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135A - Drawer equipped with sliding partition - Google Patents

Drawer equipped with sliding part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135A
KR20130062135A KR1020110128568A KR20110128568A KR20130062135A KR 20130062135 A KR20130062135 A KR 20130062135A KR 1020110128568 A KR1020110128568 A KR 1020110128568A KR 20110128568 A KR20110128568 A KR 20110128568A KR 20130062135 A KR20130062135 A KR 20130062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drawer
guide plate
clip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5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44567B1 (en
Inventor
이제선
Original Assignee
이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선 filed Critical 이제선
Priority to KR1020110128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567B1/en
Publication of KR2013006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1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5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75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repositionable 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47B88/938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9Attachment means
    • A47B2210/092Attachment means between side walls and drawer bottoms
    • A47B2210/094Attachment means between side walls and drawer bottoms the side walls being metal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PURPOSE: A drawer equipped with varying forms of partitions is provid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without attaching a guide plate on the side part of the drawer. CONSTITUTION: A drawer equipped with variable forms of partitions which perpendicularly installed on the bottom unit according to the bottom part, and the edge of the bottom part comprises a first rail unit formed parallel to the bottom unit in the inner side, a drawer body (100) composed of side units which has respectively equipped a second rail unit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rail unit; a guide plate (200) connecting the side unit which facing each other to divide inside the drawer body; a clip (250) formed a body having a slit inserted one end portion of the guide plate, a first hanging projection formed to the body to hang the first rail unit, and , a second hanging projection formed to the body to hang the second rail unit.

Description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Drawer equipped with sliding partition}Drawer equipped with sliding partition

본 발명은 서랍의 내부를 분할하는데 사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 구조를 포함하는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wer having a variable divider including a sliding structure to freely move a guide plate used to divide the inside of the drawer to a desired position.

각 종 사물을 보관하는 용도로 자주 이용되는 서랍은 공간적 효율을 높이고, 일목요연한 정리를 위해 칸막이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칸막이가 적용된 서랍은 내부를 분할하기 위하여 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슬릿이 형성된 가이드와 슬릿에 삽입되는 파티션 플레이트를 이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내부를 분할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또한 가이드 양 측면에 미리 형성된 슬릿에 각 종 이물질이 끼는 문제점도 있었다.Drawers, which are frequently used for storing various objects, use partitions to improve space efficiency and make clear arrangements. However, the drawer to which the conventional partition is applied used a partition plate inserted into the slit and a guide formed with slits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side to divide the inside. Whe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here is a limit in dividing the interior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various foreign substances are caught in the sli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in advan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6925호(발명의 명칭: 가변형 칸막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형 칸막이를 서랍에 설치하였다. 이 때, 가변형 칸막이의 구성요소인 가이드 플레이트(201)를 서랍 본체(101)의 바닥부와 수직을 이루는 측면부(121)에 부착시켜 사용해야 하는 관계로 서랍(101)의 내부 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means to solve this problem,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46925 (name of the invention: variable partition), as shown in Figure 3, a variable partition was installed in the drawer. At this time, the internal space of the drawer 101 has been reduced because the guide plate 201, which is a component of the variable partition, needs to be attached to the side portion 121 perpendicular to the bottom of the drawer body 101. .

또한, 본래 서랍(101) 내부를 분할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201)를 서랍(101)의 측면부(121)에 부착시키는 경우 생산 단가가 불필요하게 상승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서랍(101)의 측면부(121)와 가이드 플레이트(201)가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경우 부착의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guide plate 201 originally used for dividing the inside of the drawer 101 is attached to the side portion 121 of the drawer 101, the production cost has been a factor that unnecessarily increases. In addition, when the side portion 121 and the guide plate 201 of the drawer 101 has a different material there was also a problem of attachment.

본 발명은 서랍의 측면부에 가이드 플레이트를 부착시킬 필요가 없는 가변형 칸막이 서랍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divider drawer which does not need to attach a guide plate to the side of the draw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objects and other technical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은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바닥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그 내측면에 상기 바닥부와 평행하게 형성된 제1 레일부와, 상기 제1 레일부와 나란하게 형성된 제2 레일부가 각각 구비된 측면부들로 이루어진 서랍 본체; 상기 서랍 본체의 내부를 구획하기 위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측면부들을 연결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된 바디, 상기 측면부의 상기 제1 레일부에 걸리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 및 상기 측면부의 상기 제2 레일부에 걸리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된 클립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rawer having a variable partition is installed in the bottom portion, and vertically on the bottom portion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the first rail portion formed parallel to the bottom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And a drawer body including side portions each having a second rail portion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ail portion; A guide plate connecting the side portions facing each other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drawer body; And a body having a slit into which one end of the guide plate is inserted, a first locking jaw formed in the body to be hooked to the first rail part of the side part, and a body to be hooked to the second rail part of the side part. It includes a clip is formed a second locking step.

측면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1 레일부 및 제2 레일부는 상기 내측면에 형성된 슬릿 형상의 개구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portion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1st rail part and the 2nd rail part are slit openings formed in the said inner surface.

또한, 측면부는 목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1 레일부 및 제2 레일부는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을 향해 형성된 홈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ide portion is preferably made of wood. At this time, the first rail portion and the second rail portion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groove form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portio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portion.

측면부에 형성된 제1 레일부 및 제2 레일부를 덮는 레일커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클립은 상기 레일커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rail cover covering the first rail part and the second rail part formed on the side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The clip may be installed at the rail cover.

이 때, 레일커버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일커버는 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ail cover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 addition, the rail cover is preferably formed of a reinforced plastic.

그리고, 제1 레일부 및 제2 레일부는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의 일부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a 1st rail part and a 2nd rail part are provided in a part of inner surface of the said side part.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 하부에 상기 바닥부와 평행하게 상향 돌출되는 제1` 레일부와, 상기 제1` 레일부와 나란하게 연속적으로 하향 돌출되는 제2` 레일부가 각각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plat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irst` rail part protruding upwardly in parallel with the bottom part, and a second` rail part protruding continuously downwar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ail part.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은 측면부에 가이드 플레이트를 부착하지 않고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 drawer having a variable div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same function without attaching a guide plate to the side portion.

이로 인해, 서랍의 측면부는 서랍의 내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가변형 칸막이를 구성하는 일부로서 기능된다. 그 결과, 서랍은 내부 공간이 늘어나게 된다. For this reason, the side part of the drawer functions as part which forms the inside of the drawer and constitutes a variable partition. As a result, the drawer increases its internal space.

그리고, 서랍의 생산자는 서랍 측면에 부착시킬 가이드 플레이트를 추가 생산할 필요가 없어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서랍의 본체에 가이드 플레이트를 부착하는 공정이 필요 없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er of the drawer does not need to produce a guide plate to b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drawer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In additio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guide plate to the body of the drawer is not necessary, and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그리고, 서랍의 소비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서랍을 이용할 수 있다.
And the consumer of the drawer can use the drawer having the same function at low cost.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가변형 칸막이 서랍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 및 도 1c는 서랍 본체의 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서랍에 가변형 칸막이를 설치한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도 1a의 서랍 본체의 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b의 측면에 클립 및 가변형 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ariable divider dra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B and 1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ide of a drawer main body.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guide plate and the clip.
3 is a plan view in which a variable partition is provided in a conventional drawer.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side surfaces of the drawer body of FIG. 1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lip and a variable plate are mounted on the side of FIG. 1B.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meanings and concept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100)은 바닥부(110), 및 상기 바닥부(110)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바닥부(110)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그 내측면에 상기 바닥부(110)와 평행하게 형성된 제1 레일부(121)와, 상기 제1 레일부(121)와 나란하게 형성된 제2 레일부(122)가 각각 구비된 측면부(120)들로 이루어진 서랍 본체; 상기 서랍 본체의 내부를 구획하기 위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측면부(120)들을 연결하는 가이드 플레이트(200);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슬릿(252)이 형성된 바디(251), 상기 측면부(120)의 상기 제1 레일부(121)에 걸리도록 상기 바디(251)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253) 및 상기 측면부(120)의 상기 제2 레일부(122)에 걸리도록 상기 바디(251)에 형성되는 제2 걸림턱(254)이 형성된 클립(250)을 포함한다.1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awer having a variable part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er 100 having a variable partition is installed vertically to the bottom part 110 and the bottom part 110 along an edge of the bottom part 110, and the bottom part 110 and the inner side of the drawer 100. A drawer body including a first rail part 121 formed in parallel and side parts 120 provided with a second rail part 122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ail part 121; A guide plate (200) connecting the side portions (120) facing each other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drawer body; And a body 251 having a slit 252 into which one end of the guide plate 200 is inserted, and a first formed in the body 251 to be caught by the first rail part 121 of the side part 120. And a clip 250 having a second locking step 254 formed on the body 251 to be caught by the locking step 253 and the second rail part 122 of the side part 120.

그리고, 측면부(12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제1 레일부(121) 및 제2 레일부(122)는 상기 내측면에 형성된 슬릿(252) 형상의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side portion 120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etal material. At this time, the first rail portion 121 and the second rail portion 12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of the slit 252 shap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또한, 측면부(120)는 목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제1 레일부(121) 및 제2 레일부(122)는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측면부(120)의 외측면을 향해 형성된 홈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 portion 120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wood. At this time, the first rail portion 121 and the second rail portion 122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groove form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portion 120 from the inner surface.

그리고,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100)의 제1 레일부(121) 및 제2 레일부(122)는 상기 측면부(120)의 내측면의 일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rail part 121 and the second rail part 122 of the drawer 100 having a variable partition may be installed on a part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part 120.

서랍 본체(100)는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네 테두리를 따라 바닥부(1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측면부(120)를 포함한다. 이 때, 측면부(12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부(120)는 목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awer body 100 includes a bottom portion 110 and a side portion 120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ortion 110 along four edges of the bottom portion 110. At this time, the side portion 120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 addition, the side portion 120 is preferably formed of wood.

도 1b을 참조하면, 제1 레일부(121)는 측면부(12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측면부(120)의 외측면을 향해 홈이 형성되고, 그 홈의 하부면에 바닥부(110)와 평행하게 가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2 레일부(122)는 제1 레일부(121)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측면부(12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을 향해 홈이 형성되고, 그 홈의 상부면에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1B, a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rail portion 121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portion 120 towar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portion 120, and parallel to the bottom portion 11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roove. It is provided continuous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a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rail portion 122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portion 120 towar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portion 120 in parallel with the first rail portion 121 at regular intervals. It is provided.

또한, 도 1c를 참조하면, 제1 레일부(121-1)는 측면부(120-1)에 형성된 슬릿 형상의 개구가 형성되고, 그 개구의 하부면에 바닥부(110)와 평행하게 가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2 레일부(122-1)는 제1 레일부(121-1)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측면부(120-1)에 형성된 슬릿 형상의 개구가 형성되고, 그 개구의 상부면에 구비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C, the first rail portion 121-1 has a slit-shaped opening formed in the side portion 120-1, and has a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portion 11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It is provided continuously. In addition, the second rail portion 122-1 has a slit-shaped opening formed in the side surface portion 120-1 in parallel with the first rail portion 12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formed at an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It is provided.

상기의 제1 레일부(121, 121-1) 및 제2 레일부(122, 122-1)는 측면부(120, 120-1)의 세로 방향으로 동일 연장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평면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The first rail parts 121 and 121-1 and the second rail parts 122 and 122-1 are preferably formed on the same extension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arts 120 and 120-1.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plane and includes all forms that can produce the same effect.

따라서, 제1 및 제2 레일부(121, 122, 121-1, 122-1)는 슬라이딩이 용이할 수 있도록 라운딩 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레일부(121, 121-1)는 상향 돌출된 턱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2 레일부(122, 122-1)는 하향 돌출된 턱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즉, 측면부(120)의 제1 레일부(121, 121-1) 및 제2 레일부(122, 122-1)는 가이드 플레이트(200)의 제1` 레일부(211)와 제2` 레일부(21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rail parts 121, 122, 121-1, and 122-1 may be rounded to facilitate sliding. At this time, the jaw protruding upwards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first rail parts 121 and 121-1, and the jaw protruding downwardly is formed in the second rail parts 122 and 122-1. That is, the first rail parts 121 and 121-1 and the second rail parts 122 and 122-1 of the side part 120 are formed of the first` rail part 211 and the second` lever of the guide plate 200. It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portion 212.

제1 레일부(121, 121-1) 및 제2 레일부(122, 122-1)는 측면부(120, 120-1)의 내측면에 일부만 설치될 수 있고, 제1 레일부(121, 121-1) 및 제2 레일부(122, 122-1)가 더 연장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레일부의 길이에 따라 클립(250)이 이동될 수 있는 범위가 달리 결정될 수 있다.Only a part of the first rail parts 121 and 121-1 and the second rail parts 122 and 122-1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side parts 120 and 120-1, and the first rail parts 121 and 121 may be installed. -1) and the second rail portions 122 and 122-1 may be further extended. As a result, the range in which the clip 250 can be moved can be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rail portion.

제1 레일부(121, 121-1) 및 제2 레일부(122, 122-1)가 구비된 측면부(120, 120-1)는 1쌍 이상이 서로 마주보며 설치된다. 1쌍인 경우, 서랍(100)의 내부는 복수의 가이드 플레이트(200) 및 클립(250)에 의해 제1 레일부(121, 121-1) 및 제2 레일부(122, 122-1)가 구비된 측면부(120, 120-1)에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2개 이상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2쌍인 경우, 서랍 본체(100)의 측면부(120, 120-1)는 모두 제1 레일부(121, 121-1) 및 제2 레일부(122, 122-1)가 구비되어 내부는 격자형으로 구획될 수 있다.One or more pairs of side parts 120 and 120-1 having the first rail parts 121 and 121-1 and the second rail parts 122 and 122-1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In the case of one pair, the inside of the drawer 100 is provided with the first rail parts 121 and 121-1 and the second rail parts 122 and 122-1 by the plurality of guide plates 200 and the clip 250. Two or more spaces may be formed by dividing the side portions 120 and 120-1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ase of two pairs, the side parts 120 and 120-1 of the drawer main body 100 are all provided with the first rail parts 121 and 121-1 and the second rail parts 122 and 122-1 and have a lattice inside. Can be partitioned into

도 2a를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0)는 상, 하부에 상기 바닥부(110)와 평행하게 상향 돌출되는 제1` 레일부(211)와, 상기 제1` 레일부(211)와 나란하게 연속적으로 하향 돌출되는 제2` 레일부(212)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2A, the guide plate 200 is parallel to the first` rail part 211 and the first` rail part 211 protruding upwardly and parallel to the bottom part 110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reof. The second` rail part 212 protruding continuously downward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is provided.

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 레일부(211)와 이와 나란하게 제2` 레일부(212)가 서로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제1` 레일부(211)와 제2` 레일부(212)는 가이드 플레이트(200) 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된 턱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형태로서, 제1` 레일부(211)는 상향되고, 제2` 레일부(212)는 하향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rail part 211 and the second` rail part 212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first` rail part 211, respectively, o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side surface. In this case, the first` rail part 211 and the second` rail part 212 have a shape in which the jaws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ide of the guide plate 200 are continuously formed, and the first` rail part ( 211 is upward and the second` rail part 212 is formed to be downward.

가이드 플레이트(200)는 서랍 본체(100)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도록 1개 이상 구비되어, 내부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One or more guide plates 200 may be provided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drawer main body 100 and may divide the inside into a plurality of spaces.

상기 제1` 레일부(211)와 제2` 레일부(212)는 가이드 플레이트(200)의 양 측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플레이트(200)의 양 측면에 제1` 레일부(211)와 제2` 레일부(212)가 모두 형성된 상태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200)가 수직 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이 된다.The first` rail part 211 and the second` rail part 212 may b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plate 200. In a state in which both the first` rail part 211 and the second` rail part 212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plate 200, the guide plate 200 is symmetrical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2b를 참고하면, 클립(250)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슬릿(252)이 형성되어 상기 서랍 본체(100)의 측면(120) 및 가이드 플레이트(200)의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2B, the clip 25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slit 252 is formed therein to slide along the rail 120 of the side plate 120 and the guide plate 200 of the drawer body 100. It is provided as possible.

이 때 바디(251)는 그 단면이 서랍 본체의 측면부(120)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만곡되어, 제1 걸립턱(253)과 제2 걸림턱(254) 사이의 거리가 서랍 본체(100)의 측면부(120)의 제1 레일부(121)와 제2 레일부(122) 사이의 거리보다 작거나 같게 함으로써, 상기 서랍 본체(100)의 측면부(120)에 체결되었을 때 탄성력에 의해서 클립(250)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body 251 is bent toward the side cross-section away from the side portion 120 of the drawer body,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atching jaw 253 and the second catching jaw 254 is the side portion of the drawer body 100 ( By mak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ail portion 121 and the second rail portion 122 smaller than or equal to 120, when the clip 250 is fastened to the side portion 120 of the drawer body 100 by the elastic force Do not let go.

클립(250)의 바디(251)에는 상하 방향으로 슬릿(252)이 형성된다. 슬릿(252)은 소정의 폭을 갖고 제1 걸림턱(253)과 제2 걸림턱(254) 사이에 상, 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슬릿(252)에 가이드 플레이트(200)의 단부가 삽입되어 가이드 플레이트(200)를 지지함으로써 서랍(100) 내부를 분할하게 된다.Slits 252 are formed in the body 251 of the clip 25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lit 252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formed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between the first locking jaw 253 and the second locking jaw 254, so that an end portion of the guide plate 200 is connected to the slit 252. By inserting and supporting the guide plate 200 to divide the inside of the drawer 100.

이러한, 클립(250)은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서랍(100) 내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측면(120)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200)에 체결되고 상기 클립(250) 사이에 새롭게 다른 가이드 플레이트(200)를 삽입하여 서랍(100)과 같은 수납 수단의 내부를 분할한다.The clip 250 is fastened to the side plate 120 or the guide plate 200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drawer 100 so that the two faces each other, and the guide plate 200 newly newly between the clips 250. Insert to divide the inside of the storage means such as the drawer (100).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도 1의 서랍 본체의 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서랍 본체의 측면부(120`)는 목재로 형성된다. 이 때, 측면부에 형성된 제1 레일부(121`) 및 제2 레일부(121`)를 덮는 레일커버(400)를 더 포함하여, 상기 클립(250)은 상기 레일커버(40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레일커버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일커버(400)는 강화플라스틱(reinforced plastic)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side surfaces of the drawer body of FIG.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portion 120` of the drawer body is formed of wood. At this time, the rail cover 400 further covers the first rail part 121 ′ and the second rail part 121 ′ formed at the side part, and the clip 250 is installed on the rail cover 400. It is characterized by. At this time, the rail cover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 addition, the rail cover 400 is preferably formed of reinforced plastic.

이 때, 목재로 형성된 제1 레일부(121`) 및 제2 레일부(122`)는 클립이 체결된 상태에서 측면부(120`)의 가로 방향으로의 전,후 이동에 따른 마찰로 인해 쉽게 마모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부(120`)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제1 레일부(121`) 및 제2 레일부(122`) 위에 레일커버(40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rail portion 121` and the second rail portion 122` formed of wood may be easily due to fric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side portion 1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state where the clip is fastened. It may wear out.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durability of the side part 120`, it is preferable to attach the rail cover 400 on the first rail part 121` and the second rail part 122`.

도 4a를 참조하면, 레일커버(400)는 홈에 형성된 제1 레일부(121`) 및 제2 레일부(122`)를 각각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레일커버(400)는 덮혀진 상태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측면부(120`)에 형성된 홈이 전면적으로 덮혀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4A, the rail cover 400 is formed to cover the first rail part 121 ′ and the second rail part 122 ′ formed in the groove,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rail cover 400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groove formed in the side portion 120` can be entirely covered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in the covered state.

도 4b를 참조하면, 레일커버(400``)는 개구에 형성된 제1 레일부(121``) 및 제2 레일부(122``)를 각각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레일커버(400``)는 덮혀진 상태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레일부를 포함하여 측면부(120``)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일부가 더 덧씌워 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4B, the rail cover 400 ″ may be formed to cover the first rail part 121 ″ and the second rail part 122 ″ formed in the opening,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rail cover 400 ″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side portion 120 ″ may be covered by the rail portion 400 ′ so as not to be easily detached from the covered state.

레일커버(4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일커버는 강화플라스틱(400``)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레일커버(40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표면강도가 높은 소재를 모두 포함한다. The rail cover 400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 addition, the rail cover is preferably formed of a reinforced plastic (400``). However, the material of the rail cover 4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ll materials having high surface strength.

가변형 칸막이 서랍(100)에 클립(250)과 가이트 플레이트(200)를 이용하여 서랍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A method of dividing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using the clip 250 and the guide plate 200 in the variable partition drawer 100 will be described.

도 5a를 참조하면, 클립(250`)은 제1 및 제2 걸림턱(253```, 254```)이 서랍 본체(100)의 홈에 형성된 제1 및 제2 레일부(121```, 122```)의 일부와 각각 접촉된 상태로 체결된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클립(250``)의 제1 걸림턱(253````)은 측면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개구를 통과하여 측면부(120````)에 형성된 개구의 제1 레일부(121````)에 걸쳐 지도록 체결된다. 그리고, 제2 걸림턱(254````)은 클립(250``)이 탄성력이 있는 판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약간의 힘을 주면 제2 레일부(254````)에 걸쳐 지면서 체결된다. Referring to FIG. 5A, the clip 250 ′ includes first and second rail portions 121 ′ in which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253 ′ and 254 ′ are formed in grooves of the drawer main body 100. ``, 122```) are fasten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so, referring to FIG. 5B, the first locking jaw 253 `` of the clip 250 ″ passes through the opening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of the side portion to form an opening formed in the side portion 120 `` ''. It is fastened so as to span the first rail portion 121`` ''. And, since the second hooking jaw 254```` is made of a sheet material having elastic force, the clip 250`` is fastened while being applied over the second rail portion 254```` by applying a slight force. .

측면부(120```)의 제1 및 제2 레일부(121```, 122```)는 클립(250`)의 주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없는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250```)은 측면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rail portions 121 ′, 122 ′ of the side portions 120 ′ are continuously formed in the absence of obstacles that hinder the running of the clip 250 ′, the clips ( 250 ′ ″ may be freely moved to any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ortion 120 ′ ″.

그리고, 측면부(120```)에 서로 마주보게 체결된 클립(250`)에 클립(250`) 사이의 거리만큼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200``)를 마련하여 클립(250`)과 클립(250`) 사이에 삽입시킨다. 이 때, 클립(250`)은 가이드 플레이트(200``)에 의해 측면부(120```) 방향으로 외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클립(250`)은 측면부(1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고 슬라이딩 할 수 있다.The guide plate 200 'having a length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lips 250' is provided at the clip 250 'fastened to the side portions 120', and the clip 250 'and It inserts between clips 250 '. At this time, the clip 250 ′ receives an external force in the side portion 120 ′ ″ by the guide plate 200 ″. Therefore, the clip 250 ′ can slide without being easily detached in a state where it is fastened to the side portion 120 ′ ″.

또한, 클립(250`)은 측면부(120```) 뿐만 아니라 가이드 플레이트(200``)의 제1` 및 제2` 레일부(211, 212)에 체결될 수 있어 내부의 공간을 복수개로 분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ip 250 ′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 and second ′ rail portions 211 and 212 of the guide plate 200 ″ as well as the side portion 120 ′ ″, thereby providing a plurality of internal spaces. Can be divid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 120 : 측면부
121 : 제1 레일부 121 : 제2 레일부
200 : 가이드 플레이트 211 : 제1` 레일부
212 : 제2` 레일부 250 : 클립
251 : 바디 252 : 슬릿
253 : 제1 걸림턱 254 : 제2 걸림턱
400 : 금속제 레일커버
100: drawer with a variable partition 120: side portion
121: first rail portion 121: second rail portion
200: guide plate 211: first `rail portion
212: second `rail portion 250: clip
251: body 252: slit
253: first locking step 254: second locking step
400: metal rail cover

Claims (10)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바닥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그 내측면에 상기 바닥부와 평행하게 형성된 제1 레일부와, 상기 제1 레일부와 나란하게 형성된 제2 레일부가 각각 구비된 측면부들로 이루어진 서랍 본체;
상기 서랍 본체의 내부를 구획하기 위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측면부들을 연결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된 바디, 상기 측면부의 상기 제1 레일부에 걸리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 및 상기 측면부의 상기 제2 레일부에 걸리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된 클립을 포함하는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
A first rail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the first rail portion formed parallel to the bottom portion on the inner side thereof, and the second rail portion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rail portion, respectively. A drawer body having provided side parts;
A guide plate connecting the side portions facing each other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drawer body; And
A body having a slit into which one end of the guide plate is inserted, a first latching jaw formed on the body to be hooked to the first rail part of the side part, and a body to be hooked to the second rail part of the side part A drawer having a variable divider including a clip having a second locking ste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
The method of claim 1,
Drawer having a variable divi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portion is made of a metal materia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부 및 제2 레일부는 상기 내측면에 형성된 슬릿 형상의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first rail portion and the second rail portion are slit-shaped openings formed in the inner side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목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
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portion is a drawer having a variable partition,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woo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부 및 제2 레일부는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을 향해 형성된 홈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first rail portion and the second rail portion are provided in a groove form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side portion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side por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 제1 레일부 및 제2 레일부를 덮는 레일커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클립은 상기 레일커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rail cover covering the first rail part and the second rail part formed on the side part, wherein the clip is installed on the rail cov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커버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ail cover is a drawer having a variable divid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커버는 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ail cover is a drawer having a variable divid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reinforced plastic.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부 및 제2 레일부는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의 일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rail portion and the second rail portion are provided on a portion of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 하부에 상기 바닥부와 평행하게 상향 돌출되는 제1` 레일부와, 상기 제1` 레일부와 나란하게 연속적으로 하향 돌출되는 제2` 레일부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칸막이를 구비한 서랍.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plate may have upper and lower first first rail portions protruding in parallel with the bottom portion, and second second rail portions continuously protruding downwar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ail portions. Drawers with variable dividers.




KR1020110128568A 2011-12-02 2011-12-02 Drawer equipped with sliding partition KR1013445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568A KR101344567B1 (en) 2011-12-02 2011-12-02 Drawer equipped with sliding part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568A KR101344567B1 (en) 2011-12-02 2011-12-02 Drawer equipped with sliding part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135A true KR20130062135A (en) 2013-06-12
KR101344567B1 KR101344567B1 (en) 2013-12-26

Family

ID=4885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568A KR101344567B1 (en) 2011-12-02 2011-12-02 Drawer equipped with sliding part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56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9887A1 (en) * 2018-08-08 2020-02-13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Refrigerator drawer assembly
KR102478767B1 (en) * 2022-07-07 2022-12-19 주식회사 보보크래프트 Versatile storage box painted with natural lacqu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9887A1 (en) * 2018-08-08 2020-02-13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Refrigerator drawer assembly
US11519665B2 (en) 2018-08-08 2022-12-06 Haier Smart Home Co., Ltd. Refrigerator drawer assembly
KR102478767B1 (en) * 2022-07-07 2022-12-19 주식회사 보보크래프트 Versatile storage box painted with natural lacqu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567B1 (en)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1778B2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goods and device for dividing such a container
KR101108922B1 (en) Length adjustable partition panel
US6871921B2 (en) Divider assembly for a drawer
US3680177A (en) Clip member
CN104246242B (en) Clip and clamp apparatus
US20140001134A1 (en) Expandible Container
US9227316B2 (en) Tool box
US10641038B2 (en) Rail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
US20130082020A1 (en) Cross-Linking Modular Drawer Divider and Method of Use
US9506171B2 (en) Bead weaving tool
KR101344567B1 (en) Drawer equipped with sliding partition
RU2016142475A (en) SCREW FOR ATTACHING TO THE BASIS OF THE SEAT
US2743774A (en) Extensible partitions for drawers and the like
EP2954804A1 (en) Fastening part for a storage system
JP2012076800A (en) Partitioning structure for storage box, and the storage box
JP6273824B2 (en) Storage box partition member and storage box having the same
CN1674811A (en) Storage system
EP2913610A1 (en) Household refrigerator having a shelf and a holding device mounted on the shelf
KR100846925B1 (en) Sliding Partition
KR101965129B1 (en) Plastic box with partition wall
US20170043905A1 (en) Dual Expandable Tray
CN107636218A (en) Sliding block spring, sliding block, sliding needle, guide device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t least one sliding block spring
KR20120007072U (en) Partition plate
KR200461756Y1 (en) Sliding partition including name holder
JP2012056628A (en) Component for partition of plastic-made corrugated fiberboard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