM(70)과 SRM(90)을 운영하기 위해 도입된 SNS인큐베이터(20)를 고객 및 모든 사용자들이 다양한 용도로 활용 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80)에서 SNS인큐베이터(20)를 사용하여 소셜CRM(70)과 SRM(90)을 운영하려는 사용자는 모두 소셜CRM(70)과 SRM(90)을 운영할수 있고 SNS인큐베이터(20)을 통해 SNS광고, 소셜커머스, 맞춤화된 교육제공등 신뢰높은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SNS인큐베이터(20)로 인한 대량의 SNS데이터들을 저장 및 관리하여 분석CRM영역(50), 운영CRM영역(60), 소셜CRM영역(70)과 SRM(90)영역과 고객과 SNS사용자들에게 필요에 따라서 언제든지 제품과 서비스에 관한 정보들과 SNS정보들을 활용할 수 있는 u-클라우드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컴퓨팅(80)내에 자원배합은 데이터의 변동시 수시로 변화되어 지고, 서비스 제공업체와 SRM정보는 클라우드 컴퓨팅(80)에서 SNS인큐베이터(20)를 활용하여 맞춤화되어 있는 서비스 수요자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80)내에서 SNS인큐베이터(20)는 사용자 모두 공유할수 있는 영역이지만 분석CRM영역(50), 운영CRM영역(60), 소셜CRM(70), SRM(90)영역은 각 영역별 권한과 보안이 설정되어 있어서 각 영역별 사용권한 부여자만 허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 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 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 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SNS미디어 20: SNS인큐베이터
30: 웹서버 40: Web DataWarehouse
50: 분석CRM영역 60: 운영CRM영역
70: 소셜CRM 80: 클라우드컴퓨팅
90: 학생관계관리(SRM)영역

Claims (17)

  1. 클라우딩 컴퓨터와 접목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SNS 미디어를 통해 획득한 고객의 SNS 데이터를 이용하며,
    상기 SNS 데이터를 운영 CRM, 및 소셜 CRM 영역으로 구분하며, 상기 SNS 데이터에서 교육관련 데이터, 및 고객관계관리 데이터를 추출하는 SNS 인큐베이터;
    상기 SNS 인큐베이터에서 추출된 SNS 데이터를 수집하여 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웹 서버;
    상기 웹 서버에서 수집된 SNS 데이터를 운영 CRM 영역과 소셜 CRM 영역으로 분류하는 SNS 인큐베이터;
    상기 SNS 인큐베이터에서 획득된 SNS 데이터에서 교육관련 SNS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 SRM; 및
    상기 SNS 데이터를 참조하여 SNS-MarketingDM Table과, SNS-SaleDM Table과, SNS-EducationDM Table, SNS-ServiceDM Table로 구분하여 분류하는 Web DBWarehou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NS 인큐베이터는,
    상기 SNS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교육관련 SNS 데이터, 및 소셜 CRM 영역에 대응하는 SNS 데이터를 추출하여 SNS 데이터 인큐베이터 DB로 제공하는 SNS Data 필터링 시스템;
    상기 SNS 미디어에서 유통되는 상기 SNS 데이터를 토대로 고객의 행동패턴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SNS Data로열티;
    상기 SNS 데이터에서 교육관련 SNS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정보를 형성하는 SNS-EIS;
    상기 SNS-EIS에서 추출된 SNS 데이터를 저장하는 SNS Data table;
    상기 SNS-EIS에서 추출된 SNS 데이터 중 상기 SNS 미디어에서 실시간 공유되어야하는 SNS 데이터를 저장하는 SNS 라이브러리; 및
    상기 SNS Data로열티, 및 상기 SNS Data table에서 획득된 SNS 데이터들 중 노이즈를 제거하는 SNS 파티션 prun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NS-EIS는,
    상기 교육관련 SNS 데이터, 및 상기 교육관련 SNS 데이터를 가공한 자료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온라인 매매를 위한 온라인 마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관련 SNS 데이터는,
    입시, 특기, 자격증, 어학, 예체능, 취업, 공무원 시험, 및 수능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NS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NS-EIS는,
    상기 SNS 미디어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교육관련 SNS 데이터의 유통 흐름의 변화를 참조하여 상기 SNS 데이터를 분석하고, 복수의 교육 그룹으로 분류하며,
    상기 교육 그룹으로 분류된 교육관련 SNS 데이터의 이용 내역을 토대로 상기 SNS 미디어로 접속된 각 고객간 관계에 대한 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NS-EIS는, 외부 교육기관의 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외부 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IEDP(Integrated Education Data Processing)의 데이터처리기술에 의해 상기 SNS 미디어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NS 로열티는,
    상품, 및 서비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기, 평가, 의견, 및 비평에 대한 고객 참여에 비례하는 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NS 로열티는,
    상기 고객이 고육관련 SNS 데이터와 관련되는 온라인 강의, 및 e-러닝의 결제 비용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큐애드는,
    상기 SNS 미디어를 통해 고객에게 노출되는 광고의 실시간 노출시간을 참조하여 연령별, 지역별, 성별, 및 직업별 광고의 관심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광고의 관심도를 토대로 고객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큐애드는,
    교육전문 앱 스토어에서 교육관련 앱을 추출하여 상기 SNS 미디어로 포스팅하고, 이를 통해 상기 교육관련 앱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
  11. SNS 미디어, 및 웹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품, 및 서비스 중 하나에 대한 고객의 평가가 반영되는 SNS 데이터를 참조하여 고객의 행동패턴, 및 제품사용패턴에 대한 고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고객정보를 소셜 CRM 영역, 및 SRM 영역으로 구획하고 이를 토대로 기업 경영전략에 요구되는 SNS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SNS 데이터를 토대로 교육관련 SNS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소셜 CRM 영역과 상기 SRM 영역에 대한 중점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점 항목에 따라 상기 CRM 영역과 상기 SRM 영역에 대한 SNS 데이터들이 정렬되어 분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점 항목에 따라 상기 CRM 영역과 상기 SRM 영역 각각으로 분류된 SNS 데이터의 중요도를 상, 중, 및 하로 분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CRM 영역과 상기 SRM 영역은,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되어 통합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운영 CRM 영역, 및 상기 SNS 미디어를 통해 접속되는 고객이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해 상호 교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딩 컴퓨팅은,
    상기 SNS 미디어를 통해 접속되는 고객이 상기 SRM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SNS 데이터를 토대로 교육관련 SNS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SDAT(Student Data Analysis Tool)를 적용하여 상기 교육관련 SNS 데이터에서 학생관계, 및 상기 학생관계의 깊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학생관계의 깊이를 토대로 상기 교육관련 SNS 데이터에서의 이탈모형을 형성하는 단계; 및
    각 학생별 생애단계를 이용하여 각 생애단계별 교육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관계에 대한 정보, 및 각 학생별 생애단계를 참조하여 잠재학생과 상기 이탈학생을 교육구매층으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110118325A 2011-11-14 2011-11-14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KR20130062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325A KR20130062418A (ko) 2011-11-14 2011-11-14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325A KR20130062418A (ko) 2011-11-14 2011-11-14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418A true KR20130062418A (ko) 2013-06-13

Family

ID=4886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325A KR20130062418A (ko) 2011-11-14 2011-11-14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241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946B1 (ko) * 2019-02-26 2020-03-09 황건희 블록체인 기반 대학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 상기 시스템에서 유저에게 코인을 공급하는 방법 및 공급된 코인을 활용하는 방법
CN111599472A (zh) * 2020-05-14 2020-08-28 重庆大学 用于学生心理状态识别的方法及装置、计算机
CN112308506A (zh) * 2020-10-19 2021-02-02 北京金山云网络技术有限公司 流程信息的处理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WO2022092689A1 (ko) * 2020-10-26 2022-05-05 더화이트커뮤니케이션(주) 고객 응대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946B1 (ko) * 2019-02-26 2020-03-09 황건희 블록체인 기반 대학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 상기 시스템에서 유저에게 코인을 공급하는 방법 및 공급된 코인을 활용하는 방법
CN111599472A (zh) * 2020-05-14 2020-08-28 重庆大学 用于学生心理状态识别的方法及装置、计算机
CN111599472B (zh) * 2020-05-14 2023-10-24 重庆大学 用于学生心理状态识别的方法及装置、计算机
CN112308506A (zh) * 2020-10-19 2021-02-02 北京金山云网络技术有限公司 流程信息的处理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WO2022092689A1 (ko) * 2020-10-26 2022-05-05 더화이트커뮤니케이션(주) 고객 응대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scucci et al. How digital technologies reshape marketing: evidence from a qualitative investigation
Kalish A new product adoption model with price, advertising, and uncertainty
Choy et al. 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the performance of logistics industry: the case of Hong Kong and Pearl Delta region
Han et al. Network-based recruiting and applicant attraction in China: insights from both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perspectives
Bekmamedova et al. Social media analytics and business value: a theoretical framework and case study
Pradabwong et al. Business process management and supply chain collaboration: a critical comparison
US20140214691A1 (en) Computer software system and method for innovation management
Lam et al. Customer relationship mining system for effective strategies formulation
Lobo et al.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quality management capabilities for manufacturing industries in Australia
Ziemba et al. Prosumers’ engagement in business process innovation–The case of Poland and the UK
Meiseberg et al. Performance implications of centrality in franchisee advice networks
Vrontis et al. New media marketing as a driver of enterprise country of origin (COO) offer in international markets
KR20130062418A (ko)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 시스템과 학생관계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Iba et al. Drivers for continued use of a direct marketing channel: evidence from Thai farmers
Lee et al. How do Enterprises promote innovation performanc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commun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 of tacit knowledge
Grifoni et al. SoN-KInG: a digital eco-system for innovation in professional and business domains
Sahi et al. Examining the role of customer engagement in augmenting referral value: The moderated-mediation of relational and expertise value
Foya Effect of technology base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on service quality in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in Arusha, Tanzania
Gharib How does the Digital Transformation Change the Strategy of a Telecommunication Company?
Niranjala Factors Influencing Towards the Adoption of Social Media Marketing in SMEs
Pishdad et al. Mass customization strategy development by FIRM
KR20210105668A (ko)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고객관계관리시스템과 시스템의 운영방법
Lisdiantini et al.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PT. GO-JEK INDONESIA IN INCREASING THE NUMBER OF CONSUMERS
Kirabo Strategic Management Practices and Performance of Firms in the Telecommunication Industry in Rwanda
Rajagopal et al. Marketing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